KR20110024588A - 근거리 통신망 접속을 위한 접속제어 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근거리 통신망 접속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근거리 통신망 접속을 위한 접속제어 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근거리 통신망 접속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4588A
KR20110024588A KR1020090082646A KR20090082646A KR20110024588A KR 20110024588 A KR20110024588 A KR 20110024588A KR 1020090082646 A KR1020090082646 A KR 1020090082646A KR 20090082646 A KR20090082646 A KR 20090082646A KR 20110024588 A KR20110024588 A KR 201100245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ymbol
cables
output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2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3692B1 (ko
Inventor
박형진
박재형
김진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90082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3692B1/ko
Publication of KR20110024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45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3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36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54Wide area networks, e.g. public data networks
    • H04L12/2856Access arrangements, e.g. Internet access
    • H04L12/2869Operational details of access network equipments
    • H04L12/2878Access multiplexer, e.g. DSLAM
    • H04L12/2892Access multiplexer, e.g. DSLAM characterised by the access multiplexer archite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50Tes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거리 통신망 접속을 위한 접속제어 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근거리 통신망 접속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케이블로 출력해야 할 신호의 개수에 대한 출력신호정보를 송출하는 출력신호 설정부; 상기 출력신호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케이블로 출력해야 할 신호의 개수만큼 상기 심볼 신호를 다중화시켜 다중화 신호를 생성하는 심볼 다중화부; 및 상기 심볼 신호 및 상기 다중화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케이블과 각각 연결된 출력포트들 중에서 상기 입력받은 신호들을 송출하기 위한 유효포트를 상기 입력받은 신호들의 개수만큼 설정하는 신호송출부를 구비하는 근거리 통신망 접속을 위한 접속제어 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근거리 통신망 접속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요구되는 성능수준에 적합한 최대의 속도를 제공하여 인터넷 서비스 제공을 위해 필요한 선로의 수를 절감하고, 신호전송에 사용되지 않는 나머지 선로를 타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Figure P1020090082646
기가비트 이더넷, 근거리 통신망, UTP 케이블, 다중화, 역다중화

Description

근거리 통신망 접속을 위한 접속제어 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근거리 통신망 접속 시스템 및 방법{Apparatus for controlling access gigabit ethernet,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ng gigabit ethernet having them}
본 발명은 근거리 통신망 접속을 위한 접속제어 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근거리 통신망 접속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기가 인터넷 서비스 환경이 요구하는 100Mbps 이상 1Gbps 이하의 전송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가변적인 이더넷 접속 속도 기능을 제공하는 근거리 통신망 접속을 위한 접속제어 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근거리 통신망 접속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더넷 접속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인터넷 서비스 접속은 10Mbps, 100Mbps 및 1Gbps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만 가능한데, 그 중에 1Gbps 접속은 현재 기술 수준을 기준으로 하여 볼때, 4조 UTP 케이블(Unshield Twisted Pair Cable)의 연결을 통해서만 구현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기가비트 이더넷 접속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근거리 통신망의 대표적인 접속 방법의 하나인 기가비트 이더넷 접속 시스템 에서 신호가 전송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MAC 계층과 PHY 계층을 연결하는 GMII(Gigabit Media Independent Interface) 인터페이스(2)를 통해 MAC(Medium Access Control) 기능부(1)에서 PCS(Physical Coding Sublayer) 기능을 수행하는 심볼 인코더(3)로 이더넷 패킷 데이터가 전송되고, 상기 심볼 인코더(3)에서는 Scrambling 및 Trellis 인코딩 과정을 수행한다.
심볼 인코더(3)에서 Trellis 인코딩된 심볼은 4개의 3비트 데이터열로 그 결과가 나오고, 각 결과는 PAM-5(Pulse Amplitude Modulation with five amplitude levels) 변조를 통해 125 MHz의 보율(baud rate)로 송신부(4)에 전달된다.
송신부(4)에서는 심볼 인코더(3)에서 출력된 PAM-5 디지털 변조 신호를 아날로그 변화시킨 뒤 접속 선로에 최종 출력시키게 된다.
수신부(6)에서는 선로를 통해 들어오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반향(echo) 잡음 제거 및 근접-원격 누화간섭 잡음 제거를 수행하고, 심볼 디코더(7)에서는 PAM-5 신호를 복호화 후 비터비(Viterbi) 디코딩을 수행함으로써 이더넷 패킷을 복구하여 GMII 인터페이스(2')를 통해 MAC 기능부(1')로 전달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시스템에서는 아파트 구내 선로 구축을 위해서 반드시 4조의 UTP 케이블(5)을 필요로 하고 있기 때문에 구내 배선을 구축하는 것이 경제적 부담으로 작용할 여지가 크다.
또한, 종래의 시스템 구조상 기가비트 이더넷 접속을 위해 4조의 UTP 케이블 이 모두 소요되기 때문에 구내 배선량이 과다해진다는 점과, UTP 케이블 선로내 잡 음 환경에 의해 발생되는 누화 간섭 잡음에 의해 전송 성능이 영향을 받을 경우, 이더넷 접속 속도가 1Gbps에서 100Mbps로 저하되어 속도 설정되기 때문에 100Mbps 이상 1Gbps 이하의 전송 대역폭을 요구하는 기가 인터넷 서비스 환경이 제약을 받는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있어서 실질적으로 요구되는 선로의 전송성능은 1Gbps 보다 크게 작기 때문에 4조의 UTP 케이블을 모두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에만 사용하는 것은 낭비적인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기가비트 이더넷 접속시 1Gbps 이하의 세분화된 속도를 제공함으로써 전송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기축 아파트 환경에서 이미 포설된 UTP 케이블을 이용하여 BcN(Broadband Convergence Network) 서비스 뿐만 아니라, 기가비트 인터넷 서비스를 최소한의 UTP 케이블을 이용하여 구축할 수 있도록 하고, 선로상태 검사 및 전송가능 속도 수준을 측정한 뒤 요구성능 수준에 맞는 최대의 속도를 제공하는 근거리 통신망 접속을 위한 접속제어 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근거리 통신망 접속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복수의 케이블로 출력해야 할 신호의 개수에 대한 출력신호정보를 송출하는 출력신호 설정부; 상기 출력신호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케이블로 출력해야 할 신호의 개수만큼 상기 심볼 신호를 다중화시켜 다중화 신호를 생성하는 심볼 다중화부; 및 상기 심볼 신호 및 상기 다중화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케이블과 각각 연결된 출력포트들 중에서 상기 입력받은 신호들을 송출하기 위한 유효포트를 상기 입력받은 신호들의 개수만큼 설정하는 신호송출부를 구비하는 근거리 통신망 접속을 위한 접속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복수의 케이블로 출력해야 할 신호의 개수에 대한 출력신호정보를 송출하는 출력신호 설정부와, 상기 출력신호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케이블로 출력해야 할 신호의 개수만큼 상기 심볼 신호를 다중화시켜 다중화 신호를 생성하는 심볼 다중화부와, 상기 심볼 신호 및 상기 다중화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케이블과 각각 연결된 출력포트들 중에서 상기 입력받은 신호들을 송출하기 위한 유효포트를 상기 입력받은 신호들의 개수만큼 설정하는 신호송출부를 구비하는 제 1 접속제어부; 및 상기 제 1 접속제어부로부터 송출된 상기 심볼 신호 및 상기 다중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다중화 신호를 역다중화시켜 원래의 심볼 신호로 복원시키는 역다중화부를 구비하는 제 2 접속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망 접속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접속제어부는 상기 케이블에 대한 전송성능 측정을 위한 시험패턴을 상기 각각의 케이블을 통해 상기 수신부로 송출하는 시험패턴 출력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 2 접속제어부는 상기 시험패턴을 수신하여 상기 케이블들의 전송성능을 측정하고, 상기 전송성능이 미리 정해진 요구성능을 충족시키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전송성능 측정부와, 상기 전송성능에 따라 상기 심볼 신호 및 다중화 신호를 송출할 케이블의 개수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케이블의 개수에 대한 케이블 설정 정보를 상기 출력신호 설정부로 송출하는 케이블 설정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출력신호 설정부는 상기 케이블 설정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설정된 케이블의 개수에 따라 상기 케이블로 출력해야 할 신호의 개수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송성능 측정부는 상기 전송성능이 상기 요구성능을 충족시키지 못하면 상기 시험패턴 출력부가 상기 시험패턴의 개수를 감소시켜 재전송하도록 하는 패턴 재전송 신호를 상기 시험 패턴 출력부로 송출하고, 재전송되는 시험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재전송된 시험패턴들이 송출된 케이블에 대한 전송성능을 재측정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블 설정부는 상기 전송성능 측정부에 의해 측정되는 상기 전송성능이 상기 요구성능을 충족시키는 때에 송출된 시험패턴의 개수만큼 상기 심볼 신호 및 다중화 신호를 송출할 케이블의 개수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블 설정부는 상기 재전송되는 시험패턴의 개수가 미리 정해진 케이블의 최소 개수 값과 동일하면 상기 케이블의 최소 개수 값을 상기 심볼 신호 및 다중화 신호를 송출할 케이블의 개수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 접속제어부는 상기 시험패턴 출력부로부터 송출된 상기 시험패턴을 검출하여 상기 전송성능 측정부로 전송시키는 시험패턴 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a) 복수의 심볼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b) 상기 입력받은 심볼 신호를 전송할 케이블의 개수를 설정하는 단계; c) 상기 설정된 케이블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신호를 상기 케이블을 통해 출력하기 위해 상기 심볼 신호를 다중화시켜 송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다중화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다중화 신호를 역다중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b) 단계는 b1) 복수의 케이블 각각을 통해 시험패턴을 송출하는 단계; b2) 상기 시험패턴을 수신하여 상기 케이블들의 전송성능을 측정하는 단계; b3) 상기 전송성능이 미리 정해진 요구성능을 충족시키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b4)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입력받은 심볼 신호를 송출할 케이블의 개수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요구되는 성능수준에 적합한 최대의 속도를 제공하여 인터넷 서비스 제공을 위해 필요한 선로의 수를 절감하고, 신호전송에 사용되지 않는 나머지 선로를 타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1Gbps 이하의 세분화된 속도를 제공함으로써 전송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첨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 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망 접속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망 접속 시스템의 블럭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망 접속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망 접속 시스템(10) 및 상기 근거리 통신망 접속 시스템(10)을 이용한 근거리 통신망의 접속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망 접속 시스템(10)은 제 1 접속제어부(100) 및 제 2 접속제어부(200)를 포함한다.
제 1 접속제어부(100)는 시험패턴 출력부(105), 출력신호 설정부(110), 심볼 다중화부(120), 제 1 심볼 동기화부(130) 및 신호송출부(140)를 포함한다.
한편, 제 2 접속제어부(200)는 신호수신부(210), 제 2 심볼 동기화부(230), 심볼 역다중화부(240), 패턴신호 검출부(245), 전송성능 측정부(250) 및 케이블 설정부(260)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접속제어부(100)는 심볼 인코더(3)의 후단에 배치되어 심볼 인코더(3)에 의해 인코딩된 심볼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 받은 심볼 신호들을 4조의 UTP 케이블(5) 중에서 지정된 소정 개수의 UTP 케이블(5)을 통해 송출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제 1 접속제어부(100)는 입력 받은 4개의 심볼 신호 전체 또는 일부를 다중화시켜 지정된 UTP 케이블(5)을 통해 송출한다.
한편, 제 2 접속제어부(200)는 심볼 디코더(7)의 전단에 배치되어 제 1 접속제어부(100)로부터 송출된 다중화 신호 또는 다중화 신호와 다중화되지 않은 심볼 신호를 수신하고, 다중화된 신호는 역다중화시켜 다시 원래의 심볼 신호로 복원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처럼 제 1 접속제어부(100)를 통해 심볼 신호를 다중화하여 최종적으로 송출하여야 하는 신호의 개수를 감소시키면, 1개조 내지 3개조의 UTP 케이블(5)을 통해 신호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사용되지 않고 남는 UTP 케이블(5)을 전화회선 등의 용도로 전환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별도의 UTP 케이블을 더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된다.
한편, 다중화된 심볼 신호들은 제 2 접속제어부(200)를 통해 다시 역다중화 시킬 수 있으므로 원래 목적대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상술한 근거리 통신망 접속 시스템(10)의 구성과 기능 및 신호 전송과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제 1 접속제어부(100) 측에서는 심볼 인코더(3)로부터 전송되는 4개의 심볼 신호를 버퍼부(102)를 통해 입력받고(S10), 상기 버퍼부(102)에 임시적으로 저장시킨다.
4개의 심볼 신호가 버퍼부(102)에 입력되면 시험패턴 출력부(105)는 심볼 신호가 전송되어야 할 4조의 UTP 케이블(5)에 대한 전송성능을 측정하기 위해 각각의 UTP 케이블(5)로 시험패턴을 제 2 접속제어부(200)로 전송시킨다(S20). 이때, 상기 시험패턴으로는 PRBS(Pseudo Random Bit Sequence) 비트열을 사용할 수 있다.
제 2 접속제어부(200)에 구비되는 시험패턴 검출부(245)는 전송된 시험패턴을 검출하여 전송성능 측정부(250)로 전송한다.
그러면, 전송성능 측정부(250)는 UTP 케이블(5)에서 누화되는 신호에 의한 간섭의 영향으로 최초로 송부하는 시험패턴의 손실이 어느 정도 나타나는지에 대한 전송성능을 측정하고(S30), 측정한 전송성능이 최소한으로 요구되는 성능으로써 미리 정해진 요구성능을 충족시키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0).
만약, 상기 S40단계에서 전송성능이 요구성능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전송성능 측정부(250)는 시험패턴 출력부(105)가 시험패턴의 개수를 하나씩 감소시켜 시험패턴을 재전송하도록 하는 패턴 재전송 신호를 시험 패턴 출력부(105)로 송출한다(S50).
패턴 재전송 신호를 수신한 시험패턴 출려부(105)는 시험패턴의 수를 하나 감소시킨 3개의 시험패턴을 송출하고 이를 수신한 전송성능 측정부(250)는 시험패턴이 송출된 3개의 UTP 케이블(5)에 대한 전송성능을 재측정한다.
이러한 시험패턴의 재전송 과정은 전송성능이 요구성능을 충족시킬 때 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그러나, 재전송 하면서 감소하는 시험패턴의 개수가 미리 정해진 UTP 케이블의 최소 개수 값과 동일하게 되면 전송성능이 요구성능에 미치지 못하더라도 시험패턴의 개수를 감소시켜 재전송하는 절차를 중단하고, UTP 케이블(5)의 개수를 설 정하기 위한 단계로 넘어간다(S60).
이처럼 전송성능을 측정하는 데에는 시험패턴의 BER(Bit Error Ratio)를 측정하는 방법 또는 누화되는 신호에 의해 발생하는 간섭의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S40 단계에서 전송성능이 요구성능을 충족시키거나, S60 단계에서 재전송되어야 할 시험패턴의 개수와 UTP 케이블의 최소 개수 값이 동일하게 되면, 케이블 설정부(260)는 신호의 전송에 사용될 UTP 케이블(5)의 개수를 설정하고(S70), 설정된 UTP 케이블(5)의 개수에 대한 케이블 설정 정보를 출력신호 설정부(110)로 송출한다.
그러면, 출력신호 설정부(110)는 케이블 설정 정보를 수신하여 설정된 UTP 케이블의 개수에 따라 상기 UTP 케이블로 출력해야 할 신호의 개수를 설정하여 심볼 다중화부(120)로 UTP 케이블을 통해 출력해야 할 신호의 개수에 대한 출력신호정보를 송출한다.
심볼 다중화부(120)는 출력신호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설정된 UTP 케이블(5)의 개수와 최종적으로 UTP 케이블(5)을 통해 출력되어야할 신호의 개수가 동일하게 되도록 하기 위해 심볼 신호를 다중화시킨다(S80).
이때, 심볼 다중화부(120)가 심볼 신호를 다중화시키는 것은 시분할 다중화와 같은 방법을 통해 다중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다중화되는 심볼 신호의 개수는 설정된 UTP 케이블(5)의 개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설정된 UTP 케이블(5)의 개수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인 경우에는 최초 4개의 심볼 신호 중에서 3개의 심볼 신호를 다중화시켜 다중화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다중화 신호와 다중화되지 않은 심볼 신호로 이루어진 총 2개의 신호를 설정된 2개의 UTP 케이블(5)을 통해 송출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하나의 UTP 케이블(5)을 통해 신호를 송출해야 하는 경우라면 4개의 심볼 신호를 모두 다중화시킨 다중화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하나의 다중화 신호만을 설정된 하나의 UTP 케이블(5)을 통해 송출하게 된다.
이 후, 하나의 다중화 신호 또는 다중화되지 않은 심볼 신호와 다중화 신호는 제 1 심볼 동기화부(130)를 통해 심볼의 경계를 확정하기 위한 동기화 과정을 거치게 되고, 버퍼링을 위해 버퍼부(104)에 임시적으로 저장되었다가 신호송출부(140)로 전송된다.
신호송출부(140)는 심볼 다중화부(120)로부터 하나의 다중화 신호 또는 다중화되지 않은 심볼 신호와 다중화 신호를 입력받고, 4조의 UTP 케이블(5)과 각각 연결된 출력포트(142)들 중에서 상기 입력받은 신호들을 송출하기 위한 유효포트를 입력받은 신호들의 개수만큼 설정한다. 그리고나서, 유효포트로 설정되지 않은 나머지 출력포트(142)에 연결된 UTP 케이블(5)은 개방시킴으로써 상기 설정된 유효포트와 연결된 UTP 케이블(5)만을 통해 신호를 제 2 접속제어부(200)로 송출한다(S90).
제 2 접속제어부(200)는 신호수신부(210)에 구비된 입력포트(212)를 통해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신호의 버퍼링을 위해 버퍼부(220)로 수신한 신호를 전달한다.
버퍼부(220)를 거친 신호는 제 2 심볼 동기화부(230)를 통해 동기화되고, 심볼 역다중화부(240)로 전송된다.
심볼 역다중화부(240)는 수신한 신호 중에서 다중화 신호를 역다중화시켜 원래의 심볼 신호로 복원시키고(S100), 원래대로 4개의 심볼 신호를 출력한다.
심볼 역다중화부(240)에서 출력된 4개의 심볼 신호는 버퍼부(222)에서 임시 저장되었다가 심볼 디코더(7)로 전송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가비트 이더넷으로 대표되는 근거리 통신망 접속 시스템(10)은 4조의 UTP 케이블(5)을 이용하는 기가비트 이더넷 환경에서 요구되는 성능에 따라 사용되는 UTP 케이블(5)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1Gbps 이내의 범위에서 UTP 케이블(5)의 전송능력에 따라 단계별로 전송속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가비트 이더넷 접속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망 접속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망 접속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망 접속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근거리 통신망 접속 시스템
100 : 제 1 접속제어부 105 : 시험패턴 출력부
110 : 출력신호 설정부 120 : 심볼 다중화부
130 : 제 1 심볼 동기화부 140 : 신호송출부
200 : 제 2 접속제어부 210 : 신호수신부
230 : 제 2 심볼 동기화부 240 : 심볼 역다중화부
245 : 패턴 신호 검출부 250 : 전송성능 측정부
260 : 케이블 설정부

Claims (9)

  1. 복수의 케이블로 출력해야 할 신호의 개수에 대한 출력신호정보를 송출하는 출력신호 설정부;
    상기 출력신호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케이블로 출력해야 할 신호의 개수만큼 상기 심볼 신호를 다중화시켜 다중화 신호를 생성하는 심볼 다중화부; 및
    상기 심볼 신호 및 상기 다중화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케이블과 각각 연결된 출력포트들 중에서 상기 입력받은 신호들을 송출하기 위한 유효포트를 상기 입력받은 신호들의 개수만큼 설정하는 신호송출부를 구비하는 근거리 통신망 접속을 위한 접속제어 장치.
  2. 복수의 케이블로 출력해야 할 신호의 개수에 대한 출력신호정보를 송출하는 출력신호 설정부와,
    상기 출력신호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케이블로 출력해야 할 신호의 개수만큼 상기 심볼 신호를 다중화시켜 다중화 신호를 생성하는 심볼 다중화부와,
    상기 심볼 신호 및 상기 다중화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케이블과 각각 연결된 출력포트들 중에서 상기 입력받은 신호들을 송출하기 위한 유효포트를 상기 입력받은 신호들의 개수만큼 설정하는 신호송출부를 구비하는 제 1 접속제어부; 및
    상기 제 1 접속제어부로부터 송출된 상기 심볼 신호 및 상기 다중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다중화 신호를 역다중화시켜 원래의 심볼 신호로 복원시키 는 역다중화부를 구비하는 제 2 접속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망 접속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속제어부는 상기 케이블에 대한 전송성능 측정을 위한 시험패턴을 상기 각각의 케이블을 통해 상기 수신부로 송출하는 시험패턴 출력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 2 접속제어부는 상기 시험패턴을 수신하여 상기 케이블들의 전송성능을 측정하고, 상기 전송성능이 미리 정해진 요구성능을 충족시키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전송성능 측정부와,
    상기 전송성능에 따라 상기 심볼 신호 및 다중화 신호를 송출할 케이블의 개수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케이블의 개수에 대한 케이블 설정 정보를 상기 출력신호 설정부로 송출하는 케이블 설정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출력신호 설정부는 상기 케이블 설정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설정된 케이블의 개수에 따라 상기 케이블로 출력해야 할 신호의 개수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망 접속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성능 측정부는
    상기 전송성능이 상기 요구성능을 충족시키지 못하면 상기 시험패턴 출력부 가 상기 시험패턴의 개수를 감소시켜 재전송하도록 하는 패턴 재전송 신호를 상기 시험 패턴 출력부로 송출하고, 재전송되는 시험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재전송된 시험패턴들이 송출된 케이블에 대한 전송성능을 재측정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망 접속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설정부는
    상기 전송성능 측정부에 의해 측정되는 상기 전송성능이 상기 요구성능을 충족시키는 때에 송출된 시험패턴의 개수만큼 상기 심볼 신호 및 다중화 신호를 송출할 케이블의 개수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망 접속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설정부는
    상기 재전송되는 시험패턴의 개수가 미리 정해진 케이블의 최소 개수 값과 동일하면 상기 케이블의 최소 개수 값을 상기 심볼 신호 및 다중화 신호를 송출할 케이블의 개수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망 접속 시스템.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접속제어부는 상기 시험패턴 출력부로부터 송출된 상기 시험패턴을 검출하여 상기 전송성능 측정부로 전송시키는 시험패턴 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망 접속 시스템.
  8. a) 복수의 심볼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b) 상기 입력받은 심볼 신호를 전송할 케이블의 개수를 설정하는 단계;
    c) 상기 설정된 케이블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신호를 상기 케이블을 통해 출력하기 위해 상기 심볼 신호를 다중화시켜 송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다중화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다중화 신호를 역다중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망 접속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복수의 케이블 각각을 통해 시험패턴을 송출하는 단계;
    b2) 상기 시험패턴을 수신하여 상기 케이블들의 전송성능을 측정하는 단계;
    b3) 상기 전송성능이 미리 정해진 요구성능을 충족시키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b4)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입력받은 심볼 신호를 송출할 케이블의 개수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망 접속 방법.
KR1020090082646A 2009-09-02 2009-09-02 근거리 통신망 접속을 위한 접속제어 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근거리 통신망 접속 시스템 및 방법 KR1015936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2646A KR101593692B1 (ko) 2009-09-02 2009-09-02 근거리 통신망 접속을 위한 접속제어 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근거리 통신망 접속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2646A KR101593692B1 (ko) 2009-09-02 2009-09-02 근거리 통신망 접속을 위한 접속제어 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근거리 통신망 접속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4588A true KR20110024588A (ko) 2011-03-09
KR101593692B1 KR101593692B1 (ko) 2016-02-12

Family

ID=43932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2646A KR101593692B1 (ko) 2009-09-02 2009-09-02 근거리 통신망 접속을 위한 접속제어 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근거리 통신망 접속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369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4249A (ko) * 2000-12-27 2002-07-06 오길록 가변 전송율을 가지는 큐에이엠 트랜시이버 장치
KR20080093924A (ko) * 2007-04-17 2008-10-22 삼성전자주식회사 중요도에 따라 손실 복원율을 차별화하는 비균일 랩터 코딩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4249A (ko) * 2000-12-27 2002-07-06 오길록 가변 전송율을 가지는 큐에이엠 트랜시이버 장치
KR20080093924A (ko) * 2007-04-17 2008-10-22 삼성전자주식회사 중요도에 따라 손실 복원율을 차별화하는 비균일 랩터 코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3692B1 (ko) 2016-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0927B1 (ko) 확장된 범위 이더넷 라인 코드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0920186B1 (ko) 확장된 범위 이더넷 링크 디스커버리 시그널링을 위한 방법및 시스템
CN103259562B (zh) 10gbase-t收发机的线缆诊断
US20070192505A1 (en) Auto-sequencing transmission speed of a data port
KR101419283B1 (ko) 통신 네트워크들에 대한 듀얼 송신
US7602806B2 (en) Signaling and coding methods and apparatus for long-range 10 and 100 MBPS ethernet transmission
US7805657B2 (en) Techniques to determine transmission quality of a signal propagation medium
US20080228941A1 (en) Ethernet Link Monitoring Channel
US2002012335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diagnostic tests using an assisting transceiver
JP2011507407A5 (ko)
US2002002788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mpatibility between different transceivers in a multi-pair communication system
US20090245120A1 (en) Ethernet Physical Layer Transceiver with Auto-Ranging Function
US8638895B2 (en) Extension of Ethernet PHY to channels with bridged tap wires
KR101593692B1 (ko) 근거리 통신망 접속을 위한 접속제어 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근거리 통신망 접속 시스템 및 방법
KR101474520B1 (ko) 홈 네트워크 전송 선로의 간섭 완화 장치, 간섭 완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
US20110085454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 10BASE-T/10BASE-Te Selection Based on Cable Characteristics
KR101356905B1 (ko) 이더넷 l2 스위치 장치 및 그 데이터 전송 방법
EP2907280A2 (en) Method of dynamic discontinuous operation from a distribution point
CN109787714A (zh) 提高以太网phy装置中的延迟的方法
Hutchison et al. Development of the FDDI physical layer
US10742262B1 (en) Method and system for ethernet active-pair detection
US11296748B2 (en) Network management apparatus, customer premises equipment registration method therefor,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rnet service to customer premises equipment
JP4956447B2 (ja) 加入者宅側光回線終端装置及び光伝送システム
KR20120072651A (ko) 2P 선로를 이용한 500Mbps 전송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