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3584A - 정거장·버스 모니터상에 버스 잔여석 표시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정거장·버스 모니터상에 버스 잔여석 표시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3584A
KR20110023584A KR1020090081555A KR20090081555A KR20110023584A KR 20110023584 A KR20110023584 A KR 20110023584A KR 1020090081555 A KR1020090081555 A KR 1020090081555A KR 20090081555 A KR20090081555 A KR 20090081555A KR 20110023584 A KR20110023584 A KR 201100235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unit
remaining
display
beac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1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기
Original Assignee
박영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기 filed Critical 박영기
Priority to KR1020090081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23584A/ko
Publication of KR20110023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35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 G08G1/13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within the vehicle ; Indicators inside the vehicles or at s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거리 및 순환 좌석버스를 타고 내릴 때, 승객이 승하차시 센서에 의해 자동으로 계수하여 표시장치에 잔여좌석을 표시하여 운전자 및 승객이 좌석버스 이용시 정차 및 승하차 여부를 판별할 수 있도록 잔여좌석 정보를 정거장 모니터상에 표출시킬 수 있도록 제1 RF 표출제어모듈(100), 노변 비컨(Beacon)부(200), BIS 서버(300), 제2 RF 표출제어모듈(400)로 구성됨으로서, 버스 출입문에 센서를 부착하여 자동으로 탑승자의 수를 계수하여 버스 외부 전면부와 측면부에 LED로 구성된 표출부와 버스 운전석 전면에 디스플레이부로 표시되는 표출부에 잔여 좌석수를 표시하여 탑승대기 승객과 운전기사에게 실시간으로 잔여 좌석수를 표출하여 좌석이 없으면 탑승이 되지 않도록 유도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수집된 잔여석 정보를 차량내의 OBU장치에 전달하여 차량내의 무선모듈을 이용하여 BIS 서버에 잔여석 정보를 전송하고, 전송된 잔여석 정보는 그 다음 정류장과 진행할 정류장에 버스도착 예정시각과 탑승가능잔여좌석수를 버스정류장내에 설치된 버스정보표출시스템 표출부에 표출하여 다음정류장에서 기다리는 승객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정거장·버스 모니터상에 버스 잔여석 표시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잔여좌석 표시, 자동계수, 정거장 모니터

Description

정거장·버스 모니터상에 버스 잔여석 표시장치 및 방법{THE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BUS INFORMATION IN BUS MONITOR AND BUS STOP MONITOR}
본 발명은 정거장·버스 모니터상에 버스 잔여석 표시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좌석버스는 통상적으로 시와 시의 장거리를 운행하는 버스로서, 고속도로나 고속으로 주행하는 도로를 경유하여 운행하는 버스로서 승객이 입석하여 운행하다 사고 발생시 입석승객의 대형사고의 노출을 안고 있다.
이에 제도적으로 좌석버스는 좌석이 없으면 추가 입석승객을 탑승하지 않도록 유도하고, 더불어 시행하는 곳이 늘고 있다.
이에, 국내특허공보 제10-2006-0092775호에서는 버스 승차 정원 및/또는 승차 인원과 좌석 수 표시하는 외부 표시부와; 상기 버스의 승하차 승객을 센싱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싱부의 센싱 데이터를 제어부로 인터페이싱하는 센서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센서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센서부로부터의 승객 승하차 정보를 받 아 이를 연산하여 버스 정원, 승차 인원 및/또는 좌석수를 연산하여 상기 외부 표시부를 통해 표시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버스정보장치 및 그를 이용한 버스정보 운용 방법이 제시된 바 있으나,
이는 버스 자체에만 버스 잔여석수를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버스 정류소에 기다리는 승객에게는 해당 버스가 버스 정류소로 도착해야만 버스 잔여석 수를 확인할 수가 있기 때문에, 다음 버스를 다시 기다려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버스정보장치와 정거장 모니터 사이의 데이터 통신이 도로 구조상의 상태 및 날씨로 인해 매우 불안정하여 정거장 모니터 화면에 시스템 오류가 많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버스 출입문에 센서를 부착하여 자동으로 탑승자의 수를 계수하여 버스 외부 전면부와 측면부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에 잔여 좌석수를 표시하여 탑승대기 승객과 운전기사에게 실시간으로 잔여 좌석수를 표출하여 좌석이 없으면 탑승이 되지 않도록 유도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수집된 잔여석 정보를 노변 비컨부를 이용하여 BIS 서버에 잔여석 정보를 전송하고, 전송된 잔여석 정보는 그 다음 정류장과 진행할 정류장에 버스도착 예정시각과 탑승가능잔여좌석수를 버스정류장내에 설치된 버스정보표출시스템 표출부에 표출하여 다음정류장에서 기다리는 승객에게 미리 버스 잔여석 정보 및 버스 위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정거장·버스 모니터상에 버스 잔여석 표시장치는
버스 잔여석 정보를 정거장 모니터상에 표출시키는 버스 잔여석 표출장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버스 잔여석 표출장치는 버스에 설치되고, 승객이 승하차시 센서에 의해 자동으로 계수하여 버스 외부면과 내부면에 잔여석을 표출시키고, GPS망과 연결되어 현재 버스 위치를 측정하는 제1 RF 표출제어모듈(100)와,
노변에 10m~50m 간격으로 설치되어 차량 위치를 확인한 후, 유선으로 BIS 서버로 버스 잔여석 정보와 버스 위치를 전송시키는 노변 비컨(Beacon)부(200)와,
정거장 모니터를 ID별로 설정한 후, 버스 위치정보(GPS Data)와 버스 잔여석 정보가 전달될 정거장 모니터의 제2 RF 표출제어모듈를 설정한 후, 설정된 정거장 모니터의 제2 RF 표출제어모듈로 노변 비컨(Beacon)부로부터 수신받은 현재 버스 위치정보(GPS Data)와 버스 잔여석 정보를 전송시키는 BIS 서버(300)와,
정거장 모니터에 설치되어, BIS 서버의 제어에 의해 전송된 버스 잔여석 정보와 버스 위치를 표출시키는 제2 RF 표출제어모듈(400)로 구성됨으로서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정거장·버스 모니터상에 버스 잔여석 표시방법은,
제1 센서부와 제2 센서부를 통해 승객의 승·하차여부를 체크하는 단계와,
마이컴부를 통해 현재 버스 잔여석 수를 측정하고, 현재 버스 위치를 측정하는 단계와,
마이컴부의 제어하에 RF 전송부(160)에 노변 비컨(Beacon)부로부터 비컨 ID신호가 입력되면, 노변 비컨(Beacon)부로 버스 잔여석 정보와 버스 위치를 전송시키는 단계와,
노변 비컨부의 통신 비컨부를 통해 버스 잔여석 정보와 버스 위치를 BIS 서버로 전송시키는 단계와,
BIS 서버에서 정거장 모니터를 ID별로 설정하는 단계와,
BIS 서버에서 현재 버스 위치정보(Gps data)를 수신받아, DGPS 기준국을 이 용한 위치정보를 보정하는 단계와,
연산된 현재 버스 위치정보(GPS Data)와 버스 잔여석 정보를 제2 RF 표출제어모듈(400)에 송신시키는 단계와,
제2 RF 표출제어모듈(400)에서 버스 잔여석 정보와 버스 위치를 표출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짐으로서 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드린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버스 외부 전면부와 측면부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에 잔여 좌석수를 표시하여 탑승대기 승객과 운전기사에게 실시간으로 잔여 좌석수를 표출하여 좌석이 없으면 탑승이 되지 않도록 유도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다음정류장에서 기다리는 승객에게 잔여석이 남아있는 버스로 탑승하도록 편의를 제공할 수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첨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거장·버스 모니터상에 버스 잔여석 표시장치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구성도에 관한 것으로, 이는 제1 RF 표출제어모듈(100), 노변 비컨(Beacon)부(200), BIS 서버(300), 제2 RF 표출제어모듈(400)로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제1 RF 표출제어모듈(1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제1 RF 표출제어모듈(100)는 버스에 설치되고, 승객이 승하차시 센서에 의해 자동으로 계수하여 버스 외부면과 내부면에 잔여석을 표출시키고, GPS망과 연결되어 현재 버스 위치를 표출시키는 곳으로, 이는 제1 센서부(110), 제2 센서부(120), 마이컴부(130), 디스플레이부(140), 키패드 조작기(150), RF 전송부(160)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센서부(110)는 버스 출입문 및 하차문이 열려서 접촉되는 부위에 각각 부착되어, 문이 열려있을 때만 승·하차 감지센서부가 구동되도록 버스 출입문 및 하차문 열림상태를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충격감지센서로 구성된다.
충격감지센서는 버스 출입문 및 하차문이 열려서 접촉되는 부위에 설치되어, 충격센서안에 스프링의 진동으로 버스 출입문 및 하차문의 충격을 감지해서, 일정진동이상이 감지되면 문이 열려있음을 감지하여 제2 센서부로 문 열림신호를 보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센서부(120)는 대기상태에 있다가 제1 센서부로부터 웨이크업 신호를 전달받아 구동되어, 승객의 승차와 하차여부를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승차용 초음파 센서와, 하차용 초음파 센서로 구성된다.
상기 승차용 초음파 센서는 버스 출입문 측면 일측에 설치되어, 초음파의 특성을 이용하거나 초음파를 발생시켜 버스 출입문을 지나가는 승객의 움직임 등을 검출하여 마이컴부로 승객의 승차신호를 보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차용 초음파 센서는 하차문 측면 일측에 설치되어, 초음파의 특성을 이용하거나 초음파를 발생시켜 버스 하차문을 지나가는 승객의 움직임 등을 검출하여 마이컴부로 승객의 하차신호를 보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마이컴부(130)는 제2 센서부로부터 전송된 승객의 승차 및 하차여부를 체크하고, 현재 버스 잔여석 수를 자동으로 계수하여 연산한 후, 디스플레이부에 현재 버스 잔여석 수를 표출시키도록 제어하고, GPS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현재 버스 위치를 파악하도록 제어하는 곳으로, 이는 PIC16C711 원칩마이컴으로 구성된다.
이는 입력단자 일측에 제1 센서부(110)와 연결되어, 버스 출입문 및 하차문 열림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단자 타측에 제2 센서부(120)와 연결되어, 승객의 승차신호 및 하차신호를 입력받으며, 입력단자 타측에 키패드 조작기(150)와 연결되어, 키패드를 통해 수정한 데이터를 입력받고, 입력단자 타측에 GPS 모듈과 연결되어 GPS망을 통해 현재 버스 위치 데이터를 입력받으며, 출력단자 일측에 디스플레이부와 연결되어, 연산한 현재 버스 잔여석 수를 표출시키거나 또는 키패드 조작기 입력신호 감지시, 연산을 멈춘 후 디스플레이부에 인터럽트 신호를 보내어 키패드를 통해 수정한 데이터를 바로 표출시키고, 출력단자 타측에 RF 전송부가 연결되어, 노변 비컨(Beacon)부로 버스 잔여석 정보와 버스 위치를 전송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40)는 버스 외부면과 내부면에 각각 설치되어, 마이컴부의 제어하에 현재 버스 잔여석 수를 표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세븐세그먼트, LCD 모니터, LED 모니터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구성된다.
상기 키패드 조작기(150)는 디스플레이부 일측에 연결되어, 제1 센서부 및 제2 센서부의 오작동으로 인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현재 버스 잔여석 수와 실제 잔여석 수가 차이가 있을 때, 키패드를 통해 수정하여 표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사각 박스 형상의 키패드로 구성된다.
상기 RF 전송부(160)는 노변 비컨(Beacon)부로부터 비컨 ID신호가 입력되면, 마이컴부의 제어하에 노변 비컨(Beacon)부로 버스 잔여석 정보와 버스 위치를 전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노변 비컨(Beacon)부(2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노변 비컨(Beacon)부(200)는 노변에 10m~50m 간격으로 설치되어 차량 위치를 확인한 후, 유선으로 BIS 서버로 버스 잔여석 정보와 버스 위치를 전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노변 비컨(Beacon)부(200)는 RF 자가망으로서, 통신 주파수가 220Mhz이고, 통신영역이 도심지역에서는 반경 300m이며, 교외지역에서는 반경 500m이고, 전 송속도가 4800bps(반이중방식)의 특성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노변 비컨(Beacon)부(200)는 버스(차량)의 위치를 추적하고자 하는 도로상의 노변에 복수개로 설치되는 것으로, RF 신호를 통해 이웃하는 노변 비컨들과 단거리 무선통신을 하고, 버스에 비컨 ID신호를 보내어, 버스 잔여석 정보와 버스 위치를 전송받아, 이를 다시 BIS 서버로 전송시키도록 버스 및 BIS 서버와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하며, 도로의 기하구조나 기상상태에 따른 외압의 영향이 적어 정확한 발신신호를 보낼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즉, 교차로 등 노드에 해당하는 지점에 노변 비컨부를 설치하고, 비컨 ID 신호를 버스의 제1 RF 표출제어모듈(100)쪽을 발신하여 비컨을 통과하는 버스를 수신하고, 버스는 인식된 비컨 ID 신호를 입력받아 RF 무선통신으로 노변 비컨부로 버스 잔여석 정보와 버스 위치를 전송하고, 이때 노변 비컨부는 전송받은 버스 잔여석 정보와 버스 위치를 BIS 서버로 다시 전송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노변 비컨(Beacon)부(200)는 위치 비콘부(210)와, 통신 비콘부(220)로 구성된다.
상기 위치 비콘부(210)는 제1 RF 표출제어모듈(100)의 RF 전송부(160)와 연결되어, 비컨 ID 신호를 버스의 제1 RF 표출제어모듈(100)쪽으로 발신하여 버스 위치정보(GPS Data)와 버스 잔여석 정보를 전달받고, 통신 비콘에 버스 위치정보(GPS Data)와 버스 잔여석 정보를 송신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통신 비콘부(220)는 위치 비콘부와 250m 이내에 설치되어, 위치 비콘부로부터 수신된 버스 위치정보(GPS Data)와 버스 잔여석 정보를 BIS 서버로 전송시키고, BIS 서버로부터 설정된 정거장 모니터 ID에 따른 버스 위치정보(GPS Data)와 버스 잔여석 정보를 수신받아 설정된 정거장 모니터의 제2 RF 표출제어모듈로 전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비콘부(220)는 위치 비콘부와 통신할 때는 RF 자가망을 통해 통신하고, BIS 서버와 통신할 때는 전용유선망을 통해 통신을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BIS 서버(3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BIS 서버(300)는 정거장 모니터를 ID별로 설정한 후, 버스 위치정보(GPS Data)와 버스 잔여석 정보가 전달될 정거장 모니터의 제2 RF 표출제어모듈를 설정한 후, 설정된 정거장 모니터의 제2 RF 표출제어모듈로 노변 비컨(Beacon)부로부터 수신받은 현재 버스 위치정보(GPS Data)와 버스 잔여석 정보를 전송시키는 곳으로, 이는 BIS 관제센터내에 서버 컴퓨터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BIS 서버는 버스로부터 현재 버스 위치정보(Gps data)를 수신받아, DGPS 기준국을 이용한 위치정보를 보정하고, 수신된 버스 위치정보를 해석하며, 연산된 현재 버스 위치정보(GPS Data)와 버스 잔여석 정보를 제2 RF 표출제어모듈(400)에 송신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BIS 서버는 제2 RF 표출제어모듈로 현재 버스 위치정보(GPS Data)와 버스 잔여석 정보를 전송시, 통신 비콘부(220)를 통해 전송시킨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2 RF 표출제어모듈(4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제2 RF 표출제어모듈(400)은 정거장 모니터에 설치되어, BIS 서버의 제어에 의해 전송된 버스 잔여석 정보와 버스 위치를 표출시키는 곳으로, 이는 RF 수신부, LED부, 모니터부로 구성된다.
상기 RF 수신부는 BIS 서버로부터 설정된 정거장 모니터 ID에 따른 버스 위치정보(GPS Data)와 버스 잔여석 정보를 통신비컨부를 통해 수신받는 곳이다.
상기 LED부는 노선별로 버스 잔여석 정보와 버스 위치를 지속적으로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모니터부는 버스 도착정보, 버스노선안내, 행선지안내, 실시간 뉴스, 광고를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정거장·버스 모니터상에 버스 잔여석 표시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먼저, 제1 센서부와 제2 센서부를 통해 승객의 승·하차여부를 체크한다.
이어서, 마이컴부를 통해 현재 버스 잔여석 수를 측정하고, 현재 버스 위치를 측정한다.
이어서, 마이컴부의 제어하에 RF 전송부(160)에 노변 비컨(Beacon)부로부터 비컨 ID신호가 입력되면, 노변 비컨(Beacon)부로 버스 잔여석 정보와 버스 위치를 전송시킨다.
이어서, 노변 비컨부의 통신 비컨부를 통해 버스 잔여석 정보와 버스 위치를 BIS 서버로 전송시킨다.
이어서, BIS 서버에서 정거장 모니터를 ID별로 설정한다.
이어서, BIS 서버에서 현재 버스 위치정보(Gps data)를 수신받아, DGPS 기준국을 이용한 위치정보를 보정한다.
이어서, 연산된 현재 버스 위치정보(GPS Data)와 버스 잔여석 정보를 제2 RF 표출제어모듈(400)에 송신시킨다.
이어서, 제2 RF 표출제어모듈(400)에서 버스 잔여석 정보와 버스 위치를 표출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거장 모니터상에 버스 잔여석 표시장치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거장 모니터상에 버스 잔여석 표시장치 중 제1 RF 표출제어모듈(100)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노변 비컨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거장 모니터상에 버스 잔여석 표시장치를 통한 버스의 디스플레이부 및 정거장 모니터에 버스 잔여석 수와 버스 위치를 표출하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정거장 모니터상에 버스 잔여석 표시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 도면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0 : 제1 RF 표출제어모듈 110 : 제1 센서부
120 : 제2 센서부 130 : 마이컴부
140 : 디스플레이부 150 : 키패드 조작기
300 : BIS 서버 400 : 제2 RF 표출제어모듈

Claims (5)

  1. 버스 잔여석 정보를 버스 모니터 및 정거장 모니터상에 표출시키는 버스 잔여석 표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버스 잔여석 표출장치는 버스에 설치되고, 승객이 승하차시 센서에 의해 자동으로 계수하여 버스 외부면과 내부면에 잔여석을 표출시키고, GPS망과 연결되어 현재 버스 위치를 측정하는 제1 RF 표출제어모듈(100)와,
    노변에 10m~50m 간격으로 설치되어 차량 위치를 확인한 후, 유선으로 BIS 서버로 버스 잔여석 정보와 버스 위치를 전송시키는 노변 비컨(Beacon)부(200)와,
    정거장 모니터를 ID별로 설정하고, 버스 위치정보(GPS Data)와 버스 잔여석 정보가 전달될 정거장 모니터의 제2 RF 표출제어모듈를 설정한 후, 설정된 정거장 모니터의 제2 RF 표출제어모듈로 노변 비컨(Beacon)부로부터 수신받은 현재 버스 위치정보(GPS Data)와 버스 잔여석 정보를 전송시키는 BIS 서버(300)와,
    정거장 모니터에 설치되어, BIS 서버의 제어에 의해 전송된 버스 잔여석 정보와 버스 위치를 표출시키는 제2 RF 표출제어모듈(4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거장·버스 모니터상에 버스 잔여석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1 RF 표출제어모듈(100)는 버스 출입문 및 하차문이 열려서 접촉되는 부위에 각각 부착되어, 문이 열려있을 때만 승·하차 감지센서부가 구동되도록 버스 출입문 및 하차문 열림상태를 측정하는 제1 센서부(110)와,
    대기상태에 있다가 제1 센서부로부터 웨이크업 신호를 전달받아 구동되어, 승객의 승차와 하차여부를 측정하는 제2 센서부(120)와,
    제2 센서부로부터 전송된 승객의 승차 및 하차여부를 체크하고, 현재 버스 잔여석 수를 자동으로 계수하여 연산한 후, 디스플레이부에 현재 버스 잔여석 수를 표출시키도록 제어하고, GPS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현재 버스 위치를 파악하도록 제어하며, RF 전송부를 통해 노변 비컨부로 버스 잔여석 정보와 버스 위치를 전송시키도록 제어하는 마이컴부(130)와,
    버스 외부면과 내부면에 각각 설치되어, 마이컴부의 제어하에 현재 버스 잔여석 수를 표출시키는 디스플레이부(140)와,
    디스플레이부 일측에 연결되어, 제1 센서부 및 제2 센서부의 오작동으로 인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현재 버스 잔여석 수와 실제 잔여석 수가 차이가 있을 때, 키패드를 통해 수정하여 표출시키는 키패드 조작기(150)와,
    노변 비컨(Beacon)부로부터 비컨 ID신호가 입력되면, 마이컴부의 제어하에 노변 비컨(Beacon)부로 버스 잔여석 정보와 버스 위치를 전송시키는 RF 전송부(16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거장·버스 모니터상에 버스 잔여석 표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마이컴부는 입력단자 일측에 제1 센서부(110)와 연결되어, 버스 출입문 및 하차문 열림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단자 타측에 제2 센서부(120)와 연결되어, 승객의 승차신호 및 하차신호를 입력받으며, 입력단자 타측에 키패드 조작기(150)와 연결되어, 키패드를 통해 수정한 데이터를 입력받고, 입력단자 타측에 GPS 모듈과 연결되어 GPS망을 통해 현재 버스 위치 데이터를 입력받으며, 출력단자 일측에 디스플레이부와 연결되어, 연산한 현재 버스 잔여석 수를 표출시키거나 또는 키패드 조작기 입력신호 감지시, 연산을 멈춘 후 디스플레이부에 인터럽트 신호를 보내어 키패드를 통해 수정한 데이터를 바로 표출시키고, 출력단자 타측에 RF 전송부가 연결되어, 노변 비컨(Beacon)부로 버스 잔여석 정보와 버스 위치를 전송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거장·버스 모니터상에 버스 잔여석 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노변 비컨(Beacon)부(200)는
    제1 RF 표출제어모듈(100)의 RF 전송부(160)와 연결되어, 비컨 ID 신호를 버스의 제1 RF 표출제어모듈(100)쪽을 발신하고, 버스 위치정보(GPS Data)와 버스 잔여석 정보를 전달받아 통신 비콘에 버스 위치정보(GPS Data)와 버스 잔여석 정보를 송신시키는 위치 비콘부(210)와,
    위치 비콘부와 250m 이내에 설치되어, 위치 비콘부로부터 수신된 버스 위치정보(GPS Data)와 버스 잔여석 정보를 BIS 서버로 전송시키는 통신 비콘부(2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거장·버스 모니터상에 버스 잔여석 표시장치.
  5. 제1 센서부와 제2 센서부를 통해 승객의 승·하차여부를 체크하는 단계(S100)와,
    마이컴부를 통해 현재 버스 잔여석 수를 측정하고, 현재 버스 위치를 측정하는 단계(S200)와,
    마이컴부의 제어하에 RF 전송부(160)에 노변 비컨(Beacon)부로부터 비컨 ID신호가 입력되면, 노변 비컨(Beacon)부로 버스 잔여석 정보와 버스 위치를 전송시키는 단계(S300)와,
    노변 비컨부의 통신 비컨부를 통해 버스 잔여석 정보와 버스 위치를 BIS 서버로 전송시키는 단계(S400)와,
    BIS 서버에서 정거장 모니터를 ID별로 설정하는 단계(S500)와,
    BIS 서버에서 현재 버스 위치정보(Gps data)를 수신받아, DGPS 기준국을 이용한 위치정보를 보정하는 단계(S600)와,
    연산된 현재 버스 위치정보(GPS Data)와 버스 잔여석 정보를 제2 RF 표출제어모듈(400)에 송신시키는 단계(S700)와,
    제2 RF 표출제어모듈(400)에서 버스 잔여석 정보와 버스 위치를 표출시키는 단계(S8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거장·버스 모니터상에 버스 잔여 석 표시방법.
KR1020090081555A 2009-08-31 2009-08-31 정거장·버스 모니터상에 버스 잔여석 표시장치 및 방법 KR201100235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1555A KR20110023584A (ko) 2009-08-31 2009-08-31 정거장·버스 모니터상에 버스 잔여석 표시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1555A KR20110023584A (ko) 2009-08-31 2009-08-31 정거장·버스 모니터상에 버스 잔여석 표시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3584A true KR20110023584A (ko) 2011-03-08

Family

ID=43931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1555A KR20110023584A (ko) 2009-08-31 2009-08-31 정거장·버스 모니터상에 버스 잔여석 표시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2358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75534A1 (ko) * 2013-04-25 2014-10-3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승하차 관리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CN104715602A (zh) * 2015-03-09 2015-06-17 北京壹卡行科技有限公司 公交电子站牌系统与方法
KR101582046B1 (ko) * 2014-08-27 2015-12-31 최진 버스용 입석방지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75534A1 (ko) * 2013-04-25 2014-10-3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승하차 관리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101582046B1 (ko) * 2014-08-27 2015-12-31 최진 버스용 입석방지시스템
CN104715602A (zh) * 2015-03-09 2015-06-17 北京壹卡行科技有限公司 公交电子站牌系统与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36102B2 (en) Vehicle information system for a loop intersection
JP5795078B2 (ja) 車両側システム
CN103680209B (zh) 交通信息系统和路况采集发布、防追尾、事故判断方法
KR101246370B1 (ko) 버스 정류장의 정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110010228A1 (en) Road-vehicle communication system
KR100806721B1 (ko) 차량용 주변 차량 정보 제공 시스템
KR101147447B1 (ko) 도로공사 교통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510404B1 (ko) 버스 정보 안내 장치
CN101652802A (zh) 安全驾驶支持装置
US7701361B2 (en) Parking information sensing device and providing method thereof
CN103164988A (zh) 交通信息通知系统、程序及方法
US20070027572A1 (en) Vehicle-mounted information indication device and vehicle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KR100756187B1 (ko) 열차 정위치 정차 자동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200068776A (ko) 자율주행 및 커넥티드 자동차용 통신 서비스 제공방법
KR100505745B1 (ko) 열차접근 검출 및 경보 장치
KR100800824B1 (ko) 보행자 안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23584A (ko) 정거장·버스 모니터상에 버스 잔여석 표시장치 및 방법
CN102708704A (zh) 一种交互行人便携警示装置
KR200435599Y1 (ko) 열차 정위치 정차 자동 제어 시스템
KR20010105011A (ko) 버스 노선 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68017B1 (ko) 버스정차 안내 시스템
CN101441086A (zh) 导航辅助方法及应用该方法的电子导航系统及装置
US9131349B2 (en) Apparatus for transmitting location based messages from vehicles to stationary infrastructure
JP3896485B2 (ja) 走行支援システムサービスにおける位置情報の提供方法及び装置
KR20200123567A (ko) 긴급차량용 우선신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