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3408A - 온도소자를 가진 압력센서 및 그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온도소자를 가진 압력센서 및 그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3408A
KR20110023408A KR1020090081272A KR20090081272A KR20110023408A KR 20110023408 A KR20110023408 A KR 20110023408A KR 1020090081272 A KR1020090081272 A KR 1020090081272A KR 20090081272 A KR20090081272 A KR 20090081272A KR 20110023408 A KR20110023408 A KR 201100234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housing
pressure sensor
chamber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1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1945B1 (ko
Inventor
김규준
서호철
김태완
조용준
Original Assignee
세종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종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종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1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1945B1/ko
Publication of KR20110023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34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1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19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7/00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력센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압력 뿐만 아니라 온도의 센싱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온도소자를 가진 압력센서 및 그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온도소자를 가진 압력센서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에는 회로기판 및 압력소자가 설치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 구비되고, 그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며, 그 내부 중심부에 유체가 유입되는 압력도입구를 가진 장착부; 및 상기 하우징의 타단에 구비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부의 압력도입구는 그 일단에 외측으로 개방된 개구를 가지고, 그 타단은 상기 하우징의 중공부와 소통하며, 상기 압력소자는 상기 회로기판의 이면에 설치되고, 상기 회로기판의 압력소자와 인접하는 부분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중공부 내에는 온도소자가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우징, 압력소자, 온도소자, 관통공, 중공부

Description

온도소자를 가진 압력센서 및 그 설치구조{PRESSURE SENSOR WITH TEMPERATURE-SENSING ELEMENT AND MOUNTING STRUCTURE OF THE SAME}
본 발명은 압력센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압력 뿐만 아니라 온도의 센싱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온도소자를 가진 압력센서 및 그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널리 주지된 바와 같이, 압력센서는 각종 압력을 측정하는 데 이용되는 측정기구의 일종이다.
압력센서는 자동차, 화학설비, 반도체 제조설비 등에서, 유체가 통과하는 유로 또는 밸브측에 설치되어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는 데 주로 많이 이용되며, 예컨대 자동차의 매니폴드 압력, 엔진 유압, 연료전지 차량의 수소가스 또는 공기의 압력, 소음기 내의 배기가스 압력, 그외 기타 일반 산업용 압력계 등에 저압에서 고압에 이르기까지 넓은 압력 범위를 고정밀도로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
이러한 압력센서는 유체가 유입되는 압력도입구 및 압력도입구에 근접하여 설치된 압력소자로 구성되고, 압력소자는 반도체칩 또는 스트레인게이지 등과 같이 다양한 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온도센서는 유체가 통과하는 유로 상에 설치되고, 유체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소자를 포함한다.
한편, 종래에는 압력센서는 유체의 압력만을 센싱하는 압력센서, 유체의 온도만을 센싱하는 온도센서가 개별적으로 구성됨에 따라 온도 및 압력을 센싱하기 위한 모듈 설계시에 불필요한 공간을 차지하고, 또한 제조원가의 상승을 초래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온도 및 압력 센싱을 단일의 모듈 내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됨에 따라 모듈 제작시의 공간 낭비를 줄일 뿐만 아니라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온도소자를 가진 압력센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소자의 온도측정 시에 그 응답속도를 신속하게 할 수 있는 온도소자를 가진 압력센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압력센서 내에 수분성분의 잔류에 의한 동결을 방지함으로써 온도 및 압력의 정밀하고 안정적인 측정작동을 구현할 수 있는 온도소자를 가진 압력센서의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압력센서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에는 회로기판 및 압력소자가 설치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 구비되고, 그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며, 그 내부 중심부에 유체가 유입되는 압력도입구를 가진 장착부; 및
상기 하우징의 타단에 구비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부의 압력도입구는 그 일단에 외측으로 개방된 개구를 가지고, 그 타단은 상기 하우징의 중공부와 소통하며,
상기 압력소자는 상기 회로기판의 이면에 설치되고, 상기 회로기판의 압력소자와 인접하는 부분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중공부 내에는 온도소자가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력도입구의 개구에는 반투과성막이 구비되고, 상기 반투과성막은 마감캡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평탄면이 원주방향으로 연결되어 형성되며, 상기 장착부의 단부에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압력도입구는 상기 돌출부의 단부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압력센서를 챔버의 외측에 설치하는 구조로서,
챔버는 그 내부에 유체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가지고, 상기 챔버는 그 일측에는 장착탭이 고정되며, 상기 장착탭의 내경에는 상기 압력센서의 장착부가 나사결합되고, 상기 압력도입구의 개구가 상기 장착탭의 내경에서 돌출하도록 상기 돌출부가 연장되고, 이에 상기 압력도입구의 개구가 상기 챔버의 수용공간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온도 및 압력 센싱을 단일의 모듈 내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됨에 따라 모듈 제작시의 공간 낭비를 줄일 뿐만 아니라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 내에서 온도소자가 유체와 직접 접촉하는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온도소자의 응답속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압력센싱의 정밀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특히 외부 온도 조건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증기 또는 물 등과 같은 습기 성분이 압력도입구 내로 유입됨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압력도입구 내외의 습도평형화를 유지할 수 있고, 이에 외부 온도조건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음으로써 동절기에도 압력 센싱을 안정적이고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압력센서가 챔버의 장착탭에 설치되는 구조에서, 돌출부에 의해 압력도입구가 챔버 내로 돌출됨에 따라 수분성분이 압력도입구 상에 잔류함을 방지하여 동절기에 수분성분의 동결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압력센서의 정밀하고 안정적인 측정작동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소자를 가진 압력센서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압력센서는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 의 일단에 구비된 장착부(21), 상기 하우징(10)의 타단에 구비된 커넥터(30)를 포함한다.
하우징(10)은 그 내부에 중공부(11)가 형성되고, 이 중공부(11) 내에는 회로기판(12) 및 압력소자(13)가 설치되어 있다.
압력소자(13)는 회로기판(12)의 이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설치되고, 회로기판(12)의 압력소자(13)에 인접한 부분에는 관통공(12a)이 형성되며, 이에 압력소자(13)는 관통공(12a)을 통해 유체와 직접적으로 접촉함으로써 신속한 응답속도 및 정밀한 압력센싱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은 그 내경면 또는 외경면에 차폐층(27)이 배치될 수 있고(도 2에서는 내경면에 배치된 것으로 예시함), 이 차폐층(27)에 의해 내/외부에서 발생하는 전자기파를 차단함으로써 압력소자(13)에 의한 보다 정밀한 압력센싱을 구현할 수 있다.
하우징(10)은 그 외주면에 복수의 평탄면(10a)이 원주방향으로 연결됨으로써 육각기둥, 오각기둥 등과 같은 다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하우징(10)은 육각볼드 또는 오각 볼트 등과 같은 체결용 볼트의 헤드와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하우징(10)의 평탄면(10a)에 스패너, 렌치 등을 끼워 회전시킴으로써 하우징(10)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
하우징(10)의 일측에는 장착부(21)가 연장되고, 이 장착부(21)는 그 외주면에 나사부(21a)가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부(21a)가 유로 또는 챔버(50)에 나사결합되고, 나사부(21a)의 일측에는 오링 등과 같은 밀봉부재(21b)가 구비되며, 이 밀봉부재(21b)에 의해 장착부(21)는 유로 또는 챔버(50) 측에 밀봉적으로 결합된다.
장착부(21)의 중심부에는 유체가 도입되는 압력도입구(25)가 형성되고, 이 압력도입구(25)의 일단에는 외측으로 개방된 개구(25a)가 형성되며, 압력도입구(25)의 타단은 하우징(10)의 중공부(11)와 소통하도록 구성된다. 압력도입구(25)를 통해 유체가 중공부(11) 내로 도입되고, 관통공(12a)을 통해 압력소자(13)는 유체와 직접적으로 접촉함으로써 유체의 압력을 매우 정밀하게 센싱할 수 있다.
한편, 압력도입구(25)는 중공부(11) 보다 그 단면적이 좁게 형성되고, 하우징(10)의 중공부(11) 내에는 온도소자(16)가 노출되도록 배치되며, 이 온도소자(16)는 리드선(16a)을 통해 회로기판(1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온도소자(16)가 중공부(11) 내에 노출되게 설치됨에 따라 압력도입구(25)를 통해 도입된 유체와 직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고, 이에 온도 센싱의 응답속도를 신속하게 할 뿐만 아니라 보다 정밀한 온도센싱을 구현할 수 있다.
하우징(10)은 스테인레스, 알루미늄 등과 같은 한 재질, 스테인레스, 알루미늄 등과 같이, 열전도성이 우수하고, 고온/고압에 대한 안정성이 우수하며, 수소가스 등이 접촉할 경우 그 화학작용에 의한 취성이 발생하지 않도록 내화학성이 뛰어나고, 압력 또는 온도에 의한 변형 후에 그 복원성이 뛰어난 금속재질로 구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커넥터(30)는 하우징(10)의 타단에 결합되고, 커넥터(30)는 하우징(10)의 회로기판(12)에 단자핀(17)을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커넥터(30)에는 플러그(미 도시)가 접속되고, 커넥터(30)의 외주면에는 결합후크(33)가 형성되며, 커넥터(30)의 결합후크(33)에는 플러그(미도시)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압력도입구(25)의 개구(25a)에는 반투과성막(28)이 설치된다. 이 반투과성막(28)은 테프론 등과 같이 5㎛이하의 미세기공을 가진 재질로 구성된다. 이 반투과성막(28)에 의해 물이나 수증기, 기타 고형 이물질 등이 압력도입구(25) 내로 유입됨이 차단되고, 수소기체 또는 공기 등과 같은 기체 상태의 유체는 반투과성막(28)을 통과하여 압력도입구(25) 내로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반투과성막(28)에 의해 수증기 또는 물 등과 같은 습기 성분이 압력도입구(25) 내로 유입됨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반투과성막(28)의 삼투압원리에 의해 압력도입구(25) 내외의 습도평형화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외부 온도조건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음으로써 동절기에도 압력 및 온도 센싱을 보다 안정적이고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장착부(21)의 단부에는 돌출부(22)가 형성되고, 압력도입구(25)는 돌출부(22)의 단부까지 연장된다. 돌출부(22)의 외주면에는 나사부(22a)가 형성되고, 나사부(22a)에는 마감캡(29)이 나사결합되며, 마감캡(29)의 내경면과 돌출부(22)의 나사부(22a) 사이에는 반투과성막(28)의 가장자리가 끼워짐에 따라 반투과성막(28)은 압력도입구(25)의 개구(25a)측을 커버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반투과성막(28)은 그 가장자리가 마감캡(29) 및 돌출부(22)의 나사결합되는 부분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고, 또한 반투과성막(28)이 돌출부(22)의 단부에 기밀하게 밀착됨으로써 반투과성막(28)의 주변에 습 도성분이 잔류할만한 공간을 주지 않아 빙결 내지 동결의 가능성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센서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압력센서가 챔버 측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러한 챔버는 유로 상에 설치되고, 챔버의 내부에는 일시 저장되거나 통과하는 유체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이렇게 유체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가진 챔버측에 압력센서를 설치함으로써 유체의 압력을 매우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다.
도 3의 챔버는 연료전지 차량의 수소공급용 챔버(50)를 예시하고 있으며, 연료전지 차량은 연료와 공기의 화학적 반응을 통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켜 그 전기에너지로 차량을 구동하는 차량으로, 이러한 연료전지 차량의 연료로는 수소가 이용되고 있다.
한편, 연료전지 차량의 연료전지시스템은,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연료전지 스택(stack), 연료전지 스택 내로 수소를 공급하는 수소공급계(FPS; Fuel Process System), 연료전지 스택 내로 산화제인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공급계(APS; Air Process System), 연료전지 스택의 반응열을 시스템 외부로 제거하고 연료전지 스택의 운전온도를 제어하는 열 및 물관리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수소공급계(FPS)는 수소재순환모듈, 수소공급라인 및 재순환라인, 저압레귤레이터, 수소탱크, 수소공급용 매니폴드 등을 구비한다.
이러한 연료전지 차량의 수소공급계를 통해 공급되는 수소가스는 그 압력 상태가 정밀하게 감지되어야 하고, 이를 통해 연료전지 차량의 안정적인 전력생산을 구현할 수 있다.
도 3의 수소공급용 챔버(50)는 수소공급계(FPS)의 수소공급라인과 재순환라인 상에 설치되고, 수소공급용 챔버(50)의 내부에는 수소가스가 수용되는 수용공간(51)이 형성된다. 그리고, 수소공급용 챔버(50)의 외측벽에는 하나 이상의 인렛피팅, 아웃렛피팅, 재순환용 피팅 등이 설치되어 있다.
수소공급용 챔버(50)의 일측 벽면에는 장착탭(55)이 고정되고, 이 장착탭(55)은 그 내경면에 암나사부(55a)가 형성되며, 이 암나사부(55a)에는 장착부(21)의 제1나사부(21a)가 나사결합됨으로써 본 발명의 압력센서가 장착탭(55)에 장착되고, 압력센서(100)는 챔버(50) 내의 수소가스 압력을 고정밀도로 측정하는 데 이용된다. 특히, 장착탭(55)이 챔버(50)의 벽면에 용접 등을 통해 고정됨에 따라 챔버(50)는 벽면의 두께를 감소시켜 수용공간(51)의 체적을 상대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연료전지 차량의 수소공급계를 통해 공급되는 수소가스에는 용이한 화학반응을 위하여 수분에 의해 일정한 가습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압력센서(100)의 돌출부(22)가 충분히 돌출되지 않을 경우에는 압력도입구(25)의 개구(25a)는 장착탭(55)의 내경에 위치하게 되고, 이렇게 압력도입구(25)의 개구(25a)가 장착탭(55)의 내경에 위치할 경우 가습상태에서 수증기 또는 물과 같은 수분성분이 압력도입구(25)의 개구(25a)와 장착탭(55)의 내경 사이에 잔류하고, 이 렇게 잔류한 수분성분은 동절기에 빙결되어 압력도입구(25) 및 장착탭(55)의 내부를 막아 센서의 파손 및 오동작 등을 초래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압력센서의 설치구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도입구(25)의 개구(25a)가 장착탭(55)의 내경에서 돌출하도록 돌출부(22)가 연장되고, 이에 압력도입구(25)의 개구(25a)가 챔버(50)의 수용공간(51)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돌출부(22)는 장착부(21) 보다 길거나 동일한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한 압력센서의 설치구조는, 압력도입구(25)의 개구(25a)와 장착탭(55)의 내경 사이에 수분성분이 잔류할 만한 공간을 주지않음으로써 수분성분의 잔류를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동절기에 수분성분의 빙결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압력센서(100)는 챔버(50)의 장착탭(55)에 설치되고, 압력센서(100)의 돌출부(22)에 의해 압력도입구(25)가 챔버(50)의 수용공간(51) 내로 돌출됨에 따라 수분성분이 압력도입구(25) 및 장착탭(55) 상에 잔류함을 방지하여 동절기에 수분성분의 동결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압력 및 온도의 정밀하고 안정적인 측정작동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센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센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압력센서가 챔버측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 하우징 11: 중공부
13: 압력소자 16: 온도소자
21: 장착부 30: 커넥터
50: 챔버 55: 장착탭

Claims (4)

  1.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에는 회로기판 및 압력소자가 설치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 구비되고, 그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며, 그 내부 중심부에 유체가 유입되는 압력도입구를 가진 장착부; 및
    상기 하우징의 타단에 구비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부의 압력도입구는 그 일단에 외측으로 개방된 개구를 가지고, 그 타단은 상기 하우징의 중공부와 소통하며,
    상기 압력소자는 상기 회로기판의 이면에 설치되고, 상기 회로기판의 압력소자와 인접하는 부분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중공부 내에는 온도소자가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소자를 가진 압력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도입구의 개구에는 반투과성막이 설치되고, 상기 반투과성막은 마감캡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소자를 가진 압력센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평탄면이 원주방향으로 연결되어 형성되 며, 상기 장착부의 단부에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압력도입구는 상기 돌출부의 단부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소자를 가진 압력센서.
  4. 제3항에 의한 압력센서를 챔버의 외측에 설치하는 구조로서,
    상기 챔버는 그 내부에 유체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가지고, 상기 챔버는 그 일측에는 장착탭이 고정되며, 상기 장착탭의 내경에는 상기 압력센서의 장착부가 나사결합되고,
    상기 압력도입구의 개구가 상기 장착탭의 내경에서 돌출하도록 상기 돌출부가 연장되고, 이에 상기 압력도입구의 개구가 상기 챔버의 수용공간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센서의 설치구조.
KR1020090081272A 2009-08-31 2009-08-31 온도소자를 가진 압력센서 및 그 설치구조 KR1010819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1272A KR101081945B1 (ko) 2009-08-31 2009-08-31 온도소자를 가진 압력센서 및 그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1272A KR101081945B1 (ko) 2009-08-31 2009-08-31 온도소자를 가진 압력센서 및 그 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3408A true KR20110023408A (ko) 2011-03-08
KR101081945B1 KR101081945B1 (ko) 2011-11-09

Family

ID=43931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1272A KR101081945B1 (ko) 2009-08-31 2009-08-31 온도소자를 가진 압력센서 및 그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194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3711B1 (ko) * 2014-07-30 2016-01-11 세종공업 주식회사 다이어프램식 압력센서
KR102157562B1 (ko) * 2019-05-29 2020-09-18 대양전기공업 주식회사 2단 실링 구조 커플링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3227A (ko) 2015-05-12 2016-11-22 세종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압력센서
KR20180066744A (ko) 2016-12-09 2018-06-19 주식회사 유라테크 온도 및 압력 측정이 가능한 차량용 통합 센서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3711B1 (ko) * 2014-07-30 2016-01-11 세종공업 주식회사 다이어프램식 압력센서
KR102157562B1 (ko) * 2019-05-29 2020-09-18 대양전기공업 주식회사 2단 실링 구조 커플링
WO2020241992A1 (ko) * 2019-05-29 2020-12-03 대양전기공업 주식회사 2단 실링 구조 커플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1945B1 (ko) 2011-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09425B2 (en) Sensor with foamed rubber sealing member mounted to circuit board
KR101081945B1 (ko) 온도소자를 가진 압력센서 및 그 설치구조
US8940421B2 (en) Battery module
JP4897354B2 (ja) ガス検出器
JP2008215609A (ja) クイックコネクタ
CN113471555A (zh) 智能电芯、电池系统以及电动汽车
JP2010538283A (ja) 流体媒体の少なくとも1つの特性を測定する差込みフィーラ
US20110174617A1 (en) Gas sensor
JP2013519075A (ja) ひずみレリーフ及び/又は耐振動スリーブを含む排気ガス温度センサー
US10260921B2 (en) Thermal flow meter
JPH0147737B2 (ko)
WO2019232930A1 (zh) 一种温度-压力一体式传感器
JP4606948B2 (ja) ガスセンサ
JP2009544028A (ja) 圧力検出装置
US8413517B2 (en) Fuel cell system and heated pressure sensor
KR101038056B1 (ko) 온도소자를 가진 압력센서 및 그 설치구조
KR101081946B1 (ko) 반투과성막을 가진 압력센서 및 그 설치구조
CN203100964U (zh) 压力传感装置及具有该装置的压力锅
KR20190059433A (ko) 연료전지 시스템용 압력 센서
JP5166202B2 (ja) ガス検出器
CN115790958A (zh) 一种高空模拟试验用电加热防冰压力探针
US20160290947A1 (en) Gas sensor
US20160223505A1 (en) Gas sens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gas sensor
JP2003294674A (ja) ガスセンサの取付構造
JP4430520B2 (ja) ガスセ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