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3145A - 냉온수기용 온수조 - Google Patents

냉온수기용 온수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3145A
KR20110023145A KR1020090080778A KR20090080778A KR20110023145A KR 20110023145 A KR20110023145 A KR 20110023145A KR 1020090080778 A KR1020090080778 A KR 1020090080778A KR 20090080778 A KR20090080778 A KR 20090080778A KR 20110023145 A KR20110023145 A KR 201100231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water tank
bent
wall
c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0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상필
Original Assignee
최상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상필 filed Critical 최상필
Priority to KR1020090080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23145A/ko
Priority to JP2010185800A priority patent/JP2011064449A/ja
Priority to EP10008744A priority patent/EP2295887A2/en
Priority to US12/862,834 priority patent/US20110049148A1/en
Priority to CN2010102634840A priority patent/CN102001478A/zh
Publication of KR20110023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31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38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the liquid being stored in an intermediate container prior to dispen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05Details for water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eaters to circulation pipes
    • F24H9/13Arrangements for connecting heaters to circulation pipes for water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5Combined cooling and hea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온수기에 사용되는 온수조에 있어서, 일측이 개구된 원통형상으로서 개구부의 끝단에는 확관부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은 밀폐된 형상으로서 밀폐면에는 배수관이 구비된 몸체; 상기 몸체의 확관부 내벽에 삽입되며 상기 내벽과 나란한 골을 형성하는 제1 절곡부와, 상기 제1 절곡부에 연장되며 상기 확관부와 결합하여 커링가공에 의하여 몸체의 외벽을 따라 압착 성형되는 제2 절곡부가 형성된 덮개부; 상기 몸체와 상기 덮개부의 접촉부에 개재되어 상기 몸체와 상기 덮개부를 이중으로 밀봉결합하는 패킹재; 및 상기 몸체의 외주연에 설치되어 온도감지센서가 고정될 수 있는 고정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용 온수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냉온수기용 온수조에 의하면 덮개부와 몸체가 가공과정에서 흔들림없이 견고하게 고정되어 안정적으로 커링가공을 수행할 수 있고, 덮개부와 몸체의 결합 후의 기밀상태가 우수하며, 온수조의 내부 부식으로 인한 음용수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냉온수기용 온수조를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온수조, 제1 절곡부, 제2 절곡부, 몸체, 덮개부, 확관부

Description

냉온수기용 온수조{HOT WATER TANK OF HOT AND COLD WATER DISPENSER}
본 발명은 냉온수기용 온수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온수조의 몸체와 결합하는 덮개부에 탄성력을 가지는 절곡부를 형성함으로써 온수조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밀봉기능을 향상시키고, 온수조 내부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냉온수기용 온수조에 관한 것이다.
냉온수기는 물을 냉각하거나 가열하여 음용에 제공하는 기기로서, 필요한 경우 언제라도 즉시 냉온수를 얻을 수 있는 편리성으로 인하여 최근 그 사용량이 급증하고 있다.
냉온수기 내부에는 냉수조 및 온수조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온수조는 상측에 유입관 및 유출관이 있고, 하부에는 내부의 물을 배수시키는 배수관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온수조의 내부에는 물을 가열하기 위한 코일형상의 가열히터가 설치되며, 외부에는 온수의 적정온도 유지와 온수조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한 온도감지센서가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온수조는 밀폐형상으로서 몸체와 덮개부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와 덮개부는 용접 또는 커링가공에 의하여 밀봉 결합한다.
이때 용접가공은 고온·고압에 따른 용접부의 잔류응력에 의하여 온수조에 균열이 발생하거나 열변형이 발생할 수 있으며, 용접부위가 용접시 가해진 고열에 의해 점차 산화작용이 일어나서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발생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일반적으로 커링가공에 의한 결합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커링가공의 경우 몸체와 덮개부가 단단히 고정된 상태에서 가공공정을 진행하는 것이 아니므로 가공과정에서 덮개부가 움직이거나 어긋나서 잘못 결합되는 경우가 많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온수조의 몸체와 결합하는 덮개부에 탄성력을 가지는 절곡부를 형성함으로써 가공과정에서 덮개부와 몸체가 단단히 고정되고, 가공 후에도 덮개부와 몸체의 기밀상태가 우수하며, 부식 등으로 인한 음용수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냉온수기용 온수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은, 냉온수기에 사용되는 온수조에 있어서, 일측이 개구된 원통형상으로서 개구부의 끝단에는 확관부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은 밀폐된 형상으로서 밀폐면에는 배수관이 구비된 몸체; 상기 몸체의 확관부 내벽에 삽입되며 상기 내벽과 나란한 골을 형성하는 제1 절곡부와, 상기 제1 절곡부에 연장되며 상기 확관부와 결합하여 커링가공에 의하여 몸체의 외벽을 따라 압착 성형되는 제2 절곡부가 형성된 덮개부; 상기 몸체와 상기 덮개부의 접촉부에 개재되어 상기 몸체와 상기 덮개부를 이중으로 밀봉결합하는 패킹재; 및 상기 몸체의 외주연에 설치되어 온도감지센서가 고정될 수 있는 고정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용 온수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절곡부는, 일측벽이 상기 몸체의 내벽을 따라 직각 절곡되고, 타측벽은 상기 제1 절곡부의 바닥으로부터 상승하면서 상기 제1 절곡부의 골의 폭이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절곡되어 있는 것을 포함 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 절곡부는, 상기 확관부와 결합하여 커링가공에 의하여 몸체의 외벽을 따라 원형의 단면을 형성하도록 압착 성형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 절곡부는, 상기 몸체의 외벽을 따라 밀착되도록 성형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냉온수기용 온수조에 의하면 덮개부와 몸체가 가공과정에서 흔들림없이 견고하게 고정되어 안정적으로 커링가공을 수행할 수 있고, 덮개부와 몸체의 결합 후의 기밀상태가 우수하며, 온수조의 내부 부식으로 인한 음용수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냉온수기용 온수조를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하여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온수기용 온수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온수기용 온수조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온수기용 온수조는 일측이 개구된 원통형상의 몸체(100); 상기 몸체(100)의 개구된 부분에 결 합하여 몸체를 밀봉하는 덮개부(200); 상기 몸체(100)와 상기 덮개부(200)의 접촉부에 개재되어 밀봉결합되는 패킹재(300); 및 상기 몸체의 외주연에 구비되어 온도감지센서가 고정되는 고정틀(1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100)는 일측이 개구된 원통형상으로서 개구부의 끝단에는 확관부(140)가 형성되어 있고, 몸체(100)의 타측은 밀폐된 형상으로서 밀폐면의 어느 한 지점에는 배수관(120)이 구비되어 있다.
몸체(100)의 밀폐된 타측과 벽면부는 드로잉가공법에 의하여 일체로서 형성되는데, 이는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하는 경우 결합부에서 누수가 발생하거나 결합부의 부식으로 인하여 식수가 오염될 염려가 있기 때문이다. 밀폐면에 구비된 배수관(120)은 온수조 내부의 물을 배출한다.
확관부(140)는 몸체(100)의 개구부 일측 끝단이 외측으로 절곡되어 확장된 부분으로서, 덮개부(200)의 제2 절곡부(250)가 밀착 결합한다.
덮개부(200)는 원판형상으로 가장자리에는 결합부(280)가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부(280)의 내측에는 물을 가열하는 히트코일(240)과 유입관(260) 및 유출관(270)이 구비되어 있다.
결합부(280)는 덮개부(200)와 몸체(100)가 접촉하는 부분을 따라 원형의 골(220)을 형성하며 절곡되어 있는 제1 절곡부(230)와, 상기 제1 절곡부(230)에 연장되며 확관부(140)와 결합하는 제2 절곡부(250)로 구성된다.
제1 절곡부(230)는 덮개부(200)로부터 하향 함몰된 일정한 폭의 바닥(224)을 가지는 골(220)을 형성하며, 제1 절곡부(230)의 일측벽(222)은 직각 절곡되어 몸체 의 내벽에 억지 끼워맞춤이 되고, 제1 절곡부(230)의 타측벽(223)은 바닥(224)으로부터 상승하면서 폭이 일정하게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절곡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절곡부(230)의 타측벽(223)이 경사지도록 절곡 형성되는 경우 제1 절곡부(230)의 타측벽(223)은 측면으로부터 가해지는 압축력에 대하여 강한 탄성력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절곡부(230)의 일측벽(222)이 몸체(100)의 내벽에 억지 끼워맞춤이 될 경우에 덮개부(200)와 몸체(100)가 견고하게 고정되어 커링가공시 덮개부(200)가 유동하거나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가공 후에도 기밀상태가 우수한 온수조를 생산할 수 있다.
제2 절곡부(250)는 상기 제1 절곡부(230)로부터 연장되며, 제1 절곡부(230)가 몸체(100)의 내벽에 삽입되면서 덮개부(200)와 몸체(100)가 결합하는 경우에 확관부(140)의 상부와 접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확관부(140)의 상부와 접촉된 제2 절곡부(250)는 커링가공에 의하여 몸체(100)의 외벽을 따라 압착 고정되면서 덮개부(200)와 몸체(100)를 견고히 고정한다.
제2 절곡부(250) 및 확관부(140)의 압착은, 먼저 표면이 라운드형으로 함몰된 롤러를 이용하여 제2 절곡부(250)와 확관부(140)를 몸체(100)의 외벽을 따라 원형의 단면을 갖도록 1차 성형한 후에, 평면롤러를 이용하여 몸체(100)의 외벽에 밀착되도록 압축·성형함으로써 형성된다.
이와 같이 커링가공에 의하여 덮개부(200)와 몸체(100)를 성형하면, 온수조 내부의 표면손상이 방지되어 부식의 염려가 현저히 감소할 뿐만 아니라, 외면이 부드럽게 마무리되어 조립작업이나 보수작업시 작업자가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 다.
패킹재(300)은 몸체(100)와 덮개부(200)의 접촉부에 개재되어 밀봉결합되는 것으로서, 덮개부(200)와 몸체(100) 사이의 미세틈을 밀봉하여 온수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패킹재(300)로는 실리콘재가 사용된다. 이 경우 상기 패킹재(300)는 덮개부(200)와 몸체(100)를 고정한 후에 제2 절곡부(250)와 확관부(140) 사이에 실리콘재를 도포하고, 상기 실리콘재가 건조된 후에 커링가공을 함으로써 개재된다.
고정틀(160)은 온도감지센서(미도시)를 고정할 수 있는 다수개의 체결홀이 형성되어 있어서, 온도감지센서가 몸체(100)의 외주연에 착탈가능하도록 한다. 고정틀(160)에 고정된 온도감지센서는 온수조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여 온수의 온도가 일정온도가 유지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온수기용 온수조의 결합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온수기용 온수조의 결합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온수기용 온수조는 제1 절곡부(230)를 몸체(100)의 내벽에 삽입하여 고정한 후 제2 절곡부(250)와 확관부(140)를 몸체(100)의 외벽을 따라 단면이 원형이 되도록 압축·성형한다.
이때 제2 절곡부(250)와 확관부(140) 사이에는 실리콘 패킹재(300)가 개재되며, 패킹재(300)의 개재 방법은 도 2에서 설명한 방법과 동일하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온수기용 온수조는 제1 절곡부(230)를 몸체(100)의 내벽에 삽입하여 고정한 후 제2 절곡부(250)가 확관부(140)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성형 된다.
이때에도, 제1 절곡부(230)와 확관부(140) 사이에는 패킹재가 개재되는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온수기용 온수조는 확관부(140)가 커링가공에 의하여 크게 변형되지 않으므로, O-링 형상의 패킹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커링가공되는 덮개부(200)를 상부로 하고 여기에 히트코일(240), 유입관(260) 및 유출관(270)이 구비되며, 몸체(100)와 일체로 성형되는 타측 바닥을 하부로 하고 여기에 배수관(120)이 구비되는 형상의 온수조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와는 반대로 몸체(100)와 일체로 성형된 타측을 상부로 하여 여기에 히트코일(240), 유입관(260) 및 유출관(270)이 구비되고, 몸체(100)와 커링가공에 의하여 결합되는 덮개부(200)를 하부로 하여 여기에 배수관(120)이 구비되는 형태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온수기용 온수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온수기용 온수조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온수기용 온수조의 결합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온수기용 온수조의 결합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에 대한 설명>
100: 몸체 120:배수관
140: 확관부 200: 덮개부
220: 골 230: 제1 절곡부
250: 제2 절곡부 300: 패킹재

Claims (4)

  1. 냉온수기에 사용되는 온수조에 있어서,
    일측이 개구된 원통형상으로서 개구부의 끝단에는 확관부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은 밀폐된 형상으로서 밀폐면에는 배수관이 구비된 몸체;
    상기 몸체의 확관부 내벽에 삽입되며 상기 내벽과 나란한 골을 형성하는 제1 절곡부와, 상기 제1 절곡부에 연장되며 상기 확관부와 결합하여 커링가공에 의하여 몸체의 외벽을 따라 압착 성형되는 제2 절곡부가 형성된 덮개부;
    상기 몸체와 상기 덮개부의 접촉부에 개재되어 상기 몸체와 상기 덮개부를 이중으로 밀봉결합하는 패킹재; 및
    상기 몸체의 외주연에 설치되어 온도감지센서가 고정될 수 있는 고정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용 온수조 .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곡부는, 일측벽이 상기 몸체의 내벽을 따라 직각 절곡되고, 타측벽은 상기 제1 절곡부의 바닥으로부터 상승하면서 상기 제1 절곡부의 골의 폭이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절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용 온수조.
  3. 제 1 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절곡부는, 상기 확관부와 결합하여 커링가공에 의하여 몸체의 외벽 을 따라 원형의 단면을 형성하도록 압착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용 온수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절곡부는, 상기 몸체의 외벽을 따라 밀착되도록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용 온수조.
KR1020090080778A 2009-08-28 2009-08-28 냉온수기용 온수조 KR20110023145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0778A KR20110023145A (ko) 2009-08-28 2009-08-28 냉온수기용 온수조
JP2010185800A JP2011064449A (ja) 2009-08-28 2010-08-23 気密保持部が備えられた水槽
EP10008744A EP2295887A2 (en) 2009-08-28 2010-08-23 Water tank with sealing element
US12/862,834 US20110049148A1 (en) 2009-08-28 2010-08-25 Water tank with sealing element
CN2010102634840A CN102001478A (zh) 2009-08-28 2010-08-25 带有密封件的水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0778A KR20110023145A (ko) 2009-08-28 2009-08-28 냉온수기용 온수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3145A true KR20110023145A (ko) 2011-03-08

Family

ID=43931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0778A KR20110023145A (ko) 2009-08-28 2009-08-28 냉온수기용 온수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2314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63286B1 (en) Cooking apparatus
US20110049148A1 (en) Water tank with sealing element
EP2110619A2 (en) Separable hot water tank
EA031247B1 (ru) Радиаторный элемент с закрывающей крышкой с загибаемой манжетой и радиатор с указанным элементом
KR102028633B1 (ko) 배관 플랜지 연결용 가스켓과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JP2007010255A5 (ko)
JP2008190546A (ja) ダイヤフラムバルブにおけるダイヤフラムの固定構造
KR20110023145A (ko) 냉온수기용 온수조
KR200409519Y1 (ko) 호스연결구의 캡 고정구조
JP5461885B2 (ja) メタルタッチ式クランプ管継手
KR20070073698A (ko) 냉온수기의 온수조 밀봉방법 및 이러한 밀봉방법에 의해서형성된 온수조
KR101304385B1 (ko) 압력지지보강형 커버패킹 및 그가 구비된 압력조리기
WO2019121692A1 (en) A seal and a tubular heat exchanger using such seal
WO2017204666A1 (en) Tank closing unit
KR101303919B1 (ko) 벨로우즈 조립체.
CN103836797B (zh) 一种双夹层热水器内胆及其组装工艺方法
JP5409914B2 (ja) 傾斜膨張シールを備えた酸洗ラインアセンブリ
KR100776400B1 (ko) 냉온수기의 온수조
KR200446236Y1 (ko) 냉온수기용 온수조
US9719624B2 (en) Line stop disc
CN103791182A (zh) 管体连接结构和灶具
KR101464659B1 (ko) 패킹재가 내장된 누수방지용 이중연통관 체결밴드
KR20150082885A (ko) 열교환기의 수실 실링 구조 및 그 실링 방법
CN103169372A (zh) 电热水壶的密封结构
KR101017363B1 (ko) 소형 전기보일러의 토출구와 호스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