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3698A - 냉온수기의 온수조 밀봉방법 및 이러한 밀봉방법에 의해서형성된 온수조 - Google Patents

냉온수기의 온수조 밀봉방법 및 이러한 밀봉방법에 의해서형성된 온수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3698A
KR20070073698A KR1020070060432A KR20070060432A KR20070073698A KR 20070073698 A KR20070073698 A KR 20070073698A KR 1020070060432 A KR1020070060432 A KR 1020070060432A KR 20070060432 A KR20070060432 A KR 20070060432A KR 20070073698 A KR20070073698 A KR 200700736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hot water
cover
ho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0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연
Original Assignee
이상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연 filed Critical 이상연
Priority to KR1020070060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73698A/ko
Publication of KR20070073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36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38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the liquid being stored in an intermediate container prior to dispen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 F16J15/3268Mounting of sealing rings
    • F16J15/3276Mounting of sealing rings with additional static sealing between the sealing, or its casing or support, and the surface on which it is moun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6Arrangements for water drain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5Combined cooling and heating devices

Abstract

온수조본체와 온수조 상/하부덮개와의 밀봉이 간단한 방법으로 확실한 밀봉이 가능하도록 온수조의 밀봉구조가 개선된 냉온수기의 온수조 방법 및 이러한 밀봉방법에 의해서 형성된 온수조에 관한 것이다. 온수조본체의 상/하단부에 각각 상부덮개와 하부덮개를 밀봉결합시키는 밀봉방법은, 온수조본체(140)를 원통형으로 형성하고 그 상/하단부를 외측으로 직각으로 절곡하여 본체테두리(141)를 형성하며, 온수조본체(140)의 상/하단부 내경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하부덮개(150)(160)의 가장자리로부터 수직하방으로 절곡하여 수직부(161)를 형성하고, 이들 수직부(161)로부터 직각으로 외측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본체테두리(141)와 대향되는 덮개테두리(162)를 형성하며, 상/하부덮개(150)(160)의 수직부(161)와 덮개테두리(162)의 경계부에 면실(200)을 부착시키고, 상/하부덮개(150)(160)를 온수조본체(140)의 상/하단부에 결합시킨 다음, 본체테두리(141)와 덮개테두리(162)를 함께 말아서 밀봉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 밀봉방법 및 온수조는 간편하게 면실을 부착시키고 본체테두리(141)와 덮개테두리(162)를 컬링함으로써, 종래 패킹을 사용하였던 것보다는 밀봉비용을 절감하고 밀봉이 상기 종래기술보다 확실해진다.
온수조, 본체, 킬링, 면실, 밀봉

Description

냉온수기의 온수조 밀봉방법 및 이러한 밀봉방법에 의해서 형성된 온수조{A method for sealing a hot-water tank and the hot-water tank manufactured by it}
도 1 내지 도 5는 종래 기술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 온수조를 나타낸 입체도,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 제1실시예의 밀봉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 제2실시예의 밀봉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살명>
100...온수조 140...온수조본체
150,160...상/하부덮개 200...면실
300...실리콘접착제
본 발명은 냉온수기의 온수조 밀봉방법 및 이러한 밀봉방법에 의해서 형성된 온수조에 관한 것으로써, 상세하게는 온수조본체와 온수조 상/하부덮개와의 밀봉이 간단한 방법으로 확실한 밀봉이 가능하도록 온수조의 밀봉구조가 개선된 냉온수기 의 온수조 방법 및 이러한 밀봉방법에 의해서 형성된 온수조에 관한 것이다.
냉온수기(10)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물을 냉각시키거나 가열하여 음용할 수 있도록 한 기기로서 상측에는 생수가 담겨진 용기(B)가 안착되고, 전방에는 냉수 또는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콕크(20)가 위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냉온수기의 내부에는 물을 가열시키기 위한 온수조(30)가 설치되는 데, 이온수조(3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에 물이 출입되는 유입관(31)과 유출관(32)이 구비되고, 하부에는 물을 온수조(30) 외측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33)이 구비되며, 내부에는 생수 용기(B)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급탕 가열하는 히터(34)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온수조(30)에서 가열된 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35)가 온수조(30)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온수조는 상/하부로 나뉘어서 히터(33), 유입관(31), 유출관(32) 및 배출관(33)을 설치하고, 상/하부를 용접하여 밀봉하게 된다.
따라서 오랜 사용후에는 용접부에서의 산화작용으로 누수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냉온수기의 온수조가 한국특허등록 제10-0334941호에 설명되어 있다. 도 3 및 도 4는 한국특허등록 제10-0334941호에 설명된 도면이다.
이 설명에 의하면, 이 온수조의 본체(40)는 상/하단부가 확관된 테두리(41)(42)가 형성되고, 본체(40)의 상/하단부는 상부덮개(50)와 하부덮개(60)에 의해서 밀봉된다.
상부덮개(50)는 유입관(51)과 출수관(52)이 구비되고, 원주방향에는 본체(40)의 상단부에 형성된 테두리(41)가 수용되는 제1홈(53)이 형성된다.
하부덮개(60)는 히터(61)와 청소시 사용되는 배수관(62)이 구비되고, 원주방향에는 본체(40)의 하단부에 형성된 테두리(42)가 수용되는 제2홈(63)이 형성된다.
이 온수조는 상기 본체(40)의 상/하단부에 형성된 테두리(41)(42)와 상기 제1,2홈(53)(63)의 사이에 패킹(70)이 개재된 상태에서 커링에 의해서 밀봉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제작된 온수조는 다음과 같은 결함을 가지고 있다.
즉, 제1,2홈(53)(63)에 패킹(70)을 개재시키고 본체(40)의 테두리(41)(42)를 패킹(70)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일 지점으로부터 제1,2홈(53)(63)을 변형시키면서 상/하부덮개(50)(60)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순차적으로 폴딩을 하게되는 경우 패킹(70)이 밀리거나 변형되어 완벽한 밀봉을 할 수 없게 된다.
즉, 도 5에서와 같이, 제2홈(63)을 형성하고 있는 하부덮개(60)의 가장자리를 A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폴딩(folding)하게 될때, 탄성고무재질의 패킹(70)이 변형되게 되어 밀리게 되면서 제2홈(63)내에서 균일한 밀봉상태를 기대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하부덮개(50)(60)의 가장자리에 패킹(70)을 넣기 위한 제1,2홈(53)(63)을 형성시킨 상태에서 폴딩을 하게 되는 경우, 실질적으로는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커링(curling)의 의미는 없고 단지 상/하부덮개(50)(60)의 가장자리가 접어져서 패킹(70)을 압박시키는 정도에 불과하게 된다.
따라서 접어진 상/하부덮개(50)(60)의 가장자리와 본체(40)의 테두리(42) 외주면 사이는 단순히 면접촉된 상태이므로, 운반중이나 설치중에 외부 충격등으로 틈새가 발생될 수 있고, 이로인해 상기 커링시 변형된 패킹(70)의 틈새를 통해 누수가 발생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온수조 본체와 상/하부덮개가 간단한 방법으로 밀봉이 확실히 될 수 있는 냉온수기의 온수조 밀봉방법 및 이러한 밀봉방법에 의해서 형성된 온수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은 온수조본체의 상/하단부에 각각 상부덮개와 하부덮개를 밀봉결합시키는 냉온수기의 온수조 밀봉방법에 있어서,
상기 온수조본체를 원통형으로 형성하고 그 상/하단부를 외측으로 직각으로 절곡하여 본체테두리를 형성하며,
상기 온수조본체의 상/하단부 내경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상/하부덮개의 가장자리로부터 수직하방으로 절곡하여 수직부를 형성하고, 이들 수직부로부터 직각으로 외측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본체테두리와 대향되는 덮개테두리를 형성하며,
상기 상/하부덮개의 수직부와 덮개테두리의 경계부에 면실을 부착시키고, 상기 상/하부덮개를 온수조본체의 상/하단부에 결합시킨 다음, 상기 본체테두리와 덮개테두리를 함께 말아서 밀봉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온수조본체와 면대향되는 상기 수직부와 덮개테두리에 실리콘접착제를 바른 다음, 상기 면실을 부착시키는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본체테두리와 덮개테두리를 함께 말아서 밀봉시킨 다음, 그 말아진 부분에 근접하여서 상기 온수조본체 외측면을 가압하여 홈부를 형성시킴으로써 그에 대응된 상기 수직부가 함께 변형되도록 하여 2차 밀봉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 온수조는 위의 어느 하나의 밀봉방법에 의해서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밀봉방법 및 이 밀봉방법에 의해 형성된 온수조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 밀봉방법이 적용되는 온수조는 상기 종래기술에서 설명된 온수조의 일반적인 구성과 같다.
즉, 도 6을 참조하면, 이 온수조(100)는 상부에 물이 출입되는 유입관(131)과 유출관(132)이 구비되고, 하부에는 물을 온수조(100) 외측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133)이 구비되며, 내부에는 생수 용기(B)(도 1참조)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급탕 가열하는 히터(도면에는 표현되지 않음)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온수조(100)에서 가열된 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미표현)가 고정되는 고정구(135)가 온수조(100)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온수조(100)는 온수조본체(14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밀봉결합되는 상부덮개(150)와 하부덮개(160)가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은 온수조본체(140)의 상하단부에 상/하부덮개(150)(160)를 간단한 방법으로 확실한 밀봉이 되도록 한 밀봉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제1실시예>
도 7a 내지 도 7c는 온수조본체(140)의 상하단부에 상/하부덮개(150)(160)를 밀봉시키는 방법을 설명하는 것을 나타낸 것으로써, 상부덮개(150)부분은 하부덮개(160)의 밀봉방법과 동일하므로 상부덮개(150)부분은 생략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온수조본체(140)를 원통형으로 형성하고 그 상/하단부를 외측으로 직각으로 절곡하여 본체테두리(141)를 형성한다.
상기 온수조본체(140)의 상/하단부 내경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상/하부덮개(150)(160)의 가장자리로부터 수직하방으로 절곡하여 수직부(161)를 형성하고, 이들 수직부(161)로부터 직각으로 외측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본체테두리(141)와 대향되는 덮개테두리(162)를 형성한다.
상기 상/하부덮개(150)(160)의 수직부(161)와 덮개테두리(162)의 경계부에 면실(200)을 부착시킨다. 이때 면실(200)에 물을 묻히면 간편하게 하부덮개(160)에 부착시킬 수 있게 된다. 면실(200)은 본체테두리(141)와 덮개테두리(162) 사이의 틈새를 고려할때 직경이 1~2mm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상/하부덮개(150)(160)를 온수조본체(140)의 상/하단부에 결합시킨 다음, 도 7c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테두리(141)와 덮개테두리(162)를 함께 말아서(curling) 밀봉시킨다.
이와 같이 밀봉하는 경우, 본체테두리(141)와 덮개테두리(162)가 함께 밀착되어 말아(curling)지고, 그 사이에 면실(200)이 개재됨으로써 온수조(100)의 밀봉 을 확실히 한다.
이와 같은 밀봉은 종래기술에서 패킹(70)을 사용하였던 것과는 달리, 면실(200)을 사용함으로써 보관을 간편하게 한다. 패킹(70)의 경우 장기간 보관시 경화되어 수명이 단축되지만, 면실(200)의 경우에는 장기간보관이 가능하다.
또한,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상/하부덮개에 패킹(70)을 결합시키기 위한 홈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며, 종래기술에서 덮개를 폴딩(folding)할때 패킹(70)이 변형되는(파도형상과 같이 쭈그러드는)것과는 달리 본 발명 실시예는 본체테두리(141)와 덮개테두리(162)를 함께 말을때 면실(200)이 변형되지도 않게 되어 밀봉을 확실히 한다.
<제2실시예>
도 8a 내지 도 8c는 를 참조하면, 먼저, 상기 온수조본체(140)를 원통형으로 형성하고 그 상/하단부를 외측으로 직각으로 절곡하여 본체테두리(141)를 형성한다.
상기 온수조본체(140)의 상/하단부 내경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상/하부덮개(150)(160)의 가장자리로부터 수직하방으로 절곡하여 수직부(161)를 형성하고, 이들 수직부(161)로부터 직각으로 외측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본체테두리(141)와 대향되는 덮개테두리(162)를 형성한다.
상기 온수조본체(140)와 면대향되는 상기 수직부(161)와 덮개테두리(162)에 도 8a에서와 같이 실리콘접착제(300)를 바른 다음, 상기 면실(200)을 수직부(161)와 덮개테두리(162)의 경계부에 부착시킨다.
면실(200)은 본체테두리(141)와 덮개테두리(162) 사이의 틈새를 고려할때 직경이 1∼2mm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상/하부덮개(150)(160)를 온수조본체(140)의 상/하단부에 결합시킨 다음, 도 8b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테두리(141)와 덮개테두리(162)를 함께 말아서(curling) 밀봉시킨다.
이어서, 도 8c에서와 같이, 말아진 부분에 근접하여서 상기 온수조본체(140)의 외측면을 가압하여 홈부(145)를 형성시킴으로써 그에 대응된 상기 수직부(161)가 함께 변형되도록 하여 2차 밀봉시킨다.
이와 같은 밀봉방법은 본체테두리(141)와 덮개테두리(162) 사이에 실리콘접착제(300)를 바른 다음 면실(200)을 부착시킨 상태에서 함께 말고, 홈부(145)를 형성시킴으로써 밀봉이 확실해진다.
또한, 본체테두리(141)와 덮개테두리(162) 사이에 실리콘접착제(300)를 바름으로써, 컬링(curling)을 할때 밀리거나 하더라도 틈새가 발생되지 않고, 말아지는 본체테두리(141)와 덮개테두리(162)의 전구간에 걸쳐서 실리콘접착제(300)가 발라지므로 밀봉이 확실해진다.
본 발명 냉온수기의 온수조는 상기 제1,2실시예에 의해서 제작되어진 구조로서, 도 7c, 도 8b 또는 도 8c와 같은 구조를 가지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 밀봉방법 및 온수조는 간편하게 면실(200)을 부착시키고 본체테두리(141)와 덮개테두리(162)를 컬링(curling)함으로써, 종래 패킹을 사용하였던 것보다는 밀봉비용을 절감하고 밀봉이 상기 종래기술보다 확실해진다.
또한, 패킹(70)의 장기보관시 경화되어 수명의 단축시간이 짧은 것과는 달리, 본 발명은 면실을 사용함으로써 장기간 보관시에도 패킹보다는 수명이 길고, 보관부피 및 중량면에서도 면실이 환형의 패킹보다는 유리하다.
또한, 본체테두리(141)와 덮개테두리(162) 사이에 실리콘접착제(300)를 바름으로써, 컬링(curling)을 할때 밀리거나 하더라도 틈새가 발생되지 않고, 말아지는 본체테두리(141)와 덮개테두리(162)의 전구간에 걸쳐서 실리콘접착제(300)가 발라져서 밀봉면적이 넓어지므로 밀봉이 확실해진다.
상기 온수조본체(140)의 외측면을 가압하여 홈부(145)를 형성시킴으로써 그에 대응된 상기 수직부(161)가 함께 변형되도록 하여 2차 밀봉시키으로써 간단한 방법으로 밀봉을 확실히한다.

Claims (4)

  1. 온수조본체의 상/하단부에 각각 상부덮개와 하부덮개를 밀봉결합시키는 냉온수기의 온수조 밀봉방법에 있어서,
    상기 온수조본체(140)를 원통형으로 형성하고 그 상/하단부를 외측으로 직각으로 절곡하여 본체테두리(141)를 형성하며,
    상기 온수조본체(140)의 상/하단부 내경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상/하부덮개(150)(160)의 가장자리로부터 수직하방으로 절곡하여 수직부(161)를 형성하고, 이들 수직부(161)로부터 직각으로 외측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본체테두리(141)와 대향되는 덮개테두리(162)를 형성하며,
    상기 상/하부덮개(150)(160)의 수직부(161)와 덮개테두리(162)의 경계부에 면실(200)을 부착시키고,
    상기 상/하부덮개(150)(160)를 온수조본체(140)의 상/하단부에 결합시킨 다음,
    상기 본체테두리(141)와 덮개테두리(162)를 함께 말아서 밀봉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냉온수기의 온수조 밀봉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조본체(140)와 면대향되는 상기 수직부(161)와 덮개테두리(162)에 실리콘접착제를 바른 다음, 상기 면실(200)을 부착시키는 것에 특징이 있는 냉온수기의 온수조 밀봉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테두리(141)와 덮개테두리(162)를 함께 말아서 밀봉시킨 다음, 그 말아진 부분에 근접하여서 상기 온수조본체(140)의 외측면을 가압하여 홈부(145)를 형성시킴으로써 그에 대응된 상기 수직부(161)에 밀착되면서 함께 변형되도록 하여 2차 밀봉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냉온수기의 온수조 밀봉방법.
  4. 상기 제 1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하나의 밀봉방법에 의해서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냉온수기의 온수조.
KR1020070060432A 2007-06-20 2007-06-20 냉온수기의 온수조 밀봉방법 및 이러한 밀봉방법에 의해서형성된 온수조 KR200700736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0432A KR20070073698A (ko) 2007-06-20 2007-06-20 냉온수기의 온수조 밀봉방법 및 이러한 밀봉방법에 의해서형성된 온수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0432A KR20070073698A (ko) 2007-06-20 2007-06-20 냉온수기의 온수조 밀봉방법 및 이러한 밀봉방법에 의해서형성된 온수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3698A true KR20070073698A (ko) 2007-07-10

Family

ID=38508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0432A KR20070073698A (ko) 2007-06-20 2007-06-20 냉온수기의 온수조 밀봉방법 및 이러한 밀봉방법에 의해서형성된 온수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7369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236Y1 (ko) * 2007-10-29 2009-10-09 최상필 냉온수기용 온수조
KR102077499B1 (ko) * 2018-09-18 2020-04-07 홍종국 예열히터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순간 온수장치
KR20210017987A (ko) * 2019-08-05 2021-02-17 홍종국 예열히터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순간 온수장치
KR20210155002A (ko) * 2020-06-14 2021-12-21 김상수 액체공급장치의 액체저장조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236Y1 (ko) * 2007-10-29 2009-10-09 최상필 냉온수기용 온수조
KR102077499B1 (ko) * 2018-09-18 2020-04-07 홍종국 예열히터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순간 온수장치
KR20210017987A (ko) * 2019-08-05 2021-02-17 홍종국 예열히터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순간 온수장치
KR20210155002A (ko) * 2020-06-14 2021-12-21 김상수 액체공급장치의 액체저장조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73698A (ko) 냉온수기의 온수조 밀봉방법 및 이러한 밀봉방법에 의해서형성된 온수조
KR20180119710A (ko) 음료 조제 시스템, 캡슐 및 음료 형성 방법
US20110049148A1 (en) Water tank with sealing element
KR101273716B1 (ko) 위험성 액체 물질의 저장을 위한 용기 밀봉부
JP2014518122A (ja) シールを有する電気式加熱容器
AU2013210995B2 (en) Cover unit with adapter, cover, and sealing film for a container
CN104053610A (zh) 合成树脂盖、合成树脂盖用衬垫、封堵装置及饮料瓶封堵装置
US20060273116A1 (en) Container including a valve
KR100776400B1 (ko) 냉온수기의 온수조
US2698007A (en) Gravity flow water heater
KR20190053918A (ko) 콘크리트 캐스크
BRPI0708964A2 (pt) recipiente com uma combinação de fecho de anel de tampa à maneira de uma tampa de compressão para dentro e tampa de novo fechamento
WO2017204666A1 (en) Tank closing unit
CN202589133U (zh) 纸杯杯体结构
US3319980A (en) Dip tube connection
CN214746447U (zh) 一种承压内胆及热水器
KR200418296Y1 (ko) 냉온수기의 온수조
KR100334941B1 (ko) 냉, 온수기의 온수조
JP6334425B2 (ja) 貯湯式給湯機及び貯湯式給湯機の組み立て方法
KR200446236Y1 (ko) 냉온수기용 온수조
KR101249293B1 (ko) 진공 단열 온수통
CN106440373A (zh) 热水器单法兰内胆
KR102407149B1 (ko) 액체공급장치의 액체저장조 및 그 제조방법
RU2505753C2 (ru) Фланцевое устройство водонагревателя с тепловым аккумулятором
KR200367665Y1 (ko) 냉온정수기의 분리가능한 온수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