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8296Y1 - 냉온수기의 온수조 - Google Patents

냉온수기의 온수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8296Y1
KR200418296Y1 KR2020060006241U KR20060006241U KR200418296Y1 KR 200418296 Y1 KR200418296 Y1 KR 200418296Y1 KR 2020060006241 U KR2020060006241 U KR 2020060006241U KR 20060006241 U KR20060006241 U KR 20060006241U KR 200418296 Y1 KR200418296 Y1 KR 2004182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water tank
cold
lower cover
cur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62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수
Original Assignee
김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수 filed Critical 김상수
Priority to KR20200600062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82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82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829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9/00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 B21D19/12Edge-cur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8Water-storage heaters
    • F24H1/181Construction of the tank
    • F24H1/182In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8Water-storage heaters
    • F24H1/20Water-storage heaters with immersed heating elements, e.g. electric elements or furnace tubes
    • F24H1/201Water-storage heaters with immersed heating elements, e.g. electric elements or furnace tubes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95Hea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온수조 몸체의 상하 단부와 상하부 덮개의 외주연 단부를 각각 서로 겹쳐 컬링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온수조의 제조 공정을 간소화하고 원가를 낮추게 하며 온수조 내부에 녹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냉온수기의 온수조에 관한 것으로서, 통상의 냉온수기에 구비되는 온수조에 있어서, 원통형의 관체로서, 외주면에 온도감지센서가 설치되고, 상하 단부의 외측으로 확관된 테두리부가 구비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상하 단부에 구비되는 테두리부와 겹합되도록 외주연에 절곡된 확장부를 가지는 상하부 덮개;가 구비되되, 상기 몸체의 테두리부와 상기 상하부 덮개의 확장부는 서로 겹쳐져서 컬링 가공에 의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냉온수기, 온수조, 상하부 덮개, 컬링 가공, 실링재

Description

냉온수기의 온수조 {Hot water tank of hot and cold waterdispenser}
도 1은 일반적인 냉온수기의 온수조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냉온수기의 온수조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냉온수기의 온수조에 대한 측면도.
도 4(a) 내지 도 4(g)는 본 고안에 따른 냉온수기의 온수조에 있어서 몸체와 상하부 덮개의 결합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온수조 2.. 유입관
3.. 유출관 4.. 히터
5.. 드레인관 6.. 온도감지센서부
10.. 몸체 10a.. 테두리부
20.. 상부 덮개 20a.. 중심원판부
20b.. 확장부 20c.. 연장부
20d.. 제 1절곡부 20e.. 제 2절곡부
30.. 하부 덮개 40.. 제 1컬링부
50.. 제 2컬링부 60.. 실링재
60a.. 실링재 안착부
본 고안은 냉온수기의 온수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온수조 몸체의 상하 단부와 상하부 덮개의 외주연 단부를 각각 서로 겹쳐 컬링 가공하여 봉공처리함으로써 온수조의 제조 공정을 간소화하고 원가를 낮추며 온수조 내부에 녹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냉온수기의 온수조에 관한 것이다.
냉온수기는 물을 냉각시키거나 가열하여 음용하도록 하는 기기로서, 일반적으로 상측에는 생수가 담겨진 용기가 안착 고정되고, 그 전방에는 냉수 또는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콕크가 구비된다.
상기한 냉온수기의 내부에는 물을 가열시키기 위한 온수조(1)가 설치되는데, 이 온수조(1)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에 물이 출입되는 유입관(2)과 유출관(3)이 구비되고, 하부에 물을 온수조(1) 외측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5)이 구비되며, 내부에 생수 용기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급탕 가열하는 히터(4)가 구비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온수조(1)에서 가열된 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6)가 온수조(1) 외주면의 요소에 설치되게 된다.
한편, 상기한 온수조(1)의 외관 형상은 통상 원통형의 몸체와 이 몸체의 상부에 수밀하게 접합되는 상부 덮개 그리고 상기 몸체의 하부에 수밀하게 접합되는 하부 덮개가 구비되어 이루어지게 되는데, 상기한 온수조(1)는 80℃ 이상으로 가열 된 온수를 저장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몸체와 상하부 덮개의 접합부에는 내부온도 상승에 따른 화학적 변화를 상시 내재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일례로서, 종래에 사용되는 온수조의 경우에는 몸체와 상하부 덮개를 용접으로 서로 접합하여 밀폐형 용기로 형성하고, 또한 상부 덮개에 관접되는 유입관과 유출관, 하부 덮개에 관접되는 배출관 등을 용접으로 접합하여 고정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용접주면 부위에는 용접시 가하여진 고열에 의해 점차 산화작용이 일어나면서 인체에 유해한 각종 물질을 발생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산화피막층을 제거하기 위한 조치로서 화학제로 산처리를 한 후 중화제로 중화시키고 다시 이를 세척하여 주는 공정을 거치는 온수조가 제작되어지기도 하는데, 이러한 복잡한 공정을 수행하게 되면 온수조의 제조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은 용접작업 이후의 화학처리공정을 거친 온수조에서도 장기간 사용시 히터에 의해 물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면서 결국에는 산화작용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온수조 몸체의 상하 단부와 상하부 덮개의 외주연 단부를 각각 서로 겹쳐 컬링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온수조의 제조 공정을 간소화하고 원가를 낮추게 하며 온수조 내부에 녹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냉온수기의 온수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냉온수기의 온수조는, 통상의 냉온수기에 구비되는 온수조에 있어서, 원통형의 관체로서, 외주면에 온도감지센서가 설치되고, 상하 단부의 외측으로 확관된 테두리부가 구비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상하 단부에 구비되는 테두리부와 겹합되도록 외주연에 절곡된 확장부를 가지는 상하부 덮개;가 구비되되, 상기 몸체의 테두리부와 상기 상하부 덮개의 확장부는 서로 겹쳐져서 컬링 가공에 의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의 테두리부와 상기 상하부 덮개의 확장부 사이에는 실링재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링재는 내열 고무 또는 금속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컬링 가공은 2차에 걸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냉온수기의 온수조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냉온수기의 온수조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냉온수기의 온수조에 대한 측면도이며, 도 4(a) 내지 도 4(g)는 본 고안에 따른 냉온수기의 온수조에 있어서 몸체와 상하부 덮개의 컬링 가공에 대한 결합 순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냉온수기의 온수조는, 상하 단부의 외측으로 확관된 테두리부(10a)가 구비되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상하 단부에 구비되는 테두리부(10a)와 결합되도록 각각 외주연에 절곡된 확장부(20b)를 가지는 상하부 덮개(20, 30)가 구비되게 되고, 상기 몸체(10)의 테두리부(10a)와 상기 상하부 덮개(20, 30)의 확장부(20b)는 서로 겹쳐져서 컬링 가공에 의해 접합되게 된다.
상기한 상부 덮개(20)와 하부 덮개(30)는 각각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상기 몸체(10)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된 테두리부(10a)와 겹쳐져서 동일하게 컬링 가공되게 되므로 상부덮개(20)를 중심으로 하여 본 고안에 따른 냉온수기의 온수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한 몸체(10)는 원통형의 관체로서, 외주면의 요소에는 온수조(1)의 내부에 채워진 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6)가 설치되게 된다.
상기한 상부 덮개(20)는 원판형상을 가지는 중심 원판부(20a)와 이 중심 원판부(20a)의 외주연으로부터 확장된 확장부(20b)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 덮개(20)의 확장부(20b)는 상기 몸체(10)의 테두리부(10a)에 대응되어 결합되도록 절곡되어 형성되게 된다. 상기 상부 덮개(20)의 중심원판부(20a)는 물이 유입되는 유입관(2)과 히터()에 의해 가열된 물이 유출되는 유출관(3)이 관통 설치되는 것이고, 상기 하부 덮개(30)에는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드레인관(5)이 관통 설치되고, 소정의 전원공급장치(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유입된 물을 가열시키기 위한 히터(4)가 고정 설치되게 된다.
상기한 상부 덮개(20)의 확장부(20b)는, 연장부(20c), 제 1절곡부(20d), 제 2절곡부(20e)가 형성된다. 상기 연장부(20c)는 상부 덮개(20)가 몸체(10)의 내주면을 따라 삽입될 수 있도록 중심원판부(20a)로부터 상기 몸체(10)의 길이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게 되고, 상기 제 1절곡부(20d)는 상기 연장부(20c)에서 수평방향 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게 되며, 상기 제 2절곡부(20e)는 상기 제 1절곡부(20d)에서 상기 몸체(10)의 길이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게 된다.
상기한 몸체(10)의 테두리부(10a)와 상부 덮개(20)의 확장부(20b)에 대한 컬링 가공은 2차에 걸쳐 이루어지게 된다.
먼저, 상기한 몸체(10)의 테두리부(10a)는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으로 절곡 형성되게 되고, 상기 상부 덮개(20)의 확장부(20b)는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장부(20c)와 제 1절곡부(20d) 및 제 2절곡부(20e)가 형성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상부 덮개(20)의 연장부(20c)가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내주면을 따라 삽입 고정된 후 컬링 가공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1차 컬링시에는 도 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덮개(20)의 제 2절곡부(20e)가 상기 몸체(10)의 테두리부(10a)에 겹쳐지도록 상기 몸체(10)에 형성되는 테두리부(10a)의 종단부를 중심축으로 하여 수평방향으로 절곡되게 되어 제 1컬링부(40)를 형성하게 된다. 1차 컬링 가공이 수행되게 되면 도 4(e)의 확대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덮개(20)의 확장부(20b)가 상기 몸체(10)의 테두리부(10a)를 감싸는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2차 컬링시에는 도 4(f)와 도 4(g)의 확대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테두리부(10a)와 상부 덮개(20)의 제 2절곡부(20e)가 상기 몸체(10)의 테두리부(10a)가 내측에 위치되고, 상기 상부 덮개(20)의 확장부(20b)가 외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몸체(10)의 길이방향으로 컬링 가공이 이루어져서 상기 몸체(10)의 테두리부(10a)와 상기 상부 덮개(20)의 제 1절곡부(20d)가 절곡되는 제 2컬링부 (50)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몸체(10)의 테두리부(10a)와 상기 상부 덮개(20)의 확장부(20b) 사이에는 도 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링재(60)가 개재되어 상기 몸체(10)의 테두리부(10a)와 상부 덮개(20)의 확장부(20b)가 보다 더 확실하게 봉공처리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상기한 실링재(60)는 그 단면이 원형이면서 고리형상을 가지게 된다. 상기 실링재(60)는 상기 상부 덮개(20)의 제 2절곡부(20e)가 1차 컬링 가공됨에 따라 형성되는 제 1컬링부(40)의 종단부와 상기 몸체(10)의 외주면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부(60a)에 안착 설치되게 된다. 상기 실링재(60)는 고리형의 O-링 타입이나 일부가 절단된 C-형 타입이어도 무방한데, O-링 타입의 실링재(60)의 경우 몸체(10)의 단부에 확관되는 테두리부(10a)를 형성하기 전에 몸체의 외주면에 끼워 넣어진 후 컬링 가공시 실링재 안착부(60a)에 안착 설치되게 되고, C-형 타입의 경우 몸체(10)의 단부에 테두리부(10a)가 확관되어 형성된 이후에 몸체의 외주면에 끼워 넣어진 후 실링재 안착부(60a)에 안착 설치되게 된다.
상기한 실링재(60)의 단면 지름은 상기 몸체(10)에 형성된 테두리부(10a)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약간 크게 구성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몸체(10)의 테두리부(10a)와 상기 상부 덮개(20)의 확장부(20b)가 컬링 가공에 의해 절곡된 후 압착될 때 상기 실링재(60)도 또한 압착되면서 이 실링재(60)에 의하여 상기 몸체(10)의 테두리부(10a)와 상기 상부 덮개(20)의 확장부(20b)와의 사이에 기밀이 완벽하게 유지되게 된다.
또한, 상기 실링재(60)는 그 단면 지름이 상기 상부 덮개(20)의 확장부(20b)의 폭보다 지나치게 크지 않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실링재(60)의 단면 지름이 상기 상부 덮개(20)의 확장부(20b)보다 지나치게 크게 되면 상기 상부 덮개(20)의 확장부(20b) 외측으로 요철이 형성되게 되어 외관상 미려한 느낌을 가질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한 실링재(60)는 니트릴 고무 등의 내열 고무가 사용되고, 동이나 동합금 등의 금속재가 사용되게 된다. 또한 상기 실링재(60)는 실리콘계, 아크릴우레탄계, 폴리우레탄계 수지도 사용할 수 있다.
미설명부호 62는 상기 몸체(10)의 하부에 확관된 테두리부와 상기 하부 덮개(30)의 확장부와의 사이에 개재되는 실링재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냉온수기의 온수조는 몸체의 상하 단부와 상하부 덮개의 외주연 단부를 각각 서로 겹쳐 컬링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온수조 내부에 녹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고안에 따른 냉온수기 온수조는 온수조의 몸체와 상하부 덮개가 컬링 가공에 의해 접합됨으로써 장시간 사용하게 되더라도 녹이 발생되지 않게 되는 효과 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지속적으로 위생적인 온수조를 제공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용접 공정과 용접에 따른 화학처리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제조원가가 저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통상의 냉온수기에 구비되는 온수조에 있어서,
    원통형의 관체로서, 외주면에 온도감지센서가 설치되고, 상하 단부의 외측으로 확관된 테두리부가 구비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상하 단부에 구비되는 테두리부와 겹합되도록 외주연에 절곡된 확장부를 가지는 상하부 덮개;가 구비되되,
    상기 몸체의 테두리부와 상기 상하부 덮개의 확장부는 서로 겹쳐져서 컬링 가공에 의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의 온수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테두리부와 상기 상하부 덮개의 확장부 사이에는 실링재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의 온수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재는 내열 고무 또는 금속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의 온수조.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컬링 가공은 2차에 걸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의 온 수조.
KR2020060006241U 2006-03-08 2006-03-08 냉온수기의 온수조 KR2004182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6241U KR200418296Y1 (ko) 2006-03-08 2006-03-08 냉온수기의 온수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6241U KR200418296Y1 (ko) 2006-03-08 2006-03-08 냉온수기의 온수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9397A Division KR100776400B1 (ko) 2007-05-21 2007-05-21 냉온수기의 온수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8296Y1 true KR200418296Y1 (ko) 2006-06-08

Family

ID=41767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6241U KR200418296Y1 (ko) 2006-03-08 2006-03-08 냉온수기의 온수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829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34864B2 (ja) 飲料を生成するための飲料調製システム、カプセル、及び方法
JP2011064449A (ja) 気密保持部が備えられた水槽
KR100776400B1 (ko) 냉온수기의 온수조
KR200418296Y1 (ko) 냉온수기의 온수조
JP5762970B2 (ja) ホース連結部を有する容器
US9316336B2 (en) Penetration fitting unit for seal-connection between a wall and a pipe passing through
JP2009204144A (ja) ホースと口金具用樹脂製ニップルとの接続方法及びホース口金具接続構造
JP5150252B2 (ja) 容器本体を製造する方法及び容器本体
KR20070073698A (ko) 냉온수기의 온수조 밀봉방법 및 이러한 밀봉방법에 의해서형성된 온수조
KR101249293B1 (ko) 진공 단열 온수통
KR100334941B1 (ko) 냉, 온수기의 온수조
JP2008502541A5 (ko)
KR100761865B1 (ko) 온수기의 히터장치
KR200446236Y1 (ko) 냉온수기용 온수조
CN103836797B (zh) 一种双夹层热水器内胆及其组装工艺方法
JP7323335B2 (ja) キャップ付き容器
KR101857767B1 (ko) 전기압력밥솥의 내부 단열구조체
TWI710690B (zh) 儲水槽、熱水儲存式熱交換器,以及衛生洗淨裝置
JP3902772B2 (ja)
KR101388508B1 (ko) 전기조리기
KR20130055357A (ko) 전기조리기
CN207936468U (zh) 一种电热水器
KR200434562Y1 (ko) 온수기의 히터장치
JP2006055322A (ja) 真空二重構造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30076857A (ko) 이중 구조의 냄비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16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