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2165A - 전도성 전기변색 고분자 재료 및 전도성 전기변색 고분자 재료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도성 전기변색 고분자 재료 및 전도성 전기변색 고분자 재료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2165A
KR20110022165A KR1020090079612A KR20090079612A KR20110022165A KR 20110022165 A KR20110022165 A KR 20110022165A KR 1020090079612 A KR1020090079612 A KR 1020090079612A KR 20090079612 A KR20090079612 A KR 20090079612A KR 20110022165 A KR20110022165 A KR 201100221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material
electrochromic polymer
conductive
substrate
organic sol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9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7102B1 (ko
Inventor
박형호
이종석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79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7102B1/ko
Publication of KR20110022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21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7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7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9/00Tenebrescent materials, i.e. materials for which the range of wavelengths for energy absorption is changed as a result of excitation by some form of energy
    • C09K9/02Organic tenebresc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8Met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1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characterised by the electrochromic material, e.g. by the electrodeposited material
    • G02F1/1516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characterised by the electrochromic material, e.g. by the electrodeposited material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G02F1/15165Polym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3Constructional details
    • G02F1/155Electro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4Macromolecular compound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전기변색 고분자 재료는 소정의 금속 나노 입자가 더 함침된다. 또한, 상기 고분자 재료는 (1) 소정의 중합반응을 일으켜 전도성 전기변색 고분자 재료를 형성할 수 있는 단량체와 안정제를 제1 유기 용매에 용해시키는 단계; (2) 도펀트로 기능가능한 산화제를 제2 유기 용매에 용해시키는 단계; (3) 소정의 금속 나노 입자를 제3 유기 용매에 용해시키는 단계; (4) 상기 (1) 단계 내지 (3) 단계에서 형성된 용액을 혼합하는 단계; (5) 소정의 기판 위에 상기 (4) 단계에서 형성된 용액을 도포하는 단계; (6) 상기 용액이 도포된 기판을 열처리하여 중합반응을 일으키는 단계; 및 (7) 상기 기판 위에 잔류한 단량체, 안정제, 산화제 및 금속 나노 입자 중 적어도 하나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금속 나노 입자가 함침된 전도성 전기변색 고분자 재료를 이용하면, 금속 나노 입자의 함량을 단순히 조절하는 것만으로도 전압 인가 시 다양한 색깔로 발현되고, 착색 및 소색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전기변색 고분자 재료를 형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도성 전기변색 고분자 재료 및 전도성 전기변색 고분자 재료의 제조방법 {Conducting electrochromism polym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도성 전기변색 고분자 재료, 더욱 구체적으로는 전압을 인가하면 색상의 변화가 나타나는 전도성 전기변색 고분자 재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도성 고분자(conducting polymer)는 금속의 전기적, 자기적, 광학적 특성과 고분자의 기계적 성질 및 가공성을 동시에 가지는 물질로 지난 10여년 이상 다양한 전도성 고분자가 연구·개발되어 왔다. 즉, 전도성 고분자에는 π-전자가 존재하는데, π-전자는 어느 정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전도 특성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고분자 사슬을 따라 단일결합과 이중결합이 교차적으로 존재하게 되는 π-전자를 통해 π-결합 형태가 고분자 체인에 존재하게 되면 전기적 힘에 의해 산화·환원 반응이 일어날 수 있다. 전도성 고분자는 이러한 산화·환원 반응에 의해 전자밀도의 비편재화가 나타나게 되고 따라 전자구조가 바뀌게 됨에 따라 전기변색 특성이 나타나게 된다. 도 1은 다양한 종류의 전도성 고분자 및 각각 의 고분자의 화학적 구조를 간략하게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이러한 전기변색 물질로는 예컨데, WO3, V2O5, TiO2와 같은 무기물질과, PEDOT(Poly(3,4-ehtylenedioxythiophene)), 폴리아닐린(Polyaniline), 폴리피롤(Polypirrole), 폴리티오펜(Polythiophene), 폴리아세틸렌(Polyacetylene), 폴리(페닐렌비린렌) (Poly(PhenyleneVinylene)), 폴리(페닐렌설파이드)(Poly(PhenyleneSulfide))와 같은 유기물질 등이 있다.
한편, 전기변색은 전압의 인가에 따라 색상이 변화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전기변색 외에도 색상의 변화가 나타나게 하는 외부 힘의 종류에 따라 빛 (광)에 의한 광변색 (photochromism), 온도에 의한 열변색 (thermochromism)등이 있다. 전기변색은 전기화학적 산화·환원 반응에 의해 물질의 색을 조절하는 것이며 산화·환원에 따른 전자이동의 발생과 밴드갭의 변화에 의해 자외선, 가시광선, 근적외선 영역에서 흡수의 변화에 따른 색상의 변화를 나타낸다. 도 2는 전도성 Poly(3,4-ehtylenedioxythiophene) (PEDOT)의 구조의 산화·환원 반응을 도식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즉, 전기화학적 산화반응에 의해 벤조이드(benzoid) 상태의 PEDOT 체인(chain)에서 전자가 빠져나가게 됨에 따라 π-전자의 재배치가 일어나게 되고 최종적으로는 큐이오니드(quionid) 상태의 구조가 된다. 또한, 도 2에서 도펀트 이온(dopant ion)은 PEDOT 체인의 산화·환원 반응시 안정적인 구조를 위해 PEDOT 체인의 도핑·디도핑 역할을 한다.
한편, 산화·환원 반응에 따른 에너지 밴드 변화를 살펴보면 에너지 밴드는 원자가 전자대(valence band)의 가장 위에 위치한 궤도인 HOMO (Highest Occupied Molecular Orbital), 전도대(conduction band)의 가장 낮은 궤도인 LUMO(Lowest Unoccupied Molecular Orbital)가 존재하는데, HOMO와 LUMO의 차이에 따라 광학적 특성이 결정된다.
또한, 전도성 고분자에서 한 개의 전자가 빠져나가게 되면 밴드갭 내에 폴라론(polaron) 준위가 형성되며 한 개의 전자를 더 잃게 되면 폴라론에서 바이폴라론(bipolaron) 준위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연속적인 산화반응을 통해 수많은 폴라론, 바이폴라론이 형성되면서 준위에서 밴드로 발전하게 된며, 이러한 에너지 밴드의 변화에 대응하여 광학적 특성 또한 변하게 된다. 도 3(a)를 보면 폴라론, 바이폴라론 준위가 형성됨에 따라 원래의 밴드갭 (Eg)에 해당하는 빛의 흡수는 점차 감소하면서 낮은 에너지의 빛 흡수는 점차 증가하게 된다. 충분한 산화반응이 일어나게 되면 Eg에 의한 빛의 흡수는 사라지고 바이폴라론 밴드에 해당하는 작은 에너지 영역의 빛 흡수(T1, T3)가 증가하게 된다. 전도성 고분자는 이러한 전기화학적 산화·환원반응으로부터 π-전자의 재배치에 의한 구조적 변화와 더불어 바이폴라론의 형성에 따른 에너지 밴드의 변화로 전기변색 특성이 나타나는 것이다.
한편, 위와 같은 전기변색 물질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스퍼터링 (sputtering), 전기중합 (electrochemical deposition)을 이용하여 전기변색 박막 을 형성하는 방법 등이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방법에 따르면, 전기변색을 위한 착색/소색 시간이 5초 이상으로 길고, 전기변색층을 증착하기 위한 비용이 너무 비싸고 증착 면적이 제한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변색시간을 줄이기 위하여 산화아연층을 이용하는 기술도 제안되었지만, 산화아연층의 형성을 위한 패터닝 공정이 추가된다는 단점이 있다. 추가로 인해 공정이 복잡해 진다. 또한 단점이 있다. 
한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9-0029982호는 전기중합 방법을 이용하여 나노튜브 형태의 전기변색 고분자를 형성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상기 전기중합 방법은 균일하고 불필요한 잔류물질이 적은 박막을 형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전기중합을 위해서는 3극 시스템을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대면적의 코팅이 어렵다는 기술적 제한으로 인해 전기변색 유리와 같은 실용적인 제품을 제조하기 곤란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 알려진 전기변색 고분자 재료는 각 재료에 따라서 전압 인가시 변화하는 색상이 결정되어 있으므로, 다양한 색깔로의 변경이 필요한 산업계의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전도성 전기변색 고분자 재료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제조가 쉬우면서도 착색/소색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전기변색 고분자 재료 및/또는 전기변색 고분자 재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변색시 종래에 알려진 색상 외에 다양한 색상으로 변색 가능한 전기변색 고분자 재료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전기변색 고분자 재료는 단량체, 산화제 및 안정제가 중합 반응하여 형성되는 전도성 전기변색 고분자 재료로서, 상기 고분자 재료는 소정의 금속 나노 입자가 더 함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금속 나노 입자는 상기 전도성 전기변색 고분자 재료에 함침되어 전압 인가 시 상기 전도성 전기변색 고분자 재료의 특정 색상이 발현되는 파장을 변화시키는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금속 나노 입자는 상기 금속 나노 입자는 상기 전도성 전기변색 고분자 재료에 함침되어 전압 인가 시 상기 전도성 전기변색 고분자 재료의 특정 색상이 발현되는 시간을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도성 고분자 재료는 폴리아닐린(Polyaniline), 폴리피 롤(Polypirrole), 폴리티오펜(Polythiophene), 폴리아세틸렌(Polyacetylene), 폴리(페닐렌비린렌)(Poly(PhenyleneVinylene)), 폴리(페닐렌설파이드)(Poly(PhenyleneSulfide)) 및 PEDOT(Poly-3,4ethylenedioxythiophene) 중의 적어도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금속 나노 입자는 Au 나노 입자 또는 Ag 나노 입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1) 소정의 중합반응을 일으켜 전도성 전기변색 고분자 재료를 형성할 수 있는 단량체와 안정제를 제1 유기 용매에 용해시키는 단계;
(2) 도펀트로 기능가능한 산화제를 제2 유기 용매에 용해시키는 단계;
(3) 소정의 금속 나노 입자를 제3 유기 용매에 용해시키는 단계;
(4) 상기 (1) 단계 내지 (3) 단계에서 형성된 용액을 혼합하는 단계;
(5) 소정의 기판 위에 상기 (4) 단계에서 형성된 용액을 도포하는 단계;
(6) 상기 용액이 도포된 기판을 열처리하여 중합반응을 일으키는 단계; 및
(7) 상기 기판 위에 잔류한 단량체, 안정제, 산화제 및 금속 나노 입자 중 적어도 하나를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3 유기 용매는 서로 동일한 용매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유기 용매는 메탄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계 (5)에서 상기 용액의 도포는 스핀 코팅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계 (7)에서 상기 단량체, 안정제, 산화제 및 금속 나노 입자의 제거는 DI water 및 유기 용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세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판은 유리 기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기판은 소정의 투명전극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서 금속 나노 입자가 함침된 전도성 전기변색 고분자 재료를 이용하면, 금속 나노 입자의 함량을 단순히 조절하는 것만으로도 전압 인가 시 다양한 색깔로 발현되는 전도성 전기변색 고분자 재료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서 금속 나노 입자가 함침된 전도성 전기변색 고분자 재료를 이용하면, 착색 및 소색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전기변색 고분자 재료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전기변색 고분자 재료 및 그 제조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전기변색 고분자 재료를 형성하는 절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전기변색 고분자 박막(PEDOT, poly-3,4ethylenedioxythiophene)을 제조하기 위한 출발 물질로는 단량체인 3,4-Ethylenedioxythiophene (EDOT, Aldrich), 산화제 및 도펀트인 Iron(III) p-toluenesulfonate hexahydrate (Fe(OTs)3, Aldrich), 안정제인 이미다졸(Imidazole; IM, ≥99%, Sigma-Aldrich), 및 금속(Au) 나노 입자가 사용된다. 또한, 상기 출발 물질은 몰 비로 EDOT : Fe(OTs)3 : IM = 1 : 1.65 : 2의 비율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금속 나노 입자는 완성 후 PEDOT 대비 0.05at% 내지 0.35at%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너무 과도한 첨가로 인한 금속 나노 입자의 뭉침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 정도라면 그 양을 한정하지 않는다.
먼저, EDOT, Fe(OTs)3, IM을 메탄올(MeOH)에 녹여 용액을 준비한다. 이때 EDOT과 Fe(OTs)3의 중합반응을 막기 위해 각각 EDOT/IM/MeOH 용액과 Fe(OTs)3/MeOH 용액을 각각 준비한다. 이어서, 상기 EDOT/IM/MeOH 용액과 Fe(OTs)3/MeOH 용액에 Au 나노 입자가 포함된 용액을 혼합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금속 나노 입자를 합성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금속 나노 입자를 합성하기 위한 출발물질로는 HAuCl4(Hydrogen tetrachloroaurate(III) trihydrate, Alfa Aesar)를 사용하고 캡핑제(capping molecule)로는 트리소듐 시트레이트(trisodium citrate; sodium citrate tribasic dihydrate ≥99.0%, Aldrich)를 사용한다. 트리소듐 시트레이트는 환원제인 동시에 안정제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125mM의 DI water 당 1 mM의 비율로 HAuCl4를 녹인 후, 100℃까지 교반하면서 가열한다. 이어서, 100℃에 도달하면 상기 125mM의 DI water 당 38.8 mM의 트리소듐 시트레이트 12.5 ml 용액을 넣고 다시 교반한다. 이 때 밝은 노랑에서 핑크빛을 나타내다가 암보라로 색의 변화가 나타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는데, 이것은 이온 상태로 존재하던 Au3 +가 환원되었음을 의미한다. 이어서, 워터(water) 베이스인 Au 나노입자는 메탄올 베이스로 치환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전기변색 고분자 재료는 메탄올 베이스로 제공되는데, 이 경우 혼합 및 코팅 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Au 나노입자는 메탄올 베이스로 치환하는 것이다. 이러한 코팅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capping molecule의 교체 후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물을 제거하고 메탄올에 재 분산 시키는 방법으로 물을 제거한다.
다음으로, 상기 혼합 용액을 기판 위에 2000rpm의 속도로 15초 동안 스핀코팅한다. 한편, 상기 기판은 예컨데 Si/ITO 유리(glass)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판 의 적어도 일측에는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전극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유리 사이에는 전해질 층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80℃로 가열된 가열판에서 10분간 열처리하여 중합반응을 유도하여 PEDOT, (poly-3,4ethylenedioxythiophene) 박막을 형성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박막 내에 남아있은 Fe(OTs)3, IM 및 미 반응 EDOT을 제거하기 위해 메탄올과 DI water로 세척하여 최종적인 PEDOT 박막을 제조한다.
도 5는 상기 방법에 따라 PEDOT 박막이 유리 기판 위에 코팅된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에서 보듯이, 유리 기판(1) 위의 양 측면에는 투명 전극(2)이 형성되고, 그 위에 PEDOT 박막(3)이 적층된다. 또한, 전해질 층(4)이 상기 유리 기판(1)의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제조된 금속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PEDOT 박막의 특성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6은 PEDOT 박막 및 Au/PEDT 박막의 형성 상태를 분석하기 위한 FT-IR 측정 결과를 도시한다. 도 6에서 1518, 1385, 1324 cm-1의 흡수는 티오펜 링(thiophene ring)의 C - C, C = C 스트레칭 모드(stretching mode)에 의한 흡수이며, 1089, 921 cm-1과 978, 838, 684 cm-1의 흡수는 C - O - C 스트레칭 C - S 바 이브레이션 모드(vibration mode)에 의한 흡수를 보여준다. 또한, 1190, 1055 cm-1의 술폰산염(surfonate)의 비대칭, 대칭 스트레칭 모드에 의한 흡수와, 1122, 1009cm-1의 벤젠 링의 인-플레인 벤딩 바이브레이션 모드(in-plane bending vibration mode)의 흡수를 통해 OTs(toluenesulfonate)가 PEDOT 박막 내에서 도펀트 역할을 하며 잔존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FT-IR 결과를 통해 PEDOT 박막의 형성을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Au 나노입자를 첨가한 경우 PEDOT 박막과 큰 차이 없이 Au/PEDOT 박막이 성공적으로 형성됨을 알 수 있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Au 나노 입자가 첨가된 PEDOT와 Au 나노 입자가 첨가되지 않은 PEDOT의 최대 흡수 파장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에서 인가된 전압은 -0.7V이고, 전극은 Ag/AgCl을 사용하였다. 도 7에서 보듯이, Au 나노 입자가 포함되지 않은 PEDOT는 최대 흡수 파장은 PEDOT = 585.4 nm인 반면, Au 나노 입자가 포함된 PEDOT는 Au 나노 입자의 함량에 따라 최대 흡수파장이 각각 Au/PEDOT (0.05 at%) = 576.6 nm, Au/PEDOT (0.15 at%) = 572.2 nm, Au/PEDOT (0.25 at%) = 570.6 nm, Au/PEDOT (0.35 at%) = 569.0 nm로, 나노입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최대 흡수 파장이 파란색 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이는 Au 나노입자의 첨가로 인해 PEDOT의 중합반응을 방해하여 PEDOT 체인의 길이가 감소하고 이로 인해 PEDOT가 더욱 큰 밴드갭을 갖게 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금속 나노입자의 첨가량을 조절함으로써 PEDOT 박막의 밴드갭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으며, 그로부터 최대 흡수파장도 변화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은 Au 나노입자의 첨가에 따른 전기변색 스위칭 속도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투과율 - 시간 측정결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에서 보듯이 PEDOT, Au/PEDOT (0.05 at%), Au/PEDOT (0.25 at%), Au/PEDOT (0.35 at%) 박막이 암청색 상태에서 명청색으로 변화(ΔT=0.9)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각각 2.034, 1.566, 1.242, 1.014 초로 계산된다. 이로부터 Au 나노 입자가 첨가됨에 따라 스위칭 속도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Au 나노입자의 부피 효과(volume effect) 및 전해질과의 반응 면적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라서 제작된 PEDOT을 이용하여 전기변색 소자를 제작한 후, 인가되는 전압에 따른 색상 및 투과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의 변화에 따라서 PEDOT는 다양한 색깔로 변화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전기변색 고분자 재료 및 상기 고분자 재료의 제조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본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특히,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재료들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 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오직 뒤에서 설명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 1은 종래의 전도성 전기변색 고분자 재료의 화학적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PEDOT 형성시 산화환원 반응을 도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PEDOT의 산화환원 반응에 따른 밴드갭의 변화 및 광학적 특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전기변색 고분자 재료를 형성하는 절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PEDOT 박막이 유리 기판 위에 코팅된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PEDOT 박막 및 Au 나노 입자가 함침된 PEDOT 박막의 형성 상태를 분석하기 위한 FT-IR 측정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Au 나노 입자의 함량에 따른 PEDOT 박막의 최대 흡수 파장의 변화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Au 나노 입자의 함량에 따른 PEDOT 박막의 전기변색 스위칭 속도 변화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박막을 이용하여 전기변색 소자를 제작한 후, 인가되는 전압에 따른 색상 및 투과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Claims (12)

  1. 단량체, 산화제 및 안정제가 중합 반응하여 형성되는 전도성 전기변색 고분자 재료로서, 상기 고분자 재료는 소정의 금속 나노 입자가 더 함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 고분자 재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나노 입자는 상기 전도성 전기변색 고분자 재료에 함침되어 전압 인가 시 상기 전도성 전기변색 고분자 재료의 특정 색상이 발현되는 파장을 변화시키는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 고분자 재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나노 입자는 상기 금속 나노 입자는 상기 전도성 전기변색 고분자 재료에 함침되어 전압 인가 시 상기 전도성 전기변색 고분자 재료의 특정 색상이 발현되는 시간을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 고분자 재료.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고분자 재료는 폴리아닐린(Polyaniline), 폴리피롤(Polypirrole), 폴리티오펜(Polythiophene), 폴리아세틸렌(Polyacetylene), 폴리(페닐렌비린렌)(Poly(PhenyleneVinylene)), 폴리(페닐렌설파이드)(Poly(PhenyleneSulfide)) 및 PEDOT(Poly-3,4ethylenedioxythiophene) 중의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 고분자 재료.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나노 입자는 Au 나노 입자 또는 Ag 나노 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 고분자 재료.
  6. (1) 소정의 중합반응을 일으켜 전도성 전기변색 고분자 재료를 형성할 수 있는 단량체와 안정제를 제1 유기 용매에 용해시키는 단계;
    (2) 도펀트로 기능가능한 산화제를 제2 유기 용매에 용해시키는 단계;
    (3) 소정의 금속 나노 입자를 제3 유기 용매에 용해시키는 단계;
    (4) 상기 (1) 단계 내지 (3) 단계에서 형성된 용액을 혼합하는 단계;
    (5) 소정의 기판 위에 상기 (4) 단계에서 형성된 용액을 도포하는 단계;
    (6) 상기 용액이 도포된 기판을 열처리하여 중합반응을 일으키는 단계; 및
    (7) 상기 기판 위에 잔류한 단량체, 안정제, 산화제 및 금속 나노 입자 중 적어도 하나를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전기변색 고분자 재료의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3 유기 용매는 서로 동일한 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전기변색 고분자 재료의 제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이 경우 상기 유기 용매는 메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전기변색 고분자 재료의 제조 방법.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단계 (5)에서 상기 용액의 도포는 스핀 코팅법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전기변색 고분자 재료의 제조 방법.
  10.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단계 (7)에서 상기 단량체, 안정제, 산화제 및 금속 나노 입자의 제거는 DI water 및 유기 용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세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전기변색 고분자 재료의 제조 방법.
  11.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기판은 유리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전기변색 고분자 재료의 제조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이 경우, 상기 기판은 소정의 투명전극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전기변색 고분자 재료의 제조 방법.
KR1020090079612A 2009-08-27 2009-08-27 전도성 전기변색 고분자 재료의 제조방법 KR101107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9612A KR101107102B1 (ko) 2009-08-27 2009-08-27 전도성 전기변색 고분자 재료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9612A KR101107102B1 (ko) 2009-08-27 2009-08-27 전도성 전기변색 고분자 재료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2165A true KR20110022165A (ko) 2011-03-07
KR101107102B1 KR101107102B1 (ko) 2012-01-30

Family

ID=43930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9612A KR101107102B1 (ko) 2009-08-27 2009-08-27 전도성 전기변색 고분자 재료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710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75978A (zh) * 2012-10-22 2013-01-16 中国科学院理化技术研究所 金纳米粒子/聚(3,4-二氧乙基)噻吩复合材料的制备方法
KR20180047245A (ko) * 2016-10-31 2018-05-1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고점도 전도성 고분자 분산액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23836A (ko) * 2017-08-30 2019-03-08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변색 소자용 전극필름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전기변색 소자용 전극필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75978A (zh) * 2012-10-22 2013-01-16 中国科学院理化技术研究所 金纳米粒子/聚(3,4-二氧乙基)噻吩复合材料的制备方法
KR20180047245A (ko) * 2016-10-31 2018-05-1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고점도 전도성 고분자 분산액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23836A (ko) * 2017-08-30 2019-03-08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변색 소자용 전극필름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전기변색 소자용 전극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7102B1 (ko) 2012-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atra et al. Polyselenophenes
Cutler et al. Alkoxysulfonate-functionalized PEDOT polyelectrolyte multilayer films: electrochromic and hole transport materials
Sotzing et al. Poly (thieno [3, 4-b] thiophene): A p-and n-dopable polythiophene exhibiting high optical transparency in the semiconducting state
Gaupp et al. Multichromic copolymers based on 3, 6-bis (2-(3, 4-ethylenedioxythiophene))-N-alkylcarbazole derivatives
Schopf et al. Polythiophenes-electrically conductive polymers
De Keersmaecker et al. All polymer solution processed electrochromic devices: a future without indium tin oxide?
Wu et al. A solution‐processable high‐coloration‐efficiency low‐switching‐voltage electrochromic polymer based on polycyclopentadithiophene
Cui et al. Enhanced Electrochromism with Rapid Growth Layer‐by‐Layer Assembly of Polyelectrolyte Complexes
JP2009528396A (ja) 前駆体ポリマからの導電性ポリマ、その作製方法およびその使用
KR101263194B1 (ko) 금속 나노구조체와 전도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혼합 도전층을 포함하는 투명 전도성 박막 및 이의 제조방법.
US9535304B2 (en) Stable electrochromic module
Tran-Van et al. Self-supported semi-interpenetrating polymer networks for new design of electrochromic devices
Ahmadian-Alam et al. Fabrication and assessment of an electrochromic and radar-absorbent dual device based on the new smart polythiophene-based/RGO/Fe3O4 ternary nanocomposite
JP5637703B2 (ja) π電子系共役ポリマー及びその製造方法
Tao et al. Synthesis, characterizations and electrochromic properties of polymers based on functionalized anthracene
Huang et al. Effect of secondary dopants on electrochemical and spectro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polyaniline
Brooke et al. Effect of oxidant on the performance of conductive polymer films prepared by vacuum vapor phase polymerization for smart window applications
Zhang et al. Novel nanocellulose/conducting polymer composite nanorod films with improved electrochromic performances
Zhu et al. Molecular engineering tuning optoelectronic properties of thieno [3, 2-b] thiophenes-based electrochromic polymers
Yang et al. A Free‐standing electrochromic material of poly (5, 7‐bis (2‐(3, 4‐ethylenedioxy) thienyl)‐indole) and its application in electrochromic device
Cristina et al. Orange to black electrochromic behaviour in poly (2-(2-thienyl)-1H-pyrrole) thin films
KR101107102B1 (ko) 전도성 전기변색 고분자 재료의 제조방법
Zhang et al. A complementary electrochromic device based on polyaniline-tethered polyhedral oligomeric silsesquioxane and tungsten oxide
Nguyen et al. Exploring conducting polymers as a promising alternative for electrochromic devices
Lu et al. Stepwise enhancement on optoelectronic performances of polyselenophene via electropolymerization of mono-, bi-, and tri-selenophe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