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1957A - 흡수성 물품 및 생리대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및 생리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21957A KR20110021957A KR1020107029181A KR20107029181A KR20110021957A KR 20110021957 A KR20110021957 A KR 20110021957A KR 1020107029181 A KR1020107029181 A KR 1020107029181A KR 20107029181 A KR20107029181 A KR 20107029181A KR 20110021957 A KR20110021957 A KR 2011002195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t absorbing
- absorbent article
- absorbing material
- region
- absor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61F13/8405—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15/2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Derivative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2013/53048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superabsorbent materials, i.e. highly absorbent polymer gel materials
- A61F2013/53067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superabsorbent materials, i.e. highly absorbent polymer gel materials being mixed with mineral or inert material, e.g. "introfying particles"
- A61F2013/53068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superabsorbent materials, i.e. highly absorbent polymer gel materials being mixed with mineral or inert material, e.g. "introfying particles" with metallic soluble salts, e.g. Na, K, Mg chlorid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61F13/8405—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 A61F2013/8408—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with odour control
- A61F2013/8426—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with odour control with metallic sal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흡수성 물품은 액 투과성 표면 시트(10) 및 액 불투과성 이면 시트(40) 및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체(30)를 갖는 흡수성 물품(100)으로서, 흡수성 물품(100)에는 전방 영역(210)과 중앙 영역(220)과 후방 영역(230)이 흡수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되고, 흡열재(50)는 흡수성 물품의 중앙 영역(220)을 적어도 포함하는 배치 영역에서 흡수체(30) 내부에 배치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액 투과성 표면 시트 및 액 불투과성 이면 시트 및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체를 갖는 흡수성 물품 및 생리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착용자로부터 배설된 월경혈을 흡수하기 위해, 생리대 등의 흡수성 물품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일반적으로, 이러한 흡수성 물품은 액 투과성 표면 시트 및 액 불투과성 이면 시트 및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체를 갖는다.
[특허 문헌]
일본 특허 공개 제2001-190596호 공보
일본 특허 제3922722호 공보
그런데, 착용자로부터 배설된 월경혈 등의 체액은 흡수성 물품에 대하여 배설되자마자 증발 비산을 시작하기 때문에, 착용자의 피부 표면과 흡수성 물품 사이의 공간의 온도 및 습도가 상승하여, 착용자가 습한 느낌을 갖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월경혈이나 뇨 등의 체액이 배설되었을 때, 착용자가 느끼는 습한 느낌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흡수성 물품 및 생리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본 특허 제3922722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체액의 부착에 의해 온도가 변화(예를 들어, 흡열 반응)하는 흡열재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이 알려져 있지만, 이러한 흡수성 물품은 착용자에게 체액의 배설을 감지시키는 것이다. 즉, 이러한 흡수성 물품은 유아의 배변 훈련용 기저귀 등에 이용하기 위한 것으로, 착용자가 느끼는 습한 느낌을 억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은 액 투과성 표면 시트 및 액 불투과성 이면 시트 및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체를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성 물품에는 전방 영역과 중앙 영역과 후방 영역이 상기 흡수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되고, 흡열재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중앙 영역을 적어도 포함하는 배치 영역에서, 상기 흡수체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 특징에서, 상기 배치 영역 내의 상기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서의 상기 흡열재의 혼합률은, 상기 배치 영역 내의 상기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에서의 상기 흡열재의 혼합률보다 낮아도 좋다.
제1 특징에서, 입경이 상이한 상기 흡열재가 배치되어도 좋다.
제1 특징에서, 상기 흡수체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흡열재 중, 전체의 평균 입경의 ±100 ㎛ 범위 내에 존재하는 입경을 갖는 상기 흡열재가 60% 이하이어도 좋다.
제1 특징에서, 상기 흡수체 내부의 상기 표면 시트 측에 배치되는 상기 흡열재의 입경은 상기 흡수체 내부의 상기 이면 시트 측에 배치되는 상기 흡열재의 입경보다 작아도 좋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은 액 투과성 표면 시트 및 액 불투과성 이면 시트 및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체를 갖는 생리대로서, 상기 생리대에는 전방 영역과 중앙 영역과 후방 영역이 상기 흡수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되고, 흡열재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중앙 영역을 적어도 포함하는 배치 영역에서, 상기 흡수체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요지로 하는 것이다.
제2 특징에서, 상기 생리대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윙을 더 가지며, 상기 중앙 영역의 길이 방향 영역은 상기 윙의 길이 방향 영역이어도 좋다.
제2 특징에서, 상기 생리대에는 상기 흡수체의 폭 방향의 양측부에서 엠보스 홈이 형성되고, 상기 엠보스 홈은 상기 생리대의 길이 방향을 따르고 있고, 상기 흡열재는 상기 엠보스 홈의 내측에 배치되어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월경혈이나 뇨 등의 체액이 배설되었을 때, 착용자가 느끼는 습한 느낌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흡수성 물품 및 생리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흡열재의 입도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변형예 1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실험 장치의 횡단면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실험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습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온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습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온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흡열재의 입도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변형예 1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실험 장치의 횡단면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실험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습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온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습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온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에 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00)의 평면도이고, 도 2는 흡수성 물품(100)의 A-A'선 단면도이다.
흡수성 물품(100)은 예를 들어 생리대에 적용된다. 흡수성 물품(100)은 개별 포장 용기 등에 수납할 때에는 내면 쪽으로 3번 또는 4번 접힌 상태로 밀봉된다. 흡수성 물품(100)의 전체 형상은 직사각형, 타원형, 표주박형 등이어도 좋고, 착용자의 몸 및 내의의 형상에 맞는 형상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흡수성 물품(100)의 외형 치수로서, 길이 방향의 치수는 "100∼500 mm"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150∼350 mm"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폭 방향의 치수는 "30∼200 mm"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40∼180 mm"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 흡수성 물품(100)에는 전방 영역(210)과 중앙 영역(220)과 후방 영역(230)이, 흡수체(30)의 길이 방향(평면 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된다. 전방 영역(210)은 착용자의 배쪽의 피부 표면에 접촉하는 영역이고, 중앙 영역(220)은 착용자의 가랑이부의 피부 표면에 접촉하는 영역이고, 후방 영역(230)은 착용자의 엉덩이쪽의 피부 표면에 접촉하는 영역이다.
여기서, 중앙 영역(220)은 착용자가 흡수성 물품(100)을 장착했을 때, 월경혈 등의 체액이 가장 많이 부착되는 영역이다. 예를 들어, 중앙 영역(220)은 흡수성 물품(100)의 폭 방향 및 길이 방향의 중앙 근방의 영역이어도 좋다. 또한, 흡수성 물품(100)에 엠보스 홈(70a 내지 70b)(후술)이 형성되는 경우, 중앙 영역(220)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엠보스 홈(70a 내지 70b)(후술)의 가랑이 형상의 부분(80)을 중앙 영역(220)으로 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00)에는 흡수성 물품(100)을 내의에 고정시키기 위해, 흡수성 물품(10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윙(20a 내지 20b)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윙(20a 내지 20b)이 형성되는 경우, 윙(20a 내지 20b)에 대응하는 영역을 중앙 영역(220)으로 해도 좋다. 구체적으로, 윙(20a 내지 20b)이 형성되는 길이 방향 영역을 중앙 영역(220)의 길이 방향 영역으로 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윙(20a 내지 20b)이 형성되는 길이 방향 영역을 중앙 영역(220)의 길이 방향 영역으로서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100)은 액 투과성 표면 시트(10) 및 액 불투과성 이면 시트(40) 및 상기 표면 시트(10)와 상기 이면 시트(40)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체(30)를 갖는다. 표면 시트(10)는 착용자의 피부 표면에 접촉하고, 이면 시트(40)는 내의면에 접촉한다. 흡수성 물품(100)에서, 표면 시트(10)와 흡수체(30)와 이면 시트(40)는 각각의 층간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흡수성 물품(100)은 흡수체(30)의 둘레 가장자리부에서 표면 시트(10)와 이면 시트(40)를 접합하여, 흡수체(30)가 안쪽에 밀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 시트(10)와 이면 시트(40)의 접합 방법으로는, 히트 엠보스 가공, 초음파 또는 핫 멜트형 접착제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1 내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100)에는 표면 시트(10)와 흡수체(30)를 접합하기 위해, 표면 시트(10)와 흡수체(30)에 대하여, 엠보스 홈(70a 내지 70b)(소위 힌지)이 형성된다. 또한, 엠보스 홈(70a 내지 70b)은 흡수성 물품(100)이 가랑이부에 대하여 밀착되기 쉽도록, 가랑이부의 형상을 모사한 패턴(엠보스 패턴)으로 형성된다.
또한, 도 1 내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엠보스 홈(70a 내지 70b)은 흡수체(30)의 폭 방향의 양측부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서 형성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 흡수체(30)의 폭 방향의 양측부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수체(30)의 폭 방향의 간격을 W로 하면, 흡수체(30)의 중심으로부터 폭 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간격 W1 이상의 간격 W2로 표시되는 영역으로 한다. 예를 들어, 간격 W1을 "10 mm"로 하면, 양측부는 흡수체(30)의 중심으로부터 폭 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10 mm" 이상의 간격 W2로 표시되는 영역으로 한다. 양측부는 전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간격 W1과 간격 W2의 비를 "1:1"이나 "2:1"로 하여, 이러한 비에 대응하는 간격 W2의 영역으로 해도 좋다. 또한, 엠보스 홈(70a)과 엠보스 홈(70b)의 폭 방향의 간격은 "20∼60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수성 물품(100)은 월경혈 등의 체액이 옆으로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탄성재 등의 엘라스틱재를 이용한 주름(도시하지 않음)을 흡수체(30)의 폭 방향의 양측부에 형성해도 좋다.
표면 시트(10)는 소재로서 부직포를 이용하고 있다. 표면 시트(10)의 소재는 직포 또는 구멍이 있는 플라스틱 시트 등, 액체를 투과하는 구조를 갖는 시트형 재료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직포나 부직포의 소재로는 천연 섬유, 화학 섬유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천연 섬유의 예로는 분쇄 펄프, 코튼 등의 셀룰로오스를 들 수 있다. 화학 섬유의 예로는 레이온, 피브릴화 레이온 등의 재생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트리아세테이트 등의 반합성 셀룰로오스, 열가소성 소수성 화학 섬유, 또는 친수화 처리를 실시한 열가소성 소수성 화학 섬유를 들 수 있다. 열가소성 소수성 화학 섬유의 예로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단섬유,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을 그라프트 중합하여 이루어진 섬유, 심초 구조 등의 복합 섬유를 들 수 있다.
또한, 특히 부직포의 웹(web) 형성 방법으로는 건식(카드법, 스펀 본드법, 멜트 블로운법, 에어레이드법 등) 및 습식 중 어느 하나의 방법, 또는, 복수의 방법을 조합해도 좋다. 또한, 본딩의 방법으로는 서멀 본딩, 니들 펀치, 케미컬 본딩 등의 방법을 들 수 있지만, 특별히 이들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수류 교락법에 의해 시트형으로 형성한 스펀 레이스를 부직포로서 이용해도 좋다.
구멍이 있는 플라스틱 시트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열가소성 수지의 구멍이 있는 시트나, 다공질의 발포재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구멍이 있는 플라스틱 시트에는 필요에 따라서 산화티탄이나 탄산칼슘 등으로 이루어진 필러를 0.5∼10%의 범위에서 혼입해도 좋다. 또한, 구멍이 있는 시트로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필름을 천공법(perforation), 히트 엠보스 가공, 또는 기계 가공 등에 의해 구멍이 뚫린 필름을 사용해도 좋다. 이러한 구멍이 있는 필름은 부직포와의 복합 시트로서 사용해도 좋다.
이면 시트(40)는 내의 측의 면에 착용자의 내의에 접착하는 어긋남 방지용 접착부(60)가 배치된다. 상기 어긋남 방지용 접착부(60)의 외면에는, 박리 시트(도시하지 않음)가 접착에 의해 배치된다. 이면 시트(40)는 소재로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을 주체로 한 필름, 통기성의 수지 필름, 스펀 본드 또는 스펀 레이스 등의 부직포에 통기성의 수지 필름이 접합된 것이나, SMS의 복수층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면 시트(40)는 착용감을 손상하지 않을 정도의 유연성을 고려하면, 예를 들어,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수지를 주체로 하고, 평량이 "15∼30 g/㎡"의 범위인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체(30)는 친수성 섬유나 고분자(중합체)를 피복재로 덮도록 성형되는 것이어도 좋고, 에어레이드법에 의해 시트물로 성형된 에어레이드 시트여도 좋다.
친수성 섬유의 예로는 분쇄 펄프, 코튼 등의 셀룰로오스, 레이온, 피브릴화 레이온 등의 재생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트리아세테이트 등의 반합성 셀룰로오스, 입자형 중합체, 섬유형 중합체, 열가소성 소수성 화학 섬유, 또는 친수화 처리를 실시한 열가소성 소수성 화학 섬유 등을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저비용과 흡수체의 성형의 용이성을 고려하면, 분쇄 펄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분자(중합체)의 예로는 일반적으로 흡수성이나 흡습성이 있는 아크릴산나트륨 공중합체 등의 입상 중합체가 이용된다. 또한, 다른 특성을 얻기 위해, 은ㆍ구리ㆍ아연ㆍ실리카ㆍ활성탄ㆍ알루미노규산염 화합물ㆍ제올라이트 등의 입상 소취재를 사용해도 좋다.
피복재의 예로는 액 투과성이며 고분자 흡수체나 흡열재(후술)가 빠져나가지 않을 만큼의 배리어성이 있으면 되고, 직포, 부직포 등을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직포, 부직포의 소재로는 천연 섬유, 화학 섬유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천연 섬유의 예로는 분쇄 펄프, 코튼 등의 셀룰로오스를 들 수 있다. 화학 섬유의 예로는 레이온, 피브릴화 레이온 등의 재생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트리아세테이트 등의 반합성 셀룰로오스, 열가소성 소수성 화학 섬유, 또는 친수화 처리를 실시한 열가소성 소수성 화학 섬유를 들 수 있다.
부직포의 웹 형성에는 건식(카드법, 스펀 본드법, 멜트 블로운법, 에어레이드법 등)이나 습식 등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조합하여 행해도 좋다. 또한, 본딩의 방법으로는 서멀 본딩, 니들 펀치, 케미컬 본딩 등의 방법을 들 수 있지만, 특별히 이들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수류 교락법에 의해 시트형으로 형성한 스펀 레이스를 이용해도 좋다. 이들 중에서도, 저비용과 배리어성의 높이를 고려하면, 분쇄 펄프를 주재료로 하고 습식법으로 성형되는 티슈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수체(30)로서 에어레이드 시트를 사용하는 경우, 그 두께는 0.3∼5.0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에어레이드 시트의 예로는 섬유와 입자형 중합체를 바인더 등으로 시트물로 성형한 것을 들 수 있다. 입자형 중합체는 에어레이드 시트에서 층형으로 분산되어도 좋고, 두께 방향으로 치우쳐 있어도 좋다.
또한, 흡수체(30)에는 착용 중의 형 붕괴나 뒤틀림의 방지, 또는 두께를 조정하기 위해, 엠보스가 형성되어도 좋다. 엠보스는 패터닝된 엠보스 롤과 플랫 롤 사이에 흡수체를 통과시킴으로써 흡수체(30)에 형성할 수 있다. 엠보스 롤의 패턴은 격자형ㆍ도트형ㆍ물결형 등이 이용되지만, 두께를 조정하기 쉬운 격자형의 패턴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수체(30)의 길이 방향의 치수는 "90∼490 mm"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140∼340 mm"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폭 방향의 치수는 "25∼100 mm"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35∼80 mm"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수체(30)에는 흡열재(50)가 배치된다. 흡열재(50)는 체액 등의 액체에 접촉하면 흡열 반응을 발현시켜, 주변의 열 에너지를 흡수하는 수용성 물질이다. 흡열재(50)의 예로는 염화칼륨, 염화나트륨, 아세트산나트륨, 질산칼륨, 요소, 중조, 자일리톨, 트레할로오스 등, 수화에 의해 흡열 반응을 나타내는 수용성 물질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용해시의 피부에 대한 자극성이나, 장기간 보존 등의 안정성의 관점에서, 염화칼륨이 바람직하다.
(흡열재의 배치 영역)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00)에서의 흡열재(50)의 배치 영역에 관해 설명한다. 배설된 월경혈에 의해, 흡열 반응을 효율적으로 발현시키기 위해서는, 흡열재(50)의 배치 영역(225)은 착용자의 가랑이부에 접촉하는 영역을 적어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흡열재(50)는 흡수성 물품(100)의 길이 방향(평면 방향)에서 중앙 영역(220)을 적어도 포함하는 배치 영역에 배치되고, 흡수성 물품(100)의 두께 방향에서, 흡수체(30) 내부에 배치된다. 중앙 영역(220)의 길이 방향 영역은 윙(20a 내지 20b)의 길이 방향 영역에 해당한다. 또한, 흡열재(50)는 흡수성 물품(100)의 폭 방향(평면 방향)에서 엠보스 홈(70a)과 엠보스 홈(70b) 사이의 영역에 배치된다.
또한, 도 1의 예에서는, 흡열재(50)의 평면 방향의 배치 영역(225)이 메쉬 모양으로 나타난다. 여기서, 중앙 영역(220)을 적어도 포함하는 배치 영역이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 영역(220) 내의 영역이어도 좋고, 중앙 영역(220)의 일부 영역과 중앙 영역(220) 외의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이어도 좋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수체(30)의 길이 방향의 길이를 "L1"로 하면, 배치 영역(225)의 길이 방향의 길이는 "L1"에 대하여 30∼50%의 길이 "L2"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만일 배치 영역(225)의 길이 방향의 길이가 흡수성 물품(100)의 길이 방향의 길이에 대하여 30% 미만이면, 월경혈의 양이 적은 경우나 착용자가 흡수성 물품(100)을 적절한 위치에 장착하지 않은 경우 등에, 흡열재(50)의 흡열 반응이 발현하기 어려워질 가능성이 있다.
한편, 배치 영역(225)의 길이 방향의 길이가 50% 이상이면, 흡열재(50)가 착용자의 가랑이부로부터 배설된 월경혈 이외의 땀 등에 의해 흡열 반응하기 때문에, 착용자에게 필요 이상으로 차가운 느낌을 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배치 영역(225)의 길이 방향의 길이는 흡수성 물품(100)의 길이 방향의 길이에 대하여 30∼50%의 길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열재(50)의 배치 영역(225)은 중앙 영역(220) 뿐만 아니라, 흡수성 물품(100)의 길이 방향의 중앙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성 물품(100)의 중앙이란 흡수성 물품(100) 전체를 기준으로 한 중심이어도 좋고, 윙(20a 내지 20b)을 길이 방향으로 등분하는 중심선 상의 점이어도 좋고, 흡수체(30)의 양측부가 폭 방향에서 내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되어 형성되는 경우에는 흡수체(30)의 폭이 가장 좁아지는 부분이 길이 방향의 중앙이어도 좋다.
또한, 흡수성 물품(100)에서, 두께 방향으로 돌출된 중고부가 형성되는 경우, 흡수성 물품(100)의 중앙은 이러한 중고부의 평면 방향의 중앙이어도 좋다. 이러한 중고부는 크기가 상이한 복수의 흡수체(30)를 겹쳐 형성되어도 좋고, 흡수체(30)의 평량을 다른 영역의 평량보다 커지도록 형성되어도 좋다.
또한, 배치 영역(225)에서의 흡열재(50)의 밀도는 흡수체(30)의 전체면에서 균일해도 좋고, 중앙 영역(220)에서 높아지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흡열재(50)의 두께 방향의 위치는 흡열재(50)의 흡열 반응에 의해 착용자에게 차가운 느낌 등의 불쾌감을 주지 않는 위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흡열재(50)는 표면 시트(10)와 흡수체(30) 사이나 표면 시트의 내부에 배치해도 좋지만, 흡열 반응을 장시간 반복하거나 차가운 느낌을 주지 않기 위해서는, 흡수체(30) 내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열재(50)는 흡수체(30)의 두께 방향에서 밀도가 균일하게 배치되어도 좋다. 월경혈 등의 체액의 배설량이 적어도 온도를 저하시키기 위해서는, 흡열재(50)는 흡수체(30)의 두께 방향에서 피부 표면측의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열재의 입경)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열재(50)의 입경에 관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열재의 입도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또한, 도 3에서, 횡축이 입경을 나타내고, 종축이 전체 중량에 대한 비율(%)을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열재(50)에는 입경이 상이한 복수 종류의 흡열재가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흡열재(5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경이 상이한 흡열재(50a 내지 50i)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 흡열재(50a)의 입경은 "150 ㎛" 미만이고, 흡열재(50b)의 입경은 "150 ㎛" 이상 "250 ㎛" 미만이고, 흡열재(50c)의 입경은 "250 ㎛" 이상 "300 ㎛" 미만이고, 흡열재(50d)의 입경은 "300 ㎛" 이상 "355 ㎛" 미만이고, 흡열재(50e)의 입경은 "355 ㎛" 이상 "500 ㎛" 미만이고, 흡열재(50f)의 입경은 "500 ㎛" 이상 "600 ㎛" 미만이고, 흡열재(50g)의 입경은 "600 ㎛" 이상 "710" ㎛ 미만이고, 흡열재(50h)의 입경은 "710 ㎛" 이상 "850 ㎛" 미만이고, 흡열재(50i)의 입경은 "850 ㎛" 이상이다. 또, 도 3의 예에서, 전체의 평균 입경은 "425 ㎛"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흡열재(50)는, 흡수체(30)의 내부에 배치되는 흡열재의 전체(전체 중량) 중, 전체의 평균 입경의 ±100 ㎛ 범위 내(평균 입경 범위 내)에 존재하는 입경을 갖는 흡열재가 60% 이하(전체 중량의 60% 이하의 중량)이다.
구체적으로, 도 3의 예에서는, 전체의 평균 입경 "425 ㎛"에 대하여 ±100 ㎛ 범위는 "325 ㎛"∼"525 ㎛"의 범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러한 범위를 평균 입경 범위로서 설명한다. 또한, 도 3의 예에서는, 평균 입경 범위 내의 흡열재는 흡열재(50d)와 흡열재(50c)의 일부와 흡열재(50e)의 일부가 해당하여, 도 3에서 사선 모양으로 영역(90)으로서 나타낸다.
여기서, 도 3에서, 흡열재(50)의 전체 중량과 그래프의 전체 면적은 1:1의 비율로 대응한다. 따라서, 도 3에서, 그래프의 전체 면적에 대한 영역(90)의 면적의 비율이 흡열재(50)의 전체 중량에 대한 평균 입경 범위 내의 흡열재의 중량의 비율이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3에 나타내는 영역(90)의 면적이 그래프의 전체 면적의 60% 이하가 되도록 흡열재의 입경을 선정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열재(50)에서는 평균 입경 범위에 존재하는 흡열재의 비율을 60% 이하로 함으로써, 적어도 전체의 40% 이상을 다른 입경의 흡열재에 분산시키고 있다.
여기서, 흡열재의 성분이 동일하다면, 입경이 큰 흡열재일수록 완전 용해되는 속도가 느려진다. 이것은, 흡열재가 수화에 의해 용해될 때, 입자의 최외측 표면부터 용해되기 시작하기 때문에, 입경이 클수록, 즉 체적이 클수록 완전 용해되기에는 시간이 걸린다.
또한, 장시간 또는 반복 배설에서도 흡열 반응을 발현시키기 위해서는, 입경이 클수록 바람직하지만, 입경이 큰 흡열재만이 흡수체(30)에 배합되면, 흡수체(30)의 강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착용자에게 이물감을 주게 된다.
예를 들어, 평균 입경 범위 내의 흡열재의 비율이, 흡열재(50)의 전체의 60%보다 큰 경우, 입경이 큰 흡열재가 많아져 착용자에게 이물감을 주고, 입경이 작은 흡열재가 많아지는 경우는, 흡열 반응이 장시간 발현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전술한 평균 입경 범위 내의 흡열재의 비율은 흡열재(50)의 전체의 60% 이하의 비율, 구체적으로는 50% 이하의 비율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흡열재(50)에서, 흡열 반응을 장시간 발현시키고 흡수체(30)의 강성을 과도하게 높이지 않기 위해, 입경이 상이한 흡열재(50a 내지 50i)를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평균 입경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이물감의 관점과 생산성의 관점에서 300∼800 ㎛ 범위, 구체적으로는 350∼600 ㎛ 범위가 바람직하다. 또한, 흡열재의 입경은 도 3의 예에서의 범위에 한정되지 않는다.
(흡수체에서의 흡열재의 구성)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열재(50)의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흡열재(50)는 피복재에 의해 흡열재(50)만을 피복한 시트를 흡수체(30)의 상면에 배치해도 좋고, 펄프와 펄프 사이에 층형으로 흡열재(50)를 배치해도 좋다. 또한, 흡열재(50)는 표면 시트(10)와 흡수체(30) 사이에 끼워 넣어도 좋다.
여기서, 흡열재(50)는 수용성이므로, 첫번째의 월경혈의 배설에 의해, 예를 들어 입경이 작은 영역의 흡열재(50)가 용해된 경우, 흡열재(50)에 공간이 생기게 된다. 이러한 경우, 반복하여 월경혈이 배설되면, 표면 시트(10) 측으로부터 이면 시트(40) 측으로 월경혈이 잘 이행되지 않게 되어, 표면 시트(10)에 월경혈이 체류하여, 착용자에게 불쾌감을 주게 될 우려가 있다.
이상으로부터, 흡열재(50)는 펄프 등과 블렌드되어, 흡열재(50)가 어느 정도 분산되는 편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흡수체(30)는 펄프를 60∼98%의 범위, 입자형의 흡열재(50)를 40∼2%의 범위, 입자형 중합체를 20∼0%의 범위에서 혼합하여 티슈로 피복한 후, 엠보스 가공에 의해 시트화한 평량 100∼2000 g/㎡, 높이 1∼50 mm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엠보스 가공은 흡수체의 형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엠보스 면적률은 10∼100%의 범위, 구체적으로는 30∼8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체(30)에서의 흡열재(50)는 월경혈 등의 체액에 의해 흡열재(50)의 흡열 반응을 장시간 반복하는 구성이나, 차가운 느낌을 주지 않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층재(표면 시트(10) 측)에는 펄프 50∼150 gsm과 염화칼륨 0.5∼3.0 g을 블렌드한다. 하층재(이면 시트(40) 측)에는 펄프 50∼200 gsm과 고분자 흡수체 0.1∼0.5 g을 블렌드한다. 그리고, 상층재와 하층재를 서로 겹쳐 티슈로 피복한 후, 엠보스 가공을 한 것을 흡열재(50)로 해도 좋다.
(흡열재의 혼입량)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체(30)에서의 흡열재(50)의 혼입량에 관해 설명한다. 흡열재(50)의 혼입량은 흡열재(50)의 종류에 따라 용해열이나 용해도가 상이하거나, 흡열재(50)의 배치 위치에 따라서도 영향을 받는다. 여기서, 피부 표면과 흡수성 물품(100) 사이의 공간에서의 온도 및 습도의 급격한 상승을 억제시키는 점과, 착용자에게 차가운 느낌 등의 불쾌감을 주지 않는 점을 고려하면, 흡수성 물품(100) 1장당 흡열재(50)의 중량은 0.1∼10 g의 범위, 보다 구체적으로는 0.5∼5 g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흡수성 물품(100)을 생리대로서 이용하고, 염화칼륨을 흡열재(50)로서 이용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생리 기간 중의 월경혈량이 많은 날(1∼3일째)의 생리대 1장당 평균 흡수량은 일반적으로 약 6.0 ㎖인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염화칼륨의 용해도는 37℃±5℃로 조정한 실험액(생리 식염액)에 대해서는 약 27.0%인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것에서, 월경혈량 6.0 ㎖에 대하여 용해 가능한 염화칼륨은 약 2.0 g이 되어, 2.0 g 이상 염화칼륨을 혼입하더라도 그 이상은 흡열 반응을 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염화칼륨을 월경혈량이 많은 날의 생리대로서 이용한 경우는, 염화칼륨의 혼입량은 0.5∼3.0 g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1.0∼2.0 g의 범위가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00)에 의하면, 흡열재(50)가 흡수체(30)의 내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이러한 흡수성 물품(100)에 의하면, 월경혈 등의 체액이 배설되었을 때, 흡열재(50)의 흡열 반응에 의해, 흡수체(30)의 온도 및 습도가 상승하는 것을 억제한다. 즉, 이러한 흡수성 물품(100)에 의하면, 월경혈이나 뇨 등의 체액이 배설되었을 때, 착용자가 느끼는 습한 느낌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흡열재(50)로서 이용하는 수용성 물질이 혈액에 용해되면, 혈장 중의 용질의 농도가 상승한다. 이 때문에, 혈장의 침투압이 높아져, 적혈구 내의 수분이 적혈구의 밖으로 방출된다. 이에 따라, 적혈구가 수축하여, 적혈구의 체적이 감소한다. 적혈구의 체적이 감소하면, 혈액의 표면 장력이 높아져, 표면 시트(10)에 대한 혈액의 접촉각이 높아진다. 즉, 적혈구의 습윤성이 저감한다.
이와 같이, 표면 시트(10)를 일단 통과한 혈액에 수용성 물질이 용해되면, 혈액의 습윤성이 저감하기 때문에, 혈액은 표면 시트(10)를 다시 투과하여 피부 표면으로 잘 되돌아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착용자에게 건조한 느낌을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00)에 의하면, 흡열재(50)가 착용자의 피부 표면에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흡열재(50)의 흡열 반응에 의해, 착용자에게 차가운 느낌 등의 불쾌감을 주는 것이나, 흡열재(50)에 의해 온도가 저하된 월경혈 등의 체액이 표면 시트(10)에 체류하여, 착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00)에 의하면, 흡열재(50)는 흡수성 물품(100)의 중앙 영역(220)을 적어도 포함하는 영역에 배치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 중앙 영역(220)은 윙(20a 내지 20b)의 길이 방향 영역에 해당한다.
여기서, 일반적으로, 흡수성 물품(100)은 장착할 때 윙(20a)과 윙(20b) 사이의 영역이 가랑이부에 접촉하도록 이용된다. 따라서, 윙(20a 내지 20b)의 길이 방향 영역을 중앙 영역(220)으로 하고, 이러한 중앙 영역(220)을 적어도 포함하는 영역에 흡열재(50)를 배치함으로써, 착용자로부터의 월경혈 등의 체액을 보다 확실하게 흡열재(50)에 부착시켜 흡열 반응을 발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00)에서는, 표면 시트(10)와 흡수체(30)를 접합하기 위해 엠보스 홈(70a 내지 70b)이 형성되고, 흡열재(50)는 엠보스 홈(70a)과 엠보스 홈(70b) 사이의 영역에 배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00)에 의하면, 표면 시트(10)와 흡수체(30)가 잘 떨어지지 않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착용자로부터의 월경혈 등의 체액을 보다 확실하게 흡열재(50)에 부착시켜 흡열 반응을 발현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흡수성 물품(100)에 의하면, 흡열재(50)가 엠보스 홈(70a)과 엠보스 홈(70b) 사이의 영역에 배치되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100)에 뒤틀림이 발생한 경우라 하더라도, 흡열재(50)가 흡수체(30) 밖으로 나오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00)에 의하면, 흡열재(50)는 전체의 평균 입경의 ±100 ㎛ 범위 내에 존재하는 흡열재의 비율(전체 중량에 대한 중량비)을 60% 이하로 하고, 적어도 전체의 40% 이상을 다른 입경의 흡열재에 분산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흡수성 물품(100)에 의하면, 흡열재(50)가 흡열 반응을 장시간 발현시키고, 흡수체(30)의 강성을 과도하게 높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변형예 1)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변형예 1에 따른 흡수성 물품에 관해,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과의 상이점에 주목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변형예 1에 따른 흡수성 물품(100)에서는, 흡수체(30)의 표면 시트(10) 측에 배치되는 흡열재(50)의 입경은, 흡수체(30)의 이면 시트(40) 측에 배치되는 흡열재(50)의 입경보다 작다.
구체적으로, 본 변형예 1에 따른 흡수성 물품(100)에서는, 흡수체(30)의 표면 시트(10) 측에 도 3에 나타내는 흡열재(50a 내지 50d)를 배치하고, 흡수체(30)의 이면 시트(40) 측에 도 3에 나타내는 흡열재(50e 내지 50i)를 배치한다.
본 변형예 1에 따른 흡수성 물품(100)에 의하면, 표면 시트(10) 측에 입경이 작은 흡열재를 배치하기 때문에, 착용자에게 흡열재(50)에 의한 이물감을 주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변형예 2)
본 발명의 변형예 2에 따른 흡수성 물품에 관해,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과의 상이점에 주목하여 설명한다.
본 변형예 2에 따른 흡열재(50)에는 용해도가 상이한 복수 종류의 흡열재가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흡열재(50)에는 용해도가 상이한 복수 종류의 흡열재로서 염화칼륨의 흡열재와 요소의 흡열재와 트레할로오스의 흡열재가 배치된다.
염화칼륨의 용해도는 37℃±5℃로 조정한 실험액(생리 식염액)에 대해서는 약 27%이다. 다른 흡열재의 용해도를 예를 들면 37℃±5℃로 조정한 실험액(생리 식염액)에 대하여 요소는 약 61%, 트레할로오스는 약 47%이다.
여기서, 종류가 상이한 복수의 흡열재는, 각각의 용해도가 적어도 10% 이상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용해도가 약 27%인 염화칼륨(제1 흡열재)과 용해도가 약 61%인 요소(제2 흡열재)를 펄프에 혼합하여 흡수체(30)를 작성한 경우, 첫번째의 배설로 요소가 주체적으로 용해 또는 완전 용해되고, 2∼3번째의 배설로 염화칼륨이 완전 용해된다.
따라서, 본 변형예 2에 따른 흡열재(50)에 의하면, 흡열 반응을 장시간 발현시킬 수 있다. 용해도가 상이한 복수 종류의 흡열재는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에 관해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에 관해,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과의 상이점에 주목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10)의 평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10)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00)에 비해, 후방 영역(230)이 길이 방향으로 긴, 즉 착용자의 엉덩이쪽(꼬리뼈쪽) 피부 표면에 접촉하는 영역이 길다. 흡수성 물품(110)은, 예를 들어, 착용자가 와위(臥位) 상태(예를 들어, 위를 향해 누운 상태)인 경우에도, 착용자의 몸(예를 들어, 엉덩이)을 타고 흐르는 월경혈 등을 흡수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110)은 흡수성 물품(110)이 가랑이부에 대하여 밀착되기 쉽게 하기 위해, 표면 시트(10)와 흡수체(31)에서, 가랑이부의 형상을 모사한 엠보스 홈(71a 내지 71b)(소위 힌지)이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10)에서는, 흡열재는 흡수성 물품(110)의 중앙 영역(220)을 적어도 포함하는 배치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배치 영역 내의 흡수성 물품(110)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서의 흡열재의 혼합률은, 배치 영역 내의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에서의 흡열재의 혼합률보다 낮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110)에서는 흡열재(51 내지 52)가 흡수체(31)의 길이 방향에 걸친 배치 영역(227 내지 229)에 배치된다. 도 5의 예에서는, 흡열재(51 내지 52)의 평면 방향의 배치 영역(227 내지 229)이 메쉬 모양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치 영역(227 내지 229) 전체의 길이 방향의 길이는 흡수체(30)의 길이 방향의 길이를 "L3"으로 하면, 길이 "L3"과 대략 동등한 길이 "L4"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흡열재(51)는 흡수성 물품(110)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에서의 흡열재이다. 흡열재(51)는 길이 방향의 중앙부인 배치 영역(228)에 배치된다. 흡수성 물품(110)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는 흡수성 물품(110)의 길이 방향의 전체 길이의 중심을 적어도 포함하는 영역을 나타낸다.
또한, 흡열재(52)는 배치 영역(227 내지 229) 내의 흡수성 물품(110)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서의 흡열재이다. 흡열재(52)는 배치 영역(227)과 배치 영역(229)에 배치된다. 흡수성 물품(110)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는 흡수성 물품(110)을 착용자가 장착했을 때, 전술한 중앙부의 영역에 대한 배쪽 영역 및 엉덩이쪽 영역을 나타낸다.
또한, 배치 영역(227) 및 배치 영역(229)에서의 흡열재(52)의 혼합률은 배치 영역(228)에서의 흡열재(51)의 혼합률보다 낮다. 혼합률은 단위면적당 혼입량, 예를 들어, 단위면적당 흡열재의 중량을 나타낸다. 흡열재(51 내지 52)에는 입경이 상이한 흡열재가 배치되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10)에서는, 흡열재(51 내지 52)가 흡수체(31)의 길이 방향의 전체면에 걸친 배치 영역에 배치된다. 따라서, 착용자가 흡수성 물품(110)의 전방 영역(210)이나 후방 영역(230)에 월경혈 등의 체액을 배설한 경우라 하더라도, 흡열 반응을 보다 확실하게 발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10)에 의하면, 흡수성 물품(110)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서의 흡열재(52)의 혼합률이 길이 방향의 중앙부에서의 흡열재(51)보다 낮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110)에 의하면, 흡열재(51)가 배설되는 월경혈 등의 체액이 많은 중앙부에서도 충분한 흡열 반응을 발현시킬 수 있다.
또한, 흡수성 물품(110)에 의하면, 표면측 시트(10)를 일단 통과한 혈액에 수용성 물질이 용해됨으로써, 혈액의 습윤성이 저감된다. 이 때문에, 혈액은 표면측 시트(10)를 다시 투과하여 피부 표면으로 잘 되돌아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착용자에게 건조한 느낌을 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10)에 의하면, 월경혈 등의 체액이 배설되었을 때, 착용자가 느끼는 습한 느낌을 억제할 수 있다.
(그 밖의 실시형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생리대를 예를 들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생리대에 한정되지 않고, 팬티라이너 등의 여성용 흡수성 물품이나, 요실금 패드나 기저귀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 전술한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관해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당업자에게는, 본 발명이 본 명세서 중에서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분명하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수정 및 변경 양태로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기재는, 예시 설명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 대하여 전혀 제한적인 의미를 갖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 및 변형예는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실험 장치>
우선, 피부와 흡수성 물품 사이의 공간을 재현하기 위해, 또한 착용 중인 체액 확산 상태를 재현하기 위해, 도 6(a) 내지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은 실험 장치를 제작했다. 도 6(a)는 실험 장치의 횡단면도이고, 도 6(b)는 실험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실험 장치에서는, 세로 90 mm, 가로 70 mm, 깊이 10 mm가 되는 밀폐 공간을 아크릴 용기(300)로 작성했다. 실험 장치에는 이러한 밀폐 공간의 온습도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온습도 센서(350)를 설치했다.
아크릴 용기(300)의 위쪽에는 실험액이 세로 방향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시린지(340)를 세로 방향으로 2개 삽입할 수 있는 구멍과 1개의 시린지(340)로부터 세로 방향으로 2개소 적하되는 구멍(310∼320)을 형성한 아크릴 덮개를 설치했다. 즉, 실험액은 세로 방향으로 나열된 4개소 구멍으로부터 적하될 수 있도록 했다.
실험액의 조성은 체액의 염 농도와 맞추기 위해, 염화나트륨 농도가 0.9%가 되도록 염화나트륨과 증류수를 혼합한 생리 식염액을 이용했다.
실험액의 온도는 체액 온도와 맞추기 위해 37℃±5℃로 조정했다.
<실시예 1>
흡열재를 배치한 흡수체를 갖는 샘플 1을 제조했다. 구체적으로, 우선 흡수체의 상층재로서 펄프 150 gsm과 염화칼륨 1.5 g을 블렌드하여 길이 치수 100 mm, 폭 치수 30 mm로 성형했다.
염화칼륨(흡열재)의 평균 입경은 425 ㎛으로 하고, 325∼525 ㎛ 범위(평균 입경 범위)의 염화칼륨은 전체량에 대하여 42%로 했다. 염화칼륨의 입도 분포는 도 3에 나타내는 입도 분포였다.
또한, 흡수체의 하층재로서 펄프 130 gsm과 고분자 흡수체 0.3 g을 블렌드하여 길이 치수 200 mm, 폭 치수 70 mm로 성형했다.
성형 후, 상층재와 하층재를 서로 겹치고, 티슈 14 gsm로 피복했다. 피복 후, 엠보스 가공에 의해 흡수체의 두께를 3.4 mm가 되도록 조정했다.
엠보스 가공 후, 흡수체에는 에어스루 부직포 35 gsm을 표면 시트로서 위에 얹고, 표면 시트와 흡수체를 일체화하기 위해 양 사이드를 엠보스 가공으로 접합했다.
엠보스 가공으로 접합한 후, 표면 시트와 흡수체를 실험 장치에 배치하기 위해, 세로 치수 90 mm, 가로 치수 70 mm로 절단하여 성형한 것을 샘플 1로 했다.
샘플 2로서 흡열재를 배치하지 않은 흡수체를 제조했다. 샘플 2는 흡수체의 상층재에 염화칼륨(흡열재)이 배치되지 않은 점을 제외하고, 전술한 샘플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했다.
(평가 방법 1)
제조한 샘플 1을 이용하여 하기의 방법에 의해 평가 실험을 했다. 평가 실험은 35℃±5℃, 75 RH%±5 RH%의 환경 하에 행했다.
우선, 전술한 실험 장치의 아크릴 덮개를 열고, 샘플 1을 아크릴 용기(300)에 설치했다. 다음으로, 아크릴 덮개를 닫고, 안정화시키기 위해 15분 방치했다. 아크릴 덮개를 닫은 시점에서, 밀폐 공간의 온도 및 습도의 측정을 시작했다.
측정 시작 15분 후(안정화 후), 37℃±5℃로 조정한 실험액 2 ㎖를 적하했다. 30분 후, 동일 온도의 실험액 2 ㎖를 적하했다. 이 공정을 5회 반복하여, 합계 10 ㎖의 실험액을 적하했다. 또한, 측정 시작으로부터 합계 2시간 45분간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했다.
또한, 샘플 2에 관해서도 상기 평가 실험을 동일하게 행했다.
(평가 결과 1)
도 7(a) 내지 도 7(b)는 상기 평가 실험에 의해 얻어진 온도 및 습도의 측정 결과이다. 도 7(a)는 습도의 측정 결과이고, 도 7(b)는 온도의 측정 결과이다.
도 7(a) 내지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샘플 2에서는, 실험 장치의 밀폐 공간에서의 온도 및 습도가 실험액 2 ㎖를 적하한 직후부터 급상승하고 있는 데 비해, 샘플 1에서는, 온도 및 습도가 샘플 2에 비해 상승하지 않았다. 또한, 실험액 2 ㎖를 반복(5회) 적하한 경우에도, 샘플 1에서는 온도 및 습도가 샘플 2에 비해 상승하지 않았다.
(평가 방법 2)
얻어진 샘플 1을 이용하여 하기의 평가 실험을 했다. 평가 실험은 35℃±5℃, 75 RH%±5 RH%의 환경 하에서 행했다.
우선, 전술한 실험 장치의 아크릴 열고, 샘플 1을 아크릴 용기(300)에 설치했다. 다음으로, 아크릴 덮개를 열고, 안정화시키기 위해 15분 방치했다. 아크릴 덮개를 닫은 시점에서, 밀폐 공간의 온도 및 습도의 측정을 시작했다.
측정 시작 15분 후(안정화 후), 37℃±5℃로 조정한 실험액 6 ㎖를 적하했다. 그 후, 60분간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했다.
또한, 샘플 2에 관해서도 상기 평가 실험을 동일하게 행했다.
(평가 결과 2)
도 8(a) 내지 도 8(b)는 상기 평가 실험에 의해 얻어진 온도 및 습도의 측정 결과이다. 도 8(a)는 습도의 측정 결과이고, 도 8(b)는 온도의 측정 결과이다.
도 8(a) 내지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샘플 2에서는, 온도 및 습도가 적하한 직후부터 급상승하고 있는 데 비해, 샘플 1에서는 온도 및 습도가 샘플 2에 비해 상승하지 않았다.
(실시예 1에 따른 고찰)
전술한 평가 실험 및 평가 결과에서, 체액의 배설이 반복되는 경우나, 체액의 배설량이 많은 경우라 하더라도, 샘플 1은 피부 표면과 흡수성 물품 사이의 공간의 온도 및 습도의 급격한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샘플 1은 밀폐 공간의 온도가 샘플 2에 비해 극단적으로 저하되지 않음으로써, 착용자에게 차가운 느낌 등의 불쾌감을 주지 않을 정도라는 것도 알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흡수성 물품은 월경혈이나 뇨 등의 체액이 배설되었을 때, 피부 표면과 흡수성 물품 사이의 공간의 온도 및 습도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착용자가 느끼는 습한 느낌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예 2>
염화칼륨을 예로, 입경이 상이한 염화칼륨이, 수화에 의해 완전 용해되는 속도에 관해 평가 실험을 했다.
우선, 입경이 상이한 복수의 흡열재를 샘플로서 제조했다. 구체적으로, 입경이 "600∼710 ㎛"의 범위 내(입경이 큰 범위)인 흡열재를 샘플 A로서 제조하고, 입경이 "355∼500 ㎛"의 범위 내(입경이 평균 입경 범위)인 흡열재를 샘플 B로서 제조하고, 입경이 "150∼250 ㎛"의 범위 내(입경이 작은 범위)인 흡열재를 샘플 C로서 제조했다.
또한, 실험액을 제조했다. 구체적으로, 실험액의 조성을 체액의 염 농도와 맞추기 위해, 염화나트륨 농도가 0.9%가 되도록, 염화나트륨과 증류수를 혼합한 생리 식염액을 실험액으로서 제조했다.
(평가 방법)
우선, 실험액의 온도를 체액 온도와 맞추기 위해 37℃±5℃로 조정했다.
다음으로, 각 샘플 A 내지 C를 1.0 g 채취하여, 유리 비이커(50 ㎖용 직경 43 mm)에 넣었다.
또한, 유리 비이커에 실험액 3.0 ㎖를 적하했다.
실험액의 적하 시작으로부터 각 샘플이 완전 용해된 시간을 측정했다.
(평가 결과)
상기 평가 실험에 의해 하기의 측정 결과가 얻어졌다.
샘플 A: 입경이 큰 범위(600∼710 ㎛ 범위): 62분 10초
샘플 B: 평균 입경 범위(355∼500 ㎛ 범위): 52분 43초
샘플 C: 입경이 작은 범위(150∼250 ㎛ 범위): 25분 37초
(실시예 2에 따른 고찰)
전술한 평가 실험 및 평가 결과에 의하면, 실험액의 적하량이나 실험 환경의 온습도에 따라 달라지는 경우도 있지만, 입경이 큰 흡열재일수록 완전 용해되는 속도가 느려지는 경향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입경이 상이한 흡열재를 배합함으로써, 흡열 반응을 장시간 발현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일본 특허 출원 제2008-140053호(2008년 5월 28일 출원)의 모든 내용이 참조에 의해 본원 명세서에 삽입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흡수성 물품 및 생리대는 월경혈이나 뇨 등의 체액이 배설되었을 때, 착용자가 느끼는 습한 느낌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흡수성 물품 및 생리대의 제공에서 유용하다.
Claims (8)
- 액 투과성 표면 시트 및 액 불투과성 이면 시트 및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체를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성 물품에는 전방 영역과 중앙 영역과 후방 영역이 상기 흡수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되고,
흡열재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중앙 영역 내의 영역, 또는 중앙 영역의 일부 영역과 중앙 영역 외의 영역을 포함하는 배치 영역에서, 상기 흡수체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 영역 내의 상기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서의 상기 흡열재의 혼합률은, 상기 배치 영역 내의 상기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에서의 상기 흡열재의 혼합률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 제1항에 있어서, 입경이 상이한 복수의 상기 흡열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흡열재 중, 전체의 평균 입경의 ±100 ㎛ 범위 내에 존재하는 입경을 갖는 상기 흡열재가 6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 내부의 상기 표면 시트 측에 배치되는 상기 흡열재의 입경은, 상기 흡수체 내부의 상기 이면 시트 측에 배치되는 상기 흡열재의 입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 액 투과성 표면 시트 및 액 불투과성 이면 시트 및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체를 갖는 생리대로서,
상기 생리대에는 전방 영역과 중앙 영역과 후방 영역이 상기 흡수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되고,
흡열재는, 상기 생리대의 중앙 영역 내의 영역, 또는 중앙 영역의 일부 영역과 중앙 영역 외의 영역을 포함하는 배치 영역에서, 상기 흡수체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대.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생리대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윙을 더 가지며, 상기 중앙 영역의 길이 방향 영역은 상기 윙의 길이 방향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대.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생리대에는 상기 흡수체의 폭 방향의 양측부에서 엠보스 홈이 형성되고, 상기 엠보스 홈은 상기 생리대의 길이 방향을 따르고 있고, 상기 흡열재는 상기 엠보스 홈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8-140053 | 2008-05-28 | ||
JP2008140053 | 2008-05-28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21957A true KR20110021957A (ko) | 2011-03-04 |
Family
ID=41377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7029181A KR20110021957A (ko) | 2008-05-28 | 2009-05-25 | 흡수성 물품 및 생리대 |
Country Status (12)
Country | Link |
---|---|
US (1) | US20110178487A1 (ko) |
EP (1) | EP2292200A4 (ko) |
JP (1) | JP5261483B2 (ko) |
KR (1) | KR20110021957A (ko) |
CN (1) | CN102046124A (ko) |
AR (1) | AR071913A1 (ko) |
AU (1) | AU2009252425A1 (ko) |
BR (1) | BRPI0909532A2 (ko) |
CL (1) | CL2009001296A1 (ko) |
NZ (1) | NZ589783A (ko) |
TW (1) | TW201010676A (ko) |
WO (1) | WO2009145139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MY150440A (en) * | 2008-05-28 | 2014-01-30 | Uni Charm Corp | Absorbent article and sanitary napkin |
US9394637B2 (en) | 2012-12-13 | 2016-07-19 | Jacob Holm & Sons Ag | Method for production of a hydroentangled airlaid web and products obtained therefrom |
JP6219573B2 (ja) * | 2013-01-31 | 2017-10-25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JP6159121B2 (ja) * | 2013-03-29 | 2017-07-05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US10307308B2 (en) | 2014-09-30 | 2019-06-04 |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 Absorbent article demonstrating controlled deformation and longitudinal fluid distribution |
US9999554B2 (en) | 2014-09-30 | 2018-06-19 |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 Absorbent article demonstrating controlled deformation and longitudinal fluid distribution |
US10285873B2 (en) | 2014-09-30 | 2019-05-14 |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 Absorbent article demonstrating controlled deformation and longitudinal fluid distribution |
US9968496B2 (en) | 2014-09-30 | 2018-05-15 |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 Absorbent article demonstrating controlled deformation and longitudinal fluid distribution |
US10265224B2 (en) | 2014-09-30 | 2019-04-23 |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 Absorbent article demonstrating controlled deformation and longitudinal fluid distribution |
US20170367901A1 (en) * | 2016-06-27 | 2017-12-28 | Deborrah R. Peoples Ellis | Enhanced sanitary pad |
JP7049965B2 (ja) * | 2018-08-29 | 2022-04-07 | 大王製紙株式会社 | 脇用汗取りパッド |
JP7178844B2 (ja) * | 2018-09-21 | 2022-11-28 | 大王製紙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JP7012963B2 (ja) * | 2018-09-27 | 2022-02-15 | 大王製紙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US12049584B2 (en) * | 2019-03-18 | 2024-07-30 | Sabine Zureikat |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ensory stimulant |
Family Cites Familie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681298A (en) * | 1994-12-22 | 1997-10-28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Toilet training aid creating a temperature change |
BR9904370A (pt) * | 1999-09-28 | 2001-06-05 | Johnson & Johnson Ind Com | Absorvente higiênico feminino |
US6700034B1 (en) * | 1999-10-01 | 2004-03-02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Absorbent article with unitary absorbent layer for center fill performance |
JP3833034B2 (ja) | 2000-01-06 | 2006-10-11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水解性の吸収性物品 |
US7537586B2 (en) * | 2000-02-15 | 2009-05-26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Active change aids for external articles |
US20030139291A1 (en) * | 2001-12-04 | 2003-07-24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Absorbent composites having cooling effect |
JP4152760B2 (ja) * | 2003-01-29 | 2008-09-17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吸収性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
JP4746833B2 (ja) * | 2003-09-19 | 2011-08-10 | 大王製紙株式会社 | 女性用失禁パッド |
US20060142713A1 (en) * | 2004-12-29 | 2006-06-29 | Long Andrew M | Absorbent article featuring a temperature change member |
US7297835B2 (en) * | 2005-10-07 | 2007-11-20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Absorbent article featuring a temperature change member |
JP4791327B2 (ja) * | 2006-01-27 | 2011-10-12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使い捨ての体液吸収性着用物品 |
EP2083874A4 (en) * | 2006-11-17 | 2012-02-15 | Sca Hygiene Prod Ab | ABSORBENT ARTICLE |
JP2008140053A (ja) | 2006-11-30 | 2008-06-19 | Canon Software Inc | 情報管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
-
2009
- 2009-05-25 WO PCT/JP2009/059517 patent/WO2009145139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9-05-25 US US12/994,819 patent/US20110178487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9-05-25 NZ NZ589783A patent/NZ589783A/xx unknown
- 2009-05-25 CN CN2009801194887A patent/CN102046124A/zh active Pending
- 2009-05-25 BR BRPI0909532-2A patent/BRPI0909532A2/pt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9-05-25 EP EP09754647A patent/EP2292200A4/en not_active Withdrawn
- 2009-05-25 KR KR1020107029181A patent/KR20110021957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9-05-25 AU AU2009252425A patent/AU2009252425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9-05-25 JP JP2010514462A patent/JP5261483B2/ja active Active
- 2009-05-27 AR ARP090101885A patent/AR071913A1/es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9-05-27 CL CL2009001296A patent/CL2009001296A1/es unknown
- 2009-06-01 TW TW098118008A patent/TW201010676A/zh unkno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09145139A1 (ja) | 2009-12-03 |
AR071913A1 (es) | 2010-07-21 |
JP5261483B2 (ja) | 2013-08-14 |
US20110178487A1 (en) | 2011-07-21 |
EP2292200A1 (en) | 2011-03-09 |
BRPI0909532A2 (pt) | 2018-10-30 |
AU2009252425A1 (en) | 2009-12-03 |
CN102046124A (zh) | 2011-05-04 |
JPWO2009145139A1 (ja) | 2011-10-13 |
CL2009001296A1 (es) | 2010-07-19 |
NZ589783A (en) | 2012-09-28 |
TW201010676A (en) | 2010-03-16 |
EP2292200A4 (en) | 2012-12-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10021957A (ko) | 흡수성 물품 및 생리대 | |
US8802917B2 (en) | Absorbent article and sanitary napkin | |
EP2281535A1 (en) | Absorptive article and sanitary napkin | |
EP1813238B1 (en) | Absorbent laminate and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 |
KR101724762B1 (ko) | 흡수성 물품 | |
JP5074734B2 (ja) | 吸収性物品 | |
KR20110139738A (ko) | 흡수성 물품 | |
JP2009061230A (ja) | 吸収性物品 | |
JP2009519099A (ja) | 吸収性用品 | |
CN114206289B (zh) | 吸收性物品 | |
JP5113598B2 (ja) | 吸収性物品 | |
JP2021083694A (ja) | パンツ型吸収性物品 | |
CN217886385U (zh) | 吸收性物品 | |
US20230165736A1 (en) | Embossed absorbent systems and absorbent articles including the same | |
KR20110107379A (ko) | 흡수성 물품 | |
CN114206291A (zh) | 吸收性物品 | |
CN115066222A (zh) | 吸收性物品 | |
CN114206286A (zh) | 吸收性物品 | |
KR20100126271A (ko) | 일회용 기저귀 | |
JP2020130442A (ja) | 吸収性物品 | |
CN114206287A (zh) | 吸收性物品 | |
CN114206288A (zh) | 吸收性物品 | |
JP2020093091A (ja) | 吸収性物品 | |
JP2020151079A (ja) | 吸収性物品 | |
JP2004329302A (ja) | 体液吸収性パッドおよび体液吸収性物品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