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1630A - 우레탄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 실록산,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우레탄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 실록산,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1630A
KR20110021630A KR1020100027891A KR20100027891A KR20110021630A KR 20110021630 A KR20110021630 A KR 20110021630A KR 1020100027891 A KR1020100027891 A KR 1020100027891A KR 20100027891 A KR20100027891 A KR 20100027891A KR 20110021630 A KR20110021630 A KR 201100216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hydroxy
formula
polysiloxane
urethane bo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7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5035B1 (ko
Inventor
김선미
김재현
신경무
조성환
김환기
서동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양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양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양사
Publication of KR20110021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16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5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50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7/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4 or 14 of the Periodic System
    • C07F7/02Silicon compounds
    • C07F7/08Compounds having one or more C—Si linkages
    • C07F7/0834Compounds having one or more O-Si linkage
    • C07F7/0838Compounds with one or more Si-O-Si seque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4/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4/18Block or graft polymers
    • C08G64/186Block or graft 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42Block-or graft-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 C08G77/445Block-or graft-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containing polyester sequences
    • C08G77/448Block-or graft-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containing polyester sequences containing polycarbonate sequences

Abstract

본 발명은 우레탄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 실록산,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우레탄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 실록산은 하기 화학식 1을 가질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32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알킬기, 알콕시기, 아릴기, 또는 히드록시기를 나타낼 수 있고, R2는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3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낼 수 있고, R3는 독립적으로, 탄소수 2 내지 8의 알킬렌기를 나타낼 수 있고, X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렌기, 사이클로 알킬렌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30의 단핵 또는 다핵 아릴렌기를 나타낼 수 있으며. m은 독립적으로, 0 내지 4의 정수를 나타낼 수 있고, n은 독립적으로, 2 내지 1000의 정수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는 상기 우레탄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 실록산을 반복단위로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우레탄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 실록산,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 방법{URETHANE BOND-CONTAINING HYDROXY-TERMINATED SILOXANE, POLYSILOXANE-POLYCARBONATE COPOLYM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히드록시 말단 실록산 및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우레탄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 실록산과, 상기 우레탄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 실록산을 반복단위로 포함하는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카보네이트는 인장강도와 내충격성 등의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고, 치수안전성, 내열성 및 광학적 투명성 등이 우수하여 산업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다만, 폴리카보네이트는 실온에서는 우수한 내충격성을 갖지만, 저온에서는 급격히 내충격성이 떨어지는 취약점이 있다. 이러한 취약점을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공중합체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으며,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가 저온에서 우수한 내충격성을 갖는다는 것이 알려지게 되었다.
그러나, 종래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는 저온에서 우수한 내충격성을 갖지만, 내스크래치성, 내마모성이 취약하여 외장재로 사용할 때 품질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 내마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에 다른 폴리머를 혼합하는 시도가 있지만, 폴리카보네이트가 갖는 투명성 등의 성질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투명성, 내마모성 및 저온 충격성이 우수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우레탄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 실록산을 제공한다. 상기 우레탄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 실록산은 상기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우레탄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 실록산은 하기 화학식 1을 가질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알킬기, 알콕시기, 아릴기, 또는 히드록시기를 나타낼 수 있고, R2는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3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낼 수 있고, R3는 독립적으로, 탄소수 2 내지 8의 알킬렌기를 나타낼 수 있고, X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렌기, 사이클로 알킬렌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30의 단핵 또는 다핵 아릴렌기를 나타낼 수 있으며. m은 독립적으로, 0 내지 4의 정수를 나타낼 수 있고, n은 독립적으로, 2 내지 1000의 정수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우레탄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 실록산은 하기 화학식 2의 히드록시 말단 실록산과 하기 화학식 3의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반응생성물일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2
상기 화학식 2에서, R1은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알킬기, 알콕시기, 아릴기, 또는 히드록시기를 나타낼 수 있고, R2는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3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낼 수 있고, R3는 독립적으로, 탄소수 2 내지 8의 알킬렌기를 나타낼 수 있으며, m은 독립적으로, 0 내지 4의 정수를 나타낼 수 있고, n은 2 내지 1000의 정수를 나타낼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pat00003
상기 화학식 3에서, X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렌기, 사이클로 알킬렌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30의 단핵 또는 다핵의 아릴렌기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는 상기 우레탄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 실록산과 하기 화학식 6의 폴리카보네이트 블록을 반복단위로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6]
Figure pat00004
상기 화학식 6에서, R4는 알킬기, 사이클로알킬기, 알케닐기, 알콕시기, 할로겐 원자, 또는 니트로로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30의 방향족 탄화수소기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에서, 상기 우레탄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 실록산은 0.5 내지 2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는 15000 내지 150000의 점도평균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은 상기 우레탄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 실록산과 올리고머성 폴리카보네이트를 계면반응 조건 하에서 반응시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중간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중간체를 제 1 중합 촉매를 이용하여 중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중간체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우레탄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 실록산과 상기 올리고머성 폴리카보네이트를 0.5:99.5 내지 20:80의 중량 비율로 혼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간체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우레탄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 실록산과 상기 올리고머성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혼합물은 상전이 촉매, 분자량 조절제 및 제 2 중합 촉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간체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우레탄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 실록산과 상기 올리고머성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우레탄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 실록산과 상기 올리고머성 폴리카보네이트의 반응이 완료된 후 상기 혼합물에서 유기상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중간체를 중합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 1 중합 촉매를 상기 추출된 유기상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올리고머성 폴리카보네이트는 분자량이 800 내지 150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는 우레탄 결합을 갖는 실록산을 함유하는 것에 의해 우수한 투명성을 유지하면서, 내마모성 및 저온 충격성 등의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는 투명성뿐만 아니라, 내마모성 및 저온 충격성의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헬멧, 자동차 부품, 및 핸드폰 하우징 등의 다양한 용도에서 이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장점은 이하의 실시예들을 통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인 "반응생성물"은 둘 이상의 반응물이 반응하여 형성되는 물질을 의미한다.
또,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등의 용어는 중합 촉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상기 중합 촉매가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러한 용어들은 단지 중합 촉매들을 서로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예를 들어, 제 1 중합 촉매와 제 2 중합 촉매는 서로 같은 종류의 촉매일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종류의 촉매일 수도 있다.
또, 본 명세서에서 기재된 화학식에서 수소, 할로겐 원자 및/또는 탄화수소기 등을 대표하여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영문자 "R"은 숫자로 표시되는 하첨자를 갖지만, 상기 "R"이 이 같은 하첨자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R"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원자, 및/또는 탄화수소기 등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둘 이상의 "R"이 같은 숫자의 하첨자를 갖는다고 하여도, 이 "R"들은 같은 탄화수소기를 나타낼 수도 있고, 다른 탄화수소기를 나타낼 수도 있다. 또, 둘 이상의 "R"이 서로 다른 숫자의 하첨자롤 갖는다고 하여도, 이 "R"들은 같은 탄화수소기를 나타낼 수도 있고, 다른 탄화수소기를 나타낼 수도 있다.
<우레탄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 실록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우레탄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 실록산은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5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알킬기, 알콕시기, 아릴기 또는 히드록시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할로겐 원자는 Cl 또는 Br일 수 있고, 상기 알킬기는 메틸기, 에틸기, 또는 프로필기일 수 있다. 또, 상기 알콕시기는 메톡시기, 에톡시기, 또는 프로폭시기일 수 있고, 상기 아릴기는 페닐기, 클로로페닐기, 또는 톨릴기일 수 있다. R2는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3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R2는 탄소수 1 내지 13의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 탄소수 2 내지 13의 알케닐기 또는 알케닐옥시기, 탄소수 3 내지 6의 사이클로알킬기 또는 사이클로알콕시기, 탄소수 6 내지 10의 아릴옥시기, 탄소수 7 내지 13의 아르알킬기 또는 아르알콕시기, 또는 탄소수 7 내지 13의 알크아릴기 또는 알크아릴옥시기일 수 있다. R3는 독립적으로, 탄소수 2 내지 8의 알킬렌기를 나타낼 수 있다. X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렌기, 사이클로 알킬렌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30의 단핵 또는 다핵 아릴렌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아릴렌기는 비스페놀 A, 레소시놀, 하이드로퀴논, 또는 디페닐페놀에서 유래한 것일 수 있다. m은 독립적으로, 0 내지 4의 정수를 나타낼 수 있다. n은 독립적으로, 2 내지 1000의 정수,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00의 정수,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0의 정수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의 우레탄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 실록산은 하기 화학식 2의 히드록시 말단 실록산과 하기 화학식 3의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반응생성물일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6
상기 화학식 2에서, R1은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알킬기, 알콕시기, 아릴기, 또는 히드록시기를 나타낼 수 있고, R2는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3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낼 수 있고, R3는 독립적으로, 탄소수 2 내지 8의 알킬렌기를 나타낼 수 있으며, m은 독립적으로, 0 내지 4의 정수를 나타낼 수 있고, n은 2 내지 1000의 정수를 나타낼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pat00007
상기 화학식 3에서, X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렌기, 사이클로 알킬렌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30의 단핵 또는 다핵의 아릴렌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X는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지방족기, 주쇄에 산소, 질소, 또는 황 원자를 포함하는 지방족기, 또는 비스페놀 A, 레소시놀, 하이드로퀴논, 또는 디페닐페놀로부터 유래될 수 있는 방향족기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하기 화학식 4a 내지 4h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화학식 4a]
Figure pat00008
[화학식 4b]
Figure pat00009
[화학식 4c]
Figure pat00010
[화학식 4d]
Figure pat00011
[화학식 4e]
Figure pat00012
[화학식 4f]
Figure pat00013
[화학식 4g]
Figure pat00014
[화학식 4h]
Figure pat00015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예를 들어, 1,4-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1,4-phenylenediisocyanate), 1,3-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1,3-phenylenediisocyanate), 또는 4,4'-메틸렌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4,4'-methylenediphenyl diisocyanate)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2의 히드록시 말단 실록산은 예를 들어, 히드록시기와 이중결합을 가지고 있는 하기 화학식 5a의 화합물과 실리콘을 함유하고 있는 하기 화학식 5b의 화합물을 플라티늄 촉매를 이용하여 2:1의 몰비로 합성하여 제조될 수 있다.
[화학식 5a]
Figure pat00016
상기 화학식 5a에서, R1은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알킬기, 알콕시기, 아릴기, 또는 히드록시기를 나타낼 수 있고, m은 0 내지 4의 정수를 나타낼 수 있으며, k는 1 내지 7의 정수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할로겐 원자는 Cl 또는 Br일 수 있고, 상기 알킬기는 메틸기, 에틸기, 또는 프로필기일 수 있다. 또, 상기 알콕시기는 메톡시기, 에톡시기, 또는 프로폭시기일 수 있고, 상기 아릴기는 페닐기, 클로로페닐기, 또는 톨릴기일 수 있다.
[화학식 5b]
Figure pat00017
상기 화학식 5b에서, R2는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3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R2는 탄소수 1 내지 13의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 탄소수 2 내지 13의 알케닐기 또는 알케닐옥시기, 탄소수 3 내지 6의 사이클로알킬기 또는 사이클로알콕시기, 탄소수 6 내지 10의 아릴옥시기, 탄소수 7 내지 13의 아르알킬기 또는 아르알콕시기, 또는 탄소수 7 내지 13의 알크아릴기 또는 알크아릴옥시기일 수 있다. n은 2 내지 1000의 정수,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00의 정수,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0의 정수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2의 히드록시 말단 실록산의 제조와 관련하여 미국특허 US 6,072,011호를 참조할 수 있다.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는 상기 우레탄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 실록산과 하기 화학식 6의 폴리카보네이트 블록을 반복단위로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6]
Figure pat00018
상기 화학식 6에서, R4는 알킬기, 사이클로알킬기, 알케닐기, 알콕시기, 할로겐 원자, 또는 니트로로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30의 방향족 탄화수소기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방향족 탄화수소기는 하기 화학식 7을 갖는 화합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화학식 7]
Figure pat00019
상기 화학식 7에서, X는 알킬렌기, 작용기를 갖지 않는 직선형, 분지형 또는 환형 알킬렌기, 또는 설파이드, 에테르, 설폭사이드, 설폰, 케톤, 나프틸, 이소부틸페닐과 같은 작용기를 포함하는 직선형, 분지형, 또는 환형 알킬렌기를 나타낼 수 있다. 바람직하게, X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직선형, 분지형, 또는 환형 알킬렌기일 수 있다. R5와 R6는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또는 직선형, 분지형 또는 환형 알킬기를 나타낼 수 있다. n 및 m은 독립적으로, 0 내지 4의 정수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7의 화합물은 예를 들어, 비스(4-히드록시페닐)메탄, 비스(4-히드록시페닐)페닐메탄, 비스(4-히드록시페닐)나프틸메탄, 비스(4-히드록시페닐)-(4-이소부틸페닐)메탄, 1,1-비스(4-히드록시페닐)에탄, 1-에틸-1,1-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1-페닐-1,1-비스(4-히드록시페닐)에탄, 1-나프틸-1,1-비스(4-히드록시페닐)에탄, 1,2-비스(4-히드록시페닐)에탄, 1,10-비스(4-히드록시페닐)데칸, 2-메틸-1,1-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페닐)부탄, 2,2-비스(4-히드록시페닐)펜탄, 2,2-비스(4-히드록시페닐)헥산, 2,2-비스(4-히드록시페닐)노난, 2,2-비스(3-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플루오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4-메틸-2,2-비스(4-히드록시페닐)펜탄, 4,4-비스(4-히드록시페닐)헵탄, 디페닐-비스(4-히드록시페닐)메탄, 레소시놀(Resorcinol), 하이드로퀴논(Hydroquine), 4,4'-디히드록시페닐 에테르[비스(4-히드록시페닐)에테르], 4,4'-디히드록시-2,5-디히드록시디페닐 에테르, 4,4'-디히드록시-3,3'-디클로로디페닐 에테르, 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에테르, 비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에테르, 1,4-디히드록시-2,5-디클로로벤젠, 1,4-디히드록시-3-메틸벤젠, 4,4'-디히드록시디페놀[p,p'-디히드록시페닐], 3,3'-디클로로-4,4'-디히드록시페닐, 1,1-비스(4-히드록시페닐)사이클로헥산, 1,1-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사이클로헥산, 1,1-비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사이클로헥산, 1,1-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사이클로도데칸, 1,1-비스(4-히드록시페닐)사이클로도데칸, 1,1-비스(4-히드록시페닐)부탄, 1,1-비스(4-히드록시페닐)데칸, 1,4-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1,4-비스(4-히드록시페닐)부탄, 1,4-비스(4-히드록시페닐)이소부탄, 2,2-비스(4-히드록시페닐)부탄, 2,2-비스(3-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메탄, 비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메탄, 2,2-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브로모-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4-비스(4-히드록시페닐)-2-메틸-부탄, 4,4'-티오디페놀[비스(4-히드록시페닐)설폰], 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설폰, 비스(3-클로로-4-히드록시페닐)설폰, 비스(4-히드록시페닐)설파이드, 비스(4-히드록시페닐)설폭사이드, 비스(3-메틸-4-히드록시페닐)설파이드, 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설파이드, 비스(3,5-디브로모-4-히드록시페닐)설폭사이드, 4,4'-디히드록시벤조페논, 3,3',5,5'-테트라메틸-4,4'-디히드록시벤조페논, 4,4'-디히드록시 디페닐, 메틸히드로퀴논, 1,5-디히드록시나프탈렌, 및 2,6-디히드록시나프탈렌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중 대표적인 것은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비스페놀 A)이다. 이외의 작용성 페놀류들(dihydric phenol)은 미국특허 US 2,999,835호, US 3,028,365호, US 3,153,008호, 및 US 3,334,154호 등을 참조할 수 있으며, 상기 2가 페놀류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해서 사용될 수 있다.
카보네이트 전구체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다른 모노머로서, 예를 들어, 카보닐 클로라이드(포스겐), 카보닐 브로마이드, 비스 할로 포르메이트, 디페닐카보네이트 또는 디메틸카보네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제조에 사용되는 폴리카보네이트는 분자량이 800 내지 1500인 올리고머성 폴리카보네이트일 수 있다. 상기 올리고머성 폴리카보네이트는 상기 2가 페놀류 화합물을 알칼리 수용액에 첨가하여 페놀염 상태로 만든 다음 염 상태의 페놀류를 포스겐 가스를 주입한 디클로로메탄에 넣어 반응시켜 제조될 수 있다. 올리고머 제조를 위해서는 포스겐 대 비스페놀의 몰비를 약 1:1 내지 1.5:1의 범위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포스겐 대 비스페놀의 몰비는 약 1:1 내지 1.2:1일 수 있다.
상기 올리고머 형성 반응은 일반적으로 약 15 내지 60℃ 범위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반응 혼합물의 pH를 조절하기 위해 알칼리금속 수산화물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알칼리금속 수산화물은 예를 들어, 수산화나트륨일 수 있다.
상기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에서, 상기 우레탄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 실록산의 함량은 약 0.5 내지 20중량%일 수 있고, 상기 폴리카보네이트의 함량은 약 80 내지 99.5중량%일 수 있다. 상기 우레탄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 실록산의 함량이 0.5중량% 미만이면 내마모성이 저하될 수 있고, 20중량%를 초과하면 내마모성은 우수하나 투명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점도평균분자량은 15000 내지 150000일 수 있다. 상기 점도평균분자량이 15000 미만이면 기계적 물성이 현저히 저하될 수 있고, 150000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용융점도의 상승으로 수지의 가공에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는 폴리카보네이트를 함유하는 유기상-수상 혼합물에 우레탄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 실록산을 첨가하고, 단계적으로 분자량 조절제 및 촉매를 투입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는 분자량이 800 내지 1500인 올리고머성 폴리카보네이트일 수 있다.
상기 분자량 조절제로는 폴리카보네이트 제조에 사용되는 모노머와 유사한 단일 작용성 물질(monofunctional compound)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단일 작용성 물질은, 예를 들어, p-이소프로필페놀, p-tert-부틸페놀(p-tert-butylphenol, PTBP), p-큐밀(cumyl)페놀, p-이소옥틸페놀, 및 p-이소노닐페놀과 같은 페놀을 기본으로 하는 유도체 또는 지방족 알콜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p-tert-부틸페놀(PTBP)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촉매로는 중합 촉매 및/또는 상전이 촉매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중합 촉매는 예를 들어, 트리에틸아민(tri-ethylamine, TEA)일 수 있고, 상기 상전이 촉매는 하기 화학식 8을 갖는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8]
(R7)4Q+X-
상기 화학식 8에서, R7은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를 나타낼 수 있고, Q는 질소 또는 인을 나타낼 수 있으며, X는 할로겐 원자 또는 -OR8을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R8은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18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18의 아릴기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상전이 촉매는 예를 들어, [CH3(CH2)3]4NX, [CH3(CH2)3]4PX, [CH3(CH2)5]4NX, [CH3(CH2)6]4NX, [CH3(CH2)4]4NX, CH3[CH3(CH2)3]3NX, CH3[CH3(CH2)2]3NX일 수 있다. 여기서, X는 Cl, Br 또는 -OR8일 수 있다. 여기서, R8은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18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18의 아릴기일 수 있다.
상기 상전이 촉매의 함량은 약 0.1 내지 1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전이 촉매의 함량이 0.1중량% 미만이면 반응성이 떨어질 수 있고, 10중량%를 초과하면 침전물로 석출될 수 있고, 투명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제조한 후 메틸렌클로라이드에 분산된 유기상을 알칼리 세정한 후 분리한다. 계속해서 상기 유기상을 O.1N 염산용액을 사용하여 세척한 후 증류수로 2~3회 반복하여 세정한다.
세정이 완료되면 메틸렌클로라이드에 분산된 상기 유기상의 농도를 일정하게 조정하여 70 내지 80℃ 범위에서 일정량의 순수를 이용하여 조립(Granulation)화한다. 순수의 온도가 70℃ 미만이면 조립 속도가 늦어 조립시간이 과다하게 걸리고, 80℃를 초과하면 일정한 크기의 폴리카보네이트의 형상을 얻는 것이 어렵다. 조립이 완결되면 1차로 100~110℃에서 5~10시간, 2차로 110~120℃에서 5~10시간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히드록시 말단 실록산의 제조>
실시예 1
100mL 3구 플라스크에 콘덴서를 장착하고, 질소 분위기 하에서 유지놀(eugenol) 5g(0.03mol)과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8.83g (0.015mol)을 클로로벤젠(chlorobenzene) 50mL에 녹였다. 완전히 녹인 다음 플라티늄 촉매(platinum(0)-1,3-divinyl-1,1,3,3-tetramethyldisiloxane complex) 0.03g (0.00364 mmol)을 넣고 24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반응시킨 용액의 용매를 제거한 후, 증류수를 이용하여 세척하였다. 이에 의해, 하기 화학식 9의 히드록시 말단 실록산이 제조되었다.
[화학식 9]
Figure pat00020
상기 화학식 9에서, n은 45 내지 55의 정수를 나타낸다.
<우레탄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 실록산의 제조>
실시예 2
100mL 3구 플라스크에 콘덴서를 장착하고, 질소 분위기 하에서 상기 실시예 1에서 합성한 히드록시 말단 실록산 2g(2.2mmol)을 클로로포름(chloroform) 20mL에 완전히 녹인 후, 1,4-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1,4-phenylenediisocyanate) 0.176g(1.1mmol)와 클로로포름(chloroform) 20mL를 섞은 용액을 적하 깔때기를 이용하여 60℃ 용액에 천천히 첨가하였다. 위의 혼합 용액에 DBTL(dibutyl tin dilaruate) 또는 트리에틸렌디아민(triethylenediamine, TEDA)를 소량 첨가한 후, 24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용매를 제거한 후, 증류수를 이용하여 세척하였다. 이에 의해, 하기 화학식 10a의 우레탄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 실록산이 제조되었다.
[화학식 10a]
Figure pat00021
상기 화학식 10a에서, n은 45 내지 55의 정수를 나타낸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실시예 1에서 합성한 히드록시 말단 실록산 2g(2.2mmol)을 클로로포름(chloroform) 20mL에 완전히 녹인 후, 1,3-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1,3-phenylenediisocyanate) 0.176g(1.1mmol)와 클로로포름(chloroform) 20mL를 섞은 용액을 적하 깔때기를 이용하여 60℃ 용액에 천천히 첨가하였다. 위의 혼합 용액에 DBTL(dibutyl tin dilaruate) 또는 트리에틸렌디아민(TEDA)를 소량 첨가한 후, 24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용매를 제거한 후, 증류수를 이용하여 세척하였다. 이에 의해, 하기 화학식 10b의 우레탄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 실록산이 제조되었다.
[화학식 10b]
Figure pat00022
상기 화학식 10b에서, n은 45 내지 55의 정수를 나타낸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실시예 1에서 합성한 히드록시 말단 실록산 2g(2.2mmol)을 클로로포름(chloroform) 20mL에 완전히 녹인 후, 4,4'-메틸렌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4,4'-methylenediphenyl diisocyanate) 0.176g(1.1mmol)와 클로로포름(chloroform) 20mL를 섞은 용액을 적하 깔때기를 이용하여 60℃ 용액에 천천히 첨가하였다. 위의 혼합 용액에 DBTL(dibutyl tin dilaruate) 또는 트리에틸렌디아민(TEDA)를 소량 첨가한 후, 24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용매를 제거한 후, 증류수를 이용하여 세척하였다. 이에 의해, 하기 화학식 10c의 우레탄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 실록산이 제조되었다.
[화학식 10c]
Figure pat00023
상기 화학식 10c에서, n은 45 내지 55의 정수를 나타낸다.
실시예 5
질소 조건하에서 Dow Corning사의 모노머 BY16-799 100 g(0.0666 mol)을 벤젠(benzene) 100mL에 녹인 후, 1,4-diazabicyclo[2,2,2]-octane 0.7478g(6.66 mmol)을 첨가하였다. 위의 용액을 환류시키는 상태에서, 4,4-메틸렌 비스(페닐 이소시아네이트) (4,4-methylene bis(phenyl isocynate)) 8.342g(0.0333mol)을 벤젠(benzene) 200mL에 녹인 후, 천천히 1시간 동안 첨가하였다. 위의 용액을 12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반응이 끝난 용액의 용매를 제거한 후, 아세톤(acetone)에 녹여, 뜨거운 증류수를 이용하여 세척하였다. 진공 오븐에서 24시간 건조시켰다. 이에 의해, 하기 화학식 10d의 우레탄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 실록산이 제조되었다.
[화학식 10d]
Figure pat00024

실시예 6
상기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질소 조건하에서 Dow Corning사의 모노머 BY16-752 100g(0.0333 mol)을 벤젠(benzene) 100mL에 녹인 후, 1,4-diazabicyclo[2,2,2]-octane 0.3739g(3.33mmol)을 첨가하였다. 위의 용액을 환류시키는 상태에서, 4,4-메틸렌 비스(페닐 이소시아네이트)(4,4-methylene bis(phenyl isocynate)) 4.171g(0.0166 mol)을 벤젠(benzene) 150 mL에 녹인 후, 천천히 1시간 동안 첨가하였다. 위의 용액을 12시간 동안 환류 시켰다. 반응이 끝난 용액의 용매를 제거한 후, 아세톤(acetone)에 녹여, 뜨거운 증류수를 이용하여 세척하였다. 진공 오븐에서 24시간 건조시켰다. 이에 의해, 하기 화학식 10e의 우레탄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 실록산이 제조되었다.
[화학식 10e]
Figure pat00025

실시예 7
질소 조건하에서 Dow Corning사의 모노머 BY16-799 60g(0.04mol)을 벤젠(benzene) 100mL에 녹인 후, 1,4-diazabicyclo[2,2,2]-octane 0.5g(4.4mmol)을 첨가하였다. 위의 용액을 환류시키는 상태에서, 1,6-디이소시아나토헥산(1,6-diisocyanatohexane) 3.3638g(0.02 mol)을 벤젠(benzene) 100mL에 녹인 후, 천천히 1시간 동안 첨가하였다. 위의 용액을 12시간 동안 환류 시켰다. 반응이 끝난 용액의 용매를 제거한 후, 아세톤(acetone)에 녹여, 뜨거운 증류수를 이용하여 세척하였다. 진공 오븐에서 24시간 건조시켰다. 이에 의해, 하기 화학식 10f의 우레탄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 실록산이 제조되었다.
[화학식 10f]
Figure pat00026

실시예 8
상기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질소 조건하에서 Dow Corning사의 모노머 BY16-752 60g(0.02mol)을 벤젠(benzene) 100mL에 녹인 후, 1,4-diazabicyclo[2,2,2]-octane 0.25g(2.2mmol)을 첨가하였다. 위의 용액을 환류시키는 상태에서, 1,6-디이소시아나토헥산(1,6-diisocyanatohexane) 1.6819g(0.01mol)을 벤젠(benzene) 100mL에 녹인 후, 천천히 1시간 동안 첨가하였다. 위의 용액을 12시간 동안 환류 시켰다. 반응이 끝난 용액의 용매를 제거한 후, 아세톤(acetone)에 녹여, 뜨거운 증류수를 이용하여 세척하였다. 진공 오븐에서 24시간 건조시켰다. 이에 의해, 하기 화학식 10g의 우레탄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 실록산이 제조되었다.
[화학식 10g]
Figure pat00027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제조>
실시예 9
수용액상의 비스페놀 A와 포스겐 가스를 메틸렌클로라이드 존재 하에서 계면 반응시켜 점도평균분자량이 약 1000인 올리고머성 폴리카보네이트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수득한 올리고머성 폴리카보네이트 혼합물에 메틸렌클로라이드에 용해된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우레탄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 실록산 1중량%, 테트라부틸암모늄클로라이드(tetrabutyl ammonium chloride, TBACl), p-tert-부틸페놀(PTBP), 트리에틸아민(tri-ethylamine, TEA)을 혼합한 후 30분 반응시켰다. 상기 30분 동안 반응시킨 혼합물에서, 층 분리 후 유기상만 채취하여 여기에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메틸렌클로라이드, 트리에틸아민을 혼합하여 2시간 반응시켰다. 층 분리 후 점도가 상승한 유기상을 알칼리 세정한 후 분리하였다. 상기 유기상을 염산 용액으로 세척한 후 증류수로 2~3회 반복하여 세정하였다. 세정 후 상기 유기상의 농도를 일정하게 70℃에서 일정양의 순수와 아세톤을 이용하여 조립하였다. 조립이 완결된 후, 1차로 110℃에서 8시간, 2차로 120℃에서 10시간 건조시켰다. 제조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물성을 측정하여 아래 표 1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10
상기 실시예 9와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우레탄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 실록산 5중량%를 사용하여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물성을 측정하여 아래 표 1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11
상기 실시예 9와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우레탄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 실록산 7중량%를 사용하여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물성을 측정하여 아래 표 1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12
상기 실시예 9와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우레탄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 실록산 10중량%를 사용하여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물성을 측정하여 아래 표 1에 기재하였다.
비교예 1
점도평균분자량이 30000인 선형 폴리카보네이트(삼양사, 3030IR)의 물성을 측정하여 아래 표 1에 기재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9와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화학식 9를 갖는 히드록시 말단 실록산 5중량%를 사용하여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물성을 측정하여 아래 표 1에 기재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9와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화학식 9를 갖는 히드록시 말단 실록산 10중량%를 사용하여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물성을 측정하여 아래 표 1에 기재하였다.
물성 실시예 비교예
5 6 7 8 9 10 11 12 1 2 3
실록산함량(중량%) 1 5 7 10 1 5 7 10 0 5 10
점도평균분자량(Mv) 21000 20500 20300 19500 37000 34500 38000 35000 30000 36500 34000
충격강도
(kgcm/cm)
상온 71 73 73 75 70 73 73 72 71 73 73
-50℃ 60 64 63 65 34 55 60 62 13 50 60
투과율(%) 90 89 83 80 90 89 83 80 91 73 55
마모량(mg) 12시간 6 5 3 3 6 5 3 3 12 10 13
24시간 16 15 13 12 15 13 10 10 25 24 23
48시간 30 27 24 22 31 26 24 22 65 50 55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5 내지 12에 따라 제조된 우레탄 결합을 갖는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가 상기 비교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에 비하여 매우 우수한 물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 상기 비교예 2 및 3과 같이 상기 화학식 9의 히드록시 말단 실록산을 사용하여 제조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경우, 시간이 지날수록 마모량이 현저히 증가하며, 투과율이 낮아 투명성이 좋지 않다.
실시예 13
상기 실시예 9와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된 우레탄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 실록산 5중량%를 사용하여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물성을 측정하여 아래 표 2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14
상기 실시예 9와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된 우레탄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 실록산 5중량%를 사용하여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물성을 측정하여 아래 표 2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15
상기 실시예 9와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된 우레탄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 실록산 7중량%를 사용하여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물성을 측정하여 아래 표 2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16
상기 실시예 9와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된 우레탄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 실록산 7중량%를 사용하여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물성을 측정하여 아래 표 2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17
상기 실시예 9와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실시예 5에서 제조된 우레탄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 실록산 7중량%를 사용하여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물성을 측정하여 아래 표 2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18
상기 실시예 9와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실시예 6에서 제조된 우레탄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 실록산 7중량%를 사용하여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물성을 측정하여 아래 표 2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19
상기 실시예 9와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실시예 7에서 제조된 우레탄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 실록산 7중량%를 사용하여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물성을 측정하여 아래 표 2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20
상기 실시예 9와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실시예 8에서 제조된 우레탄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 실록산 7중량%를 사용하여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물성을 측정하여 아래 표 2에 기재하였다.
물성 실시예
13 14 15 16 17 18 19 20
실록산함량(중량%) 5 5 7 7 7 7 7 7
점도평균분자량(Mv) 19500 20300 35000 36300 38000 35400 31000 32000
충격강도
(kgcm/cm)
상온 70 73 71 74 72 73 67 69
-50℃ 60 65 60 62 61 64 50 52
투과율(%) 85 85 85 83 82 83 80 80
마모량(mg) 12시간 6 5 6 5 5 4 6 6
24시간 19 17 19 20 18 17 21 22
48시간 29 28 29 30 26 24 32 31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3 내지 20에 따라 제조된 우레탄 결합을 갖는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경우, 시간이 지날수록 마모량이 현저히 감소하며, 투과율이 높아 투명성이 우수하다.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사용한 성능 평가 방법은 다음과 같다.
(a) H-NMR(핵자기 공명 분광기): 브루커(Bruker)사의 Avance DRX 300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H-NMR로 0.2ppm에서 관찰되는 디메틸실록산의 메틸기의 피크와 2.6ppm에서 관찰되는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결합부의 메틸렌기의 피크 및 3.9ppm에서 관찰되는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결합부의 메톡시기의 피크로 공중합체를 확인하였다.
(b) 점도평균분자량: 우베로드 점도계(Ubbelohde Viscometer)를 사용하여 20℃에서 메틸렌클로라이드 용액의 점도를 측정하고 이로부터 극한점도 [η]를 다음 식에 의해 산출하였다.
[η]=1.23×10-5 Mv0.83
(c) 투과율: 헤이즈 미터(Haze meter: BYK GARDNER사의 HAZE-GARD PLUS)를 사용하여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d) 충격강도: 충격시험기(CEAST사의 RESIL IMPACTOR)를 사용하여 상온 및 -50℃에서 충격강도를 측정하였다.
(e) 마모량: 마모시험기(TABER® INDUSTRIES사의 5130, 하중 1000g, CS-17) 사용하여 시간 별(12, 24, 48시간)로 마모량을 측정하였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하기 화학식 1을 갖는 우레탄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 실록산.
    [화학식 1]
    Figure pat00028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알킬기, 알콕시기, 아릴기, 또는 히드록시기를 나타내고, R2는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3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R3는 독립적으로, 탄소수 2 내지 8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X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렌기, 사이클로 알킬렌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30의 단핵 또는 다핵의 아릴렌기를 나타내며. m은 독립적으로, 0 내지 4의 정수를 나타내고, n은 독립적으로 2 내지 1000의 정수를 나타낸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 실록산은 하기 화학식 2의 히드록시 말단 실록산과 하기 화학식 3의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반응생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레탄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 실록산.
    [화학식 2]
    Figure pat00029

    (상기 화학식 2에서, R1은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알킬기, 알콕시기, 아릴기, 또는 히드록시기를 나타내고, R2는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3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R3는 독립적으로, 탄소수 2 내지 8의 알킬렌기를 나타내며, m은 독립적으로, 0 내지 4의 정수를 나타내고, n은 2 내지 1000의 정수를 나타낸다.)
    [화학식 3]
    Figure pat00030

    (상기 화학식 3에서, X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렌기, 사이클로 알킬렌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30의 단핵 또는 다핵의 아릴렌기를 나타낸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우레탄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 실록산과 하기 화학식 6의 폴리카보네이트 블록을 반복단위로 포함하는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화학식 6]
    Figure pat00031

    (상기 화학식 6에서, R4는 알킬기, 사이클로알킬기, 알케닐기, 알콕시기, 할로겐 원자, 또는 니트로로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30의 방향족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 실록산은 0.5 내지 2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의 점도평균분자량이 15000 내지 15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우레탄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 실록산과 올리고머성 폴리카보네이트를 계면반응 조건 하에서 반응시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중간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중간체를 제 1 중합 촉매를 이용하여 중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체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우레탄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 실록산과 상기 올리고머성 폴리카보네이트를 0.5:99.5 내지 20:80의 중량 비율로 혼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체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우레탄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 실록산과 상기 올리고머성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혼합물은 상전이 촉매, 분자량 조절제 및 제 2 중합 촉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체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우레탄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 실록산과 상기 올리고머성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우레탄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 실록산과 상기 올리고머성 폴리카보네이트의 반응이 완료된 후 상기 혼합물에서 유기상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체를 중합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 1 중합 촉매를 상기 추출된 유기상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올리고머성 폴리카보네이트는 분자량이 800 내지 15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KR1020100027891A 2009-08-25 2010-03-29 우레탄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 실록산,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11450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8833 2009-08-25
KR20090078833 2009-08-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1630A true KR20110021630A (ko) 2011-03-04
KR101145035B1 KR101145035B1 (ko) 2012-05-21

Family

ID=43930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7891A KR101145035B1 (ko) 2009-08-25 2010-03-29 우레탄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 실록산,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503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00606A1 (en) * 2011-12-29 2013-07-04 Samyang Corporation Flame-retardant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thereof
WO2013100494A1 (en) * 2011-12-26 2013-07-04 Samyang Corporation Method of preparing polysiloxane-polycarbonate copolymer
KR101332434B1 (ko) * 2010-08-26 2013-11-22 제일모직주식회사 비스하이드록시아릴실록산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432677B1 (ko) * 2011-10-31 2014-08-25 주식회사 삼양사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US9701783B2 (en) 2012-10-29 2017-07-1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olydiorganosiloxane polyurethan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30083A (en) * 1994-07-21 1996-06-25 General Electric Company Silicone-polycarbonate block copolymers and polycarbonate blends having reduced haze, and method for making
US6660787B2 (en) 2001-07-18 2003-12-09 General Electric Company Transparent, fire-resistant polycarbonate compositions
DE102004035710A1 (de) * 2004-07-23 2006-03-16 Wacker Chemie Ag Vernetzbares Siloxan-Harnstoff-Copolymere
DE102004062354A1 (de) * 2004-12-23 2006-07-06 Wacker Chemie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Granulaten von thermoplastischen Siloxanpolymer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2434B1 (ko) * 2010-08-26 2013-11-22 제일모직주식회사 비스하이드록시아릴실록산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432677B1 (ko) * 2011-10-31 2014-08-25 주식회사 삼양사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WO2013100494A1 (en) * 2011-12-26 2013-07-04 Samyang Corporation Method of preparing polysiloxane-polycarbonate copolymer
WO2013100606A1 (en) * 2011-12-29 2013-07-04 Samyang Corporation Flame-retardant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thereof
US9701783B2 (en) 2012-10-29 2017-07-1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olydiorganosiloxane polyuretha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5035B1 (ko) 2012-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9201B1 (ko) 에스테르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 실록산,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1432677B1 (ko)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448058B1 (ko) 저온 내충격성이 향상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06518803A (ja) 透明耐熱性ポリカーボネート−ポリシロキサン共重合体、そのポリカーボネートとの透明ブレンド及び製造方法
KR101492956B1 (ko)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KR101145035B1 (ko) 우레탄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 실록산,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2258391B1 (ko) 내충격성, 난연성 및 투명도가 우수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400348B1 (ko) 포스페이트-함유 히드록시 말단 실록산,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102115799B1 (ko) 투명성 및 저온 내충격성이 향상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528362B1 (ko) 투명성이 향상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184801B1 (ko) 실록산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분지상 폴리카보네이트
TW201615699A (zh) 具有改良之透度及低溫衝擊抗性之聚矽氧烷-聚碳酸酯共聚物及其製備方法
KR102383997B1 (ko)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 혼합물을 이용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EP3406649B1 (en) Copolycarbonate and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same
KR101530322B1 (ko) 투명성이 향상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CN115443299B (zh) 利用羟基末端聚硅氧烷混合物的聚硅氧烷-聚碳酸酯共聚物及其制备方法
JPH024835A (ja) シリコーン―ポリアリールカーボネートブロック共重合体の製造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