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1547A - 가습기 - Google Patents

가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1547A
KR20110021547A KR1020090079404A KR20090079404A KR20110021547A KR 20110021547 A KR20110021547 A KR 20110021547A KR 1020090079404 A KR1020090079404 A KR 1020090079404A KR 20090079404 A KR20090079404 A KR 20090079404A KR 20110021547 A KR20110021547 A KR 201100215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umidifier
main body
cover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9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지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한씨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한씨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한씨스템
Priority to KR1020090079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21547A/ko
Publication of KR20110021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15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음파 진동자에 의해 수증기가 발생되는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초음파 진동자가 구비되는 본체가 물이 저장되는 수조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구성되고 본체에 구비되는 물급수로를 통하여 하부에 배치되는 수조에 물을 간편하게 보충할 수 있는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초음파 진동자에 의해 수증기가 발생되는 가습기에 있어서, 상기 수증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구비되는 커버; 상기 커버에 의해 개방된 상부가 덮여지고 외부로부터 전원 인가시 작동되는 전기회로부가 상부면에 탑재되며 상기 초음파 진동자에 의해 변환되는 수증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는 이동로가 구비되며 내부에 상기 초음파 진동자가 수용되어 상기 이동로와 연통되도록 하부면에 돌출되는 중공의 발진부가 구비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초음파 진동자에 의해 수증기로 변환되는 물이 저장되는 수조;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구의 주위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물급수로가 상기 수조와 연통되도록 구비된다.
가습기, 초음파 진동자, 분리, 세척, 물급수로

Description

가습기{A humidifier}
본 발명은 초음파 진동자에 의해 수증기가 발생되는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초음파 진동자가 구비되는 본체가 물이 저장되는 수조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구성되고 본체에 구비되는 물급수로를 통하여 하부에 배치되는 수조에 물을 간편하게 보충할 수 있는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비가 오지 않는 겨울철, 특히 아파트와 같은 콘크리트 건물에서는 겨울철에 실내가 극히 건조해지며, 이렇게 건조한 실내는 피부병이나 호흡기 질환등의 질병을 일으키는 하나의 원인이 되고 있다. 특히, 현대인은 대부분의 시간을 실내에서 지내기 때문에 실내의 습도유지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사무실 등의 실내공간에서는 실내공기의 습도유지를 위해 가습기를 사용하고 있으며, 병원의 입원실이나 유아가 있는 가정에서는 가습기가 필수적인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가습기는 그 가습방식에 따라 물을 끓여서 증기를 만들어 분무하는 스팀식, 물을 흡입하되 이를 원심력으로 물입자를 생성시켜 분무하는 원심분무식, 수조 내의 물을 초음파의 진동에 의하여 미세화된 물 입자를 생성되게 하고 이를 팬으로 불어 분무하는 초음파식 및, 젖은 필터에 공기를 통과시키고 팬으로 물을 증발시켜 분무하는 필터 기화식 등으로 다양하게 개시되어 있다. 이중, 근래에는 초음파식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가습기를 오랫동안 사용하게 되면, 물통과 가습조에 곰팡이나 세균 등이 번식되어 오염이 심각하게 발생하게 되므로 건강을 위한 가습기가 오히려 실내공기를 오염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물통과 가습조를 자주 세척하여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초음파식 가습기는 가습조가 케이싱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케이싱을 이동시켜 세척하여야 하는 불편한 단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케이싱의 내부는 전자회로로 구성되어 있어 세척 시에 물의 유입으로 가습기의 고장이나 인체 감전의 위험이 항상 존재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초음파식 가습기는 외부의 충격이 가해져서 가습기가 기울어지거나 쓰러졌을 경우에 가습조에 담겨있던 물이 외부로 누출되어 외부의 바닥면을 적시거나 사용자의 옷을 적셔 감전의 위험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초음파 진동자는 긁힘에 예민한 부품이어서 세척시 쉽게 파손될 수 있는 소모성 부품임이 잘 알려져 있지만 종래의 초음파식 가습기는 케이싱 내부에 초음파 진동자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간편하게 분리하여 세척하거나 교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하여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본체와 물이 저장되는 수조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세척이 용이한 가습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에 배치되는 본체로부터 하부에 배치되는 수로로 연결되는 물급수로가 구비됨으로써 사용자가 간편하게 물을 수조에 채울 수 있는 가습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초음파 진동자가 수용되는 발진부의 하부가 착탈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초음파 진동자의 세척과 교체가 용이한 가습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초음파 진동자에 의해 수증기가 발생되는 가습기에 있어서, 상기 수증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구비되는 커버; 상기 커버에 의해 개방된 상부가 덮여지고 외부로부터 전원 인가시 작동되는 전기회로부가 상부면에 탑재되며 상기 초음파 진동자에 의해 변환되는 수증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는 이동로가 구비되며 내부에 상기 초음파 진동자가 수용되어 상기 이동로와 연통되도록 하부면에 돌출되는 중공의 발진부가 구비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초음파 진동자에 의해 수증기로 변환되는 물이 저장되는 수조;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구의 주위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물급수로가 상기 수조와 연통되도록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물급수로는 상기 커버의 하부면에 돌출형성되는 중공의 제1급수로가 상기 본체의 하부면에 일정길이 돌출형성되는 제2급수로에 삽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조는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가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덮개는 그 둘레를 따라 돌출형성되는 융기부가 구비되어 상기 수조의 내주면에 상기 융기부와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홈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덮개의 상부면과 상기 본체의 하부면 중 어느 일측에 돌출형성되는 결합부가 구비되고 타측에 피결합부가 구비되어 상기 본체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구속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조는 그 하부면이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 이격되도록 다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조의 바닥면에 주위보다 높이가 낮은 오목부가 구비되어 상기 발진부의 하부가 상기 오목부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진부는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도록 상기 이동로의 일단과 결합되는 상부발진부와, 상기 상기발진부의 일단과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발진부로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발진부는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걸림턱이 돌출형성되어 상기 초음파 진동자가 수조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하여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본체와 물이 저장되는 수조가 착탈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세척이 용이하여 청결하게 사용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에 배치되는 본체로부터 하부에 배치되는 수로로 연결되는 물급수로가 구비됨으로써 사용자가 간편하게 물을 수조에 채울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초음파 진동자가 수용되는 발진부의 하부가 착탈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도면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된다 하더라도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의 전체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커버의 주요 부분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의 주요 부분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하부발진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덮개와 수조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가습기(100)는 초음파 진동자의 발진에 의해 수조 내에 저장된 물 이 수증기로 변환되어 배출되는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 초음파 진동자가 구비되는 본체(120)가 물이 저장되는 수조(140)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구성되고 본체(120)에 구비되는 급수로를 통하여 하부에 배치되는 수조(140)에 물을 간편하게 보충할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상기 가습기(100)는 커버(110), 본체(120) 및 수조(140)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110)는 본체(120)의 상부면에 배치되는 여러가지 부품들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대략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120)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구비된다.
상기 커버(110)의 중앙영역에는 배출구(112)가 구비되어 상기 본체(120)에서 발생되는 수증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배출구(112)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114a)을 갖는 캡(114)이 구비되어 배출구(112)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캡(114)은 외부로 배출되는 수증기가 관통공(114a)을 통하여 여러 방향으로 분산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커버(110)의 하부면에는 배출구(112)의 둘레방향을 따라 하부로 돌출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급수로(116)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기 제1급수로(116)를 통하여 물을 보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제1급수로(116)는 후술할 본체(120)에 구비되는 제2급수로(125)에 삽입되어 사용자가 수조(140)에 물을 보충할 수 있는 물급수로를 구성하게 되는 것으로, 커버(110)의 하부면으로부터 일정길이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급수로(125)에 삽입됨으로써 사용자가 물을 보충하는 과정에서 본체(120)의 상부면으로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누전과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커버(110)가 반구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체(120)의 상부면을 덮고 커버(110)의 하부면과 본체의 상부면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형상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함을 밝혀둔다.
상기 본체(12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수조에 저장되어 있는 물을 수증기로 변환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부면에 전기회로부(121), 조명등(122) 및 송풍팬(123)이 구비되고 하부면에 발진부(126,127)가 하부로 일정길이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전기회로부(121)는 본체(120)의 상부면에 배치되어 케이블을 매개로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발진부(126,127)에 구비되는 초음파 진동자(128)를 작동시켜 물을 수증기로 전환할 수 있도록 구동시키고, 송풍팬(123)을 구동시켜 배출구(112)를 통해 수증기가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며, 조명등(122)에 전원을 인가하여 온/오프 작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전기회로부(121)는 통상의 가습기에 사용되는 공지의 것으로 이하에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조명등(122)은 본체(120)의 상부면에 탑재되는 것으로 상기 전기회로부(121)와 케이블을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전원인가시 전기회로부(121)를 통해 전원을 인가받게 된다. 이러한 조명등(122)의 온/오프 작동은 본체 의 상부면 일측에 외부로 돌출되도록 스위치(122a)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을 통하여 전기회로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게 된다.
한편, 상기 본체(120)의 중앙영역에는 초음파 진동자(128)에 의해 발생되는 수증기가 커버(110)에 형성되는 배출구(11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발진부(126,127)와 배출구(112)를 연결하는 이동로(124)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이동로(124)는 본체의 하부면으로부터 하부측으로 연장되어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구비된다. 이러한 이동로(124)는 초음파 진동자(128)에 의해 발생되는 수증기가 이동로(124)를 따라 상부로 이동된 후 커버(110)에 구비되는 배출구(1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이동로(124)의 주위에는 하부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되는 중공의 제2급수로(125)가 구비된다. 상기 제2급수로(125)는 커버의 하부면에 구비되는 제1급수로(116)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커버(110)와 본체(120)의 결합시 상기 제1급수로(116)가 제2급수로(125)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제2급수로(125)에 제1급수로(116)가 삽입되어 수조(140)에 물이 보충될 수 있도록 하는 물급수로가 구비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물급수로를 통해 수조(140)에 물을 보충하는 과정에서 본체(120)의 상부면으로 물이 유입되지 않고 곧바로 수조(140)에 유입되도록 하여 누전과 같은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발진부(126,127)는 상,하부가 개방된 중공의 형태로 구비되는 것으로, 상부가 상기 이동로(124)의 일단에 고정결합되고 내부에는 초음파 진동자(128)가 배치된다.
이러한 발진부(126,127)는 본체(120)와 수조(140)의 결합시 수조(140)에 저장되어 있는 물에 함침되도록 본체의 하부면으로부터 일정길이 연장형성되고 초음파 진동자(128)의 작동에 의해 수조(140)에 저장된 물을 수증기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발진부(126,127)는 상기 이동로의 일단과 고정결합되어 초음파 진동자(128)의 작동을 통해 발생되는 수증기가 이동로(124)를 거쳐 배출구(112)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상부발진부(126)와, 초음파 진동자(128)가 위치하는 하부발진부(127)로 구비되어 상기 하부발진부(127)의 상부와 상부발진부(126)의 하부가 서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발진부(126,127)가 상,하부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장시간 사용에 따른 초음파 진동자(128)의 오염시 하부발진부(127)를 상부발진부(126)로부터 분리하여 초음파 진동자(128)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간편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초음파 진동자(128)의 고장시 하부발진부(127)를 분리하여 초음파 진동자(128)를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하부발진부(127)는 외주면을 따라 관통형성되는 다수개의 슬릿홈(127a)이 구비되어 수조(140)에 저장되어 있는 물이 내부로 유입되어 초음파 진동자(128)와 접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하부발진부(127)는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걸림턱(127b)이 돌출형성되어 내부에 수용되는 초음파 진동자(128)의 위치를 잡아줌으로써 초음파 진동 자(128)가 수조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수조(140)는 초음파 진동자(128)에 의해 수증기로 변환될 물이 저장되는 곳으로, 물이 저장되는 공간부(S)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120)의 하부면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20)와의 결합시 상기 발진부(126,127)가 공간부(S)에 삽입될 수 있도록 수조(140)의 상부면에는 개구부(132)가 구비된다.
상기 개구부(132)는 본체(120)의 하부면에 돌출형성되는 발진부(126,127)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며 이동로(124) 주위에 형성되는 물급수로를 통하여 보충되는 물이 상기 수조(140)로 바로 낙하하여 떨어질 수 있도록 일정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수조(140)는 그 상부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13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덮개(130)가 수조(140)의 상부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수조에 물이 장시간 보관되는 경우 덮개(130)를 분리하여 수조 내부를 세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물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수조(140)의 상부면에 덮개(130)가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경우, 상술한 개구부(132)는 덮개(130)에 관통형성된다.
이때, 상기 덮개(130)는 그 둘레를 따라 돌출형성되는 융기부(134)가 구비되고 수조(140)의 내주면에는 상기 융기부(134)와 대응되도록 홈부(142)가 구비되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융기부(134)와 홈부(142)가 구비됨으로써, 덮개(130)와 수조(140) 의 결합력을 높이는 동시에 결합부분을 통해 수조 내부의 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덮개가 구비되는 경우 본체(120)의 하부면과 덮개(130)의 상부면 중 어느 일측에 돌출형성되는 결합부(136)가 구비되고 타측에 피결합부(129)가 상기 결합부(136)와 대응되도록 구비되어 본체(120)의 하부면과 덮개(130)의 상부면이 서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본체(120)가 좌,우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수조(140)는 그 하부면이 가습기(100)가 설치되는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 이격되도록 다리부(144)가 구비되고 상기 수조의 바닥면에 주위보다 높이가 낮은 오목부(146)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오목부(146)가 상기 수조(140)의 바닥면에 구비되어 본체(120)와 수조(140)의 결합시 발진부(126,127)의 하부가 상기 오목부(146)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수조(140)에 저장된 물의 양이 적을 경우 수조 내부의 물이 오목부(146)측으로 모이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오목부(146)가 구비되고 오목부(146)에 발진부의 하부, 바람직하게는 초음파 진동자(128)가 위치되는 하부발진부(127)가 오목부(146)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수조에 저장된 물을 완전히 소모하여 수증기로 변환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이로 인해 최초에 수조(140)에 저장된 물이 완전히 수증기로 변환되도록 한 후 물급수로를 통해 보충되도록 함으로써 수조에 물이 장시간 보관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오염을 줄임과 동시에 가습기의 장시간 사용으로 물을 보충해야 되는 횟수 를 줄일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실시 예에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을 이와 같은 특정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 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와 같은 단순한 실시 예의 수정 또는 설계변형 구조들은 모두 명백하게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을 미리 밝혀 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의 전체 결합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커버의 주요 부분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의 주요 부분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하부발진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덮개와 수조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부분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가습기 110 : 커버
112 : 배출구 114 : 캡
114a : 관통공 116 : 제1급수로
120 : 본체 121 : 전기회로부
122 : 조명등 122a : 스위치
123 : 송풍팬 124 : 이동로
125: 제2급수로 126 : 상부발진부
127 : 하부발진부 127a : 슬릿홈
127b : 걸림턱 128 : 초음파 진동자
129 : 피결합부 130 : 덮개
132 : 개구부 134 : 융기부
136 : 결합부 140 : 수조
S : 공간부 142 : 홈부
144 : 다리부 146 : 오목부

Claims (8)

  1. 초음파 진동자에 의해 수증기가 발생되는 가습기에 있어서,
    상기 수증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구비되는 커버;
    상기 커버에 의해 개방된 상부가 덮여지고 외부로부터 전원 인가시 작동되는 전기회로부가 상부면에 탑재되며 상기 초음파 진동자에 의해 변환되는 수증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는 이동로가 구비되며 내부에 상기 초음파 진동자가 수용되어 상기 이동로와 연통되도록 하부면에 돌출되는 발진부가 구비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초음파 진동자에 의해 수증기로 변환되는 물이 저장되는 수조;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구의 주위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물급수로가 상기 수조와 연통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급수로는 상기 커버의 하부면에 돌출형성되는 제1급수로가 상기 본체의 하부면에 일정길이 돌출형성되는 제2급수로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는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그 둘레를 따라 돌출형성되는 융기부가 구비되어 상기 수조의 내주면에 상기 융기부와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홈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상부면과 상기 본체의 하부면 중 어느 일측에 돌출형성되는 결합부가 구비되고 타측에 피결합부가 구비되어 상기 본체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는 그 하부면이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 이격되도록 다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조의 바닥면에 주위보다 높이가 낮은 오목부가 구비되어 상기 발진부의 하부가 상기 오목부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진부는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도록 상기 이동로의 일단과 결합되는 상 부발진부와, 상기 상기발진부의 일단과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발진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발진부는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걸림턱이 돌출형성되어 상기 초음파 진동자가 수조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KR1020090079404A 2009-08-26 2009-08-26 가습기 KR201100215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9404A KR20110021547A (ko) 2009-08-26 2009-08-26 가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9404A KR20110021547A (ko) 2009-08-26 2009-08-26 가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1547A true KR20110021547A (ko) 2011-03-04

Family

ID=43930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9404A KR20110021547A (ko) 2009-08-26 2009-08-26 가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2154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8128B1 (ko) * 2014-07-23 2016-0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습기
WO2016117743A1 (ko) * 2015-01-21 2016-07-28 서동진 부유식 가습기
KR20220071461A (ko) * 2020-11-24 2022-05-31 주식회사 엠아이디자인 가습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8128B1 (ko) * 2014-07-23 2016-0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습기
WO2016117743A1 (ko) * 2015-01-21 2016-07-28 서동진 부유식 가습기
US10330332B2 (en) 2015-01-21 2019-06-25 Miro Co. Ltd. Floating-type humidifier
KR20220071461A (ko) * 2020-11-24 2022-05-31 주식회사 엠아이디자인 가습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8851B1 (ko) 방향기능이 겸비된 세척이 간편한 초음파 가습기
KR20170051276A (ko) 가습공기청정기
JP5341937B2 (ja) 加湿器
JP5156802B2 (ja) 加湿器
KR101180598B1 (ko) 분리형 초음파 가습기
CN104019515B (zh) 一种加湿器
JP7328708B2 (ja) 加湿器
KR101381948B1 (ko) 가습기
KR20110010728U (ko) 가습기
KR20110021547A (ko) 가습기
CN113587295B (zh) 一种加湿器
KR101610704B1 (ko) 가습기
JP5341936B2 (ja) 加湿器
KR101261157B1 (ko) 하방향 수증기 배출 방식의 초음파 가습기
KR101669644B1 (ko) 공기 청정 겸용 가습기
KR101677677B1 (ko) 분리형 살균 가습기
KR101552521B1 (ko) 안정성과 수명이 향상된 진동자 분리형 가습기
KR102385185B1 (ko) 초미세 향 발생 가습기
KR101939576B1 (ko) 다수의 진동자 및 필터를 갖는 가습기
KR20170074593A (ko) 초음파 가습기
KR20160100868A (ko) 피스톤 운동을 이용한 기화식 가습기
KR102478597B1 (ko) 부유형 초음파 가습기
KR102280396B1 (ko) 분리형 가습기
KR20200086971A (ko) 회전가습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가습기
KR20110125028A (ko) 가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