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2521B1 - 안정성과 수명이 향상된 진동자 분리형 가습기 - Google Patents

안정성과 수명이 향상된 진동자 분리형 가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2521B1
KR101552521B1 KR1020150093681A KR20150093681A KR101552521B1 KR 101552521 B1 KR101552521 B1 KR 101552521B1 KR 1020150093681 A KR1020150093681 A KR 1020150093681A KR 20150093681 A KR20150093681 A KR 20150093681A KR 101552521 B1 KR101552521 B1 KR 101552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spray
humidifier
chambe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3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윤길
Original Assignee
(주)세한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한기업 filed Critical (주)세한기업
Priority to KR1020150093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25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2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25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자가 외부로 노출되어 청소가 용이한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의 특징으로서, 적어도 가습에 필요한 작동기기를 수용하는 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공간 상에 외부와 연통하는 흡입구가 형성되며, 전면에 기기를 조작하는 스위치가 장착되는 제어함; 상기 제어함의 상측에 공간이 밀폐되게 장착되고, 중앙에 공간이 확장되게 돌출된 챔버와, 상기 챔버의 측면에 수평방향으로 관통된 분기유로가 형성되는 마감판; 상기 마감판의 상측에 선택적으로 탈·장착되고, 중앙에 소정의 수위로 물을 수용하는 내통과, 상기 내통의 상단에서 하향으로 연장되게 둘러지는 외통과, 상기 내·외통 사이에 상하로 관통된 덕트가 일체로 형성되는 분무함; 상기 분무함의 상·하측에 내통의 일부를 밀폐되게 각각 장착되고, 상기 덕트와 연통되게 인접하는 위치에 수직유로와 수평유로가 각각 형성되는 상·하부 커버판; 및 상기 상부 커버판의 상측에 외통이 밀폐되게 장착되고, 중앙에 내통과 연통되어 분무방향을 조절하는 분무캡을 구비하는 분무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공기경로가 지그재그로 복잡한 형태로 형성되어 물기나 습기가 작동기기와의 접촉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안정성과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안정성과 수명이 향상된 진동자 분리형 가습기{Stability and longevity improved vibrator exposure types humidifiers}
본 발명은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는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청소가 용이하도록 진동자를 물통에 직접적으로 노출되게 장착되어지고 진동자에 의해 발생한 분무의 방출이 향상되게 공기를 강제적으로 송풍시키는 구조를 가진 진동자 분리형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 가습기는 쾌적하고 인체에 유익한 습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물을 무화시켜 공기 중에 분사하는 장치이다. 즉, 겨울철 혹은 실내의 메마르고 건조한 공기로 인한 호흡기 질환, 아토피 질환 등을 해소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는 기기이다.
이러한 가습기는 크게 제어기판과 송풍팬 및 진동자가 장착된 전장부와 대량의 물을 수용하도록 전장부로 탈·장착되는 물통부로 구성된다. 즉, 물통부를 전장부에 장착시키면 전장부에 별도로 구성된 공간에 적정량의 수위가 공급되어지고, 공급된 물을 진동자가 초음파로 무화시켜 외부로 방출한다. 그러나 전장부에 구성된 공간은 상시 물이 고여 있어 장기간 사용 시에 곰팡이나 세균 등이 번식하게 되어 실내공기를 오염시키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물론, 전장부에 고여진 물을 비우고 세척제로 세척하면 되나 세척도중 전장부에 물이 유입될 가능성이 높고, 오히려 세척제가 유해성을 가진 것으로 판명된 문제가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일환으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20340호 "분리형 초음파 가습기"와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01943호"분리형 복합식 가습기" 및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81948호 "가습기"가 제안된 바가 있다. 제안된 가습기는 전장부에 장착되어왔던 진동자를 물통부에 직접적으로 노출되게 장착시켜 청소가 용이하도록 개선하였다. 이 밖에도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07774호 "살균 가습기"에 의하면 전장부와 물통부를 일체화한 가습기도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분무의 방출이 향상되게 공기를 강제적으로 송풍시키는 유로가 비교적 단순한 구조로 형성되므로 전장부내로 수분이나 습기가 유입되어 단순 고장에 이어 감전사고 등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전자의 분리형 가습기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에 전장부와 물통부를 연통시키는 유로를 형성하였다. 따라서 손잡이를 활용하여 구조를 간소화시키는 효과는 있다. 하지만 유로가 물통부에 노출됨에 따라 분무 시 뚜껑이나 벽면에 맺힌 물방울이 흘러서 전장부에 유입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후자의 일체형 가습기는 물통부 상에 전장부와 연통하는 별도의 격벽이 형성되어져 있다. 따라서 구조를 간소화하면서도 미감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뚜껑을 개방하면 유로가 상측으로 노출되므로 물을 보충하거나 세척 도중 유로를 통해 전장부로 유입될 가능성이 높다. 물론, 전장부내에 별도의 격벽이 마련되어져 유입된 물이 즉시 외부로 배출되기는 하나, 전장부가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세척동작 중 유입된 물이 분산하게 된다. 즉, 일체형 가습기는 오히려 분리형 가습기보다 감전 사고나 고장 발생률이 현저하게 높은 문제가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20340호 "분리형 초음파 가습기"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01943호 "분리형 복합식 가습기"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81948호 "가습기"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07774호 "살균 가습기"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분무의 방출이 향상되게 공기를 강제적으로 송풍시키는 유로의 구조를 비교적 복잡한 경로를 가지도록 개선하여 안정성과 수명이 향상된 진동자 분리형 가습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진동자가 외부로 노출되어 청소가 용이한 가습기에 있어서: 적어도 가습에 필요한 작동기기를 수용하는 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공간 상에 외부와 연통하는 흡입구가 형성되며, 전면에 기기를 조작하는 스위치가 장착되는 제어함; 상기 제어함의 상측에 공간이 밀폐되게 장착되고, 중앙에 공간이 확장되게 돌출된 챔버와, 상기 챔버의 측면에 수평방향으로 관통된 분기유로가 형성되는 마감판; 상기 마감판의 상측에 선택적으로 탈·장착되고, 중앙에 소정의 수위로 물을 수용하는 내통과, 상기 내통의 상단에서 하향으로 연장되게 둘러지는 외통과, 상기 내·외통 사이에 상하로 관통된 덕트가 일체로 형성되는 분무함; 상기 분무함의 상·하측에 내통의 일부를 밀폐되게 각각 장착되고, 상기 덕트와 연통되게 인접하는 위치에 수직유로와 수평유로가 각각 형성되는 상·하부 커버판; 및 상기 상부 커버판의 상측에 외통이 밀폐되게 장착되고, 중앙에 내통과 연통되어 분무방향을 조절하는 분무캡을 구비하는 분무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분무함은 내·외통의 측면에 소정 형상으로 요입되는 오목홈이 형성되고, 상기 오목홈 상에 마감판으로부터 탈·장착을 유도하는 손잡이를 더 구비하는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가습기는 작동기기에 의해 흡입구로부터 공간내로 외부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챔버에 모여진 후에 동일한 유량으로 분기유로와 수평유로를 지나 덕트를 통과하고, 통과한 공기는 분무판에 가로막혀 수직유로를 통해 내통으로 반입되면서 발생된 분무와 함께 분무캡으로 상승되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가습기는 공간에서부터 내통까지 연통되는 공기경로가 지그재그로 복잡한 형태로 형성되어 물기나 습기가 작동기기로의 유입을 자동으로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공기경로가 지그재그로 복잡한 형태로 형성되어 물기나 습기가 작동기기로의 역류를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안정성과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를 전체적으로 분리하여 나타내는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의 제어함과 분부판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의 마감판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의 분무함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의 상·하부 커버판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를 절개하여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진동자가 외부로 노출되어 청소가 용이한 가습기와 관련되며, 도 1 내지 도 3처럼 제어함(10), 마감판(20), 분무함(30), 커버판(40)(45), 분무판(50)을 주요 구성으로 하는 진동자 분리형 가습기이다. 본 발명의 가습기는 분무의 방출이 향상되게 공기를 강제적으로 송풍시키는 유로의 구조를 비교적 복잡한 경로를 가지도록 개선하여 안정성과 수명을 향상한 것을 주요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함(10)은 도 1 내지 도 3처럼 바닥에 위치되어 가습에 필요한 주요 구성들을 지지하는 함체이다. 이러한 제어함(10)은 가습에 필요한 작동기기를 수용하는 공간(11)이 마련되고, 공간(11)상에 외부와 연통하는 흡입구(12)가 형성되며, 전면에 기기를 조작하는 스위치(15)가 장착된다.
작동기기로는 분무함(30)에 장착되는 진동자(B)나 센서의 작동을 제어하는 기판과, 제어함(10)에 장착되어 분무의 방출이 향상되게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팬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스위치(15)는 기판과 연결되어 전원의 단속과 함께 분무량을 조절하고, 흡입구(12)는 송풍팬으로 하여금 외부공기가 공간(11)으로 유입되도록 한다. 즉, 스위치(15)에 의해 송풍기가 작동되면, 흡입구(12)를 통하여 외부공기를 공간(11)내로 흡입됨과 동시에 흡입된 공기를 마감판(20)측으로 강제 송풍시킨다. 여기서 제어함(10)은 가정이나 사무실에 한번 장착시키면 이동할 요소가 현저히 낮으면서도 안정된 고정을 유지하기 위해 저면에 바닥과 흡착을 유도하는 패드가 장착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제어함(10)은 도 4a처럼 저면으로부터 탈·장착되는 필터판(16)을 더 구비한다. 필터판(16)은 먼지나 머리카락 따위의 이물질이 공간(11)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해준다. 그러나 장기간 사용 시에는 송풍팬에 의해 이물질이 불가피하게 부착하게 된다. 이 경우 필터판(16)을 제어함(10)으로부터 탈착하여 청소기나 물로 이물질을 제거하면 된다. 여기서 제어함(10)과 필터판(16) 사이에는 개인 취향에 적합한 방향제를 삽입할 수 있는 갭이 마련된다. 따라서 분무의 방출을 유도함과 함께 공기에 포함된 향기로 실내를 쾌적하게 도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감판(20)은 도 2 및 도 3처럼 하단에 송풍팬의 장착을 유도하고, 제어함(10)을 외부로부터 밀폐되게 마감시켜 준다. 이러한 마감판(20)은 도 5처럼 제어함(10)의 상측에 개구된 공간(11)이 밀폐되게 장착되고, 중앙에 공간(11)이 확장되게 돌출된 챔버(21)와, 챔버(21)의 측면에 수평방향으로 관통된 분기유로(25)가 형성된다. 여기서 마감판(20)의 일측 상·하면에는 기판(P)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단자(20a)가 장착된다.
챔버(21)는 송풍팬(F)의 직상방에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어져 흡입된 공기를 중앙으로 밀집되게 모아주고 동일한 유량으로 분기유로(25)에 송풍시켜준다. 그리고 분기유로(25)는 챔버(21)에 모여진 공기를 복수의 갈래로 분기되면서 유속을 증가시켜준다. 한편, 돌출된 챔버(21)는 후술하는 하부 커버판(45)내에 삽입되어져 분기유로(25)를 통과한 공기는 즉시, 수평유로(46)에 전달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무함(30)은 도 1 내지 도 3처럼 분무를 발생시키는 통으로서, 분무에 필요한 물을 보충하거나 청소를 위해 바닥에 거치된 제어함(10)으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된다. 이러한 분무함(30)은 도 6처럼 마감판(20)의 상측에 선택적으로 탈·장착되고, 중앙에 소정의 수위로 물을 수용하는 내통(31)과, 내통(31)의 상단에서 하향으로 연장되게 둘러지는 외통(32)과, 내·외통(31)(32) 사이에 상하로 관통된 덕트(35)가 일체로 형성된다.
즉, 송풍팬으로부터 송풍된 공기는 덕트(35) 사이를 지나 내·외통(31)(32) 상단 테두리 측으로 뿜어낸다. 여기서 내통(31)에는 물을 무화시키는 진동자(B)와 수위를 감지하는 센서가 장착되어진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처럼 내·외통(31)(32)의 측면에 소정 형상으로 요입되는 오목홈(37)이 형성되고, 오목홈(37)상에 마감판(20)으로부터 탈·장착을 유도하는 손잡이(38)를 더 구비한다. 손잡이(38)는 물을 보충하거나 청소를 위한 작업을 용이하게 해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하부 커버판(40)(45)은 도 2 및 도 3처럼 분무함(30)의 상·하측에 각각 장착되어 진동자(B)와 센서를 보호하고, 물기나 습기가 제어함(10)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먼저 하부 커버판(45)은 도 7처럼 상단에 내통(31)을 외부로부터 밀폐되게 수용하는 방수편(47)과, 방수편(47)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어 챔버(21)와의 탈·장착을 유도하는 장착편(48)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방수편(47)과 장착편(48) 사이에 챔버(21)와 내통(31)을 차단하는 격벽(49)이 마련된다. 여기서 장착편(48)에는 분기유로(25)와 연통되는 위치보다 4~6mm의 높이로 천공된 수평유로(46)가 형성된다.
따라서 방수편(47)에 의해 분무에 중요한 진동자(B)나 센서의 방수를 완벽하게 구현할 수가 있다. 더욱이 덕트(35)내로 물기나 습기가 유입되더라도 분기유로(25)와의 높이 차이를 가진 수평유로(46)에 막혀 작동기기의 방수를 기대할 수가 있다. 한편, 하부 커버판(45)에는 일단이 진동자(B) 및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마감판(20)의 단자(20a)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단자(45a)가 장착되어진다.
상부 커버판(40)은 도 8처럼 중앙에 내통(31)에서 발생된 분무가 외부로 방출하는 통공(40a)과, 내통(31)에 내주면과 맞물려 장착을 유도하는 끼움편(42)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단에는 통공(42)을 주위로 둘러지게 돌출된 밀폐편(43)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송풍되는 공기가 내통(31)의 내주면을 타고 하향으로 흐르도록 유도하는 가이드편(44)이 형성된다. 여기서 끼움편(42)과 가이드편(44) 사이에 덕트(35)를 통과한 공기가 내통(31)으로 반입시키는 하나 이상의 수직유로(41)가 형성된다.
즉, 상부 커버판(40)이 내통(31)에 장착된 다음, 그 위에 후술하는 분무판(50)이 장착되어지면 밀폐편(43)에 의해 자동으로 반입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덕트(35)를 통과한 공기는 반입공간에 모여진 후에 수직유로(41)를 지나 내통(31)으로 반입하게 된다. 내통(31)에 반입되는 공기는 가이드편(44)에 의해 벽면을 타고 하향으로 내려가고, 물 표면에 부딪히면서 링 형의 와류가 중앙으로 집중됨과 함께 상승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무판(50)은 도 1 내지 도 3처럼 외통(32)과 상부 커버판(40)을 마감하는 판으로서, 내통(31)에 발생된 분무를 원하는 방향으로 방출시켜준다. 이러한 분무판(50)은 도 4b처럼 외통(32)의 외주면과 맞물리게 하향으로 둘러지게 연장된 마감편(52)과, 상부 커버판(40)의 통공(40a)과 동심하는 위치에 장착구(50a)가 형성된다. 여기서 하단에는 장착구(50a)의 주위로 둘러지게 돌출되어 밀폐편(43)과 맞물리는 삽입편(53)이 형성된다.
즉, 상부 커버판(40)에 분무판(50)을 장착시키면, 마감편(52)이 외통(32)의 상단 테두리에 밀착됨과 함께 삽입편(53)이 밀폐편(43)과 서로 맞물리게 되어 덕트(35)와 연통하는 반입공간이 형성된다. 이때, 장착구(50a)에는 분무방향을 조절되게 회전하는 분무캡(51)이 탈·장착되는데, 분무캡(51)은 수직방향 전용과 수평방향 조절용으로 구분되게 구비하는 것이 좋다. 한편, 마감편(52)은 외통(32)과의 기밀성이 향상되도록 외통(32)의 외주면을 감싸는 연장편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물론, 외통(32)과 맞물리는 마감편(52) 또는 연장편 상에는 별도의 고무패킹을 삽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를 절개하여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가습기의 작동에 의한 공기의 흐름을 살펴보고, 이로 인한 가습기의 안정성과 수명에 대한 여부를 고찰해 보도록 한다.
먼저, 가습을 작동하기 위해서는 내통(31)에 물이 수용되어야 한다. 여기서 내통(31)에 물이 적정수준 이하가 되면, 센서가 작동을 정지하게 된다. 즉, 내통(31)에 물을 담기위해서는 손잡이(38)를 파지한 상태에서 도 9처럼 분무함(30)을 들어 올려 제어함(10)으로부터 분리한다. 마찬가지로 분무함(30)으로부터 분무판(50)을 쥐고 들어 올리면 내통(31)이 외부로 완전히 개방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내통(31)에 물을 적정수위로 주입하면 된다.
만일 내통(31)이 지저분할 경우 내주면이나 진동자(B)를 세척하면 된다. 여기서 물을 보충하거나 세척 도중에 덕트(35)내로 물이 유입될 수가 있다. 그러나 덕트(35)에 유입된 물은 하부 커버판(45) 사이에 틈새로 즉시 배출하게 된다. 더욱이 방수편(47)이 분무에 중요한 진동자(B)와 센서를 외부로부터 완전히 밀폐시켜주므로 안전하게 보호할 수가 있다. 내통(31)에 물의 주입이 완료되면, 도 10처럼 분리의 역순으로 제어함(10)에 장착을 완료한다. 여기서 덕트(35) 표면에 물기나 습기가 존재할 경우, 중력에 의해 하향으로 내려오면서 하나의 물방울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분기유로(25)와의 높이 차이를 가진 수평유로(46)에 막히므로 제어함(10)의 공간(11)에 위치한 작동기기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가 있다.
한편, 가습기의 작동에 따른 공기가 송풍되는 유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스위치(15)를 조작하면 진동자(B)에 의해 내통(31)에 수용된 물이 무화되어 상승하게 된다. 이와 함께 도 10처럼 송풍팬(F)이 흡입구로부터 공간(11)내로 외부공기를 유입한다. 유입된 공기는 챔버(21)에 모여진 후에 동일한 유량으로 분기유로(25)와 수평유로(46)를 지나 덕트(35)를 통과하고, 통과한 공기는 분무판(50)에 가로막혀 수직유로(41)를 통해 내통(31)으로 반입된다. 여기서 반입되는 공기는 가이드편(44)에 의해 벽면을 타고 하향으로 내려가고, 물 표면에 부딪히면서 링 형의 와류가 중앙으로 집중됨과 함께 분무와 함께 상승하게 된다. 상승되는 공기와 분무는 분무캡(51)을 지나 외부로 방출하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가습기는 공간(11)에서부터 내통(31)까지 연통되는 공기경로가 지그재그로 복잡한 형태로 형성되어 물기나 습기가 작동기기로의 유입을 자동으로 차단시켜 안정성과 수명을 대폭 향상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B: 진동자 10: 제어함 11: 공간
12: 흡입구 15: 스위치 16: 필터판
20: 마감판 20a, 45a: 단자 21: 챔버
25: 분기유로 30: 분무함 31: 내통
32: 외통 35: 격벽 37: 오목홈
38: 손잡이 40: 상부 커버판 40a: 통공
41: 수직유로 42: 끼움편 43: 밀폐편
44: 가이드편 45: 하부 커버판 46: 수평유로
47: 방수편 48: 장착편 49: 격벽
50: 분무판 50a: 장착구 51: 분무캡
52: 마감편 53: 삽입편

Claims (4)

  1. 진동자가 외부로 노출되어 청소가 용이한 가습기에 있어서:
    적어도 가습에 필요한 작동기기를 수용하는 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공간 상에 외부와 연통하는 흡입구가 형성되며, 전면에 기기를 조작하는 스위치가 장착되는 제어함;
    상기 제어함의 상측에 공간이 밀폐되게 장착되고, 중앙에 공간이 확장되게 돌출된 챔버와, 상기 챔버의 측면에 수평방향으로 관통된 분기유로가 형성되는 마감판;
    상기 마감판의 상측에 선택적으로 탈·장착되고, 중앙에 소정의 수위로 물을 수용하는 내통과, 상기 내통의 상단에서 하향으로 연장되게 둘러지는 외통과, 상기 내·외통 사이에 상하로 관통된 덕트가 일체로 형성되는 분무함;
    상기 분무함의 상·하측에 내통의 일부를 밀폐되게 각각 장착되고, 상기 덕트와 연통되게 인접하는 위치에 수직유로와 수평유로가 각각 형성되는 상·하부 커버판; 및
    상기 상부 커버판의 상측에 외통이 밀폐되게 장착되고, 중앙에 내통과 연통되어 분무방향을 조절하는 분무캡을 구비하는 분무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성과 수명이 향상된 가습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함은 내·외통의 측면에 소정 형상으로 요입되는 오목홈이 형성되고, 상기 오목홈 상에 마감판으로부터 탈·장착을 유도하는 손잡이를 더 구비하는 특징으로 하는 안정성과 수명이 향상된 가습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기는 작동기기에 의해 흡입구로부터 공간내로 외부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챔버에 모여진 후에 동일한 유량으로 분기유로와 수평유로를 지나 덕트를 통과하고, 통과한 공기는 분무판에 가로막혀 수직유로를 통해 내통으로 반입되면서 발생된 분무와 함께 분무캡으로 상승되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성과 수명이 향상된 가습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기는 공간에서부터 내통까지 연통되는 공기경로가 지그재그로 복잡한 형태로 형성되어 물기나 습기가 작동기기로의 유입을 자동으로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안정성과 수명이 향상된 가습기.
KR1020150093681A 2015-06-30 2015-06-30 안정성과 수명이 향상된 진동자 분리형 가습기 KR101552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3681A KR101552521B1 (ko) 2015-06-30 2015-06-30 안정성과 수명이 향상된 진동자 분리형 가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3681A KR101552521B1 (ko) 2015-06-30 2015-06-30 안정성과 수명이 향상된 진동자 분리형 가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2521B1 true KR101552521B1 (ko) 2015-09-15

Family

ID=54248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3681A KR101552521B1 (ko) 2015-06-30 2015-06-30 안정성과 수명이 향상된 진동자 분리형 가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25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2477A (ko) * 2018-11-27 2020-06-04 오아 주식회사 가습기
CN117190356A (zh) * 2023-11-07 2023-12-08 江苏富通空调净化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喷淋式水洗加湿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5726Y1 (ko) 2001-11-21 2002-02-25 주식회사 오비에스 가향 기능을 가지는 가습기
KR101381948B1 (ko) 2013-09-13 2014-04-15 주식회사 디엠월드 가습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5726Y1 (ko) 2001-11-21 2002-02-25 주식회사 오비에스 가향 기능을 가지는 가습기
KR101381948B1 (ko) 2013-09-13 2014-04-15 주식회사 디엠월드 가습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2477A (ko) * 2018-11-27 2020-06-04 오아 주식회사 가습기
KR102198604B1 (ko) * 2018-11-27 2021-01-05 오아 주식회사 가습기
CN117190356A (zh) * 2023-11-07 2023-12-08 江苏富通空调净化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喷淋式水洗加湿器
CN117190356B (zh) * 2023-11-07 2024-04-12 江苏富通空调净化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喷淋式水洗加湿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2874B1 (ko) 초입자 분무장치
KR20170051276A (ko) 가습공기청정기
JP3214558U (ja) 空気清浄器
KR101180598B1 (ko) 분리형 초음파 가습기
KR101381948B1 (ko) 가습기
KR101789048B1 (ko) 초음파 가습기
JP7328708B2 (ja) 加湿器
JP2018532095A (ja) 加湿清浄装置
KR101552521B1 (ko) 안정성과 수명이 향상된 진동자 분리형 가습기
KR101916886B1 (ko) 가습기
CN115013898B (zh) 加湿器
KR20160090222A (ko) 휴대용 에어워셔
KR101610704B1 (ko) 가습기
KR20170067344A (ko) 수직분무 구조를 갖는 가습기
KR20150076990A (ko) 가습형 공기 청정기
KR101806603B1 (ko) 휴대용 에어워셔
CN215723836U (zh) 一种加湿器
KR101679577B1 (ko) 상부급수식 초음파 가습기
KR20200086972A (ko) 가습기
JP3926600B2 (ja) 加湿装置
KR101939576B1 (ko) 다수의 진동자 및 필터를 갖는 가습기
KR101677677B1 (ko) 분리형 살균 가습기
KR20060108350A (ko) 진동자를 이용한 습식 공기청정기
KR20180072236A (ko) 수조통과 가습조가 일체형 구조를 갖는 가습기
KR20110021547A (ko) 가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