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2477A - 가습기 - Google Patents

가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2477A
KR20200062477A KR1020180147910A KR20180147910A KR20200062477A KR 20200062477 A KR20200062477 A KR 20200062477A KR 1020180147910 A KR1020180147910 A KR 1020180147910A KR 20180147910 A KR20180147910 A KR 20180147910A KR 20200062477 A KR20200062477 A KR 202000624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idifier
guide member
water
receiving space
humidif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7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8604B1 (ko
Inventor
김상무
Original Assignee
오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7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8604B1/ko
Publication of KR20200062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2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8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8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24F13/084Grilles, registers or guards with mounting arrangements, e.g. snap fasteners for mounting to the wall or du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 Y02B30/8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가습기가 제공된다. 가습기는 물 수용공간이 내부에 마련된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물 수용공간에 채워진 물에 진동을 가하여 가습 분자를 생성하는 진동자, 상기 가습 분자가 배출되는 토출구가 마련되고, 상기 물 수용공간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본체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리드(lid) 및 상기 리드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가장자리를 따라 기 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가습 분자를 상기 토출구로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진동자에 의해 튀어 오른 물과 접촉하여, 상기 접촉한 물을 상기 가이드 부재의 상기 하면으로 가이드 하도록, 상기 가이드 부재의 하면에 형성된 오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습기{HUMIDIFIER}
본 개시는 소음이 감소되고 가습 효율이 향상된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가습기는 액체 상태의 물 분자를 대기중으로 분사 시키는 장치로서, 실내 공기의 습도를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가습기는 액체 상태의 물을 대기 중으로 분사 시키는 방법에 따라, 가열식, 초음파식, 복합식 및 기화식 등 다양한 방법이 있다. 특히, 최근에는 간단한 구조, 뛰어난 가습 성능, 낮은 전력소모 등을 이유로 초음파식 가습기가 이용된다.
초음파식 가습기는 진동자를 이용하여 물 분자의 덩어리에 진동을 일으킨다. 이때 진동된 물 분자들이 서로 부딪히면서 진동을 전하고, 진동이 물의 표면에 닿으면 물 표면에 있던 물 입자들이 미세한 알갱이 상태로 물 표면 위로 튀어나오면서 주변 공기를 가습하게 된다.
다만, 이러한 초음파식 가습기는 물의 표면에서 튀어 오른 물이 다시 떨어지면서 발생하는 낙차 소음이 발생하게 되었고 이러한 소음은 사용자에게 소음으로 인식되어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개시의 목적은 소음이 감소되고 가습 효율이 향상된 가습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는, 물 수용공간이 내부에 마련된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물 수용공간에 채워진 물에 진동을 가하여 가습 분자를 생성하는 진동자, 상기 가습 분자가 배출되는 토출구가 마련되고, 상기 물 수용공간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본체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리드(lid) 및 상기 리드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가장자리를 따라 기 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가습 분자를 상기 토출구로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진동자에 의해 튀어 오른 물과 접촉하여, 상기 접촉한 물을 상기 가이드 부재의 상기 하면으로 가이드 하도록, 상기 가이드 부재의 하면에 형성된 오목부를 포함하는 가습기를 제공한다.
상기 오목부는 반구 형상이며, 상기 진동자와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개구 각각은 상기 리드에 가까울수록 단면적이 증가하는 역삼각형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리드로부터 상기 복수의 개구의 꼭짓점까지의 거리는 상기 리드로부터 상기 오목부까지의 거리보다 길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오목부를 둘러 싸도록 상기 가이드 부재의 하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부재의 하면으로부터의 상기 격벽의 높이는 상기 오목부의 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상기 격벽은 상기 가이드 부재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격벽은 상기 격벽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롯은 상기 복수의 개구 중 적어도 하나와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롯은 상기 슬롯의 하부에 상기 가이드 부재의 하면과 단차를 형성하도록 상기 격벽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송풍기가 배치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부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물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1 케이스 및 상기 제1 케이스의 주위에 송풍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 케이스의 외부에 배치된 제2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케이스는, 상기 하부 케이스와 결합되고, 상기 내부 공간과 상기 송풍 공간을 연통 시키는 제1 연통구 및 상기 송풍 공간과 상기 물 수용공간을 연통 시키는 제2 연통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연통구는 상기 제1 연통구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가이드 부재 하면에 형성되고 상기 물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출구는 상기 오목부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진동자는 초음파 진동자일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C-C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D 영역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6는 도 1의 A-A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B-B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E 영역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1의 제2 케이스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F-F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개시의 구성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본 개시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서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크기를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며, 각 구성 요소의 비율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상에" 있다거나 "접하여" 있다고 기재된 경우, 다른 구성 요소에 상에 직접 맞닿아 있거나 또는 연결되어 있을 수 있지만,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바로 상에" 있다거나 "직접 접하여" 있다고 기재된 경우에는,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예를 들면, "~사이에"와 "직접 ~사이에"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표현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이 부가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1)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습기(1)는 물 수용공간(S1)이 내부에 마련된 본체(20), 본체(20)의 하면에 배치되어, 물 수용공간(S1)에 채워진 물에 진동을 가하여 가습 분자를 생성하는 진동자(50, 도 6 참조), 가습 분자가 배출되는 토출구(11)가 마련되고, 물 수용공간(S1)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본체(2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리드(lid, 10) 및 리드(10)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가습 분자를 토출구(11)로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1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20)는 가습 분자를 생성하기 위한 물을 수용하는 물 수용공간(S1)을 형성하여, 가습기(1)의 작동에 필요한 물을 수용할 수 있다.
본체(20)는 원통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
아울러, 본체(20)는 고분자 화합물을 포함한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20)는 제조 편의성 및 비용을 고려하여 플라스틱 재질로서 사출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자(50)는 본체(20)의 하부에 배치되어 물 수용공간(S1)에 채워진 물에 진동을 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진동자(50)는 본체(20)의 하면에 배치된 진동판(51)을 통해, 물 수용공간(S1)에 채워진 물에 진동을 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자(50)는 초음파 진동자로서, 0.3~25MHz의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진동자(50)는 진동판(51)을 통해 물 수용공간(S1)에 채워진 물(W)을 진동함으로써, 액체 상태의 물(W)의 일부를 대기중의 가습 분자로 변환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체(20)가 원통 형상일 경우, 진동자(50)는 본체(20)의 하부의 중심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습 분자는 일 방향에 편중되지 않고 방사상으로 고르게 생성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할 때, 리드(10)는 본체(20)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물 수용공간(S1)을 외부와 격리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생성된 가습 분자를 리드(10)의 형성된 토출구(11)를 통해서만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가습 분자를 기 설정된 위치로 배출되도록 지향성을 가지게 할 수 있다.
아울러, 리드(10)는 가습기(1)의 작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낙차 소음이 외부로 전달되지 않도록 막을 수 있다.
또한, 가습기(1)는 본체(20)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송풍기(40)가 배치되는 내부 공간(S2)을 형성하는 하부 케이스(30)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공간(S2)에는 가습기(1)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장치(미도시), 송풍기(40) 및 진동자(50) 등 기타 가습기(1)의 작동에 필요한 전가 기기들이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하부 케이스(30)는 평편하게 형성되어, 가습기(1)가 일정한 방향으로 기울어지거나 쓰러지지 않도록 가습기(1)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
송풍기(40)는 가습기(1)에서 생성된 가습 분자를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지향성을 가지도록, 가습 분자를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송풍기(40)는 가습기(1)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여, 가습기(1) 내부에 형성된 송풍 유로(B1, B2, 도 9 참조) 및 토출구(11)를 통해 가습 분자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송풍기(40)는 필요에 따라, 측류팬, 원심팬 등 다양한 종류의 팬들이 사용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100)는 리드(10)의 하면에 배치되어, 본체(20) 내부에서 생성된 가습 분자를 리드(10)의 토출구(11)를 향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아울러, 가이드 부재(100)는 리드(1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 부재(100)를 별도로 분리하여 세척하거나, 가이드 부재(100)만을 교체하여 가습기(1)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부재(10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부재(100)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C-C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부재(100)는 가이드 부재(100)의 하면(100a, 도 4 참조)에 형성되어 진동자(50)에 의해 튀어 오른 물과 접촉하는 오목부(110), 가이드 부재(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기 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개구(130), 오목부(110)를 둘러 싸도록 가이드 부재(100)의 하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격벽(120)을 포함할 수 있다.
오목부(110)는 가이드 부재(100)의 하면(100a)에서 상부 방향으로 오목하게 파인 형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물 수용공간(S1)에 물이 채워진 경우, 물의 표면(WS, 도 6 참조)으로부터 가이드 부재(100)의 하면(100a) 까지의 제2 높이(h2)는 물의 표면(WS)으로부터 오목부(110)의 상단까지의 제1 높이(h1) 보다 작을 수 있다.
아울러, 오목부(110)는 진동자(50)와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습기(1)가 작동하면서 진동자(50)가 진동하는 경우, 오목부(110)는 진동자(50)의 상부에 위치한 물의 표면(WS)에서는 물이 튀어 오르게 되는 물과 접촉할 수 있다.
이후, 오목부(110)와 접촉한 튀어오른 물은 중력에 의해 오목부(110)의 오목면(110a)을 따라 가이드 부재(100)의 하면(100a)으로 이동하여, 가이드 부재(100)의 하면(100a)에서 물 수용공간(S1)에 채워진 물(W)로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오목부(110)는 진동자(50)에 의해 물의 표면(WS)에서 튀어 오른 물이 곧바로 떨어지지 않도록, 물의 표면(WS)과의 높이차가 크지 않은 가이드 부재(100)의 하면(100a)으로 이동시켜, 물의 낙차로 인해 발생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부재(100)가 없는 경우, 물의 표면(WS)에서 진동자(50)의 진동에 의해 튀어 오른 물은 물의 표면(WS)으로부터 제2 높이(h2)보다 큰 높이로 튀어 오른 후 낙차 하게 되는 것에 반해, 오목부(110)가 형성된 가이드 부재(100)를 구비하는 경우, 오목부(110)는 튀어 오른 물과 접촉하여, 튀어 오른 물을 제2 높이(h2)로 이동시킨 후 제2 높이(h2)에서 낙차 시킬 수 있다.
즉, 튀어 오른 물이 다시 물의 표면(WS)으로 낙차 하게 되어 발생하는 소음은 물이 떨어지는 높이와 비례하게 된다. 따라서, 오목부(110)는 물의 표면(WS)으로부터 물이 떨어지는 높이를 구조적으로 감소시켜, 가습기(1) 작동 시 발생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다.
즉, 오목부(110)는 소음 저감 공간(S3)을 형성함으로써, 물의 낙차를 줄여 소음을 줄일 수 있다. 아울러, 소음 저감 공간(S3)은 돔 형상으로 인해 소음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오목부(110)는 반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오목부(110)의 오목면(110a)은 일정한 유선형의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목부(110)와 접촉한 튀어 오른 물은, 유선형의 오목면(110a)을 따라 제1 높이(h1)보다 낮은 제2 높이(h2)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튀어 오른 물의 이동 경로에 해당하는 오목면(110a)에는 단차가 형성되지 않으므로, 오목부(110)와 접촉한 튀어 오른 물은 제2 높이(h2)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오목부(110)의 가이드 부재(100) 내부의 증발면(110b, 도 6 참조) 또한 유선형을 형성하게 되어 후술하는 제1 통과 유로(G1)의 안정적인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유선형의 오목부(110)는 제1 통과 유로(G1)와 증발면(110b) 상의 첨향 오일 간의 접촉면을 늘릴 수 있다. 이에 따라, 물 수용공간(S1) 내에 채워진 물(W)에 첨향 오일을 넣어 가습 분자에 향을 더하는 것에 비해, 가습기(1)의 첨향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첨향 오일은 향을 포함하는 오일로서, 아로마 오일 등 다양한 첨향 재료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첨향 오일의 배출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리드(10)에 형성된 토출구(11)는 후술하는 오목부(1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목부(110)의 증발면(110b) 상의 첨향 오일이 최단거리로 토출구(11)를 통해 외부로 방출되며, 본체(20) 내에 축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오목부(110)는 가이드 부재(100)의 하면(100a)에서 연장되어 하면(100a)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목부(110)가 형성된 가이드 부재(100)는 사출 형성으로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제조 비용 또한 줄일 수 있다.
복수의 개구(130)는 가이드 부재(100)의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기 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부재(100)가 원통 형상인 경우, 복수의 개구(130)는 가이드 부재(100)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간격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복수의 개구(130)는 가습 분자가 생성되는 물 수용공간(S1)과 가습 분자가 외부로 배출되는 토출구(11)의 유로 사이에 배치되어, 가습 분자를 토출구(11)로 가이드 할 수 있다.
아울러, 복수의 개구(130) 각각은 리드(10)에 가까울수록 단면적이 증가하는 역삼각형 형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역삼각형인 복수의 개구(130)는 꼭짓점을 포함하는 꼭짓점 영역(PA)과 꼭짓점의 대변을 포함하는 대변 영역(EA)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영역에 따라, 복수의 개구(130)를 통과하는 통과 유로(G)는 꼭짓점 영역(PA)을 지나가는 제1 통과 유로(G1) 및 대변 영역(EA)을 지나가는 제2 통과 유로(G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동일 압력 및 유속을 가지는 가습 분자가 복수의 개구(130)를 통과할 경우, 꼭짓점 영역(PA)을 지나가는 제1 통과 유로(G1)의 유속이 꼭짓점 영역(PA)보다 단면적이 넓은 대변 영역(EA)을 통과하는 제2 통과 유로(G2)의 유속보다 빠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통과 유로(G1)는 제2 통과 유로(G2)보다 압력이 낮아지게 되고, 압력 차이로 인해, 제2 통과 유로(G2)는 자연스레 제1 통과 유로(G1)를 향해 이동하여, 층류(laminar flow)에 가까운 배출 유로를 형성하면서 생성된 가습 분자의 배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즉, 에디(eddy)를 최소한으로 줄여 안정적인 유선(streamline)을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제2 통과 유로(G2)가 제1 통과 유로(G1)로 이동함에 따라 제2 통과 유로(G2)의 낮아진 압력은 비교적 넓은 대변 영역(EA)을 통과하는 가습 분자의 수를 늘릴 수 있으며, 이는 생성된 가습 분자의 배출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더욱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통과 유로(G1)의 빠른 유속으로 인해 후술하는 오목부(110)의 증발면(110b) 상에 배치되는 첨향 오일을 더욱 빨리 증발시켜 가습기(1)의 첨향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역삼각형 형상의 복수의 개구(130)는 생성된 가습 분자의 배출 효율 및 가습기(1)의 첨향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10)로부터 복수의 개구(130)의 꼭짓점(P)까지의 제1 거리(L1)는 리드(10)로부터 오목부(110)까지의 제2 거리(L2)거리보다 길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개구(130)의 꼭짓점 영역(PA)을 지나가는 제1 통과 유로(G1)와 오목부(110)의 증발면(110b)이 접촉하는 접촉 면적이 늘어가게 되고, 이는 오목부(110)의 증발면(110b) 상에 배치되는 첨향 오일을 더욱 빨리 증발시켜 가습기(1)의 첨향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할 때, 가이드 부재(100)는 가이드 부재(100) 하면(100a)에 물 수용공간(S1)과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13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연통된다'는 공간적으로 연결되어 물리적으로 물질이 이동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가이드 부재(100) 내부에 가습 분자가 다시 액화되는 경우, 액체 상태의 물이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131)를 통해 물 수용공간(S1)으로 빠져나감으로써, 가이드 부재(100) 내에 축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액화된 물을 다시 재사용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할 때, 격벽(120)은 오목부(110)를 둘러 싸도록 가이드 부재(100)의 하면(100a)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오목부(110)를 둘러싸는 것은 오목부(110)의 측면부만을 둘러싸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격벽(120)은 오목부(110)의 증발면(110b) 상에 있는 첨향 오일이 가이드 부재(100)의 배출구(131)를 통해 물 수용공간(S1)에 채워진 물(W)과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첨향 오일이 물의 표면(WS)에 떠 있게 되어 가습 분자가 생성 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본체(20) 내부가 미끄러워지거나 점성으로 인해 먼지 등과 혼합되어 본체(20) 내부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부재(100)의 하면(100a)으로부터의 격벽(120)의 제3 높이(h3)는 가이드 부재(100)의 하면(100a)으로부터 오목부(110)까지의 제4 높이(h4)보다 낮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개구(130)를 통과하는 통과 유로(G)가 격벽(120)에 의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통과 유로(G)가 오목부(110)의 증발면(110b)과 접촉하는 접촉 면적을 늘일 수 있다. 따라서, 오목부(110)의 증발면(110b) 상에 배치되는 첨향 오일을 더욱 빨리 증발시켜 가습기(1)의 첨향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격벽(120)은 가이드 부재(1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격벽(120)은 별도 부재로 결합되는 것과 달리, 사출 형성으로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제조 비용 또한 줄일 수 있다.
격벽(120)은 격벽(120)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슬롯(121)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개구(130)를 통과하는 통과 유로(G)가 격벽(120)에 의해 막히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통과 유로(G)와 오목부(110)의 증발면(110b)과의 접촉 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롯(121)이 격벽(120)에 많이 형성될수록, 슬롯(121)을 통과하는 통과 유로(G)는 많아지게 된다. 이에 따라, 통과 유로(G)와 오목부(110)의 증발면(110b)의 접촉 면적이 늘어나 가습 분자에 첨가되는 향의 농도가 높아지게 된다.
아울러, 슬롯(121)은 복수의 개구(130) 중 적어도 하나와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개구(130)를 통과하는 통과 유로(G)가 최단 거리로 슬롯(121)을 통과할 수 있으며, 가습기(1)의 배출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슬롯(121)은 슬롯(121)의 하부에 가이드 부재(100)의 하면(100a)과 단차(120a, 도 8 참조)를 형성하도록 격벽(120)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통과 유로(G)의 유로 형성을 위한 슬롯(121)을 통해 오목부(110)의 증발면(110b) 상에 있는 첨향 오일이 가이드 부재(100)의 배출구(131)를 통해 물 수용공간(S1)에 채워진 물(W)과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가습기(1)의 동작 및 가습 유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진동자(50)의 작동으로 인해, 물 수용공간(S1) 내에 채워진 물(W)에서 가습 분자가 생성될 수 있다. 생성된 가습 분자는 본체(20) 내부에 채워지게 되고, 도 6에 도시된 가습 유로(M)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가습 유로(M)는 본체(20)의 내부에서 가이드 부재(100)의 복수의 개구(130)를 통과하고, 오목부(110)의 증발면(110b)을 지나 리드(10)의 토출구(11)를 통해 가습기(1)의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다.
여기서, 가습 유로(M)는 전술한 통과 유로(G)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7 및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가습기(1)의 송풍 유로(B)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0)는 물 수용공간(S1)을 형성하는 제1 케이스(21)와 제1 케이스(21) 주위에 송풍 공간(S4)을 형성하도록 제1 케이스(21)의 외부에 배치된 제2 케이스(2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송풍 공간(S4)은 제1 케이스(21)의 외측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송풍기(40)가 배치된 내부 공간(S2) 및 물 수용공간(S1)과 공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케이스(22)는 제1 케이스(21)의 외측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제1 케이스(21)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케이스(21)는 하부 케이스(30)와 결합되고, 내부 공간(S2)과 송풍 공간(S4)을 연통시키는 제1 연통구(21a) 및 송풍 공간(S4)과 물 수용공간(S1)을 연통시키는 제2 연통구(21b)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송풍기(40)에서 일정한 유속을 가지는 송풍 유로(B)는 제1 케이스(21)의 제1 연통구(21a)를 통해 내부 공간(S2)과 송풍 공간(S4)으로 이어지는 제1 송풍 유로(B1)와 제1 케이스(21)의 제2 연통구(21b)를 통해 송풍 공간(S4)과 물 수용공간(S1)으로 이어지는 제2 송풍 유로(B2)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제2 송풍 유로(B2)는 본체(20) 내부에 생성된 가습 분자와 혼합되어 전술한 가습 유로(M)를 따라 토출구(11)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송풍기(40)를 구비한 가습기(1)는 가습기(1) 내부에 형성된 송풍 유로(B) 및 가습 유로(M)를 통해 생성된 가습 분자를 사용자가 필요한 세기 및 유속으로 토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생성된 가습 분자를 다양한 유속으로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제2 연통구(21b)는 제1 연통구(21a)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연통구(21a)를 통과한 제1 송풍 유로(B1)는 바로 제2 연통구(21b)로 유입되는 것이 아니라, 송풍 공간(S4)을 따라 제1 케이스(21) 외부를 회전하다가 제2 연통구(21b)로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송풍기(400에서 발생하는 유속이 송풍 공간(S4)을 따라 제1 케이스(21) 외부를 회전하고 자연스럽게 제2 연통구(21b)를 통과함으로써, 생성된 가습 분자는 토출구(11)를 통해 은은하게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또한, 제1 케이스(21)의 외측 둘레에 공기층인 송풍 공간(S4)을 형성함으로써, 송풍 공간(S4)은 본체(20) 내부에서 발생하는 낙차 소음을 방음하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아울러, 송풍 공간(S4)은 본체(20) 내부에 채워진 물(W)과 가습기(1)의 외부를 단열시키는 효과 또한 구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를 각각 개별적으로 설명하였으나, 각 실시예들은 반드시 단독으로 구현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각 실시예들의 구성 및 동작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실시예들과 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상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 가습기 10: 리드
20: 본체 21: 제1 케이스
21a: 제1 연통구 21b: 제2 연통구
22: 제2 케이스 30: 하부 케이스
40: 송풍기 50: 진동자
100: 가이드 부재 110: 오목부
120: 격벽 121: 슬롯
130: 개구 131: 배출구
B: 송풍 유로 G: 통과 유로
M: 가습 유로

Claims (10)

  1. 물 수용공간이 내부에 마련된 본체;
    상기 본체의 하면에 배치되어, 상기 물 수용공간에 채워진 물에 진동을 가하여 가습 분자를 생성하는 진동자;
    상기 가습 분자가 배출되는 토출구가 마련되고, 상기 물 수용공간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본체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리드(lid); 및
    상기 리드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가장자리를 따라 기 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가습 분자를 상기 토출구로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진동자에 의해 튀어 오른 물과 접촉하여, 상기 접촉한 물을 상기 가이드 부재의 상기 하면으로 가이드 하도록, 상기 가이드 부재의 하면에 형성된 오목부를 포함하는 가습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반구 형상이며, 상기 진동자와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 가습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개구 각각은 상기 리드에 가까울수록 단면적이 증가하는 역삼각형 형상인 가습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로부터 상기 복수의 개구의 꼭짓점까지의 거리는 상기 리드로부터 상기 오목부까지의 거리보다 긴 가습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오목부를 둘러 싸도록 상기 가이드 부재의 하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격벽을 포함하는 가습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격벽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슬롯은 상기 복수의 개구 중 적어도 하나와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 가습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송풍기가 배치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부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물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1 케이스; 및
    상기 제1 케이스의 주위에 송풍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 케이스의 외부에 배치된 제2 케이스;를 포함하는 가습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는,
    상기 하부 케이스와 결합되고,
    상기 내부 공간과 상기 송풍 공간을 연통 시키는 제1 연통구; 및
    상기 송풍 공간과 상기 물 수용공간을 연통 시키는 제2 연통구;를 포함하는 가습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통구는 상기 제1 연통구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가습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가이드 부재 하면에 상기 물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를 포함하는 가습기.
KR1020180147910A 2018-11-27 2018-11-27 가습기 KR102198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910A KR102198604B1 (ko) 2018-11-27 2018-11-27 가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910A KR102198604B1 (ko) 2018-11-27 2018-11-27 가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2477A true KR20200062477A (ko) 2020-06-04
KR102198604B1 KR102198604B1 (ko) 2021-01-05

Family

ID=71080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7910A KR102198604B1 (ko) 2018-11-27 2018-11-27 가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860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7941A (ko) * 2003-11-18 2005-05-23 주식회사 엔아이티 뚜껑이 없는(무개) 수조상에 분무통제부를 갖는 초음파가습기
KR20090078318A (ko) * 2009-06-29 2009-07-17 한지연 가습분포도를 높여주도록 구성되는 가습기
KR101552521B1 (ko) * 2015-06-30 2015-09-15 (주)세한기업 안정성과 수명이 향상된 진동자 분리형 가습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7941A (ko) * 2003-11-18 2005-05-23 주식회사 엔아이티 뚜껑이 없는(무개) 수조상에 분무통제부를 갖는 초음파가습기
KR20090078318A (ko) * 2009-06-29 2009-07-17 한지연 가습분포도를 높여주도록 구성되는 가습기
KR101552521B1 (ko) * 2015-06-30 2015-09-15 (주)세한기업 안정성과 수명이 향상된 진동자 분리형 가습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8604B1 (ko) 2021-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63875B2 (en) Humidifying apparatus
RU2626213C1 (ru) Вентилятор в сборе
US10408478B2 (en) Humidifying apparatus
KR20200062477A (ko) 가습기
KR200483926Y1 (ko) 가습기의 분무노즐
GB2523463A (en) A fan assembly
JP2014202472A (ja) 加湿機構
JP2020046109A (ja) 液体微細化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熱交換気装置
JPH02147060A (ja) 脱臭装置
JP2014202477A (ja) 加湿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