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1261A - 미끄럼 방지용 신발창 - Google Patents

미끄럼 방지용 신발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1261A
KR20110021261A KR1020090078951A KR20090078951A KR20110021261A KR 20110021261 A KR20110021261 A KR 20110021261A KR 1020090078951 A KR1020090078951 A KR 1020090078951A KR 20090078951 A KR20090078951 A KR 20090078951A KR 20110021261 A KR20110021261 A KR 201100212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p
rubber
tire
shoe sole
spike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8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환
윤성찬
Original Assignee
최종환
윤성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종환, 윤성찬 filed Critical 최종환
Priority to KR1020090078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21261A/ko
Publication of KR20110021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12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02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attached to the sole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개의 러버 폴(pole) 부재가 반복하여 형성된 아웃솔 바닥면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트레드가 각각 형성되고, 길이방향에 교차되도록 가로질러 다수열로 배열 성형된 바(bar) 논슬립부재와, 상기 바(bar) 논슬립부재들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부착 또는 압인된 타이어용 스파이크 핀 부재들이 구비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용 신발창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 방지용 신발창은 트레드에 의해 일차적으로 미끄럼을 방지하고, 복수개의 러버 폴(pole) 부재들에 의해 기둥 형상의 헤드가 균형력있게 하중을 분산시키며, 기둥 형상의 헤드가 바위와 같이 평탄치 못한 비정형의 상태에서도 밀착력을 발휘하여 슬립 저항성(Slip-Resistant)과 충격흡수성(Shock Absorption) 및 진동 흡수성(Anti-Vibration)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상기 바(bar) 논슬립 부재는 나노입자의 필러가 미세한 바늘처럼 바(bar) 논슬립 부재의 표면에 노출되므로 수막이나 유막 위에 모래를 뿌려 놓은 것과 같은 효과에 의해 미끄럼 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 방지용 신발창의 타이어용 스파이크 핀 부재는 상온에서는 연화되어 중심부의 돌출된 핀에 의해 충격을 흡수하고, 0℃를 경계로 그 이하의 저온에서는 딱딱하게 경화되는 소재인 타이어 스파이크 핀용 합성수 지 또는 합성고무를 사용하여 눈길 또는 빙판 위에서 타이어용 스파이크 핀 부재가 순간적으로 경도가 급상승하여 중심부에 돌출된 핀과 주변부의 핀들이 철과 같이 단단한 소재로 경화되어 철 아이젠처럼 눈 또는 빙판에 박힘으로써, 빙판 위에서도 미끄럼 방지 효과가 우수하고, 실내에서도 소리가 나지 않으므로 실내외 겸용이 가능하며, 일반화뿐만 아니라 신사, 숙녀 정장화를 포함한 일반화뿐만 아니라 물기가 많은 욕실이나 물기와 기름이 혼재한 주방 등의 조리 작업화나 또는 얼음과 물이 혼재하는 냉동창고의 작업화나, 또는 아침이슬이 내린 철판위에서 작업을 해야하는 조선소의 안전화나, 기름이 흐른 바닥의 자동차 정비소나 주유소의 작업화 또는 선상용 데크 슈즈, 등산화 및 군화 등과 같이 다양한 용도의 신발에 널리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미끄럼 방지용 신발창, 트레드, 아웃솔, 바(bar) 논슬립부재, 타이어용 스파이크 핀 부재, 스파이크 핀 부재

Description

미끄럼 방지용 신발창{Non-slip shoes sole}
본 발명은 복수개의 러버 폴(pole) 부재가 반복하여 형성된 아웃솔 바닥면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트레드가 각각 형성되고, 길이방향에 교차되도록 가로질러 다수열로 배열, 부착 혹은 압인된 바(bar) 논슬립 부재와, 상기 바(bar) 논슬립 부재들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부착 혹은 압인된 타이어용 스파이크 핀 부재들이 구비된 구조의 신발창으로써, 러버 폴(pole) 부재들에 의해 충격이 흡수됨과 동시에 수막 및 유막이 파괴되고, 바(bar) 논슬립 부재들에 의해 최소 수막 또는 유막까지파괴시켜 이중의 미끄럼 방지 장치로써 미끄럼 방지 효과가 우수하며, 특히 상온에서는 연질의 고무이나, 0℃를 경계로 그 이하의 저온에서 딱딱하게 경화되는 타이어용 스파이크 핀 부재에 의해 동절기에는 눈길 또는 얼음판에서의 미끄럼 방지 효과와 함께 내충격성 및 내진동성이 우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용 신발창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생활수준의 급격한 향상으로 사람들이 생활하는 모든 공간, 즉 빌딩, 지하도 등과 같은 각종 건축물이나 공원 등은 바닥면과 복도나 계단 등이 대리석 또는 각종 타일을 사용하여 시공함에 따라 일반적인 일상생활 중에 빈번하게 미끄러져 골절상 등을 입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미끄럼 방지 소재의 개발을 위한 연구들이 다양하게 수행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와 같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미끄럼 방지용 신발창들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특허출원되고 있으며,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0631151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밑창(2)에 횡방향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안내 홈을 가지고, 이 안내 홈에는 미끄럼 방지부재(21)가 끼워져 사용되며, 미사용시에는 미끄럼 방지부재(21)를 굽(3)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보관구멍(3a)에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구조를 갖는 미끄럼 방지부재가 구비된 신발이 제시되어 있지만, 상기와같은 구조를 갖는 신발의 경우에는 동절기 눈길이나 얼음판 등이 있는 야외에서 보행 후 건물의 실내로 들어올 경우에는 반드시 미끄럼 방지부재(21)를 제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리고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2005-0034512호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밑창(10)과, 갑피와, 누름버튼(30)과, 판스프링(440) 및 미끄럼방지구(40)로 구성되고, 신발의 바닥면에 미끄럼방지구(40)가 장착되어 필요시에 돌출 또는 인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미끄럼 방지용 신발이 제안되고 있지만 건물에 출입하거나 또는 외출시에는 누름버튼(30)과, 판스프링(440) 및 미끄럼방지구(40) 등과 같은 미 끄럼 방지장치에 의해 일일이 조작하여야 하므로 거의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종래와 같이 미끄럼 방지 장치 또는 도구를 이용한 미끄럼 방지용 신발과는 달리 미끄럼 방지기능을 부여하는 신발창의 소재들도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고,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202297호의 미끄럼 방지용 신발 겉창용 조성물이나 또는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0739069호의 난슬립 부틸고무 아웃솔 등과 같이 다양한 소재의 개발들이 진행되고 있지만, 이와 같은 소재에 의한 미끄럼 방지기능은 일반적인 바닥면에서는 소재의 우수한 특성으로 인한 미끄럼의 방지효과가 있다고는 하지만 바닥면에 물기가 많은 주방이나 욕실이나, 저유장 등과 같은 장소에서 신을 경우 바닥면에 형성된 수막이나 유막 등을 파괴시켜 미끄럼 효과를 나타내는데는 한계가 있으며, 또한 겨울철 빙판길이나 대리석 바닥면과 같이 바닥 면이 미끄러운 빌딩의 실내 공간을 자유롭게 신고 다닐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냉동창고의 경우에는 냉동창고 입구의 바닥면에는 얼음이 녹아 수막이 형성되고, 입구의 안쪽 바닥면에는 얼음이 얼어붙은 빙판이 동시에 존재하는 장소로서 이러한 장소에서는 작업자들이 미끄러져 골절되는 부상의 안전사고들이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지만 아직까지 이와 같이 수막과 빙판이 동시에 형성된 바닥면에서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신발이 개발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프레온 가스관이 바닥에 매설된 냉동창고에서는 가스관 파괴의 위험성으로 인해 금속 아이젠 은 사용이 불가능하며 현재 마땅한 대안이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종래의 신발과 같이 미끄럼 방지기구들을 따로 장착하지 않고도 건물의 실내는 물론, 동절기 실외에서 얼음 또는 눈에서도 신발창 자체로써 미끄럼 방지기능이 우수한 기능성 신발창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아웃솔의 바닥면 전체에 복수개의 러버 폴(pole) 부재들을 반복하여 형성시키고, 아웃솔 바닥면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트레드가 형성시킨 구조를 갖는 신발창으로써, 트레드에 의해 일차적으로 미끄럼을 방지하고, 복수개의 러버 폴(pole) 부재들에 의해 기둥 형상의 헤드가 균형력 있게 하중, 충격 및 진동을 분산시키며, 기둥 형상의 헤드가 바위와 같이 평탄치 못한 비정형의 상태에서도 밀착력을 발휘하여 슬립 저항성(Slip-Resistant)과 충격흡수성(Shock Absorption) 및 진동 흡수성( Anti-Vibration)을 향상 시킬 수 있도록 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용 신발창을 제공함을 과제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아웃솔의 길이방향에 교차되도록 가로질러 다수열로 배열 형성시킨 바(bar) 논슬립부재를 부착 혹은 압인시킨 구조의 신발창으로써, 상기 바(bar) 논슬립 부재는 나노입자의 필러가 미세한 바늘처럼 바(bar) 논슬립 부재의 표면에 노출되므로 수막이나 유막 또는 빙판 위에 모래를 뿌려 놓은 것과 같은 효과에 의해 미끄럼 현상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용 신발창을 제공함을 다른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바(bar) 논슬립 부재들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타이어 용 스파이크 핀 부재를 부착 혹은 압인시킨 구조의 신발창으로써, 이와 같은 타이어용 스파이크 핀 부재는 상온에서는 연질 고무로써 중심부의 돌출된 핀에 의해 충격을 흡수하고, 0℃를 경계로 그 이하의 저온에서는 딱딱하게 경화되는 소재인 타이어 스파이크 핀용 합성수지 또는 합성고무를 사용하여 눈길 또는 빙판 위에서 타이어용 스파이크 핀 부재가 순간적으로 경도가 급상승하여 중심부에 돌출된 핀과 주변부의 핀들이 철과 같이 단단한 소재로 경화되어 철 아이젠처럼 눈 또는 빙판에 박힘으로써, 빙판위에서도 미끄럼 방지 효과가 우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용 신발창을 제공함을 또 다른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서 타이어용 스파이크 핀 부재는 통상적으로 타이어 스파이크 핀으로 사용되는 부재로서,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원2000-69092호(YOKOHAMA RUBBER CO LTD, 일본)에서 한정하고 있는 타이어 스파이크 핀용 합성수지 조성물이나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4-151308호(ISHIKAWA GIKEN RUBBER KK, 일본)에서 한정하고 있는 타이어 스파이크 핀의 조성물이나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2-84459호(ISHIKAWA GIKEN RUBBER KK, 일본)에서 한정하는 가황고무 조성물 또는 미국 등록특허공보 제5,324,369호(ISHIKAWA GIKEN GOMU KABUSHIKI KAISYA, 일본)에서 한정하는 합성수지 또는 합성고무의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단부와 후단부에 트레드가 각각 형성된 아웃솔 바닥면의 전체면에 반복 형성된 복수개의 러버 폴(poll) 부재들과,
상기 아웃솔 바닥면의 길이방향에 교차되도록 가로질러 다수열로 배열 성형된 바(bar) 논슬립부재와,
상기 바(bar) 논슬립부재들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압인공에 일체형으로 접착되는 구조이거나 또는 압인되는 구조를 갖는 타이어용 스파이크 핀 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용 신발창을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러버 폴(poll) 부재는 합성고무 소재이고, 헤드가 버섯 형상의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그리고 상기 바(bar) 논슬립부재는 바(bar) 형상의 밴드가 다수열 중복 배열되는 구조이고, 상기 다수열의 사이에 요철 형상의 홈들이 형성되는 구조로서, 그 소재가 합성고무 또는 합성고무와 천연고무의 혼합고무로서, 50~200 nm 크기의 나노 입자 충진제가 함유된 고무인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타이어용 스파이크 핀 부재는 압인공에 일체형으로 접착되는 구조로서, 하부 면의 중심부에 돌출된 핀과 이 핀의 주변부에 상기 중심부에 돌출된 핀보다 높이가 낮은 네개의 핀이 돌출되고, 상기 핀들로 구성된 스파이크 핀을 완충고무가 감싼 구조이거나 또는 압인되는 구조를 갖는 타이어용 스파이크 핀 부재는 둥근 구의 테두리에 원주형 날개가 형성된 원추 형상의 구조로서, 그 소재가 합성 수지 또는 합성고무로서, 상온에서는 연화되고, 0℃를 경계로 그 이하의 저온에서 경화되는 특성을 갖는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 방지용 신발창은 트레드에 의해 일차적으로 미끄럼을 방지하고, 복수개의 러버 폴(pole) 부재들에 의해 기둥 형상의 헤드가 균형력있게 하중, 충격 및 진동을 분산시키며, 기둥 형상의 헤드가 바위와 같이 평탄치 못한 비정형의 상태에서도 밀착력을 발휘하여 슬립 저항성(Slip-Resistant)과 충격흡수성(Shock Absorption) 및 진동 흡수성(Anti-Vibration)을 향상 시킬 수 있고, 또한 바(bar) 논슬립 부재는 나노입자의 필러가 미세한 바늘처럼 바(bar) 논슬립부재의 표면에 노출되므로 수막이나 유막 또는 빙판 위에 모래를 뿌려 놓은 것과 같은 효과에 의해 미끄럼 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 방지용 신발창의 타이어용 스파이크 핀 부재는 상온에서는 연화되어 중심부의 돌출된 핀에 의해 충격을 흡수하고, 0℃를 경계로 그 이하의 저온에서는 딱딱하게 경화되는 소재인 타이어 스파이크 핀용 합성수지 또는 합성고무를 사용하여 눈길 또는 빙판 위에서 타이어용 스파이크 핀 부재가 순간적으로 경도가 급상승하여 중심부에 돌출된 핀과 주변부의 핀들이 철과 같이 단단한 소재로 경화되어 철 아이젠처럼 눈 또는 빙판에 박힘으로써, 빙판 위에서도 미끄럼 방지 효과가 우수하고, 실내에서도 소리가 나지 않으므로 실내외 겸용이 가 능하며, 신사, 숙녀용 정장화(High hell 및 Dress shoes)를 포함한 일반화뿐만 아니라 물기가 많은 욕실이나 물기와 기름이 혼재한 주방 등의 조리 작업화나 또는 얼음과 물이 혼재하는 냉동창고의 작업화나, 또는 아침이슬이 내린 철판위에서 작업을 해야하는 조선소의 안전화나, 기름이 흐른 바닥의 자동차 정비소나 주유소의 작업화 또는 선상용 데크 슈즈, 등산화, 군화 등과 같이 다양한 용도의 신발에 널리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3 내지 도 11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3 내지 도 11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각 도면에서 도시한 미끄럼 방지용 신발창의 기술적 내용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서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들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하였다.
본 발명에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미끄럼 방지용 신발창의 바닥면을 나타낸 저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 방지용 신발창의 타이어용 스파이크 핀 부재를 나타낸 저면도 및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 방지용 신발창의 바(bar) 논슬립부재를 나타낸 저면도 및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미끄 럼 방지용 신발창의 스파이크 핀 부재를 나타낸 저면도 및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미끄럼 방지용 신발창의 바닥면을 나타낸 저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타이어용 스파이크 핀 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미끄럼 방지용 신발창에 타이어용 스파이크 핀 부재가 신발창 내부에 압인되는 과정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도 3 내지 도 11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전단부와 후단부에 트레드(10)가 각각 형성된 아웃솔 바닥면의 전체면에 반복 형성된 복수개의 러버 폴(poll) 부재(20)들과,
상기 아웃솔 바닥면의 길이방향에 교차되도록 가로질러 다수열로 배열 성형된 바(bar) 논슬립부재(30)와,
상기 바(bar) 논슬립 부재(30)들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부착 혹은 압인된 타이어용 스파이크 핀 부재(4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용 신발창(100)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 방지용 신발창(100)은 평상화는 물론 실내화, 부츠화, 욕실화, 작업화, 안전화, 등산화, 군화, 조리화, 선상화 등과 같이 다양한 용도의 신발에 모두 적용되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트레드(10)는 보행시 신발이 바닥면과 접하면서 마찰력에 의해 미끄럼 현상의 제동 효과를 높이기 위해 아웃솔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트레드(10)에 사용하는 합성고무 소재는 통상적으로 신발에 사용하는 내마모성이 강한 합성고무로써, 50~200nm 크기의 필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아웃솔의 바닥면에 직접 성형이나 접착에 의해 일체형으로 부착되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러버 폴(pole) 부재(20)는 합성고무 소재이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가 기둥 형상의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러버 폴(pole) 부재(20)는 사람이 신발을 신고 보행시에 기둥 형상의 헤드가 균형력있게 하중을 분산시키며, 기둥 형상의 헤드가 바위와 같이 평탄치 못한 비정형의 상태에서도 밀착력을 발휘하여 슬립 저항성(Slip-Resistant)과 충격흡수성(Shock Absorption)을 향상시킬수 있도록 한 구조인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복수개의 러버 폴(pole) 부재(20)들이 반복 형성된 아웃솔의 바닥면 은 아웃솔의 길이방향에 교차되도록 가로질러 다수열로 바(bar) 논슬립부재(30)가 배열 성형 되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미끄럼 방지용 신발창(100)의 바(bar) 논슬립부재(30) 및 타이어용 스파이크 핀 부재(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웃솔의 바닥면에 형성된 압인홈(31, 41)에 접착제에 의해 일체형으로 접착되는 구조이거나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의 구조를 갖는 타이어용 스파이크 핀 부재(40')를 사용하여 공구로 신발창에 형성시킨 압인공(41')에 삽입시켜 압인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접착제는 각종 신발 부품들을 접착하기 위한 통상적인 접착제로서, EVA 계열접착제나 또는 PU계 접착제 등이 사용되어진다.
그리고 상기와 갖은 구조를 갖는 바(bar) 논슬립부재(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bar)형상의 밴드가 다수열 중복 배열되고, 또한 상기 바(bar) 논슬립부재(30)는 다수열의 사이에 형성된 요철 형상의 홈(32)들에 의해 미끄럼 현상이 제동되어진다.
상기에서 바(bar)형상의 밴드는 도 3 및 도 9에 도시된 신발창에서와 같이
Figure 112009052157047-PAT00001
형상의 상태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와 같은 형상 이외에도 일자 형 형상 또는 상기에서 한정하는 형상 이외의 다양한 형상들로 배열되어 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바(bar) 논슬립부재(30)의 소재는 합성고무 또는 합성고무와 천연고무의 혼합고무인 통상적인 신발용 고무조성물로서, 고무 기재, 가황제, 가황촉진제 및 충진제와 통상적인 고무첨가제로 이루어진 고무 조성물에 의해 제조된 고무로서, 상기 충진제는 50~200 nm 크기의 나노 입자 충진제를 사용하여 제조한 고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나노 입자 충진제의 크기가 50 nm 미만인 경우에는 입자의 크기가 너무 작아 미끄럼 방지 효과가 제대로 작용되지 않을 우려가 있고, 나노 입자 충진제의 크기가 200 nm를 초과할 경우에는 미끄럼 방지효과와 인열강도가 떨어질 우려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충진제는 통상적인 고무 충진제로서, 상기 충진제는 카본블랙, 실리카, 탄산칼슘, 탈크와 같은 무기 충진제 중에서 1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하며, 고무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5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진제의 사용량이 10 중량부 미만이면, 고무의 보강효과가 적어 기계적 물성이 제대로 발현되지 않을 우려가 있고, 5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충진제의 과다 혼입으로 경도가 급격히 상승하고, 인장강도, 탄성력 등과 같은 고무의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신발창에 일체형으로 접착되어지는 타이어용 스파이크 핀 부재(4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면의 중심부에 돌출된 핀(42)과 이 핀의 주변부에 상기 중심부에 돌출된 핀보다 높이가 낮은 네개의 핀(43)이 돌출되고, 상기 핀들로 구성된 스파이크 핀을 완충고무(44)가 감싼 구조로서, 상기 타이어용 스파이크 핀 부재(40)의 형상에 대응되게 신발창에 형성시킨 압인홈(41) 내에 접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미끄럼 방지용 신발창에서 신발창에 압인되어지는 타이어용 스파이크 핀 부재(4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둥근 구의 테두리에 원주형 날개가 형성된 원추 형상의 구조로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구를 사용하여 상기 타이어용 스파이크 핀 부재(40')를 압인홈(41')에 삽입시켜면, 끝단에 압인공의 직경보다 넓은 직경을 갖는 공간을 형성시킨 압인홈(41')에 압인될 시 원추형의 날개가 압인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접힌 상태로 압인이 되고, 압인이 된 후에는 날개가 펴진 상태가 되어 빠져 나오지 않는 구조이다.
이때 상기 스파이크 핀 부재(40')는 원추형으로써 상기 압인홈(41')에 삽인되어진 상태에서 암인홈(41') 주변에 유격을 형성하며, 이 유격의 공간에 냉수와 냉기가 스며들어 스파이크의 경화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시켜주는 구조인 것을 특 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타이어용 스파이크 핀 부재(40 또는 40')는 타이어 스파이크 핀용 합성고무로서, 상온에서는 연화되고, 0℃를 경계로 그 이하의 저온에서는 경화되는 특성을 갖는 합성고무 소재를 사용하고, 완충고무는 통상적인 합성고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용 스파이크 핀 부재(40 또는 40')는 통상적으로 타이어 스파이크 핀으로 사용되는 부재로서,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원2000-69092호(YOKOHAMA RUBBER CO LTD, 일본)에서 한정하고 있는 타이어스파이크핀용 합성수지 조성물이나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4-151308호(ISHIKAWA GIKEN RUBBER KK, 일본)에서 한정하고 있는 타이어 스파이크핀의 조성물이나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2-84459호(ISHIKAWA GIKEN RUBBER KK, 일본)에서 한정하는 가황고무 조성물 또는 미국 등록특허공보 제5,324,369호(ISHIKAWA GIKEN GOMU KABUSHIKI KAISYA, 일본)에서 한정하는 합성수지 또는 합성고무의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타이어용 스파이크 핀 부재는 상온에서는 연화되어 스파이크 핀이 충격을 흡수하고, 0℃를 경계로 그 이하의 저온에서는 딱딱하게 경화되는 소재인 타이어 스파이크 핀용 합성수지 또는 합성고무를 사용하여 눈길 또는 빙판 위에서 타이어용 스파이크 핀 부재가 순간적으로 경도가 급상승하 여 철과 같이 단단한 소재로 경화되어 철 아이젠처럼 눈 또는 빙판에 박힘으로써, 빙판위에서도 미끄럼 방지 효과가 우수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 방지용 신발창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미끄럼 방지부재가 구비된 신발의 측면도;
도 2는 종래의 다른 미끄럼방지구가 바닥면에 부착된 신발의 저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미끄럼 방지용 신발창의 바닥면을 나타낸 저면도;
도 4는 도 3의 측면도;
도 5는 도 3의 분리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 방지용 신발창의 타이어용 스파이크 핀 부재를 나타낸 저면도 및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 방지용 신발창의 바(bar) 논슬립부재를 나타낸 저면도 및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 방지용 신발창의 타이어용 스파이크 핀 부재를 나타낸 저면도 및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미끄럼 방지용 신발창의 바닥면을 나타낸 저면도;
도 10은 도 9의 타이어용 스파이크 핀 부재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미끄럼 방지용 신발창에 타이어용 스파이크 핀 부재가 신발창 내부에 압인되는 과정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에 관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미끄럼 방지용 신발창 10 : 트레드
20 : 러버 폴(poll) 부재 30 : 바(bar) 논슬립부재
40, 40' : 타이어용 스파이크 핀 부재 31, 41, 41' : 압인홈
32 : 요철홈 42, 43 : 핀
44 : 완충고무

Claims (8)

  1. 전단부와 후단부에 트레드가 각각 형성된 아웃솔 바닥면의 전체면에 반복 형성된 복수개의 러버 폴(poll) 부재들과,
    상기 아웃솔 바닥면의 길이방향에 교차되도록 가로질러 다수열로 배열 성형된 바(bar) 논슬립부재와,
    상기 바(bar) 논슬립부재들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압인공에 일체형으로 접착되는 구조이거나 또는 압인되는 구조를 갖는 타이어용 스파이크 핀 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용 신발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러버 폴(poll) 부재는 합성고무 소재이고, 헤드가 버섯 형상의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용 신발창.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bar) 논슬립부재는 바(bar) 형상의 밴드가 다수열 중복 배열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용 신발창.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바(bar) 논슬립부재는 다수열의 사이에 요철 형상의 홈들이 형성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용 신발창.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바(bar) 논슬립부재는 합성고무 또는 합성고무와 천연고무의 혼합고무로서, 50~200 nm 크기의 나노 입자 충진제가 함유된 고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용 신발창.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인공에 일체형으로 접착되는 구조인 타이어용 스파이크 핀 부재는 하부 면의 중심부에 돌출된 핀과 이 핀의 주변부에 상기 중심부에 돌출된 핀보다 높이가 낮은 네개의 핀이 돌출되고, 상기 핀들로 구성된 스파이크 핀을 완충고무가 감싼 구조로서, 상기 타이어용 스파이크 핀 부재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시킨 압인홈 내에 접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용 신발창.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인되는 구조를 갖는 타이어용 스파이크 핀 부재는 둥근 구의 테두리에 원주형 날개가 형성된 원추 형상의 구조로서, 끝단에 압인공의 직경보다 넓은 직경을 갖는 공간을 형성시킨 압인홈에 삽입되어 압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용 신발창.
  8. 제 6항 또는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용 스파이크 핀 부재는 타이어 스파이크 핀용 합성수지 또는 합성고무로서, 상온에서는 연화되고, 0℃를 경계로 그 이하의 저온에서 경화되는 특성을 갖는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용 신발창.
KR1020090078951A 2009-08-25 2009-08-25 미끄럼 방지용 신발창 KR201100212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8951A KR20110021261A (ko) 2009-08-25 2009-08-25 미끄럼 방지용 신발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8951A KR20110021261A (ko) 2009-08-25 2009-08-25 미끄럼 방지용 신발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1261A true KR20110021261A (ko) 2011-03-04

Family

ID=43930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8951A KR20110021261A (ko) 2009-08-25 2009-08-25 미끄럼 방지용 신발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2126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5883B1 (ko) * 2012-03-29 2013-11-05 이재봉 바닥문양을 변경시킬 수 있는 신발
CN108464572A (zh) * 2018-05-11 2018-08-31 秦金平 一种多功能鞋底
KR102121765B1 (ko) * 2019-02-27 2020-06-11 이호영 임업용 장화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5883B1 (ko) * 2012-03-29 2013-11-05 이재봉 바닥문양을 변경시킬 수 있는 신발
CN108464572A (zh) * 2018-05-11 2018-08-31 秦金平 一种多功能鞋底
CN108464572B (zh) * 2018-05-11 2024-02-06 秦金平 一种多功能鞋底
KR102121765B1 (ko) * 2019-02-27 2020-06-11 이호영 임업용 장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515736U (zh) 一种防滑止滑片
AU650536B2 (en) Spike pin and system for mounting a spike pin
CN219047562U (zh) 一种带鞋跟钢爪翻转的冰面止滑鞋底
KR20110021261A (ko) 미끄럼 방지용 신발창
US20070163146A1 (en) Antiskid attachment for footwear and universal traction enhancement method
EP2833753A1 (en) Anti-slip device having retractable spikes
CN201929132U (zh) Pu与橡胶双密度注射鞋
CN210094829U (zh) 一种设有透明tpu基层的防滑鞋
KR20160012766A (ko) 미끄럼 방지용 신발 밑창
JP2009268794A (ja) 靴用滑り止め具
JP4467936B2 (ja) 耐滑靴底
KR20090131986A (ko) 신발 밑창
CN203087691U (zh) 冰雪钉鞋
CN203226330U (zh) 安全高效防滑鞋套
JP5377737B1 (ja) 雪面上や氷面上での歩行に適した靴底
KR101302707B1 (ko) 미끄럼 방지 기능의 교체형 신발
CN111480942A (zh) 一种耐磨防滑鞋
WO2010101493A1 (ru) Противоскользящее средство для обуви
CN214382224U (zh) 一种防滑eva鞋底
KR101522809B1 (ko) 아이젠
CN218008438U (zh) 一种高抗拉止滑橡胶运动鞋底
CN201153592Y (zh) 多功能防滑鞋
CN220384394U (zh) 一种防寒鞋底
CN114304802B (zh) 一种防异物影响平衡的雪地防滑鞋
JP3123059U (ja) 靴底滑り止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