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0620A -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0620A
KR20110020620A KR1020090078327A KR20090078327A KR20110020620A KR 20110020620 A KR20110020620 A KR 20110020620A KR 1020090078327 A KR1020090078327 A KR 1020090078327A KR 20090078327 A KR20090078327 A KR 20090078327A KR 20110020620 A KR20110020620 A KR 201100206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bar
support
yoke
support yoke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8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기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090078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20620A/ko
Publication of KR20110020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06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00Steering gears
    • B62D3/02Steering gears mechanical
    • B62D3/12Steering gears mechanical of rack-and-pinion type
    • B62D3/123Steering gears mechanical of rack-and-pinion type characterised by pressure yo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 F16H55/26Racks
    • F16H55/28Special devices for taking up backlash
    • F16H55/283Special devices for taking up backlash using pressure yok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Gears, Ca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기어박스의 실린더에 삽입되며 전방면에서 랙바의 후방면을 밀착 지지하는 서포트 요크와; 상기 서포트 요크의 외주면에 외삽되어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랙바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외주면에는 서로 이격되며 형성되되, 상기 기어박스의 실린더 방향 또는 이와 반대 방향 중 어느 일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수개의 제1탄성변형부가 구비되어 있는 탄성지지체; 및 상기 기어박스의 실린더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서포트 요크의 후방면에 스프링을 매개로 압력을 가하는 요크 플러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차의 조향장치에 있어서, 자동차의 주행시 불규칙한 노면 등으로부터 바퀴를 타고 랙바에 역입력되는 충격이나, 내구 진행으로 인한 서포트 요크의 마모 등으로 서포트 요크와 기어박스에서 발생되는 래틀 노이즈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조향장치, 서포트 요크, 요크 플러그, 기어박스, 랙바

Description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Rack Bar Supporting Device of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랙 피니언 방식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에 있어서, 자동차의 주행시 불규칙한 노면 등으로부터 바퀴를 타고 랙바에 역입력되는 충격이나, 내구 진행으로 인한 서포트 요크의 마모 등으로 서포트 요크와 기어박스에서 발생되는 래틀 노이즈를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향장치는 차량의 진행 방향을 운전자의 의지대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로서 차량의 앞바퀴가 선회하는 회전 중심을 임의로 변경하여 운전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차량을 진행시킬 수 있도록 보조하는 장치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용 랙 피니언 방식 조향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랙 피니언 방식 조향장치는 운전석에 배치되는 조향휠(100)과 이에 연결된 조향축(105), 그리고 조향축을 차체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조향 컬럼(103), 조향축(105)으로부터 입력받은 회전력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랙 기어(110)와 피니언 기어(120)를 포함하는 기어박스(130), 양단부에 이너 볼 조인트(135)를 구비한 랙바(140), 이너 볼 조인트(135)의 볼과 일체로 형성된 타이로드(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타이로드(150)는 아우터 볼 조인트(155)와 연결되고 너클(Knuckle, 159)로 힘을 전달하여 타이어(158)를 조향한다.
도 2는 종래의 랙바 지지장치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랙바 지지장치는 피니언 기어(120), 랙바(140), 서포트 요크(260), 스프링(263) 및 요크 플러그(26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랙 피니언 방식의 기어박스(1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조향축(미도시)으로부터 입력받은 회전력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되도록 한다.
랙바(140)는 피니언 기어(120)와 치합하여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전환하는데, 랙바(140)의 후면에는 랙바(140)와 피니언 기어(120)의 치합이 잘 이루어지도록 랙바(140)를 피니언 기어(120)측으로 지지하는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랙바(140)를 지지하는 장치는 서포트 요크(260), 스프링(263), 요크 플러그(265)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서포트 요크(260)는 랙바(140)의 후방면인 랙 기어(110; 도 1 참조)가 형성된 면의 반대 측에 위치하며, 기어박스(130)의 실린더(250)에 삽입되어 랙바(140)와 수직한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조이다.
서포트 요크(260)의 형상은 실린더(250)에서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원통형이며, 랙바(140)와 접하는 전방부는 랙바(140)의 후방면과 밀착할 수 있도록 반원형의 홈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랙바(140)와 피니언 기어(120)가 밀착하여 효과적으로 힘을 전달할 수 있도록 서포트 요크(260)의 후방에 스프링(263)을 배치하여 일정한 압력으로 서포트 요크(260)를 밀어주어 랙바(140)와 피니언 기어(120) 사이에 발생하는 유격을 보상해 줄 수 있다.
이와 같은 서포트 요크(260)는 랙바(140)의 후방면과 슬라이딩 마찰을 하게되며, 마찰로 인해 랙바(140)가 마모되거나 소음을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통상 랙바(140)보다 연성 재질인 플라스틱으로 된 서포트 요크(260)를 사용한다.
스프링 홈(220)에 수용되는 스프링(263)은 서포트 요크(260)가 랙바(140)와 밀착되도록 압력을 가하는 기능을 하는데, 일반적으로 코일 스프링이 사용되며, 스프링(263)의 후면에는 요크 플러그(265)가 위치하여 스프링(263)을 지지한다.
요크 플러그(265)는 스프링(263)을 지지하여 서포트 요크(260)에 압력을 가하도록 한다. 요크 플러그(265)에는 통상 나사산과 골을 형성하고 있어 이와 치합하는 나사산과 골이 형성된 기어박스(130)와 록 너트(240)에 결합하도록 되어 있으며, 요크 플러그(265)의 후면에는 렌치가 삽입될 수 있는 공구홈(230)을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랙바 지지장치는 서포트 요크가 어느 정도 내구가 진행되면 유격이 증대되어 랙바를 제대로 지지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유격 증대로 서포트 요크와 요크 플러그에서 래틀 노이즈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자동차의 조향장치에 있어서, 자동차의 주행시 불규칙한 노면 등으로부터 바퀴를 타고 랙바에 역입력되는 충격이나, 내구 진행으로 인한 서포트 요크의 마모 등으로 서포트 요크와 기어박스에서 발생되는 래틀 노이즈를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기어박스의 실린더에 삽입되며 전방면에서 랙바의 후방면을 밀착 지지하는 서포트 요크와; 상기 서포트 요크의 외주면에 외삽되어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랙바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외주면에는 서로 이격되며 형성되되, 상기 기어박스의 실린더 방향 또는 이와 반대 방향 중 어느 일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수개의 제1탄성변형부가 구비되어 있는 탄성지지체; 및 상기 기어박스의 실린더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서포트 요크의 후방면에 스프링을 매개로 압력을 가하는 요크 플러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기어박스의 실린더에 삽입되며 전방면에서 랙바의 후방면을 밀착 지지하는 서포트 요크와; 상기 서포트 요크의 외주면에 외삽되어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랙바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는 탄성지지체; 및 상기 기어박스의 실린더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서포트 요크의 후방면에 스프링을 매개로 압력을 가하는 요크 플러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차의 조향장치에 있어서, 자동차의 주행시 불규칙한 노면 등으로부터 바퀴를 타고 랙바에 역입력되는 충격이나, 내구 진행으로 인한 서포트 요크의 마모 등으로 서포트 요크와 기어박스에서 발생되는 래틀 노이즈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방향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상 서포트 요크의 우측은 전방으로, 도면상 서포트 요크의 좌측은 후방으로 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랙바 지지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3b와 도 3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랙바 지지장치 중 탄성지지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랙바 지지장치는, 기어박스(130)의 실린더(250)에 삽입되며 전방면에서 랙바(140)의 후방면을 밀착 지지하는 서포트 요크(305)와; 상기 서포트 요크(305)의 외주면에 외삽되어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랙바(140)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외주면에는 서로 이격되며 형성되되, 상기 기어박스(130)의 실린더(250) 방향 또는 이와 반대 방향 중 어느 일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수개의 제1탄성변형부(310)가 구비되어 있는 탄성지지체(300); 및 상기 기어박스(130)의 실린더(250)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서포트 요크(305)의 후방면에 스프링(263)을 매개로 압력을 가하는 요크 플러그(26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서포트 요크(305)는 피니언 기어(120)와 치합되는 랙바(140)의 후면에 밀착되어 랙바(140)와 피니언 기어(120)의 치합이 잘 이루어지도록 랙바(140)를 전방으로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서포트 요크(305)는 랙바(140)와 피니언 기어(120)가 밀착하여 효과적으로 힘을 전달할 수 있도록 스프링(263)을 매개로 요크 플러그(265)에 의해 전방으로 지지되어 랙바(140)와 피니언 기어(120) 사이에 발생하는 유격을 보상하게 된다.
즉, 서포트 요크(305)는 기어박스(130)의 실린더(250)에 삽입되어 전방면에서 랙바(140)의 후방면을 밀착 지지하고 후방면에는 서포트 요크(305)를 전방으로 밀어줄 수 있도록 요크 플러그(265)에 의해 지지되는 스프링(263)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서포트 요크(305)의 외주면에는 외주면에 외삽되어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랙바(140)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지지체(300)가 결합되어 있어서, 자동차가 요철이 심한 노면을 주행할 때 불규칙한 노면 등으로부터 바퀴를 통해 랙바(140)로 역입력 되는 충격에 서포트 요크(305)가 요크 플러그(265)를 가격하여 발생되는 노이즈를 방지하게 되어 있다.
탄성지지체(300)는 중공의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서로 이격되며 상기 기어박스의 실린더(250) 방향으로 또는 이와 반대 방향 중 어느 일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수개의 제1탄성변형부(310)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불규칙한 노면 등으로부터 바퀴를 통해 랙바(140)로 역입력 되는 충격이 서포트 요크(305)에 가해지면, 서포트 요크(305)와 기어박스의 실린더(250) 사이에서 탄성지지체(300)가 탄성 변형하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즉, 엠보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탄성변형부(310)가 서포트 요크(305)와 기어박스의 실린더(250)의 사이에서 눌리면서 압착되어 충격에 의한 래틀 노이즈의 발생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탄성지지체(300)에는 외주면에 제1탄성변형부(310)와 반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수개의 제2탄성변형부(315)가 구비될 수 있 는데, 이렇게 제1탄성변형부(310)와 제2탄성변형부(315)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 형성됨으로써 서포트 요크(305)와 기어박스의 실런더(250) 사이에서 용이하게 탄성 변형되어 노이즈를 방지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랙바 지지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랙바 지지장치는, 기어박스의 실린더(250)에 삽입되며 전방면에서 랙바(140)의 후방면을 밀착 지지하는 서포트 요크(305)와; 상기 서포트 요크(305)의 외주면에 외삽되어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랙바(140)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는 탄성지지체(300); 및 상기 기어박스의 실린더(250)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서포트 요크(305)의 후방면에 스프링(263)을 매개로 압력을 가하는 요크 플러그(26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요철부는 기어박스의 실린더(250)와 서포트 요크(305)의 외주면에 접하면서 이들과 접하는 양방향으로 돌출 함몰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기어박스의 실린더(250)와 서포트 요크(305)의 사이에서 탄성지지체(300)의 요철부가 탄성 변형되면서 랙바(140)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게 되며, 여기서 서포트 요크(305)와 요크 플러그(265)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이와 같은 탄성지지체(300)는 서포트 요크(305)의 외주면에 압입되어 결합되는데, 이에 추가적으로 서포트 요크(305)는 탄성지지체(300)가 외삽되어 결합되도록 외주면이 축경되어 형성되는 체결홈(320)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와 형상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차의 조향장치에 있어서, 자동차의 주행시 불규칙한 노면 등으로부터 바퀴를 타고 랙바에 역입력되는 충격이나, 내구 진행으로 인한 서포트 요크의 마모 등으로 서포트 요크와 기어박스에서 발생되는 래틀 노이즈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용 랙 피니언 방식 조향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랙바 지지장치의 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랙바 지지장치의 단면도;
도 3b와 도 3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랙바 지지장치 중 탄성지지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랙바 지지장치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0: 기어박스 140: 랙바
265: 요크 플러그 300: 탄성지지체
305: 서포트 요크 310: 제1탄성변형부
315: 제2탄성변형부 320: 체결홈

Claims (4)

  1. 기어박스의 실린더에 삽입되며 전방면에서 랙바의 후방면을 밀착 지지하는 서포트 요크;
    상기 서포트 요크의 외주면에 외삽되어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랙바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외주면에는 서로 이격되며 형성되되, 상기 기어박스의 실린더 방향 또는 이와 반대 방향 중 어느 일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수개의 제1탄성변형부가 구비되어 있는 탄성지지체; 및
    상기 기어박스의 실린더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서포트 요크의 후방면에 스프링을 매개로 압력을 가하는 요크 플러그;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체는 외주면에 상기 제1탄성변형부와 반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상기 제1탄성변형부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수개의 제2탄성변형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
  3. 기어박스의 실린더에 삽입되며 전방면에서 랙바의 후방면을 밀착 지지하는 서포트 요크;
    상기 서포트 요크의 외주면에 외삽되어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랙바로부터 전 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는 탄성지지체; 및
    상기 기어박스의 실린더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서포트 요크의 후방면에 스프링을 매개로 압력을 가하는 요크 플러그;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요크는 상기 탄성지지체가 외삽되어 결합되도록 외주면이 축경되어 형성되는 체결홈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
KR1020090078327A 2009-08-24 2009-08-24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 KR201100206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8327A KR20110020620A (ko) 2009-08-24 2009-08-24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8327A KR20110020620A (ko) 2009-08-24 2009-08-24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0620A true KR20110020620A (ko) 2011-03-03

Family

ID=43929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8327A KR20110020620A (ko) 2009-08-24 2009-08-24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2062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5723B1 (ko)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
KR101271294B1 (ko)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
KR20110092456A (ko)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
KR101268245B1 (ko)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
KR101209326B1 (ko) 탄성지지체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
KR101215711B1 (ko)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
KR101450327B1 (ko)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 조향장치
JP5289478B2 (ja) 自動車操向装置のラックバー支持装置
KR20090116183A (ko) 자동차 조향장치의 서포트 요크 구조
KR20130051090A (ko)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
KR20110020620A (ko)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
KR101277888B1 (ko)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
KR20110125515A (ko)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 조향장치
KR101827589B1 (ko)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
KR101189304B1 (ko) 랙바 지지장치
KR101268263B1 (ko)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
KR20110125342A (ko) 랙바 지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 조향장치
KR20130053180A (ko)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
KR20110092660A (ko)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조향장치
KR101214278B1 (ko)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
KR101148643B1 (ko) 랙바 지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 조향장치
KR101215714B1 (ko)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
KR101316211B1 (ko) 차량용 드라이브 샤프트의 조향각 유지 장치
KR20090120728A (ko) 랙바 지지장치
KR20090085399A (ko) 자동차 조향장치의 서포트 요크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