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0611A - 다층유리 결합용 프레임 - Google Patents

다층유리 결합용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0611A
KR20110020611A KR1020090078304A KR20090078304A KR20110020611A KR 20110020611 A KR20110020611 A KR 20110020611A KR 1020090078304 A KR1020090078304 A KR 1020090078304A KR 20090078304 A KR20090078304 A KR 20090078304A KR 20110020611 A KR20110020611 A KR 201100206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main
liver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8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철
Original Assignee
(주)하이퍼윈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이퍼윈도우 filed Critical (주)하이퍼윈도우
Priority to KR10200900783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20611A/ko
Publication of KR20110020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06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06B3/64Fixing of more than one pane to a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 E06B3/66309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 E06B3/66314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of tubular shap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 E06B3/667Connector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3Assembling the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층유리 결합용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내,외측 유리의 각 내면과 접착되도록 양측면이 수직면을 이루고, 외측 유리와 접착되는 부위의 상부측으로는 일정각도만큼 안쪽으로 경사진 지지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메인 간봉부와; 상기 메인 간봉부에서 내측 유리와 접착되는 부위의 상부측에 착탈되되, 상기 메인 간봉부의 지지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지지부를 갖는 서포트 간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의 구성에 따라 조립성이 향상되고 제습성능이 더욱 향상되는 유용한 효과가 제공되며, 초고층 건축물의 경우 고도에 따른 공기층의 압력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주름 튜브체가 설치됨으로써, 공기층이 항시 등압을 이루어 다층유리의 변형 및 파손이 예방됨은 물론 유리의 굴절현상 배제로 항상 미려한 영상이 구현되는 효과도 제공된다.
다층, 삼중, 유리, 프레임, 간봉

Description

다층유리 결합용 프레임{frame for combination of fair glass}
본 발명은 다층유리 결합용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외측 유리와, 중앙유리를 적층,결합시켜서 차음과 단열, 결로 방지 및 압력유지에 따른 다층 유리의 변형과 파손을 예방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다층유리 결합용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거환경의 고급화와 문화생활의 향상 및 건축물의 초고층화 등으로 인해 최근에는 차음과 단열, 결로 방지 등의 용도로 각광받고 있는 다층유리의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다층유리의 구조 및 설치방법은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고 있는데, 특히 선행기술로서 특허등록 제654407호와, 본원발명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실용신안등록 제296701호가 있으며, 이를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복층유리 구조는 건물 벽체에 소정크기의 관통구가 형성되고, 이 관통구의 내측 테두리부에 샤시프레임(미도시됨)이 설치되며, 이 샤시프레임의 결합부에는 내측유리(G1), 외측유리(G2) 및 중앙유리(G3)로 이루어진 복층유리가 접착제(40)로 고정된다.
이때, 상기 복층유리(G1,G2,G3)는 금속성의 스페이서(2)와 접착제(40)를 통해 그 결합이 이루어져서 내부에 건조 공기층(A1,A2)을 형성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에 따른 스페이서(2)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2개의 간봉(10,12)에 열교차단용 폴리우레탄을 충진하여 단열성을 증대시킨 형태인바, 이는 간봉의 소재가 연전도율이 높은 소재라 외부유리를 통해 전도된 열이 스페이서(2)의 경사진 부분을 통하여 전도되어 공기층(A1,A2)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공기층(A1,A2)의 온도를 높이는 역할을 하여 전체적인 복층유리(G1,G2,G3)의 열관류 성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선행기술들의 금속제 열교차단 스페이서(2)는 열관류율이 복층유리(A1,A2,A3)의 중앙부 열관류율보다 약 2배 이상 높아 전체적인 복층유리(A1,A2,A3)의 열관류율을 20% 정도 성능을 저하시키는 단점도 있다.
또한, 선행기술들에 적용된 열교차단 스페이서(2)는 2개의 간봉(10,12)틀로 구성되어 각각 따로 제작한 후 연결용 쐐기(14)를 이용하여 3중으로 결합하는 방식이므로 각각의 제작상 오차가 발생될 경우 그 결합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도 있었다.
또, 선행기술들은 간봉(10,12)을 사각틀로 제작하기 이전에 미리 제습제(20)를 두 개의 간봉 내부에 삽입하여야 하는데, 상기 제습제(20)는 공기 중에 노출되면 30분 이내에 밀봉하여야 제습력을 발휘할 수 있기 때문에 제습제(20)의 삽입과 간봉의 제작, 그리고 짧은 시간 내에 이 모든 공정을 수행하기엔 공정수가 많아짐으로써, 제습제가 충분한 기능을 발휘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 선행기술들은 제습제의 역할을 하기 우한 간봉에 구멍(30)을 일정간격으로 가공하여서 그 구멍(30)을 통하여 제습제(20)가 습기를 제거하도록 유도해야 하는 설계상의 어려움이 있다.
또한, 선행기술들은 2개의 간봉(10,12)이 연결용 쐐기(14)에 의해 결합되는 구조이므로, 접착제(40)와 2차 밀봉제(실리콘계 또는 치오콜계)(50)로 밀봉하게 되는데, 상기 접착제(40)와 밀봉제(50)로 밀봉한다 하더라도 밀봉제(50)가 경화되면서 공기구멍이 형성되어 도 3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간봉(10)과 개스킷(60)의 틈새를 통해 외부의 습기가 유입될 수 있는 구조적인 단점이 있고, 이는 내부 2개의 공기층(A1,A2)에 습기가 유입되어 복층유리(G1,G2,G3)의 내구성이 저하되며, 단열성이 저하되는 현상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그 연결부분에 방습성이 우수한 부틸(70)을 충진해야 하는 공정을 추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연결용 쐐기(14) 부분의 틈새로 습기가 밀봉제(50)를 통과해 올 경우, 내부공기층(A1,A2)으로 유입되어 내부결로, 단열성 저하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 초고층 건축물의 경우 고도에 따른 압력변화로 복층유리(G1,G2,G3) 사이의 내부공기층(A1,A2)이 등압을 이루지 못하고, 이에 따라 복층유리가 변형 및 파손될 우려가 있으며, 내부에서 외부를 바라볼 때 영상이 굴절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내측유리와 외측유리 및 중앙유리를 서로 다른 공기층 두께를 두고 적층,결합시키는 간봉을 메인 간봉부와 서포트 간봉부의 2중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조립성을 향상시킨 다층유리 결합용 프레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중앙유리가 끼워지기 위한 개스킷(gasket) 삽입홈과, 단열충전부 사이의 중간에 제습제가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개스킷 삽입홈을 통해 내측유리와 중앙유리, 외측유리와 중앙유리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층의 공기가 이동할 때, 상기 공기 중에 함유된 수분을 보다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한 다층유리 결합용 프레임을 제공하는데에도 목적이 있다.
또, 상기와 같이 중앙유리가 끼워지기 위한 개스킷 삽입홈과, 단열충전부 사이의 중간에 제습제가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밀봉제의 공기구멍을 통해 간봉으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함유된 수분을 보다 효과적으로 흡수함으로써, 내측유리와 중앙유리, 외측유리와 중앙유리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층으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다층유리 결합용 프레임 제공하는데에도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중앙유리가 끼워지기 위한 개스킷 삽입홈과, 단열충전부 사이의 중간에 제습제가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종래에서와 같이 개스킷 삽입홈을 통과한 공기가 제습제를 통과하도록 간봉의 일부에 통공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는 바, 그 구성이 간단하여 제작이 쉬운 다층유리 결합용 프레임을 제공하는데에도 목적이 있다.
또, 기압차에 의해 내부공기층의 압력변화로 인해 다층유리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간봉 측면 상단부에 주름형 튜브를 삽입,설치함으로써, 내부공기층의 수축,팽창시에도 항시 등압을 유지하도록 하고, 내부에서 외부를 바라볼때 굴절되지 않는 미려한 영상이 확보되도록 한 다층유리 결합용 프레임을 제공하는데에도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다층유리 결합용 프레임은, 내,외측 유리의 각 내면과 접착되도록 양측면이 수직면을 이루고, 외측 유리와 접착되는 부위의 상부측으로는 일정각도만큼 안쪽으로 경사진 지지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메인 간봉부와; 상기 메인 간봉부에서 내측 유리와 접착되는 부위의 상부측에 착탈되되, 상기 메인 간봉부의 지지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지지부를 갖는 서포트 간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메인 간봉부의 지지부와, 상기 서포트 간봉부의 지지부 안쪽에는 각각 개스킷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개스킷 삽입홈에는 개스킷이 개재되어 중앙유리의 단부를 밀봉되게 파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메인 간봉부의 중앙부위에는 상기 개스킷 삽입홈과 연통되되, 제습제가 구비되는 제습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습공간과 연통되는 저부에는 단열재 충전을 위한 단열충전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서포트 간봉부의 양쪽 단부에는, 상기 메인 간봉부에서 내면 유리와 접착 고정되는 부분의 상측에 ㄷ형상으로 형성된 끼움단부와, 하부측 중앙에 역시 ㄷ형상으로 형성된 끼움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서포트 간봉부의 양쪽 단부에는 상기 끼움단부들에 끼워맞춤되기 위한 결합돌기들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인 간봉부의 양쪽 외면에는, 내측유리 및 외측유리의 일면과 접착제를 통해 접착,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착제를 양면테이프를 적용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메인 간봉부를 관통하여 내부공기층의 공기가 유출입됨으로써, 상기 내부공기층이 항시 등압을 유지하도록 하는 주름 튜브체가 더 설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주름 튜브체는, 메인 간봉부를 관통하여 메인 간봉부 내부의 공기가 유출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후부에 설치되는 일정크기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일정길이만큼 연장형성된 주름 튜브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층유리 결합용 프레임에 의하면, 내측유리와 외측유리 및 중앙유리를 서로 다른 간격을 두고 적층,결합시키는 간봉이 메인 간봉부와 서포트 간봉부의 2중 구조로 구성됨으로써, 조립성이 향상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중앙유리가 끼워지기 위한 개스킷 삽입홈과, 단열충전부 사이의 중간에 제습제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개스킷 삽입홈을 통해 내측유리와 중앙유리, 외측유리와 중앙유리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층의 공기가 이동할 때, 상기 공기 중에 함유된 수분이 보다 효과적으로 흡수되는 효과도 있다.
또, 상기와 같이 중앙유리가 끼워지기 위한 개스킷 삽입홈과, 단열충전부 사이의 중간에 제습제가 구비됨으로써, 밀봉제의 공기구멍을 통해 간봉으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함유된 수분이 보다 효과적으로 흡수됨으로써, 내측유리와 중앙유리, 외측유리와 중앙유리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층으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이 확실하게 차단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중앙유리가 끼워지기 위한 개스킷 삽입홈과, 단열충전부 사이의 중간에 제습제가 구비됨으로써, 종래에서와 같이 개스킷 삽입홈을 통과한 공기가 제습제를 통과하도록 간봉의 일부에 통공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는바, 그 구성이 간단하여 제작이 쉬워지게 되는 효과도 제공된다.
또, 간봉 측면 상단부에 주름형 튜브가 삽입,설치됨으로써, 내부공기층의 수축,팽창시에도 항시 등압이 유지되어 기압차에 의해 내부공기층의 압력변화로 인해 다층유리의 변형 및 파손이 방지되고, 내부에서 외부를 바라볼 때 굴절되지 않는 미려한 영상이 확보되는 유용한 효과도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층유리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5는 다층유리에 주름 튜브체가 설치되는 관계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며, 도 6은 다층유리 결합용 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낸 결합단면도, 도 7은 도 6의 분리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층유리 결합용 프레임(100)은, 동일크기를 갖는 내,외측 유리(G1,G2)와, 이 내,외측 유리(G1,G2) 사이에 위치하는 중앙유리(G3)를 적층 결합시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층(A1,A2)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다층유리 결합용 프레임(100)은, 양측면이 수직면을 이루어서 내,외측 유리(G1,G2)의 각 내면 일측에 접착,고정되는 메인 간봉부(100)와, 이 메인 간봉부(100)에서 내측유리(G1)와 접착 고정되는 부분의 상측에 대하여 착탈되는 서포트 간봉부(13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메인 간봉부(110)에서 외측유리(G2)와 접착 고정되는 부분의 상측으로는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중앙유리(G3)의 하부 일측을 받치게 되는 지지부(11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 중앙부위에는 저부 방향으로 개구부(116)가 형성되되, 단열재(150)가 충진되는 단열충전부(118)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단열충전부(118)와 연통되는 상부측 공간(제습공간)(120)에는 제습제(140)가 구비된 다.
한편, 상기 메인 간봉부(110)에 대하여 착탈되는 서포트 간봉부(130)는, 메인 간봉부(110)의 지지부(112)와 대응되도록 일정각도로 경사진 지지부(132)가 형성되며, 양쪽 단에는 메인 간봉부(110)에서 내면유리(G1)와 접착 고정되는 부분의 상측에 ㄷ형상으로 형성된 끼움단부(122)와, 하부측 중앙에 역시 ㄷ형상으로 형성된 끼움단부(124)에 각각 끼워져서 고정되는 결합돌기(136,138)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메인 간봉부(110)의 지지부(112) 안쪽과, 서포트 간봉부(130)의 지지부(132) 안쪽에는 각각 중앙유리(G3)의 하부와 밀폐되게 밀착지지되는 개스킷 삽입홈(114,134)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개스킷 삽입홈(114,134)에 개스킷(160a,160b)이 삽입되어 중앙유리(G3)의 하부를 밀착,지지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개스킷 삽입홈(160a,160b)과 제습제(140)가 구비되는 제습공간(120) 및 단열재(150)가 충전된 단열충전부(118)는 서로 연통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스킷(160a,160b)은 사각 테두리 둘레에 걸쳐 밀봉되게 연결되지 않고, 각 모서리 부위는 절개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중앙유리(G3)와 내측유리(G1) 사이의 공기층(A1)과, 중앙유리(G3)와 외측유리(G2) 사이의 공기층(A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스킷(160a,160b)이 절개된 사각 모서리를 통해 이동이 가능함으로써, 각 공기층(A1,A2)의 압력이 동일하게 유지된다.
한편,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간봉부(110)를 관통하여 내 부공기층(A1,A2)이 등압을 유지하도록 하는 주름 튜브체(20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주름 튜브체(200)는, 메인 간봉부(110)를 관통하여 메인 간봉부(110) 내부의 공기가 유출입되는 삽입부(202)와, 이 삽입부의 후부에 설치되는 일정크기의 본체부(204)와, 이 본체부의 일측에 일정길이만큼 연장형성된 주름 튜브관(206)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다층유리 결합용 프레임(100)의 설치관계 및 그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메인 간봉부(110)의 양쪽 수직면에 각각 양면테이프로 이루어진 접착제(170)를 접착시킨 후, 메인 간봉부(110)의 제습공간(120)에 제습제(140)를 삽입하고, 단열충전부(118)에 단열재(150)를 충전시킨다.
다음에, 메인 간봉부(110)의 일측 수직면에 접착되는 접착제(170)를 이용하여 외측유리(G2)와 메인 간봉부(110)를 접착,고정시킨 후, 메인 간봉부(110)의 지지부(112)에 형성된 개스킷 삽입홈(114)에 개스킷(160a)을 끼워 넣고, 중앙유리(G3)의 하단부 일측을 얹혀놓듯이 상기 개스킷(160a)와 밀착되도록 지지시킨다.
다음, 서포트 간봉부(130)의 지지부(132)에 형성된 개스킷 삽입홈(134)에 다른 개스킷(160b)를 끼워 넣고, 상기 서포트 간봉부(130)의 양쪽 단부에 형성된 결합돌기(136,138)들을 각각 메인 간봉부(110)의 끼움단부(122,124)에 끼워 맞추어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메인 간봉부(110)에 대하여 서포트 간봉부(130)가 결합된 상태에 서, 메인 간봉부(110)의 다른 쪽 수직면에 접착된 접착제(170)에 내측유리(G1)의 일측면을 접착시키면 그 조립이 완성된다.
마지막으로, 주름 튜브체(200)의 삽입부(202)를 메인 간봉부(110) 안쪽에 삽입되도록 하여 설치한 후, 메인 간봉부(110)의 아래쪽으로 실리콘을 주입하여 양생시킨 후, 밀봉재(170)를 붙이면 3중유리의 설치가 완성되게 된다.
이와 같이, 메인 간봉부(110) 안쪽으로 주름 튜브체(200)의 삽입부(202)가 삽입됨으로써, 메인 간봉부(110) 안쪽의 공기가 주름 튜브체(200)의 삽입부(202)를 통해 본체부(204) 및 주름 튜브관(206)으로 유출입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내부공기층(A1,A2)에 존재하는 공기는 외부의 기압이나 태양열 등의 외부환경에 의해 팽창 또는 수축이 이루어지면서 압력이 일정치 않게 유지될 수 있는데, 이때 내부공기층(A1,A2) 내의 공기는 개스킷(160a,160b) 사이의 공간을 통해 메인 간봉부(110)를 유동하게 되는바, 내부공기층(A1,A2)이 팽창되어 다층유리(G1,G2,G3)가 팽창될 경우, 주름 튜브체(200)의 본체부(204) 및 주름 튜브관(206)으로 이동하여 저장되고, 반대로 내부공기층(A1,A2)이 수축되어 다층유리(G1,G2,G3)가 수축될 경우, 주름 튜브체(200)의 본체부(204) 및 주름 튜브관(206)에 저장되어 있던 공기가 다시 메인 간봉부(110)를 통해 유리 사이 공간으로 공급되게 된다.
따라서, 내부공기층(A1,A2)의 팽창시에는 주름 튜브체(200)의 주름 튜브관(206)으로 공기가 저장되어 주름 튜브관(206)이 팽창되고, 내부공기층(A1,A2)의 수축시에는 주름 튜브체(200)의 주름 튜브관(206)의 공기가 메인 간봉부(110)로 공 급되어 수축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내부 공기층(A1,A2)은 항상 등압을 유지하게 된다.
이에, 다층유리(G1,G2,G3)가 기압이나 태양열 등의 외부 요인으로 수축,팽창이 이루어지도록 내부의 공기층(A1,A2)은 항상 등압을 유지하게 됨으로써, 다층유리의 변형이나 파손이 예방됨은 물론, 내부에서 외부를 바라볼 때 굴절현상의 배제로 미려한 영상이 유지된다.
도 1은 종래의 스페이서가 적용된 복층유리 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단면도.
도 3은 도 2의 일부 분리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다층유리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다층유리에 주름 튜브체가 설치되는 관계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6은 다층유리 결합용 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낸 결합단면도.
도 7은 도 6의 분리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G1,G2,G3 : 유리 A1,A2 : 공기층
100 : 스페이서 110 : 메인 간봉부
112 : 지지부 114 : 개스킷 삽입홈
120 : 제습공간 122,124 : 결합단부
130 : 서포트 간봉부 132 : 지지부
134 : 개스킷 삽입홈 136,138 : 결합돌기
140 : 제습제 150 : 단열재
160a,160b : 개스킷 200 : 주름 튜브체
202 : 삽입부 204 : 본체부
206 : 주름 튜브관

Claims (8)

  1. 내,외측 유리의 각 내면과 접착되도록 양측면이 수직면을 이루고, 외측 유리와 접착되는 부위의 상부측으로는 일정각도만큼 안쪽으로 경사진 지지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메인 간봉부와;
    상기 메인 간봉부에서 내측 유리와 접착되는 부위의 상부측에 착탈되되, 상기 메인 간봉부의 지지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지지부를 갖는 서포트 간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유리 결합용 프레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간봉부의 지지부와, 상기 서포트 간봉부의 지지부 안쪽에는 각각 개스킷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개스킷 삽입홈에는 개스킷이 개재되어 중앙유리의 단부를 밀봉되게 파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유리 결합용 프레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간봉부의 중앙부위에는 상기 개스킷 삽입홈과 연통되되, 제습제가 구비되는 제습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습공간과 연통되는 저부에는 단열재 충전을 위한 단열충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유리 결합용 프레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간봉부의 양쪽 단부에는, 상기 메인 간봉부에서 내면 유리와 접착 고정되는 부분의 상측에 ㄷ형상으로 형성된 끼움단부와, 하부측 중앙에 역시 ㄷ형상으로 형성된 끼움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서포트 간봉부의 양쪽 단부에는 상기 끼움단부들에 끼워맞춤되기 위한 결합돌기들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유리 결합용 프레임.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간봉부의 양쪽 외면에는, 내측유리 및 외측유리의 일면과 접착제를 통해 접착,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유리 결합용 프레임.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양면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유리 결합용 프레임.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간봉부를 관통하여 내부공기층의 공기가 유출입됨으로써, 상기 내 부공기층이 항시 등압을 유지하도록 하는 주름 튜브체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유리 결합용 프레임.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 튜브체는, 메인 간봉부를 관통하여 메인 간봉부 내부의 공기가 유출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후부에 설치되는 일정크기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일정길이만큼 연장형성된 주름 튜브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유리 결합용 프레임.
KR1020090078304A 2009-08-24 2009-08-24 다층유리 결합용 프레임 KR201100206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8304A KR20110020611A (ko) 2009-08-24 2009-08-24 다층유리 결합용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8304A KR20110020611A (ko) 2009-08-24 2009-08-24 다층유리 결합용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0611A true KR20110020611A (ko) 2011-03-03

Family

ID=43929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8304A KR20110020611A (ko) 2009-08-24 2009-08-24 다층유리 결합용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2061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8734B1 (ko) * 2012-03-28 2012-06-22 주식회사 혁신 고기밀성 단열 커튼월 창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8734B1 (ko) * 2012-03-28 2012-06-22 주식회사 혁신 고기밀성 단열 커튼월 창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2298B1 (ko) 알루미늄과 피브이씨를 적용한 복합 미서기 이중창 시스템 창호
JP2000335945A (ja) 一体型マルチガラス窓ユニットとサッシの組み立て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946751B1 (ko) 브리지 가스켓을 갖는 이중창호
JP6133876B2 (ja) 複層ガラスシステム
KR102119987B1 (ko) 멤브레인을 갖는 2개의 중공-프로파일 스트립을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KR101202214B1 (ko) 고 기밀성 단열 커튼 월
KR20200133241A (ko) 보강 요소를 갖는 스페이서
KR20180053334A (ko) 모세관을 갖는 코너 커넥터
KR101820052B1 (ko) 단열 및 기밀성이 우수한 에어충진도어
KR100701332B1 (ko) 슈퍼창용 이중단열 프레임
KR20130003223A (ko) 3중 복층유리 창호
KR20110020611A (ko) 다층유리 결합용 프레임
KR101724283B1 (ko) 창호용 복층유리 제조방법
KR101261789B1 (ko) 고단열 창호용 복층유리 스페이서 구조체
EP3022377B1 (en) Pressure compensated glass unit
KR101024618B1 (ko) 복층 유리용 스페이서 구조물
KR101021866B1 (ko) 동종의 비금속 간봉을 이용한 3중 복층 유리
KR101035185B1 (ko) 단열 및 결로 방지용 삼중 복층유리
KR101124688B1 (ko) 복층 유리용 스페이서
JP6655026B2 (ja)
KR20150089572A (ko) 에너지 고효율 커튼월 창 구조체
KR20130129754A (ko) 복층유리용 스페이서
KR101086370B1 (ko) 소음 차단구조를 구비한 이중창호
KR101203829B1 (ko) 단열 및 습기유입 방지용 삼중 복층유리 결합장치
KR200420873Y1 (ko) 알루미늄 합금 서브프레임과 합성수지 서브프레임이 결합된슈퍼 윈도우 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