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0544A - 방송 송수신 장치,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방송 송수신 장치,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0544A
KR20110020544A KR1020090078212A KR20090078212A KR20110020544A KR 20110020544 A KR20110020544 A KR 20110020544A KR 1020090078212 A KR1020090078212 A KR 1020090078212A KR 20090078212 A KR20090078212 A KR 20090078212A KR 20110020544 A KR20110020544 A KR 201100205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transceiver
shielding member
transmitting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8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8058B1 (ko
Inventor
송동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8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8058B1/ko
Publication of KR20110020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0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8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8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신호 송수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송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방송 송수신 장치에는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송수신면이 전면에 형성되는 송수신부; 상기 송수신부가 일면에 실장되는 송수신 장치 본체; 상기 송수신 장치 본체의 전면에 대하여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전방에 둘러지며, 상기 송수신 장치 본체의 적어도 일부가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관통 형성되는 제1중앙홀이 형성되는 제1전면 차폐부재; 상기 제1중앙홀에 위치되며, 상기 송수신면을 제외한 상기 송수신부의 전면에 둘러지는 제2전면 차폐부재;가 포함된다.

Description

방송 송수신 장치,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송 시스템{Broadcast transmitting-receiving apparatus, display apparatus and broadcast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신호 송수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송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공중파, 케이블 및 기타 외부 장치(VCR, DVD 등)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한 후 출력하는 방송 수신 유닛과 상기 처리된 방송 신호의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방송 수신 유닛과 디스플레이 유닛은 각각 개별적으로 분리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최근 들어 별도의 방송 수신 장치를 이용해 수신한 방송 신호를 무선 통신을 이용해 디스플레이 장치로 송신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와이어리스(wireless) 방식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제공되고 있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방송 신호의 송수신할 수 있는 방송 송수신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방송 송수신 장치에는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송수신면이 전면에 형성되는 송수신부; 상기 송수신부가 일면에 실장되는 송수신 장치 본체; 상기 송수신 장치 본체의 전면에 대하여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전방에 둘러지며, 상기 송수신 장치 본체의 적어도 일부가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관통 형성되는 제1중앙홀이 형성되는 제1전면 차폐부재; 상기 제1중앙홀에 위치되며, 상기 송수신면을 제외한 상기 송수신부의 전면에 둘러지는 제2전면 차폐부재;가 포함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방송 수신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방송 송수신 시스템에는 상기 방송 송수신 장치가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구비된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와 방송 신호를 송신하는 장치 사이에 별도의 연결선 없이, 무선 방식에 의하여 상기 방송 신호가 송신 또는 수신됨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송신 장치를 포함하는 방송 송수신 시스템의 외부 구성이 단순해질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의 송수신면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차폐부재에 의하여 차폐됨으로써, 송수신 감도의 저하 없이 외부로 방출되는 전자파의 세기가 저감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 송수신 시스템, 방송 수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방송 송수신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실시예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 방송 송수신 시스템은 송신측 방송 송수신 장치(200) 및 수신측 방송 송수신 장치(1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방송 송수신 장치(100,200)는 각각의 주된 기능에 따라서 구분되는 수신측 방송 송수신 장치(100) 및 송신측 방송 송수신 장치(200)로 구비도리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수신측 방송 송수신 장치(100) 및 방송 송신장치(200)는 송수신부(111)(도5참조)를 구비하여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일례로 본 실시예와 같이, 송신측 방송 송수신 장치(200)는 셋탑 박스와 같은 송신 기기에 설치되어 영상 신호를 송신하며, 수신측 방송 송수신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300)(도3참조)에 구비되어 상기 영상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측 방송 송수신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구동 과정에서, 상기 영상 신호에 대한 피드백 신호와 같은 신호를 송신측 방송 송수신 장치(200)에 대하여 송신할 수 있다.
송신측 방송 송수신 장치(200)는 공중파, 케이블(cable) 또는 외부 장치 등으로부터 영상을 포함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방송 신호를 무선 송신 가능한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무선 전송한다.
수신측 방송 송수신 장치(100)는 송신측 방송 송수신 장치(200)로부터 무선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하며, 그를 위해 송신측 방송 송수신 장치(200)와 수신측 방송 송수신 장치(100) 사이에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1 이상의 무선 통신 규격이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송신측 방송 송수신 장치(200)는 안테나(antenna) 또는 외부 장치들이 연결되는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USB(Universal Serial Bus) 단자, 컴포넌트(component) 단자, 외부입력 단자, RGB 단자, 안테나 케이블 단자 등의 다양한 입력 단자들을 구비하여, 상기 입력 단자를 이용해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송신측 방송 송수신 장치(200)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해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방송 신호를 변환하여 수신측 방송 송수신 장치(100)로 무선 전송하는 셋탑 박스(set-top box, STB)에 설치되어 구동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송신측 방송 송수신 장치(200)는 셋탑 박스(STB)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측 방송 송수신 장치(100)로 무선 전송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에 설치되어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송신측 방송 송수신 장치(200)는 컴퓨 터(computer) 또는 휴대폰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수신측 방송 송수신 장치(100)는 송신측 방송 송수신 장치(200)로부터 무선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한 후, 방송 신호에 포함된 영상 또는 음성을 출력하는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측 방송 송수신 장치(100)는 송신측 방송 송수신 장치(200)로부터 무선 전송된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에서 디스플레이 가능한 형태로 변환한 후 출력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송신측 방송 송수신 장치(200)로부터 무선 전송된 영상 신호가 엠펙(MPEG) 등과 같은 코딩 방식에 의해 인코딩(encoding)된 경우, 수신측 방송 송수신 장치(100)는 상기 수신된 영상 신호를 디코딩(decoding)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로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송신측 방송 송수신 장치(200)와 수신측 방송 송수신 장치(100)는 다양한 무선 통신 규격, 예를 들어 WiHD(Wireless HD), WHDi(Wireless Home Digital Interface) 또는 WiFi(Wireless Lan) 등의 무선 통신 규격들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WiHD는 약 60GHz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며, 약 4Gbps의 전송 속도로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어 1080p(1920×1080)의 HD 영상 데이터를 압축하지 않고도 전송이 가능하다. 다만, 상기 WiHD는 60GHz대역의 높은 주파수를 사용하므로, 데이터 송수신 거리가 약 10m이며, 송수신 품질이 설치 공간의 주변 장애물들에 쉽게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상기 WHDi는 약 5G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약 1.8Gbps의 전송 속도로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WHDi는 5GHz의 비교적 낮은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므로, 송수신 거리가 약 30m이며, 송수신 품질이 설치 공간의 주변 장애물들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약 1.8Gbps의 전송 속도에 따라, 1080p(1920×1080)의 HD 영상 데이터를 상기 WHDi를 이용해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송신측 방송 송수신 장치(200)는 상기 HD 영상 데이터를 일부 압축하여 전송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상기 WiFi는 2.4G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약 54Mbp의 전송 속도로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상기 WiFi는 2.4GHz의 낮은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므로, 송수신 거리가 약 50~200m이며, 송수신 품질이 설치 공간의 주변 장애물들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약 54Mbp의 낮은 전송 속도에 따라, 1080p(1920×1080)의 HD 영상 데이터를 상기 WiFi를 이용해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송신측 방송 송수신 장치(200)는 상기 HD 영상 데이터를 압축하여 전송하여야 하며, 그에 따라 수신측 방송 송수신 장치(100)에서 수신한 영상 신호에 화질 열화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송신측 방송 송수신 장치(200)와 수신측 방송 송수신 장치(100)는 상기한 바와 같은 무선 통신 규격 이외에도 다양한 근거리 무선 통신 규격들,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tooth), 지그비(ZigBee) 또는 바이너리 CDMA(binary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등과 같은 통신 규격들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에 따른 데이터를 무선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송신측 방송 송수신 장치(200)와 수신측 방송 송수신 장치(100)는 상기한 바와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규격들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송신측 방송 송수신 장치(200)와 수신측 방송 송수신 장치(100)는 상기한 바와 같은 무선 통신 규격들 중 2 이상의 규격을 이용하여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송신측 방송 송수신 장치(200)와 수신측 방송 송수신 장치(100) 각각의 성능, 설치 환경, 영상의 해상도 등에 따라 상기 지원 가능한 2 이상의 규격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데이터 송수신에 이용될 수도 있다.
도 2는 방송 송수신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 방송 송수신 시스템은 송신측 방송 송수신 장치(200) 및 복수의 방송 수신 장치들(100a~100n)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송신측 방송 송수신 장치(200)는 복수의 방송 수신 장치들(100a~100n)과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송신측 방송 송수신 장치(200)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방송 신호 무선 송신 가능한 데이터로 변환한 후, 복수의 방송 수신 장치들(100a~100n) 중 적어도 하나로 무선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측 방송 송수신 장치(200)는 복수의 방송 수신 장치들(100a~100n) 중 방송 신호를 수신할 1 이상의 방송 수신 장치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고, 외부로부터 수신한 방송 신호를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방송 수신 장치로 무선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송신측 방송 송수신 장치(200)는 복수의 방송 수신 장치 들(100a~100n)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무선전송부들(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복수의 무선전송부들(미도시) 각각은 대응되는 방송 수신 장치로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무선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무선 통신 규격은, 복수의 수신측 방송 송수신 장치들(100a~100n) 각각에 있어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수신측 방송 송수신 장치들(100a~100n) 각각의 성능 또는 설치 위치 등에 따라, 복수의 수신측 방송 송수신 장치들(100a~100n) 각각이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 규격이 서로 상이하게 설정될 수도 있다.
한편, 송신측 방송 송수신 장치(200)는 복수의 수신측 방송 송수신 장치들(100a~100n)의 개수보다 작은 수, 예를 들어 하나의 무선전송부(미도시)를 구비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송신측 방송 송수신 장치(200)는 멀티 채널(multi-channel) 통신을 이용하여, 즉 복수의 방송 수신 장치들(100a~100n)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채널들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무선 전송할 수도 있다.
도 3은 방송 송수신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방송 송수신 시스템 중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에 대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상기한 바와 같은 수신측 방송 송수신 장치(100) 및 디스플레이 모듈(3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송신측 방송 송수신 장치(200)는 외부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 측 방송 송수신 장치(100)로 무선 전송하고,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구비된 수신측 방송 송수신 장치(100)는 상기 무선 전송되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가능한 형태의 영상 신호로 처리하며 디스플레이 모듈(310)로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310)은 수신측 방송 송수신 장치(100)로부터 입력된 영상 신호를 이용하여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그를 위해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등과 같은 다양한 디스플레이 방식의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방송 송수신 장치(100,200)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방송 송수신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수신측 방송 송수신 장치(100)는 송수신 장치 본체(110)와, 송수신 장치 본체(110)의 전면에 구비되는 제1전면 차폐부재(120) 및 제2전면 차폐부재(130)와, 송수신 장치 본체(110)의 배면에 구비되는 배면 차폐부재(14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송수신 장치 본체(110)는 일례로 인쇄회로기판(PCB)로 구비될 수 있으며, 숭수신 장치 본체(110)의 전면에는 외부로부터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받기 위한 송수신부(111)와, 송수신 장치 본체(110)의 열을 외부로 발산하기 위한 히트 싱크부(114)와, 구동부(118)를 포함한다.
송수신부(111)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주파 대역의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기 위한 것으로서, 안테나 회로가 실장되어 있는 송수신면(112)을 포함하며, 송수신 장치 본체(110)의 전면에 실장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송수신 장치 본체(110)의 전면에는 제1전면 차폐부재(120)가 구비되며, 송수신 장치 본체(110)의 배면에는 배면 차폐부재(140)가 구비되어, 송수신 장치 본체(110)의 전방 및 후방에 둘러진다.
이 때, 송수신 장치 본체(110)가 동작되는 과정에서, 일정 세기의 전자파가 송수신 장치 본체(110)의 전방 및 후방으로 발산되며, 특히 일례로 2.4GHz 이상의 고주파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송수신부(110)에서의 전자파의 세기는 다른 부분의 전자파의 세기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전자파의 세기가 강하게 형성되는 송수신부(110)의 전방에는 제1 및 제2전면 차폐부재(120,130)가 동시에 구비되어, 송수신부(110)에서 발산되는 전자파의 세기를 일정 세기 이하의 강도로 저감시킨다.
제1 및 제2전면 차폐부재(120,130) 및 배면 차폐부재(140)는 일례로 금속 재질과 같은 도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전면 차폐부재(120,130) 및 배면 차폐부재(140)의 적어도 일부분은 외부와 접지되어, 발산되는 전자파를 외부로 유도할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송수신 장치 본체(110)에는 제1전면 차폐부재(110)가 고정되기 위한 제1고정홀(115) 및 제2고정홀(116)과, 제1전면 차폐부재(120)가 고정되기 위한 제3고정홀(117)이 관통 형성된다.
한편, 제1전면 차폐부재(120)는 외형을 형성하는 제1차폐부재 몸체(121)를 포함한다.
제1차폐부재 몸체(121)는 테두리부(122)가 후방을 향하여 절곡된 형상의 판상으로 형성되며, 제1차폐부재 몸체(121)의 좌우 양측에는 별도의 체결 부재가 관통되기 위한 몸체측 고정홀(125)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 부재는 몸체측 고정홀(125)을 관통하여, 제1고정홀(115)에 고정되어, 제1전면 차폐부재(120)를 송수신 장치 본체(110)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제1차폐부재 몸체(121)의 측면 테두리에는 후방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고정 돌기(126)가 형성된다. 다수의 고정돌기(126)는 송수신 장치 본체(110)에 형성되는 다수의 제2고정홀(116)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돌기(126)는 제1전면 차폐부재(120)가 송수신 장치 본체(110)에 고정되는 과정에서, 대응되는 제2고정홀(116)에 삽입되어, 제1전면 차폐부재(120)의 고정 위치에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차폐부재 몸체(121)의 중앙부에는 제1중앙홀(123)이 형성되어, 제1중앙홀(123)을 통하여 송수신부(111)의 적어도 일부 및 히트 싱크부(114)가 외부로 노출된다.
즉, 송수신부(111)의 적어도 일부 및 히트 싱크부(114)가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서, 송수신부(111)에서 신호가 송신 또는 수신되기 위한 송수신 영역(R1)(도8참조) 및 히트 싱크부(114)에 의한 냉각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이 때, 제1중앙홀(123)의 송수신 장치 본체(110)의 연장 방향인 가로 방향 길이(d2)는 송수신부(111)와 히트 싱크부(114)가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 크기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세로 방향 길이(d1)는 송수신부(111) 및 히트 싱크부(114)의 세로 방향 길이 중 크게 형성되는 구성의 세로 방향 길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제2전면 차폐부재(130)는 제1전면 차폐부재(120)와 송수신 장치 본체(110) 사이에 위치되어, 송수신부(111)에서 발산되는 전자파의 세기를 저감시킨다.
이 때, 제2전면 차폐부재(130)는 송수신부(111)에서 송수신면(112)을 제외한 부분을 차폐하며, 제1중앙홀(123) 측에 위치된다.
이하에서는 제2전면 차폐부재(130)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도 5의 제2전면 차폐부재의 배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2전면 차폐부재(130)는 외형을 형성하는 제2차폐부재 몸체(131)를 포함한다.
제2차폐부재 몸체(131)는 테두리부(132)가 후방을 향하여 절곡된 판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2차폐부재 몸체(131)에서 절곡된 상기 테두리에는 송수신 장치 본체(110)에 형성된 다수의 제3고정홀(118)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후방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고정 돌기(135)가 형성된다.
한편, 제2차폐부재 몸체(131)의 중앙측에는 송수신면(112)을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송수신면(112)에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의 제2중앙홀(132)이 형성되며, 제2중앙홀(132)의 내측 테두리에는 상기 테두리를 따라서 후방을 향하여 절곡 형성되는 절곡 차폐부(135)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전면 차폐부재(120) 및 제2전면 차폐부재(130)가 송수신 장치 본체에 구비되는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도 4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 및 7을 참조하면, 제2전면 차폐부재(130)는 제1전면 차폐부재(120)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측 공간에 구비되며, 제2전면 차폐부재(130)의 적어도 일부는 제1전면 차폐부재(120)의 제1중앙홀(123)을 통하여 전방으로 노출된다.
그리고, 제1차폐부재 몸체(121)의 내면 일부는 제1중앙홀(123)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제2차폐부재 몸체(131)의 나머지 일부와 접하여, 제2차폐부재 몸체(131)를 송수신 장치 본체(110) 측으로 가압한다.
즉, 제2전면 차폐부재(130)는 제1전면 차폐부재(120)에 의하여 전방에 대하여 지지됨으로써, 제2전면 차폐부재(130)가 전방으로 탈거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제2전면 차폐부재(130)가 송수신 장치 본체(110)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2전면 차폐부재(130)의 제2중앙홀(133)의 너비(d3)는 송수신면(112)의 너비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며, 송수신면(112)을 제외한 송수신부(110)의 나머지 부분은 제2전면 차폐부재(130)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측 공간에 위치된다.
이 때, 제2전면 차폐부재(130)의 내면과 송수신부(110) 사이에는 절연을 위하여 일정 크기의 이격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송수신부(110)의 구동 과정에서 발생되는 고출력의 전자파가 상기 이격 공간 및 제2중앙홀(133)을 통하여 외부로 방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앞서 설명한 절곡 차폐부(135)가 구비된다.
즉, 절곡 차폐부(135)는 후방 즉 송수신면(112)을 향하여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서, 직진성이 강한 송수신부(110)의 전자파(E)가 절곡 차폐부(135)에 의하여 차폐됨으로써, 상기 전자파가 제2중앙홀(133)을 통하여 외부로 방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송신측 방송 송수신 장치(200)는 설치되는 장치 및 주된 기능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 뿐, 수신측 방송 송수신 장치(100)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송신측 방송 송수신 장치(200)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방송 송수신 장치에서 신호가 송수신 되는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방송 송수신 장치에서 신호가 발산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송수신부(111)에서 송수신면(112)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제2전면 차폐부재(130)에 의하여 차폐되며, 송수신면(112)은 제2중앙홀(133)을 통하여 일정 크기의 지향각에 따라서 형성되는 송수신 영역(R1)을 통하여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게 된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와 방송 신호를 송신하는 장치 사이에 별도의 연결선 없이, 무선 방식에 의하여 상기 방송 신호가 송신 또는 수신됨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송신 장치를 포함하는 방송 송수신 시스템의 외부 구성이 단순해질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의 송수신면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차폐부재에 의하여 차폐됨으로써, 송수신 감도의 저하 없이 외부로 방출되는 전자파의 세기가 저감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 및 내지 도 3은 방송 송수신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블록도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방송 송수신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제2차폐부재의 배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도 4의 A-A에 따른 단면도.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방송 송수신 장치에서 신호를 발산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

Claims (10)

  1.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송수신면이 전면에 형성되는 송수신부;
    상기 송수신부가 일면에 실장되는 송수신 장치 본체;
    상기 송수신 장치 본체의 전면에 대하여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전방에 둘러지며, 상기 송수신 장치 본체의 적어도 일부가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관통 형성되는 제1중앙홀이 형성되는 제1전면 차폐부재;
    상기 제1중앙홀에 위치되며, 상기 송수신면을 제외한 상기 송수신부의 전면에 둘러지는 제2전면 차폐부재;가 포함되는 방송 송수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면 차폐부재에는 상기 송수신면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송수신면을 전방에 대하여 노출시키는 제2중앙홀이 형성되는 방송 송수신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중앙홀에는 테두리가 후방에 위치되는 상기 송수신부를 향하여 절곡 형성되는 절곡 차폐부가 포함되는 방송 송수신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장치 본체에 실장되며, 열을 외부로 발산하기 위한 히트 싱크부 가 더 포함되며,
    상기 히트 싱크부는 상기 제1중앙홀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방송 송수신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면 차폐부재의 전면 일부는 상기 제1중앙홀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며,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상기 제2전면 차폐부재의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제1전면 차폐부재와 상기 송수신 장치 본체 사이에 위치되는 방송 송수신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면 차폐부재의 배면 일부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상기 제2전면 차폐부재의 나머지 일부와 접하여, 상기 제2전면 차폐부재가 전방으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송 송수신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면 차폐부재 및 제2전면 차폐부재는 테두리부가 상기 송수신 장치 몸체를 향하여 절곡 형성되는 금속 재질의 판상으로 형성되는 방송 송수신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장치 본체의 후방에 둘러지는 배면 차폐부재가 더 포함되는 방 송 송수신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송 송수신 장치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송 송수신 장치가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구비되는 방송 송수신 시스템.
KR1020090078212A 2009-08-24 2009-08-24 방송 송수신 장치,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송 시스템 KR101588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8212A KR101588058B1 (ko) 2009-08-24 2009-08-24 방송 송수신 장치,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8212A KR101588058B1 (ko) 2009-08-24 2009-08-24 방송 송수신 장치,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송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0544A true KR20110020544A (ko) 2011-03-03
KR101588058B1 KR101588058B1 (ko) 2016-01-22

Family

ID=43929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8212A KR101588058B1 (ko) 2009-08-24 2009-08-24 방송 송수신 장치,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805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6465A (ko) * 2007-10-09 2009-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6465A (ko) * 2007-10-09 2009-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8058B1 (ko) 2016-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19804B2 (en) Wired transmission line for electromagnetic coupling of first and second millimeter wave AV devices
JP5253500B2 (ja) 実質的に共線的な無線デバイス対の形成及び干渉効果の軽減
KR101731638B1 (ko) 신호 수신 방법, 그를 이용한 방송 수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EP3819982B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video wall including the same
JP2008252566A (ja) Av機器
EP2667593B1 (en) Display apparatus
EP3358672B1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EP1622375B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20150029172A (ko) 안테나유닛을 구비한 신호중계장치
KR101588058B1 (ko) 방송 송수신 장치,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송 시스템
KR20110016652A (ko) 무선 신호의 수신 감도 제어 방법, 그를 이용한 방송 송신 장치, 방송 수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033984A (ko) 전력선을 이용한 차량용 통신 시스템
KR101636567B1 (ko) 원격 제어 신호의 처리 방법, 그를 이용한 방송 송신 장치, 방송 수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94486B1 (ko) 비디오 수신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용 이어폰안테나
KR20110069638A (ko) 신호 수신 방법 및 장치,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CN213244215U (zh) 数据传输系统、发送端和接收端
KR101560004B1 (ko) 방송 송신 장치에 대한 정보 표시 방법, 그를 이용한 방송 수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CN106231217B (zh) 一种pcb板、显示屏及电视
KR200289678Y1 (ko) 무선 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065220A (ko) 신호 송수신 방법, 그를 이용한 수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165823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597359B1 (ko) 외부 기기의 제어 방법, 그를 이용한 방송 수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0275596B1 (ko) 원격제어용 전파신호 수신장치
KR20110032155A (ko) 방송 송수신 방법, 그를 이용한 방송 수신 장치 및 리모트 컨트롤러
KR20110032026A (ko) 외부 기기의 제어 방법, 그를 이용한 방송 송신 장치, 방송 수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