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0004B1 - 방송 송신 장치에 대한 정보 표시 방법, 그를 이용한 방송 수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방송 송신 장치에 대한 정보 표시 방법, 그를 이용한 방송 수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0004B1
KR101560004B1 KR1020090082188A KR20090082188A KR101560004B1 KR 101560004 B1 KR101560004 B1 KR 101560004B1 KR 1020090082188 A KR1020090082188 A KR 1020090082188A KR 20090082188 A KR20090082188 A KR 20090082188A KR 101560004 B1 KR101560004 B1 KR 1015600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broadcast transmission
reception sensitivity
output power
signal rece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2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4273A (ko
Inventor
장호덕
정우진
김영국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2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0004B1/ko
Publication of KR20110024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42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0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00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 송신 장치의 정보 표시 방법, 그를 이용한 방송 수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방법은 복수의 방송 송신 장치들 각각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수신 감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정된 방송 송신 장치별 신호 수신 감도에 기초하여 방송 송신 장치들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방송 송신 장치에 대한 정보 표시 방법, 그를 이용한 방송 수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of broadcast transmitting apparatus, broadcast receving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공중파, 케이블 및 기타 외부 장치(VCR, DVD 등)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한 후 출력하는 방송 수신 유닛과 상기 처리된 방송 신호의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방송 수신 유닛과 디스플레이 유닛은 각각 개별적으로 분리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최근 들어 별도의 방송 수신 장치를 이용해 수신한 방송 신호를 무선 통신을 이용해 디스플레이 장치로 송신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와이어리스(wireless) 방식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제공되고 있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방송 신호의 송수신할 수 있는 방송 송수신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 송신 장치의 정보 표시 방법은, 복수의 방송 송신 장치들과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방송 수신 장치에서 상기 방송 송신 장치들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며, 상기 복수의 방송 송신 장치들 각각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수신 감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방송 송신 장치별 신호 수신 감도에 기초하여, 상기 방송 송신 장치들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는, 복수의 방송 송신 장치들과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방송 송신 장치들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RF 수신부; 상기 수신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방송 송신 장치들 각각의 신호 수신 감도를 측정하는 수신감도측정부; 및 상기 측정된 방송 송신 장치별 신호 수신 감도에 기초하여, 상기 방송 송신 장치들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방송 수신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송 송신 장치의 정보 표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방송 송신 장치들에 대한 정보를 각 방송 신호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신호의 수신 감도에 따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각 방송 송신 장치들의 위치 등을 용이하게 파악하도록 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최적의 신호 수신 감도를 제공하는 방송 송신 장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방송 송신 장치별 신호 수신 감도에 따라 각 방송 송신 장치의 출력 파워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비 전력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전송되는 신호에 따른 표시 영상의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 송신 장치에 대한 정보 표시 방법, 그를 이용한 방송 수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방송 송수신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실시예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 방송 송수신 시스템은 방송 송신 장치(100) 및 방송 수신 장치(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방송 송신 장치(100)는 공중파, 케이블(cable) 또는 외부 장치 등으로부터 영상을 포함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방송 신호를무선 송신 가능한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무선 전송한다.
방송 수신 장치(200)는 방송 송신 장치(100)로부터 무선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하며, 그를 위해 방송 송신 장치(100)와 방송 수신 장치(200) 사이에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1 이상의 무선 통신 규격이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방송 송신 장치(100)는 안테나(antenna) 또는 외부 장치들이 연결되는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USB(Universal Serial Bus) 단자, 컴포넌트(component) 단자, 외부입력 단자, RGB 단자, 안테나 케이블 단자 등의 다양한 입력 단자들을 구비하여, 상기 입력 단자를 이용해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방송 송신 장치(100)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해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방송 신호를 변환하여 방송 수신 장치(200)로 무선 전송하는 셋탑 박스(set-top box, STB)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송신 장치(100)는 셋탑 박스(STB)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방송 수신 장치(200)로 무선 전송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송신 장치(100)는 컴퓨터(computer) 또는 휴대폰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방송 수신 장치(200)는 방송 송신 장치(100)로부터 무선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한 후, 방송 신호에 포함된 영상 또는 음성을 출력하는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장치(200)는 방송 송신 장치(100)로부터 무선 전송된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에서 디스플레이 가능한 형태로 변환한 후 출력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방송 송신 장치(100)로부터 무선 전송된 영상 신호가 엠팩(MPEG) 등과 같은 코딩 방식에 의해 인코딩(encoding)된 경우, 방송 수신 장치(200)는 상기 수신된 영상 신호를 디코딩(decoding)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로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방송 송신 장치(100)와 방송 수신 장치(200)는 다양한 무선 통신 규격, 예를 들어 WiHD(Wireless HD), WHDi(Wireless Home Digital Interface) 또는 WiFi(Wireless Lan) 등의 무선 통신 규격들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WiHD는 약 60GHz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며, 약 4Gbps의 전송 속도로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어 1080p(1920×1080)의 HD 영상 데이터를 압축하지 않고도 전송이 가능하다. 다만, 상기 WiHD는 60GHz대역의 높은 주파수를 사용하므로, 데이터 송수신 거리가 약 10m이며, 송수신 품질이 설치 공간의 주변 장애물들에 쉽게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상기 WHDi는 약 5G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약 1.8Gbps의 전송 속도로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WHDi는 5GHz의 비교적 낮은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므로, 송수신 거리가 약 30m이며, 송수신 품질이 설치 공간의 주변 장애물들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약 1.8Gbps의 전송 속도에 따라, 1080p(1920×1080)의 HD 영상 데이터를 상기 WHDi를 이용해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방송 송신 장치(100)는 상기 HD 영상 데이터를 일부 압축하여 전송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상기 WiFi는 2.4G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약 54Mbp의 전송 속도로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상기 WiFi는 2.4GHz의 낮은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므로, 송수신 거리가 약 50~200m이며, 송수신 품질이 설치 공간의 주변 장애물들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약 54Mbp의 낮은 전송 속도에 따라, 1080p(1920×1080)의 HD 영상 데이터를 상기 WiFi를 이용해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방송 송신 장치(100)는 상기 HD 영상 데이터를 압축하여 전송하여야 하며, 그에 따라 방송 수신 장치(200)에서 수신한 영상 신호에 화질 열화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방송 송신 장치(100)와 방송 수신 장치(200)는 상기한 바와 같은 무선 통신 규격 이외에도 다양한 근거리 무선 통신 규격들,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tooth), 지그비(ZigBee) 또는 바이너리 CDMA(binary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등과 같은 통신 규격들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에 따른 데이터를 무선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방송 송신 장치(100)와 방송 수신 장치(200)는 상기한 바와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규격들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방송 송신 장치(100)와 방송 수신 장치(200)는 상기한 바와 같은 무선 통신 규격들 중 2 이상의 규격을 이용하여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방송 송신 장치(100)와 방송 수신 장치(200) 각각의 성능, 설치 환경, 영상의 해상도 등에 따라 상기 지원 가능한 2 이상의 규격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데이터 송수신에 이용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 송수신 시스템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방송 송수신 시스템의 구성 중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에 대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200)는 복수의 방송 송신 장치들(100, 110, 120)과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복수의 방송 송신 장치들(100, 110, 120) 중 어느 하나로부터 방송 신호, 예를 들어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방송 송신 장치들(100, 110, 120) 각각은 외부로부터 수신된 방송 신호를 특정 무선 통신 규격에 따라 무선 송신 가능한 데이터로 변환한 후, 방송 수신 장치(200)로 무선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방송 수신 장치(200)의 사용자는 복수의 방송 송신 장치들(100, 110, 120) 중에서 방송 신호를 수신할 방송 송신 장치를 선택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방송 수신 장치(200)는 상기 선택된 방송 송신 장치로부터 방송 신호, 예를 들어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무선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방송 수신 장치(200)는 복수의 방송 송신 장치들(100, 110, 120)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RF 수신부들(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복수의 RF 수신부들(미도시) 각각은 대응되는 방송 송신 장치로 영상 및 음성 신호를 무선 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무선 통신 규격은, 복수의 방송 송신 장치들(100, 110, 120) 각각에 있어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방송 송신 장치들(100, 110, 120) 각각의 성능 또는 설치 위치 등에 따라, 복수의 방송 송신 장치들(100, 110, 120) 각각이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 규격이 서로 상이하게 설정될 수도 있다.
한편, 방송 수신 장치(200)는 복수의 방송 송신 장치들(100, 110, 120)의 개수보다 작은 수, 예를 들어 하나의 RF 수신부(미도시)를 구비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방송 수신 장치(200)는 멀티 채널(multi-channel) 통신을 이용하여, 즉 복수의 방송 송신 장치들(100, 110, 120)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채널들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방송 수신 장치(200)는 RF 송수신부(210), 수신 감도 측정부(22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RF 송수신부(210)는 무선 네트워크, 예를 들어 WiHD, WHDi 또는 WiFi 등의 무선 통신 규격을 이용한 네트워크로 연결된 복수의 방송 송신 장치들(100, 110, 120)로부터 방송 신호, 즉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무선 수신할 수 있다.
그를 위해, RF 송수신부(210)는 안테나(antenna) 및 컨버터(converter)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방송 송신 장치들(100, 110, 120)로부터 신호를 수신함과 동시에 복수의 방송 송신 장치들(100, 110, 120)로 신호를 무선 전송하기 위해 업(up) 컨버터 및 다운(down) 컨버터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RF 송수신부(210)는 복수의 방송 송신 장치들(100, 110, 120)로부터 신호를 무선 수신하기 위한 RF 수 신부(미도시)와 복수의 방송 송신 장치들(100, 110, 120)로 신호를 무선 송신하기 위한 RF 송신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수신 감도 측정부(220)는 복수의 방송 송신 장치들(100, 110, 12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신호 수신 감도를 측정하며, 상기 측정되는 신호 수신 감도는 수신 신호 세기(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또는 패킷 에러율(PER, Packet Error Rate)일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방송 수신 장치(200)와 복수의 방송 송신 장치들(100, 110, 120)은 각각의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위한 초기 설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수신 감도 측정부(220)는 상기 네트워크 설정 작업 중 복수의 방송 송신 장치들(100, 110, 120) 각각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방송 송신 장치들(100, 110, 120) 각각의 신호 수신 감도를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는 상기 측정된 방송 송신 장치별 신호 수신 감도, 즉 복수의 방송 송신 장치들(100, 110, 120) 각각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수신 감도에 기초하여, 복수의 방송 송신 장치들(100, 110, 120)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방송 수신 장치(2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가 복수의 방송 송신 장치들(100, 110, 120)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는 상기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 치(200)에서 복수의 방송 송신 장치들(100, 110, 120)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송 송신 장치의 정보 표시 방법을 흐름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정보 표시 방법을 도 3에 도시된 방송 수신 장치(200)와 결부시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방송 수신 장치(200)의 RF 송수신부(210)는 WiHD, WHDi 또는 WiFi 등의 무선 통신 규격에 따라 복수의 방송 송신 장치들(100, 110, 120) 각각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한다(300 단계).
수신 감도 측정부(220)는 상기 300 단계에서 수신된 신호들을 이용하여, 복수의 방송 송신 장치들(100, 110, 120) 각각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수신 감도인 방송 송신 장치별 신호 수신 감도를 측정한다(310 단계). 상기한 바와 같이, 수신 감도 측정부(220)에 의해 측정되는 상기 신호 수신 감도는 수신 신호 세기(RSSI) 또는 패킷 에러율(PER)일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는 구비된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상기 측정된 방송 송신 장치별 신호 수신 감도에 따라 복수의 방송 송신 장치들(100, 110, 120)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320 단계).
이하에서는, 방송 수신 장치(200)가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복수의 방송 송신 장치들(100, 110, 120) 각각에 대해 측정한 수신 신호 세기(RSSI)에 기초하여, 복수의 방송 송신 장치들(100, 110, 120)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방송 수신 장치(200)와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복수의 방송 송신 장치들(100, 110, 120)의 명칭들 및 복수의 방송 송신 장치들(100, 110, 120)의 수신 신호 세기(RSSI)들이 대응되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6개의 방송 송신 장치들(Tx1 내지 Tx6)이 방송 수신 장치(200)와 WiDH, WHDi 또는 WiFi 등을 이용한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는 상기 방송 송신 장치들(Tx1 내지 Tx6)의 명칭들을 각 방송 송신 장치에 대해 수신 감도 측정부(220)가 측정한 수신 신호 세기(RSSI)와 대응시켜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방송 송신 장치들(Tx1 내지 Tx6) 각각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수신 신호 세기(RSSI)는 0~255의 값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값이 클 수록 높은 수신 감도를 가질 수 있다.
즉, 방송 수신 장치(200)에 연결된 복수의 방송 송신 장치들(Tx1 내지 Tx6)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수신 신호 세기(RSSI)가 각각 241, 238, 234, 212, 208 및 182라는 정보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통해 표시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방송 송신 장치들(100, 110, 120) 각각의 수신 신호 세기(RSSI)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됨에 따라, 사용자는 방송 수신 장치(200)에 연결된 방송 송신 장치들(100, 110, 120) 각각의 상태 또는 위치 등을 파악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방송 송신 장치들(100, 110, 120) 중 가장 높은 신호 전송 성능을 가지는 방송 송신 장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방송 수신 장치(200)에 연결된 복수의 방송 송신 장치들(Tx1 내지 Tx6)은 각각에 대해 측정된 수신 신호 세기(RSSI)에 따라 복수의 그룹들(400, 410, 420)로 나뉘어 표시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방송 송신 장치들(Tx1 내지 Tx6) 중 3개의 방송 송신 장치들(Tx1 내지 Tx3)은 수신 신호 세기(RSSI)가 높은 그룹으로 표시되고, 2개의 방송 송신 장치들(Tx4 및 Tx5)은 수신 신호 세기(RSSI)가 중간인 그룹으로 표시되며, 나머지 한개의 방송 송신 장치(Tx6)는 수신 신호 세기(RSSI)가 낮은 그룹으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복수의 방송 송신 장치들(Tx1 내지 Tx6)이 복수의 그룹으로 분할되기 위해, 각 그룹의 수신 신호 세기(RSSI) 범위가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경우, 수신 신호 세기(RSSI)가 높은 그룹은 수신 신호 세기(RSSI)가 230을 초과하는 방송 송신 장치들을 포함하고, 수신 신호 세기(RSSI)가 중간인 그룹은 수신 신호 세기(RSSI)가 200 내지 230인 방송 송신 장치들을 포함하며, 수신 신호 세기(RSSI)가 낮은 그룹은 수신 신호 세기(RSSI)가 200 미만인 방송 송신 장치들을 포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방송 송신 장치들(Tx1 내지 Tx6)이 수신 신호 세기(RSSI)에 따라 복수의 그룹들로 나뉘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해 표시됨에 따라, 사용자는 방송 송신 장치들(Tx1 내지 Tx6) 사이의 위치 관계 등을 대략적으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수신 신호 세기(RSSI)가 높은 그룹에 속하는 방송 송신 장치들(Tx1 내지 Tx3)은 방송 수신 장치(200)와 가까운 위치에서 서로 인접하게 위치하며, 수신 신호 세기(RSSI)가 중간인 그룹에 속하는 방송 송신 장치들(Tx4 및 Tx5)은 방송 수신 장치(200)와 조금 떨어진 위치에서 서로 인접하게 위치하고, 수신 신호 세기(RSSI)가 낮은 그룹에 속하는 방송 송신 장치(Tx6)는 방송 수신 장치(200)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위치함을 알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방송 수신 장치(200)가 거실에 위치하는 경우, 사용자는 수신 신호 세기(RSSI)가 높은 그룹에 속하는 방송 송신 장치들(Tx1 내지 Tx3)은 상기 거실에 위치하고, 수신 신호 세기(RSSI)가 중간인 그룹에 속하는 방송 송신 장치들(Tx4 및 Tx5)은 상기 거실에 인접한 큰 방에 위치하며, 수신 신호 세기(RSSI)가 낮은 그룹에 속하는 방송 송신 장치(Tx6)는 상기 거실로부터 멀리 떨어진 작은 방에 위치함을 알 수 있다.
도 7은 상기한 바와 같이 측정된 방송 송신 장치별 신호 수신 세기(RSSI)에 기초하여 방송 수신 장치(200)와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복수의 방송 송신 장치들(100, 110, 120)의 위치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복수의 방송 송신 장치들(Tx1 내지 Tx6) 각각에 대해 측정된 수신 신호 세기(RSSI)를 이용하여, 방송 수신 장치(200)를 기준으로 한 상기 방송 송신 장치 들(Tx1 내지 Tx6) 각각의 거리 및 방향을 추정할 수 있다.
즉, 방송 수신 장치(200)와 방송 송신 장치(100) 사이의 거리는 방송 송신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수신 신호 세기(RSSI)에 비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신 신호 세기(RSSI)를 가지는 복수의 방송 송신 장치들(Tx1 내지 Tx6) 각각의 방송 수신 장치(200)로부터의 거리는, 수신 신호 세기(RSSI)가 가장 큰 상기 Tx1가 가장 가까우며, Tx2, Tx3, Tx4, Tx5, Tx6의 순서로 점차 멀어질 수 있다.
한편, 방송 수신 장치(200)를 기준으로 한 방송 송신 장치들(Tx1 내지 Tx6) 각각의 방향은, 상기 각 방송 송신 장치의 수신 신호 세기(RSSI)를 측정하는 과정에 추정될 수 있다.
즉, 방송 송신 장치(100)의 수신 신호 세기(RSSI)는 방송 송신 장치(100)에 구비된 안테나의 방향에 따라 변화할 수 있으며, 방송 송신 장치(100)의 안테나 방향이 방송 수신 장치(200)의 방향과 직선을 이룰 때 상기 수신 신호 세기(RSSI)가 최대 값을 가질 수 있다.
방송 송신 장치들(Tx1 내지 Tx6) 각각의 수신 신호 세기(RSSI)를 측정하는 과정에서, 최대의 수신 신호 세기(RSSI)를 가지는 안테나 방향을 검출하여, 상기 검출된 안테나 방향에 따라 방송 수신 장치(200)를 기준으로 한 방송 송신 장치들(Tx1 내지 Tx6) 각각의 방향을 추정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수신 신호 세기(RSSI)를 이용해 추정된 방송 송신 장치들(Tx1 내지 Tx6) 각각의 거리 및 방향에 따라, 방송 수신 장 치(200), 예를 들어 TV를 기준으로 한 방송 송신 장치들(Tx1 내지 Tx6) 각각의 대략적인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복수의 방송 송신 장치들(Tx1 내지 Tx6) 각각의 대략적인 위치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방송 수신 장치(200)와 연결된 복수의 방송 송신 장치들(Tx1 내지 Tx6)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쉽게 인지할 수 있다.
한편,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 신호 세기(RSSI)를 이용해 추정된 방송 송신 장치들(Tx1 내지 Tx6) 각각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방송 송신 장치들(Tx1 내지 Tx6)의 위치를 공간 별로 나누어 표시할 수도 있다.
즉,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수신 장치(200)인 TV가 위치하는 거실에 수신 신호 세기(RSSI)가 높은 방송 송신 장치들(Tx1 내지 Tx3)이 특정 방향으로 위치함을 표시할 수 있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실에 인접한 큰 방에는 수신 신호 세기(RSSI)가 중간인 방송 송신 장치들(Tx4 및 Tx5)이 특정 방향으로 위치함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실로부터 멀리 떨어진 작은 방에는 수신 신호 세기(RSSI)가 낮은 방송 송신 장치(Tx6)가 위치함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수신 신호 세기(RSSI)를 이용해 복수의 방송 송신 장치들(100, 110, 120)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정보를 이용하여 방송 송신 장치들(100, 110, 120) 의 출력 파워(power)를 조정할 수 있다.
도 9는 방송 송신 장치의 출력 파워(power)를 조정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흐름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 9에 도시된 출력 파워 조정 방법을 도 3에 도시된 방송 수신 장치(200)와 결부시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로부터 방송 수신 장치(200)와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복수의 방송 송신 장치들(100, 110, 120)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는다(500 단계).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는 상기 500 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방송 송신 장치들(100, 110, 120)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수단(미도시), 예를 들어 복수의 키버튼들을 구비할 수 잇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의 사용자 입력 수단(미도시)은 방송 수신 장치(200)에 포함되어 있거나, 또는 별도의 장치, 예를 들어 리모컨(remote controller)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200)는 출력 파워 조정부(2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출력 파워 조정부(240)는 상기 선택된 방송 송신 장치의 수신 신호 세기(RSSI)와 미리 설정된 기준치를 비교한다(510 단계).
상기 선택된 방송 송신 장치의 수신 신호 세기(RSSI)는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정보 표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수신 감도 측정부(220)가 방송 송신 장치들(100, 110, 120) 각각에 대해 측정한 값일 수 있다.
한편, 출력 파워 조정부(240)는 상기 510 단계에서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선택된 방송 송신 장치의 출력 파워를 조정한다(520 단계).
이하,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출력 파워 조정부(240)가 방송 송신 장치의 출력 파워를 조정하는 방법에 대한 실시예들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되는 방송 송신 장치들(Tx1 내지 Tx6) 중 출력 파워를 조정하고자 하는 방송 송신 장치, 예를 들어 제2 방송 송신 장치(Tx2)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을 수 있다.
이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방송 송신 장치(Tx2)의 출력 파워를 자동 조정하기 위한 버튼(600) 및 수동 조정하기 위한 버튼(610)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 좀 더 구체적으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에 구비된 사용자 입력 수단(미도시)을 이용하여 상기 출력 파워의 자동 조정(600)과 수동 조정(610) 중 어느 하나를 입력받을 수 있다.
사용자가 제2 방송 송신 장치(Tx2)의 출력 파워 자동 조정(600)을 선택한 경우, 출력 파워 조정부(240)는 제2 방송 송신 장치(Tx2)의 수신 신호 세기(RSSI)와 기준치를 비교하여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제2 방송 송신 장치(Tx2)의 출력 파워를 조정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출력 파워 조정부(240)는 제2 방송 송신 장치(Tx2)의 수신 신호 세기(RSSI)가 기준치, 예를 들어 230을 초과하는 경우, 제2 방송 송신 장 치(Tx2)의 출력 파워를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 파워 조정부(240)의 제2 방송 송신 장치(Tx2)의 출력 파워 감소 결정에 따라, RF 송수신부(210)는 제2 방송 송신 장치(Tx2)로 출력 파워 감소를 요청하는 신호를 무선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출력 파워 조정부(240)는 제2 방송 송신 장치(Tx2)의 수신 신호 세기(RSSI)가 기준치, 예를 들어 200 미만인 경우, 제2 방송 송신 장치(Tx2)의 출력 파워를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 파워 조정부(240)의 제2 방송 송신 장치(Tx2)의 출력 파워 증가 결정에 따라, RF 송수신부(210)는 제2 방송 송신 장치(Tx2)로 출력 파워 증가를 요청하는 신호를 무선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방송 송신 장치(Tx2)의 수신 신호 세기(RSSI)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38인 경우, 출력 파워 조정부(240)는 상기 제2 방송 송신 장치(Tx2)의 출력 파워가 감소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제2 방송 송신 장치(Tx2)의 출력 파워 수동 조정(610)을 선택한 경우, 출력 파워 조정부(24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를 이용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제2 방송 송신 장치(Tx2)의 출력 파워를 조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출력 파워 수동 조정(610)을 가이드 하기 위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제2 방송 송신 장치(Tx2)의 출력 파워 수동 조정(610)을 선택하면, 제2 방송 송신 장치(Tx2)의 신호 수신 세기(RSSI)인 238이 기준치인 230보다 높다는 정보를 표시하고, 제2 방송 송신 장치(Tx2)의 출력 파워를 감소시켜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다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출력 파워 조정(620)을 선택하여, 출력 파워 조정부(240)가 제2 방송 송신 장치(Tx2)의 출력 파워를 감소시키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출력 파워 유지(630)를 선택함으로써, 제2 방송 송신 장치(Tx2)가 현재의 출력 파워를 유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제6 방송 송신 장치(Tx6)의 출력 파워 수동 조정을 선택하는 경우, 제6 방송 송신 장치(Tx6)의 신호 수신 세기(RSSI)인 182가 기준치인 200보다 낮다는 정보를 표시하고, 제6 방송 송신 장치(Tx6)의 출력 파워를 증가시켜 수신 신호 세기(RSSI)를 높임으로써 수신되는 신호에 따른 영상의 화질이 향상될 수 있다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출력 파워 조정(640)을 선택하여, 출력 파워 조정부(240)가 제6 방송 송신 장치(Tx6)의 출력 파워를 증가시키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출력 파워 유지(650)를 선택함으로써, 제6 방송 송신 장치(Tx6)가 현재의 출력 파워를 유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3은 방송 송수신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 13에 도시된 방송 송수신 시스템의 동작 중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에 대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700)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방송 수신 장치(200) 및 디스플레이 모듈(7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700)에 구비된 방송 수신 장치(200)는 WiHD, WHDi 또는 WiFi 등의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복수의 방송 송신 장치들(100, 110, 120)과 연결될 수 있으며, 복수의 방송 송신 장치들(100, 110, 120) 중 어느 하나로부터 무선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한 후 디스플레이 가능한 형태의 영상 신호로 처리하며 디스플레이 모듈(710)로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710)은 방송 수신 장치(200)로부터 입력된 영상 신호를 이용하여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그를 위해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등과 같은 다양한 디스플레이 방식의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5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복수의 방송 송신 장치들(100, 110, 120)에 대한 정보는 디스플레이 모듈(710)을 통해 표시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송신 장치의 정보 표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 리고, 방송 수신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방송 송수신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 송수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송 송신 장치의 정보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 내지 도 8c는 복수의 방송 송신 장치들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에 대한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9는 방송 송신 장치의 출력 파워(power)를 조정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방송 송신 장치의 출력 파워를 조정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화면에 대한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송 송수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Claims (18)

  1. 복수의 방송 송신 장치들과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방송 수신 장치에서 상기 방송 송신 장치들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방송 송신 장치들 각각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수신 감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방송 송신 장치별 신호 수신 감도에 기초하여, 상기 방송 송신 장치들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방송 송신 장치들 중 제1 방송 송신 장치의 신호 수신 감도를 기준치와 비교하여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방송 송신 장치의 출력 파워(power)를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방송 송신 장치의 신호 수신 감도가 제1 기준치보다 높은 경우 상기 제1 방송 송신 장치의 출력 파워 감소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제1 방송 송신 장치의 신호 수신 감도가 제2 기준치보다 낮은 경우 상기 제1 방송 송신 장치의 출력 파워 증가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 송신 장치의 정보 표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수신 감도는
    수신 신호 세기(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및 패킷 에러율(PER, Packet Error Rate) 중 적어도 하나인 방송 송신 장치의 정보 표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표시 단계는
    상기 방송 송신 장치들에 대해 측정된 신호 수신 감도를 표시하는 방송 송신 장치의 정보 표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표시 단계는
    상기 측정된 신호 수신 감도에 따라 상기 방송 송신 장치들을 복수의 그룹들 으로 나누어 표시하는 방송 송신 장치의 정보 표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표시 단계는
    상기 측정된 신호 수신 감도에 따라 상기 방송 송신 장치들의 위치 정보를 표시하는 방송 송신 장치의 정보 표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송신 장치의 위치 정보는
    상기 방송 수신 장치로부터 거리 및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송신 장치의 정보 표시 방법.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단계는
    상기 제1 방송 송신 장치의 신호 수신 감도가 제1 기준치보다 높은 경우 상기 제1 방송 송신 장치의 출력 파워를 감소시키고,
    상기 제1 방송 송신 장치의 신호 수신 감도가 제2 기준치보다 낮은 경우 상기 제1 방송 송신 장치의 출력 파워를 증가시키는 방송 송신 장치의 정보 표시 방법.
  10. 삭제
  11. 복수의 방송 송신 장치들과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방송 수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방송 송신 장치들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RF 수신부;
    상기 수신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방송 송신 장치들 각각의 신호 수신 감도를 측정하는 수신감도측정부;
    상기 측정된 방송 송신 장치별 신호 수신 감도에 기초하여, 상기 방송 송신 장치들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복수의 방송 송신 장치들 중 제1 방송 송신 장치의 출력 파워를 조정하는 출력파워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파워조정부는
    상기 제1 방송 송신 장치의 신호 수신 감도가 기준치보다 높은 경우 상기 제1 방송 송신 장치의 출력 파워를 감소시키고, 상기 제1 방송 송신 장치의 신호 수신 감도가 상기 기준치보다 낮은 경우 상기 제1 방송 송신 장치의 출력 파워를 증가시키고,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제1 방송 송신 장치의 신호 수신 감도가 제1 기준치보다 높은 경우 상기 제1 방송 송신 장치의 출력 파워 감소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제1 방송 송신 장치의 신호 수신 감도가 제2 기준치보다 낮은 경우 상기 제1 방송 송신 장치의 출력 파워 증가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방송 수신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수신 감도는
    수신 신호 세기(RSSI) 및 패킷 에러율(PER) 중 적어도 하나인 방송 수신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측정된 신호 수신 감도에 따라 상기 방송 송신 장치들을 복수의 그룹들으로 나누어 표시하는 방송 수신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측정된 신호 수신 감도에 따라 상기 방송 송신 장치들의 위치 정보를 표시하는 방송 수신 장치.
  15. 삭제
  16. 삭제
  17.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송 수신 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1항 내지 제6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90082188A 2009-09-01 2009-09-01 방송 송신 장치에 대한 정보 표시 방법, 그를 이용한 방송 수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15600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2188A KR101560004B1 (ko) 2009-09-01 2009-09-01 방송 송신 장치에 대한 정보 표시 방법, 그를 이용한 방송 수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2188A KR101560004B1 (ko) 2009-09-01 2009-09-01 방송 송신 장치에 대한 정보 표시 방법, 그를 이용한 방송 수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4273A KR20110024273A (ko) 2011-03-09
KR101560004B1 true KR101560004B1 (ko) 2015-10-13

Family

ID=43932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2188A KR101560004B1 (ko) 2009-09-01 2009-09-01 방송 송신 장치에 대한 정보 표시 방법, 그를 이용한 방송 수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00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77471A (zh) * 2020-08-18 2022-02-22 华为技术有限公司 信息显示方法、目标设备、源设备、系统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4273A (ko) 2011-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1638B1 (ko) 신호 수신 방법, 그를 이용한 방송 수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EP2474169B1 (en) Method for controlling external device and remote controller thereof
US20140208267A1 (en) Method for controlling external device and transmitting apparatus and receiving apparatus thereof
KR101730320B1 (ko) 미디어 신호 송수신 시스템 및 그 미디어 신호 송수신방법
KR20110016652A (ko) 무선 신호의 수신 감도 제어 방법, 그를 이용한 방송 송신 장치, 방송 수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CN207200865U (zh) 一种hdmi无线传输系统、发送装置和接收装置
KR101560004B1 (ko) 방송 송신 장치에 대한 정보 표시 방법, 그를 이용한 방송 수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023250A (ko) 수신 감도 제어 장치 및 그의 수신 감도 제어 방법
US8861376B2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of determining broadcast reception state thereof
KR101729895B1 (ko) 외부 기기 제어 방법, 그를 이용한 원격 제어 장치 및 방송 송신 장치
US20120115519A1 (en) Wireless transmission apparatus for generating installation support information representing installation method of each wireless transmission apparatus
KR101636567B1 (ko) 원격 제어 신호의 처리 방법, 그를 이용한 방송 송신 장치, 방송 수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1636568B1 (ko) 방송 수신 방법 및 장치,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069638A (ko) 신호 수신 방법 및 장치,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CN102484689B (zh) 用于处理信号的方法及其传送装置、接收装置和显示装置
KR20110065220A (ko) 신호 송수신 방법, 그를 이용한 수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1565620B1 (ko) Osd 처리 방법, 그를 이용한 방송 송신 장치, 방송 수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1597359B1 (ko) 외부 기기의 제어 방법, 그를 이용한 방송 수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1635217B1 (ko) 신호 수신 방법 및 장치,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1099271B1 (ko) 신호 송수신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수신 장치
KR20110070373A (ko) 신호 송신 방법 및 장치
KR20110070372A (ko) 간섭 기기 표시 방법, 그를 이용한 수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1583386B1 (ko)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방법, 그를 이용한 송수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032024A (ko) 원격 제어 신호의 처리 방법, 그를 이용한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020683A (ko)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채널 변경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