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0372A - 간섭 기기 표시 방법, 그를 이용한 수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간섭 기기 표시 방법, 그를 이용한 수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0372A
KR20110070372A KR1020090127176A KR20090127176A KR20110070372A KR 20110070372 A KR20110070372 A KR 20110070372A KR 1020090127176 A KR1020090127176 A KR 1020090127176A KR 20090127176 A KR20090127176 A KR 20090127176A KR 20110070372 A KR20110070372 A KR 201100703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nterference
determining
bandwidth
interferenc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7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택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7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70372A/ko
Publication of KR20110070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03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4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네트워크의 간섭 기기를 표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방법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신호 수신 감도를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신호 수신 감도가 기준치 이하인 경우 간섭 기기의 종류를 판단하는 단계; 및 간섭 기기의 종류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간섭 기기 표시 방법, 그를 이용한 수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Method for displaying type of a interference device, receiving apparatus and displaying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미디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공중파, 케이블 및 기타 외부 장치(VCR, DVD 등)로부터 미디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한 후 출력하는 방송 수신 유닛과 상기 처리된 미디어 신호의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방송 수신 유닛과 디스플레이 유닛은 각각 개별적으로 분리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최근 들어 별도의 수신 장치를 이용해 수신한 미디어 신호를 무선 통신을 이용해 디스플레이 장치로 송신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와이어리스(wireless) 방식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제공되고 있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미디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하는 간섭 기기 표시 방법, 그를 이용한 수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섭 기기 표시 방법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신호 수신 감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신호 수신 감도가 기준치 이하인 경우, 간섭 기기의 종류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간섭 기기의 종류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 장치는, 송신 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RF 수신부; 신호 수신 감도를 측정하는 수신감도측정부; 상기 측정된 신호 수신 감도가 기준치 이하인 경우, 간섭 신호의 대역폭을 이용하여 간섭 기기의 종류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간섭 기기의 종류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수신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간섭 기기 표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신 신호의 특성을 이용해 간섭 기기의 종류를 판단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무선 네트워크 오류의 원인을 전달할 수 있으 며, 그에 따라 사용자가 무선 네트워크 오류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섭 기기 표시 방법, 그를 이용한 수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신호 송수신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실시예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 신호 송수신 시스템은 송신 장치(100) 및 수신 장치(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송신 장치(100)는 공중파, 케이블(cable) 또는 외부 장치 등으로부터 영상을 포함하는 미디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미디어 신호를무선 송신 가능한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무선 전송한다.
수신 장치(200)는 송신 장치(100)로부터 무선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하며, 그를 위해 송신 장치(100)와 수신 장치(200) 사이에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1 이상의 무선 통신 규격이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송신 장치(100)는 안테나(antenna) 또는 외부 장치들이 연결되는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USB(Universal Serial Bus) 단자, 컴포넌트(component) 단자, 외부입력 단자, RGB 단자, 안테나 케이블 단자 등의 다양한 입력 단자들을 구비하여, 상기 입력 단자를 이용해 미디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송신 장치(100)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해 미디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미디어 신호를 변환하여 수신 장치(200)로 무선 전송하는 셋탑 박 스(set-top box, STB)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송신 장치(100)는 셋탑 박스(STB)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미디어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 장치(200)로 무선 전송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송신 장치(100)는 컴퓨터(computer) 또는 휴대폰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수신 장치(200)는 송신 장치(100)로부터 무선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한 후, 미디어 신호에 포함된 영상 또는 음성을 출력하는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 장치(200)는 송신 장치(100)로부터 무선 전송된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에서 디스플레이 가능한 형태로 변환한 후 출력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송신 장치(100)로부터 무선 전송된 영상 신호가 엠팩(MPEG) 등과 같은 코딩 방식에 의해 인코딩(encoding)된 경우, 수신 장치(200)는 상기 수신된 영상 신호를 디코딩(decoding)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로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송신 장치(100)와 수신 장치(200)는 다양한 무선 통신 규격, 예를 들어 WiHD(Wireless HD), WHDi(Wireless Home Digital Interface) 또는 WiFi(Wireless Lan) 등의 무선 통신 규격들을 이용하여 미디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WiHD는 약 60GHz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며, 약 4Gbps의 전송 속도로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어 1080p(1920×1080)의 HD 영상 데이터를 압축하지 않고도 전송이 가능하다. 다만, 상기 WiHD는 60GHz대역의 높은 주파수를 사용하므로, 데이터 송수신 거리가 약 10m이며, 송수신 품질이 설치 공간의 주변 장애물들에 쉽게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상기 WHDi는 약 5G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약 1.8Gbps의 전송 속도로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WHDi는 5GHz의 비교적 낮은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므로, 송수신 거리가 약 30m이며, 송수신 품질이 설치 공간의 주변 장애물들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약 1.8Gbps의 전송 속도에 따라, 1080p(1920×1080)의 HD 영상 데이터를 상기 WHDi를 이용해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송신 장치(100)는 상기 HD 영상 데이터를 일부 압축하여 전송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상기 WiFi는 2.4G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약 54Mbp의 전송 속도로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상기 WiFi는 2.4GHz의 낮은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므로, 송수신 거리가 약 50~200m이며, 송수신 품질이 설치 공간의 주변 장애물들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약 54Mbp의 낮은 전송 속도에 따라, 1080p(1920×1080)의 HD 영상 데이터를 상기 WiFi를 이용해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송신 장치(100)는 상기 HD 영상 데이터를 압축하여 전송하여야 하며, 그에 따라 수신 장치(200)에서 수신한 영상 신호에 화질 열화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송신 장치(100)와 수신 장치(200)는 상기한 바와 같은 무선 통신 규격 이외에도 다양한 근거리 무선 통신 규격들,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tooth), 지그비(ZigBee) 또는 바이너리 CDMA(binary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등과 같은 통신 규격들을 이용하여 미디어 신호에 따른 데이터를 무선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송신 장치(100)와 수신 장치(200)는 상기한 바와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규격들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송신 장치(100)와 수신 장치(200)는 상기한 바와 같은 무선 통신 규격들 중 2 이상의 규격을 이용하여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송신 장치(100)와 수신 장치(200) 각각의 성능, 설치 환경, 영상의 해상도 등에 따라 상기 지원 가능한 2 이상의 규격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데이터 송수신에 이용될 수도 있다.
도 2는 신호 송수신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 신호 송수신 시스템은 송신 장치(100) 및 복수의 수신 장치들(200, 210, 2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송신 장치(100)는 복수의 수신 장치들(200, 210, 220)과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송신 장치(100)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미디어 신호 무선 송신 가능한 데이터로 변환한 후, 복수의 수신 장치들(200, 210, 220) 중 적어도 하나로 무선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 장치(100)는 복수의 수신 장치들(200, 210, 220) 중 미디어 신호를 수신할 1 이상의 수신 장치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고, 외부로부터 수신한 미디어 신호를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수신 장치로 무선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송신 장치(100)는 복수의 수신 장치들(200, 210, 220) 각각에 대 응되는 복수의 무선전송부들(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복수의 무선전송부들(미도시) 각각은 대응되는 수신 장치로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무선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무선 통신 규격은, 복수의 수신 장치들(200, 210, 220) 각각에 있어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수신 장치들(200, 210, 220) 각각의 성능 또는 설치 위치 등에 따라, 복수의 수신 장치들(200, 210, 220) 각각이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 규격이 서로 상이하게 설정될 수도 있다.
한편, 송신 장치(100)는 복수의 수신 장치들(200, 210, 220)의 개수보다 작은 수, 예를 들어 하나의 무선전송부(미도시)를 구비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송신 장치(100)는 멀티 채널(multi-channel) 통신을 이용하여, 즉 복수의 수신 장치들(200, 210, 220)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채널들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무선 전송할 수도 있다.
도 3은 신호 송수신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신호 송수신 시스템 중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에 대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상기한 바와 같은 수신 장치(200) 및 디스플레이 모듈(3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송신 장치(100)는 외부로부터 미디어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 장치(200)로 무선 전송하고,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구비된 수신 장치(200)는 상기 무선 전송되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가능한 형태의 영상 신호로 처리하며 디스플레이 모 듈(310)로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310)은 수신 장치(200)로부터 입력된 영상 신호를 이용하여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그를 위해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등과 같은 다양한 디스플레이 방식의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송신 장치(100)는 인터페이스부(110), 제1 신호 처리부(120) 및 RF 송신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인터페이스부(110)는 외부로부터 미디어 신호를 수신하며, 그를 위해 안테나 또는 케이블 등을 통해 외부로 전송되는 데이터 스트림 중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 채널에 해당하는 신호를 선국하여 수신하는 튜너(미도시) 또는 외부 장치와 연결되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HDMI, USB, 컴포넌트, RGB 등의 입력 단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신호 처리부(120)는 인터페이스부(110)에서 수신된 신호를 미리 설정된 무선 통신 규격에 따라 무선 송신이 가능한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한 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신호 처리부(120)는 인터페이스부(110)에서 수신된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서비스 정보(service information)를 추출하여 그로부터 다양한 채널 정보를 분리하는 데이터 처리부(미도시)와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추출된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A/V 처리부(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RF 송신부(130)는 제1 신호 처리부(12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 장치(200)로 무선 전송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수신 장치(100)는 RF 수신부(210), 수신 감도 측정부(220), 제어부(230), 제2 신호 처리부(240) 및 디스플레이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RF 수신부(210)는 무선 네트워크, 예를 들어 WiHD, WHDi 또는 WiFi 등의 무선 통신 규격을 이용한 네트워크로 연결된 송신 장치(100)로부터 미디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감도측정부(220)는 RF 수신부(210)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의 수신 감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감도측정부(220)는 상기 수시되는 신호의 수신 신호 세기(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또는 패킷 에러율(PER, Packet Error Rate)
제2 신호 처리부(240)는 RF 수신부(210)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가 특정 코딩 방식, 예를 들어 엠팩(MPEG) 코딩 방식에 의해 인코딩된 데이터인 경우, 제2 신호 처리부(240)는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가능한 형태로 디코딩하여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수신 장치(2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예를 들어 RF 수신부(210)를 통해 수신된 신호가 디스플레이 가능한 형태로 변환된 후 디스플레이부(250)로 출력되도록 제2 신호 처리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 장치(200) 외부에 디스프레이 모듈(310)이 위치하는 경우, 수신 장치(200)에는 디스플레이부(250)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하 설명하는 디스플레이부(250)의 기능은 외부의 디스프레이 모듈(3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송신 장치(100)와 수신 장치(200)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 성능, 즉 송신 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가 수신 장치(200)에서 수신되는 신호 수신 감도는, 송신 장치(100) 또는 수신 장치(200) 주변의 기기들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 장치(200) 주변에 전자 레인지, 무선 마이크, 무선랜 기기, 무선 전화기, 블루투스 기기 등의 기기가 위치하는 경우, 송신 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 대역과 상기 주변 기기로부터 방출되는 신호의 주파수 대역이 중첩되어 두 신호가 간섭을 일으킬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수신 장치(200)의 신호 수신 감도가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신호 수신 감도가 떨어지는 경우, 송신 장치(100)와 수신 장치(200) 사이의 데이터 손실(loss)이 발생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수신 장치(200)를 통해 수신되어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30)는 상기한 바와 같은 간섭 기기들로방출되는 신호(이하, 간섭 신호라 한다)의 특성을 검출하여 상기 간섭 기기의 종류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간섭 기기의 종류를 디스플레이부(25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감도측정부(220)에서 측정된 신호 수신 감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하로 감소하는 경우, 간섭 신호의 대역폭, 스펙트럼 마스크(apectrum mask) 또는 중심 주파수 등을 이용하여 상기 간섭 기기의 종류를 판단하여 디스플레이부(25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50)에서 표시되는 간섭 기기의 종류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수신 장치(200)에서 신호 수신 감도가 저하되는 원인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으며, 상기 간섭 기기에 따른 무선 신호 송수신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250)에서 표시된 종류의 간섭 기기를 신호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수신 장치(200)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로 옮기거나 또는 수신 장치(200)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신호 간섭을 감소시켜 디스플레이 영상의 화질 등을 개선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섭 기기 표시 방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섭 기기 표시 방법을 흐름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간섭 기기 표시 방법을 도 5에 도시된 수신 장치(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와 결부시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수신 장치(200)의 RF 수신부(210)는 송신 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한다(400 단계).
예를 들어, 송신 장치(100)와 수신 장치(200) 사이의 무선 네트워크가 WiHD방식에 따르는 경우 약 60GHz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며, WHDi 방식에 따르는 경우 약 5GHz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고, WiFi 방식에 따르는 경우 약 2.4GHz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상기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수신감도측정부(220)는 RF 수신부(210)에서 수신되는 신호의 신호 수신 감도를 측정한다(410 단계). 예를 들어, 수신감도측정부(220)는 상기 신호 수신 감도로서 수신 신호 세기(RSSI) 또는 패킷 에러율(PER)을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상기 측정된 신호 수신 감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a) 이하인지 여부를 확인한다(420 단계).
예를 들어, 수신감도측정부(220)가 수신 신호 세기(RSSI)를 측정한 경우, 제어부(230)는 상기 측정된 수신 신호 세기(RSSI)가 상기 기준치(a) 이하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반대로, 패킷 에러율(PER)은 높은 값을 가질 수록 신호 수신 감도가 저하되는 것이므로, 수신감도측정부(220)가 패킷 에러율(PER)을 측정한 경우, 제어부(230)는 상기 측정된 패킷 에러율(PER)이 상기 기준치(a) 이상인 경우 상기 수신 감도가 기준치(a) 이하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 수신 감도가 기준치(a) 이하인 경우, 제어부(230)는 간섭 기기의 종류를 판단한다(430 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230)는 간섭 신호의 대역폭, 스펙트럼 마스크 패턴 또는 중심 주파수의 변화 등을 이용하여 상기 간섭 기기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430 단계에서 제어부(230)가 간섭 기기의 종류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한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어부(230)는 송신 장치(100)와 수신 장치(200) 사이의 무선 네트워크에서 신호 송수신을 위해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 장치(100)와 수신 장치(200) 간에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이 5GHz인지 또는 2.4GHz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상기 무선 네트워크가 WHDi 방식에 따르는 경우 상기 5GHz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고, WiFi 방식에 따르는 경우 상기 2.4GHz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할 수 있다.
도 7은 송신 장치(100)와 수신 장치(200) 간에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이 2.4GHz인 경우 제어부(230)가 간섭 기기의 종류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한 실시예를 흐름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230)는 간섭 신호의 대역폭이 80Mhz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한다(500 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230)는 RF 수신부(210)에서 수신되는 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에서 기준 세기 이상인 신호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신호의 범위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간섭 신호의 대역폭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간섭 신호의 대역폭이 80Mhz 이상인 경우, 제어부(230)는 상기 간섭 신호의 스펙트럼 마스크가 화이트 노이즈, 즉 랜덤(random) 신호의 패턴을 가지는지 여부를 확인한다(510 단계).
전자 레인지로부터 방출되는 간섭 신호는 2.4Ghz 주파수 대역에서 1Ghz 이상의 넓은 대역폭을 가지고 감지될 수 있으며, 변조가 되지 않아 화이트 노이즈, 즉 랜덤(random) 신호에 가까운 패턴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간섭 신호의 스펙트럼 마스크가 화이트 노이즈 패턴을 가지는 경우, 제어부(230)는 간섭 기기가 '전자 레인지'인 것으로 판단한다(520 단계).
한편, 무선 마이크, 예를 들어 베이비 모니터(baby monitor)의 경우 2.4Ghz 주파수 대역에서 넓은 대역폭을 가지고 분산되어 신호가 감지되나, 상기 전자 레인지와 달리 변조 방식, 예를 들어 아날로그 FM 변조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간섭 신호의 스펙트럼 마스크가 화이트 노이즈 패턴을 가지지 않는 경우, 즉 특정 변조 방식에 따라 변조된 패턴을 가지는 경우, 제어부(230)는 간섭 기기가 '무선 마이크'인 것으로 판단한다(530 단계).
상기 간섭 신호의 대역폭이 80Mhz 미만인 경우, 제어부(230)는 상기 간섭 신호의 대역폭이 20Mhz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한다(540 단계).
무선랜 기기의 경우, 2.4Ghz 주파수 대역 및 5Ghz 주파수 대역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대역폭은 20Mhz와 80Mhz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간섭 신호의 대역폭이 20Mhz 이상인 경우, 제어부(230)는 간섭 기기가 '무선랜 기기'인 것으로 판단한다(550 단계).
한편, 상기 간섭 신호의 대역폭이 20Mhz 미만인 경우, 제어부(230)는 간섭 신호의 중심 주파수가 초당 1000회 이상 변화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560 단계).
블루투스 기기의 경우, 신호의 대역폭이 2Mhz 이하이며, 주파수 호핑(frequency hopping)이 사용되기 때문에 중심 주파수가 초당 약 2000번 변화될 수 있다.
따라서 간섭 신호의 중심 주파수가 초당 1000회 이상 변화되는 경우, 제어 부(230)는 간섭 기기가 '블루투스 기기'인 것으로 판단한다(570 단계).
한편, 무선 전화기의 경우, 점유 대역폭이 10Mhz 이하이며, 주파수 호핑(frequency hopping)을 사용하나 중심 주파수의 변화가 초당 1000번 미만으로 상기 블루투스 기기보다 변화가 느리다.
따라서 간섭 신호의 중심 주파수가 초당 1000회 미만으로 변화되는 경우, 제어부(230)는 간섭 기기가 '무선 전화기'인 것으로 판단한다(580 단계).
도 8은 송신 장치(100)와 수신 장치(200) 간에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이 5GHz인 경우 제어부(230)가 간섭 기기의 종류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한 실시예를 흐름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230)는 간섭 신호의 대역폭이 20Mhz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한다(600 단계).
상기 간섭 신호의 대역폭이 20Mhz 이상인 경우, 제어부(230)는 간섭 기기가 '무선랜 기기'인 것으로 판단한다(610 단계).
상기 간섭 신호의 대역폭이 20Mhz 미만인 경우, 제어부(230)는 간섭 신호의 중심 주파수가 주기적으로 변화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620 단계).
무선 전화기는 5Ghz에 가까운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 수 있으며, 신호의 대역폭이 10Mhz 이하이고, 주파수 호핑(frequency hopping)에 따라 중심 주파수가 주기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간섭 신호의 중심 주파수가 주기적으로 변화되는 경우, 제어부(230)는 간섭 기기가 '무선 전화기'인 것으로 판단한다(630 단계).
한편, 상기 간섭 신호의 중심 주파수가 주기적으로 변화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230)는 간섭 신호가 펄스(pulse) 형태인지 여부를 확인한다(640 단계).
레이더(radar)는 주기적인 펄스 신호이기 때문에, 시간에 따라 동일한 신호가 반복될 수 있다.
따라서 간섭 신호가 펄스 형태인 경우, 제어부(230)는 간섭 기기가 '레이더'인 것으로 판단한다(650 단계).
도 7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간섭 기기 판단 방법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따라서 제어부(230)는 간섭 기기로부터 방출되는 간섭 신호의 대역폭, 스펙트럼 마스크 또는 중심 주파수 등과 같은 다양한 신호 특성을 이용하여 상기 간섭 기기의 종류를 예측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간섭 기기 종류의 판단이 완료되면, 디스플레이부(250)는 제어부(230)의 제어를 받아 상기 판단된 간섭 기기의 종류를 표시한다(440 단계).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250)는 제어부(230)로부터 상기 판단된 간섭 기기 종류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화면 상에 간섭 기기의 종류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어부(230)가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에 따라 간섭 기기가 '무선 전화기'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디스플레이부(250)는 상기 간섭 기기의 종류를 표시하기 위한 OSD(710)를 화면(70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OSD(710)는 사용자에게 주변 간섭 기기에 의해 신호 수신 감도가 저하되었음을 알리고, 상기 간섭 기기가 '무선 전화기'임을 표시하여 알릴 수 있 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간섭 기기 표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간섭 기기 표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 및 내지 도 3은 신호 송수신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블록도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섭 기기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 및 도 8은 간섭 기기의 종류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한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흐름도들이다.
도 9는 간섭 기기의 종류를 표시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25)

  1.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신호 수신 감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신호 수신 감도가 기준치 이하인 경우, 간섭 기기의 종류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간섭 기기의 종류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간섭 기기 표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단계는
    상기 수신되는 신호의 수신 신호 세기(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및 패킷 에러율(PER, Packet Error Rate)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간섭 기기 표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단계는
    간섭 신호의 대역폭을 이용하여 상기 간섭 기기의 종류를 판단하는 간섭 기기 표시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단계는
    상기 수신되는 신호 중 기준 세기 이상인 간섭 신호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간섭 신호의 대역폭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간섭 신호의 대역폭을 기준 대역폭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간섭 기기 표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단계는
    간섭 신호의 스펙트럼 마스크(apectrum mask)를 이용하여 상기 간섭 기기의 종류를 판단하는 간섭 기기 표시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단계는
    간섭 신호의 중심 주파수를 이용하여 상기 간섭 기기의 종류를 판단하는 간섭 기기 표시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되는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간섭 기기 표시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단계는
    상기 수신되는 신호의 주파수 대역이 2.4Ghz 대역인 경우, 간섭 신호의 대역폭이 80Mhz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간섭 기기 표시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단계는
    상기 간섭 신호의 대역폭이 80Mhz 이상인 경우, 상기 간섭 기기를 전자 레인지 및 무선 마이크 중 어느 하나로 판단하는 간섭 기기 표시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단계는
    상기 간섭 신호의 스펙트럼 마스크가 화이트 노이즈(white noise) 패턴을 가지는 경우, 상기 간섭 기기를 전자 레인지로 판단하는 간섭 기기 표시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단계는
    상기 간섭 신호의 스펙트럼 마스크가 화이트 노이즈(white noise) 패턴을 가지지 않는 경우, 상기 간섭 기기를 무선 마이크로 판단하는 간섭 기기 표시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단계는
    상기 간섭 신호의 대역폭이 80Mhz 미만인 경우, 상기 간섭 기기를 무선랜 기기, 블루투스 기기 및 무선 전화기 중 어느 하나로 판단하는 간섭 기기 표시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단계는
    상기 간섭 신호의 대역폭이 20Mhz 이상인 경우, 상기 간섭 기기를 무선랜 기기로 판단하는 간섭 기기 표시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단계는
    상기 간섭 신호의 대역폭이 20Mhz 미만인 경우, 상기 간섭 신호의 중심 주파수의 변화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간섭 기기 표시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단계는
    상기 간섭 신호의 중심 주파수가 초당 1000회 이상 변화되는 경우, 상기 간섭 기기를 블루투스 기기로 판단하는 간섭 기기 표시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단계는
    상기 간섭 신호의 중심 주파수가 초당 1000회 미만 변화되는 경우, 상기 간섭 기기를 무선 전화기로 판단하는 간섭 기기 표시 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단계는
    상기 수신되는 신호의 주파수 대역이 5Ghz 대역인 경우, 간섭 신호의 대역폭이 20Mhz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간섭 기기 표시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단계는
    상기 간섭 신호의 대역폭이 20Mhz 이상인 경우, 상기 간섭 기기를 무선랜 기기로 판단하는 간섭 기기 표시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단계는
    상기 간섭 신호의 대역폭이 20Mhz 미만인 경우, 상기 간섭 신호의 중심 주파수의 변화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간섭 기기 표시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단계는
    상기 간섭 신호의 중심 주파수가 주기적으로 변화되는 경우, 상기 간섭 기기를 무선 전화기로 판단하는 간섭 기기 표시 방법.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계는
    WiHD, WHDi 및 WiFi 중 어느 하나의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신호를 수신하는 간섭 기기 표시 방법.
  22.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23.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송신 장치로 미디어 신호를 수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신 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RF 수신부;
    신호 수신 감도를 측정하는 수신감도측정부;
    상기 측정된 신호 수신 감도가 기준치 이하인 경우, 간섭 신호의 대역폭을 이용하여 간섭 기기의 종류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간섭 기기의 종류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수신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되는 신호의 주파수 대역, 상기 간섭 신호의 대역폭, 스펙트럼 마스크 및 중심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간섭 기기의 종류를 판단하는 수신 장치.
  25. 제23항 및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신 장치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90127176A 2009-12-18 2009-12-18 간섭 기기 표시 방법, 그를 이용한 수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0703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7176A KR20110070372A (ko) 2009-12-18 2009-12-18 간섭 기기 표시 방법, 그를 이용한 수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7176A KR20110070372A (ko) 2009-12-18 2009-12-18 간섭 기기 표시 방법, 그를 이용한 수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0372A true KR20110070372A (ko) 2011-06-24

Family

ID=44401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7176A KR20110070372A (ko) 2009-12-18 2009-12-18 간섭 기기 표시 방법, 그를 이용한 수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7037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1638B1 (ko) 신호 수신 방법, 그를 이용한 방송 수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CN105374192A (zh) 用于控制外部装置及其远程控制器的方法
KR20080106759A (ko) 영상신호처리장치, 디스플레이장치 및 영상신호처리방법
KR101730320B1 (ko) 미디어 신호 송수신 시스템 및 그 미디어 신호 송수신방법
KR20110016652A (ko) 무선 신호의 수신 감도 제어 방법, 그를 이용한 방송 송신 장치, 방송 수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US20120254924A1 (en) method circuit and system for detecting a connection request while maintaining a low power mode
US8861376B2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of determining broadcast reception state thereof
KR101729895B1 (ko) 외부 기기 제어 방법, 그를 이용한 원격 제어 장치 및 방송 송신 장치
KR20110023250A (ko) 수신 감도 제어 장치 및 그의 수신 감도 제어 방법
KR101636567B1 (ko) 원격 제어 신호의 처리 방법, 그를 이용한 방송 송신 장치, 방송 수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070372A (ko) 간섭 기기 표시 방법, 그를 이용한 수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024281A (ko) 신호 처리 방법, 그를 이용한 방송 송신 장치, 방송 수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1560004B1 (ko) 방송 송신 장치에 대한 정보 표시 방법, 그를 이용한 방송 수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069638A (ko) 신호 수신 방법 및 장치,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065220A (ko) 신호 송수신 방법, 그를 이용한 수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US20090172741A1 (en) Content reproduction control apparatus, content reproduction system and content reproduction control method
KR101636568B1 (ko) 방송 수신 방법 및 장치,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1565620B1 (ko) Osd 처리 방법, 그를 이용한 방송 송신 장치, 방송 수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1635217B1 (ko) 신호 수신 방법 및 장치,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032024A (ko) 원격 제어 신호의 처리 방법, 그를 이용한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1583386B1 (ko)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방법, 그를 이용한 송수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1099271B1 (ko) 신호 송수신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수신 장치
KR20110070373A (ko) 신호 송신 방법 및 장치
KR101597359B1 (ko) 외부 기기의 제어 방법, 그를 이용한 방송 수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JP5996252B2 (ja) 無線通信機器、および無線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