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0350A - 홍삼-갈대뿌리 추출성분에서 개발한 기억력 촉진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기능성 기억력 촉진식품의 조성물 - Google Patents

홍삼-갈대뿌리 추출성분에서 개발한 기억력 촉진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기능성 기억력 촉진식품의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0350A
KR20110020350A KR1020090077927A KR20090077927A KR20110020350A KR 20110020350 A KR20110020350 A KR 20110020350A KR 1020090077927 A KR1020090077927 A KR 1020090077927A KR 20090077927 A KR20090077927 A KR 20090077927A KR 20110020350 A KR20110020350 A KR 201100203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d ginseng
memory
weight
functional
ginse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7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진호
유원하
Original Assignee
최진호
유원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호, 유원하 filed Critical 최진호
Priority to KR1020090077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20350A/ko
Publication of KR20110020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035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4Ginse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홍삼(Panax ginseng C. A. Meyer : red ginseng)과 갈대뿌리(Phragmites communis : reed root)의 추출물에서 개발한 "기억력 촉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식품학적 조성물"에 관한 특허출원으로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강장ㆍ장수식품인 홍삼(紅蔘)을 추출하여 분리한 노화억제성분인 말톨(maltol)과 갈대뿌리(蘆根) 추출물에서 분리한 기억증진성분인 파라 쿠마르산(p-coumaric acid)의 혼합 조성물을 사용하여 기억력 증진효과를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홍삼의 노화억제성분인 maltol과 갈대뿌리의 기억증진성분인 p-coumaric acid의 혼합 조성물로서 홍삼(紅蔘)과 노근(蘆根)의 추출물을 사용하여 신경전달물질 아세틸콜린(acetylcholine : ACh)의 증가량을 분석하여 기억력 증진효과를 평가하고, 이들 신결전달물질의 파괴효소인 모노아민옥시다아제(monoamine oxidase B : MAO-B)의 활성억제효과를 평가하였다. 또한 이들 혼합 조성물의 기억력 증진효과의 메커니즘을 구명하기 위하여 ACh의 분해효소인 아세틸 콜린에스테라아제(acetyl cholinesterase : AChE) 및 ACh의 합성효소인 콜린 아세틸트란스퍼라아제(choline acetyltransferase : ChAT)의 활성을 평가하여 그 기전(mechanism)이 AChE activator라는 사실도 구명하였으므로 "홍삼(紅蔘)-노근(蘆根) 추출성분의 기억력 촉진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식품학적 조성물"에 관한 특허를 출원하고자 한다.
Maltol, p-Coumaric acid, Acetyl choline (ACh), Monoamine oxidase B (MAO-B), Choline acetyltransferase (ChAT), Acetyl cholinesterase (AChE)

Description

홍삼-갈대뿌리 추출성분에서 개발한 기억력 촉진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기능성 기억력 촉진식품의 조성물{A memory improving agent developed from components of red ginseng and reed root, a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food compositions enhanced functionality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지금까지는 갈대뿌리 추출물을 이용한 치매 치료제로서 "말톨릴 파라-쿠마레이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치매 치료용 조성물"(특허등록 제0378748호, 2003년 3월 21일)이란 치매 치료제 개발의 노하우를 활용하여 갈대뿌리 추출물의 주성분인 p-coumaric acid를 사용하여 본 기능성 기억력 촉진제품을 개발했기 때문에 별다른 기술적 어려움은 없었다.
따라서 홍삼(Panax ginseng C. A. Meyer : red ginseng)의 에탄올 추출물에서 노화 억제성분인 maltol과 갈대(Phragmites communis) 뿌리(蘆根) 추출물 중에서 기억력 촉진성분인 p-coumaric acid를 사용하여 신경전달물질 아세틸콜린(acetylcholine : ACh)의 함량을 분석하여 기억력 증진효과를 평가하고, 이들 신경전달물질의 파괴효소인 모노아민옥시다아제 B (monoamine oxidase B : MAO-B)의 활성 억제효과를 평가하였다. 또한 이들 혼합 조성물의 기억력 촉진효과의 메커니즘을 구명하기 위하 여 ACh의 분해효소인 아세틸 콜린에스테라아제(acetyl cholinesterase : AChE) 및 ACh의 합성효소인 콜린 아세틸트란스퍼라아제(choline acetyltransferase : ChAT)의 활성을 평가하여 그 기억력 촉진 기전(mechanism)이 AChE activator라는 사실도 구명했다.
옛날부터 갈대(Phragmites communis)의 뿌리(蘆根)는 민간약으로서 널리 사용되어 왔다.《명의별록(名醫別錄)》의 하품에 수재된 갈대(蘆)는 위(葦)라는 별명을 갖고 있다.《금궤요약방(金櫃要略方)》에는 위경탕(葦莖湯)이란 처방이 나오는데, 갈대의 뿌리(蘆根)와 갈대의 줄기(葦莖)는 약효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難波恒雄, 1980).
갈대뿌리(蘆根)는 폐(肺)를 맑게 하고 위(胃)를 도우는 천연약물로서《천금방(千金方)》등의 한방문헌에 기록되어 있고, 갈대의 줄기(葦莖)는 위열(胃熱), 소갈(消渴) 등의 약리효과가 있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그 밖에도 노근(蘆根)은 해열, 지갈(止渴), 이뇨약(利尿藥)으로서, 그리고 소변불편, 당뇨병의 소갈(消渴),구역(嘔逆), 변비, 식중독 등에 사용되어 왔으며, 위경(葦莖)은 소염(消炎), 배농(排膿), 이수(利水)의 약으로서 곽란, 구역, 폐위, 번열(煩熱) 등에 사용되고 있다.
지금까지 갈대뿌리 성분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 발명자 등은 이미 전보(최진호 등, 1993)에서 동물실험을 통해 한방문헌 및 구전되고 있는 약리작용과 이수치수(以水治水)의 원리에 따라 갈대뿌리 추출성분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최진호 등 : 한국노화학회지, 3(2), 109-115, 1993), SAMP8 뇌의 기억?학습개선효과에 미치는 갈대뿌리 추출물의 영향(AGE 제25차 학술대회 발표: pp. 49, Oct. 6-10, 1995, San Antonio; 제11차 SAM Model Symposium : pp. 109-110, Mar 14-15, 1995, 京都), SAMP8 뇌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갈대뿌리 추출물의 영향(최진호 등 : 한국노화학회지, 7(3), 17-22, 1997), SAMP8 뇌의 산소 라디칼 및 제거효소에 미치는 갈대뿌리 추출물의 영향(최진호 등 : 한국노화학회지, 7(3), 23-28), 1997), SAMP8 뇌의 신경전달물질에 미치는 갈대뿌리 추출물의 영향(최진호 등 : 한국노화학회지, 7(3), 29-36, 1997), 및 SAMP8 마우스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p-coumaric acid의 영향(최진호 등 : 한국노화학회지, 8(1), 99-104, 1997) 등을 평가하여 갈대뿌리의 기억력 증진효과를 평가한 바 있다.
또한 홍삼은 당뇨병, 동맥경화, 뇌졸중 등의 만성퇴행성 질환(成人病)을 비롯하여 정력증강, 피로회복, 기억증진, 정력강화, 여기에 장수효능까지 밝혀진 만병통치약으로 불려지고 있을 정도로 동양에서는 신비의 약초로서 불로초(不老草)란 별명을 갖고 있을 정도로 신비스런 약초다(최진호 저 인삼의 신비, 1984).
이상과 같은 실험결과에 기초해서 홍삼(紅蔘) 추출물 중에서 장수효능을 갖는 노화 억제성분으로 알려진 maltol과 갈대뿌리(蘆根)의 추출물 중에서 기억 증진효과가 뛰어난 p-coumaric acid를 사용하여 기억력 촉진 기능성 제품을 개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는 갈대뿌리 추출물을 이용한 치매 치료제로서 "말톨릴 파라-쿠마레이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치매 치료용 조성물"(특허등록 제0378748호, 2003년 3월 21일)이란 치매 치료제 개발의 노하우를 활용하여 갈대뿌리 추출물의 주성분인 p-coumaric acid를 사용하여 본 기능성 기억력 촉진제품을 개발했기 때문에 별다른 기술적 어려움은 없었다.
따라서 홍삼(Panax ginseng C. A. Meyer : red ginseng)의 에탄올 추출물에서 노화 억제성분인 maltol과 갈대(Phragmites communis) 뿌리(蘆根) 추출물 중에서 기억력 촉진성분인 p-coumaric acid를 사용하여 신경전달물질 아세틸콜린(acetylcholine : ACh)의 함량을 분석하여 기억력 증진효과를 평가하고, 이들 신경전달물질의 파괴효소인 모노아민옥시다아제 B (monoamine oxidase B : MAO-B)의 활성 억제효과를 평가하였다. 또한 이들 혼합 조성물의 기억력 촉진효과의 메커니즘을 구명하기 위하여 ACh의 분해효소인 아세틸 콜린에스테라아제(acetyl cholinesterase : AChE) 및 ACh의 합성효소인 콜린 아세틸트란스퍼라아제(choline acetyltransferase : ChAT)의 활성을 평가하여 그 기억력 촉진 기전(mechanism)이 AChE activator라는 사실도 구명했다.
[발명의 구성]
본 발명의 구성은 1) 갈대뿌리(蘆根 : Phragmites communis)의 에탄올 추출물에서 기억력 촉진성분인 p-coumaric acid를 단리하고, 2) 홍삼(Panax ginseng, C. A. Meyer : red ginseng)의 에탄올 추출물에서 노화 억제성분인 maltol을 단리하여, 3) 노근-홍삼의 비를 54.1 : 45.9로 조정하고 이 조성물을 사용하여 아세틸콜린(acetylcholine : ACh)의 함량을 분석하여 기억력 촉진효과를 평가하고, 모노아민계 신경전달물질의 파괴효소인 모노아민억시다아제(monoamine oxidase B : MAO-B)의 활성 억제효과를 평가하여 여러 가지 혼합비 중에서 노근-홍삼의 혼합비( 54.1 : 45.9)가 가장 기억력 촉진효과가 크다는 사실도 입증하였다.
1. 재료 및 실험방법
(1) 재료 및 시제품의 구성
본 발명의 재료는 노근(蘆根 : Phragmites communis)의 에탄올 추출물 중의 기억 촉진성분(A)으로서 p-coumaric acid와 홍삼(Panax ginseng C. A. Meyer: red ginseng)의 에탄올 추출물 중의 노화 억제성분(B)으로서 maltol의 혼합물을 54.1 : 45.9의 중량비로써 혼합 조성물을 조제하여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acetylcholine : ACh)의 함량을 분석하여 기억력 촉진효과를 평가하였고, 모노아민계 신경전달물질의 파괴효소인 모노아민억시다아제(monoamine oxidase B : MAO-B)의 활성 억제효과를 평가하였다. 또한 이 조성물의 기억력 촉진효과의 메커니즘을 구명하기 위하여 ACh의 분해효소인 아세틸 콜린에스테라아제(acetyl cholinesterase : AChE) 및 ACh의 합성효소인 콜린 아세틸트란스퍼라아제(choline acetyltransferase : ChAT)의 활성을 평가하여 그 기전(mechanism)을 구명하였다.
(2) 실험방법
신경전달물질 함량의 측정
신경전달물질로서 아세틸콜린(acetylcholine : ACh)의 함량은 Hestrin 등(J. Biol. Chem., 180, 249-154, 1949)의 방법에 의하여 alkaline hydroxylamine을 가진 Ο-acyl 유도물의 반응을 기초로 하여 측정하였다. 모든 hydroxamic acid는 산용액에서 ferric ion과 결합하여 붉은 자주색을 나타낸다. 시료를 50 ul를 분취하여 1% hydroxylamine 50 ul를 첨가-혼합하여 HCl로써 pH를 1.2로 조절하였다. 여기에 FeCl3용액(10% in 0.1N HCl) 500 ul를 첨가 ?혼합하여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파장 530 nm에서 ACh의 함량(ng/mg protein)을 측정하였다.
MAO -B효소의 활성 측정
카테콜아민계 신경전달물질의 파괴효소로 알려진 모노아민옥시다아제-B(MAO-B)의 활성은 Kalaria 등(Proc. Natl. Acad. Sci., 84, 3521-3525, 1987)의 방법에 따라 H2O2의 생성능을 기초로 측정하여 MAO-B 효소의 활성(nmol/mg protein/min)을 계산하였다.
◇ 아세틸콜린 관련효소의 측정
아세틸콜린(ACh)의 합성효소로서 콜린아세틸트란스퍼라아제(ChAT)의 활성은 Ellman (Arch. Biochem. Biophys., 82, 70-75, 1959)의 방법에 따라 DTB에 의한 기질로서 acetyl- CoA을 사용하여 반응시키고, 기질시약의 흡수가 감소하는 것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뇌획분중의 ChAT의 활성(unit/mg protein)을 측정하였다.
또한 아세틸콜린에스테라아제(AChE) 활성은 Galgani 등(Mar. Ecol, Prog, Ser., 19, 1-6, 1992)의 방법에 따라 microplate reader(ELISA reader)를 이용하여 405 nm에서 흡광도 변화를 5분동안 측정하여 AChE의 활성(unit/min/mg protein)을 정량하였다.
2. 실험결과의 평가
(1) 신경전달물질에 미치는 영향
예비실험을 통해 노근-홍삼의 유효성분인 p-coumaric acid와 maltol의 여러 가지 혼합 조성물이 체내에서 가장 중요한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ACh)의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평가하여 본 결과는 노근-홍삼의 유효성분인 p-coumaric acid와 maltol의 54.1 : 45.9(중량비)가 가장 효과적이었고, 이를 다시 첨가농도별(0.5, 1.0, 2.0, 3.0, 5.0)로 아세틸콜린(ACh)의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여 보면 표 1과 같다.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노근(蘆根) 성분은 매우 유의적으로 농도에 따라 기억력 증가효과가 현저히 증가하였고, 유의성은 2.0mg%이상의 농도에서 매우 현저한 기억력 증진효과가 인정되었지만(p<0.01∼p<0.001), 홍삼의 노화 억제성분인 maltol의 경우, 첨가농도에 거의 관계가 없이 ACh의 촉진효과를 인정할 수 없었다.
그렇지만, 노근-홍삼의 유효성분인 p-coumaric acid와 maltol의 혼합비(54.1 : 45.9, 중량비)의 경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확실한 상승효과(synergy effect)가 인정되었으며, 유의성은 1.0mg%이상의 농도에서 매우 현저한 기억력 촉진효과가 인정되었다.(p<0.05∼p<0.001). 이 정도면 수험생들의 기억력(記憶力) 증진에도 크게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노인의 치매 예방에도 상당한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표 1. In vitro실험에서 아세틸콜린a 함량에 미치는 갈대 및 홍삼성분의 영향
구 분 첨가된 함량(mg%)
0.5 1.0 2.0 3.0 5.0
노근(蘆根) 성분(A)
p-coumaric acid
0.89±0.01b
100.0%c
0.89±0.02
100.0%
1.04±0.02**
116.9%
1.09±0.04**
122.5%
1.20±0.06***
134.6%
홍삼(紅蔘) 성분(B)
maltol
1.01±0.02
100.0%
1.02±0.03
101.0%
1.02±0.04
101.0%
1.02±0.02
101.0%
1.02±0.05
101.0%
A+B 조성물d
(1:1/중량비)
1.10±0.02
100.0%
1.18±0.04*
115.7%
1.26±0.03**
123.5%
1.39±0.05***
136.3%
1.45±0.07***
142.2%
aAcetylcholine (ACh); bMean±SD in 3 times; cPercent of control(0.5mg%) value; d54.1 mg of A plus 45.9 mg of B; *p<0.05; **p<0.01; ***p<0.001 compared with control group.
(2) 신경전달물질 파괴효소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
모노아민옥시다아제(monoamine ocidase)는 도파민(DA), 노르에피네프린(NE), 에피네프린, 세로토닌(5-HT) 등의 모노아민계 신경전달물질을 파괴하는 효소로 알려져 있다. DA나 NE과 같은 카테콜아민계 신경전달물질의 파괴효소로 알려진 MAO-B효소의 활성에 미치는 노근(蘆根) 유효성분(A)과 홍삼(紅蔘)의 유효성분(B), 그리고 이들 조성물(A+B/54.1 : 45.9, 중량비)의 농도별 투여효과를 비교하여 보면 표 2와 같다.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노근 유효성분인 p-coumaric acid의 농도별 첨가에서 2.0mg%이상 첨가에 의한 MAO-B의 활성이 효과적으로 억제되었고(p<0.05∼p<0.01), 홍삼 유효성분인 maltol의 농도별 첨가에서 3.0mg%이상에서는 매우 효과적으로 억제되었지만, 노근-홍삼 혼합 조성물(A+B/54.1 : 45.9, 중량비)에서도 농도별 첨가에서 1.0mg%이상에서는 매우 효과적으로 MAO-B 활성을 억제하고 있었다(p<0.01∼p<0.001).
표 2. In vitro실험에서 모노아민옥시다아제a에 미치는 갈대 및 홍삼성분의 영향
구 분 첨가된 함량(mg%)
0.5 1.0 2.0 3.0 5.0
노근(蘆根) 성분(A)
p-coumaric acid
1.98±0.09b
100.0%c
1.78±0.08
89.9%
1.52±0.10**
76.8%
1.65±0.08*
83.3%
1.70±0.08*
85.9%
홍삼(紅蔘) 성분(B)
maltol
2.45±0.08
100.0%
2.30±0.07
93.9%
2.31±0.08
94.3%
1.80±0.09***
73.5%
1.55±0.05***
63.3%
A+B 조성물d
(1:1/중량비)
1.85±0.07
100.0%
1.53±0.09**
82.7%
1.48±0.08**
78.9%
1.30±0.09***
70.3%
1.34±0.05***
72.4%
aMonoamine oxidase (MAO-B); bMean±SD in 3 times; cPercent of control(0.5mg%) value; d54.1mg of A plus 45.9 mg of B; *p<0.05; **p<0.01; ***p<0.001 compared with control group.
(3) ACh 의 합성 및 분해효소의 활성 평가
신경전달에서 시냅스사이의 신경전달에 필수적인 아세틸콜린(ACh)의 분해에 관계하는 아세틸 콜린에스테라아제(AChE)의 활성 및 이 신경전달물질의 합성에 관계하는 콜린 아세틸트란스퍼라아제(ChAT)의 활성에 미치는 노근의 유효성분, 홍삼의 유효성분, 그리고 노근-홍삼의 유효성분의 혼합 조성물 첨가의 영향을 비교하여 보면 표 3과 같다.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우선 AChE의 활성을 비교하여 보면 노근의 유효성분은 첨가농도 1.0mg%이상에서 매우 효과적으로 AChE활성이 증가되었고, 홍삼의유효성분도 첨가농도 3.0mg%이상의 농도에서 매우 효과적으로 AChE활성이 증가되어 노근-홍삼 의 혼합 조성물의 기억력 촉진효과는 그 메커니즘이 AChE activator라고 판단된다.
그렇지만, 다시 ACh의 합성효소 ChAT의 활성을 비교하여 보면 노근의 유효성분은 첨가농도 1.0mg%이상에서 상당히 효과적으로 ChAT활성이 증가되었지만, 홍삼의 유효성분은 첨가농도가 증가할수록 노근의 유효성분과는 달리 ChAT의 활성이 첨가농도가 많아질수록 상대적으로 억제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비교, 평가하여 볼 때 노근-홍삼 유효성분의 기억력 증진효과의 메커니즘은 시냅스 사이에 AC가 전달된 다음, AChE효소에 의하여 매우 효과적으로 분해될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되기 때문에 기억력 촉진작용의 메커너즘은 AChE activator라고 판단된다. 따라서 노근-홍삼 유효성분의 혼합 조성물이 매우 효과적으로 기억력을 개선하고 증진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표 3. In vitro실험에서 아세틸콜린 에스테라아제(AChE) 및 콜린아세틸 트란스퍼라아제 (ChAT)a 활성에 미치는 갈대 및 홍삼성분의 영향
구 분 첨가된 함량(mg%)
0.5 1.0 2.0 3.0 5.0
AChE activity
노근(蘆根) 성분
p-coumaric acid

1.10±0.05b
100.0%c

1.24±0.07**
122.8%

1.28±0.07***
126.7%

1.33±0.06***
131.7%

1.43±0.08***
141.6%
홍삼(紅蔘) 성분
maltol
0.05±0.03
100.0%
0.57±0.04
103.6%
0.61±0.04
110.9%
0.67±0.03**
121.8%
0.74±0.05***
134.5%
ChAT activity
노근(蘆根) 성분
p-coumaric acid

1.64±0.04
100.0%

1.08±0.07
101.9%

1.21±0.08*
114.1%

1.20±0.07*
113.2%

1.35±0.10**
127.4%
홍삼(紅蔘) 성분
maltol
1.11±0.07
100.0%
0.91±0.04**
82.0%
0.86±0.04***
77.5%
0.66±0.02***
59.9%
0.59±0.04***
53.2%
aAcetylcholine esterase (AChE) and choline acetyltransferase (ChAT); bMean±SD in 3 times; cPercent fo control(0.5mg%) value; *p<0.05; **p<0.01; ***p<0.001 compared with control group.
실시예 1
본 발명의 재료는 노근(蘆根 : Phragmites communis)의 에탄올 추물물의 동결 건조품 0.6 중량부(54.1mg/p-coumaric acid)와 홍삼(紅蔘 : Panax ginseng C. A. Meyer, red ginseng)의 에탄올 추물물의 동결 건조품 0.6 중량부(45.9mg/maltol)를 주재로 하고, 기능 강화제로서 항산화제로 α-토코페롤(α-tocopherol) 0.05중량부(0.05mg), 피로회복제로 타린(taurine) 0.2중량부(0.2mg) 및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 0.05중량부(0.05mg)를 증류수에 첨가하여 전체 100ml이 되도록 조제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으로 이번 특허출원은 갈대뿌리(蘆根 : Phragmites communis)의 에탄올 추출물에서 기억력 개선성분인 p-coumaric acid를 분리하고, 홍삼(Panax ginseng, C. A. Meyer : red ginseng)의 에탄올 추출물에서 노화 억제성분인 maltol을 분리하여, 노근-홍삼의 비를 54.1 : 45.9로 혼합하고 이 조성물 1.2g(갈근 추출물 동결건 조분말 0.6g/p-coumaric acid 54,1mg + 홍삼 추출물 동결건조분말 0.6g/maltol 45.9mg)을 사용하여 항산화제(α-tocopherol), 피로회복제(taurine & ascorbic acid)를 첨가하여 100ml이 되도록 조제한 혼합 조성물로서 신경전달물질인 ACh의 함량 평가 및 신경전달물질 파괴효소인 MAO-B 효소의 활성 억제효과 등을 평가한 결과, 이 혼합 조성물이 기억력 촉진 및 개선에 상당히 효과적인 기능성 기억력 촉진제로서 충분한 가치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품의 작용기전을 분석, 평가하여본 결과, 아세틸 콜린에스테라아제(acetyl cholinesterase : AChE) activator의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3)

  1. 본 발명의 재료는 노근(蘆根 : Phragmites communis)의 에탄올 추물물의 동결 건조품 0.01∼20.0중량부(0.54.1∼1,082mg/p-coumaric acid)와 홍삼(紅蔘 : Panax ginseng C. A. Meyer, red ginseng)의 에탄올 추물물의 동결 건조품 0.01∼20중량부(0.459∼918mg/maltol)를 주재로 하고, 기능 강화제로서 항산화제로 α-토코페롤 0.05∼5.0중량부(0.005∼2.0mg), 피로회복제로 타린(taurine) 0.2중량부(0.002∼1.0mg) 및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 0.05∼5.0중량부(0.005∼2.0mg)를 증류수에 첨가하여 전체 100ml이 되도록 조제한 기능성 기억력 촉진제로서 수험생들이 기억력 촉진 및 피로회복을 주제로 하는 기능성 식품학적 조성물.
  2. 기능성 기억력 촉진제의 제조시 노근(蘆根 : Phragmites communis)의 에탄올 추물물의 동결 건조품과 홍삼(紅蔘 : Panax ginseng C. A. Meyer, red ginseng)의 에탄올 추물물의 동결 건조품을 주제로 개발한 기억력 촉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기능성 기억력 촉진식품의 추출 및 이용하는 제조공정.
  3. 제1항의 추출 및 제조공정을 포함하는 노근(蘆根) 및 홍삼(紅蔘) 추출물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력 촉진활성을 갖는 식품학적 기능성 조성물.
KR1020090077927A 2009-08-24 2009-08-24 홍삼-갈대뿌리 추출성분에서 개발한 기억력 촉진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기능성 기억력 촉진식품의 조성물 KR201100203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7927A KR20110020350A (ko) 2009-08-24 2009-08-24 홍삼-갈대뿌리 추출성분에서 개발한 기억력 촉진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기능성 기억력 촉진식품의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7927A KR20110020350A (ko) 2009-08-24 2009-08-24 홍삼-갈대뿌리 추출성분에서 개발한 기억력 촉진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기능성 기억력 촉진식품의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0350A true KR20110020350A (ko) 2011-03-03

Family

ID=43929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7927A KR20110020350A (ko) 2009-08-24 2009-08-24 홍삼-갈대뿌리 추출성분에서 개발한 기억력 촉진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기능성 기억력 촉진식품의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2035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48140A2 (ko) * 2011-09-27 2013-04-04 (주)솔빛피앤에프 노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신경세포 억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WO2020055171A1 (ko) * 2018-09-13 2020-03-19 ㈜한국생명과학연구소 갈대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주름 개선 및 탄력 증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93209B1 (ko) * 2019-12-27 2020-12-18 주식회사 한국생명과학연구소 갈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48140A2 (ko) * 2011-09-27 2013-04-04 (주)솔빛피앤에프 노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신경세포 억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WO2013048140A3 (ko) * 2011-09-27 2013-05-23 (주)솔빛피앤에프 노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신경세포 억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WO2020055171A1 (ko) * 2018-09-13 2020-03-19 ㈜한국생명과학연구소 갈대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주름 개선 및 탄력 증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93209B1 (ko) * 2019-12-27 2020-12-18 주식회사 한국생명과학연구소 갈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8357B1 (ko) 뼈 장애, 연골 장애, 또는 이 둘 다의 관리 또는 개선을 위한 조성물 및 방법
Pari et al. Efficacy of coumarin on hepatic key enzymes of glucose metabolism in chemical induced type 2 diabetic rats
Akanni et al. In vitro studies to assess the antioxidative, radical scavenging and arginase inhibitory potentials of extracts from Artocarpus altilis, Ficus exasperate and Kigelia africana
Syed et al. Evaluation of anti-hypertensive activity of Ulmus wallichiana extract and fraction in SHR, DOCA-salt-and L-NAME-induced hypertensive rats
Thalapaneni et al. Inhibition of carbohydrate digestive enzymes by Talinum portulacifolium (Forssk) leaf extract
Chakrabarti et al. Screening of nine herbal plants for in vitro a-amylase inhibition
Yang et al. Anti‐diabetic effect of standardized extract of Potentilla discolor Bunge and identification of its active components
Khan et al. Chamomile tea: herbal hypoglycemic alternative for conventional medicine.
KR20160050108A (ko) 천연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Yu et al. Anti-inflammatory and anti-nociceptive activities of Alpinia oxyphylla Miquel extracts in animal models
KR20110020350A (ko) 홍삼-갈대뿌리 추출성분에서 개발한 기억력 촉진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기능성 기억력 촉진식품의 조성물
Amat et al. Traditional Uighur Medicine Karapxa decoction, inhibits liver xanthine oxidase and reduces serum uric acid concentrations in hyperuricemic mice and scavenges free radicals in vitro
Ahmad et al. The role of pomelo peel extract for experimentally induced wound in diabetic rats
Satyanand et al. Effects of Garlic extract (Allium sativum) in combination with Amlodipine in mild to moderate essential hypertensive patients: An Open randomized parallel group study
KR100825432B1 (ko) 독활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및 알러지 질환의 예방 또는치료용 조성물
Andargie et al. Evaluation of In vivo antidiarrheal activity of hydro-methanolic extract of the root of Rumex nepalensis in Swiss Albino mice
WO2002011744A1 (fr) Capsule renfermant des antioxydants de type opc (oligomeres procyanidoliques ) a base d&#39;extrait de pepins de raisin et son procede de preparation
Badary et al. Study of the effect of Allium porrum on hypertension induced in rats
KR100526631B1 (ko) 모노아민산화효소 저해활성을 갖는 상심자 추출물을 함유한조성물
US20170296611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Extracts of Sarcopoterium Spinosum, Components Thereof, and Uses Thereof
Joo et al. Phytoglycoprotein (150 kDa) isolated from Solanum nigrum Linne has a preventive effect on dextran sodium sulfate‐induced colitis in A/J mouse
Ali et al. Biosynthesis of copper nanoparticles using Mucuna pruriens and its antioxidant and antidiabetic activity
Ayofe et al. Comparative studies on In-vitro radical scavenging potential of methanol extracts of Garcinia kola heck (Clusiaceae) seeds, Conyza sumatrensis retz (Asteraceae) and Mitracarpus scaber zucc (Rubiaceae) leaves
KR100818363B1 (ko) 독활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및 알러지 질환의 예방 또는개선용 건강보조식품
MUNIRA Antioxidant and antidiarrhoeal activities of methanolic extract of Artocarpus heterophyllus se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