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0259A - 다중 디지털 방송 채널들에서 다중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를 갱신하기 위한 채널 호핑 방식 - Google Patents

다중 디지털 방송 채널들에서 다중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를 갱신하기 위한 채널 호핑 방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0259A
KR20110020259A KR1020107028343A KR20107028343A KR20110020259A KR 20110020259 A KR20110020259 A KR 20110020259A KR 1020107028343 A KR1020107028343 A KR 1020107028343A KR 20107028343 A KR20107028343 A KR 20107028343A KR 20110020259 A KR20110020259 A KR 201100202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digital broadcast
receiver
digital
upd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8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0184B1 (ko
Inventor
게리 엠. 젤루스키
Original Assignee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아메리카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아메리카 엘엘씨 filed Critical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아메리카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10020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02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0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01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10Arrangements for replacing or switching information during the broadcast or the distribution
    • H04H20/106Receiver-side swit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37Control signals issued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or network components
    • H04N21/6377Control signals issued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or network components directed to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4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40/09Arrangements for receiving desired information automatically according to timetab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25Arrangements for updating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5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e.g. extracting service information from an MPEG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8Demultiplexing of additional data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09Monitoring of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bandwidth variations of a wireless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24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the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8Scheduling content for creating a personalised stream, e.g. by combining a locally stored advertisement with an incoming stream; Updating operations, e.g. for OS modules ; time-related management operations
    • H04N21/4586Content update operation triggered locally, e.g. by comparing the version of software modules in a DVB carousel to the version stored local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37Control signals issued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or network components
    • H04N21/6375Control signals issued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or network components for requesting retransmission, e.g. of data packets lost or corrupted during transmission from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8Transmission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 H04N7/17309Transmission or handling of upstream communications
    • H04N7/17318Direct or substantially direct transmission and handling of requ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6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in that the receiver comprises more than one tun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68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 H04H60/72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using electronic programme guides [EP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각각 다른 채널들에서의 데이터 방송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갱신될 수 있다. 이러한 장치는 수신부, 프로세서, 메모리, 메모리에 내장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명령어들은 각각 다른 채널들에서 데이터 방송을 갱신하는 방법을 구현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제 1 디지털 방송 신호는 제 1 채널에서 수신될 수 있다. 수신기는 제 2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미리 정해진 시간에 제 2 채널로 튜닝될 수 있다. 선택된 데이터는 제 2 디지털 방송 신호로부터 추출되고, 수신기에서 저장되거나 활용될 수 있다. 디지털 방송 신호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위한 갱신 스케줄이 생성될 수 있다. 스케줄 패킷은 방송 시간을 포함하고, 갱신 패킷 전에 방송되도록 생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다중 디지털 방송 채널들에서 다중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를 갱신하기 위한 채널 호핑 방식{Channel hopping scheme for update of data for multiple services across multiple digital broadcast channel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디지털 방송에 관한 발명이며, 특히 디지털 방송 신호와 함께 사용가능한 서비스들을 위한 데이터를 갱신하는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본 출원은 2008년 5월 16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12/122,622을 기초로 우선권 주장을 하는 출원이다. 이 우선권 주장 기초 출원의 기재 내용 전부는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기재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1990년 대 후반에 소개된 디지털 텔레비전(digital television; DTV) 기술은 텔레비전 방송 사업과 소비자 가전 산업에 종래의 아날로그 텔래비전으로는 비현실적이었던 신규 고객 서비스 및 사업 기회들을 제공하는 방법으로 어필(appeal)했다. 디지털 텔레비전은 아날로그 텔레비전 보다 훨씬 플렉서블(flexible)하고 더 효율적이다. 방송국에 의해 제대로 사용될 때, 디지털 텔레비전은 고화질 이미지 및 음향을 제공하고, 아날로그 보다 더 많은 프로그램의 선택 기회를 제공한다. DTV에 있어서, 아날로그 텔레비전전에 의해 사용된 아날로그 신호와는 반대로, 움직이는 이미지들과 음향이 이산(discrete)(디지털) 신호로 송수신된다. 디지털 텔레비전은,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위성 안테나(satellite dish)나 케이블 연결이 아닌, 공중 방송을 사용하여 종래의 안테나(또는 공중 안테나)로 더 많은 수의 채널들 및/또는 더 나은 질의 이미지와 음향을 제공하는 디지털 기술의 실행인, 디지털 지상파 텔레비전(Digital Terrestrial Television; DTTV 또는 DTT)을 포함한다.
디지털 텔레비전의 발전은 텔레비전 방송 및 그와 연관된 산업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다수의 국가들은 아날로그 텔레비전 신호 포맷에서 새로운 디지털 포맷으로의 변경을 요구하였다. 이러한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표준의 한 예는 첨단 텔레비전 시스템 위원회(the 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에 의해 수립되었다. 종래의 아날로그 텔레비전 방송으로는 비디오 신호가 송신 타워에 의해 방송된 반송파 신호(carrier wave signal)를 변조(modulates)한다. 텔레비전 세트는 방송 신호를 검출하는 수신기를 구비한다. 수신기는 그의 반송 주파수(carrier frequency)에 따라 특정 채널을 선택하는 튜너(tuner)와 변조된 반송파 신호로부터의 비디오 신호를 추출하는 복조기(demodulator)를 장착한다.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로 비디오 신호는 디지털 포맷으로 생성되거나,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는 디지털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디지털 포맷으로 변환된다. 반송파는 디지털 신호 포맷(예. 잔류 측파대 변조(vestigial sideband(VSB) modulation))에 따라 변조된다. 이러한 신규 포맷은 보통의 텔레비전 신호와 함께 추가적인 디지털 서비스들을 위한 데이터가 방송되도록 허용한다. 이러한 서비스들의 예는 실시간 주식 시세, 스포츠, 날씨 및 교통 업데이트 및 종래에 인터넷, 디지털 무선 서비스 또는 휴대폰 서비스와 같은 양방향의 미디어를 통한 전송(delivery)와 연관된 다른 서비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주로 일방적인 매체를 통한 디지털 방성에 의한 디지털 서비스의 전송은 특정 어려움과 문제점들을 제기한다. 종래에서는 방송, 디지털 등이 방송국에 의해 정해진 스케줄에 관한 정보를 송신한다. 이에 반해 양방향의 미디어에 의해 전송된 디지털 서비스들은 주로 수요에 따라 획득될 수 있다. 다중 방송 채널에서 디지털 방송에 의해 전송된 갱신 정보는 당 분야에서 지금까지 인식되지 않은 특정 문제점들을 제기한다.
이와 같은 배경으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안출되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 다른 채널들에서의 데이터 방송을 갱신하는 방법은 복수의 방송 채널들에서 프로그래밍 및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설정된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제 1 디지털 방송 신호는 제 1 디지털 방송 채널에서 수신될 수 있다. 수신기는 미리 정해진 시간에 제 2 디지털 방송 채널로 튜닝되고, 제 2 디지털 방송 신호는 제 2 디지털 방송 채널에서 수신될 수 있다. 제 2 디지털 방송 신호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들과 연관된 데이터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서비스들과 연관된, 선택된 데이터는 제 2 디지털 방송 신호로부터 추출될 수 있고, 데이터는 수신기에서 저장되거나 활용될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 1 디지털 방송 신호는 오버레이 된 데이터(overlaid data)와 믹스된(mixed) 텔레비전전 프로그래밍을 포함할 수 있다. 오버레이 된 데이터는 제 1 디지털 방송 채널이나 다른 디지털 방송 채널과 연관된 데이터가 될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 1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은 제 1 디지털 방송 신호로부터 얻은 정보를 버퍼에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버퍼에 저장된 정보로부터 얻은 이미지들은 제 2 디지털 방송 신호가 수신되는 동안에 표시될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수신기는 튜너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디지털 방송 신호는 튜너를 제 1 방송 채널로 튜닝함으로써, 수신될 수 있다. 또한 튜너는 미리 정해진 시간에 제 2 디지털 방송 챈널로 튜닝될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갱신 정보의 일부로 수신되지 않았던, 상실된 데이터는 식별되고, 리트리브(retrieved)될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수신기의 지리적 위치가 판단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는 수신기를 미리 정해진 시간에 제 2 디지털 방송 채널로 튜닝하는 과정과, 제 2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이 수신기의 지리적 위치에 기초하여 제 2 디지털 방송 채널을 선택하는 고정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된 데이터는 지리적 위치에 기초하여 제 2 디지털 방송 신호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2 디지털 방송 채널은 수신기에 상주하는(resident on) 하나 이상의 서비스들의 갱신 우선순위 스케줄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시간은 제 1 디지털 방송 신호에 임베드 된 데이터(embedded data)로부터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디지털 방송 신호에 임베드된 데이터는 제 1 디지털 방송 신호에 있는 관련 데이터 갭(relevant data gap)의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수신기는 제 1 튜너 및 제 2 튜너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1 튜너는 제 1 디지털 방송 채널에 튜닝되고, 제 2 튜너는 미리 정해진 시간에 제 2 디지털 방송 채널로 선택적으로 튜닝될 수 있다. 제 2 디지털 방송 신호는 제 2 튜너로 수신되고, 제 1 디지털 방송 신호는 제 1 튜너로 수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복수의 방송 채널들에서 프로그래밍 및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설정된 수신부, 수신부에 연결된 프로세서, 프로세서에 연결된 메모리, 메모리에 내장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기 위한 프로세서 판독가능한 명령어들의 일군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명령어들은 각각 다른 채널들에서 데이터 방송을 갱싱하는 방법을 구현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a) 제 1 디지털 방송 채널에서 제 1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b) 수신기에 상주하는(resident on) 하나 이상의 서비스들과 연관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 2 방송 신호를 미리 정해진 시간에 제 2 디지털 방송 채널에서 수신기로 수신하는 과정과, c) 하나 이상의 서비스들과 연관된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과, 및 d) 메모리에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에서 데이터를 활용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어떠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수신기는 단일의 튜너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 있어서, 수신기는 제 1 및 제 2 튜너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장치는 프로세서에 연결된 지리적 위치 검출 시스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갱신 스케줄은 디지털 방송 신호로 전송된 데이터를 위해 생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입력 데이터 스트림들이 수신될 수 있다. 입력 데이터 스트림들은 하나 이상의 디지털 방송 데이터 서비스들을 위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데이터는 복수의 패킷들의 형태일 수 있다. 각각의 패킷은 헤더와 페이로드(payload)를 가질 수 있다. 디지털 방송 데이터 서비스들 중 어느 하나를 위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갱신 패킷이 디지털 방송신호의 일부로 방송될 시간은 헤더들로부터 판단될 수 있다. 스케줄 패킷은 갱신 패킷이 디지털 방송 신호의 일부로 방송될 시간을 포함하도록 생성될 수 있다. 스케줄 패킷은 갱신 패킷이 방송되기 전에 방송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어떠한 경우에 있어서, 헤더는 헤더와 연관된 패킷이 전송될 채널을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어떠한 경우에 있어서, 헤더는 페이로드에 있는 데이터 종류를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어떠한 경우에 있어서, 헤더는 패킷의 용량을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어떠한 경우에 있어서, 헤더는 디지털 방송 신호에 있는 다른 패킷들과 연관된 특정 패킷을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어떠한 경우에 있어서, 헤더는 연관된 다운스트림(downstream) 패킷들 개수를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어떠한 경우에 있어서, 스케줄 패킷은 각각 다른 디지털 방송 채널들에서 전송될 갱신 패킷들의 경신 시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어떠한 경우에 있어서, 스케줄 패킷은 하나 이상의 다른 스케줄 패킷들의 방송 시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어떠한 경우에 있어서, 스케줄 패킷은 스케줄 패킷들이 방송되는 듀티 사이클(duty cycle)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은 하기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들을 함께 고려할 때 빠르게 이해될 것이다. 첨부된 도면들 중: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될 수 있는 방송 환경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방송 데이터의 스케줄된 갱신 과정을 구현하는 장치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방송 데이터의 스케줄된 갱신 과정의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일의 튜너로 디지털 방송 데이터의 스케줄된 갱신 과정의 예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튜너로 디지털 방송 데이터의 스케줄된 갱신 과정의 예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데이터의 스케줄된 갱신 과정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입력 데이터 스트림의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입력 데이터 스트림들로부터 갱신 스케줄을 생성하는 과정의 예를 도시하는 흐름도;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화하는 듀티 사이클에서 스케줄 패킷들을 전송하는 과정의 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하기 상세한 설명이 도시적 목적으로 다수의 특정 예들을 포함하고 있지만, 당업자는 하기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많은 변형예들과 변경예들을 인지할 것이다. 이에 따라 하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일반성을 잃지 않고, 청구된 발명을 한정시키지 않으며 개시된다.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은 종래 텔레비전 방송과 같은 주파수나 채널에서의 데이터 방송을 활용하는 다중 서비스와 함께 구현될 수 있다. 텔레비전 방송국이나 텔레비전 네트워크와 같은 방송국(broadcaster)은 이러한 서비스들을 일반 방송 서비스들과 함께 묶을 수 있다. 그러나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장치들의 사용자들은 다른 방송국들에 의해 제공되는 디지털 서비스들을 수신하기 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스포츠 및 날씨 업데이트들을 하나의 방송국에서 수신하고, 주식 업데이트들을 다른 방송국에서 수신할 수 있다. 만약 각각의 방송국이 다른 채널에서 발송하면, 사용자는 세 개의 서비스들 모두의 업데이트들을 수신하기 위해 채널들을 전환해야만 한다. 따라서 디지털 방송 환경에서는 사용자의 장치에서 서비스들과 연관된 정보를 위한 업데이트들을 수신하도록 사용자의 장치를 다른 채널들로 자동 튜닝하는 방법에 대한, 이전에는 인식되지 않았던 필요가 있다. 이러한 필요를 채우는 방법은 단일의 장치가 다른 채널들에서 방송되는 자산(assets) 및 대상물(objects)을 갱신하도록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될 수 있는 방송 환경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이러한 환경에서 방송국들(102)은 입력 데이터 스트림들(101)을 수신하거나 생성한다. 입력 데이터 스트림들(101)은 디지털 방송 데이터 스트림들(103)로 변환된다. 그리고 디지털 방송 데이터 스트림들(103)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들(110)에 의한 수신을 위해 디지털 방송 신호(105)로 변환된다. 예를 들면, 디지털 방송 신호(105)는 방송 타워(broadcast tower)(104)에서 전송된, 변조된 방사선 신호(modulated radiation signal)(예. 공중 방송 형태의 예를 들어 무선주파수(radiofrequency) 전자파 신호)가 될 수 있다. 참고로 주어진 방송 타워(104)에 의해 전송되는 디지털 방송 신호(105)는 다른 반송 신호 주파수들에서 변조되는 다중 디지털 방송 채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방송부들(102)과 연관된 방송 타워들(104)은 다른 주파수 세트들에서 방송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방송국은 제 1 반송 주파수들(f1 내지 fm) 세트에서 방송할 수 있고 제 N 방송국은 다른 반송 주파수들 세트(f'1 내지 f'j)에서 방송할 수 있다. 두 개의 반송 주파수들 세트들이 일부 겹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105)는 공중 방송과는 다른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케이블(예. 동축 케이블(coaxial cable)), 광섬유 또는 위성 전송부와 같은 미디어를 통해 전송된 디지털 방송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지털 방송 신호(105)는 디지털 방송 표준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디지털 방송 표준들의 예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유럽 및 호주에서 유지되는 디지털 비디오 방송(Digital Video Broadcasting; DVB) 그룹의 표준들, 미국 및 캐나다에서 사용되기 위해 개발된 ATSC(Advanced Television Standards Committee) 그룹의 표준들, 일본에서 사용되기 위해 개발된 통합 디지털 방송(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ing; ISBD) 그룹의 표준들, 대한민국에서 사용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DMB) 표준들이 있다.
DVB 그룹의 표준은 위성 텔레비전을 위한 DVB-S 및 DVB-S2 표준, 지상파 텔레비전을 위한 DVB-T 및 DVB-T2 표준, 케이블 텔레비전을 위한 DVC-C 및 휴대용 텔레비전을 위한 DVB-H 그리고 개발 중이거나 개발된 다른 DVB 표준을 포함한다. ATSC 그룹의 표준은 지상파 텔레비전 방송을 위한 ATSC 표준과 휴대용 및 핸드헬드(handheld) 장치를 위한 ATSC M/H 표준을 포함한다. ISDB 그룹의 표준은 위성, 지상파 및 케이블 텔레비전 각각을 위한 ISDB-S, ISDB-T 및 ISDB-C 표준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이로 한정되지 않지만, 디지털 방송 신호(105)는 ATSC나 ATSC-M/H 표준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ATSC 표준은 'ATSC 디지털 텔레비전 표준 제 1부 - 디지털 텔레비전 시스템(ATSC Digital Television Standard Part 1 - Digital Television System)'(A/53, 제 1부: 2007)과, 'ATSC 디지털 텔레비전 표준 제 2부 - 무선주파수 전송 시스템 특성들(ATSC Digital Television Standard Part 2 - RF/Transmission System Characteristics)'(A/53, 제 2부: 2007)과, 'ATSC 디지털 텔레비전 표준 제 1부 - 서비스 멀티플렉스 및 전송 서브시스템의 특성들(ATSC Digital Television Standard Part 3 - Service Multiplex and Transport Subsystem Characteristics)'(A/53, 제 3부: 2007)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이러한 세 문헌들은 참조로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다. ATSC 데이터 방송 표준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기재된 일례로, 'ATSC 권장 지침: ATSC 데이터 방송 표준 구현 지침서(문헌 A/90)(ATSC Recommended Practice: Implementation Guidelines for the ATSC Data Broadcast Standard(Doc. A/90))'에 설명되어 있다.
입력 데이터 스트림(101)은 다중 소스들(sources)로부터의 데이터 스트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국(102) 내 다른 텔레비전 프로그램(107)을 위한 데이터 스트림들은 오디오, 비디오 및 보조 데이터(ancillary data) 스트림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스트림들은 다중화(multiplex)되어, 주어진 프로그램(107)과 연관된 프로그램 데이터 스트림을 형성할 수 있다. 다중 프로그램 데이터 스트림들은 방송 데이터 스트림(103)으로 서로 다중화(multiplex)될 수 있다. 나아가 주어진 프로그램(107)과 특별히 연관되지 않은 방송 데이터 서비스들(s1 내지 sk)을 위한 데이터 서비스 데이터 스트림들(108)은 프로그램 데이터 스트림들(P1 내지 PN)과 함께 방송 데이터 스트림(103)으로 오버레이(overlaid)(예. 다중화(multiplexed))될 수 있다.
디지털 방송 데이터 스트림(103)을 구성하는 데이터 스트림들(101)은 소스코딩(source coding) 및 압축과 같은 데이터 변환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의 '소스코딩(source coding) 및 압축'의 용어는 데이터 압축으로 알려진 비디오, 오디오 및 보조(ancillary)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응용을 위해 적합한 비트 전송률 감속(bit rate reduction) 방법들을 지칭한다. '보조 데이터(ancillary data)'라는 용어는 제어 데이터, 조건부 접속(conditional access) 제어 데이터 및 크로즈드 캡셔닝(closed captioning)과 같은 프로그램 오디오 및 비디오 서비스들과 연관된 데이터를 포함한다. 또한 '보조 데이터(ancillary data)'라는 용어는 독립적인 프로그램 서비스들을 지칭할 수 있다. 방송부(102)는 오디오 및 비디오 정보를 나타내는데 필요한 비트 수를 최소화 하도록 설정된 부호기(coder)를 포함한다. ATSC 표준에 따라 설정된 경우, 방송부(102)는 비디오를 부호화하는 MPEG-2 비디오 스트림 구문(syntax)과 오디오를 부호화하는 디지털 오디오 압축 표준(Digital Audio Compression(AC-3) Standard)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방송부(102)는 디지털 방송 데이터 스트림(103)이 서비스 및 멀티플렉스 전송 과정(service and multiplex transport operation)의 대상이 되게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서비스 멀티플렉스 및 전송(service multiplex and transport)'이라는 용어는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을 정보 '패킷들(packets)'로 분할하는 수단, 각각의 패킷이나 패킷 종류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수단, 및 비디오 데이터 스트림 패킷들, 오디오 데이터 스트림 패킷들 및 보조 데이터 스트림 패킷들을 단일의 데이터 스트림으로 다중화(multiplex)하는 적합한 방법들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이로 한정되지 않지만, 디지털 방송부(102)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들을 위한 미디오, 오디오 및 데이터 신호들을 패킷으로 만들고, 다중화(multiplex)하는 MPEG-2 전송 스트림 구문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패킷화(packetization) 및 다중화(multiplexing) 과정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 'ISO/IEC 13818-1:2000(E), 국제 표준, 정보 통신 기술 - 영화 및 연관된 오디오 정보 시스템의 범용 부호화(International Standard, Information technology - Generic coding of moving pictures and associated audio information systems)' 등에 설명된다.
디지털 방송 데이터 스트림(103)은 채널 부호화 및 변조로 일컫는 공정들을 통해 디지털 방송 신호(105)로 변환될 수 있다. 채널 부호기(channel coder)는 디지털 방송 데이터 스트림(103)에서 부호화된(encoded) 데이터 비트 스트림을 취하고 수신된 신호로부터 데이터를 재구성(reconstruct)하는 수신기(110)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부가적 정보를 추가한다. 이러한 수신된 신호는 전송 장애(transmission impairments)로 인하여, 전송된 신호를 정확하게 대표하지 않을 수 있다. 변조 서브시스템(또는 물리층(physical layer)은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 정보를 사용하여 전송된 신호를 변조한다. 예를 들면 이로 한정되지 않지만, ATSC 표준에서의 변조 서브시스템은 두 개의 모드들을 제공한다. 두 모드들 모두 잔류 측파대 변조(vestigial sideband modulation)에 기초한다. 하나의 모드는 8-VSB로 공지된 지상파 방송 모드이다. 다른 모드는 16-VSB로 알려진 고속(high data rate) 모드이다.
디지털 방송 수신기(110)는 디지털 방송 신호(105)를 수신하고 디지털 방송 신호(105) 내 부호화된 디지털 방송 데이터 스트림(103)을 추출한다. 일례로 이로 제한되지 않지만, 디지털 방송 수신기(110)는 디지털 수신기(111), 프로세서(114), 메모리(115), 표시부(117) 및 데이터 저장부(118)를 구비할 수 있다. 디지털 방송 수신기(110)는 디지털 방송 신호(105)를 수신하고 활용할 수 있는 어떠한 종류의 장치라도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로 한정되지 않지만, 디지털 방송 수신기(110)는 디지털 텔레비전 세트, 디지털 라디오 수신기, 개인 컴퓨터, 랩탑(laptop) 컴퓨터, 핸드폰과 같은 휴대용 또는 핸드헬드 장치, 휴대 인터넷 장치 또는 휴대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가 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디지털 방송 수신기라는 용어는 '디지털 미디어 수신기들', GPS 장치들, 게임 콘솔들(game consoles), 휴대용 게임 장치들, 가정용이나 휴대용이나 장치 보안 시스템 및 이러한 장치들의 조합이 될 수 있고, 또한 본 발명이 명령 및 제어를 제공하도록 연결될 수 있는 다른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수신기(111)는 하나 이상의 튜너들(112)과 복호기(decoder)(113)를 장착할 수 있다. 튜너(들)(112)는 디지털 방송 신호(105)를 수신하는 안테나(119)에 연결될 수 있다. 튜너(112)는 안테나(119)에 의해 픽업된 다양한 신호들 중에서 하나 이상의 특정 주파수들을 선택한다. 튜너(112) 및 복호기(113)는 데이터를 추출하고 디지털 방송 신호(105)에서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들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튜너(112) 및 복호기(113)는 하기의 기능들을 제공한다: 복조, 전송 스트림 디다중화(multiplex), 복원화(decompression), 에러 보정, 아날로그디지털변환(analog-to-digital conversion), AV 동기화(synchronization) 및 특정 종류의 표시부(117)에 최적으로 맞추기 위한 미디어 리포맷(reformatting) 과정.
본 명세서에서의 복호화는 수신된 디지털 방송 신호(105)를 데이터가 추출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고화질 이미지 및 고음질의 사운드가 연출될 수 있는, 사용가능한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을 일컫는다.
전송 스트림 역다중화(demultiplex) 과정은 일례로 공중 방송에서 생성하기 위해 다중 디지털 신호들이 조합되고 하나의 안테나 소스에서부터 전송되는 곳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복호기(113)는 디지털 방송 데이터 스트림(103)을 복호하고,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로 구성된 특정 프로그램을 표시부(117)에 표시하기 위해서나 디지털 방송 데이터 스트림(103)에서 방송 서비스 데이터 스트림(108)을 추출하기 위한 적당한 형태로 전환할 수 있다. 복호기(113)는 디지털 방송 데이터 스트림(103)이 압축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하면, 복원 과정을 구현할 수 있다. 튜너(112)는 예를 들어 압축된 디지털 데이터 패킷들을 그들의 원래 크기로 압축을 풀어서(unpacking) 이러한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또한 복호기(113)는 에러 보정 과정을 구현해서 수신된 디지털 방송 신호(105)에서 빠진 어떠한 데이터도 보정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때때로 전파 방해(interference) 또는 저질(poor-quality)의 신호가 튜너(112)가 수신하는 데이터 정보를 상실하게 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복호기(113)는 여러 번 체크하고 데이터를 보수하여, 신호가 TV 세트에서 시청가능하게 하거나 데이터가 프로세서(114)에 의해 활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복호기(113)는 AV 동기화를 구현하여 적당한 시간에 표시부(117)에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들이 표시되는 것을 조정할 수 있다. AV 동기화는 오디오가 표시부(117)에 표시되고 있는 비디오에 뒤쳐지지 않도록 하거나 이와 반대의 경우도 가능케 하여서 오디오 및 비디오 모두 인 싱크(in sync)되게 한다. 미디어 리포맷 과정은 표시부(117)가 디지털 방송 신호에서 추출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제대로 비디오 이미지들을 표시하도록 한다. 미디어 리포맷 과정은 TV 세트들 상의 이미지들을 포맷은 사용되는 기술에 따라 많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한 과정이다. 예를 들면 소정의 텔레비전들은 비월 주사 방식의 영상(interlaced picture)을 사용하는 반면, 다른 텔레비전들은 순차 주사 방식의 영상(progressive scan picture)을 사용한다.
표시부(117)는 디지털 방송 신호(105)와 함께 사용 가능한, 소정의 적합한 비디오 및/또는 오디오 표시부가 될 수 있다. 일례로 이로 한정되지 않지만, 표시부(117)는 브라운관(cathode ray tube; CRT), 플레즈마 표시부(plasma display), 액정 표시부(liquid crystal display; LCD) 또는 유기 발광 표시부(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와 같은 비디오 모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표시부(117)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스피커들과 같이 오디오를 출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신기(110)는 수신기에서 방송부(102)로나 방송부와 제휴하는 데이터 센터로 정보가 전송되도록 하는 백채널(back channel)(120)을 구현할 수 있다. 백채널(120)은 수신기(110)에서 일례로, 안테나(119)를 통해 송출된 디지털 방송 신호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백채널(120)은 무선 전화(셀 방식의),무선 인터넷, 케이블, 광섬유 등과 같은 통신의 소정의 다른 모드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수신기(110)는 데이터의 비휘발성 저장을 위한 데이터 저장부(118)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부의 예로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플래시 메모리, 콤펙트 디스크(CD) 드라이브,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VD) 드라이브, 테이프 드라이브 등이 있다.
프로세서(114)는 상술된 기능들을 용이하게 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4)는 다양한 디지털 방송 데이터 서비스들을 위한 프로그램 명령어들(SW1 내지 SWP)을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서비스들을 위한 데이터는 디지털 방송 신호(105)에 의해 운반되는 디지털 방송 데이터 스트림(103)의 일부로 갱신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어들(SW1 내지 SWP)은 대응하는 일례로, 메모리(115)에 저장된 이러한 방송 데이터 서비스들 위한 데이터들(D1 내지 DP)을 상대로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방송 수신기(110)는 디지털 방송 데이터 서비스들을 위한, 스케줄에 따라 다른 채널들에서 방송되는 데이터들(D1 내지 DP)을 갱신할 수 있다. 구독들 또는 서비스들의 소정의 조합은 스케줄에 따라 갱신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14)는 스케줄러(SCH)를 구현하는 명령어들을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스케줄러는 다양한 채널들에서 데이터 방송을 갱신하기 위한 방법을 구현한다. 제 1 디지털 방송 신호(105)는 제 1 디지털 방송 채널에서 수신될 수 있다. 수신기(110)는 미리 정해진 시간에 제 2 방송 채널로 튜닝되고 제 2 디지털 방송 신호(106)는 제 2 디지털 방송 채널에서 수신될 수 있다. 제 2 방송 신호(106)는 수신기(110)에서 상주(resident on)하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들과 연관된 데이터(108)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이러한 데이터 서비스들과 연관된, 선택된 데이터는 제 2 디지털 방송 신호(106)와 수신기(110)에 저장되거나 사용될 수 있는 데이터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일례로, 추출된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SW1 내지 SWP)에 의해 추후 사용되기 위해 메모리(115)나 저장부(118)에 저장될 수 있다. 추출된 데이터는 방송 데이터 서비스들을 위한 데이터들(D1 내지 DP)을 일부 대체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추출된 데이터는 저장되지 않고 수신기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추출된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서비스 프로그램들(SW1 내지 SWP)에 의해 사용되고 나서, 폐기될 수 있다.
참고로, 예시적 목적으로 두 개의 디지털 방송 신호들(105, 106)이 다른 타워들(104)에서부터 송출되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이는 본 발명의 어떠한 실시예를 제한하는 것으로 사료되어서는 안 된다. 선택적으로, 두 개의 디지털 방송 신호들은 동일한 방송 타워(104)에서부터 송출될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는 스케줄러(SCH)가 수신기(110)의 전원을 절약하기 위해 턴 오프 될 수 있다. 만약 휴대용 장치에서처럼 수신기(110)가 배터리 전력에 의존한다면 이러한 실시예는 유용하다. 다른 실시예들에 있어서, 디지털 방송 신호(105)에서 추출된 데이터는 버퍼의 소정량이 비어질 때 까지 데이터 갱신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디지털 수신기(111)가 튜너들(112) 중 어느 하나를 다른 채널로 튜닝하는 동안, 메모리(115)에 있는 버퍼에 저장될 수 있다. 이 때 수신기(11)는 새로운 스트림을 수신하기 위해 제 1 채널로 다시 튜닝할 수 있다.
장치 위치 정보에 기초한 지리적 전망(perspective)으로부터 정보가 필터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수신기(110)는 선택적으로 GPS 수신기와 같은 위치 검출 시스템(116)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또는 핸드헬드 장치의 경우, 장치의 현재 위치와 상관있는 날씨 또는 교통 갱신 정보들을 필터링 하고 그러한 갠신 정보들만 다운로드하는데 GPS 데이터가 사용될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위치 검출 시스템(116)의 기능은 튜너들(112) 중 어느 하나와 프로세서(114)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와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위치 검출 신호는 하나 이상의 타워들(104)에서 비롯된다.
일례로, 도 2에 도시된 디지털 방송 수신기(200)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스케줄된 갱신 과정을 구현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반성을 잃지 않고 예를 들면, 수신기(200)는 디지털 텔레비전 세트, 개인 컴퓨터, 비디오 게임 콘솔,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용 이메일 장치 등이나, 다른 디지털 장치와 같은 장치의 일부로 구현될 수 있다. 장치(200)는 중앙 처리부(central processing unit; CPU) 및 CPU(205)에 연결된 메모리(206)를 구비할 수 있다. CPU(205)는 소프트웨어 응용프로그램들이나 선택적으로 운용 시스템을 실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어떠한 실시예들은 메인 프로세서(205A) 및 하나 이상의 보조 프로세서들(205B)를 장착한 CPU(205)를 가진 특정 종류의 프로세서 아키텍처(architecture)를 이용할 수 있다. 각각의 보조 프로세서는 자체적으로 연관된 로컬 데이터 저장부를 구비할 수 있다. 한 예로, 다른 것들 중 셀 프로세서가 이러한 프로세서 아키텍처를 가진다. 셀 프로세서 아키텍처의 예는 인터네셔널 비즈니스 머신즈 코포레이션(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인코포레이티드(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orporated), 및 도시바 코포레이션(Toshiba Corporation)이 저작권을 소지한 2005년 8월 8일에 출판된 셀 광대역 엔진 구조(Cell Broadband Engine Architecture)에 상세하게 설명된다. 상기 문서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 참조로 인용되었으며, http://cell.scei.co.jp/ 웹 사이트에서 다운로드될 수 있다.
메모리(206)는 응용프로그램들과 CPU(205)에 의해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06)는 RAM, DRAM, ROM, 등과 같은 집적 회로의 형태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201)은 프로세서(205)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형태로 메모리(206)에 저장될 수 있다. 프로그램(201)의 명령어들은 특히 하기에 설명되는 특정 기능들을 갖춘 갱신 스케줄러를 구현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갱신 스케줄러 프로그램(201)은 장치(200)에 상주하는(resident on) 디지털 방송 데이터 서비스들을 위한 데이터를 갱신하는 과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로 한정되지 않지만, 메모리(206)는 서비스 데이터(203) 및/또는 이러한 서비스들과 함께 사용가능한 프로그램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들의 예로는 이로 제한되지 않지만, 주식 시세들(204), 날씨 정보(207), 교통 정보(208) 및 스포츠 정보(209)가 될 수 있다. 주식 시세 서비스 데이터(204)의 예로는 이로 한정되지 않지만, 주식 가격들이 될 수 있다. 날씨 서비스 데이터(207)의 예는 일례로 기상예보 문자가 될 수 있다. 교통 정보 서비스 데이터(208)의 예로는 지역 교통 상황, 도로 폐쇄 통지나 위험요소(hazards) 등과 같은 데이터를 포함한다. 스포츠 정보 데이터(209)는 이로 제한되지는 않지만, 특점, 통계 및 순위 정보가 될 수 있다.
일례로, 갱신 스케줄러 프로그램(201)은 다른 채널들에서의 데이터 방송으로 메모리(206)에 있는 서비스 데이터(203)를 갱신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방송 스트림은 제 1 디지털 방송 채널에서 수신될 수 있다. 수신기(200)는 미리 정해진 시간에 제 2 방송 채널로 튜닝되고 제 2 방송 스트림은 제 2 디지털 방송 채널에서 수신될 수 있다.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서비스들과 연관된 데이터는 제 2 디지털 방송 신호에서 추출되고, 이러한 데이터는 수신기에 저장되거나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수신기(200) 입출력 구성요소(211), 전원 공급부(power supplies; P/S)(212), 클럭(clock; CLK)(213) 및 캐시(cache)(214)와 같은 공지된 지원 기능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장치(200)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어플리케이션들 및 데이터의 비휘발성 저장소를 제공하는 급속 기억 장치(fast storage device)(2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급속 기억 장치(215)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저속 기억 장치(slower data storage device)(220)에서 추출된 파일들(216)의 임시 또는 장기 저장소로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 기억 장치(215)는 고정형(fixed) 디스크 드라이브, 탈착형(removable) 디스크 드라이브, 플래쉬 메모리 장치 또는 테이프 드라이브가 될 수 있다. 저속 기억 장치(220)는 CD-ROM 드라이브, DVD-ROM 드라이브, HD-DVD 드라이브, 블루 레이(Blu-Ray) 디스크 드라이브, UMD 드라이브, 또는 다른 광 저장 장치들이 될 수 있다. 저속 기억 장치(220)의 파일들(216)은 메모리(206)로 신속히 로딩되기 위해 기억 장치(215)의 하드웨어 캐시에 임시로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장치(200)는 안테나(241)에 연결될 수 있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24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디지털 방송 튜너들(242)은 안테나(241)에 의해 픽업되는 디지털 방송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수신기(240)는 상술된 기능들을 구현하는 복호기(2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입력 장치들(222)은 하나 이상의 사용자들로부터의 사용자 입력들을 시스템(200)으로 통신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입력 장치들(222)은 입출력 구성요소들(211)을 통해 클라이언트 장치(200)에 연결될 수 있다. 적합한 입력 장치(222)의 예로는 키보드, 마우스, 조이스틱, 터치패드, 터치스크린, 광펜(light pen), 스틸(still) 또는 비디오 카메라 및/또는 마이크가 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장치(200)는 전자 통신망(227)을 통한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25)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25)는 근거리 통신망과 인터넷과 같은 광역통신망을 통한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을 구현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시스템(200)은 망(227)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메시지 패킷들(226)을 통해 데이터 및/또는 파일 요청 명령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시스템(200)은 그래픽 처리부(GPU)(235)와 그래픽 메모리(239)를 구비할 수 있는 그래픽 서브시스템(2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래픽 메모리(239)는 출력 이미지의 픽셀 각각을 위한 픽셀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표시부 메모리(예. 프레임 버퍼(frame buffer))를 포함할 수 있다. 그래픽 메모리(239)는 GPU(235)와 같은 장치에 통합되거나, GPU(235)와 분리된 장치로 연결되거나, 그리고/또는 메모리(206)에 저장될 수 있다. 픽셀 데이터는 CPU(205)로부터 직접 그래픽 메모리(239)에 제공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그래픽부는 복호기(244)에서의 디지털 방송 신호에서 추출된 비디오 신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CPU(205)는 GPU(235)에게 요구된 출력 이미지들을 규정하는 데이터 및/또는 인스트럭션들을 제공할 수 있다. GPU(235)는 상기 데이터 및/또는 인스트럭션들로부터 하나 이상의 출력 이미지들의 픽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요구된 출력 이미지들을 규정하는 데이터 및/또는 인스트럭션들은 메모리(206) 및/또는 그래픽 메모리(239)에 저장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있어서, GPU(235)는 장면에 대한 기하학적 배열(geometry), 조명, 음영, 질감, 움직임, 및/또는 카메라 파라미터들을 정하는 인스트럭션들 및 데이터로부터 출력 이미지의 픽셀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3 차원 렌더링(rendering) 능력을 구비하게 설정될 수 있다. GPU(235)는 쉐이더(shader)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가능한 하나 이상의 실행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래픽 서브시스템(230)은 비디오 표시부(250)에 표시되도록, 그래픽 메모리(239)로부터의 이미지에 대한 픽셀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비디오 표시부(250)는 CRT, LCD, 플라즈마, OLED 표시부들을 포함하는 시스템(200)에서의 신호에 응하여 비쥬얼(visual)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어떠한 장치도 될 수 있다. 디지털 방송 수신기(200)는 표시부(250)에 아날로그나 디지털 형태의 표시부 구동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250)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250)는 가청적(audible)이거나 아니면 감지 가능한 음향을 생성하는 하나 이상의 오디오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음향을 용이하게 생성하기 위해 클라이언트 장치(200)는 CPU(205), 메모리(206), 및/또는 저장부들(215, 220)에서 제공된 인스트럭션 및/또는 데이터로부터 아날로그나 디지털 형태의 오디오 출력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오디오 프로세서(2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신기(200)는 위치 검출기(270)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장치는 장치의 지리적 위치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적합한 기술에 기초할 수 있다. 종래 기술의 예로는 위치항법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기술, 관성 유도 기술(inertial guidance technology) 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장치들로부터의 정보는 휴대용 또는 핸드헬드 장치들의 내비게이션과 같은 디지털 방송 데이터 응용프로그램들에서 사용될 수 있다.
CPU(205), 메모리(206) 지원 기능부들(210), 데이터 저장부(215, 220), 사용자 입력 장치들(22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25), 그래픽부(230), 오디오 프로세서(255) 및 위치 검출기(270)를 포함하는 장치(200)의 구성요소들은 하나 이상의 데이터 버스(260)를 통하여 서로에게 동작 가능하게 접속(operably connected)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나 상술된 구성요소들 두 개 이상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로 제한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면, 갱신 스케줄러 프로그램(201)은 디지털 방송 서비스들을 위한, 도 3의 흐름도에 도시된 방법(300)에 따라 여러 채널에서 방송되는 데이터를 갱신할 수 있다. 302 과정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제 1 방송 스트림은 제 1 디지털 방송 채널에서 수신된다. 수신기(200)는 304 과정에서 표시된 바와 같이 미리 정해진 시간에 제 2 디지털 방송 채널로 튜닝된다. 제 1 방송 스트림은 오버레이 된(overlaid) 데이터와 믹스된(mixed) 디지털 텔레비전 프로그래밍을 포함할 수 있다. 오버레이 된 데이터는 제 1 디지털 방송 채널이나 다른 디지털 방송 채널과 연관될 수 있다. 디지털 텔레비전 프로그래밍으로 데이터가 오버레이 될 수 있는 많은 방법들이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패킷들은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스트림으로 인터리브 될 수 있다(interleaved). 이러한 방식은 때때로 시분할 다중화(time division multiplexing; TDM)으로 지칭된다. 이러한 방식에서는 두 개 이상의 신호들이나 비트 스트림들이 하나의 통신 채널로 분명하게(apparently), 동시에 전송된다. 실재로 두 개의 비트 스트림들은 물리적으로 돌아가면서 채널에서 전송된다. TDM에 있어서, 서브채널 각각에 있는 시간 영역은 다수의 반복되는 정해진 길이의 시간 슬롯(time slot)으로 분할될 수 있다. 서브채널 각각의 샘플 바이트나 데이터 블록은 대응하는 시간 슬롯 동안에 전송될 수 있다(예. 시간 슬롯 1 동안에는 서브채널 1, 시간 슬롯 2 동안에는 서브채널 2 등).
그런 다음 제 2 방송 스트림은 306 과정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제 2 디지털 방송 채널에서 수신된다. 제 2 방송 스트림은 수신기(200)에 상주(resident on)하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들과 연관된 데이터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이러한 서비스들과 연관된 데이터는 308 과정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제 2 방송 스트림에서 추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이러한 맥락 속의 '추출된'이라는 용어는 제 2 방송 스트림을 운반하는 신호를 복조하고, 프로세서에 의해 판독되고 조작 가능한 데이터로 복호하는 과정을 칭한다. 방송 스트림에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은 디지털 방송 신호에서 복호된 데이터 중 특정 서비스들과 관련된 데이터를 분리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관련 데이터가 추출된 후, 310 과정에 표시된 바와 같이 수신기(200)에 저장되거나 활용될 수 있다. 일례로 관련 데이터는 추후 서비스 프로그램들에 의해 사용되기 위해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서비스 프로그램들은 관련 데이터를 곧바로 사용한 다음,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폐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어떠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특정 방송 데이터 서비스들(203)을 위한 갱신 정보들은 다른 우선순위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갱신 스케줄러(201)는 방송 데이터 서비스들(203)을 위한 갱신 우선순위 스케줄(update priority schedule; UPS)에 기초하여, 이러한 갱신 정보들을 위한 채널을 선택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갱신 우선순위 스케줄(UPS)은 메모리(206)에 저장될 수 있다.
수신기에 스케줄된 갱신 과정들이 구현되게 하는 데에는 여러 방법들이 있다. 또한 스케줄러(201)가 갱신 정보들을 수신하기 위해 채널 전환하는, 미리 정해진 시간을 결정하는 데에도 여러 방법들이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갱신 스케줄러(201)는 디지털 방송 신호에 임베드 된(embedded) 데이터로부터, 현재 수신기(240)가 튜닝되어 있는 하나의 채널에서 다른 채널로 전환되는 미리 정해진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데이터는 디지털 방송 신호의 프로그래밍 된 패킷들의 스트림에 있는 관련 데이터 갭(gap)의 시간을 표시하는 방송 신호에 임베드 될 수 있다. 스케줄러(201)는 데이터 갭(data gap)과 일치하도록 채널들을 변경하기 위한 미리 정해진 시간을 선택하는데 이러한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다.
도 4a 및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례로 단일의 튜너(242)는 다중 채널에서 시분할 다중화된 데이터 및 디지털 텔레비전 프로그래밍을 수신된 데이터를 갱신할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은 제 1 및 제 2 채널들(CH1, CH2)을 통해 송출된다. 제 1 채널(CH1)에서의 데이터 스트림은 시분할 다중화된 디지털 텔레비전 프로그래밍 데이터(PR1)를 포함한다. 다른 데이터는 다른 서브채널을 위해 프로그래밍 된 형태이거나, 디지털 방송 데이터 서비스의 데이터가 될 수 있다. 제 2 채널(CH2)의 데이터 스트림은 다른 데이터와 시분할 다중화된, 디지털 방송 데이터 서비스(D1)을 위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제 2 채널(CH2)에서의 다른 데이터는 다른 디지털 방송 서비스들을 위한 데이터나, 제 2 채널(CH2)의 하나 이상의 서브채널들을 위한 디지털 탤레비전 프로그래밍이 될 수 있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의 튜너(241)이 제 1 채널(CH1)로 튜닝된다. 복호기(244)가 제 1 채널의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의 프로그램 데이터(PR1)을 복호한 후, 복호된 데이터는 표시부(250)에 표시되기 위해 곧바로 사용되거나 추후 표시되기 위해 버퍼, 즉 메모리(206)에 저장될 수 있다.
제 1채널(CH1)의 데이터 스트림 시분할 다중화된 경우, 장치(200)가 관련 없는 방송 프로그램이나 다른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안 데이터 스트림에 갭들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200)의 사용자가 제 1 채널(CH1)의 특정 서브채널에서 특정 프로그램을 시청한다고 가정한다. 시분할 다중화 과정이 스케줄에 맞게 완료되면, 다른 프로그래밍이 제 1 채널(CH1)의 다른 서브채널들에서 송출되는 동안 시간 간격들이 생길 수 있다. 복호기(244)는 장치가 특정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설정되지 않은 경우, 이러한 데이터를 무시할 수 있다. 이러한 시간 간격 동안에, 갱신 스케줄러(201)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방송 데이터 서비스(D1)을 위한 갱신 정보들을 수신하도록 튜너(242)가 제 2 채널(CH2)로 전환되게끔 지시할 수 있다. 데이터는 복호기(244)에 의해 데이터 스트림에서 복호되며, 표시부(250)에 표시되거나 추후 표시되기 위해 데이터 버퍼에 저장될 수 있다. 그런 다음 갱신 스케줄러는 프로그래밍 데이터(PR1)의 다음 시간 슬롯 동안 이러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튜너(242)가 다시 제 1 채널(CH1)로 전환하게끔 지시할 수 있다.
버퍼링 된 프로그래밍 데이터(PR1) 또는 메모리(206)에 저장된 디지털 서비스 데이터(D1)에 있는 갭들은 일례로 순방향 에러 정정(forward error correction; FEC)을 통해 채워질 수 있다. FEC는 에러 정정 코드로도 공지된 데이터 전송을 위한 에러 제어 시스템을 지칭한다. 이러한 FEC에 의해 전송기(sender)가 메시지에 리던던트 데이터(redundant data)를 추가한다. FEC는 수신기가 전송기에게 추가적 데이터를 요구할 필요 없이 (소정 범위 내의)에러를 검출하고 정정하도록 한다. FEC의 이점은 백채널이 요구되지 않고 데이터의 평균적으로 더 높은 대역폭 필요로 하는 재전송이 때때로 방지될 수 있다는 것이다.
FEC를 대체하기 위해 갱신 스케줄러(201)가 갱신 정보의 일부로 수신되지 않은, 제 2 방송 스트림에서 상실된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패킷들 식별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패킷들은 일례로, 패킷 각각이 순차 식별자(sequential identifier)를 포함하고, 스케줄러(201)가 이러한 식별자들로부터 하나 이상의 패킷들이 수신되지 않았던 것으로 판단한 경우일 때, 식별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스케줄러(201)는 일례로, 네트워크(227)와 같은 백채널을 통해 하나 이상의 상실된 데이터 패킷들을 다운로드함으로써, 그들을 추출하는 루틴(routine)을 호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두 개 이상의 튜너들을 구비한 수신기들에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기(200)는 제 1 튜너(242A)와 제 2 튜너(242B)를 장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1 튜너(242A)는 제 1 디지털 방송 채널(CH1)에 튜닝되고, 제 2 튜너(242B)는 미리 정해진 시간에 다른 디지털 방송 채널(예. CH2 또는 CH3)에 선택적으로 튜닝될 수 있다. 다른 채널에서의 디지털 방송 신호는 제 2 튜너(242B)로 수신되고 제 1채널(CH1)에서의 디지털 방송신호는 제 1 튜너(242A)로 수신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 따르면, 수신기의 지리적 위치를 판단하는 것이 유용할 수 있다. 날씨 또는 교통 정보와 같은 특정 디지털 방송 서비스들은 특성상 국부적이다. 이로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로스엔젤레스(Los Angeles) 수도권 내의 특정 장소에 위치한 디지털 수신기의 사용자는 그러한 장소의 교통 정보에 관심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가 다른 장소를 향하여 여행하는 경우, 사용자는 목적지 주변 교통 상황과 목적지로의 경로 상의 교통상황에 관심 있을 수 있다. 디지털 방송 신호는 로스엔젤레스 지역 내 여러 장소들에 대한 교통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수신기 사용자와 가장 관련 있는 교통 정보를 필터링 하는 것이 유용할 수 있다. 이러한 필터링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위치 검출 장치(270)는 디지털 방송 신호로부터의 위치 특화된(location-specific) 관련 정보를 필터링 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지리적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에 따르면 스케줄러(201)는 특정 데이터 갱신 정보(예. 교통 또는 날씨 데이터 갱신 정보)를 위해 튜닝 되어야 하는 디지털 방송 채널을 선택할 수 있는데, 이때 위치 검출기(270)에 의해 결정된 수신기의 지리적 위치에 기초하여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방송 신호는 헤더에 정보와 관련된 영역을 식별하는 정보를 가지는 교통 데이터 갱신 패킷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갱신 스케줄러(201)는 이러한 헤더들로부터 정보를 추출하고 패킷의 정보를 저장, 사용 또는 폐기할 지를 결정하는데 이러한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교통 정보를 내장하는 패킷의 헤더는 노스리지(Northridge)와 관련 있는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위치 검출기(27)로 얻어진 정보는 장치가 노스리지에 위치해 있거나, 노스리지를 향하고 있다거나, 노스리지를 통과하는 경로를 여행하고 있는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에 기초하여, 스케줄러(201)는 정보를 저장하거나 활용할 지 선택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패킷 헤더가 장치가 위치해 있지 않거나, 향하고 있거나, 통과해서 여행하도록 스케줄되어있지 않은 곳과 같이 관련 없는 지역을 위한 정보로 식별하면, 스케줄러(201)는 패킷을 취급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소정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갱신 스케줄러(201)는 디지털 방송 신호의 일부로 수신된 스케줄 데이터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갱신하기 위한 전환 방식이나 스케줄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데이터의 스케줄된 갱신 과정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데이터 스트림(500)을 도시한다. 데이터 스트림(500)(예. 입력 데이터 스트림(101) 또는 디지털 방송 데이터 스트림(103))은 복수의 데이터 패킷들(502, 504, 506)을 포함할 수 있다. 패킷들 각각은 헤더(H1, H2, H3)와 페이로드(payload)(P1, P2, P3)를 포함할 수 있다. 패킷들(502, 504, 506)의 헤더들(H1, H2, H3)은 대응하는 페이로드(payload)(P1, P2, P3)들에 있는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채널 식별자, 데이터 종류, 선택사항의 패킷, 연계된 패킷들의 수를 식별하는 정보 및 패킷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패킷 헤더들(H1, H2, H3)은 하기에 서술되는 하나 이상의 정보들을 표시할 수 있다: 방송 버스트(broadcast burst)의 주기, 서비스의 완전한 갱신이 이루어지는 버스트 그룹들의 총 개수, 방송, 서비스, 버스트, 또는 완성된 서비스 갱신이 이루어 질 시간 시작 신호(time start signal), 전송을 위한 채널 또는 주파수, 패킷과 연관된 서브채널, 방송, 서비스 또는 전송과 연관된 URL 그리고 이상의 어떠한 조합과 응용프로그램이나 운용 시스템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응용프로그램이나 운용 시스템이 어떠한 행동을 하도록 하는 정보들을 포함한다.
채널 식별자는 패킷이 방송 될 특정 채널(또는 채널들)을 식별할 수 있다. 서브채널 식별자는 패킷과 연관된 서비스의 채널 내에 있는 특정 서브채널을 식별할 수 있다. 데이터 종류는 특정 데이터 서비스나 페이로드에 있는 데이터의 데이터 종류를 식별할 수 있다. 패킷 용량은 페이로드에 포함된 데이터의 용량을 명시한다. 패킷 식별자 및 연계된 패킷 개수를 식별하는 정보는 다중 패킷들이 전송되는 동안 블록 데이터를 재구성(reconstruction)하는데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패킷 식별자는 패킷이 특정 패킷 그룹의 구성원인 것으로 고유하게 식별하고, 연계된 패킷 개수를 식별하는 정보는 상기 패킷이 이러한 그룹의 다섯 번째 패킷인 것으로 표시할 수 있다. 어떠한 경우에서 연계된 패킷들을 식별하는 정보는 연계된 다운스트림(downstream) 패킷들(즉, 추후 방송될 패킷들)의 개수를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다수의 입력 데이터 스트림들로부터 갱신 스케줄이 어떻게 생성되는 지의 예를 도시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방송 신호의 입력 데이터 스트림(601)은 다중 디지털 방송 채널들(C1, C2, C3)의 입력 스트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채널들(C1, C2, C3) 각각은 다른 반송 주파수로 방송된다. 채널들(C1, C2, C3)을 위한 디지털 방송 신호들은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방식(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을 사용하는 발신기(transmitter)(606)에 의해 어느 정도 동시에 방송될 수 있다. 채널들 각각의 다른 프로그래밍과 디지털 데이터 서비스들을 위한 데이터 스트림들 각각은 시분할 다중 전송방식으로 다중화(multiplexed) 될 수 있다. 각 채널의 데이터 스트림들은 페이로드(P1 내지 P9) 및 대응하는 헤더들(H1 내지 H9)을 가지는 패킷들(603)로 구성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헤더들 각각은 패킷 속에 있는 데이터 종류를 식별할 수 있다. 특히 헤더들은 패킷이 텔레비전 프로그래밍이나 데이터 서비스와의 관련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패킷이 데이터 서비스와 연관된 경우, 패킷의 헤더는 특정 데이터 서비스를 식별할 수 있다. 어떤 패킷이 데이터 서비스의 갱신 정보를 포함하는지 판단하기 위해, 입력 데이터 스트림(601)에 속한 모든 패킷들의 헤더가 갱신 스케줄 생성기(602)에 의해 분석될 수 있다. 나아가 갱신 스케줄 생성기(602)는 패킷들(603) 각각의 방송 시간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갱신 스케줄 생성기는 패킷들이 방송되는 순서대로 패킷들을 수신할 수 있다. 갱신 스케줄 생성기는 이러한 방송 순서로부터 특정 패킷이 방송될 시간을 판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예에 있어서, P1, P4 및 P7의 페이로드들을 가진 패킷들은 T1 시간에 방송될 것이고, P2, P5 및 P8의 페이로드들을 가진 패킷들은 T2 시간에 방송될 것이며, P3, P6 및 P9의 페이로드들을 가진 패킷들은 T3 시간에 방송될 것이다.
갱신 스케줄 생성기(602)는 패킷 헤더들로부터의 정보와 전송 시간들을 조합하여, 하나 이상의 갱신 스케줄 패킷들(604)을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패킷들은 갱신 패킷들의 방송 시간을 표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 입력 데이터 스트림(601)에 있는 P1, P6 및 P9의 패킷 페이로드들이 디지털 방송 데이터 서비스들을 위한 갱신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갱신 스케줄 생성기(602)는 H1, H6 및 H9의 헤더들에 있는 정보로부터 이것을 판단할 수 있다. 갱신 스케줄 생성기(602)는 데이터 스트림(601)의 패킷 순서로부터 P1의 페이로드를 포함하는 패킷이 C1 채널에서 T1 시간에 방송될 것과, P6 및 P9의 페이로드를 포함하는 패킷이 C2 및 C3 채널 각각에서 T3 시간에 방송될 것을 판단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갱신 스케줄 생성기(602)는 이러한 정보를 패킷 헤더들에 포함된 다른 정보와 함께 갱신 스케줄 패킷(604)으로 조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갱신 스케줄은 표의 형태로 보여질 수 있다. 표에 기재된 'X'는 갱신 정보가 특정 시간에 특정 채널에서 방송될 것으로 스케줄 된 것을 표시한다. 표의 공백은 주어진 시간에 주어진 채널에서 아무런 갱신정보도 스케줄 되지 않은 것을 표시한다. 'X'로 표시된 셀은 갱신 정보와 연관된 추가적 정보(예. 대응하는 갱신 패킷의 헤더에서 취득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특정 설정은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예가 아니다. 갱신 스케줄 패킷들(604)은 C1, C2 및 C3 채널들을 위한, P1, P6 및 P9의 페이로드들을 포함하는 대응 갱신 패킷들이 방송되기 전에 발신기(606)에 의해 송출되는 디지털 방송 신호들에 삽입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수신기가 C1, C2 또는 C3 채널들 중 어느 하나에 튜닝되어 있는 여부와 상관없이 갱신 스케줄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관련된 갱신 패킷을 수신하도록 채널 전환을 구현하는 시간 안에 수신기가 갱신 스케줄 패킷(604)을 수신할 확률을 높이기 위해, 특정 갱신 스케줄 패킷(604)은 여러 번 특정 채널에서 방송될 수 있다.
어떠한 경우들에서는, 갱신 스케줄 패킷들(604)을 시간에 맞춰 수신할 확률을 높이기 위해, 정기적인 듀티 사이클(duty cycle)마다 갱신 스케줄 패킷들(604)를 반복적으로 방송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갱신 스케줄 패킷들 사이에 방송되는 데이터 패킷 개수와 갱신 스케줄 패킷들이 방송되는 수가 다를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갱신 스케줄 패킷들은 갱신 스케줄 패킷들이 방송되는 듀티 사이클을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갱신 스케줄 패킷들(SP)은 데이터 패킷들(P1 내지 P11)과 함께 방송될 수 있다. 초기에는 갱신 스케줄 패킷들(SP)이 d1의 듀티 사이클에서 방송될 수 있는데, 이때 하나의 갱신 스케줄 패킷 뒤에 세 개의 데이터 패킷들이 방송될 수 있다. 갱신 스케줄 패킷들(SP)은 차후의 스케줄 패킷들이 새로운 d2의 듀티 사이클에서 방송될 것을 식별할 수 있는데, 이때는 하나의 갱신 스케줄 패킷 뒤에 두 개의 데이터 패킷들이 방송될 수 있다. 생신 스케줄러(201)는 채널들 사이를 언제 호핑(hopping)할 지를 판단할 때 이와 같은 갱신 스케줄 패킷 듀티 사이클 변화를 고려할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술된 갱신 스케줄 패킷 방식은 소정의 주파수로 송출되는, 특정 디지털 방송 채널 내 각각 다른 서브채널들의 서비스들을 동기화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갱신 스케줄 패킷들(SP)은 시다중화된(time multiplexed) 데이터 스트림을 가진 각각 다른 서브채널들과 연관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 다른 서브채널들의 서비스들은 수신기(200) 내 다른 응용프로그램들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기기(200) 내 연산 리소스들을 효율적으로 할당하기 위해, 갱신 스케줄 프로그램(201)은 갱신 스케줄 패킷들로부터의 서브채널 갱신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디지털 방송 신호와 함께 수신된 데이터 서비스들이 효율적으로 갱신되도록 한다. 데이터 서비스들은 장치가 디지털 텔레비전 프로그래밍을 표시하는 동안에 갱신될 수 있어서, 사용자가 적시에 관련 데이터를 접속할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온전한 설명이지만, 다른 균등물과 변형들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설명을 참조하여 판단되지 말아야 하며, 대신,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 균등물들의 모든 범위를 함께 참조해서 판단되어야한다. 본 명세서에 서술된 어떠한 기술적 특징도, 본 명세서에 서술된 다른 어떠한 기술적 특징과 바람직하게든 아니든 결합될 수 있다. 첨부된 청구항들에 "~을 위한 수단(means for)"의 기재가 명시적으로 사용되지 않은 이상, 수단 또는 과정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Claims (28)

  1. 복수의 디지털 방송 채널들에서 프로그래밍(programming) 및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설정된 디지털 방송 수신기(digital broadcast receiving device)에 있어서, 각각 다른 채널들에서 데이터 방송을 갱신하는 방법으로,
    a) 제 1 디지털 방송 채널에서 제 1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b) 미리 정해진 시간에 상기 수신기를 제 2 디지털 방송 채널로 튜닝하는 과정과,
    c) 상기 수신기에 상주하는(resident on) 하나 이상의 서비스들과 연관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 2 방송 신호를 상기 제 2 디지털 방송 채널에서 수신하는 과정과,
    d) 상기 제 2 디지털 방송 신호로부터 하나 이상의 상기 서비스들과 연관된, 선택된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과,
    e) 상기 수신기로 상기 선택된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활용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지털 방송 신호는,
    오버레이 된 데이터(overlaid data)와 믹스된(mixed) 텔레비전 프로그래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레이 된 데이터는,
    상기 제 1 디지털 방송 채널과 연관된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레이 된 데이터는,
    다른 디지털 방송 채널과 연관된 데이터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 과정은,
    상기 제 1 디지털 방송 신호로부터 얻은 정보를 버퍼에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b) 과정 동안, 상기 버퍼에 저장된 상기 정보로부터 얻은 이미지들을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튜너를 포함하고,
    상기 a) 과정은,
    상기 제 1 디지털 방송 채널로 상기 튜너를 튜닝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b) 과정은,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에 상기 제 2 디지털 방송 채널로 상기 튜너를 튜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갱신 정보의 일부로 수신되지 않았던, 상기 제 2 디지털 방송 신호에서 상실된(missing) 데이터를 식별하는 과정과,
    상기 상실한 데이터를 리트리브되는(retrieving)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의 지리적 위치를 판단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b) 과정은,
    상기 수신기의 상기 지리적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디지털 방송 채널을 선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d) 과정은,
    상기 지리적 위치에 기초하여 선택된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 과정은,
    상기 수신기에 상주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서비스들을 위한 갱신 우선순위 스케줄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디지털 방송 채널을 선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 과정은,
    상기 제 1 디지털 방송 신호에 임베드 된(embedded) 데이터로부터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을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송 스트림에 임베드 된 상기 데이터는,
    상기 제 1 디지털 방송 신호에 있는 관련 데이터 갭(relevant data gap)의 시간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제 1 튜너 및 제 2 튜너를 포함하고,
    상기 a) 과정은,
    상기 제 1 디지털 방송 채널로 상기 제 1 튜너를 튜닝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b) 과정은,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에 상기 제 2 디지털 방송 채널로 상기 제 2 튜너를 튜닝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c) 과정은,
    상기 제 1 튜너로 상기 제 1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동안, 상기 제 2 튜너로 상기 제 2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복수의 디지털 방송 채널에서 프로그래밍 및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설정된 수신부;
    상기 수신부에 연결된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에 연결된 메모리;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의 실행을 위해, 상기 메모리에 내장된 프로세서 판독가능한 명령어들의 일군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로,
    상기 명령어들은,
    각각 다른 채널들에서 데이터 방송을 갱신하는 방법을 구현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방법은:
    a) 제 1 디지털 방송 채널에서 제 1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b) 상기 수신기에 상주하는(resident on) 하나 이상의 서비스들과 연관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 2 방송 신호를 미리 정해진 시간에 제 2 디지털 방송 채널에서 상기 수신기로 수신하는 과정과,
    c) 상기 하나 이상의 상기 서비스들과 연관된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과,
    d) 상기 메모리에 상기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에서 상기 데이터를 활용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단일의 튜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제 1 튜너 및 제 2 튜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19.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에 연결된 지리적 위치 검출 시스템(geographical positioning system)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20. a) 각각 헤더 및 페이로드(payload)를 가진 복수의 패킷들 형태의, 하나 이상의 디지털 방송 데이터 서비스들을 위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입력 데이터 스트림들을 수신하는 과정과,
    b) 상기 복수의 패킷들의 상기 헤더들로부터 상기 디지털 방송 데이터 서비스들 중 어느 하나를 위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갱신 패킷이 디지털 방송 신호의 일부로 방송될 시간을 판단하는 과정과,
    c) 상기 갱신 패킷이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의 일부로 방송 될 상기 시간을 포함하는 스케줄 패킷을 생성하는 과정과, 및
    d)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의 일부로 상기 갱신 패킷을 방송하기 전에 상기 스케줄 패킷을 방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위한 갱신 스케줄을 생성하는 방법.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는,
    상기 헤더와 연관된 상기 패킷이 방송되는 채널을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는,
    상기 페이로드에 있는 데이터 종류를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는,
    상기 패킷의 용량을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는,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에 있는 다른 패킷들과 연관된 특정 패킷을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는,
    연관된 다운스트림(downstream) 패킷들의 개수를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 패킷은,
    각각 다른 디지털 방송 채널들에서 전송될 갱신 패킷들의 갱신 시간들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7.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 패킷은,
    하나 이상의 다른 스케줄 패킷들의 방송 시간과 관련된 정보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8.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 패킷은,
    스케줄 패킷들이 방송되는 듀티 사이클(duty cycle)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07028343A 2008-05-16 2009-04-09 다중 디지털 방송 채널들에서 다중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를 갱신하기 위한 채널 호핑 방식 KR1012001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122,622 US8359614B2 (en) 2008-05-16 2008-05-16 Channel hopping scheme for update of data for multiple services across multiple digital broadcast channels
US12/122,622 2008-05-16
PCT/US2009/040067 WO2009139993A2 (en) 2008-05-16 2009-04-09 Channel hopping scheme for update of data for multiple services across multiple digital broadcast channe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0259A true KR20110020259A (ko) 2011-03-02
KR101200184B1 KR101200184B1 (ko) 2012-11-13

Family

ID=41317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8343A KR101200184B1 (ko) 2008-05-16 2009-04-09 다중 디지털 방송 채널들에서 다중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를 갱신하기 위한 채널 호핑 방식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3) US8359614B2 (ko)
EP (1) EP2292006A4 (ko)
JP (1) JP5624023B2 (ko)
KR (1) KR101200184B1 (ko)
CN (2) CN103716654B (ko)
AU (1) AU2009246744B2 (ko)
BR (1) BRPI0912701B1 (ko)
WO (1) WO200913999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49183B2 (en) 2007-10-05 2014-09-30 Qualcomm Incorporated Location and time based filtering of broadcast information
US8359614B2 (en) 2008-05-16 2013-01-22 Sony Computer Entertainment America Llc Channel hopping scheme for update of data for multiple services across multiple digital broadcast channels
US8819749B2 (en) * 2008-06-11 2014-08-26 Koninklijke Philips B.V. Synchronization of media stream components
US9280778B2 (en) 2008-12-15 2016-03-08 Qualcomm Incorporated Location logging and location and time based filtering
WO2010104927A2 (en) * 2009-03-10 2010-09-16 Viasat, Inc. Internet protocol broadcasting
WO2011007521A1 (ja) * 2009-07-13 2011-01-2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放送受信装置、放送受信方法および放送送信装置
TR201001662A2 (tr) * 2010-03-04 2011-09-21 Vestel Elektroni̇k Sanayi̇ Ve Ti̇caret A.Ş. IP televizyonlarda açılış sürecini hızlandıran bir yöntem ve cihaz.
US8914471B2 (en) * 2010-05-28 2014-12-16 Qualcomm Incorporated File delivery over a broadcast network using file system abstraction, broadcast schedule messages and selective reception
KR20120033389A (ko) * 2010-09-30 2012-04-09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US9485108B2 (en) 2011-03-14 2016-11-0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apparatus for using multichannel file delivery over unidirectional transport (“FLUTE”) protocol for delivering different classes of files in a broadcast network
US9451401B2 (en) 2011-05-27 2016-09-20 Qualcomm Incorporated Application transport level location filtering of internet protocol multicast content delivery
EP3518442B1 (en) * 2011-10-13 2021-08-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ultimedia service
KR102349252B1 (ko) * 2012-11-26 2022-01-07 콤스코프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플렉시블한 재구성가능 멀티포인트-투-멀티포인트 디지털 라디오 주파수 전달 아키텍쳐
US20140146797A1 (en) * 2012-11-26 2014-05-29 Adc Telecommunications, Inc. Timeslot mapping and/or aggregation element for digital radio frequency transport architecture
EP2784673A1 (en) * 2013-03-28 2014-10-01 Alcatel Lucent Scheduling
US10498649B2 (en) * 2014-11-04 2019-12-03 Lg Electronics Inc. Broadcast signal transmission device, broadcast signal reception device, broadcast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broadcast signal reception method
US9749663B1 (en) 2014-11-23 2017-08-29 Silicondust Usa Inc. Distributed upload of television content
US9136938B1 (en) * 2014-12-11 2015-09-15 Tesla Wireless Company LLC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that uses low latency/low data bandwidth and high latency/high data bandwidth pathways
US20160197669A1 (en) * 2014-12-11 2016-07-07 Tesla Wireless Company LLC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that uses low latency/low data bandwidth and high latency/high data bandwidth pathways
WO2016101981A1 (en) * 2014-12-22 2016-06-30 Arcelik Anonim Sirketi System for simultaneous scanning of separate access contents in an image display device
CA3006803C (en) * 2015-12-04 2021-06-08 Sharp Kabushiki Kaisha Recovery data with content identifiers
CN108243323B (zh) * 2016-12-23 2019-12-20 杭州海康威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软件升级方法及装置
WO2018169101A1 (ko) * 2017-03-14 2018-09-20 엘지전자(주)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및 방송 신호 수신 방법
US11006164B2 (en) * 2018-11-23 2021-05-11 Sony Corporation TV and electronic device with external tuner and memory for personal video recording
US11303954B1 (en) * 2021-01-04 2022-04-12 Sony Corporation Long duration error correction with fast channel change for ATSC 3.0 real-time broadcast mobile application
CN113037596B (zh) * 2021-05-18 2021-08-10 南京长凯电力自动化设备有限公司 针对环网柜的测试装置与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57416A (en) * 1991-02-04 1993-10-26 Motorola, Inc. Method for dynamically changing channel priority for scan in a receiver
US6463585B1 (en) * 1992-12-09 2002-10-08 Discovery Communications, Inc. Targeted advertisement using television delivery systems
US5542115A (en) * 1994-06-24 1996-07-30 Pioneer Tech Development Limited Paging method and apparatus
US6292834B1 (en) * 1997-03-14 2001-09-18 Microsoft Corporation Dynamic bandwidth selection for efficient transmission of multimedia streams in a computer network
US6337719B1 (en) * 1998-03-30 2002-01-08 U. S. Philips Corporation Apparatus for receiving signals during power-off (stand-by) mode
US6988144B1 (en) * 1999-11-18 2006-01-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acket scheduling system and method for multimedia data
US6804824B1 (en) * 2000-06-30 2004-10-12 Microsoft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using multiple tuners
AU2001273363A1 (en) 2000-07-12 2002-01-21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ownloading objects via an inband channel with minimal subscriber impact
AU2001294142A1 (en) * 2000-09-20 2002-04-02 Main.Net Communication Ltd. Multimedia communications over power lines
JP2002305482A (ja) * 2001-04-06 2002-10-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ータ放送スケジュールシステム及び、それに関する、装置または方法または記録媒体またはプログラム
US7140032B2 (en) * 2001-10-29 2006-11-21 Son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TV channel
US7075899B2 (en) * 2002-05-21 2006-07-11 Actv,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rivate in-band data to digital set-top boxes in a broadcast environment
US7774815B1 (en) * 2002-09-30 2010-08-10 Arris Group, Inc. Context-sensitive interactive television ticker
CN100473122C (zh) * 2003-10-27 2009-03-25 乐金电子(中国)研究开发中心有限公司 数字电视的频道切换控制方法
JP4086804B2 (ja) * 2004-03-25 2008-05-14 Necパーソナルプロダクツ株式会社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およびデータ放送更新通知方法
KR100595034B1 (ko) * 2004-12-14 2006-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수신장치 및 방송수신장치의 화면전환 제어방법
US20060268913A1 (en) * 2005-05-27 2006-11-30 Utstarcom, Inc. Streaming buffer system for variable sized data packets
KR100606804B1 (ko) 2005-07-18 2006-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주기적인 채널 갱신을 통한 자동채널을 전환하는 방송용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관리 방법
KR20070074915A (ko) 2006-01-11 2007-07-18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위성라디오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교통정보채널 자동 선국장치 및 방법
KR20070117819A (ko) * 2006-06-09 2007-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오픈케이블 방송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1879376A3 (en) * 2006-06-13 2011-04-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Fast channel switching method and apparatus for digital broadcast receiver
KR101341454B1 (ko) 2006-08-29 2013-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티브이 수신기의 자동 채널 검색 방법 및 장치
KR100772652B1 (ko) 2006-09-06 2007-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고속 채널 전환 장치 및 방법
KR100866563B1 (ko) 2006-10-04 2008-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방송 자동 갱신 방법 및 그 장치
CN101821716B (zh) * 2007-10-11 2017-07-07 高通股份有限公司 调度下载:实现后台过程以接收广播数据
US8359614B2 (en) 2008-05-16 2013-01-22 Sony Computer Entertainment America Llc Channel hopping scheme for update of data for multiple services across multiple digital broadcast channe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716654A (zh) 2014-04-09
US8359614B2 (en) 2013-01-22
US20110064082A1 (en) 2011-03-17
AU2009246744B2 (en) 2013-07-04
AU2009246744A1 (en) 2009-11-19
CN103716654B (zh) 2018-06-01
WO2009139993A3 (en) 2010-01-07
BRPI0912701A2 (pt) 2015-10-13
EP2292006A4 (en) 2011-09-14
EP2292006A2 (en) 2011-03-09
US20140092917A1 (en) 2014-04-03
CN102119528A (zh) 2011-07-06
JP2011521558A (ja) 2011-07-21
US9178774B2 (en) 2015-11-03
KR101200184B1 (ko) 2012-11-13
BRPI0912701B1 (pt) 2021-01-12
CN102119528B (zh) 2014-03-19
US20090288116A1 (en) 2009-11-19
WO2009139993A2 (en) 2009-11-19
US8605725B2 (en) 2013-12-10
JP5624023B2 (ja) 2014-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0184B1 (ko) 다중 디지털 방송 채널들에서 다중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를 갱신하기 위한 채널 호핑 방식
US11558657B2 (en) Integration of control data into digital broadcast content for access to ancillary information
US20130291040A1 (en) Transmission method and transmission apparatus for a combined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service
EP2192506A2 (en) Modifying virtual item states in conjunction with digital broadcast
CN108605161B (zh) 减少接收、处理或切换内容时的延迟的方法和装置
US20080225167A1 (en) Method for displaying video pictures
US8650592B2 (en) Streaming server and mobile terminal for reducing channel-changing delay, and a method therefor
US8055220B2 (en) Broadcast receiver for and method of providing broadcast channel information
JP5615482B2 (ja) デジタル放送の受信装置および受信制御方法、デジタル放送送信装置
KR20180064391A (ko) 수신 장치, 송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US2007006779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dvertisement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KR101488068B1 (ko) 광고 내장 시스템, 광고 내장 방법, 및 그 기록매체
US8978082B2 (en) Method of switching digital TV application
KR100772652B1 (ko) 이동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고속 채널 전환 장치 및 방법
KR101117571B1 (ko) 디지털 라디오를 이용한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JPWO2006006219A1 (ja) コンテンツ送信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KR20070051538A (ko) 휴대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서비스 수신 방법 및 장치
US20090064263A1 (en) Broadcast-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of outputting data by a broadcast-receiving apparatus
KR100739738B1 (ko) 듀얼 디스플레이를 가진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수신 장치에서 서비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그 수신장치
KR100750471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의 방송 재생 방법
KR20110098238A (ko) 서버, 사용자 단말 장치 및 데이터 컨텐츠 제공 방법, 데이터 컨텐츠 처리 방법
JP2010034942A (ja) 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