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4391A - 수신 장치, 송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수신 장치, 송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4391A
KR20180064391A KR1020187008162A KR20187008162A KR20180064391A KR 20180064391 A KR20180064391 A KR 20180064391A KR 1020187008162 A KR1020187008162 A KR 1020187008162A KR 20187008162 A KR20187008162 A KR 20187008162A KR 20180064391 A KR20180064391 A KR 201800643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content
nrt
app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8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8781B1 (ko
Inventor
나오히사 기타자토
요시하루 데와
야스아키 야마기시
준 기타하라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80064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43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8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8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8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broadcast information itself
    • H04H20/91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broadcast information itself broadcasting computer program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68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 H04H60/73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using meta-informat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0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23/0215Plastics or artificial leath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4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3/02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assembled by stitching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4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3/025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assembled by gluing or thermo bon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8Demultiplexing of additional data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3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1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characterized by the use of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API] libra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2Retriev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from different sources, e.g. from a broadcast channel and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3Communication protocols
    • H04N21/64322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28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broadcast of plural pieces of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본 기술은, 레지던트 애플리케이션의 실장 부담을 보다 적게 하여, 비리얼타임의 콘텐츠 다운로드 재생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수신 장치, 송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신 장치는, 디지털 방송 신호에 포함되는 제1 애플리케이션이며, 비리얼타임으로 재생되는 콘텐츠의 다운로드를 처리하는 제1 애플리케이션을 취득하고, 제1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에 따라서, 디지털 방송 신호에 포함되는 메타데이터이며, 콘텐츠의 다운로드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를 취득하고, 메타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에 포함되는 콘텐츠의 다운로드를 처리한다. 본 기술은, 예를 들어 텔레비전 수상기에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신 장치, 송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본 기술은, 수신 장치, 송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레지던트 애플리케이션의 실장 부담을 보다 적게 하여, 비리얼타임의 콘텐츠의 다운로드 재생을 행할 수 있도록 한 수신 장치, 송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송의 분야에서는, NRT(Non Real Time) 서비스라 칭해지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비특허문헌 1 참조). NRT 서비스에서는, 수신 장치에 있어서, 비리얼타임의 콘텐츠(NRT 콘텐츠)의 축적 예약에 따라서, 방송국(의 송신 장치)으로부터 송신되는 NRT 콘텐츠의 다운로드가 행해지고, 그 후, 축적된 NRT 콘텐츠의 재생이 행해진다.
ATSC Standard Non-Real-Time Content Delivery(A/103:2014)
그런데, NRT 서비스와 같이, 수신 장치에서, NRT 콘텐츠의 다운로드 재생을 행하는 운용이 행해지는 경우에, 수신 장치에 내장된 레지던트 애플리케이션의 실장에, 큰 부담이 가해지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이와 같은 운용이 행해지는 경우에, 레지던트 애플리케이션의 실장 부담을 보다 적게 하여, NRT 콘텐츠의 다운로드 재생을 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안이 요청되었다.
본 기술은 이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레지던트 애플리케이션의 실장 부담을 보다 적게 하여, 비리얼타임의 콘텐츠의 다운로드 재생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기술의 제1 측면의 수신 장치는,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에 포함되는 제1 애플리케이션이며, 비리얼타임으로 재생되는 콘텐츠의 다운로드를 처리하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취득하는 제1 취득부와,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에 따라서,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에 포함되는 메타데이터이며, 상기 콘텐츠의 다운로드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메타데이터를 취득하는 제2 취득부와, 상기 메타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콘텐츠의 다운로드를 처리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수신 장치이다.
본 기술의 제1 측면의 수신 장치는, 독립된 장치여도 되고, 1개의 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내부 블록이어도 된다. 또한, 본 기술의 제1 측면의 데이터 처리 방법은, 상술한 본 기술의 제1 측면의 수신 장치에 대응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이다.
본 기술의 제1 측면의 수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에 있어서는, 디지털 방송 신호가 수신되고,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에 포함되는 제1 애플리케이션이며, 비리얼타임으로 재생되는 콘텐츠의 다운로드를 처리하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이 취득되고,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에 따라서,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에 포함되는 메타데이터이며, 상기 콘텐츠의 다운로드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메타데이터가 취득되고, 상기 메타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콘텐츠의 다운로드가 처리된다.
본 기술의 제2 측면의 송신 장치는, 비리얼타임으로 재생되는 콘텐츠의 다운로드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 생성부와, 상기 콘텐츠의 다운로드를 처리하는 제1 애플리케이션을 생성하는 제2 생성부와, 상기 메타데이터 및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디지털 방송 신호에 포함하여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는 송신 장치이다.
본 기술의 제2 측면의 송신 장치는, 독립된 장치여도 되고, 1개의 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내부 블록이어도 된다. 또한, 본 기술의 제2 측면의 데이터 처리 방법은, 상술한 본 기술의 제2 측면의 송신 장치에 대응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이다.
본 기술의 제2 측면의 송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에 있어서는, 비리얼타임으로 재생되는 콘텐츠의 다운로드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가 생성되고, 상기 콘텐츠의 다운로드를 처리하는 제1 애플리케이션이 생성되고, 상기 메타데이터 및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이, 디지털 방송 신호에 포함되어 송신된다.
본 기술의 제1 측면 및 제2 측면에 따르면, 레지던트 애플리케이션의 실장 부담을 보다 적게 하여, 비리얼타임의 콘텐츠의 다운로드 재생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 기재된 효과는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개시 중에 기재된 어느 효과여도 된다.
도 1은 본 기술을 적용한 전송 시스템의 일 실시 형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기술을 적용한 IP 전송 방식의 프로토콜 스택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통상의 NRT 서비스의 개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기술의 NRT 서비스의 개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기술의 NRT 서비스의 컨셉 모델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NRT 연동 TV 서비스의 시나리오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포어그라운드 NRT 서비스의 시나리오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백그라운드 NRT 서비스(APP 데이터 타입)의 시나리오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백그라운드 NRT 서비스(APP 데이터 타입)에 있어서의 애플리케이션과 스토리지의 데이터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백그라운드 NRT 서비스(RAW 데이터 타입)의 시나리오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백그라운드 NRT 서비스(RAW 데이터 타입)에 있어서의 애플리케이션과 스토리지의 데이터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NRT 서비스의 상태 천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NRT 서비스의 시나리오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프로그램 예약 선국 API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NRT 다운로드 API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애플리케이션 천이 API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그 밖의 API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DIT의 신택스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송신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수신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수신 장치에 있어서의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계층 구조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2는 송신 처리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3은 선국 처리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4는 NRT 서비스 대응 처리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5는 백그라운드 NRT 서비스 대응 처리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6은 이벤트 대응 처리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7은 컴퓨터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기술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설명은 이하의 순서로 행하는 것으로 한다.
1. 시스템의 구성
2. IP 전송 방식에 의한 디지털 방송의 개요
3. NRT 서비스의 운용예
(1) NRT 연동 TV 서비스
(2) 포어그라운드 NRT 서비스
(3) 백그라운드 NRT 서비스
(3-1) APP 데이터 타입
(3-2) RAW 데이터 타입
4. NRT 서비스에서 사용되는 API의 예
5. 신택스의 예
6. 각 장치의 구성
7. 각 장치에서 실행되는 처리의 흐름
8. 변형예
9. 컴퓨터의 구성
<1. 시스템의 구성>
(전송 시스템의 구성예)
도 1은 본 기술을 적용한 전송 시스템의 일 실시 형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시스템이란, 복수의 장치가 논리적으로 집합된 것을 말한다.
도 1에 있어서, 전송 시스템(1)은 송신 장치(10)와 수신 장치(20)로 구성된다. 이 전송 시스템(1)에서는,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3.0 등을 채용한 디지털 방송의 규격에 준거한 데이터 전송이 행해진다. 또한, ATSC3.0은, 미국 등에서 채용되고 있는 방송 규격인 ATSC의 차세대 방송 규격이다.
송신 장치(10)는 텔레비전 프로그램 등의 방송 콘텐츠를 포함하는 방송 스트림을, 디지털 방송 신호에 의해, 전송로(30)를 통해 송신한다. 또한, 송신 장치(10)는 비리얼타임의 NRT(Non Real Time) 콘텐츠를 방송 스트림에 포함하여 송신할 수 있다.
수신 장치(20)는 송신 장치(10)로부터 전송로(30)를 통해 송신되어 오는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방송 스트림에 포함되는 방송 콘텐츠를 처리하고, 텔레비전 프로그램 등의 방송 콘텐츠의 영상이나 음성을 출력한다. 또한, 수신 장치(20)는 방송 스트림에 포함되는 NRT 콘텐츠를 축적하고, 축적된 NRT 콘텐츠를 재생(다운로드 재생)할 수 있다.
또한, 도 1의 전송 시스템(1)에 있어서는,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 수신 장치(20)를 1개만 도시하고 있지만, 수신 장치(20)는 복수 설치할 수 있고, 송신 장치(10)가 송신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는, 전송로(30)를 통해 복수의 수신 장치(20)에서 동시에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송신 장치(10)도 복수 설치할 수 있다. 복수의 송신 장치(10)의 각각에서는, 별개의 채널로서의, 예를 들어 별개의 주파수 대역에서, 방송 스트림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를 송신하고, 수신 장치(20)에서는, 복수의 송신 장치(10)의 각각의 채널 중에서, 방송 스트림을 수신하는 채널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도 1의 전송 시스템(1)에 있어서, 전송로(30)는 지상파 방송 외에, 예를 들어 방송 위성(BS : Broadcasting Satellite)이나 통신 위성(CS : Communications Satellite)을 이용한 위성 방송, 혹은, 케이블을 사용한 유선 방송(CATV) 등이어도 된다.
<2. IP 전송 방식에 의한 디지털 방송의 개요>
그런데, 각국의 디지털 방송 규격에서는, 전송 방식으로서 MPEG2-TS(Moving Picture Experts Group phase 2-Transport Stream) 방식이 채용되고 있지만, 앞으로는 통신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IP(Internet Protocol) 패킷을 디지털 방송에 사용한 방식(이하, IP 전송 방식이라 함)을 도입함으로써, 보다 고도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상정되고 있다.
특히, 현재 책정이 진행되고 있는 차세대 방송 규격인 ATSC3.0에서는, IP 전송 방식이 채용될 것이 결정되었다. 또한, ATSC3.0 이외의 방송 규격에서도, 장래적으로, IP 전송 방식이 채용될 것이 기대되고 있다.
ATSC3.0에서는, 데이터 전송에, IP/UDP 패킷, 즉, UDP(User Datagram Protocol) 패킷을 포함하는 IP(Internet Protocol) 패킷이 사용된다. 또한, ATSC3.0에 있어서는, 트랜스포트·프로토콜로서, ROUTE(Real-Time Object Delivery over Unidirectional Transport)와, MMT(MPEG Media Transport)가 병존하고, 어느 한쪽의 트랜스포트·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비디오나 오디오, 자막 등(의 컴포넌트)의 스트림이 전송된다.
여기서, ROUTE는, 바이너리 파일을 일방향으로 멀티캐스트 전송하기에 적합한 프로토콜인 FLUTE(File Delivery over Unidirectional Transport)를 확장한 프로토콜이다. 또한, MMT는, IP(Internet Protocol) 상에서 사용되는 트랜스포트 방식이며, 제어 정보에 의해 IP 어드레스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설정함으로써, 비디오나 오디오 등의 데이터를 참조할 수 있다.
또한, ATSC3.0에 있어서는, 시그널링으로서, LLS(Link Layer Signaling) 시그널링과, SLS(Service Layer Signaling) 시그널링을 규정하는 것이 상정되어 있고, 선행하여 취득되는 LLS 시그널링에 기술되는 정보에 따라서, 서비스마다의 SLS 시그널링이 취득되게 된다.
여기서, LLS 시그널링으로서는, 예를 들어 SLT(Service List Table) 등의 메타데이터가 포함된다. SLT는, 서비스의 선국에 필요한 정보(선국 정보) 등, 방송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스트림이나 서비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SLS 시그널링으로서는, 예를 들어 USD(User Service Description), LSID(LCT Session Instance Description), MPD(Media Presentation Description), AIT(Application Information Table) 등의 메타데이터가 포함된다. USD는, 다른 메타데이터의 취득처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LSID는, ROUTE 프로토콜의 제어 정보이다. MPD는 컴포넌트의 스트림의 재생을 관리하기 위한 제어 정보이다. AIT는, 애플리케이션의 제어 정보이다. 예를 들어, AIT에는 애플리케이션의 라이프 사이클을 관리하기 위한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USD, LSID, MPD, AIT 등의 메타데이터는,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등의 마크업 언어에 의해 기술된다. 또한, MPD는 MPEG-DASH(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TTP)의 규격에 준하고 있다.
또한, LLS 시그널링과 SLS 시그널링 이외의 시그널링이 전송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은 시그널링으로서는, 예를 들어 NRT 콘텐츠의 다운로드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DIT(Download Information Table) 등의 메타데이터를 규정할 수 있다. 또한, 상세는 후술하지만, DIT 메타데이터는 NRT 컴포넌트로서 전송된다.
(프로토콜 스택)
도 2는 본 기술을 적용한 IP 전송 방식의 프로토콜 스택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에 있어서, 가장 하위의 계층은 물리층(Physical Layer)으로 된다. 이 물리층에 인접하는 상위의 계층은, 레이어2의 계층(Layer2)으로 되고, 또한, 레이어2의 계층에 인접하는 상위의 계층은 IP층으로 된다. 또한, IP층에 인접하는 상위의 계층은 UDP층으로 된다. 즉, UDP 패킷을 포함하는 IP 패킷(IP/UDP 패킷)이 레이어2의 Generic 패킷의 페이로드에 배치되어, 캡슐화(encapsulation)된다. 또한, 물리층의 프레임(Physical Frame)은 프리앰블과 데이터부로 구성되지만, 데이터부에는, 복수의 Generic 패킷을 캡슐화하여 얻어지는 BB 프레임에 대하여 에러 정정용의 패리티를 부가한 후에, 인터리브나 맵핑 등의 물리층에 관한 처리가 행해짐으로써 얻어지는 데이터가 매핑된다.
UDP층에 인접하는 상위의 계층은 ROUTE, MMT, SLT로 된다. 즉, ROUTE 세션에 의해 전송되는, 비디오, 오디오 및 자막(의 컴포넌트)의 스트림과, SLS 시그널링의 스트림과, NRT 컴포넌트의 스트림은, IP/UDP 패킷에 저장되어 전송된다. 또한, NRT 컴포넌트에는, 방송 애플리케이션이나 NRT 콘텐츠 등이 포함된다. NRT 콘텐츠는, 수신 장치(20)의 스토리지에 일단 축적된 후에 재생(다운로드 재생)이 행해진다.
한편, MMT 세션에 의해(을 통해) 전송되는, 비디오, 오디오 및 자막의 스트림과, SLS 시그널링의 스트림은, IP/UDP 패킷에 저장되어 전송된다. 또한, SLT는 IP/UDP 패킷에 저장되어 전송된다.
이상과 같은 프로토콜 스택이 채용되고 있기 때문에, 수신 장치(20)는 ROUTE 세션에 의해(으로) 전송되는 컴포넌트의 스트림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채널)의 선국 시에는, SLT에 포함되는 선국 정보에 따라서, ROUTE 세션에 의해 전송되는 SLS 시그널링을 취득한다(S1-1, S1-2). 그리고, 수신 장치(20)는 USD, LSID, MPD 등의 메타데이터에 따라서, 선국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포넌트의 스트림에 접속한다(S1-3). 이에 의해, 수신 장치(20)에서는, 선국된 서비스에 따른 방송 콘텐츠(예를 들어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영상이나 음성이 출력된다.
또한, 수신 장치(20)는 MMT 세션에 의해 전송되는 컴포넌트의 스트림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의 선국 시에는, SLT에 포함되는 선국 정보에 따라서, MMT 세션에 의해 전송되는 SLS 시그널링을 취득한다(S2-1, S2-2). 그리고, 수신 장치(20)는 SLS 시그널링에 포함되는 각종 메타데이터에 따라서, 선국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포넌트의 스트림에 접속한다(S2-3). 이에 의해, 수신 장치(20)에서는, 선국된 서비스에 따른 방송 콘텐츠(예를 들어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영상이나 음성이 출력된다.
<3. NRT 서비스의 운용예>
(NRT 서비스)
도 3은 NRT 서비스의 개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NRT 서비스는, 송신 장치(10)로부터 전송로(30)를 통해 다운로드 배신된 비리얼타임의 NRT 콘텐츠(NRT 컴포넌트)를, 수신 장치(20)가 스토리지에 일단 축적하고 나서, 그 후에 재생(다운로드 재생)을 행하는 서비스이다.
여기서, ATSC3.0에 있어서, NRT 서비스가 제공되는 경우에는, NRT 컴포넌트로서, 방송 애플리케이션(도면 중의 「App」)이 배신되는 것이 상정되어 있다. 이 방송 애플리케이션의 파일은, SLS 시그널링이나 다른 파일(도면 중의 「Others」) 등과 함께, ROUTE 세션에 의해 전송되게 된다. 또한, 방송 애플리케이션은 다른 파일을 참조할 수 있다.
이하, 본 기술의 NRT 서비스로서, NRT 컴포넌트로서, 방송 애플리케이션이 배신되는 것을 전제로 한 서비스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기술의 NRT 서비스)
도 4는 본 기술의 NRT 서비스의 개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기술의 NRT 서비스는, 크게 구별하면, NRT 연동 TV 서비스(NRT embedded TV Service), 포어그라운드 NRT 서비스(Foreground NRT Service) 및 백그라운드 NRT 서비스(Background NRT Service)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백그라운드 NRT 서비스에는, APP 데이터 타입과, RAW 데이터 타입의 2종류의 데이터 타입이 있다.
NRT 연동 TV 서비스는, 방송 콘텐츠(예를 들어 텔레비전 프로그램)에 대하여, NRT 컴포넌트로서 전송되는 연동 애플리케이션(Linked App : Linked Application)을 연동하여 실행시키는 서비스이다. 여기서, 연동 애플리케이션(Linked App)은 방송 콘텐츠에 연동하여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다.
포어그라운드 NRT 서비스는, NRT 컴포넌트로서 전송되는 포어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FG App : Foreground Application)에 의해, 포털(포털 페이지)을 표시시키는 서비스이다. 여기서, 포어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FG App)은 포털(포털 페이지)의 영상을, 전체 화면에 표시시키기 때문에, 유저에 의해 의식되는 애플리케이션이라고도 할 수 있다.
백그라운드 NRT 서비스는, NRT 컴포넌트로서 전송되는 백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BG App : Background Application)에 의해, NRT 서비스(NRT 콘텐츠)의 예약 선국에 따라서, NRT 컴포넌트로서 전송되는 NRT 콘텐츠를 다운로드하는 서비스이다.
여기서, 백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BG App)은 NRT 콘텐츠의 다운로드를 처리하는 애플리케이션이다. 또한, 백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BG App)은 백그라운드(뒷쪽)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이며, 스크립트 등에 의해 처리 내용만이 기술되어 있기 때문에, 비표시로 된다. 따라서, 유저가, 백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BG App)의 동작을 의식하지 않고, NRT 콘텐츠의 다운로드 처리가 행해진다.
또한, 백그라운드 NRT 서비스에서는, 그 타입이 APP 데이터 타입으로 되는 경우, 대상 파일군(Stored App, AITs)의 데이터와, 그 참조 파일군(Content Meta, Content Resource)의 데이터가 전송되므로, 수신 장치(20)에서는, 대상 파일군(Stored App, AITs) 및 참조 파일군(Content Meta, Content Resource)의 데이터가 스토리지에 축적된다.
여기서, 대상 파일군은, 스토어드 애플리케이션(Stored App : Stored Application)과, AITs를 포함하고 있다. 스토어드 애플리케이션(Stored App)은 참조 파일군의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행한다. AITs(Application Information Table Storage)는 스토어드 애플리케이션(Stored App)의 제어 정보이다.
참조 파일군은, 콘텐츠 메타데이터(Content Meta)와, 콘텐츠 리소스(Content Resource)를 포함하고 있다. 콘텐츠 리소스는, 동화상이나 음악 등의 NRT 콘텐츠의 실체의 데이터이며, 콘텐츠 메타데이터는 NRT 콘텐츠의 메타데이터이다.
백그라운드 NRT 서비스에서는, 그 타입이 RAW 데이터 타입으로 되는 경우, 참조 파일군(Content Meta, Content Resource)의 데이터만이 전송되므로, 수신 장치(20)에서는, 참조 파일군(Content Meta, Content Resource)의 데이터가, 스토리지에 축적된다. 이 경우, 외부의 애플리케이션이, 참조 파일군의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행하게 된다.
여기서, 외부의 애플리케이션은, 참조 파일군과 함께 전송되는 대상 파일군에 포함되는 스토어드 애플리케이션(Stored App) 이외의 애플리케이션, 예를 들어 연동 애플리케이션(Linked App)이나 포어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FG App), 다른 스토어드 애플리케이션(Stored App) 등이다.
또한, 연동 애플리케이션(Linked App), 포어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FG App), 백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BG App) 및 스토어드 애플리케이션(Stored App)은, HTML5(Hyper Text Markup Language 5) 등의 마크업 언어에 의해 개발되어 있다. 또한, NRT 콘텐츠는 비리얼타임의 콘텐츠인 한편, 방송 콘텐츠가 리얼타임의 콘텐츠로 된다.
또한, 수신 장치(20)에 있어서는, 이들 NRT 서비스에 관련되는 애플리케이션 외에, 레지던트 애플리케이션(RA : Resident Application)이나 브라우저, 녹화 재생 제어 애플리케이션 등의 기기 내장 애플리케이션도 실행된다. 또한, 레지던트 애플리케이션(RA)은 수신 장치(20)에 미리 내장된 애플리케이션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연동 애플리케이션(Linked App), 포어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FG App), 백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BG App) 및 스토어드 애플리케이션(Stored App)을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방송 애플리케이션(BCA : Broadcast Application)이라 칭하고, 레지던트 애플리케이션(RA) 등의 기기 내장 애플리케이션과 구별한다.
또한, 도 5에는, 본 기술의 NRT 서비스인, NRT 연동 TV 서비스(NRT embedded TV Service), 포어그라운드 NRT 서비스(Foreground NRT Service) 및 백그라운드 NRT 서비스(Background NRT Service)의 컨셉 모델(Conceptual Model)을 도시하고 있다.
(1) NRT 연동 TV 서비스
도 6은 NRT 연동 TV 서비스의 시나리오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에 있어서, 방송 스트림에는, 비디오 컴포넌트, 오디오 컴포넌트, NRT 컴포넌트, SLS 시그널링 및 ESG(Electronic Service Guide) 서비스의 스트림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도 6의 방송 스트림에서는, 설명을 간략화하기 위해 도시하지 않지만, LLS 시그널링 등의 다른 스트림이 포함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은 방송 스트림이, 송신 장치(10)로부터, 전송로(30)를 통해 수신 장치(20)에 전송되는 경우에, 수신 장치(20)에 있어서 제공되는 NRT 연동 TV 서비스는 다음과 같이 실현된다.
즉, 수신 장치(20)에서는, 유저의 선국 조작 등에 따라서, 비디오 컴포넌트 및 오디오 컴포넌트의 스트림이 수신되어, 처리됨으로써, 텔레비전 프로그램 등의 방송 콘텐츠가 재생된다. 이에 의해, 수신 장치(20)에서는, 방송 콘텐츠의 영상이 표시부에 표시되고, 그 영상에 동기한 음성이 스피커로부터 출력된다.
또한, 수신 장치(20)에서는, SLS 시그널링으로서, 연동 애플리케이션(Linked App)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AIT가 수신되면, 당해 AIT에 따라서, NRT 컴포넌트로서 전송되고 있는 연동 애플리케이션(Linked App)이 취득된다(S11). 그리고, 수신 장치(20)에서는, 당해 AIT에 따라서, 연동 애플리케이션(Linked App)이 기동된다(S12).
이와 같이 하여, 수신 장치(20)에서는, 텔레비전 프로그램 등의 방송 콘텐츠에 대하여 연동 애플리케이션(Linked App)이 연동하여 실행되고, 수신 장치(20)에서는, 방송 콘텐츠의 영상과 함께, 연동 애플리케이션(Linked App)의 영상이 표시된다.
(2) 포어그라운드 NRT 서비스
도 7은 포어그라운드 NRT 서비스의 시나리오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에 있어서, 방송 스트림에는, NRT 컴포넌트, SLS 시그널링 및 ESG 서비스의 스트림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도 7의 방송 스트림에서는, 설명을 간략화하기 위해 도시하지 않지만, LLS 시그널링 등의 다른 스트림이 포함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NRT 컴포넌트의 스트림은, 1개에 한하지 않고, 복수의 NRT 컴포넌트의 스트림이 전송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은 방송 스트림이, 송신 장치(10)로부터, 전송로(30)를 통해 수신 장치(20)에 전송되는 경우에, 수신 장치(20)에 있어서 제공되는 포어그라운드 NRT 서비스는 다음과 같이 실현된다.
즉, 수신 장치(20)에서는, 유저의 선국 조작(포털의 표시 지시) 등에 따라서, 포어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FG App)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AIT가 수신되면, 당해 AIT에 따라서, NRT 컴포넌트로서 전송되는 포어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FG App)이 취득된다(S21). 그리고, 수신 장치(20)에서는, 당해 AIT에 따라서, 포어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FG App)이 기동된다(S22).
이와 같이 하여, 수신 장치(20)에서는, 포어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FG App)이 실행되고, 포어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FG App)에 따른 포털(포털 페이지)의 영상이 전체 화면에 표시된다. 즉, 포어그라운드 NRT 서비스에서는, 텔레비전 프로그램 등의 방송 콘텐츠의 영상은 표시되지 않고, 포털(포털 페이지)의 영상만이 전체 화면에 표시되게 된다.
(3) 백그라운드 NRT 서비스
(3-1) APP 데이터 타입
(시나리오의 예)
도 8은 APP 데이터 타입의 백그라운드 NRT 서비스의 시나리오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에 있어서, 방송 스트림에는, NRT 컴포넌트 및 SLS 시그널링의 스트림이 포함되어 있다. 단, 도 8의 방송 스트림에서는, 설명을 간략화하기 위해 도시하지 않지만, LLS 시그널링이나 ESG 서비스 등의 다른 스트림이 포함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NRT 컴포넌트의 스트림은, 1개에 한하지 않고, 복수의 NRT 컴포넌트의 스트림이 전송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은 방송 스트림이, 송신 장치(10)로부터, 전송로(30)를 통해 수신 장치(20)에 전송되는 경우에, 수신 장치(20)에 있어서 제공되는 백그라운드 NRT 서비스(APP 데이터 타입)는 다음과 같이 실현된다.
즉, 수신 장치(20)에서는, 연동 애플리케이션(Linked App) 또는 포어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FG App)에 의해, 프로그램 예약 선국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가 실행되면, NRT 서비스의 선국 동작의 예약이 행해진다(S31-1, S31-2). 이에 의해, 축적 대상인 NRT 콘텐츠의 예약이 완료되게 된다. 또한, 여기에서는, 프로그램 예약 선국 API 대신에, 시리즈 예약 선국 API가 실행되어, 프로그램 단위가 아니라, 시리즈 단위로, NRT 서비스의 선국 동작의 예약이 행해지도록 해도 된다.
그 후, 수신 장치(20)에서는, 프로그램 예약 선국 API에서 지정한 프로그램의 예약 실행 시각(예약 개시 시각)이 되면, 해당하는 NRT 서비스가 선국된다. 수신 장치(20)는, 선국한 NRT 서비스에 있어서, 백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BG App)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AIT가 수신되면, 당해 AIT에 따라서, NRT 컴포넌트로서 전송되는 백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BG App)이 취득된다(S32). 그리고, 수신 장치(20)에서는, 당해 AIT에 따라서, 백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BG App)이 기동된다(S33).
이때, 백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BG App)은 백그라운드(뒷쪽)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이기 때문에, 비표시로 된다. 그리고, 이 백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BG App)에 의해, NRT 다운로드 API가 실행된다(S34).
수신 장치(20)에서는, 백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BG App)에 의한 NRT 다운로드 API의 실행에 따라서, NRT 컴포넌트로서 전송되는 DIT 메타데이터가 취득된다(S35, S36). 그리고, 백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BG App)은, 취득된 DIT 메타데이터에 기초하여, NRT 컴포넌트로서 전송되는 대상 파일군(Stored App, AITs) 및 그 참조 파일군(Content Meta, Content Resource)(의 데이터)을 취득한다(S37, S38).
여기서, 대상 파일군에는, 스토어드 애플리케이션(Stored App)과 그 제어 정보인 AITs가 포함된다. 또한, 참조 파일군에는, 콘텐츠 리소스(Content Resource)와, 그 메타데이터인 콘텐츠 메타데이터(Content Meta)가 포함된다.
이와 같이, 수신 장치(20)에서는, 백그라운드에서 동작하는 비표시의 백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BG App)에 의해, DIT 메타데이터에 따라서 취득된 대상 파일군(Stored App, AITs) 및 참조 파일군(Content Meta, Content Resource)이 스토리지에 축적되게 된다(도면 중의 점선으로 나타내는 「Storage」). 또한, 도 8의 스토리지(Storage)는 도 20의 수신 장치(20)의 스토리지(212)에 대응하는 것이다.
그 후, 수신 장치(20)에서는, 연동 애플리케이션(Linked App) 또는 포어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FG App)에 의해,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취득 API가 실행되면, 스토리지(Storage)에 축적된 스토어드 애플리케이션(Stored App)의 리스트가 취득되어, 표시된다(S39-1, S39-2). 그리고, 예를 들어 유저에 의해, 스토어드 애플리케이션(Stored App)의 리스트 중에서 선택된 스토어드 애플리케이션(Stored App)이 AITs에 따라서, 기동된다(S40).
여기서, 스토어드 애플리케이션(Stored App)은, 예를 들어 동화상이나 음악 등의 NRT 콘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플레이어 등이다. 그리고, 이 스토어드 애플리케이션(Stored App)은 콘텐츠 메타데이터에 기초하여, 동화상이나 음악 등의 NRT 콘텐츠(콘텐츠 리소스)에 관한 정보를 제시하거나(S41), NRT 콘텐츠(콘텐츠 리소스)를 재생(다운로드 재생)하거나 한다(S42).
또한, 예를 들어 스토어드 애플리케이션(Stored App)이, 프로그램 예약 선국 API를 실행하여, NRT 서비스의 선국 동작의 예약을 행하는 등(S43), 방송 애플리케이션(BCA)이 각종 API(후술하는 도 14 내지 도 17의 API)를 실행함으로써, 그것들의 API에 따른 각종 처리가 실행된다.
즉, 수신 장치(20)에 있어서, 방송 애플리케이션(BCA)이 각종 API에 따른 처리를 행함으로써, 소위, 방송 애플리케이션(BCA)이 연쇄적으로(체인하여) 동작하게 된다. 또한, 방송 애플리케이션(BCA)에 의한 각종 API에 따른 처리의 상세에 대해서는 도 9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이와 같이 하여, 수신 장치(20)에서는, NRT 서비스의 선국 동작의 예약 개시 시각이 되었을 때, 해당하는 NRT 서비스의 수신을 개시하여, AIT에 따라서 백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BG App)을 취득한 후에, 비표시의 백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BG App)의 실행이 개시되고, DIT 메타데이터에 따라서, 스토어드 애플리케이션(Stored App)이나 콘텐츠 리소스 등이, 스토리지(Storage)에 축적된다. 그리고, 수신 장치(20)에서는, 이 스토리지에 축적된 스토어드 애플리케이션(Stored App)이 각종 API에 따라서 동작함으로써, NRT 콘텐츠에 관한 처리 등이 행해진다.
이에 의해, APP 데이터 타입의 백그라운드 NRT 서비스에서는, NRT 콘텐츠의 다운로드 재생을 행하기 위한 처리가, 백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BG App)이나 스토어드 애플리케이션(Stored App) 등의 방송 애플리케이션(BCA)의 실장에 의해 실현되게 되기 때문에, 레지던트 애플리케이션(RA)의 실장 부담을 보다 적게 하여, NRT 콘텐츠의 다운로드 재생을 행할 수 있다.
(API에 의한 처리의 예)
도 9는 APP 데이터 타입의 백그라운드 NRT 서비스에 있어서의 애플리케이션과 스토리지의 데이터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단, 도 9에 있어서, 수신 장치(20)에서는, 연동 애플리케이션(Linked App) 또는 포어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FG App)에 의해, 프로그램 예약 선국 API 또는 시리즈 예약 선국 API가 실행되어, NRT 서비스의 선국 동작이 예약 완료된 것으로 한다. 또한, 도 9에 있어서, 일점쇄선으로 나타내어진 타원으로 둘러싸인 스토리지(Storage)는 도 20의 수신 장치(20)의 스토리지(212)에 대응하고 있다.
도 9에 있어서, 수신 장치(20)에서는, NRT 서비스의 선국 동작의 예약 개시 시각이 되었을 때, 해당하는 NRT 서비스를 선국함으로써 취득된 백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BG App)이 비표시로 기동되고, 이 백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BG App)에 의해, NRT 다운로드 API가 실행된다. 이에 의해, DIT 메타데이터가 취득되므로, 백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BG App)은 DIT 메타데이터에 기초하여, NRT 컴포넌트로서 전송되는 대상 파일군 및 참조 파일군(의 데이터)을 취득하여, 스토리지(Storage)에 축적한다.
이에 의해, 수신 장치(20)의 스토리지(Storage)에는, 대상 파일군 및 참조 파일군(의 데이터)이 축적된다. 즉, 당해 스토리지(Storage)에는, 대상 파일군으로서의, 스토어드 애플리케이션(Stored App)과 그 제어 정보인 AITs와, 참조 파일군으로서의, 콘텐츠 리소스(Content Resource)와 그 메타데이터인 콘텐츠 메타데이터(Content Meta)가 축적된다. 또한, 도 9의 스토리지(Storage)에는, 현재의 타이밍에서 축적된 대상 파일군 및 참조 파일군(의 데이터) 외에, 그 전의 타이밍에서, 다른 데이터(대상 파일군 및 참조 파일군의 데이터)도 축적 완료된 것으로 한다.
그 후, 수신 장치(20)에 있어서는, 연동 애플리케이션(Linked App), 포어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FG App), 또는 스토어드 애플리케이션(Stored App)에 의해,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취득 API가 실행된 경우, 스토리지(Storage)에 축적된 1개 또는 복수의 AITs에 기초하여, 스토리지(Storage)에 축적된 스토어드 애플리케이션(Stored App)의 리스트가 생성되어, 표시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유저에 의해, 스토어드 애플리케이션(Stored App)의 리스트 중에서 선택된 스토어드 애플리케이션(Stored App)이, 대응하는 AITs에 따라서, 기동되게 된다.
또한, 수신 장치(20)에 있어서는, 연동 애플리케이션(Linked App), 포어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FG App), 또는 스토어드 애플리케이션(Stored App)에 의해, 애플리케이션 천이 API가 실행된 경우, 스토리지(Storage)에 축적된 1개 또는 복수의 AITs 중, 천이의 대상인 스토어드 애플리케이션(Stored App)에 대응하는 AITs에 기초하여, 천이 대상인 스토어드 애플리케이션(Stored App)이 기동된다. 이에 의해, 연동 애플리케이션(Linked App), 포어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FG App), 또는 스토어드 애플리케이션(Stored App)으로부터, 천이 대상인 스토어드 애플리케이션(Stored App)으로의 천이가 행해진다.
스토어드 애플리케이션(Stored App)은, 예를 들어 동화상이나 음악 등의 NRT 콘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플레이어(player) 등이다.
스토어드 애플리케이션(Stored App)에 의해, 콘텐츠 리스트 취득 API가 실행된 경우, 스토리지(Storage)에 축적된 1개 또는 복수의 콘텐츠 메타데이터(Content Meta)에 기초하여, 스토리지(Storage)에 축적된 NRT 콘텐츠(콘텐츠 리소스(Content Resource))의 리스트가 생성되어, 표시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유저에 의해, NRT 콘텐츠의 리스트 중에서 선택된, 동화상이나 음악 등의 NRT 콘텐츠(콘텐츠 리소스(Content Resource))가 재생되게 된다.
또한, 스토어드 애플리케이션(Stored App)에 의해, 콘텐츠 정보 취득 API가 실행된 경우, 스토리지(Storage)에 축적된 1개 또는 복수의 콘텐츠 메타데이터(Content Meta) 중, 취득의 대상인 콘텐츠 메타데이터(Content Meta)에 기초하여, NRT 콘텐츠에 관한 정보(콘텐츠 정보)가 표시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유저에 의해, 콘텐츠 정보가 표시된 NRT 콘텐츠의 재생이 지시된 경우, 당해 NRT 콘텐츠(콘텐츠 리소스(Content Resource))의 재생이 개시된다.
또한, 스토어드 애플리케이션(Stored App)에 의해, 콘텐츠 재생 API가 실행된 경우, 스토리지(Storage)에 축적된 NRT 콘텐츠 중, 재생의 대상인 동화상이나 음악 등의 NRT 콘텐츠(콘텐츠 리소스(Content Resource))가 재생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수신 장치(20)에서는, APP 데이터 타입의 백그라운드 NRT 서비스에 따른 동작을 행하는 경우, 연동 애플리케이션(Linked App), 포어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FG App), 백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BG App), 또는, 스토어드 애플리케이션(Stored App)이 각종 API를 실행함으로써, API에 따른 각종 처리가 실행된다. 즉, 수신 장치(20)에 있어서, 방송 애플리케이션(BCA)이 각종 API에 따른 처리를 행함으로써, 소위, 방송 애플리케이션(BCA)이 연쇄적으로(체인하여) 동작하게 된다.
또한, 도 9에 있어서는, 방송 애플리케이션(BCA)이 API에 따른 각종 처리를 실행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예를 들어 레지던트 애플리케이션(RA)이, 스토리지(Storage)에 축적된 AITs에 따라서, 스토어드 애플리케이션(Stored App)을 기동하도록 하는 등, 방송 애플리케이션(BCA) 이외의 애플리케이션이, 스토리지(Storage)에 축적된 데이터를 처리해도 된다.
(3-2) RAW 데이터 타입
도 10은 RAW 데이터 타입의 백그라운드 NRT 서비스의 시나리오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에 있어서, 방송 스트림에는, NRT 컴포넌트 및 SLS 시그널링의 스트림이 포함되어 있다. 단, 도 10의 방송 스트림에서는, 설명을 간략화하기 위해 도시하지 않지만, LLS 시그널링이나 ESG 서비스 등의 다른 스트림이 포함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NRT 컴포넌트의 스트림은 1개에 한하지 않고, 복수의 NRT 컴포넌트의 스트림이 전송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은 방송 스트림이, 송신 장치(10)로부터, 전송로(30)를 통해 수신 장치(20)에 전송되는 경우에, 수신 장치(20)에 있어서 제공되는 백그라운드 NRT 서비스(RAW 데이터 타입)는 다음과 같이 실현된다.
즉, 수신 장치(20)에서는, 연동 애플리케이션(Linked App) 또는 포어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FG App)에 의해, 프로그램 예약 선국 API가 실행되면, NRT 서비스의 선국 동작의 예약이 행해진다(S51-1, S51-2). 이에 의해, 축적 대상인 NRT 콘텐츠의 예약이 완료되게 된다. 또한, 여기에서는, 프로그램 예약 선국 API 대신에, 시리즈 예약 선국 API에 의해, NRT 서비스의 선국 동작의 예약이 행해지도록 해도 된다.
그 후, 수신 장치(20)에서는, 프로그램 예약 선국 API에서 지정한 프로그램의 예약 실행 시각(예약 개시 시각)이 되면, 해당하는 NRT 서비스가 선국된다. 수신 장치(20)는 선국한 NRT 서비스에 있어서, 백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BG App)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AIT가 수신되면, 당해 AIT에 따라서, NRT 컴포넌트로서 전송되는 백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BG App)이 취득된다(S52). 그리고, 수신 장치(20)에서는, 당해 AIT에 따라서, 백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BG App)이 기동된다(S53).
이때, 백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BG App)은 비표시로 실행된다. 그리고, 이 백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BG App)에 의해, NRT 다운로드 API가 실행된다(S54).
수신 장치(20)에서는, 백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BG App)에 의한 NRT 다운로드 API의 실행에 따라서, NRT 컴포넌트로서 전송되는 DIT 메타데이터가 취득된다(S55, S56). 그리고, 백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BG App)은 취득된 DIT 메타데이터에 기초하여, NRT 컴포넌트로서 전송되는 참조 파일군(Content Meta, Content Resource)(의 데이터)을 취득한다(S57, S58).
여기서, 참조 파일군에는, 콘텐츠 리소스(Content Resource)와, 그 메타데이터인 콘텐츠 메타데이터(Content Meta)가 포함된다.
이와 같이, 수신 장치(20)에서는, 백그라운드에서 동작하는 비표시의 스토어드 애플리케이션(Stored App)에 의해, DIT 메타데이터에 따라서 취득된 참조 파일군(Stored App, AITs)이 스토리지(Storage)에 축적되게 된다. 또한, 도 10의 스토리지(Storage)는 도 20의 수신 장치(20)의 스토리지(212)에 대응하는 것이다.
그 후, 수신 장치(20)에서는, 연동 애플리케이션(Linked App) 또는 포어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FG App)에 의해, 콘텐츠 정보 취득 API가 실행된 경우(S59-1, 59-2), 스토리지(Storage)에 축적된 콘텐츠 메타데이터(Content Meta)에 기초하여, NRT 콘텐츠에 관한 정보(콘텐츠 정보)가 표시된다(S60).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유저에 의해, 콘텐츠 정보가 표시된 NRT 콘텐츠의 재생이 지시된 경우, 당해 NRT 콘텐츠(콘텐츠 리소스(Content Resource))의 재생이 개시된다.
또한, 연동 애플리케이션(Linked App) 또는 포어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FG App)에 의해, 콘텐츠 재생 API가 실행된 경우, 스토리지(Storage)에 축적된 NRT 콘텐츠(콘텐츠 리소스(Content Resource))가 재생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수신 장치(20)에서는, NRT 서비스의 선국 동작의 예약 개시 시각이 되었을 때, 해당하는 NRT 서비스의 수신을 개시하여, AIT에 따라서 백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BG App)을 취득한 후에, 비표시의 백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BG App)의 실행이 개시되고, DIT 메타데이터에 따라서, 콘텐츠 리소스(Content Resource) 및 콘텐츠 메타데이터(Content Meta)를 포함하는 참조 파일군만이, 스토리지(Storage)에 축적된다. 그리고, 수신 장치(20)에서는, 연동 애플리케이션(Linked App) 또는 포어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FG App) 등의 방송 애플리케이션(BCA)에 의해, 각종 API를 실행함으로써, NRT 콘텐츠에 관한 처리가 행해진다.
이에 의해, RAW 데이터 타입의 백그라운드 NRT 서비스에서는, NRT 콘텐츠의 다운로드 재생을 행하기 위한 처리가, 백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BG App) 등의 방송 애플리케이션(BCA)의 실장에 의해 실현되게 되기 때문에, 레지던트 애플리케이션(RA)의 실장 부담을 보다 적게 하여, NRT 콘텐츠의 다운로드 재생을 행할 수 있다.
(API에 의한 처리의 예)
도 11은 RAW 데이터 타입의 백그라운드 NRT 서비스에 있어서의 애플리케이션과 스토리지의 데이터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단, 도 11에 있어서, 수신 장치(20)에서는, 연동 애플리케이션(Linked App) 또는 포어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FG App)에 의해, 프로그램 예약 선국 API 또는 시리즈 예약 선국 API가 실행되어, NRT 서비스의 선국 동작이 예약 완료된 것으로 한다. 또한, 도 11에 있어서도, 일점쇄선으로 나타내어진 타원으로 둘러싸인 스토리지(Storage)는 도 20의 수신 장치(20)의 스토리지(212)에 대응하고 있다.
도 11에 있어서, 수신 장치(20)에서는, NRT 서비스의 선국 동작의 예약 개시 시각이 되었을 때, 해당하는 NRT 서비스를 선국함으로써 취득된 백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BG App)이 비표시로 기동되고, 이 백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BG App)에 의해, NRT 다운로드 API가 실행된다. 이에 의해, DIT 메타데이터가 취득되므로, 백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BG App)은 DIT 메타데이터에 기초하여, NRT 컴포넌트로서 전송되는 참조 파일군(의 데이터)만을 취득하고, 스토리지(Storage)에 축적한다.
이에 의해, 수신 장치(20)의 스토리지(Storage)에는, 참조 파일군(의 데이터)만이 축적된다. 즉, 당해 스토리지(Storage)에는, 참조 파일군으로서의, 콘텐츠 리소스(Content Resource)와 그 메타데이터인 콘텐츠 메타데이터(Content Meta)가 축적된다. 또한, 도 11의 스토리지(Storage)에는, 현재의 타이밍에서 축적된 참조 파일군(의 데이터) 외에, 그 전의 타이밍에서, 다른 데이터(대상 파일군 및 참조 파일군의 데이터)도 축적 완료된 것으로 한다.
그 후, 수신 장치(20)에 있어서는, 연동 애플리케이션(Linked App), 포어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FG App), 또는 스토어드 애플리케이션(Stored App)에 의해, 콘텐츠 리스트 취득 API가 실행된 경우, 스토리지(Storage)에 축적된 1개 또는 복수의 콘텐츠 메타데이터(Content Meta)에 기초하여, 스토리지(Storage)에 축적된 NRT 콘텐츠(콘텐츠 리소스(Content Resource))의 리스트가 생성되어, 표시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유저에 의해, NRT 콘텐츠의 리스트 중에서 선택된, 동화상이나 음악 등의 NRT 콘텐츠(콘텐츠 리소스(Content Resource))가 재생되게 된다.
또한, 연동 애플리케이션(Linked App), 포어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FG App), 또는 스토어드 애플리케이션(Stored App)에 의해, 콘텐츠 정보 취득 API가 실행된 경우, 스토리지(Storage)에 축적된 1개 또는 복수의 콘텐츠 메타데이터(Content Meta) 중, 취득의 대상인 콘텐츠 메타데이터(Content Meta)에 기초하여, NRT 콘텐츠에 관한 정보(콘텐츠 정보)가 표시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유저에 의해, 콘텐츠 정보가 표시된 NRT 콘텐츠의 재생이 지시된 경우, 당해 NRT 콘텐츠(콘텐츠 리소스(Content Resource))의 재생이 개시된다.
또한, 연동 애플리케이션(Linked App), 포어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FG App), 또는 스토어드 애플리케이션(Stored App)에 의해, 콘텐츠 재생 API가 실행된 경우, 스토리지(Storage)에 축적된 NRT 콘텐츠 중, 재생의 대상인 동화상이나 음악 등의 NRT 콘텐츠(콘텐츠 리소스(Content Resource))가 재생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수신 장치(20)에서는, RAW 데이터 타입의 백그라운드 NRT 서비스에 따른 동작을 행하는 경우, 연동 애플리케이션(Linked App), 포어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FG App), 백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BG App), 또는, 스토어드 애플리케이션(Stored App)이 각종 API를 실행함으로써, API에 따른 각종 처리가 실행된다. 즉, 수신 장치(20)에 있어서, 방송 애플리케이션(BCA)이 각종 API에 따른 처리를 행함으로써, 소위, 방송 애플리케이션(BCA)이 연쇄적으로(체인하여) 동작하게 된다.
또한, 도 11에 있어서는, 스토어드 애플리케이션(Stored App)은 현재의 타이밍보다도 전의 타이밍에서 축적된 대상 파일군(의 데이터)에 포함되는 것이다. 즉, 도 11에 있어서, 수신 장치(20)의 스토리지(Storage)에는, APP 데이터 타입의 백그라운드 NRT 서비스에 의해 제공된 대상 파일군 및 참조 파일군(의 데이터)과, RAW 데이터 타입의 백그라운드 NRT 서비스에 의해 제공된 참조 파일군(의 데이터)이 혼재되어 있게 된다.
(상태 천이도)
도 12는 NRT 서비스의 상태 천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지던트 애플리케이션(RA)의 동작, 또는 전자 서비스 가이드(ESG) 등에 의한 선국 동작에 따라서, NRT 연동 TV 서비스(NRT embedded TV Service) 또는 포어그라운드 NRT 서비스(Foreground NRT Service)가 개시됨으로써, 연동 애플리케이션(Linked App) 또는 포어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FG App)이 기동된다.
그리고, 연동 애플리케이션(Linked App) 또는 포어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FG App)에 의해, NRT 서비스의 선국 동작의 예약이 행해지면, 그 선국 동작의 예약에 따라서, 백그라운드 NRT 서비스(Background NRT Service)의 수신이 개시되고, 백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BG App)이 기동된다. 이 백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BG App)에 의해, 스토어드 애플리케이션(Stored App)이나, NRT 콘텐츠의 콘텐츠 리소스(Content Resource) 등의 다운로드가 행해지고, 그것들의 데이터가 스토리지에 축적된다.
여기서, 예를 들어 연동 애플리케이션(Linked App), 포어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FG App), 또는 스토어드 애플리케이션(Stored App)은 각종 API를 실행함으로써, 스토리지에 축적된 스토어드 애플리케이션(Stored App)으로 천이할 수 있다. 또한, 연동 애플리케이션(Linked App), 포어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FG App), 또는 스토어드 애플리케이션(Stored App)은 각종 API를 실행함으로써, 스토리지에 축적된 NRT 콘텐츠의 콘텐츠 리소스(Content Resource)에 대한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레지던트 애플리케이션(RA)이 스토리지에 축적된 스토어드 애플리케이션(Stored App)을 기동하는 등, 방송 애플리케이션(BCA) 이외의 애플리케이션이 스토리지에 축적된 데이터를 처리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설명의 사정상, NRT 서비스를, NRT 연동 TV 서비스, 포어그라운드 NRT 서비스 및 백그라운드 NRT 서비스로 분류하고, 백그라운드 NRT 서비스에 의해, 대상 파일군 및 참조 파일군(또는 참조 파일군만)의 NRT 컴포넌트가 제공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당해 NRT 컴포넌트는, NRT 연동 TV 서비스 또는 포어그라운드 NRT 서비스에 의해 제공되도록 해도 된다.
여기서, 도 13의 A에는, NRT 연동 TV 서비스에 의해, 대상 파일군 및 참조 파일군의 NRT 컴포넌트가 제공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13의 B에는, 포어그라운드 NRT 서비스에 의해, 대상 파일군 및 참조 파일군의 NRT 컴포넌트가 제공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4. NRT 서비스에서 사용되는 API의 예>
(프로그램 예약 선국 API)
도 14는 프로그램 예약 선국 API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프로그램 예약 선국 API는, 지정한 액션 타입(action_type)의 선국 동작을 예약하기 위한 API이다.
프로그램 예약 선국 API는, 인수로서, broadcast_stream_id, service_id, reservation_start_time, reservation_duration, schedule_fragment_uri, 및, action_type를 지정할 수 있다.
broadcast_stream_id에는, 선국 대상인 주파수 대역(RF 대역)을 식별하는 식별자인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ID가 지정된다. service_id에는, 선국 대상인 서비스를 식별하는 식별자인 서비스 ID가 지정된다. 즉,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ID와 서비스 ID에 의해, 선국 대상의 특정한 서비스가 식별되게 된다.
reservation_start_time에는, 선국을 개시하는 시각을 나타내는 선국 개시 시각이 지정된다. reservation_duration에는, 선국하고 있는 시간을 나타내는 선국 시간이 지정된다.
또한, reservation_start_time와, reservation_duration은, 옵션으로 되며, 인수로서 지정할지 여부는 임의이다. 즉, 예를 들어 ESG 서비스를 이용하여 예약 대상의 서비스 시각 정보를 취득하는 경우에는, reservation_start_time와 reservation_duration을 지정할 필요는 없다.
schedule_fragment_uri에는, 예약 대상인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ID가 지정된다. 또한, schedule_fragment_uri는, 옵션으로 되며, 인수로서 지정할지 여부는 임의이다.
action_type에는, 선국 시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입 정보가 지정된다. 예를 들어, action_type로서, "1"이 지정된 경우, 통상의 선국 재생이 행해지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예를 들어 action_type로서, "2"가 지정된 경우, 백그라운드에서의 선국 재생이 행해지는 것을 의미한다. 즉, 백그라운드 NRT 서비스에서, 프로그램 예약 선국 API가 실행되는 경우, action_type에는 "2"가 지정된다. 또한, 예를 들어 action_type로서 "3"이 지정된 경우, 녹화(또는 재생과 녹화)가 행해지는 것을 의미한다.
(NRT 다운로드 API)
도 15는 NRT 다운로드 API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NRT 다운로드 API는, 수신 장치(20)에서 현재 수신 중인 NRT 서비스에 의해 전송되고 있는 특정한 파일(군)을 취득하고, 스토리지에 축적하기 위한 API이다.
NRT 다운로드 API는, 인수로서, dit_uri를 지정할 수 있다.
dit_uri에는, DIT 메타데이터의 취득처의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가 지정된다.
(애플리케이션 천이 API)
도 16은 애플리케이션 천이 API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애플리케이션 천이 API는, 당해 메소드를 실행한 방송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하고, 인수로 지정하는 방송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는 API이다.
애플리케이션 천이 API는, organization_id, application_id, 및, ait_uri를 인수로서 지정할 수 있다.
organization_id에는, 기동해야 할 방송 애플리케이션(BCA)의 사업자를 식별하는 식별자인 사업자 ID가 지정된다. application_id에는, 기동해야 할 방송 애플리케이션(BCA)을 식별하는 식별자인 애플리케이션 ID가 지정된다. 즉, 사업자 ID와 애플리케이션 ID에 의해, 기동해야 할 천이처의 방송 애플리케이션(BCA)이 식별되게 된다.
ait_uri에는, 천이처의 방송 애플리케이션(BCA)의 AIT의 로케이션 정보(예를 들어, URL)가 지정된다. 예를 들어, 천이처의 방송 애플리케이션(BCA)이 스토어드 애플리케이션(Stored App)이 되는 경우에는, ait_uri로서, 그 스토어드 애플리케이션(Stored App)에 대응하는 AITs의 URL이 지정된다.
(그 밖의 API)
도 17은 그 밖의 API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취득 API는, 수신 장치(20)의 스토리지에 축적된 스토어드 애플리케이션(Stored App)의 리스트를 취득하기 위한 API이다. 또한, 콘텐츠 리스트 API는, 수신 장치(20)의 스토리지에 축적된 NRT 콘텐츠(콘텐츠 리소스(Content Resource))의 리스트를 취득하기 위한 API이다.
콘텐츠 정보 취득 API는, 수신 장치(20)의 스토리지에 축적된 NRT 콘텐츠의 메타데이터(콘텐츠 메타데이터(Content Meta))에 포함되는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API이다. 또한, 콘텐츠 재생 API는, 수신 장치(20)의 스토리지에 축적된 NRT 콘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API이다.
시리즈 예약 선국 API는, 시리즈 단위로, 서비스(예를 들어, NRT 서비스 등)의 선국 동작의 예약을 행하기 위한 API이다. 즉, 프로그램 예약 선국 API(도 14) 대신에, 이 시리즈 예약 선국 API를 실행함으로써, 프로그램 단위가 아니라, 소정의 시리즈 단위로, NRT 서비스의 선국 동작의 예약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여기에 열거한 API는 일례이며, 방송 애플리케이션(BCA)에 의해 실행되는 다른 API가 규정되도록 해도 된다.
<5. 신택스의 예>
(DIT의 신택스)
도 18은 XML 형식의 DIT(Download Information Table)의 신택스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18에 있어서, 요소와 속성 중, 속성에는 「@」가 첨부되어 있다. 또한, 인덴트된 요소와 속성은, 그 상위의 요소에 대하여 지정된 것이 된다.
DIT 요소는 루트 요소이며, dl_id 속성, dl_version 속성, app_included 속성, app_type 속성, organization_id 속성, application_id 속성, app_version 속성, expire 속성, baseURI 속성 및 content_item 요소의 상위 요소가 된다.
dl_id 속성에는, 다운로드의 단위를 식별하는 다운로드 ID가 지정된다. dl_version 속성에는, 동일한 다운로드 ID에 있어서의 버전이 지정된다.
app_included 속성에는, 백그라운드 NRT 서비스에 의해 제공되는 스토어드 애플리케이션(Stored App)이 포함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가 지정된다. 즉, 이 플래그에 의해, 백그라운드 NRT 서비스의 타입이 APP 데이터 타입인지, 혹은, RAW 데이터 타입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pp_included 속성으로서 "0"이 지정된 경우, 스토어드 애플리케이션(Stored App)이 포함되지 않는, RAW 데이터 타입의 백그라운드 NRT 서비스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app_included 속성으로서 "1"이 지정된 경우에는, 스토어드 애플리케이션(Stored App)이 포함되는, APP 데이터 타입의 백그라운드 NRT 서비스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app_type 속성, organization_id 속성, application_id 속성 및 app_version 속성에는,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가 지정되지만, 이들 속성에는, app_included 속성으로서 "1"이 지정된 경우(APP 데이터 타입의 백그라운드 NRT 서비스의 경우)에는, 스토어드 애플리케이션(Stored App)에 관한 정보가 지정된다. 한편, app_included 속성으로서 "0"이 지정된 경우(RAW 데이터 타입의 백그라운드 NRT 서비스의 경우)에는, 이들 속성에는 NRT 콘텐츠(콘텐츠 리소스(Content Resource))를 참조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가 지정된다.
app_type 속성에는, 애플리케이션의 타입이 지정된다. 예를 들어, app_type 속성으로서 "std"가 지정된 경우, AIT(Application Information Table)에 따라서 기동하는 표준의 방송 애플리케이션(BCA)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app_type 속성으로서는, 예를 들어 "android"나 "iOS" 등의 실행 환경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지정할 수 있다. "android"는, Android(등록 상표)의 플랫폼 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iOS"는, iOS(등록 상표)의 플랫폼 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organization_id 속성에는 사업자 ID가 지정된다. application_id 속성에는,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는 애플리케이션 ID가 지정된다. 즉, 사업자 ID와 애플리케이션 ID에 의해, 대상인 애플리케이션이 식별되게 된다. app_version 속성에는 애플리케이션의 버전이 지정된다.
expire 속성에는, 애플리케이션이나 NRT 콘텐츠 등의 파일의 유지 기한이 지정된다.
baseURI 속성에는, 다운로드 대상인 파일의 URL 중, 공통 부분의 기본이 되는 URL(베이스 URL)이 지정된다.
content_item 요소에는, 다운로드 대상인 파일에 관한 정보가 지정된다. content_item 요소는, item_path 속성, item_type 속성, item_version 속성, expire 속성 및 essential 속성의 상위 요소가 된다.
item_path 속성에는, 파일의 URL 또는 베이스 URL에 잇따르는 파일의 패스가 지정된다. 즉, baseURI 속성에 의해 지정되는 베이스 URL과, item_path 속성에 의해 지정되는 URL을 결합함으로써, 특정한 파일의 URL이 지정된다. 예를 들어, 이 URL에 의해, ROUTE 세션에 의해 전송되는 파일을 특정하거나, 혹은, 스토리지에 축적된 파일을 특정하거나 할 수 있다.
item_type 속성에는 파일의 타입이 지정된다. item_version 속성에는, 파일의 버전이 지정된다. expire 속성에는, 각 파일의 유지 기한이 지정된다. essential 속성에는, 다운로드가 필수인지, 혹은 옵션인지를 나타내는 플래그가 지정된다. 예를 들어, 플레이어 등의, 동일한 스토어드 애플리케이션(Stored App)이 다운로드 완료되어, 재차 다운로드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essential 속성으로서, "0"이 지정된다.
또한, 도 18에 있어서, 출현수(Cardinality)이지만, "1"이 지정된 경우에는 그 요소 또는 속성은 반드시 1개만 지정되고, "0..1"이 지정된 경우에는, 그 요소 또는 속성을 지정할지 여부는 임의이다. 또한, "1.. N"이 지정된 경우에는, 그 요소 또는 속성은 1 이상 지정되고, "0.. N"이 지정된 경우에는, 그 요소 또는 속성을 1 이상 지정할지 여부는 임의이다.
또한, data_type로서, "unsigned Short" 또는 "unsigned integer"이 지정된 경우, 그 요소 또는 속성의 값이 정수형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Data Type로서, "Boolean"이 지정된 경우에는, 그 요소 또는 속성이 불린형인 것을 나타내고, "string"이 지정된 경우에는, 그 요소 또는 속성의 값이, 문자열형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Data Type로서, "dateTime"가 지정된 경우, 그 요소 또는 속성이 일시형인 것을 나타내고, "anyURI"가 지정된 경우, 그 요소 또는 속성의 값이 anyURI 데이터형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8에 도시한 DIT의 신택스는 일례이며, 예를 들어 다른 요소나 속성을 추가하거나, 혹은 일부의 요소나 속성을 삭제하거나 하는 등, 다른 신택스를 채용해도 된다. 또한, DIT는 XML 형식에 한하지 않고, 다른 마크업 언어에 의해 기술해도 되고, 혹은 섹션 형식이어도 된다.
<6. 각 장치의 구성>
다음에, 도 1의 전송 시스템을 구성하는, 송신 장치(10)와 수신 장치(20)의 상세한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송신 장치의 구성)
도 19는 도 1의 송신 장치(10)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송신 장치(10)는, 예를 들어 ATSC3.0 등의 소정의 방송 규격에 준거한 송신기이며, 데이터 전송을, IP 전송 방식의 디지털 방송 신호에 의해 행한다.
도 19에 있어서, 송신 장치(10)는 비디오 취득부(101), 비디오 인코더(102), 오디오 취득부(103), 오디오 인코더(104), NRT 컴포넌트 생성부(105), NRT 컴포넌트 처리부(106), 시그널링 생성부(107), 시그널링 처리부(108), 멀티플렉서(109) 및 송신부(110)로 구성된다.
비디오 취득부(101)는 텔레비전 프로그램 등의 방송 콘텐츠를 구성하는 비디오 컴포넌트의 데이터를 취득하여, 비디오 인코더(102)에 공급한다. 비디오 인코더(102)는 비디오 취득부(101)로부터 공급되는 비디오 컴포넌트의 데이터를, 소정의 부호화 방식에 따라서 인코딩하여, 멀티플렉서(109)에 공급한다.
오디오 취득부(103)는 텔레비전 프로그램 등의 방송 콘텐츠를 구성하는 오디오 컴포넌트의 데이터를 취득하여, 오디오 인코더(104)에 공급한다. 오디오 인코더(104)는 오디오 취득부(103)로부터 공급되는 오디오 컴포넌트의 데이터를, 소정의 부호화 방식에 따라서 인코딩하여, 멀티플렉서(109)에 공급한다.
여기서, 방송 콘텐츠로서는, 예를 들어 중계 장소로부터 전송로나 통신 회선을 통해 보내어져 오는 라이브 콘텐츠(예를 들어, 스포츠 중계 등의 생방송 프로그램)나, 스토리지에 축적되어 있는 수록 완료된 콘텐츠(예를 들어, 드라마 등의 사전 수록 프로그램) 등이 포함된다.
NRT 컴포넌트 생성부(105)는 NRT 컴포넌트를 생성하고, NRT 컴포넌트 처리부(106)에 공급한다. NRT 컴포넌트 처리부(106)는 NRT 컴포넌트 생성부(105)로부터 공급되는 NRT 컴포넌트를 처리하여, 멀티플렉서(109)에 공급한다.
여기서, NRT 컴포넌트로서는, 예를 들어 연동 애플리케이션(Linked App), 포어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FG App), 또는, 백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BG App) 등의 방송 애플리케이션(BCA)이 생성된다. 또한, 백그라운드 NRT 서비스의 운용을 행하는 경우에는, NRT 컴포넌트로서, 대상 파일군(스토어드 애플리케이션(Stored App)이나 AITs)이나 참조 파일군(콘텐츠 메타데이터(Content Meta)나 콘텐츠 리소스(Content Resource)) 등도 생성된다.
또한, 여기에서는, 설명의 사정상, NRT 콘텐츠(콘텐츠 메타데이터(Content Meta))가, NRT 컴포넌트 생성부(105)에 의해 생성되고, NRT 컴포넌트 처리부(106)에 의해 처리되는 것으로서 설명하지만, 비디오 취득부(101)나 오디오 취득부(103) 등에서 처리되는 방송 콘텐츠가, NRT 콘텐츠로서 처리되도록 해도 된다.
시그널링 생성부(107)는 시그널링을 생성하고, 시그널링 처리부(108)에 공급한다. 시그널링 처리부(108)는 시그널링 생성부(107)로부터 공급되는 시그널링을 처리하여, 멀티플렉서(109)에 공급한다.
여기서, 시그널링으로서는, 예를 들어 LLS 시그널링, 또는, SLS 시그널링이 생성된다. LLS 시그널링에는, SLT 등의 메타데이터가 포함된다. 또한, SLS 시그널링에는, AIT 등의 메타데이터가 포함된다. 또한, 백그라운드 NRT 서비스의 운용을 행하는 경우에는, 시그널링으로서, AITs와 DIT 메타데이터가 생성된다. 단, AITs와 DIT 메타데이터는 NRT 컴포넌트로서 처리된다.
멀티플렉서(109)에는, 비디오 인코더(102)로부터 공급되는 인코드된 비디오 컴포넌트의 데이터, 오디오 인코더(104)로부터 공급되는 인코드된 오디오 컴포넌트의 데이터, NRT 컴포넌트 처리부(106)로부터 공급되는 NRT 컴포넌트의 데이터, 또는, 시그널링 처리부(108)로부터 공급되는 시그널링의 데이터가 공급된다.
멀티플렉서(109)는 비디오 컴포넌트의 데이터, 오디오 컴포넌트의 데이터, NRT 컴포넌트의 데이터 및 시그널링의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다중화 스트림을 생성하고, 송신부(110)에 공급한다.
단, 포어그라운드 NRT 서비스 또는 백그라운드 NRT 서비스의 운용을 행하는 경우에는, 방송 콘텐츠를 구성하는 비디오 컴포넌트나 오디오 컴포넌트의 데이터를, 다중화 스트림에 포함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하지만, 전자 서비스 가이드(ESG)나 시각 정보(예를 들어, NTP(Network Time Protocol)) 등의 데이터가 다중화 스트림에 포함되도록 해도 된다.
송신부(110)는 멀티플렉서(109)로부터 공급되는 다중화 스트림을 처리하여, 안테나(121)를 통해, IP 전송 방식의 디지털 방송 신호로서 송신한다.
여기에서는, 예를 들어 다중화 스트림의 데이터에 대한 오류 정정 부호화 처리(예를 들어, BCH 부호화나 LDPC(Low Density Parity Check) 부호화 등)나 변조 처리(예를 들어,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변조 등)가 행해지고, 그 처리의 결과 얻어지는 신호가 RF(Radio Frequency) 신호로 변환되어 송신된다.
송신 장치(10)는 이상과 같이 구성된다. 또한, 도 19에 있어서는, 설명의 사정상, 송신측의 장치가, 송신 장치, 즉, 1개의 장치로 구성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도 19의 블록의 각 기능을 갖는 복수의 장치를 포함하는 송신 시스템으로서 구성되도록 해도 된다.
(수신 장치의 구성)
도 20은 도 1의 수신 장치(20)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수신 장치(20)는, 예를 들어 ATSC3.0 등의 소정의 방송 규격에 준거한 수신기이며, 송신 장치(10)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IP 전송 방식의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한다.
도 20에 있어서, 수신 장치(20)는 제어부(201), 메모리(202), 입력부(203), 수신부(204), 디멀티플렉서(205), 시그널링 처리부(206), 비디오 디코더(207), 비디오 출력부(208), 오디오 디코더(209), 오디오 출력부(210), NRT 컴포넌트 처리부(211), 스토리지(212), 표시부(213) 및 스피커(214)로 구성된다.
제어부(201)는 수신 장치(20)의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메모리(202)는 NVRAM(Non Volatile RAM) 등의 불휘발성 메모리이다. 메모리(202)는 제어부(201)로부터의 제어에 따라서, 각종 데이터를 기억한다.
입력부(203)는 유저로부터의 조작에 따른 조작 신호를, 제어부(201)에 공급한다. 제어부(201)는 입력부(203)로부터의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수신 장치(20)의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수신부(204)는 송신 장치(10)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IP 전송 방식의 디지털 방송 신호를, 안테나(221)를 통해 수신하여 처리하고, 그것에 의해 얻어지는 다중화 스트림을, 디멀티플렉서(205)에 공급한다.
여기에서는, 예를 들어 RF 신호가 IF(Intermediate Frequency) 신호로 주파수 변환되어, 복조 처리(예를 들어 OFDM 복조 등)가 행해지고, 그 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신호에 대한, 오류 정정 복호 처리(예를 들어 LDPC 복호나 BCH 복호 등)가 행해진다.
디멀티플렉서(205)는 제어부(201)로부터의 제어에 따라서, 수신부(204)로부터 공급되는 다중화 스트림을, 비디오 컴포넌트의 데이터, 오디오 컴포넌트의 데이터, NRT 컴포넌트의 데이터, 또는, 시그널링의 데이터로 분리한다.
디멀티플렉서(205)는 비디오 컴포넌트의 데이터를 비디오 디코더(207), 오디오 컴포넌트의 데이터를 오디오 디코더(209), NRT 컴포넌트의 데이터를 NRT 컴포넌트 처리부(211), 시그널링의 데이터를 시그널링 처리부(206)에 각각 공급한다.
단, 여기서는, NRT 컴포넌트의 데이터 중, 백그라운드 NRT 서비스의 운용 시에 있어서의 대상 파일군(Stored App, AITs)이나 참조 파일군(Content Meta, Content Resource)의 데이터는 스토리지(212)에 축적된다.
또한, 포어그라운드 NRT 서비스 또는 백그라운드 NRT 서비스의 운용을 행하는 경우에는, 방송 콘텐츠를 구성하는 비디오 컴포넌트나 오디오 컴포넌트의 데이터가, 다중화 스트림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있다. 또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하지만, 전자 서비스 가이드(ESG)나 시각 정보(예를 들어, NTP) 등의 데이터가 다중화 스트림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그것들의 데이터에 대한 처리도 행해진다.
시그널링 처리부(206)는 디멀티플렉서(205)로부터 공급되는 시그널링을 처리하여, 제어부(201)에 공급한다. 제어부(201)는 시그널링 처리부(206)로부터 공급되는 시그널링의 처리 결과에 기초하여, 방송 콘텐츠에 대한 처리 등을 행하는 수신 장치(20)의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여기서, 시그널링으로서는, 예를 들어 LLS 시그널링, 또는, SLS 시그널링이 처리된다. LLS 시그널링에는 SLT 등의 메타데이터가 포함된다. 또한, SLS 시그널링에는 AIT 등의 메타데이터가 포함된다.
또한, 백그라운드 NRT 서비스의 운용을 행하는 경우에는, 시그널링으로서, DIT 메타데이터가 포함된다. 제어부(201)는 시그널링 처리부(206)로부터 공급되는 DIT 메타데이터의 처리 결과에 기초하여, 방송 애플리케이션(BCA)이나 NRT 컴포넌트에 대한 처리 등을 행하는 수신 장치(20)의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비디오 디코더(207)는 디멀티플렉서(205)로부터 공급되는 비디오 컴포넌트의 데이터를, 소정의 복호 방식에 따라서 디코드하여, 비디오 출력부(208)에 공급한다. 비디오 출력부(208)는 비디오 디코더(207)로부터 공급되는 비디오 컴포넌트의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부(213)에 표시시킨다.
오디오 디코더(209)는 디멀티플렉서(205)로부터 공급되는 오디오 컴포넌트의 데이터를, 소정의 복호 방식에 따라서 디코드하여, 오디오 출력부(210)에 공급한다. 오디오 출력부(210)는 오디오 디코더(209)로부터 공급되는 오디오 컴포넌트의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성을, 스피커(214)로부터 출력시킨다.
이에 의해, 수신 장치(20)에서는, 라이브 콘텐츠(예를 들어, 스포츠 중계 등의 생방송 프로그램)나, 수록 완료된 콘텐츠(예를 들어, 드라마 등의 사전 수록 프로그램) 등의 방송 콘텐츠가 재생되어, 그 영상이나 음성이 출력되게 된다.
NRT 컴포넌트 처리부(211)는 제어부(201)로부터의 제어에 따라서, 디멀티플렉서(205)로부터 공급되는 NRT 컴포넌트의 데이터를 처리하여, 영상에 관한 데이터를, 비디오 출력부(208)에 공급하고, 음성에 관한 데이터를, 오디오 출력부(210)에 공급한다. 여기에서는, NRT 컴포넌트로서, 예를 들어 연동 애플리케이션(Linked App), 포어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FG App), 또는, 백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BG App) 등의 방송 애플리케이션(BCA)이 처리된다.
연동 애플리케이션(Linked App) 및 포어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FG App)은 그 영상이 표시되는 애플리케이션이기 때문에, 당해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가, 비디오 출력부(208)에 공급된다. 이에 의해, 표시부(213)에는, 연동 애플리케이션(Linked App), 또는, 포어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FG App)의 동작에 따른 영상이 표시된다. 한편, 백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BG App)은 백그라운드(뒷쪽)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이기 때문에, 비표시로 된다.
스토리지(212)는 디멀티플렉서(205)로부터 공급되는 NRT 컴포넌트를 축적한다. 스토리지(212)에 축적되는 NRT 컴포넌트로서는, 백그라운드 NRT 서비스의 운용을 행하는 경우에, 대상 파일군(Stored App, AITs)이나 참조 파일군(Content Meta, Content Resource)의 데이터가 축적된다.
NRT 컴포넌트 처리부(211)는 제어부(201)로부터의 제어에 따라서, 스토리지(212)에 축적된 NRT 컴포넌트의 데이터를 판독하여 처리하여, 영상에 관한 데이터를, 비디오 출력부(208)에 공급하고, 음성에 관한 데이터를, 오디오 출력부(210)에 공급한다. 여기에서는, NRT 컴포넌트로서, 대상 파일군(Stored App, AITs)이나 참조 파일군(Content Meta, Content Resource)의 데이터가 처리되고, 스토어드 애플리케이션(Stored App)이나 NRT 콘텐츠에 관한 처리가 행해진다.
스토어드 애플리케이션(Stored App)은 그 영상이 표시되는 애플리케이션이기 때문에, 당해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가 비디오 출력부(208)에 공급된다. 이에 의해, 표시부(213)에는, 스토어드 애플리케이션(Stored App)의 동작에 따른 영상이 표시된다.
또한, 예를 들어 NRT 콘텐츠가 동화상 등인 경우에는, 그 비디오 컴포넌트의 데이터가 비디오 출력부(208)에 공급되고, 그 오디오 컴포넌트의 데이터가 오디오 출력부(210)에 공급되어, 동화상 등의 NRT 콘텐츠의 영상과 음성이 출력(재생)된다. 또한, 예를 들어 NRT 콘텐츠가 음악 등인 경우에는, 그 오디오 컴포넌트의 데이터가 오디오 출력부(210)에 공급되어, 음악 등의 NRT 콘텐츠의 음성이 출력(재생)된다.
수신 장치(20)는 이상과 같이 구성된다. 또한, 수신 장치(20)는, 예를 들어 텔레비전 수상기, 셋톱 박스(STB : Set Top Box), 또는, 녹화기 등의 고정 수신기 외에, 휴대 전화기,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단말기 등의 모바일 수신기여도 된다. 또한, 수신 장치(20)는 차량에 탑재되는 차량 탑재 기기여도 된다.
또한, 도 20의 수신 장치(20)의 구성에서는, 표시부(213)와 스피커(214)가 내장되어 있는 구성을 나타냈지만, 표시부(213)와 스피커(214)는 수신 장치(20)의 외부에 설치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도 20의 수신 장치(20)의 구성에서는, 도시하지 않지만, 수신 장치(20)에는, 레지던트 애플리케이션(RA)이 미리 내장되어 있고, 이 레지던트 애플리케이션(RA)에 의해 각종 처리가 실행된다. 또한, NRT 컴포넌트 처리부(211)는, 예를 들어 HTML5에 대응한 브라우저 등으로 된다.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계층 구조)
도 21은 도 20의 수신 장치(20)에 있어서의,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계층 구조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1에 있어서, 오퍼레이팅 시스템(OS : Operating System)은 하드웨어의 관리를 행한다. 또한, 오퍼레이팅 시스템(OS)은 애플리케이션과 하드웨어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오퍼레이팅 시스템(OS) 상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은, 오퍼레이팅 시스템(OS)에 내장된 규칙이나 수속 등에 따름으로써, 하드웨어와 통신을 행할 수 있다.
여기서, 수신 장치(20)에 있어서, 오퍼레이팅 시스템(OS) 상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으로서는, 크게 구별하면, 기기 내장 애플리케이션과, 방송 애플리케이션(BCA)의 2종류가 있다.
기기 내장 애플리케이션은, 미리 내장된 애플리케이션이며, 예를 들어 레지던트 애플리케이션(RA), 녹화 재생 제어 애플리케이션 및 브라우저 등을 포함한다. 또한, 방송 애플리케이션(BCA)은 방송 경유로 취득되는 애플리케이션이며, 연동 애플리케이션(Linked App), 포어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FG App), 백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BG App) 및 스토어드 애플리케이션(Stored App) 등을 포함한다. 또한, 방송 애플리케이션(BCA)은 HTML5 등에 의해 개발된다.
종래 기술에서는, NRT 서비스의 운용을 행하는 경우에, 레지던트 애플리케이션(RA)이 NRT 콘텐츠의 다운로드 재생에 관한 처리를 행하고 있었기 때문에, 레지던트 애플리케이션(RA)의 실장에 큰 부담이 되었다.
한편, 본 기술에서는, NRT 서비스의 운용을 행하는 경우에, 백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BG App) 등의 방송 애플리케이션(BCA)이 NRT 콘텐츠의 다운로드 재생에 관한 처리를 행하기 때문에, 레지던트 애플리케이션(RA)의 실장 부담을 보다 적게 하여, NRT 콘텐츠의 다운로드 재생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기술에서는, 백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BG App)이 NRT 콘텐츠의 다운로드 시에 참조하는 메타데이터로서, DIT 메타데이터를 규정하고 있다.
<7. 각 장치에서 실행되는 처리의 흐름>
다음에, 도 1의 전송 시스템을 구성하는, 송신 장치(10)와 수신 장치(20)에서 실행되는 처리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송신 처리의 흐름)
먼저, 도 22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도 1의 송신 장치(10)에 의해 실행되는 송신 처리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텝 S101에 있어서, 비디오 취득부(101) 및 비디오 인코더(102)는 비디오 컴포넌트를 처리한다. 또한, 스텝 S101에 있어서, 오디오 취득부(103) 및 오디오 인코더(104)는 오디오 컴포넌트를 처리한다.
이 컴포넌트의 처리에서는, 라이브 콘텐츠(예를 들어 생방송 프로그램)나 수록 완료된 콘텐츠(예를 들어 사전 수록 프로그램) 등의 방송 콘텐츠가 취득되고, 소정의 부호화 방식에 따른 인코드 등의 처리가 행해진다.
스텝 S102에 있어서, NRT 컴포넌트 생성부(105) 및 NRT 컴포넌트 처리부(106)는 NRT 컴포넌트를 처리한다.
이 NRT 컴포넌트의 처리에서는, 예를 들어 연동 애플리케이션(Linked App), 포어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FG App), 백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BG App), 또는, 스토어드 애플리케이션(Stored App) 등의 방송 애플리케이션(BCA)이 생성되어, 처리된다. 또한, 백그라운드 NRT 서비스의 운용을 행하는 경우에는, NRT 컴포넌트로서, 대상 파일군(스토어드 애플리케이션(Stored App)이나 AITs)이나 참조 파일군(콘텐츠 메타데이터(Content Meta)이나 콘텐츠 리소스(Content Resource)) 등도 생성되어, 처리된다.
스텝 S103에 있어서, 시그널링 생성부(107) 및 시그널링 처리부(108)는 시그널링을 처리한다.
이 시그널링의 처리에서는, SLT 등의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LLS 시그널링, 또는, AIT 등의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SLS 시그널링이 생성되어, 처리된다. 또한, 백그라운드 NRT 서비스의 운용을 행하는 경우에는, 시그널링으로서, DIT 메타데이터가 생성되어, 처리된다.
스텝 S104에 있어서, 멀티플렉서(109)는 스텝 S101의 처리에서 얻어지는 비디오 컴포넌트 및 오디오 컴포넌트의 데이터, 스텝 S102의 처리에서 얻어지는 NRT 컴포넌트의 데이터 및 스텝 S103의 처리에서 얻어지는 시그널링의 데이터가 다중화되어, 다중화 스트림이 생성된다.
단, 포어그라운드 NRT 서비스 또는 백그라운드 NRT 서비스의 운용을 행하는 경우에는, 방송 콘텐츠를 구성하는 비디오 컴포넌트나 오디오 컴포넌트의 데이터를, 다중화 스트림에 포함하지 않아도 된다.
스텝 S105에 있어서, 송신부(110)는 스텝 S104의 처리에서 생성된 다중화 스트림을 처리하여, 안테나(121)를 통해, IP 전송 방식의 디지털 방송 신호로서 송신한다. 스텝 S105의 처리가 종료되면, 도 22의 송신 처리는 종료된다.
이상, 송신 처리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선국 처리의 흐름)
다음에, 도 23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도 1의 수신 장치(20)에 의해 실행되는 선국 처리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텝 S201에 있어서는, 제어부(201)는 입력부(203)로부터의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유저에 의해 서비스의 선국이 지시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201에 있어서는, 유저에 의해 선국이 지시되었다고 판정될 때까지, 판정 처리가 반복된다. 스텝 S201에 있어서, 유저에 의해 선국이 지시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202로 진행된다.
스텝 S202 내지 S206에 있어서는, 제어부(201)가 메모리(202)에 기억되어 있는 선국 정보(예를 들어, SLT에 포함되는 정보) 등에 기초하여, 수신 장치(20)의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선국 처리가 행해진다. 이 선국 처리에서는,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처리가 실행된다.
스텝 S202에 있어서, 수신부(204)는 제어부(201)로부터의 제어에 따라서, 송신 장치(10)로부터 전송로(30)를 통해 송신되어 오는, IP 전송 방식의 디지털 방송 신호를, 안테나(221)를 통해 수신하여, 처리한다.
스텝 S203에 있어서, 디멀티플렉서(205)는 제어부(201)로부터의 제어에 따라서, 스텝 S202의 처리에서 얻어지는 다중화 스트림을 분리한다.
스텝 S204에 있어서, 시그널링 처리부(206)는 스텝 S203의 처리에서 분리된 시그널링(SLS 시그널링)의 데이터를 처리한다. 제어부(201)는 스텝 S204의 처리에서 처리된 시그널링(SLS 시그널링)에 기초하여, 컴포넌트의 처리를 행하는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스텝 S205에 있어서, 비디오 디코더(207)는 스텝 S203의 처리에서 분리된 비디오 컴포넌트의 데이터를 처리(디코드)한다. 또한, 스텝 S205에 있어서, 오디오 디코더(209)는 스텝 S203의 처리에서 분리된 오디오 컴포넌트의 데이터를 처리(디코드)한다.
스텝 S206에 있어서, 비디오 출력부(208)는 비디오 디코더(207)로부터의 비디오 컴포넌트의 데이터를 처리(렌더링 처리)하고, 비디오 컴포넌트의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부(213)에 표시한다. 또한, 스텝 S206에 있어서, 오디오 출력부(210)는 오디오 디코더(209)로부터의 오디오 컴포넌트의 데이터를 처리(렌더링 처리)하고, 오디오 컴포넌트의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성을, 스피커(214)로부터 출력한다.
이에 의해, 수신 장치(20)에 있어서는, 라이브 콘텐츠(예를 들어 생방송 프로그램)나 수록 완료된 콘텐츠(예를 들어 사전 수록 프로그램) 등의 방송 콘텐츠의 영상이, 표시부(213)에 표시되고, 그 영상에 동기한 음성이, 스피커(214)로부터 출력된다. 스텝 S206의 처리가 종료되면, 도 23의 선국 처리는 종료된다.
이상, 선국 처리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NRT 서비스 대응 처리의 흐름)
다음에, 도 24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도 1의 수신 장치(20)에 의해 실행되는 NRT 서비스 대응 처리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텝 S211에 있어서, 제어부(201)는 수신 장치(20)에 의해 실행되는 NRT 서비스가, NRT 연동 TV 서비스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211에 있어서, NRT 서비스가, NRT 연동 TV 서비스라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212로 진행된다.
스텝 S212 내지 S214에 있어서는, NRT 연동 TV 서비스에 대응한 처리가 실행되지만, 이 NRT 연동 TV 서비스의 경우, 연동 애플리케이션(Linked App)이 방송 콘텐츠에 연동하여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기 때문에, 수신 장치(20)에서는, 도 23의 선국 처리에 의해, 방송 콘텐츠가 재생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스텝 S212에 있어서, 시그널링 처리부(206)는 ROUTE 세션에 의해, SLS 시그널링으로서 전송되는 AIT를 취득하여, 처리한다(예를 들어 해석 처리를 행한다). 또한, 제어부(201)는 스텝 S212의 처리 결과(AIT의 해석 결과)에 기초하여,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스텝 S213에 있어서, NRT 컴포넌트 처리부(211)는 제어부(201)로부터의 제어에 따라서, ROUTE 세션에 의해, NRT 컴포넌트로서 전송되는, 연동 애플리케이션(Linked App)을 취득한다.
스텝 S214에 있어서, NRT 컴포넌트 처리부(211)는 스텝 S213의 처리에서 취득된 연동 애플리케이션(Linked App)을 기동하여, 실행한다. 이에 의해, 수신 장치(20)에서는, 방송 콘텐츠에 연동하여, 연동 애플리케이션(Linked App)이 실행되고, 표시부(213)에는, 방송 콘텐츠의 영상과 함께, 연동 애플리케이션(Linked App)의 동작에 따른 영상이 표시된다.
한편, 스텝 S211에 있어서, NRT 서비스가, NRT 연동 TV 서비스가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215로 진행된다.
스텝 S215에 있어서, 제어부(201)는 수신 장치(20)에 의해 실행되는 NRT 서비스가, 포어그라운드 NRT 서비스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215에 있어서, NRT 서비스가, 포어그라운드 NRT 서비스라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216으로 진행된다.
스텝 S216 내지 S218에 있어서는, 포어그라운드 NRT 서비스에 대응한 처리가 실행되지만, 이 포어그라운드 NRT 서비스의 경우, 포어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FG App)이 포털(포털 페이지)의 영상을 전체 화면에 표시시키는 애플리케이션이기 때문에, 수신 장치(20)에서는, 방송 콘텐츠가 반드시 재생되고 있을 필요는 없다.
스텝 S216에 있어서, 시그널링 처리부(206)는 ROUTE 세션에 의해, SLS 시그널링으로서 전송되는 AIT를 취득하여, 처리한다(예를 들어 해석 처리를 행한다). 또한, 제어부(201)는 스텝 S216의 처리 결과(AIT의 해석 결과)에 기초하여,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스텝 S217에 있어서, NRT 컴포넌트 처리부(211)는 제어부(201)로부터의 제어에 따라서, ROUTE 세션에 의해, NRT 컴포넌트로서 전송되는, 포어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FG App)을 취득한다.
스텝 S218에 있어서, NRT 컴포넌트 처리부(211)는 스텝 S217의 처리에서 취득된 포어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FG App)을 기동하여, 실행한다. 이에 의해, 수신 장치(20)에서는, 포어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FG App)의 동작에 따른 포털(포털 페이지)의 영상이, 표시부(213)의 전체 화면에 표시된다.
한편, 스텝 S215에 있어서, NRT 서비스가, 포어그라운드 NRT 서비스가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219로 진행된다.
스텝 S219에 있어서, 제어부(201)는 수신 장치(20)에 의해 실행되는 NRT 서비스가, 백그라운드 NRT 서비스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219에 있어서, NRT 서비스가, 백그라운드 NRT 서비스라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220으로 진행된다.
스텝 S220에 있어서는, 백그라운드 NRT 서비스에 대응한 처리가 실행되지만, 이 백그라운드 NRT 서비스의 경우, 백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BG App)이 백그라운드(뒷쪽)에서 동작하는 비표시의 애플리케이션이기 때문에, 수신 장치(20)에서는, 방송 콘텐츠가 반드시 재생되고 있을 필요는 없다.
스텝 S220에 있어서, NRT 컴포넌트 처리부(211) 등은, 제어부(201)로부터의 제어에 따라서, 백그라운드 NRT 서비스 대응 처리를 행한다. 이 백그라운드 NRT 서비스 대응 처리에서는, APP 타입 또는 RAW 데이터 타입의 타입에 따른 백그라운드 NRT 서비스 대응 처리가 실행된다.
여기서, APP 타입의 백그라운드 NRT 서비스 대응 처리의 경우, 대상 파일군(스토어드 애플리케이션(Stored App)이나 AITs)이나 참조 파일군(콘텐츠 메타데이터(Content Meta)나 콘텐츠 리소스(Content Resource))의 데이터가 취득되어, 스토리지(212)에 축적된다. 한편, RAW 데이터 타입의 백그라운드 NRT 서비스 대응 처리의 경우, 참조 파일군(콘텐츠 메타데이터(Content Meta)나 콘텐츠 리소스(Content Resource))의 데이터만이 취득되어, 스토리지(212)에 축적된다.
또한, 백그라운드 NRT 서비스 대응 처리의 상세한 내용은, 도 25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또한, 스텝 S219에 있어서, NRT 서비스가, 백그라운드 NRT 서비스가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 NRT 서비스의 처리는 실행되지 않기 때문에, 스텝 S220의 처리는 스킵된다. 그리고, 스텝 S214, 스텝 S218, 또는, 스텝 S220의 처리가 종료되면, 도 24의 NRT 서비스 대응 처리는 종료된다.
이상, NRT 서비스 대응 처리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백그라운드 NRT 서비스 대응 처리의 흐름)
다음에, 도 25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도 24의 스텝 S220의 처리에 대응하는, 백그라운드 NRT 서비스 대응 처리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텝 S231에 있어서는, 제어부(201)는 연동 애플리케이션(Linked App) 또는 포어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FG App) 등의 방송 애플리케이션(BCA)의 동작에 따라서, 예를 들어 유저에 의해 예약 선국이 지시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231에 있어서는, 예약 선국이 지시되었다고 판정될 때까지, 판정 처리가 반복된다. 스텝 S231에 있어서, 예약 선국이 지시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232로 진행된다.
스텝 S232에 있어서, NRT 컴포넌트 처리부(211)는 제어부(201)로부터의 제어에 따라서, 연동 애플리케이션(Linked App) 또는 포어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FG App)에 의해, 프로그램 예약 선국 API 또는 프로그램 예약 선국 API를 실행함으로써, 예약 선국 처리를 행한다. 이 예약 선국 처리에 의해, 프로그램 단위 또는 시리즈 단위로의 NRT 서비스의 선국 동작의 예약이 행해진다.
스텝 S233에 있어서는, 스텝 S232의 처리(예약 선국 처리)에서 설정된 선국 개시 시각이 되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스텝 S233에 있어서는, 선국 개시 시각이 되었다고 판정될 때까지, 판정 처리가 반복된다. 스텝 S233에 있어서, 선국 개시 시각이 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234로 진행된다.
스텝 S234에 있어서, 제어부(201) 등은, 스텝 S232의 처리(예약 선국 처리)에서 설정된 NRT 서비스의 선국을 행한다. 또한, 스텝 S234에 있어서, 시그널링 처리부(206)는 NRT 서비스의 선국 동작에 따라서, ROUTE 세션에 의해, SLS 시그널링으로서 전송되는, 백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BG App)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AIT를 취득하여 처리(해석 처리)한다. 제어부(201)는 스텝 S234의 처리(해석 처리)의 결과에 기초하여,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스텝 S235에 있어서, NRT 컴포넌트 처리부(211)는 제어부(201)로부터의 제어에 따라서, ROUTE 세션에 의해, NRT 컴포넌트로서 전송되는, 백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BG App)을 취득한다.
스텝 S236에 있어서, NRT 컴포넌트 처리부(211)는 제어부(201)로부터의 제어에 따라서, 스텝 S235의 처리에서 취득된 백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BG App)을 기동하여 실행을 개시한다. 또한, 백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BG App)은 백그라운드(뒷쪽)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이기 때문에, 비표시로 된다.
스텝 S237에 있어서, NRT 컴포넌트 처리부(211)는 비표시의 백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BG App)에 의해, NRT 다운로드 API를 실행한다. 이에 의해, 시그널링 처리부(206)는 ROUTE 세션에 의해, NRT 컴포넌트로서 전송되는 DIT 메타데이터를 취득한다.
스텝 S238에 있어서, 시그널링 처리부(206)는 스텝 S237의 처리에서 취득된 DIT 메타데이터를 해석한다.
스텝 S239에 있어서, 제어부(201)는 스텝 S238의 처리의 해석 결과에 기초하여, DIT 메타데이터에 포함되는 app_included 속성의 속성값이, APP 데이터 타입의 백그라운드 NRT 서비스를 나타내고 있는지, 혹은, RAW 데이터 타입의 백그라운드 NRT 서비스를 나타내고 있는지를 판정한다.
스텝 S239에 있어서, app_included 속성의 속성값이, APP 데이터 타입의 백그라운드 NRT 서비스를 나타내고 있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240으로 진행된다.
스텝 S240에 있어서, NRT 컴포넌트 처리부(211)는 제어부(201)로부터의 제어에 따라서, 비표시의 백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BG App)을 동작시킴으로써, ROUTE 세션에 의해, NRT 컴포넌트로서 전송되는, AITs 및 스토어드 애플리케이션(Stored App)을 포함하는 대상 파일군의 데이터, 및, 콘텐츠 리소스(Content Resource) 및 콘텐츠 메타데이터(Content Meta)를 포함하는 참조 파일군의 데이터를 취득한다.
스텝 S241에 있어서, NRT 컴포넌트 처리부(211)는 제어부(201)로부터의 제어에 따라서, 비표시의 백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BG App)을 동작시킴으로써, 스텝 S240의 처리에서 취득된, AITs 및 스토어드 애플리케이션(Stored App)을 포함하는 대상 파일군의 데이터, 및, 콘텐츠 리소스(Content Resource) 및 콘텐츠 메타데이터(Content Meta)를 포함하는 참조 파일군의 데이터를, 스토리지(212)에 기록(축적)한다.
한편, 스텝 S239에 있어서, app_included 속성의 속성값이, RAW 데이터 타입의 백그라운드 NRT 서비스를 나타내고 있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242로 진행된다.
스텝 S242에 있어서, NRT 컴포넌트 처리부(211)는 제어부(201)로부터의 제어에 따라서, 비표시의 백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BG App)을 동작시킴으로써, ROUTE 세션에 의해, NRT 컴포넌트로서 전송되는, 콘텐츠 리소스(Content Resource) 및 콘텐츠 메타데이터(Content Meta)를 포함하는 참조 파일군의 데이터를 취득한다.
스텝 S243에 있어서, NRT 컴포넌트 처리부(211)는 제어부(201)로부터의 제어에 따라서, 비표시의 백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BG App)을 동작시킴으로써, 스텝 S242의 처리에서 취득된, 콘텐츠 리소스(Content Resource) 및 콘텐츠 메타데이터(Content Meta)를 포함하는 참조 파일군의 데이터를, 스토리지(212)에 기록(축적)한다.
스텝 S241, 또는, 스텝 S243의 처리가 종료되면, 처리는 스텝 S244로 진행된다. 스텝 S244에 있어서는, 스텝 S232의 처리(예약 선국 처리)에서 설정된 선국 시간을 경과하였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스텝 S244에 있어서, 선국 시간을 경과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239로 되돌아가고,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즉, APP 데이터 타입의 백그라운드 NRT 서비스 대응 처리가 행해지고 있는 경우, 선국 개시 시각으로부터 개시된 NRT 콘텐츠의 다운로드 처리가, 선국 시간을 경과할 때까지 계속되고, NRT 컴포넌트로서 전송되는 대상 파일군의 데이터 및 참조 파일군의 데이터가, 스토리지(212)에 축적된다(S240, S241).
또한, RAW 데이터 타입의 백그라운드 NRT 서비스 대응 처리가 행해지고 있는 경우, 선국 개시 시각으로부터 개시된 NRT 콘텐츠의 다운로드 처리가, 선국 시간을 경과할 때까지 계속되고, NRT 컴포넌트로서 전송되는 참조 파일군의 데이터만이, 스토리지(212)에 축적된다(S242, S243).
그리고, 스텝 S244에 있어서, 선국 시간을 경과하였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도 24의 스텝 S220의 처리로 되돌아가고, 그 이후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상, 백그라운드 NRT 서비스 대응 처리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벤트 대응 처리의 흐름)
마지막으로, 도 26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도 1의 수신 장치(20)에 의해 실행되는 이벤트 대응 처리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 이벤트 대응 처리는, 연동 애플리케이션(Linked App), 포어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FG App), 또는 스토어드 애플리케이션(Stored App) 등의 방송 애플리케이션(BCA)에 의해, 각종 API가 실행되게 되므로, 그것들의 방송 애플리케이션(BCA)이 기동되고 있는 것이 전제로 된다.
스텝 S251에 있어서, 제어부(201)는 입력부(203)로부터의 조작 신호 등에 기초하여, 유저에 의해, 방송 애플리케이션(BCA)의 천이가 지시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251에 있어서, 방송 애플리케이션(BCA)의 천이가 지시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252로 진행된다. 스텝 S252에 있어서, NRT 컴포넌트 처리부(211)는 제어부(201)의 제어에 따라서, 방송 애플리케이션(BCA)에 의해, 애플리케이션 천이 API를 실행함으로써, 천이원의 방송 애플리케이션(BCA)을 종료하고, 천이처의 방송 애플리케이션(BCA)을 기동한다.
여기에서는, 예를 들어 연동 애플리케이션(Linked App) 또는 포어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FG App)으로부터, 스토어드 애플리케이션(Stored App)으로 천이하거나, 혹은, 스토어드 애플리케이션(Stored App)으로부터, 연동 애플리케이션(Linked App) 또는 포어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FG App)으로 천이하거나 할 수 있다.
또한, 스텝 S251에 있어서, 방송 애플리케이션(BCA)의 천이가 지시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253으로 진행된다. 스텝 S253에 있어서, 제어부(201)는 입력부(203)로부터의 조작 신호 등에 기초하여, 유저에 의해, 스토어드 애플리케이션(Stored App)의 리스트의 표시가 지시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253에 있어서, 스토어드 애플리케이션(Stored App)의 리스트의 표시가 지시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254로 진행된다. 스텝 S254에 있어서, NRT 컴포넌트 처리부(211)는 제어부(201)의 제어에 따라서, 방송 애플리케이션(BCA)에 의해,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취득 API를 실행함으로써, 스토리지(212)에 축적된 스토어드 애플리케이션(Stored App)의 리스트(AITs에 따른 리스트)를 취득한다.
스텝 S255에 있어서, NRT 컴포넌트 처리부(211)는 제어부(201)의 제어에 따라서, 스텝 S254의 처리에서 취득된 스토어드 애플리케이션(Stored App)의 리스트를, 비디오 출력부(208)를 통해 표시부(213)에 표시시킨다.
여기에서는, 예를 들어 연동 애플리케이션(Linked App), 포어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FG App), 또는, 스토어드 애플리케이션(Stored App)에 대한, 유저의 조작에 따라서, 스토어드 애플리케이션(Stored App)의 리스트의 표시가 지시되어, 스토어드 애플리케이션(Stored App)의 리스트가 표시된다.
또한, 스텝 S253에 있어서, 스토어드 애플리케이션(Stored App)의 리스트의 표시가 지시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256으로 진행된다. 스텝 S256에 있어서, 제어부(201)는 입력부(203)로부터의 조작 신호 등에 기초하여, 유저에 의해, NRT 콘텐츠의 리스트의 표시가 지시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256에 있어서, NRT 콘텐츠의 리스트의 표시가 지시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257로 진행된다. 스텝 S257에 있어서, NRT 컴포넌트 처리부(211)는 제어부(201)의 제어에 따라서, 방송 애플리케이션(BCA)에 의해, 콘텐츠 리스트 취득 API를 실행함으로써, 스토리지(212)에 축적된 NRT 콘텐츠의 리스트(콘텐츠 메타데이터(Content Meta)에 따른 리스트)를 취득한다.
스텝 S258에 있어서, NRT 컴포넌트 처리부(211)는 제어부(201)의 제어에 따라서, 스텝 S257의 처리에서 취득된 NRT 콘텐츠의 리스트를, 비디오 출력부(208)를 통해 표시부(213)에 표시시킨다. 여기에서는, 예를 들어 스토어드 애플리케이션(Stored App)에 대한, 유저의 조작에 따라서, NRT 콘텐츠의 리스트의 표시가 지시되어, NRT 콘텐츠의 리스트가 표시된다.
또한, 스텝 S256에 있어서, NRT 콘텐츠의 리스트의 표시가 지시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259로 진행된다. 스텝 S259에 있어서, 제어부(201)는 입력부(203)로부터의 조작 신호 등에 기초하여, 유저에 의해, NRT 콘텐츠의 정보의 표시가 지시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259에 있어서, NRT 콘텐츠의 정보의 표시가 지시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260으로 진행된다. 스텝 S260에 있어서, NRT 컴포넌트 처리부(211)는 제어부(201)의 제어에 따라서, 방송 애플리케이션(BCA)에 의해, 콘텐츠 정보 취득 API를 실행함으로써, 스토리지(212)에 축적된 NRT 콘텐츠의 정보(콘텐츠 메타데이터(Content Meta)에 포함되는 정보)를 취득한다.
스텝 S261에 있어서, NRT 컴포넌트 처리부(211)는 제어부(201)의 제어에 따라서, 스텝 S260의 처리에 의해 취득된 NRT 콘텐츠의 정보를, 비디오 출력부(208)를 통해 표시부(213)에 표시시킨다. 여기에서는, 예를 들어 스토어드 애플리케이션(Stored App)에 대한, 유저의 조작에 따라서, NRT 콘텐츠의 정보의 표시가 지시되어, NRT 콘텐츠의 정보가 표시된다.
또한, 스텝 S259에 있어서, NRT 콘텐츠의 정보의 표시가 지시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262로 진행된다. 스텝 S262에 있어서, 제어부(201)는 입력부(203)로부터의 조작 신호 등에 기초하여, 유저에 의해, NRT 콘텐츠의 재생이 지시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262에 있어서, NRT 콘텐츠의 재생이 지시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263으로 진행된다. 스텝 S263에 있어서, NRT 컴포넌트 처리부(211)는 제어부(201)의 제어에 따라서, 방송 애플리케이션(BCA)에 의해, 콘텐츠 재생 API를 실행함으로써, 스토리지(212)에 축적된 재생 대상인 NRT 콘텐츠를 재생한다. 여기에서는, 예를 들어 스토어드 애플리케이션(Stored App)에 대한, 유저의 조작에 따라서, NRT 콘텐츠의 재생이 지시되어, 재생 대상인 NRT 콘텐츠가 재생된다.
또한, 스텝 S262에 있어서, NRT 콘텐츠의 재생이 지시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 각종 API에 대응하는 처리는 실행되지 않기 때문에, 스텝 S263의 처리는 스킵된다. 단, 상술한 API는 일례이며, 다른 API가 규정되는 경우에는, 스텝 S262의 처리에서, 「"아니오"」라고 판정된 경우에, 실행되도록 하면 된다.
또한, 스텝 S252, 스텝 S255, 스텝 S258, 스텝 S261, 또는, 스텝 S263의 처리가 종료되면, 도 26의 이벤트 대응 처리는 종료된다.
이상, 이벤트 대응 처리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8. 변형예>
상술한 설명으로서는, 디지털 방송의 규격으로서, 미국 등에서 채용되고 있는 방식인 ATSC(특히, ATSC3.0)를 설명하였지만, 본 기술은 일본 등이 채용하는 방식인 ISDB(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ing)나, 유럽의 각국 등이 채용하는 방식인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등에 적용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그 경우에 있어서, 디지털 방송으로서는, 지상파 방송 외에, BS(Broadcasting Satellite)나 CS(Communications Satellite) 등의 위성 방송이나, 케이블 텔레비전(CATV) 등의 유선 방송 등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기술은, 전송로로서, 방송망 이외의 전송로, 즉, 예를 들어 인터넷이나 전화망 등의 통신 회선(통신망) 등을 이용하는 것을 상정하여 규정되어 있는 소정의 규격(방송 규격 이외의 규격)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그 경우에는, 전송로(30)로서, 인터넷이나 전화망 등의 통신 회선이 이용되고, 송신 장치(10)는 인터넷 상에 설치된 서버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 장치(20)가 통신 기능을 갖도록 함으로써, 송신 장치(10)는 수신 장치(20)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처리를 행하게 된다. 또한, 수신 장치(20)는 송신 장치(10)(서버)로부터 전송로(30)(통신 회선)를 통해 송신되어 오는 데이터를 처리한다.
또한, 상술한 LLS나 SLS 등의 시그널링의 명칭은 일례이며, 다른 명칭이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단, 이들 명칭의 차이는, 형식적인 차이이며, 각 시그널링의 실질적인 내용이 상이한 것은 아니다. 또한, 시그널링이 XML 등의 마크업 언어에 의해 기술되는 경우에 있어서, 그것들의 요소나 속성의 명칭은 일례이며, 다른 명칭이 채용되도록 해도 된다. 단, 이들 명칭의 차이는 형식적인 차이이며, 그것들의 요소나 속성의 실질적인 내용이 상이한 것은 아니다.
또한, 방송 애플리케이션(BCA)은 HTML5 등의 마크업 언어에 의해 개발된 애플리케이션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어 Java(등록 상표) 등의 프로그래밍 언어에 의해 개발된 애플리케이션이어도 된다. 또한, 연동 애플리케이션(Linked App)은 TDO(Triggered Declarative Objects)라 칭해지고, 포어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FG App)은 NDO(NRT Declarative Objects)라 칭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NRT 콘텐츠에는, 동화상이나 음악 외에, 예를 들어 전자 서적이나 게임, 광고 등, 모든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9. 컴퓨터의 구성>
상술한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할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할 수도 있다. 일련의 처리를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하는 경우에는, 그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이 컴퓨터에 인스톨된다. 도 27은 상술한 일련의 처리를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하는 컴퓨터의 하드웨어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컴퓨터(900)에 있어서, CPU(Central Processing Unit)(901), ROM(Read Only Memory)(902), RAM(Random Access Memory)(903)은, 버스(904)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버스(904)에는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905)가 접속되어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905)에는, 입력부(906), 출력부(907), 기록부(908), 통신부(909) 및 드라이브(910)가 접속되어 있다.
입력부(906)는 키보드, 마우스, 마이크로폰 등을 포함한다. 출력부(907)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등을 포함한다. 기록부(908)는 하드디스크나 불휘발성의 메모리 등을 포함한다. 통신부(909)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한다. 드라이브(910)는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또는 반도체 메모리 등의 리무버블 미디어(911)를 구동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컴퓨터(900)에서는, CPU(901)가, ROM(902)이나 기록부(908)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입출력 인터페이스(905) 및 버스(904)를 통해, RAM(903)에 로드하여 실행함으로써, 상술한 일련의 처리가 행해진다.
컴퓨터(900)(CPU(901))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패키지 미디어 등으로서의 리무버블 미디어(911)에 기록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로컬 에어리어 네트워크, 인터넷, 디지털 위성 방송 등의, 유선 또는 무선의 전송 매체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컴퓨터(900)에서는, 프로그램은, 리무버블 미디어(911)를 드라이브(910)에 장착함으로써, 입출력 인터페이스(905)를 통해, 기록부(908)에 인스톨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의 전송 매체를 통해, 통신부(909)에서 수신하여, 기록부(908)에 인스톨할 수 있다. 그 밖에, 프로그램은 ROM(902)이나 기록부(908)에, 미리 인스톨해 둘 수 있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컴퓨터가 프로그램에 따라서 행하는 처리는, 반드시 흐름도로서 기재된 순서에 따라서 시계열로 행해질 필요는 없다. 즉, 컴퓨터가 프로그램에 따라서 행하는 처리는, 병렬적 혹은 개별로 실행되는 처리(예를 들어, 병렬 처리 혹은 오브젝트에 의한 처리)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그램은, 하나의 컴퓨터(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되는 것이어도 되고, 복수의 컴퓨터에 의해 분산 처리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본 기술의 실시 형태는,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기술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본 기술은 이하와 같은 구성을 취할 수 있다.
(1)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에 포함되는 제1 애플리케이션이며, 비리얼타임으로 재생되는 콘텐츠의 다운로드를 처리하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취득하는 제1 취득부와,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에 따라서,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에 포함되는 메타데이터이며, 상기 콘텐츠의 다운로드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메타데이터를 취득하는 제2 취득부와,
상기 메타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콘텐츠의 다운로드를 처리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수신 장치.
(2)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콘텐츠에 관한 제1 정보와,
상기 콘텐츠를 처리하는 제2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제2 정보와,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에, 상기 콘텐츠와 함께,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이 포함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제3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1)에 기재된 수신 장치.
(3)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3 정보가,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이 포함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는 경우, 상기 콘텐츠와 함께 다운로드되는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정보가,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이 포함되지 않는 것을 나타내고 있는 경우, 상기 콘텐츠와는 별도로 취득되는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2)에 기재된 수신 장치.
(4)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은, 백그라운드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인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신 장치.
(5)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제1 제어 정보에 따라서 취득되고,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제2 제어 정보에 따라서 취득되는 (2)에 기재된 수신 장치.
(6)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콘텐츠의 예약을 행하는 제3 애플리케이션의 예약 동작에 따라서 취득되는 (1) 또는 (2)에 기재된 수신 장치.
(7)
상기 제3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으로 천이 가능한 (6)에 기재된 수신 장치.
(8)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콘텐츠의 예약 동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6) 또는 (7)에 기재된 수신 장치.
(9)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제3 애플리케이션은, 소정의 마크업 언어에 의해 개발된 애플리케이션인 (6)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신 장치.
(10)
수신 장치의 데이터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신 장치가,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에 포함되는 제1 애플리케이션이며, 비리얼타임으로 재생되는 콘텐츠의 다운로드를 처리하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취득하고,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에 따라서,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에 포함되는 메타데이터이며, 상기 콘텐츠의 다운로드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메타데이터를 취득하고,
상기 메타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콘텐츠의 다운로드를 처리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11)
비리얼타임으로 재생되는 콘텐츠의 다운로드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 생성부와,
상기 콘텐츠의 다운로드를 처리하는 제1 애플리케이션을 생성하는 제2 생성부와,
상기 메타데이터 및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디지털 방송 신호에 포함하여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는 송신 장치.
(12)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콘텐츠에 관한 제1 정보와,
상기 콘텐츠를 처리하는 제2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제2 정보와,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에, 상기 콘텐츠와 함께,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이 포함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제3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11)에 기재된 송신 장치.
(13)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3 정보가,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이 포함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는 경우, 상기 콘텐츠와 함께 다운로드되는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정보가,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이 포함되지 않는 것을 나타내고 있는 경우, 상기 콘텐츠와는 별도로 취득되는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제3 정보가,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이 포함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는 경우, 상기 콘텐츠와 함께,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을 송신하고,
상기 제3 정보가,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이 포함되지 않는 것을 나타내고 있는 경우, 상기 콘텐츠만을 송신하는 (12)에 기재된 송신 장치.
(14)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에 있어서, 백그라운드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인 (11)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송신 장치.
(15)
상기 송신부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1 제어 정보와,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2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12)에 기재된 송신 장치.
(16)
상기 송신부는, 상기 콘텐츠의 예약을 행하는 제3 애플리케이션을 송신하는 (13)에 기재된 송신 장치.
(17)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제3 애플리케이션은, 소정의 마크업 언어에 의해 개발된 애플리케이션인 (16)에 기재된 송신 장치.
(18)
송신 장치의 데이터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송신 장치가,
비리얼타임으로 재생되는 콘텐츠의 다운로드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콘텐츠의 다운로드를 처리하는 제1 애플리케이션을 생성하고,
상기 메타데이터 및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디지털 방송 신호에 포함하여 송신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1 : 전송 시스템
10 : 송신 장치
20 : 수신 장치
30 : 전송로
101 : 비디오 취득부
102 : 비디오 인코더
103 : 오디오 취득부
104 : 오디오 인코더
105 : NRT 컴포넌트 생성부
106 : NRT 컴포넌트 처리부
107 : 시그널링 생성부
108 : 시그널링 처리부
109 : 멀티플렉서
110 : 송신부
201 : 제어부
202 : 메모리
203 : 입력부
204 : 수신부
205 : 디멀티플렉서
206 : 시그널링 처리부
207 : 비디오 디코더
208 : 비디오 출력부
209 : 오디오 디코더
210 : 오디오 출력부
211 : NRT 컴포넌트 처리부
212 : 스토리지
213 : 표시부
214 : 스피커
900 : 컴퓨터
901 : CPU

Claims (18)

  1.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에 포함되는 제1 애플리케이션이며, 비리얼타임으로 재생되는 콘텐츠의 다운로드를 처리하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취득하는 제1 취득부와,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에 따라서,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에 포함되는 메타데이터이며, 상기 콘텐츠의 다운로드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메타데이터를 취득하는 제2 취득부와,
    상기 메타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콘텐츠의 다운로드를 처리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수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콘텐츠에 관한 제1 정보와,
    상기 콘텐츠를 처리하는 제2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제2 정보와,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에, 상기 콘텐츠와 함께,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이 포함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제3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수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3 정보가,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이 포함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는 경우, 상기 콘텐츠와 함께 다운로드되는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정보가,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이 포함되지 않는 것을 나타내고 있는 경우, 상기 콘텐츠와는 별도로 취득되는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수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은, 백그라운드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인 수신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제1 제어 정보에 따라서 취득되고,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제2 제어 정보에 따라서 취득되는 수신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콘텐츠의 예약을 행하는 제3 애플리케이션의 예약 동작에 따라서 취득되는 수신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으로 천이 가능한 수신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콘텐츠의 예약 동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수신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제3 애플리케이션은, 소정의 마크업 언어에 의해 개발된 애플리케이션인 수신 장치.
  10. 수신 장치의 데이터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신 장치가,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에 포함되는 제1 애플리케이션이며, 비리얼타임으로 재생되는 콘텐츠의 다운로드를 처리하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취득하고,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에 따라서,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에 포함되는 메타데이터이며, 상기 콘텐츠의 다운로드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메타데이터를 취득하고,
    상기 메타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콘텐츠의 다운로드를 처리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11. 비리얼타임으로 재생되는 콘텐츠의 다운로드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 생성부와,
    상기 콘텐츠의 다운로드를 처리하는 제1 애플리케이션을 생성하는 제2 생성부와,
    상기 메타데이터 및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디지털 방송 신호에 포함하여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는 송신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콘텐츠에 관한 제1 정보와,
    상기 콘텐츠를 처리하는 제2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제2 정보와,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에, 상기 콘텐츠와 함께,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이 포함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제3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송신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3 정보가,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이 포함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는 경우, 상기 콘텐츠와 함께 다운로드되는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정보가,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이 포함되지 않는 것을 나타내고 있는 경우, 상기 콘텐츠와는 별도로 취득되는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제3 정보가,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이 포함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는 경우, 상기 콘텐츠와 함께,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을 송신하고,
    상기 제3 정보가,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이 포함되지 않는 것을 나타내고 있는 경우, 상기 콘텐츠만을 송신하는 송신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에 있어서, 백그라운드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인 송신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1 제어 정보와,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2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콘텐츠의 예약을 행하는 제3 애플리케이션을 송신하는 송신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제3 애플리케이션은, 소정의 마크업 언어에 의해 개발된 애플리케이션인 송신 장치.
  18. 송신 장치의 데이터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송신 장치가,
    비리얼타임으로 재생되는 콘텐츠의 다운로드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콘텐츠의 다운로드를 처리하는 제1 애플리케이션을 생성하고,
    상기 메타데이터 및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디지털 방송 신호에 포함하여 송신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KR1020187008162A 2015-10-05 2016-09-21 수신 장치, 송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1025587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97391 2015-10-05
JPJP-P-2015-197391 2015-10-05
PCT/JP2016/077788 WO2017061272A1 (ja) 2015-10-05 2016-09-21 受信装置、送信装置、及び、データ処理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4391A true KR20180064391A (ko) 2018-06-14
KR102558781B1 KR102558781B1 (ko) 2023-07-25

Family

ID=58487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8162A KR102558781B1 (ko) 2015-10-05 2016-09-21 수신 장치, 송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10516497B2 (ko)
JP (1) JPWO2017061272A1 (ko)
KR (1) KR102558781B1 (ko)
CA (1) CA2999701C (ko)
MX (1) MX2018003911A (ko)
WO (1) WO20170612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73245A (ja) * 2013-10-04 2015-04-16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受信方法、送信装置、及び、送信方法
KR102532046B1 (ko) * 2015-06-09 2023-05-12 소니그룹주식회사 수신 장치, 송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JPWO2017061272A1 (ja) * 2015-10-05 2018-08-02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送信装置、及び、データ処理方法
US11018754B2 (en) * 2018-08-07 2021-05-25 Appareo Systems, Llc RF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2199A (ko) * 2010-03-26 2011-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실시간 방송 신호에 포함된 비실시간 콘텐트를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50067148A (ko) * 2012-10-09 2015-06-17 소니 주식회사 수신 장치, 수신 방법, 송신 장치 및 송신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87491B2 (en) * 2002-05-10 2011-07-26 Richard Reisman Method and apparatus for browsing using alternative linkbases
US20060253874A1 (en) * 2005-04-01 2006-11-09 Vulcan Inc. Mobile interface for manipulating multimedia content
US8422509B2 (en) * 2008-08-22 2013-04-1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rocessing a web service in an NRT service and a broadcast receiver
US8705933B2 (en) * 2009-09-25 2014-04-22 Sony Corporation Video bookmarking
KR101789631B1 (ko) * 2009-11-17 2017-10-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방송 수신 장치
EP2503779A4 (en) * 2009-11-18 2013-04-1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BROADCAST SIGNAL AND BROADCAST RECEIVER USING THIS METHOD
US9723360B2 (en) * 2010-04-01 2017-08-01 Saturn Licensing Llc Interests and demographics profile for advanced broadcast services
US20110302611A1 (en) * 2010-06-07 2011-12-08 Mark Kenneth Eyer Scripted Interactivity for Non-Real-Time Services
US8909694B2 (en) * 2010-08-27 2014-12-09 Sony Corporation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reception apparatus and method, and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US8875169B2 (en) * 2010-08-27 2014-10-28 Sony Corporation Transmission and reception apparatus, methods, and systems for filtering content
US8595783B2 (en) * 2010-08-30 2013-11-26 Sony Corporation Receiving device, receiving method, program, and broadcasting system
JP5897468B2 (ja) * 2010-08-30 2016-03-30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受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511887B2 (en) * 2010-08-30 2019-12-17 Saturn Licensing Llc Reception apparatus, reception method, transmission apparatus, transmission method, program, and broadcasting system
US9179188B2 (en) * 2010-08-30 2015-11-03 Sony Corporation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reception apparatus and method, and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US8892636B2 (en) * 2010-08-30 2014-11-18 Sony Corporation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reception apparatus and method, and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US9078031B2 (en) * 2010-10-01 2015-07-07 Sony Corporation Reception apparatus, reception method, and program
US8908103B2 (en) * 2010-10-01 2014-12-09 Sony Corporation Content supplying apparatus, content supplying method, content reproduction apparatus, content reproduction method, program and content viewing system
CA2829750C (en) * 2011-03-15 2017-05-30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broadcast service, receiving method therefor, and receiving device therefor
TWI574565B (zh) * 2011-03-31 2017-03-11 Sony Corp A transmitting apparatus, a transmitting method, a receiving apparatus, a receiving method, a computer-readable medium, and a broadcasting system
WO2012144867A2 (ko) * 2011-04-20 2012-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서비스 전송 방법, 그 수신 방법 및 그 수신 장치
TWI545955B (zh) * 2011-04-28 2016-08-11 Sony Corp Signal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a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and program
US9661371B2 (en) * 2011-05-24 2017-05-23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 broadcast service, apparatus for receiving same, and method for processing an additional service using the apparatus for receiving same
US9723362B2 (en) * 2011-06-07 2017-08-0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broadcast service and receiving device thereof
CA2839444C (en) * 2011-06-16 2016-05-3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 broadcast service, method for receiving a broadcast service, and apparatus for receiving a broadcast service
US10491966B2 (en) * 2011-08-04 2019-11-26 Saturn Licensing Llc Reception apparatus, method, computer program, and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for providing an alert service
KR101976052B1 (ko) * 2011-08-10 2019-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서비스 전송 방법, 그 수신 방법 및 방송 서비스 수신 장치
US20130055313A1 (en) * 2011-08-31 2013-02-28 Sony Corporation Method, computer program, reception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for accessing content from a plurality of content sources
CA2851607C (en) * 2011-10-20 2018-02-06 Lg Electronics Inc. Broadcast service receiving method and broadcast service receiving apparatus
US9374620B2 (en) * 2011-10-21 2016-06-21 Sony Corporation Terminal apparatus, server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interlocked application feed system
US9077459B2 (en) * 2012-03-23 2015-07-07 Sony Corporation Devices and methods for dynamic broadcast
US9967130B2 (en) * 2012-05-21 2018-05-08 Sony Corporation Devices and methods for dynamic broadcast
JP5947697B2 (ja) 2012-10-19 2016-07-06 出光興産株式会社 スパッタリングターゲット
JP6326213B2 (ja) * 2013-10-04 2018-05-16 サターン ライセンシング エルエルシーSaturn Licensing LLC 受信装置、受信方法、送信装置、及び、送信方法
WO2016060410A1 (ko) * 2014-10-14 2016-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방송 신호 송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방법
EP3247111A4 (en) * 2015-01-12 2018-06-20 LG Electronics Inc. Broadcast signal transmission device, broadcast signal reception device, broadcast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broadcast signal reception method
US20180035153A1 (en) * 2015-03-01 2018-02-01 Lg Electronics Inc. Broadcasting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broadcasting signal reception apparatus, broadcasting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broadcasting signal reception method
EP3267691A4 (en) * 2015-03-01 2018-06-20 LG Electronics Inc. Broadcast signal transmitting device, broadcast signal receiving device, broadcast signal transmitting method, and broadcast signal receiving method
KR101827277B1 (ko) * 2015-03-01 2018-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방송 신호 송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방법
CA2982102C (en) * 2015-06-16 2023-08-22 Sony Corporation Receiving device, transmitting device, and data processing method
JPWO2017061272A1 (ja) * 2015-10-05 2018-08-02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送信装置、及び、データ処理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2199A (ko) * 2010-03-26 2011-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실시간 방송 신호에 포함된 비실시간 콘텐트를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50067148A (ko) * 2012-10-09 2015-06-17 소니 주식회사 수신 장치, 수신 방법, 송신 장치 및 송신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TSC Standard Non-Real-Time Content Delivery(A/103:201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999701A1 (en) 2017-04-13
WO2017061272A1 (ja) 2017-04-13
KR102558781B1 (ko) 2023-07-25
US20230198646A1 (en) 2023-06-22
US20200099460A1 (en) 2020-03-26
JPWO2017061272A1 (ja) 2018-08-02
US20180351674A1 (en) 2018-12-06
US10516497B2 (en) 2019-12-24
CA2999701C (en) 2023-09-26
MX2018003911A (es) 2018-05-30
US10979163B2 (en) 2021-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6991B1 (ko) 수신 장치, 수신 방법, 송신 장치, 및 송신 방법
US10827337B2 (en) Reception apparatus, reception method, transmission apparatus, and transmission method
KR102332387B1 (ko) 수신 장치, 수신 방법, 송신 장치 및 송신 방법
US10979163B2 (en) Reception apparatus, transmission apparatus, and data processing method
US10469919B2 (en) Broadcast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broadcast signal reception apparatus, broadcast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broadcast signal reception method
KR102443060B1 (ko)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처리 방법
KR20170102249A (ko) 수신 장치, 수신 방법, 송신 장치, 및, 송신 방법
KR20170141677A (ko) 수신 장치, 송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CA3030391C (en) Receiving device, transmitting device, and data processing method
KR102619590B1 (ko) 수신 장치, 송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