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3060B1 -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3060B1
KR102443060B1 KR1020197010968A KR20197010968A KR102443060B1 KR 102443060 B1 KR102443060 B1 KR 102443060B1 KR 1020197010968 A KR1020197010968 A KR 1020197010968A KR 20197010968 A KR20197010968 A KR 20197010968A KR 102443060 B1 KR102443060 B1 KR 102443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gment
broadcast
content
server
ident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0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3373A (ko
Inventor
야스아키 야마기시
Original Assignee
소니그룹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그룹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그룹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073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33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3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3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12Avoiding congestion; Recovering from congestion
    • H04L47/122Avoiding congestion; Recovering from congestion by diverting traffic away from congested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5Channel allocation; Bandwidth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2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distribution of identical information via plural systems
    • H04H20/24Arrangements for distribution of identical information via broadcast system and non-broadcast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26Arrangements for switching distribu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19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at layers above the network lay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3Data redirection of data network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05Controlling the feeding rate to the network, e.g. by controlling the video pum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1Adapting the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network, e.g. an Internet Protocol [IP]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9Interfacing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prioritizing client content requests
    • H04N21/2393Interfacing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prioritizing client content requests involving handling client requ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4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monitoring of server load, available bandwidth, upstream requests
    • H04N21/2402Monitoring of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bandwidth avail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4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monitoring of server load, available bandwidth, upstream requests
    • H04N21/2408Monitoring of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client requ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08Management of client data
    • H04N21/25841Management of client data involving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the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3Communication protocols
    • H04N21/64322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7Control signaling between network components and server or cli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e.g. controlling the quality of the video stream, by dropping packets, protecting content from unauthorised alteration within the network, monitoring of network load, bridging between two different networks, e.g. between IP and wireless
    • H04N21/64707Control signaling between network components and server or cli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e.g. controlling the quality of the video stream, by dropping packets, protecting content from unauthorised alteration within the network, monitoring of network load, bridging between two different networks, e.g. between IP and wireless for transferring content from a first network to a second network, e.g. between IP and wirel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7Control signaling between network components and server or cli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e.g. controlling the quality of the video stream, by dropping packets, protecting content from unauthorised alteration within the network, monitoring of network load, bridging between two different networks, e.g. between IP and wireless
    • H04N21/64723Monitoring of network processes or resources, e.g. monitoring of network load
    • H04N21/64738Monitoring network characteristics, e.g. bandwidth, congestion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8Transmission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 H04N21/6581Reference data, e.g. a movie identifier for ordering a movie or a product identifier in a home shopping appl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22Secondary servers, e.g. proxy server, cable television Head-end
    • H04N21/2225Local VOD servers

Abstract

본 기술은, 방송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스트리밍 트래픽을 부하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 처리 장치가, 복수의 수신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콘텐츠의 리퀘스트를 처리하여, 리퀘스트에 포함되는 수신 장치에서 수신 가능한 방송 에어리어를 식별하기 위한 제1 식별 정보, 및 콘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제2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리퀘스트에 대한 리스폰스의 회신 경로로서 통신 경유로의 회신과 방송 경유로의 회신을 동적으로 전환함으로써, 스트리밍 트래픽을 부하 분산시킬 수 있게 된다. 본 기술은, 예를 들어 서버 백엔드측에 설치되는 전용 서버(스위칭 서버)에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처리 방법
본 기술은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방송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스트리밍 트래픽을 부하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한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등의 인터넷 스트리밍에 있어서의 표준화의 흐름으로서,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스트리밍에 의한 VOD(Video On Demand) 스트리밍이나, 라이브 스트리밍에 적용되는 방식의 표준화가 행해지고 있다.
특히 ISO/IEC/MPEG로 표준화가 행해지고 있는 MPEG-DASH(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TTP)가 주목받고 있다(예를 들어 비특허문헌 1 참조).
MPEG-DASH는, MPD(Media Presentation Description)라 칭해지는 메타파일과, 거기에 기술되는 청크화된 오디오, 비디오, 또는 자막 등의 미디어 데이터의 어드레스(URL: Uniform Resource Locator)에 따라, 스트림 데이터를 취득하여 재생하는 것이다.
ISO/IEC 23009-1: 2012 Information technology 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TTP (DASH) ATSC Candidate Standard: Signaling, Delivery, Synchronization, and Error Protection (A/331) ATSC Candidate Standard: Service Announcement (A/332)
그런데 MPEG-DASH 등의 스트리밍의 트래픽으로 인터넷에 다대한 부하가 걸려 트래픽이 폭주할 듯한 경우에 방송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트래픽을 부하 분산시킨다는 요건이 있다.
그러나 그와 같은 인터넷 트래픽의 오프로드처에 방송 네트워크를 이용하기 위한 기술 방식은 확립되어 있지 않아서, 방송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스트리밍 트래픽을 부하 분산시키기 위한 기술이 요구되고 있었다.
본 기술은 이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방송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스트리밍 트래픽을 부하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기술의 제1 측면의 정보 처리 장치는, 복수의 수신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콘텐츠의 리퀘스트를 처리하여, 상기 리퀘스트에 대한 리스폰스를 회신하는 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리퀘스트는, 상기 수신 장치에서 수신 가능한 방송 에어리어를 식별하기 위한 제1 식별 정보와, 상기 콘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제2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1 식별 정보 및 상기 제2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리스폰스의 회신 경로로서 통신 경유로의 회신과 방송 경유로의 회신을 동적으로 전환하는 정보 처리 장치이다.
본 기술의 제1 측면의 정보 처리 장치는 독립된 장치여도 되고, 하나의 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내부 블록이어도 된다. 또한 본 기술의 제1 측면의 정보 처리 방법은, 전술한 본 기술의 제1 측면의 정보 처리 장치에 대응하는 정보 처리 방법이다.
본 기술의 제1 측면의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는, 복수의 수신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콘텐츠의 리퀘스트를 처리하여, 상기 리퀘스트에 대한 리스폰스가 회신된다. 또한 상기 리퀘스트에는, 상기 수신 장치에서 수신 가능한 방송 에어리어를 식별하기 위한 제1 식별 정보와, 상기 콘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제2 식별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제1 식별 정보 및 상기 제2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리스폰스의 회신 경로로서 통신 경유로의 회신과 방송 경유로의 회신이 동적으로 전환된다.
본 기술의 제2 측면의 정보 처리 장치는, 콘텐츠의 리퀘스트를 처리하여, 자신이 수신 가능한 방송 에어리어를 식별하기 위한 제1 식별 정보와, 상기 콘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제2 식별 정보를 삽입하는 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처리부는, 송신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상기 리퀘스트에 대한 리스폰스로서, 통신 경유로 회신되는 리스폰스 또는 방송 경유로 회신되는 리스폰스를 처리하는 정보 처리 장치이다.
본 기술의 제2 측면의 정보 처리 장치는 독립된 장치여도 되고, 하나의 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내부 블록이어도 된다. 또한 본 기술의 제2 측면의 정보 처리 방법은, 전술한 본 기술의 제2 측면의 정보 처리 장치에 대응하는 정보 처리 방법이다.
본 기술의 제2 측면의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는, 콘텐츠의 리퀘스트를 처리하여, 자신이 수신 가능한 방송 에어리어를 식별하기 위한 제1 식별 정보와, 상기 콘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제2 식별 정보가 삽입되고, 송신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상기 리퀘스트에 대한 리스폰스로서, 통신 경유로 회신되는 리스폰스 또는 방송 경유로 회신되는 리스폰스가 처리된다.
본 기술의 제1 측면 및 제2 측면에 의하면, 방송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스트리밍 트래픽을 부하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여기에 기재된 효과는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개시 중에 기재된 어느 효과여도 된다.
도 1은 본 기술의 개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기술을 적용한 송수신 시스템의 일 실시 형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송신측의 각 서버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수신측의 각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기술의 IP 전송 방식의 프로토콜 스택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MPD 메타데이터의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MPD 메타데이터의 기술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2의 송수신 시스템의 구체적인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스위칭 서버를 통과하는 세그먼트 리퀘스트의 시간 천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처리 흐름(제1 단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처리 흐름(제2 단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처리 흐름(제3 단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처리 흐름(제4 단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세그먼트의 리퀘스트/리스폰스의 트래픽(제1 기간)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세그먼트의 리퀘스트/리스폰스의 트래픽(제2 기간)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세그먼트의 리퀘스트/리스폰스의 트래픽(제3 기간)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세그먼트의 리퀘스트/리스폰스의 트래픽(제4 기간)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기술의 확장 헤더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확장 헤더로서 삽입되는 식별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HTTP 리퀘스트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확장 헤더가 삽입된 HTTP 리퀘스트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SLT 메타데이터의 serviceCategory 속성의 값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SLT 메타데이터의 기술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ESG의 ServiceType 요소의 값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ESG 정보의 기술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은 방송 오프로딩 서비스를 이용 가능한 경우의 XML 프래그먼트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은 ESG 서비스의 화면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은 콘텐츠 송수신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9는 콘텐츠 송수신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0은 콘텐츠 송수신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1은 콘텐츠 송수신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2는 컴퓨터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기술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설명은 이하의 순서로 행하는 것으로 한다.
1. 시스템의 구성
2. 구체적인 운용예
3. 리퀘스트/리스폰스의 트래픽의 예
4. 식별 정보의 삽입 방법
5. 방송 오프로딩 서비스의 주지 방법
6. 콘텐츠 송수신 처리
7. 변형예
8. 컴퓨터의 구성
<1. 시스템의 구성>
(본 기술의 개요)
도 1은, 본 기술의 개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방송 네트워크를 라이브 스트리밍 등의 인터넷 트래픽의 오프로드처에 이용한다는 트래픽 오프로딩의 요건이 있다. 여기서 트래픽 오프로딩이란, 인터넷의 트래픽이 폭주할 듯한 경우에 숏컷 패스로서의 방송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트래픽을 부하 분산시키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도 1에 있어서는, MPEG-DASH에 의한 DASH 라이브 스트리밍의 트래픽 일부를 방송 네트워크에 오프로드하고 있는 모습을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즉, 도 1에 있어서, 인터넷 등의 쌍방향 네트워크에서는, DASH 라이브 스트리밍 트래픽으로 다대한 부하가 걸려 있는 상태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도면 중의 화살표 A로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의 영역의 DASH 라이브 스트리밍 트래픽을 방송 네트워크(일방향 네트워크)에 오프로드하고 있다.
단, 방송 네트워크로의 오프로드를 행할 때는, 오프로드처의 방송 네트워크가, 편성된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을 행하고 있지 않은, 방송 편성 프로그램 사이의 빈 시간일 필요가 있다. 또는 여기서는, 방송 편성 프로그램의 방송 스트리밍에 필요한 주파수의 대역 폭이 작은 경우에 오프로드용의 주파수 대역(공대역)을 준비해 두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DASH 라이브 스트리밍 트래픽의 일부를 방송 네트워크에 오프로드(부하 분산, 위양)함으로써, 트래픽이 오프로드된 도면 중의 중앙의 영역에서는 인터넷 등의 쌍방향 네트워크의 부하가 경감되어 있다.
한편, 도면 중의 좌우의 범위 B의 영역에서는 DASH 라이브 스트리밍 트래픽의 오프로드가 행해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인터넷 등의 쌍방향 네트워크에서는 DASH 라이브 스트리밍 트래픽에 의한 다대한 부하가 걸린 상태로 된다.
이상과 같이 DASH 라이브 스트리밍 트래픽의 오프로드처를 방송 네트워크로 함으로써 트래픽의 부하 분산을 행할 수 있지만, 현 상황에서는 그와 같은 기술 방식은 확립되어 있지 않다.
예를 들어 스트리밍 서비스의 트래픽이 특히 집중되어 있는 에어리어를 특정하고, 그 에어리어를 방송 대상으로 하는 방송 네트워크에 대하여 우선적으로 트래픽의 일부를 오프로드하는 기능이 필요해진다.
또한 예를 들어 스트리밍 서비스의 트래픽을 방송 네트워크에 오프로드하고 있다는 상황을 수신측의 장치(디바이스)에 주지시키고, 수신측의 장치(디바이스)에 대하여, 방송 네트워크와 쌍방향 네트워크 중 어느 쪽으로부터 배신되는 스트리밍을 대기해야 할지에 대하여 스트리밍의 취득처의 판단 기준을 제공하는 기능이 필요해진다.
스트리밍 배신에 있어서의 리소스의 유효 이용 측면에서 이와 같은 기능이 필수로 될 가능성이 있지만, 현 상황에서는 이와 같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기술 방식은 확립되어 있지 않다.
한편, 이와 같은 기능이, 특정한 방송 네트워크에 대응한 튜너를 실장하는 수신측의 단말기(로컬 프록시 서버)에 통합(인테그레이트)됨으로써, 튜너를 실장하고 있지 않은 수신측의 단말기(일반의 클라이언트)에 공통으로 적용 가능한 방송 네트워크 오프로딩의 오퍼레이션 프레임 워크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기술에서는, 이상과 같은 요건을 만족시키기 위한 기술 방식을 제안한다. 이하, 그 내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송수신 시스템의 구성예)
도 2는, 본 기술을 적용한 송수신 시스템의 일 실시 형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에 있어서, 송수신 시스템은, 송신측의 DASH 서버(11), 스위칭 서버(12) 및 방송 서버(13)와, 수신측의 프록시 서버(21) 및 DASH 클라이언트(22)로 구성된다.
즉,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관계에 있는 DASH 클라이언트(22)와 DASH 서버(11) 사이에 프록시 서버(21)와 스위칭 서버(12)가 마련되어 있다.
프록시 서버(21)는, 예를 들어 전용 서버나 텔레비전 수상기, 셋톱 박스(STB: Set Top Box), 네트워크 스토리지, 게임기 등으로서 구성된다.
프록시 서버(21)는, 방송파(방송 신호)를 수신 가능한 튜너와, 인터넷(41)과 접속 가능한 통신 I/F를 갖는다. 즉, 프록시 서버(21)에 있어서는, 튜너에 의하여 방송 네트워크(MAC/PHY)의 인터페이스를 갖고, 또한 통신 I/F에 의하여 인터넷(41) 등의 쌍방향 네트워크(MAC/PHY)의 인터페이스를 갖게 된다.
또한 프록시 서버(21)는, 엔드 유저의 집에 구축된 가정 내 LAN(Local Area Network) 등의 쌍방향 네트워크를 통하여 DASH 클라이언트(22)와 서로 접속되어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프록시 서버(21)에 있어서는, 통신 I/F에 의하여 가정 내 LAN 등의 쌍방향 네트워크(MAC/PHY)의 인터페이스를 갖게 된다.
DASH 클라이언트(22)는, 텔레비전 수상기나 셋톱 박스, 퍼스널 컴퓨터, 게임기 등의 고정 수신기, 또는 스마트폰이나 휴대 전화기, 태블릿형 컴퓨터 등의 모바일 수신기로서 구성된다. 또한 DASH 클라이언트(22)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MD: Head Mounted Display) 등의 웨어러블 컴퓨터여도 된다.
DASH 클라이언트(22)는 통신 I/F에 의하여 가정 내 LAN 등의 쌍방향 네트워크(MAC/PHY)의 인터페이스를 갖고 있다. DASH 클라이언트(22)는 콘텐츠의 스트림(DASH 세그먼트)을 재생(또는 기록)할 수 있다.
스위칭 서버(12)는 DASH 서버(11)측에 설치되어, 쌍방향 네트워크(인터넷(41))와 일방향 네트워크(방송 네트워크)의 전환 기능(스위칭 기능: Bi/Uni-directional Switching)을 갖고 있다. 스위칭 서버(12)는, 예를 들어 전용 서버로서 구성된다.
스위칭 서버(12)는, 인터넷(41) 등의 쌍방향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경유로의 데이터 배신을 스스로 행한다. 한편, 스위칭 서버(12)는, 방송 네트워크 등의 일방향 네트워크를 통한 방송 경유로의 데이터 배신을 방송 서버(13)에 의뢰한다.
DASH 서버(11)는 콘텐츠의 스트림(DASH 세그먼트)의 배신 기능을 갖고 있다. DASH 서버(11)는, 예를 들어 전용 서버로서 구성된다. DASH 서버(11)로부터 배신되는 스트림으로서는, 예를 들어 라이브 프로그램의 라이브 스트림이나, 녹화 프로그램이나 영화 등의 VOD(Video On Demand) 스트림 등이 있다.
DASH 서버(11)는, LAN 등의 쌍방향 네트워크를 통하여 스위칭 서버(12)와 서로 접속되어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방송 서버(13)는, 콘텐츠의 스트림(DASH 세그먼트)이나 그 제어 정보, 프로그램 정보 등을 방송파(방송 신호)로서 방송 네트워크(일방향 네트워크)를 통하여 송신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방송 서버(13)는 전용선 등의 소정의 회선을 통하여, 송신소(31)에 설치되는 송출 설비에 접속되어 있다. 이 송신소(31) 내의 송출 설비가 방송 서버(13)로부터의 데이터에 대하여 필요한 처리(예를 들어 변조 처리 등)를 실시함으로써, 그 결과 얻어지는 방송파(방송 신호)가 방송 네트워크를 통하여 송신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간략화를 위하여, 송신소(31) 내의 송출 설비에 의하여 행해지는 처리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여기서, DASH 클라이언트(22)에 있어서 원하는 콘텐츠를 재생하는 경우, 세그먼트 리퀘스트가 가정 내 LAN을 통하여 프록시 서버(21)에 송신된다. 프록시 서버(21)는 DASH 클라이언트(22)로부터의 세그먼트 리퀘스트를 처리하고 인터넷(41)을 통하여 스위칭 서버(12)에 송신한다.
스위칭 서버(12)는 프록시 서버(21)로부터의 세그먼트 리퀘스트에 기초하여, 쌍방향 네트워크와 방송 네트워크 중 어느 것에 의하여 세그먼트 리퀘스트에 대한 세그먼트 리스폰스를 회신할지를 판단한다.
스위칭 서버(12)는, 세그먼트 리스폰스를 쌍방향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경유로 회신한다고 판단한 경우, DASH 서버(11)로부터의 세그먼트 리스폰스(DASH 세그먼트)를 인터넷(41)을 통하여 프록시 서버(21)에 송신한다.
프록시 서버(21)는 스위칭 서버(12)로부터 수신한 세그먼트 리스폰스(DASH 세그먼트)를 가정 내 LAN을 통하여 DASH 클라이언트(22)에 송신한다. 그리고 DASH 클라이언트(22)에서는, 통신 경유로 회신된 DASH 세그먼트가 처리되어 원하는 콘텐츠가 재생되게 된다.
그 후, 예를 들어 DASH 클라이언트(22)에서 재생 중인 콘텐츠를 시청하는 엔드 유저가 증가하여 당해 콘텐츠의 스트리밍 서비스의 트래픽이 집중되어, 인터넷(41)에 다대한 부하가 걸려 있는 상황을 상정하자.
이 경우, 스위칭 서버(12)는, 프록시 서버(21)로부터의 세그먼트 리퀘스트에 기초하여, 쌍방향 네트워크와 방송 네트워크 중, 방송 네트워크에서, 세그먼트 리퀘스트에 대한 세그먼트 리스폰스를 회신한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스위칭 서버(12)는 DASH 서버(11)로부터의 세그먼트 리스폰스(DASH 세그먼트)를 방송 서버(13)에 전송한다.
방송 서버(13)는 스위칭 서버(12)로부터의 세그먼트 리스폰스(DASH 세그먼트)를 방송 네트워크를 통한 방송 경유로 회신한다. 프록시 서버(21)는 튜너에 의하여, 방송 서버(13)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세그먼트 리스폰스(DASH 세그먼트)를 수신한다.
프록시 서버(21)는 방송 서버(13)로부터 수신한 세그먼트 리스폰스(DASH 세그먼트)를 가정 내 LAN을 통하여 DASH 클라이언트(22)에 송신한다. 그리고 DASH 클라이언트(22)에서는, 방송 경유로 회신된 DASH 세그먼트가 처리되어 원하는 콘텐츠가 재생되게 된다.
또한 도 2의 송수신 시스템의 설명에서는, 프록시 서버(21)와 DASH 클라이언트(22)가 엔드 유저의 집 안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설명하였지만 프록시 서버(21)는 엔드 유저의 집 안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케이블 오퍼레이터의 헤드 엔드나 모바일망의 기지국 등에 설치되도록 하여 보다 광범위한 영역을 커버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즉, 예를 들어 프록시 서버(21)가 케이블 오퍼레이터의 헤드 엔드에 설치되는 경우, DASH 클라이언트(22)는 동일한 엔드 유저의 집 안이 아니라, 케이블 텔레비전의 서비스를 계약하고 있는 각 엔드 유저의 집 안에 설치되게 된다.
또한, 예를 들어 프록시 서버(21)가 모바일망의 기지국에 설치되는 경우, DASH 클라이언트(22)는, 모바일 서비스를 계약하고 있는 엔드 유저가 옥내 또는 옥외에서 소지하고 있는 디바이스(모바일 수신기)로 된다.
(송신측의 구성예)
도 3은, 도 2의 송신측의 각 서버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DASH 서버의 구성예)
먼저, DASH 서버(11)의 구성예부터 설명한다. DASH 서버(11)는 처리부(100) 및 통신 I/F(101)로 구성된다.
처리부(100)는, 예를 들어 CPU(Central Processing Unit)나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으로 구성된다. 처리부(100)는 각종 연산 처리나 각 부의 동작 제어 등, DASH 서버(11)에 있어서의 중심적인 처리 장치로서 동작한다.
처리부(100)는 MPD 처리부(111) 및 DASH 세그먼트 처리부(112)를 갖는다.
MPD 처리부(111)는 MPD 메타데이터에 관한 처리를 행한다. DASH 세그먼트 처리부(112)는 DASH 세그먼트에 관한 처리를 행한다.
통신 I/F(101)는,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 회로 등으로 구성된다. 통신 I/F(101)는 소정의 통신 회선을 통하여 스위칭 서버(12)와의 사이에서 각종 데이터를 수수한다.
(스위칭 서버의 구성예)
다음으로, 스위칭 서버(12)의 구성예를 설명한다. 스위칭 서버(12)는 처리부(120), 통신 I/F(121), 기억부(122), 통신 I/F(123) 및 통신 I/F(124)로 구성된다.
처리부(120)는, 예를 들어 CPU나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으로 구성된다. 처리부(120)는 각종 연산 처리나 각 부의 동작 제어 등, 스위칭 서버(12)에 있어서의 중심적인 처리 장치로서 동작한다.
처리부(120)는 리퀘스트 처리부(131), 방송 처리부(132) 및 통신 처리부(133)를 갖는다.
리퀘스트 처리부(131)는 세그먼트 리퀘스트 등의 리퀘스트에 관한 처리를 행한다.
방송 처리부(132)는, 방송 회신 모드에서 리퀘스트에 대한 리스폰스를 회신하는 경우의 처리를 행한다. 통신 처리부(133)는, 통신 회신 모드에서 리퀘스트에 대한 리스폰스를 회신하는 경우의 처리를 행한다.
또한 상세는 후술하겠지만, 방송 회신 모드는, 방송 서버(13)에 의한 방송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리스폰스를 회신하는 모드이다. 또한 통신 회신 모드는, 인터넷(41)을 이용하여 리스폰스를 회신하는 모드이다.
통신 I/F(121)는,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 회로 등으로 구성된다. 통신 I/F(121)는 소정의 통신 회선을 통하여 DASH 서버(11)와의 사이에서 각종 데이터를 수수한다.
기억부(122)는, 예를 들어 반도체 메모리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 등으로 구성된다. 기억부(122)는 처리부(120)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각종 데이터를 기록한다.
통신 I/F(123)는,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 회로 등으로 구성되며, 소정의 통신 회선을 통하여 방송 서버(13)와의 사이에서 각종 데이터를 수수한다.
통신 I/F(124)는,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 회로 등으로 구성되며, 인터넷(41)을 통하여 프록시 서버(21)와의 사이에서 각종 데이터를 수수한다.
또한 도 3에 있어서는 설명의 형편상, 통신 I/F(121)와 통신 I/F(123)와 통신 I/F(124)의 3개의 통신 I/F를 마련한 구성을 나타내고 있지만, 그들 통신 I/F는 일체로 되어 하나의 통신 I/F로 구성되도록 해도 된다.
(방송 서버의 구성예)
다음으로, 방송 서버(13)의 구성예를 설명한다. 방송 서버(13)는 처리부(140), 통신 I/F(141) 및 송신부(142)로 구성된다.
처리부(140)는, 예를 들어 CPU나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으로 구성된다. 처리부(140)는 각종 연산 처리나 각 부의 동작 제어 등, 방송 서버(13)에 있어서의 중심적인 처리 장치로서 동작한다.
처리부(140)는 ESG·메타데이터 처리부(151) 및 DASH 세그먼트 처리부(152)를 갖는다.
ESG·메타데이터 처리부(151)는, ESG·메타데이터 서버(14)로부터 취득되는 ESG 정보나 SLS 등의 메타데이터에 관한 처리를 행한다. DASH 세그먼트 처리부(152)는 DASH 세그먼트에 관한 처리를 행한다.
통신 I/F(141)는,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 회로 등으로 구성된다. 통신 I/F(141)는 소정의 통신 회선을 통하여 스위칭 서버(12)와의 사이에서 각종 데이터를 수수한다.
송신부(142)는 콘텐츠의 스트림(DASH 세그먼트)과 함께 ESG 정보나 제어 정보 등을 송신한다.
또한 도 2이나 도 3에 있어서는, 송신측(서버 백엔드측)의 DASH 서버(11)와 스위칭 서버(12)와 방송 서버(13)는 제각각의 장치(디바이스)로서 구성되고 쌍방향 네트워크에 의하여 접속되는 경우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지만, DASH 서버(11)와 스위칭 서버(12)와 방송 서버(13)는 동일한 디바이스 상에 실장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DASH 서버(11)가 갖는 기능과 스위칭 서버(12)가 갖는 기능과 방송 서버(13)가 갖는 기능을 갖는 전용 서버 등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DASH 서버(11)와 스위칭 서버(12)를 동일한 디바이스 상에 실장하는 등, 동일한 디바이스 상에 실장하는 서버의 조합은 임의이다.
(수신측의 구성예)
도 4는, 도 2의 수신측의 각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프록시 서버의 구성예)
먼저, 프록시 서버(21)의 구성예부터 설명한다. 프록시 서버(21)는 처리부(200), 튜너(201), 통신 I/F(202) 및 통신 I/F(203)로 구성된다.
처리부(200)는, 예를 들어 CPU나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으로 구성된다. 처리부(200)는 각종 연산 처리나 각 부의 동작 제어 등, 프록시 서버(21)에 있어서의 중심적인 처리 장치로서 동작한다.
처리부(200)는 ESG·메타데이터 처리부(211) 및 리퀘스트 처리부(212)를 갖는다.
ESG·메타데이터 처리부(211)는, ESG 정보나 SLS 등의 메타데이터에 관한 처리를 행한다. 리퀘스트 처리부(212)는 세그먼트 리퀘스트 등의 리퀘스트에 관한 처리를 행한다.
튜너(201)는 안테나를 통하여, 방송 서버(13)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방송파(방송 신호)을 수신하여 처리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데이터를 처리부(200)에 공급한다.
통신 I/F(202)는,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 회로 등으로 구성된다. 통신 I/F(202)는 인터넷(41)을 통하여 스위칭 서버(12)와의 사이에서 각종 데이터를 수수한다.
통신 I/F(203)는,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 회로 등으로 구성되며, 소정의 통신 회선(예를 들어 가정 내 LAN 등)을 통하여 DASH 클라이언트(22)와의 사이에서 각종 데이터를 수수한다.
또한 도 4에 있어서는 설명의 형편상, 통신 I/F(202)와 통신 I/F(203)의 2개의 통신 I/F를 마련한 구성을 나타내고 있지만, 그들 통신 I/F는 일체로 되어 하나의 통신 I/F로 구성되도록 해도 된다.
(DASH 클라이언트의 구성예)
다음으로, DASH 클라이언트(22)의 구성예를 설명한다. DASH 클라이언트(22)는 처리부(220), 통신 I/F(221), 표시부(222) 및 스피커(223)로 구성된다.
처리부(220)는, 예를 들어 CPU나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으로 구성된다. 처리부(220)는 각종 연산 처리나 각 부의 동작 제어 등, DASH 클라이언트(22)에 있어서의 중심적인 처리 장치로서 동작한다.
처리부(220)는 리퀘스트 처리부(231) 및 재생부(232)를 갖는다.
리퀘스트 처리부(231)는 세그먼트 리퀘스트 등의 리퀘스트에 관한 처리를 행한다. 재생부(232)는 DASH 세그먼트에 관한 처리 등을 행함으로써 콘텐츠를 재생한다.
표시부(222)는, 예를 들어 LCD(Liquid Crystal Display)나 OELD(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등의 디스플레이로 구성된다. 표시부(222)는, 처리부(220)(의 재생부(232))로부터의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한다.
스피커(223)는, 처리부(220)로부터의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성을 출력한다.
또한 DASH 클라이언트(22)에 있어서, 표시부(222)가 터치 패널의 기능을 갖고 있는 경우에는, 당해 터치 패널에 대한 엔드 유저의 조작에 따른 조작 신호가 처리부(220)에 공급되고, 처리부(220)는 당해 조작 신호에 따른 처리를 행한다. 또한 도 4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물리적인 버튼 등의 입력부를 마련하여, 당해 입력부에 대한 엔드 유저의 조작에 따른 조작 신호가 처리부(220)에 공급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도 2나 도 4에 있어서는, 수신측의 프록시 서버(21)와 DASH 클라이언트(22)는 제각각의 장치(디바이스)로서 구성되고 쌍방향 네트워크에 의하여 접속되는 경우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지만, 프록시 서버(21)와 DASH 클라이언트(22)는 동일한 디바이스 상에 실장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프록시 서버(21)가 갖는 기능과 DASH 클라이언트(22)가 갖는 기능을 갖는 텔레비전 수상기 등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본 기술의 프로토콜 스택)
도 5는, 본 기술의 IP 전송 방식의 프로토콜 스택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디지털 방송의 전송 방식으로서 현 상황에서는 MPEG2-TS(Transport Stream) 방식이 널리 보급되어 있지만, 앞으로는 통신의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는 IP(Internet Protocol) 패킷을 디지털 방송에 이용한 IP 전송 방식이 보급될 것이 상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차세대 지상파 방송 규격의 하나인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3.0에 있어서도, IP 전송 방식을 채용하여 보다 고도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할 것이 기대되고 있다. 본 기술에 있어서도, ATSC3.0 등의 방송 방식과 마찬가지로 IP 전송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도 5에 있어서, 가장 하위의 계층은 물리층(Physical Layer)으로 된다. ATSC3.0 등의 IP 전송 방식의 디지털 방송에서는, 일방향의 방송을 이용한 전송에 한정되지 않으며 일부의 데이터를 쌍방향의 통신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경우가 있지만, 방송(Broadcast)을 이용하는 경우, 그 물리층은, 서비스(채널)를 위하여 할당된 방송파의 주파수 대역 등이 대응하게 된다.
물리층(Physical Layer)의 상위의 계층은 데이터 링크층(Data Link Layer)으로 된다. 또한 데이터 링크층의 상위의 계층은 IP(Internet Protocol)층과 UDP(User Datagram Protocol)층으로 된다. IP층과 UDP층은, 통신의 계층 모델에 있어서의 네트워크층과 트랜스포트층에 상당하는 층이며, IP 어드레스와 포트 번호에 의하여 IP 패킷과 UDP 패킷이 특정된다.
여기서 ATSC3.0에서는, 제어 정보(시그널링)로서 LLS(Low Level Signaling)와 SLS(Service Layer Signaling)를 이용할 것이 상정되어 있다. LLS는, SLS보다도 하위의 층에서 전송되는 제어 정보이다. SLS는 서비스 단위의 제어 정보이다. 즉, ATSC3.0에서는 트랜스포트층의 제어 정보가 LLS와 SLS의 2계층에서 전송된다.
LLS에는 SLT(Service List Table) 등의 메타데이터가 포함된다. SLT 메타데이터는, 방송 서비스(채널)의 선국에 필요한 정보 등, 방송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스트림이나 방송 서비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기본 정보를 포함한다. 이 SLT 메타데이터는, UDP 패킷을 포함하는 IP 패킷인 UDP/IP 패킷에 포함시켜 전송된다. 단, SLT 메타데이터를 저장한 UDP/IP 패킷은 특별한 IP 어드레스와 포트 번호로 전송되게 된다.
IP층과 UDP층에 인접하는 상위의 계층은 ROUTE(Real-time Object Delivery over Unidirectional Transport)로 된다. ROUTE는 스트리밍 파일 전송용의 프로토콜이며, FLUTE(File Delivery over Unidirectional Transport)를 확장한 것이다.
이 ROUTE 세션에 의하여 방송 서비스마다 SLS의 파일(Signaling)이나 NRT(Non Real Time) 콘텐츠의 파일(NRT), DASH 세그먼트 파일(DASH) 등이 전송된다.
여기서, SLS는 서비스 레벨의 제어 정보이며, 대상의 방송 서비스에 속하는 컴포넌트의 탐색과 선택에 필요한 정보나 속성 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SLS는 USBD(User Service Bundle Description), S-TSID(Service-based Transport Session Instance Description), MPD(Media Presentation Description) 등의 메타데이터를 포함한다.
USBD 메타데이터는 다른 메타데이터의 취득처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S-TSID 메타데이터는, LSID(LCT Session Instance Description)를 ATSC3.0용으로 확장한 것이며, ROUTE 프로토콜의 제어 정보이다. 또한 S-TSID 메타데이터는, ROUTE 세션으로 전송되는 EFDT(Extended FDT)를 특정할 수 있다. EFDT는, FLUTE에서 도입되어 있던 FDT(File Delivery Table)를 확장한 것이며, 전송용의 제어 정보이다.
MPD 메타데이터는, MPEG-DASH에 준거한 스트리밍 배신을 행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비디오나 오디오의 파일의 제어 정보이다.
여기서 MPEG-DASH는, OTT-V(Over The Top Video)에 따른 스트리밍 배신 규격이며,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를 베이스로 한 스트리밍 프로토콜을 이용한 어댑티브 스트리밍 배신에 관한 규격이다.
이 MPEG-DASH의 규격에서는, 비디오나 오디오의 파일의 제어 정보인 메타데이터를 기술하기 위한 매니페스트 파일과, 동화상의 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파일 포맷이 규정되어 있다. 여기서는, 전자인 매니페스트 파일이 MPD(Media Presentation Description)라 칭해지고, 후자인 파일 포맷은 세그먼트 포맷이라고도 칭해진다.
또한 트랜스포트·프로토콜로서 ROUTE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스트리밍의 파일 포맷으로서 MP4 파일 포맷을 이용할 수 있다. MP4 파일 포맷은, ISO/IEC 14496-12에서 규정되어 있는 ISO BMFF(ISO Base Media File Format)의 파생 포맷이다.
ROUTE 세션으로 전송되는 세그먼트는 이니셜라이제이션 세그먼트(IS: Initialization Segment)와 미디어 세그먼트(MS:Media Segment)로 구성된다. 이니셜라이제이션 세그먼트는 데이터 압축 방식 등의 초기화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미디어 세그먼트는 비디오나 오디오, 자막의 스트림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즉, 이 미디어 세그먼트가 DASH 세그먼트(DASH 세그먼트 파일)에 상당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프로그램 등의 콘텐츠를 구성하는 서비스 컴포넌트(비디오나 오디오, 자막 등)의 스트림 데이터는, ISO BMFF의 규격에 준한 DASH 세그먼트 단위로 ROUTE 세션에 의하여 전송되게 된다.
또한 NRT 콘텐츠는, 수신기의 스토리지에 일단 축적된 후에 재생이 행해지는 콘텐츠이다. 또한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이나 전자 서비스 가이드(ESG: Electronic Service Guide)의 파일 등, NRT 콘텐츠 이외의 파일을 ROUTE 세션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LLS로서의 SLT 메타데이터나 SLS로서의 USBD, S-TSID, MPD 등의 메타데이터는, 예를 들어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등의 마크업 언어에 의하여 기술된 텍스트 형식의 데이터로 할 수 있다.
한편, 쌍방향의 통신(Broadband)을 이용하는 경우, 그 물리층(Physical Layer)의 상위의 계층은 데이터 링크층(Data Link Layer)으로 된다. 또한 데이터 링크층의 상위의 계층은, 네트워크층에 상당하는 IP층으로 된다. IP층에 인접하는 상위 계층은, 트랜스포트층에 상당하는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층으로 되고, 또한 TCP층에 인접하는 상위 계층은, 어플리케이션층에 상당하는 HTTP층으로 된다.
즉, 이들 계층에 의하여, 인터넷 등의 통신 회선에서 가동되는 TCP/IP 등의 프로토콜이 실장된다.
HTTP층에 인접하는 상위 계층 중, 일부의 계층은 제어 정보(Signaling)와 NRT 콘텐츠(NRT)로 된다. 이 제어 정보로서는, 전술한 ROUTE 세션으로 전송되는 제어 정보 등, 모든 제어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NRT 콘텐츠는 통신 경유로 취득되는 콘텐츠이며,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이 포함된다.
HTTP층에 인접하는 상위 계층 중, 전술한 계층 이외의 다른 계층은 DASH 세그먼트(DASH)로 된다. 즉, 쌍방향의 통신계의 스트리밍 배신에서는, VOD(Video On Demand) 프로그램 등의 콘텐츠를 구성하는 서비스 컴포넌트(비디오나 오디오, 자막 등)의 스트림 데이터가, ISO BMFF의 규격에 준한 DASH 세그먼트 단위로 전송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기술의 IP 전송 방식의 프로토콜 스택에 있어서는, 일방향의 방송계의 계층과, 쌍방향의 통신계의 계층의 일부가 공통의 프로토콜로 되어, 일방향의 방송과 쌍방향의 통신으로, 콘텐츠를 구성하는 서비스 컴포넌트의 스트림 데이터를, ISO BMFF의 규격에 준한 DASH 세그먼트 단위로 전송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일방향의 방송계의 스트리밍 배신과 쌍방향의 통신계의 스트리밍 배신의 양쪽을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위의 계층의 프로토콜이 공통화되어 있기 때문에 각 장치에서의 실장의 부담이나 처리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MPD의 내용)
도 6은, SLS로서의 MPD 메타데이터의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MPD 메타데이터는 Period 요소와 AdaptationSet 요소와 Representation 요소와 계층 구조를 이루어 구성된다.
Period 요소는, 프로그램 등의 콘텐츠의 구성을 기술하는 단위로 된다. 또한 AssetIdentifier 요소에 의하여 콘텐츠의 식별 정보를 기술할 수 있다.
또한 AdaptationSet 요소와 Representation 요소는, 콘텐츠를 구성하는 비디오나 오디오, 자막 등의 컴포넌트의 스트림마다 이용되며, 각각의 스트림의 속성을 기술할 수 있다.
AdaptationSet 요소는 비디오나 오디오의 스트림 등의 단일 스트림 외에, 복수의 스트림이 다중화된 스트림에 대응하고 있다.
Representation 요소는, 그 상위 요소(모요소)로 되는 AdaptationSet 요소의 범위 내에서, 예를 들어 비트 레이트 등의 파라미터가 상이한 복수의 선택지로 되는 컴포넌트의 스트림을 열거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는 하나 또는 복수의 컴포넌트로 구성되므로, 여기서는 콘텐츠의 스트림이 열거되어 있다고도 할 수 있다.
도 6에 있어서는, 2개의 콘텐츠의 스트림이 있는 경우에 각 콘텐츠의 스트림이, MPD-1과 MPD-2로 나타내는 구성의 MPD 메타데이터를 각각 갖고 있다. 즉, 첫 번째 콘텐츠가 MPD-1을 갖고 두 번째 콘텐츠가 MPD-2를 갖고 있다.
즉, 첫 번째 콘텐츠는 콘텐츠의 식별 정보로서, AssetIdentifier 요소에 의하여 지정되는 AssetId-1이 할당되는 한편, 두 번째 콘텐츠에는 AssetId-2가 할당되어 있다.
또한 첫 번째의 콘텐츠의 스트림 DASH 세그먼트(DASH 세그먼트 파일)는, SegURL-1-1, SegURL-1-2, …, SegURL-1-20, …, SegURL-1-40, …과 같이 천이하는 세그먼트 URL에 의하여 식별된다.
한편, 두 번째 콘텐츠의 스트림 DASH 세그먼트(DASH 세그먼트 파일)는, SegURL-2-1, SegURL-2-2, …, SegURL-2-30, …과 같이 천이하는 세그먼트 URL에 의하여 식별된다.
(MPD의 기술예)
도 7은, 도 6에 나타낸 첫 번째 콘텐츠가 갖고 있는 MPD 메타데이터(MPD-1)의 기술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즉, 도 7에는 MPD-1의 XML 인스턴스의 기술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MPD-1에 있어서는, AssetIdentifier 요소에 의하여, 도 6에 나타낸 AssetId-1의 값으로서 "md:cid:EIDR:10.5240%2f0EFB-02CD-126E-8092-1E49-W"가 지정되어 있다.
또한 Representation 요소의 SegmentList 요소에 열거된 SegmentURL 요소의 값이, 도 6에 나타낸 SegURL-1-1 등의 세그먼트 URL에 상당한다. 구체적으로는, SegmentURL 요소의 콘텐츠 파트의 "a-1-1.mp4", "a-1-2.mp4", "a-1-3.mp4" 등이 SegURL-1-1, SegURL-1-2, SegURL-1-3 등에 상당하고 있다.
<2. 구체적인 운용예>
(구체적인 구성의 예)
도 8은, 도 2의 송수신 시스템의 구체적인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있어서는, MPD-1과 MPD-2에 기초한 세그먼트 리퀘스트를 발행하는 복수의 DASH 클라이언트(22)가 프록시 서버(21-1, 21-2)를 통하여 쌍방향의 인터넷(41)에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프록시 서버(21-1)에는, MPD-1에 기초한 세그먼트 리퀘스트를 발행하는 DASH 클라이언트(22-1-1 내지 22-1-n)(n: 1 이상의 정수)와, MPD-2에 기초한 세그먼트 리퀘스트를 발행하는 DASH 클라이언트(22-2)와, MPD-1에 기초한 세그먼트 리퀘스트를 발행하는 DASH 클라이언트(22-3-1 내지 22-3-m)(m: 1 이상의 정수)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프록시 서버(21-2)에는, MPD-2에 기초한 세그먼트 리퀘스트를 발행하는 DASH 클라이언트(22-4-1 내지 22-4-i)(i: 1 이상의 정수)와, MPD-1에 기초한 세그먼트 리퀘스트를 발행하는 DASH 클라이언트(22-5)와, MPD-2에 기초한 세그먼트 리퀘스트를 발행하는 DASH 클라이언트(22-6-1 내지 22-6-j)(j: 1 이상의 정수)가 접속되어 있다.
프록시 서버(21-1, 21-2)가 접속된 인터넷(41)의 맨 끝에는 스위칭 서버(12)가 마련된다. 이 스위칭 서버(12)는 DASH 서버(11)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스위칭 서버(12)는 방송 서버(13-1, 13-2)와도 접속된다.
방송 서버(13-1)는 일방향의 방송 네트워크 BN-1(BrdcstNetwork-1)을 통하여 프록시 서버(21-1)와 접속된다. 또한 방송 서버(13-2)는 일방향의 방송 네트워크 BN-2(BrdcstNetwork-2)를 통하여 프록시 서버(21-2)와 접속된다.
(세그먼트 리퀘스트의 시간 천이의 예)
도 9는, 도 8의 구성을 채용한 경우에, 스위칭 서버(12)를 통과하는 세그먼트 리퀘스트의 시간 천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 있어서, 도면 중의 4개의 점선의 범위 내에는, 세그먼트 리퀘스트의 종별마다 프록시 서버(21)로부터의 세그먼트 리퀘스트가, 도면 중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나타난 시간 T의 시계열로 배열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면 중의 4개의 점선의 범위 중, 상측의 2개의 점선의 범위 내의 세그먼트 리퀘스트는, AssetId-1의 콘텐츠 C-1에 대한 세그먼트 리퀘스트 수의 시간 천이를 나타내고 있다.
상단의 세그먼트 리퀘스트 Req1/1은, 방송 네트워크 BN-1(BrdcstNetwork-1)에 접속되는 프록시 서버(21-1)로부터의 AssetId-1의 콘텐츠 C-1의 리퀘스트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하단의 세그먼트 리퀘스트 Req2/1은, 방송 네트워크 BN-2(BrdcstNetwork-2)에 접속되는 프록시 서버(21-2)로부터의 AssetId-1의 콘텐츠 C-1의 리퀘스트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세그먼트 리퀘스트 Req1/1에 주목하면, 방송 네트워크 BN-1에서 회신되는 방송 스트리밍을 수신 가능한 프록시 서버(21-1)에서는, 콘텐츠 C-1에 있어서의 RequestForSegURL-1-20 이후에 RequestForSegURL-1-40 미만의 세그먼트 URL에 대한 리퀘스트가 많아져 있다.
또한 세그먼트 리퀘스트 Req2/1에 주목하면, 방송 네트워크 BN-2에서 회신되는 방송 스트리밍을 수신 가능한 프록시 서버(21-2)에서는, 콘텐츠 C-1에 있어서의 특정한 세그먼트 URL에 대한 리퀘스트의 증가는 발생하고 있지 않다.
그 때문에, AssetId-1의 콘텐츠 C-1에 대하여, RequestForSegURL-1-20의 리퀘스트로부터 RequestForSegURL-1-39의 리퀘스트까지는 방송 네트워크 BN-1(BrdcstNetwork-1)을 이용한 방송 회신 모드에 의하여 처리되는 것이 효율이 좋다.
한편, 도면 중의 4개의 점선의 범위 중, 하측의 2개의 점선의 범위 내의 세그먼트 리퀘스트는, AssetId-2의 콘텐츠 C-2에 대한 세그먼트 리퀘스트 수의 시간 천이를 나타내고 있다.
상단의 세그먼트 리퀘스트 Req2/2는, 방송 네트워크 BN-2(BrdcstNetwork-2)에 접속되는 프록시 서버(21-2)로부터의 AssetId-2의 콘텐츠 C-2의 리퀘스트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하단의 세그먼트 리퀘스트 Req1/2는, 방송 네트워크 BN-1(BrdcstNetwork-1)에 접속되는 프록시 서버(21-1)로부터의 AssetId-2의 콘텐츠 C-2의 리퀘스트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세그먼트 리퀘스트 Req2/2에 주목하면, 방송 네트워크 BN-2에서 회신되는 방송 스트리밍을 수신 가능한 프록시 서버(21-2)에서는, 콘텐츠 C-2에 있어서의 RequestForSegURL-2-30 이후의 세그먼트 URL에 대한 리퀘스트가 많아져 있다.
또한 세그먼트 리퀘스트 Req1/2에 주목하면, 방송 네트워크 BN-1에서 회신되는 방송 스트리밍을 수신 가능한 프록시 서버(21-1)에서는, 콘텐츠 C-2에 있어서의 특정한 세그먼트 URL에 대한 리퀘스트의 증가는 발생하고 있지 않다.
그 때문에, AssetId-2의 콘텐츠 C-2에 대하여, RequestForSegURL-2-30 이후의 리퀘스트는 방송 네트워크 BN-2(BrdcstNetwork-2)를 이용한 방송 회신 모드에 의하여 처리되는 것이 효율이 좋다.
(처리 흐름)
다음으로,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송수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처리 흐름을 설명한다. 여기서는 당해 처리 흐름을 4단계로 나누어 설명한다.
(제1 단계)
4단계의 처리 흐름 중 제1 단계는, 예를 들어 도 10과 같이 나타난다.
즉, 먼저, 방송 서버(13)가, 튜너(201)를 실장하는 프록시 서버(21)에 대하여 ESG 정보나 SLT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어느 지역의 방송파에 있어서 방송 오프로딩 서비스를 이용 가능한 것을 통지(주지)한다(S1).
여기서, 주지 정보를 ESG 정보에 포함시키는 경우에는, 방송 오프로딩 서비스를 이용 가능한 것을 사전에 통지할 수 있다. 한편, 주지 정보를 SLT 메타데이터에 포함시키는 경우에는, 방송 오프로딩 서비스를 이용 가능한 것을 즉시(직전)에 통지할 수 있다.
또한 어느 지역의 방송파로서는, 예를 들어 방송 네트워크 BN-1(BrdcstNetwork-1)이나 방송 네트워크 BN-2(BrdcstNetwork-2)가 해당한다. 이는, 예를 들어 ATSC3.0에 있어서의 RF(Radio Frequency) 채널에 상당하는 것이다.
또한 ESG 정보나 SLT 메타데이터는 방송 서버(13)로부터 방송파에 의하여 방송 경유로 배신되는 경우도 있고, 인터넷(41)을 통하여 프록시 서버(21)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통신 경유로 배신되는 경우도 있다.
(제2 단계)
다음으로, 4단계의 처리 흐름 중 제2 단계는, 예를 들어 도 11과 같이 나타난다.
즉, DASH 클라이언트(22)는 원하는 콘텐츠의 MPD 메타데이터의 URL을 취득하여 DASH 서버(11)에 대하여 리퀘스트를 보낸다.
여기서는, 예를 들어 프록시 서버(21) 또는 DASH 클라이언트(22)가, 인터넷(41) 상에 공개된 스트리밍 사이트의 Web 페이지에 액세스하는 등, 어떠한 방법으로 MPD 메타데이터의 URL이 취득된다.
DASH 클라이언트(22)로부터의 MPD 리퀘스트(RequestForMPD-1)는 프록시 서버(21)에 의하여 인터넷(41)을 통하여 스위칭 서버(12)를 경유하여 DASH 서버(11)로 보내진다(S2).
DASH 서버(11)는, DASH 클라이언트(22)로부터의 MPD 리퀘스트에 대한 MPD 리스폰스(MPD-1)를 그 반대의 경로로 DASH 클라이언트(22)에 회신한다.
즉, MPD 리스폰스(MPD-1)는 스위칭 서버(12)에 의하여, 인터넷(41)을 통하여 프록시 서버(21)를 경유하여 DASH 클라이언트(22)로 보내진다(S3). 단, 스위칭 서버(12)는 DASH 서버(11)로부터의 MPD 리스폰스(MPD-1)를 기록해 두도록 한다.
(제3 단계)
다음으로, 4단계의 처리 흐름 중 제3 단계는, 예를 들어 도 12와 같이 나타난다.
즉, DASH 클라이언트(22)는 DASH 서버(11)로부터의 MPD 메타데이터(MPD-1)를 파싱(parsing)하여, 프록시 서버(21)에 대하여 DASH 세그먼트를 요청한다(S4).
프록시 서버(21)는 DASH 클라이언트(22)로부터의 세그먼트 리퀘스트(RequestForSegURL-1-*)에 대하여 소스 식별 정보(AssetId-1)를 삽입한다.
또한 프록시 서버(21)는, 도 10에 나타낸 ESG 정보나 SLT 메타데이터에 포함되는 주지 정보에 기초하여, 자신이 수신 가능한 방송 에어리어에 있어서 방송 오프로딩 서비스를 이용 가능한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프록시 서버(21)는, 방송 오프로딩 서비스를 이용 가능한 경우에는 세그먼트 리퀘스트에 대하여 추가로 방송 네트워크 식별 정보(BrdcstNetwork-1)을 삽입한다.
또한 프록시 서버(21)에 있어서, 자신이 수신 가능한 방송 에어리어는 방송 네트워크 BN-1(BrdcstNetwork-1)의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ID(bsid: BroadcastStreamID)에 의하여 식별되며, 그것을 방송 네트워크 식별 정보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방송 오프로딩 서비스를 이용 가능한 경우에는 소스 식별 정보(AssetId-1) 외에, 방송 네트워크 식별 정보(BrdcstNetwork-1)가 삽입된 세그먼트 리퀘스트(RequestForSegURL-1-*)가 생성된다. 한편, 방송 오프로딩 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소스 식별 정보(AssetId-1)만이 삽입된 세그먼트 리퀘스트(RequestForSegURL-1-*)가 생성된다.
그리고 당해 세그먼트 리퀘스트는, 프록시 서버(21)에 의하여 인터넷(41)을 통하여 스위칭 서버(12)를 경유하여 DASH 서버(11)로 보내진다(S5).
DASH 서버(11)는, 프록시 서버(21)로부터의 세그먼트 리퀘스트에 대한 DASH 세그먼트를 스위칭 서버(12)와 프록시 서버(21)를 경유하여 DASH 클라이언트(22)에 회신한다(S6).
또한 도 12에 있어서는, MPD-1에 기초한 세그먼트 리퀘스트를 발행하는 DASH 클라이언트(22)의 수가 적기 때문에 프록시 서버(21)는, 인터넷(41)을 통한 통신 경유로 회신되는 DASH 세그먼트를 수신하여 DASH 클라이언트(22)에 전송하고 있다.
(제4 단계)
다음으로, 4단계의 처리 흐름 중 제4 단계는, 예를 들어 도 13과 같이 나타난다.
즉, 스위칭 서버(12)는, 프록시 서버(21)를 경유하여 송신되어 오는 복수의 DASH 클라이언트(22(22-1-1 내지 22-1-n, 22-3-1 내지 22-3-m))로부터의 세그먼트 리퀘스트의 감시(모니터)를 행한다.
또한 도 13의 제4 단계에 있어서는, 프록시 서버(21)에 접속되어 MPD-1에 기초한 세그먼트 리퀘스트를 발행하는 DASH 클라이언트(22)의 수가, 도 12에 나타낸 제3 단계에 비하여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스위칭 서버(12)는, 어느 DASH 세그먼트에 대한 세그먼트 리퀘스트가 집중되어 있는 에어리어에 대해서는, 인터넷(41)을 통하여 DASH 클라이언트를 회신하는 것이 아니라 그 에어리어를 커버하는 방송 네트워크에 당해 DASH 세그먼트의 방송을 의뢰한다.
예를 들어 전술한 도 9에 나타낸 세그먼트 리퀘스트의 시간 천이에 있어서, 동일한 방송 네트워크 BN-1(BrdcstNetwork-1)을 수신 가능한 에어리어에 존재하는 복수의 DASH 클라이언트(22)가, MPD 메타데이터(MPD-1)로부터 도출되는 RequestForSegURL-1-20 내지 29인 세그먼트 URL을 요청한 경우를 상정하자(S7).
또한 당해 세그먼트 리퀘스트(세그먼트 리퀘스트 Req1/1)에는 프록시 서버(21)에 의하여, 소스 식별 정보(AssetId-1)와 함께 방송 네트워크 식별 정보(BrdcstNetwork-1)가 삽입되어 있다.
이 경우, 스위칭 서버(12)는, 프록시 서버(21)로부터의 세그먼트 리퀘스트 Req1/1에 포함되는 소스 식별 정보(AssetId-1) 및 방송 네트워크 식별 정보(BrdcstNetwork-1)에 기초하여 소정의 조건에 따라 리스폰스(DASH 세그먼트)의 회신 모드를 결정한다.
즉, 예를 들어 스위칭 서버(12)에서는, 소스 식별 정보로 식별되는 콘텐츠(소스)마다 일정한 측정 기간을 마련하여 세그먼트 리퀘스트의 리퀘스트 수가 카운트되도록 한다. 그리고 그 카운트값이 미리 정해진 역치 이상으로 된 경우, 그 이후의 해당하는 소스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세그먼트 리퀘스트에 대한 리스폰스(DASH 세그먼트)가 방송 네트워크 BN-1(BrdcstNetwork-1)을 이용하여 회신되도록 한다(S8).
달리 말하면 스위칭 서버(12)는, 세그먼트 리퀘스트에 대한 리스폰스(DASH 세그먼트)를 방송 네트워크를 통하여 회신하는 편이 네트워크 리소스의 효율 이용(비용 절감)을 꾀할 수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당해 리스폰스를 방송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회신시킨다. 즉, 방송 회신 모드에서 리스폰스(DASH 세그먼트)가 회신된다.
이때, 스위칭 서버(12)는, 방송 회신 모드에서 회신되는 콘텐츠(소스)로부터의 DASH 세그먼트의 존재를 SLS(USBD 메타데이터)에 의하여 프록시 서버(21)측에 통지(주지)하도록 방송 서버(13)에 의뢰한다.
여기서, 스위칭 서버(12)는, 리퀘스트가 많은 DASH 세그먼트의 세그먼트 URL로부터 기록되어 있는 MPD 메타데이터를 참조하여, 해당하는 baseURL을 SLS(USBD 메타데이터)에 저장하도록, 방송 서버(13)에 지시한다.
또한 이와 같은 USBD 메타데이터에 의한 플래그에 의존하지 않고, 미리 MPD 메타데이터를 갱신하여 통지하고 당해 MPD 메타데이터 내에, 방송 경유로의 회신인지 통신 경유로의 회신인지를 명시적으로 기술해 둔다는 방법을 채용해도 된다. 여기서는, 예를 들어 방송 경유로의 회신의 경우에는 baseURL("/" 등으로 시작되는 상대 URL 등)을 이용하고, 통신 경유로의 회신의 경우에는 반드시 URL을 이용한다는 규칙을 미리 정의하여 둔다는 식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칭 서버(12)는 방송 서버(13)에 대하여, SLS로서 USBD 메타데이터와 함께 MPD 메타데이터를 통지한다.
여기서, 방송 회신 모드로 설정된 소스에 해당하는 DASH 세그먼트는, 프록시 서버(21)가 방송 경유로의 수신에 실패할 경우에 대비하여 통신 경유로도 회신할 수 있도록 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해당하는 DASH 세그먼트에 대하여, 스위칭 서버(12)(의 처리부(120))가 인터넷(41) 상의 CDN(Contents Delivery Network)에 캐시 카피를 전개해 둠으로써, 통신 경유로의 회신에 대비할 수 있다.
또한 일단, 대상의 콘텐츠가 방송 회신 모드의 소스로 설정된 경우에는, 그 소스에 속하는 후속의 DASH 세그먼트에 대해서는, DASH 클라이언트(22)로부터의 세그먼트 리퀘스트를 대기하는 일 없이 방송 서버(13)가, 스위칭 서버(12)로부터 통지된 MPD 메타데이터에 기초하여 세그먼트 리퀘스트를 스위칭 서버(12)를 통하여 DASH 서버(11)에 대하여 발행한다.
그에 비해 DASH 서버(11)는, 세그먼트 리퀘스트에 대한 리스폰스(DASH 세그먼트)를 스위칭 서버(12)를 통하여 방송 서버(13)에 회신한다. 그리고 방송 서버(13)는, DASH 서버(11)로부터의 리스폰스(DASH 세그먼트)를 수취하고 당해 DASH 세그먼트를 방송 네트워크(BrdcstNetwork-1)를 이용하여 회신되도록 한다.
방송 서버(13)는 MPD 메타데이터에 기초하여, MPD 메타데이터의 마지막까지 또는 Period 요소가 종료되기까지 DASH 서버(11)에 대하여 세그먼트 리퀘스트를 계속하여 발행한다. 그리고 방송 서버(13)는, 방송 회신 모드에서의 회신을 종료하는 경우에는, 해당하는 baseURL을 SLS(USBD 메타데이터)로부터 제거하고 갱신된 SLS(USBD 메타데이터)를 배신한다.
또한 이와 같은 USBD 메타데이터에 의한 플래그에 의존하지 않고, 미리 MPD 메타데이터를 갱신하여 통지하고 당해 MPD 메타데이터 내에, 방송 경유로의 회신인지 통신 경유로의 회신인지를 명시적으로 기술하고 있던 경우에는, 예를 들어 방송 경유로의 회신의 경우를 의미하는 baseURL("/" 등으로 시작되는 상대 URL 등)을 제거하도록 한다.
한편, 수신측에 있어서, 프록시 서버(21)는, DASH 클라이언트(22)로부터 DASH 세그먼트가 요청된 경우, 최신의 SLS(USBD 메타데이터)를 참조하여, 방송 회신 모드로 설정된 소스인지를 확인하고, DASH 세그먼트를 방송 경유로 취득할지 또는 통신 경유로 취득할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당해 세그먼트 리퀘스트에 대응하는 세그먼트 URL의 맨 처음의 파트가, "bundleDescriptionROUTE/userServiceDescription/deliveryMethod/broadcastAppService/basePattern"(방송 배신용의 URL의 일치 패턴)에 열거되어 있는 URL의 일부(또는 전부)에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방송 경유 또는 통신 경유로의 취득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USBD 메타데이터에 의한 플래그에 의존하지 않고, MPD 메타데이터 내에 방송 경유로의 회신인지 통신 경유로의 회신인지가 명시적으로 기술 되어 있는 경우, 프록시 서버(21)는 당해 MPD 메타데이터에 기초하여 방송 경유 또는 통신 경유로의 취득을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는, 예를 들어 방송 경유로의 회신의 경우에는 baseURL("/" 등으로 시작되는 상대 URL 등)을 이용하고, 통신 경유로의 회신의 경우에는 반드시 URL을 이용한다는 규칙이 미리 정의된다.
그리고 프록시 서버(21)는, 방송 경유로의 취득을 행하는 경우에는, 방송 서버(13)로부터 방송 네트워크(BrdcstNetwork-1)를 이용하여 회신되는 데이터를 ROUTE 모듈 등에 의하여 처리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세그먼트 파일(DASH 세그먼트)을 DASH 클라이언트(22)에 송신한다.
한편, 프록시 서버(21)는, 통신 경유로의 취득을 행하는 경우에는 인터넷(41)을 통하여 스위칭 서버(12)를 경유하여 DASH 서버(11)와의 사이에서 리퀘스트와 리스폰스의 수수를 행함으로써 세그먼트 파일(DASH 세그먼트)을 취득하여 DASH 클라이언트(22)에 송신한다(S9).
이상, 송수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처리 흐름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3. 리퀘스트/리스폰스의 트래픽의 예>
다음으로, 도 14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전술한 도 9에 나타낸 세그먼트 리퀘스트의 시간 천이에 따른 리스폰스 트래픽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기간의 트래픽)
먼저, 도 14를 참조하여 제1 기간(시각 t0 내지 시각 t1 사이)에 있어서의 세그먼트의 리퀘스트/리스폰스의 트래픽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14에 있어서, 프록시 서버(21-1)는 방송 서버(13-1)의 방송 에어리어 내에 존재하며, 일방향의 방송 네트워크 BN-1(BrdcstNetwork-1)을 통하여 방송 서버(13-1)로부터의 세그먼트 파일(DASH 세그먼트)을 수신 가능하다.
이 프록시 서버(21-1)에는, MPD-1에 기초한 세그먼트 리퀘스트를 발행하는 DASH 클라이언트(22-1)와, MPD-2에 기초한 세그먼트 리퀘스트를 발행하는 DASH 클라이언트(22-2)가 접속된다. 또한 프록시 서버(21-1)는 인터넷(41)을 통하여 스위칭 서버(12)와 접속된다.
또한 도 14에 있어서, 프록시 서버(21-2)는 방송 서버(13-2)의 방송 에어리어 내에 존재하며, 일방향의 방송 네트워크 BN-2(BrdcstNetwork-2)를 통하여 방송 서버(13-2)로부터의 세그먼트 파일(DASH 세그먼트)을 수신 가능하다.
이 프록시 서버(21-2)에는, MPD-1에 기초한 세그먼트 리퀘스트를 발행하는 DASH 클라이언트(22-3)와, MPD-2에 기초한 세그먼트 리퀘스트를 발행하는 DASH 클라이언트(22-4)가 접속된다. 또한 프록시 서버(21-2)는 인터넷(41)을 통하여 스위칭 서버(12)와 접속된다.
여기서, 제1 기간은, 도 9에 나타낸 시각 t0 내지 시각 t1 사이에 상당하고 있으며, 이 제1 기간에 스위칭 서버(12)에서 처리되는 세그먼트 리퀘스트는 RequestForSegURL-1-1 내지 RequestForSegURL-1-19와, RequestForSegURL-2-1 내지 RequestForSegURL-2-19이다.
도 14에 있어서, 도 9의 RequestForSegURL-1-1 내지 RequestForSegURL-1-19에 상당하는 것은 세그먼트 리퀘스트 Req1/1과 세그먼트 리퀘스트 Req2/1이다.
즉, 세그먼트 리퀘스트 Req1/1은 DASH 클라이언트(22-1)로부터의 세그먼트 리퀘스트이며, 프록시 서버(21-1)에 의하여 방송 네트워크 BN-1의 방송 네트워크 식별 정보(BrdcstNetwork-1)와 콘텐츠 C-1의 소스 식별 정보(AssetId-1)가 삽입되어 있다.
또한 세그먼트 리퀘스트 Req2/1은 DASH 클라이언트(22-3)로부터의 세그먼트 리퀘스트이며, 프록시 서버(21-2)에 의하여 방송 네트워크 BN-2의 방송 네트워크 식별 정보(BrdcstNetwork-2)와 콘텐츠 C-1의 소스 식별 정보(AssetId-1)가 삽입되어 있다.
한편, 도 14에 있어서, 도 9의 RequestForSegURL-2-1 내지 RequestForSegURL-2-19에 상당하는 것은 세그먼트 리퀘스트 Req1/2와 세그먼트 리퀘스트 Req2/2이다.
즉, 세그먼트 리퀘스트 Req1/2는 DASH 클라이언트(22-2)로부터의 세그먼트 리퀘스트이며, 프록시 서버(21-1)에 의하여 방송 네트워크 BN-1의 방송 네트워크 식별 정보(BrdcstNetwork-1)와 콘텐츠 C-2의 소스 식별 정보(AssetId-2)가 삽입되어 있다.
또한 세그먼트 리퀘스트 Req2/2는 DASH 클라이언트(22-4)로부터의 세그먼트 리퀘스트이며, 프록시 서버(21-2)에 의하여 방송 네트워크 BN-2의 방송 네트워크 식별 정보(BrdcstNetwork-2)와 콘텐츠 C-2의 소스 식별 정보(AssetId-2)가 삽입되어 있다.
이와 같은 세그먼트 리퀘스트 Req1/1, Req2/1, Req1/2, Req2/2가 인터넷(41)을 통하여 스위칭 서버(12)에 의하여 수신된다. 스위칭 서버(12)는, 이들 세그먼트 리퀘스트 Req1/1, Req2/1, Req1/2, Req2/2로부터 얻어지는 네트워크 식별 정보와, 소스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조건에 따라 리스폰스(DASH 세그먼트)의 회신 모드를 결정한다.
여기서는, 각 세그먼트 리퀘스트에 있어서, 특정한 세그먼트 URL에 대한 리퀘스트의 증가는 발생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스위칭 서버(12)는, 방송 오프로딩 서비스를 이용할 필요는 없다고 판단하여 통신 회신 모드에서 모든 세그먼트 리스폰스(DASH 세그먼트)가 회신되도록 한다.
스위칭 서버(12)는, 통신 회신 모드로 설정된 소스에 해당하는 DASH 세그먼트이며, 세그먼트 리퀘스트 Req1/1, Req1/2에 따른 DASH 세그먼트를 DASH 서버(11)로부터 취득하고 인터넷(41)을 통하여 프록시 서버(21-1)에 송신한다.
그리고 프록시 서버(21-1)는 스위칭 서버(12)로부터 통신 경유로 수신된 DASH 세그먼트(세그먼트 리퀘스트 Req1/1에 따른 DASH 세그먼트)를 DASH 클라이언트(22-1)에 송신한다. 또한 프록시 서버(21-1)는, 스위칭 서버(12)로부터 통신 경유로 수신된 DASH 세그먼트(세그먼트 리퀘스트 Req1/2에 따른 DASH 세그먼트)를 DASH 클라이언트(22-2)에 송신한다.
한편, 스위칭 서버(12)는, 통신 회신 모드로 설정된 소스에 해당하는 DASH 세그먼트이며, 세그먼트 리퀘스트 Req2/1, Req2/2에 따른 DASH 세그먼트를 DASH 서버(11)로부터 취득하고 인터넷(41)을 통하여 프록시 서버(21-2)에 송신한다.
그리고 프록시 서버(21-2)는 스위칭 서버(12)로부터 통신 경유로 수신된 DASH 세그먼트(세그먼트 리퀘스트 Req2/1에 따른 DASH 세그먼트)를 DASH 클라이언트(22-3)에 송신한다. 또한 프록시 서버(21-2)는 스위칭 서버(12)로부터 통신 경유로 수신된 DASH 세그먼트(세그먼트 리퀘스트 Req2/2에 따른 DASH 세그먼트)를 DASH 클라이언트(22-4)에 송신한다.
이상과 같이, 제1 기간(시각 t0 내지 시각 t1 사이)에 있어서는 스트리밍 서비스의 트래픽의 집중이 발생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세그먼트 리퀘스트(Req1/1, Req2/1, Req1/2, Req2/2)에 대한 리스폰스가 모두 인터넷(41)을 통하여 통신 경유로 회신된다.
(제2 기간의 트래픽)
다음으로, 도 15를 참조하여 제2 기간(시각 t1 내지 시각 t2의 사이)에 있어서의 세그먼트의 리퀘스트/리스폰스의 트래픽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제2 기간에 스위칭 서버(12)에서 처리되는 세그먼트 리퀘스트는 RequestForSegURL-1-20 내지 RequestForSegURL-1-29와 RequestForSegURL-2-20 내지 RequestForSegURL-2-29이다.
도 15의 제2 기간에 있어서는 도 14의 제1 기간에 비하여, 프록시 서버(21-1)에 접속되는 DASH 클라이언트(22) 중, MPD-1에 기초한 세그먼트 리퀘스트를 발행하는 것이, DASH 클라이언트(22-1)로부터 DASH 클라이언트(22-1-1 내지 22-1-n(n: 1 이상의 정수), 22-5-1 내지 22-5-m(m: 1 이상의 정수))로 증가하고 있다.
단, 프록시 서버(21-1)에 접속되는 DASH 클라이언트(22) 중, MPD-2에 기초한 세그먼트 리퀘스트를 발행하는 것과, 프록시 서버(21-2)에 접속되는 DASH 클라이언트(22) 중, MPD-1과 MPD-2에 기초한 세그먼트 리퀘스트를 발행하는 것의 증감은 없다.
이와 같은 구성의 경우에도 세그먼트 리퀘스트 Req1/1, Req2/1, Req1/2, Req2/2가 인터넷(41)을 통하여 스위칭 서버(12)에 의하여 수신된다. 스위칭 서버(12)는, 이들 세그먼트 리퀘스트 Req1/1, Req2/1, Req1/2, Req2/2로부터 얻어지는 네트워크 식별 정보와, 소스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조건에 따라 리스폰스(DASH 세그먼트)의 회신 모드를 결정한다.
여기서는, 세그먼트 리퀘스트 Req1/1에 있어서, 특정한 세그먼트 URL에 대한 리퀘스트의 증가가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스위칭 서버(12)는, 세그먼트 리퀘스트 Req1/1에 대한 리스폰스(DASH 세그먼트)를 방송 오프로딩 서비스를 이용하여 회신하는 편이 네트워크 리소스의 효율 이용을 꾀할 수 있다고 판단한다. 즉, 세그먼트 리퀘스트 Req1/1에 대한 리스폰스(DASH 세그먼트)가 방송 회신 모드에서 회신되도록 한다.
한편, 세그먼트 리퀘스트 Req2/1, Req1/2, Req2/2에 있어서, 특정한 세그먼트 URL에 대한 리퀘스트의 증가는 발생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스위칭 서버(12)는, 세그먼트 리퀘스트 Req2/1, Req1/2, Req2/2에 대한 리스폰스(DASH 세그먼트)에 대하여 방송 오프로딩 서비스를 이용할 필요는 없다고 판단한다. 즉, 세그먼트 리퀘스트 Req2/1, Req1/2, Req2/2에 대한 리스폰스(DASH 세그먼트)가 통신 회신 모드에서 회신되도록 한다.
스위칭 서버(12)는, 방송 회신 모드로 설정된 소스에 해당하는 DASH 세그먼트이며, 세그먼트 리퀘스트 Req1/1에 따른 DASH 세그먼트를 DASH 서버(11)로부터 취득하여 방송 서버(13-1)에 송신한다. 그리고 방송 서버(13-1)는 당해 DASH 세그먼트를 방송 네트워크 BN-1(BrdcstNetwork-1)을 통하여 프록시 서버(21-1)에 송신한다.
또한 스위칭 서버(12)는, 통신 회신 모드로 설정된 소스에 해당하는 DASH 세그먼트이며, 세그먼트 리퀘스트 Req1/2에 따른 DASH 세그먼트를 DASH 서버(11)로부터 취득하고 인터넷(41)을 통하여 프록시 서버(21-1)에 송신한다.
그리고 프록시 서버(21-1)는 방송 서버(13-1)로부터 방송 경유로 수신된 DASH 세그먼트(세그먼트 리퀘스트 Req1/1에 따른 DASH 세그먼트)를 DASH 클라이언트(22-1-1 내지 22-1-n, 22-5-1 내지 22-5-m)에 각각 송신한다. 또한 프록시 서버(21-1)는 스위칭 서버(12)로부터 통신 경유로 수신된 DASH 세그먼트(세그먼트 리퀘스트 Req1/2에 따른 DASH 세그먼트)를 DASH 클라이언트(22-2)에 송신한다.
한편, 스위칭 서버(12)는, 통신 회신 모드로 설정된 소스에 해당하는 DASH 세그먼트이며, 세그먼트 리퀘스트 Req2/1, Req2/2에 따른 DASH 세그먼트를 DASH 서버(11)로부터 취득하고 인터넷(41)을 통하여 프록시 서버(21-2)에 송신한다.
그리고 프록시 서버(21-2)는 스위칭 서버(12)로부터 통신 경유로 수신된 DASH 세그먼트(세그먼트 리퀘스트 Req2/1에 따른 DASH 세그먼트)를 DASH 클라이언트(22-3)에 송신한다. 또한 프록시 서버(21-2)는 스위칭 서버(12)로부터 통신 경유로 수신된 DASH 세그먼트(세그먼트 리퀘스트 Req2/2에 따른 DASH 세그먼트)를 DASH 클라이언트(22-4)에 송신한다.
이상과 같이 제2 기간(시각 t1 내지 시각 t2의 사이)에 있어서는, 세그먼트 리퀘스트 Req1/1에 있어서, 특정한 세그먼트 URL에 대한 리퀘스트의 증가가 발생하여 스트리밍 서비스의 트래픽의 집중이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세그먼트 리퀘스트 Req1/1에 대한 리스폰스를 방송 오프로딩 서비스를 이용하여 방송 경유로 회신하고 있다.
또한 세그먼트 리퀘스트 Req2/1, Req1/2, Req2/2에 대해서는 스트리밍 서비스의 트래픽의 집중이 발생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그들 세그먼트 리퀘스트(Req2/1, Req1/2, Req2/2)에 대한 리스폰스는 도 14의 제1 기간과 마찬가지로 인터넷(41)을 통하여 통신 경유로 회신된다.
(제3 기간의 트래픽)
다음으로, 도 16을 참조하여 제3 기간(시각 t2 내지 시각 t3 사이)에 있어서의 리퀘스트/리스폰스의 트래픽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제3 기간에 스위칭 서버(12)에서 처리되는 세그먼트 리퀘스트는 RequestForSegURL-1-30 내지 RequestForSegURL-1-39와 RequestForSegURL-2-30 내지 RequestForSegURL-2-39이다.
도 16의 제3 기간에 있어서는 도 15의 제2 기간에 비하여, 프록시 서버(21-2)에 접속되는 DASH 클라이언트(22) 중, MPD-2에 기초한 세그먼트 리퀘스트를 발행하는 것이 DASH 클라이언트(22-4)로부터 DASH 클라이언트(22-4-1 내지 22-4-i(i: 1 이상의 정수), 22-6-1 내지 22-6-j(j: 1 이상의 정수))로 증가하고 있다.
단, 프록시 서버(21-2)에 접속되는 DASH 클라이언트(22) 중, MPD-1에 기초한 세그먼트 리퀘스트를 발행하는 것과, 프록시 서버(21-1)에 접속되는 DASH 클라이언트(22) 중, MPD-1과 MPD-2에 기초한 세그먼트 리퀘스트를 발행하는 것의 증감은 없다.
이와 같은 구성의 경우에도 세그먼트 리퀘스트 Req2/1, Req1/2, Req2/2가 인터넷(41)을 통하여 스위칭 서버(12)에 의하여 수신된다. 스위칭 서버(12)는, 이들 세그먼트 리퀘스트 Req2/1, Req1/2, Req2/2로부터 얻어지는 네트워크 식별 정보와, 소스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조건에 따라 리스폰스(DASH 세그먼트)의 회신 모드를 결정한다.
여기서는, 세그먼트 리퀘스트 Req2/2에 있어서, 특정한 세그먼트 URL에 대한 리퀘스트의 증가가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스위칭 서버(12)는, 세그먼트 리퀘스트 Req2/2에 대한 리스폰스(DASH 세그먼트)를 방송 오프로딩 서비스를 이용하여 회신하는 편이 네트워크 리소스의 효율 이용을 꾀할 수 있다고 판단한다. 즉, 세그먼트 리퀘스트 Req2/2에 대한 리스폰스(DASH 세그먼트)가 방송 회신 모드에서 회신되도록 한다.
한편, 세그먼트 리퀘스트 Req2/1, Req1/2에 있어서, 특정한 세그먼트 URL에 대한 리퀘스트의 증가는 발생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스위칭 서버(12)는, 세그먼트 리퀘스트 Req2/1, Req1/2에 대한 리스폰스(DASH 세그먼트)에 대하여, 방송 오프로딩 서비스를 이용할 필요는 없다고 판단한다. 즉, 세그먼트 리퀘스트 Req2/1, Req1/2에 대한 리스폰스(DASH 세그먼트)가 통신 회신 모드에서 회신되도록 한다.
또한 도 16의 제3 기간에 있어서, 세그먼트 리퀘스트 Req1/1에 대해서는 도 15의 제2 기간과 마찬가지로 방송 회신 모드가 계속된다.
스위칭 서버(12)는, 방송 회신 모드로 설정된 소스에 해당하는 DASH 세그먼트이며, 세그먼트 리퀘스트 Req1/1에 따른 DASH 세그먼트를 DASH 서버(11)로부터 취득하여 방송 서버(13-1)에 송신한다. 그리고 방송 서버(13-1)는 당해 DASH 세그먼트를 방송 네트워크 BN-1(BrdcstNetwork-1)을 통하여 프록시 서버(21-1)에 송신한다.
또한 스위칭 서버(12)는, 통신 회신 모드로 설정된 소스에 해당하는 DASH 세그먼트이며, 세그먼트 리퀘스트 Req1/2에 따른 DASH 세그먼트를 DASH 서버(11)로부터 취득하고 인터넷(41)을 통하여 프록시 서버(21-1)에 송신한다.
그리고 프록시 서버(21-1)는 방송 서버(13-1)로부터 방송 경유로 수신된 DASH 세그먼트(세그먼트 리퀘스트 Req1/1에 따른 DASH 세그먼트)를 DASH 클라이언트(22-1-1 내지 22-1-n, 22-5-1 내지 22-5-m)에 각각 송신한다. 또한 프록시 서버(21-1)는 스위칭 서버(12)로부터 통신 경유로 수신된 DASH 세그먼트(세그먼트 리퀘스트 Req1/2에 따른 DASH 세그먼트)를 DASH 클라이언트(22-2)에 송신한다.
한편, 스위칭 서버(12)는, 방송 회신 모드로 설정된 소스에 해당하는 DASH 세그먼트이며, 세그먼트 리퀘스트 Req2/2에 따른 DASH 세그먼트를 DASH 서버(11)로부터 취득하여 방송 서버(13-2)에 송신한다. 그리고 방송 서버(13-2)는 당해 DASH 세그먼트를 방송 네트워크 BN-2(BrdcstNetwork-2)를 통하여 프록시 서버(21-2)에 송신한다.
또한 스위칭 서버(12)는, 통신 회신 모드로 설정된 소스에 해당하는 DASH 세그먼트이며, 세그먼트 리퀘스트 Req2/1에 따른 DASH 세그먼트를 DASH 서버(11)로부터 취득하고 인터넷(41)을 통하여 프록시 서버(21-2)에 송신한다.
그리고 프록시 서버(21-2)는 스위칭 서버(12)로부터 통신 경유로 수신된 DASH 세그먼트(세그먼트 리퀘스트 Req2/1에 따른 DASH 세그먼트)를 DASH 클라이언트(22-3)에 송신한다. 또한 프록시 서버(21-2)는 스위칭 서버(12)로부터 방송 경유로 수신된 DASH 세그먼트(세그먼트 리퀘스트 Req2/2에 따른 DASH 세그먼트)를 DASH 클라이언트(22-4-1 내지 22-4-i, 22-6-1 내지 22-6-j)에 각각 송신한다.
이상과 같이 제3 기간(시각 t2 내지 시각 t3 사이)에 있어서는, 세그먼트 리퀘스트 Req1/1, Req2/2에 있어서, 특정한 세그먼트 URL에 대한 리퀘스트의 증가가 발생하여 스트리밍 서비스의 트래픽의 집중이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세그먼트 리퀘스트 Req1/1, Req2/2에 대한 리스폰스를 방송 오프로딩 서비스를 이용하여 방송 경유로 회신하고 있다.
또한 세그먼트 리퀘스트 Req2/1, Req1/2에 대해서는 스트리밍 서비스의 트래픽의 집중이 발생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그들 세그먼트 리퀘스트(Req2/1, Req1/2)에 대한 리스폰스는 도 14의 제1 기간과 마찬가지로 인터넷(41)을 통하여 통신 경유로 회신된다.
(제4 기간의 트래픽)
마지막으로, 도 17을 참조하여 제4 기간(시각 t3 이후)에 있어서의 리퀘스트/리스폰스의 트래픽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제4 기간에 스위칭 서버(12)에서 처리되는 세그먼트 리퀘스트는 RequestForSegURL-1-40 이후와 RequestForSegURL-2-40 이후이다.
도 17의 제4 기간에 있어서는, 도 16의 제3 기간에 비하여 프록시 서버(21-1)에 접속되는 DASH 클라이언트(22) 중, MPD-1에 기초한 세그먼트 리퀘스트를 발행하는 것이 DASH 클라이언트(22-1-1 내지 22-1-n, 22-5-1 내지 22-5-m)로부터 DASH 클라이언트(22-1)로 감소하고 있다.
단, 프록시 서버(21-1)에 접속되는 DASH 클라이언트(22) 중, MPD-2에 기초한 세그먼트 리퀘스트를 발행하는 것과, 프록시 서버(21-2)에 접속되는 DASH 클라이언트(22) 중, MPD-1과 MPD-2에 기초한 세그먼트 리퀘스트를 발행하는 것의 증감은 없다.
또한 제4 기간에서는, 예를 들어 MPD-1에 있어서, 어느 Period 요소가 종료되어, 세그먼트 리퀘스트 Req1/1에 대한, DASH 세그먼트의 방송 회신 모드에서의 회신은 종료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경우에 세그먼트 리퀘스트 Req1/1, Req2/1, Req1/2가 인터넷(41)을 통하여 스위칭 서버(12)에 의하여 수신된다. 스위칭 서버(12)는, 이들 세그먼트 리퀘스트 Req1/1, Req2/1, Req1/2로부터 얻어지는 네트워크 식별 정보와, 소스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조건에 따라 리스폰스(DASH 세그먼트)의 회신 모드를 결정한다.
여기서는, 세그먼트 리퀘스트 Req1/1, Req2/1, Req1/2에 있어서, 특정한 세그먼트 URL에 대한 리퀘스트의 증가는 발생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스위칭 서버(12)는, 세그먼트 리퀘스트 Req1/1, Req2/1, Req1/2에 대한 리스폰스(DASH 세그먼트)에 대하여 방송 오프로딩 서비스를 이용할 필요는 없다고 판단한다. 즉, 세그먼트 리퀘스트 Req2/1, Req1/2에 대한 리스폰스(DASH 세그먼트)가 통신 회신 모드에서 회신되도록 한다.
또한 도 17의 제4 기간에 있어서, 세그먼트 리퀘스트 Req2/2에 대해서는 도 16의 제3 기간과 마찬가지로 방송 회신 모드가 계속된다.
스위칭 서버(12)는, 통신 회신 모드로 설정된 소스에 해당하는 DASH 세그먼트이며, 세그먼트 리퀘스트 Req1/1, Req1/2에 따른 DASH 세그먼트를 DASH 서버(11)로부터 취득하고 인터넷(41)을 통하여 프록시 서버(21-1)에 송신한다.
그리고 프록시 서버(21-1)는 스위칭 서버(12)로부터 통신 경유로 수신된 DASH 세그먼트(세그먼트 리퀘스트 Req1/1에 따른 DASH 세그먼트)를 DASH 클라이언트(22-1)에 송신한다. 또한 프록시 서버(21-1)는 스위칭 서버(12)로부터 통신 경유로 수신된 DASH 세그먼트(세그먼트 리퀘스트 Req1/2에 따른 DASH 세그먼트)를 DASH 클라이언트(22-2)에 송신한다.
한편, 방송 회신 모드로 설정된 소스에 해당하는 DASH 세그먼트이며, 세그먼트 리퀘스트 Req2/2에 따른 DASH 세그먼트를 DASH 서버(11)로부터 취득하여 방송 서버(13-2)에 송신한다. 그리고 방송 서버(13-2)는 당해 DASH 세그먼트를 방송 네트워크 BN-2(BrdcstNetwork-2)를 통하여 프록시 서버(21-2)에 송신한다.
또한 스위칭 서버(12)는, 통신 회신 모드로 설정된 소스에 해당하는 DASH 세그먼트이며, 세그먼트 리퀘스트 Req2/1에 따른 DASH 세그먼트를 DASH 서버(11)로부터 취득하고 인터넷(41)을 통하여 프록시 서버(21-2)에 송신한다.
그리고 프록시 서버(21-2)는 스위칭 서버(12)로부터 통신 경유로 수신된 DASH 세그먼트(세그먼트 리퀘스트 Req2/1에 따른 DASH 세그먼트)를 DASH 클라이언트(22-3)에 송신한다. 또한 프록시 서버(21-2)는 스위칭 서버(12)로부터 방송 경유로 수신된 DASH 세그먼트(세그먼트 리퀘스트 Req2/2에 따른 DASH 세그먼트)를 DASH 클라이언트(22-4-1 내지 22-4-i, 22-6-1 내지 22-6-j)에 각각 송신한다.
이상과 같이 제4 기간(시각 t3 이후)에 있어서는, 세그먼트 리퀘스트 Req2/2에 있어서, 특정한 세그먼트 URL에 대한 리퀘스트의 증가가 발생하여 스트리밍 서비스의 트래픽의 집중이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세그먼트 리퀘스트 Req2/2에 대한 리스폰스를 방송 오프로딩 서비스를 이용하여 방송 경유로 회신하고 있다.
또한 세그먼트 리퀘스트 Req1/1, Req2/1, Req1/2에 대해서는 스트리밍 서비스의 트래픽의 집중이 발생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그들 세그먼트 리퀘스트(Req1/1, Req2/1, Req1/2)에 대한 리스폰스는 도 14의 제1 기간과 마찬가지로 인터넷(41)을 통하여 통신 경유로 회신된다.
<4. 식별 정보의 삽입 방법>
프록시 서버(21)에 의하여 세그먼트 리퀘스트에 대하여 방송 네트워크 식별 정보와 소스 식별 정보를 삽입하는 방법인데, 예를 들어 세그먼트 리퀘스트의 HTTP 리퀘스트의 헤더를 확장함으로써 그들 식별 정보를 확장할 수 있다.
(확장 헤더의 예)
도 18은, 본 기술의 확장 헤더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에는, HTTP 리퀘스트 헤더의 확장의 일례로서, ATSC3.0 서비스의 경우의 확장 헤더의 기술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8에 있어서, HTTP 리퀘스트 헤더의 범용 헤더로 확장하는 확장 헤더명은, 예를 들어 "ATSC3.0-request"로 된다. 여기서 범용 헤더는, 리퀘스트나 리스폰스의 엔티티 보디가 아니라 접속에 대하여 적용되는 헤더를 의미한다. 또한 확장 헤더명을 프라이빗 헤더로서 정의하는 경우에는 "X-ATSC3.0-request"로 할 수 있다.
확장 헤더의 값으로서는, 서비스 ID(service-id), 콘텐츠 ID(contentId), MPD 메타데이터의 URL(mpd-uri), 시각 정보(broadcastTime) 및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ID 리스트(broadcastStreamIdList) 등의, ATSC3.0 서비스의 배신에 관련된 주된 속성을 포함시킬 수 있다.
서비스 ID는, ATSC3.0에서 규정되는 서비스를 식별하기 위한 ID(글로벌 서비스 ID)이다. 이 서비스 ID는 필수적인 값으로 된다.
또한 ATSC3.0 규정의 서비스 ID(globalServiceId)의 상세는 하기 비특허문헌 2의 「Table 7.1 Semantics of the User Service Bundle Description Fragment for ROUTE/DASH」에 개시되어 있다. 즉, 서비스 ID로서는 USBD 메타데이터의 userServiceDescription 요소의 globalServiceID 속성의 값을 이용할 수 있다.
비특허문헌 2: ATSC Candidate Standard: Signaling, Delivery, Synchronization, and Error Protection (A/331)
MPD 메타데이터의 URL은, USBD 메타데이터에 의하여 참조되는 MPD 메타데이터의 절대 패스를 나타낸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이다. 이 URL은 옵셔널한 값으로 된다.
또한 상기 비특허문헌 2의 「Table 7.1 Semantics of the User Service Bundle Description Fragment for ROUTE/DASH」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MPD 메타데이터의 URL로서는 USBD 메타데이터의 userServiceDescription 요소의 fullMPDUri 속성의 값을 이용할 수 있다.
시각 정보는, 콘텐츠가 실제로 방송된 시각을 나타내고 있다. 단, 방송 시각의 내용 선택은 실장 의존으로 된다. 즉, 예를 들어 방송 시각이, 콘텐츠의 배신 스케줄의 개시 시각인 것인지 또는 배신 스케줄의 개시로부터 종료까지의 임의의 시각(HTTP 리퀘스트의 패킷이 도착한 시각)인 것인지는, 운용에 따라 설정된다. 이 시각 정보는 옵셔널한 값으로 된다.
콘텐츠 ID는 콘텐츠를 식별하는 ID이다. 이 콘텐츠 ID로서는, 예를 들어 "EIDR" 또는 "Ad- ID"을 지정할 수 있다.
여기서, "EIDR"은 Entertainment Identifier Registry의 약기이며, 텔레비전 프로그램이나 영화의 콘텐츠를 글로벌한 단일 ID로 관리할 수 있다. "Ad- ID"는 Advertising ID의 약기이며, 광고용의 ID이다. 이 콘텐츠 ID는 옵셔널한 값으로 된다.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ID 리스트는, ATSC3.0에서 규정되는 브로드캐스트 스트림을 식별하기 위한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ID(bsid: BroadcastStreamID)의 리스트이다.
또한 ATSC3.0 규정의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ID(bsid)의 상세는 상기 비특허문헌 2의 「Table 6.2 SLT XML Format」에 개시되어 있다. 즉,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ID로서는 LLS의 SLT 메타데이터의 SLT 요소의 bsid 속성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9에는, HTTP 리퀘스트에 대하여 확장 헤더로서 삽입되는 정보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즉, 도 19에 있어서는, XML 형식의 USBD 메타데이터와 MPD 메타데이터의 기술예를 나타내고 있는데, 이들 메타데이터로부터 얻어지는 정보를, ATSC3.0 서비스의 배신 관련의 속성으로서 HTTP 리퀘스트의 확장 헤더에 포함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USBD 메타데이터에 있어서는, userServiceDescription 요소의 globalServiceID 속성의 값으로부터 서비스 ID(글로벌 서비스 ID)가 얻어지고, userServiceDescription 요소의 fullMPDUri 속성의 값으로부터 MPD 메타데이터의 URL이 얻어진다. 또한 예를 들어 MPD 메타데이터에 있어서는, Period 요소의 AssetIdentifier 요소의 값으로부터, EIDR에 대응한 콘텐츠 ID가 얻어진다.
또한 USBD 메타데이터의 DeliveryMethod 요소에 기술되는 URL과, MPD 메타데이터의 Representation 요소에 기술되는 URL(세그먼트 URL)의 매칭을 행함으로써, 콘텐츠의 데이터(스트림)의 배신 경로가 방송 경유인 것인지 또는 통신 경유인 것인지를 특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여 HTTP 리퀘스트 헤더의 구체적인 예를 나타낸다. 여기서는, 먼저 도 20을 참조하여 확장 헤더 삽입 전의 HTTP 리퀘스트 헤더를 설명하고 나서 도 21을 참조하여 확장 헤더 삽입 후의 HTTP 리퀘스트 헤더를 설명한다.
(HTTP 리퀘스트)
도 20은, HTTP 리퀘스트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에 있어서는, 세그먼트 URL이 "http://a.com/a.mp4"인 경우에, 이 DASH 세그먼트 파일을 취득하기 위한 HTTP 리퀘스트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HTTP 리퀘스트는, HTTP로 정의되어 있는 메소드 중, GET 메소드를 이용하고 있다. HTTP 리퀘스트에서는 HOST에 의하여 호스트명(서버명)이 지정되고, GET 메소드에 의하여 리소스가 지정된다. 또한 "HTTP/1.1"은 HTTP의 버전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HTTP 리퀘스트에서는 1행째가 HTTP 리퀘스트행으로 되고, 2행째 이후가 HTTP 헤더행, 즉, HTTP 리퀘스트 헤더로 된다. 또한 GET 메소드를 이용하는 경우, HTTP 보디부에는, 어떠한 것도 기술되는 일은 없다.
(확장 헤더 삽입 후의 HTTP 리퀘스트)
도 21은, 확장 헤더가 삽입된 HTTP 리퀘스트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에 있어서는, 도 20의 HTTP 리퀘스트(HTTP 리퀘스트 헤더)에 대하여 확장 헤더로서 "atsc 3.0-request"인 확장 헤더명의 행이 추가되어 있다.
즉, 이 확장 헤더로서 서비스 ID, 콘텐츠 ID, MPD 메타데이터의 URL, 시각 정보 및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ID(bsid)이 추가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21의 HTTP 리퀘스트의 확장 헤더에서는, USBD 메타데이터의 globalServiceID 속성의 값인 "urn:atsc:serviceId:NBCU-NFL-1"이 서비스 ID(service-id)로서 지정되고, USBD 메타데이터의 fullMPDUri 속성의 값인 "http://a.com/a.mpd"이 MPD 메타데이터의 URL(mpd-uri)로서 지정되어 있다.
또한 도 21의 HTTP 리퀘스트의 확장 헤더에서는, MPD 메타데이터의 AssetIdentifier 요소에 기술되는 EIDR인 "md:cid:EIDR:10.5240%2f0EFB-02CD-126E-8092-1E49-W"가 콘텐츠 ID(contentId)로서 지정되어 있다. 즉, 이 콘텐츠 ID가, 프록시 서버(21)에 의하여 삽입되는 소스 식별 정보에 상당하고 있다.
또한 도 21의 HTTP 리퀘스트의 확장 헤더에서는, 당해 콘텐츠의 방송 시각인 2016년 7월 4일(금요일) 23:54:58(그리니치 표준시)을 나타낸 "Fri, 04 Jul 2016 23:54:58 GMT"이 시각 정보(broadcastTime)로서 지정되어 있다.
또한 도 21의 HTTP 리퀘스트의 확장 헤더에서는, SLT 메타데이터의 SLT 요소의 bsid 속성의 값인 "bsid-1"이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ID(bsid)로서 지정되어 있다. 즉, 이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ID가, 프록시 서버(21)에 의하여 삽입되는 방송 네트워크 식별 정보에 상당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기술에서는, 프록시 서버(21)가 HTTP 리퀘스트에 대하여 확장 헤더로서 소스 식별 정보(콘텐츠 ID)와 방송 네트워크 식별 정보(브로드캐스트 스트림 ID)를 삽입함으로써, 스위칭 서버(12)에 있어서, 이들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당해 HTTP 리퀘스트에 대한 리스폰스의 회신 경로로서 방송 경유(방송 네트워크 경유)로의 회신과 통신 경유(쌍방향 네트워크)로의 회신을 동적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프록시 서버(21)에 있어서, 방송 네트워크 식별 정보로서 삽입되는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ID(bsid)는, 자신이 구비하는 튜너(201)가 선국 가능한 브로드캐스트 스트림(BroadcastStream)에 흐르는 LLS의 SLT 메타데이터로부터 얻어진다.
또한 프록시 서버(21)에 있어서,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ID(bsid)를 삽입할 때는, 사전에 취득 완료된 SLT 메타데이터나 ESG 정보의 내용(주지 정보)을 확인하여, 대상의 시간대에 방송 오프로딩 서비스를 이용 가능한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ID(bsid)인지를 확인한 후에 HTTP 리퀘스트에 대하여 삽입하게 된다. 이 SLT 메타데이터나 ESG 정보에 포함되는 주지 정보의 상세는 후술한다.
또한 프록시 서버(21)에 있어서는, 확장 헤더 삽입 처리에 앞서, 방송 네트워크 식별 정보나 소스 식별 정보 등의 정보를 저장한 매핑 데이터베이스를 미리 생성해 둠으로써, 확장 헤더 삽입 처리에서는 당해 매핑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함으로써, HTTP 리퀘스트에 삽입해야 할 정보를 취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여기서는, 디지털 방송의 규격으로서 미국 등에서 채용되는 방식인 ATSC(특히 ATSC3.0)를 일례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기술은, 일본 등이 채용하는 방식인 ISDB(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ing)나 유럽의 각국 등이 채용하는 방식인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등에 적용하도록 해도 된다.
단, 전술한 설명에서는, HTTP 리퀘스트에 삽입해야 할 정보로서, ATSC3.0 서비스를 전제로 서비스 ID나 콘텐츠 ID,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ID(bsid) 등을 예시 열거하였지만 그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ISDB나 DVB 등의 규격마다 보다 적합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방송의 규격 이외에서 규정된 정보를, 필요에 따라 HTTP 리퀘스트에 삽입해야 할 정보로서 추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동체 통신 시스템의 표준화 프로젝트인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 규정된 정보를 추가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HTTP 리퀘스트에 삽입해야 할 정보로서, 3GPP-MBMS(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s)에서 규정되는 요소나 속성을 추가할 수 있다.
<5. 방송 오프로딩 서비스의 주지 방법>
다음으로, 방송 오프로딩 서비스를 이용 가능한 것을 주지시키기 위한 주지 정보의 배신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는, 예를 들어 LLS(SLT 메타데이터)를 확장하거나 또는 ESG 정보를 확장함으로써 주지 정보가 배신되도록 한다.
(LLS의 확장에 의한 주지 정보의 배신)
LLS의 하나인 SLT 메타데이터에 있어서는, 서비스의 종별을 나타내는 serviceCategory 속성이 규정되어 있다(상기 비특허문헌 2 참조).
도 22에는, SLT 메타데이터의 서비스 루프 내에 배치되는 serviceCategory 속성의 값의 예가 나타나 있다.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serviceCategory 속성에 의하여, 예를 들어 통상의 방송 서비스(1: Linear A/V service)라든지 음성만의 서비스(2: Linear audio only service)라든지 하는 서비스의 종별을 지정할 수 있다. 또한 음성만의 서비스는 현행의 라디오 방송에 상당한다.
상기 비특허문헌 2의 「Table 6.4 Code Values for SLT.Service@serviceCategory」에 규정되어 있는 바와 같이 serviceCategory 속성에는 0 내지 5와 Other values의 값이 정의되어 있다.
이 serviceCategory 속성의 값으로서 새로이 "6"을 정의하여 방송 오프로딩 서비스(Broadcast off-loading service)를 의미하도록 한다. 즉, 여기서는, 요소나 속성의 추가가 아니라 속성값의 추가 확장에 의하여 SLT 메타데이터에, 방송 오프로딩 서비스가 배신되는 것을 나타내는 주지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도 23에는 SLT 메타데이터의 기술예를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2016년 9월 12일의 13시로부터 15시까지의 사이에 이 방송 오프로딩 서비스를 이용 가능한 경우, 이 시간대의 SLT 메타데이터의 Service 요소 중 하나에 serviceCategory 속성의 값으로서 serviceCategory="6"이 지정된다. 즉, 2016년 9월 12일의 13시로부터 15시까지의 사이에는 당해 SLT 메타데이터가 배신되게 된다.
(ESG의 확장에 의한 주지 정보의 배신)
ESG 서비스는, 휴대 전화의 규격 책정을 행하는 조직인 OMA(Open Mobile Alliance)에 의하여 규정되어 있는 전자 서비스 가이드(전자 프로그램표)인데, ATSC3.0에 있어서도 OMA-ESG에 준거한 프로그램 정보(ESG)를 이용할 것이 상정되어 있다(하기 비특허문헌 3 참조).
비특허문헌 3: ATSC Candidate Standard: Service Announcement (A/332)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ATSC3.0의 프로그램 정보(ESG)에 있어서는, 통상의 방송 서비스(Liner service), 라디오 방송(Linear audio only service), 또는 App-based 서비스(app-based enhancement service)인지의 서비스의 종별을 나타내는 ServiceType이라는 요소가 있다.
또한 ESG의 ServiceType 요소와 SLT 메타데이터의 serviceCategory 속성을 비교하면, ESG의 통상의 방송 서비스는, SLT 메타데이터에서 정의되는 통상의 방송 서비스(1: Linear A/V service)에 상당하고, ESG의 라디오 방송은, SLT 메타데이터에서 정의되는 음성만의 서비스(2: Linear audio only service)에 상당한다. 또한 ESG의 App-based 서비스는, SLT 메타데이터에서 정의되는 App-based 서비스(3: App-based service)에 상당한다.
즉, ESG의 ServiceType 요소로서는, 상기 비특허문헌 3의 「5.2.2.1.1 Service Type」에 규정되는 값이 규정되어 있다.
이 ServiceType 요소의 값으로서,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새로이 "230"을 정의하여 방송 오프로딩 서비스(Broadcast off-loading service)를 의미하도록 한다. 즉, 여기서는, 요소나 속성의 추가가 아니라, 요소의 컨텐츠로서 저장하는 값의 추가 확장에 의하여 ESG 정보에, 방송 오프로딩 서비스가 배신되는 것을 나타내는 주지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도 25에는 ESG 정보의 기술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ESG 정보의 서비스 프래그먼트(Service fragment)에 ServiceType 요소의 값으로서 ServiceType="230"이 지정되어, 대상의 서비스가 방송 오프로딩 서비스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예를 들어 2016년 9월 12일의 13시로부터 15시까지의 사이 등의 시간대에 방송 오프로딩 서비스를 이용 가능한 경우, ESG 정보에서는, 도 25에 나타낸 서비스 프래그먼트(Service fragment) 외에 콘텐츠 프래그먼트(Content fragment)나 스케줄 프래그먼트(Schedule fragment) 등의 XML 프래그먼트를 이용하여 당해 방송 오프로딩 서비스의 유효 기간을 사전에 통지할 수 있다. 그 구체예를 도 26 및 도 27에 나타낸다.
(XML 프래그먼트의 관계)
도 26은, 어느 시간대에 방송 오프로딩 서비스를 이용 가능한 경우의 서비스, 콘텐츠 및 스케줄의 XML 프래그먼트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서비스 프래그먼트는 "//a.com/Service-1"인 ID로 식별되며, ServiceType 요소의 값으로서 ServiceType="230"이 지정되어 있다. 즉, 당해 서비스(Service-1)가 방송 오프로딩 서비스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콘텐츠 프래그먼트는 "//a.com/Content-1-1"인 ID로 식별되며, Name 요소로서 "Broadcast off-loading Service"이 지정되어 있다. 즉, 당해 콘텐츠의 명칭은 방송 오프로딩 서비스이다.
또한 도 26에 있어서, 콘텐츠 프래그먼트는 ServiceReference 요소의 idRef 속성의 값에 의하여 서비스 프래그먼트와 관련지어져 있다.
스케줄 프래그먼트는 "//a.com/Schedule-1-1"인 ID로 식별되며, ContentReference 요소의 자요소로 되는 PresentationWindow 요소의 startTime 속성으로서 "2016-09-12T13:00:00+00:00"이 지정되고, endTime 속성으로서 "2016-09-12T15:00:00+00:00"이 지정된다.
즉, startTime 속성과 endTime 속성에 의하여 방송 오프로딩 서비스의 개시 시각 t1과 종료 시각 t2가 지정된다. 이 예의 경우에는, 2016년 9월 12일의 13시로부터 15시까지의 사이에 방송 오프로딩 서비스가 배신되게 된다.
또한 도 26에 있어서, 스케줄 프래그먼트는 ServiceReference 요소의 idRef 속성의 값에 의하여 서비스 프래그먼트와 관련지어져 있다. 또한 스케줄 프래그먼트는 ContentReference 요소의 idRef 속성의 값에 의하여 콘텐츠 프래그먼트와 관련지어져 있다.
(ESG 서비스의 화면예)
도 27은, 방송 오프로딩 서비스를 이용 가능한 경우의 ESG 서비스의 화면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의 ESG 서비스의 화면은, 도 26에 나타낸 XML 프래그먼트를 포함하는 ESG 정보를 수신한 클라이언트 장치(20)에서 표시되는 화면의 표시예이다.
즉, 이 ESG 서비스의 화면에 있어서는, 개시 시각 t1(2016년 9월 12일의 13시)로부터 종료 시각 t2(2016년 9월 12일의 15시)까지의 시간대의 범위 내에 Service-1로서 방송 오프로딩 서비스(Broadcast off-loading Service)가 표시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엔드 유저에 대하여, 그 시간대에 방송 오프로딩 서비스가 배신되는 것을 사전에 통지(주지)할 수 있다.
단, 방송 오프로딩 서비스의 배신을 ESG 서비스의 화면 상에 표시할지의 여부는 클라이언트 장치(20)의 UI(User Interface)의 실장에 따른다.
또한 전술한 LLS의 확장 및 ESG의 확장에 의한 주지 정보의 배신 방법 중 적어도 한쪽 배신 방법에 의하여 주지 정보를 배신하도록 하면 된다. 또한 LLS의 확장 및 ESG의 확장에 의한 주지 정보의 배신 방법 이외의 배신 방법에 의하여 주지 정보가 배신되도록 해도 된다.
<6. 콘텐츠 송수신 처리>
(콘텐츠 송수신 처리의 흐름)
다음으로, 도 28 내지 도 31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송신측과 수신측의 각 장치에서 행해지는 콘텐츠 송수신 처리의 상세를 설명한다.
또한 도 28 내지 도 30에 있어서, 스텝 S101 내지 S103, S121 내지 128 및 S141 내지 S146의 처리는 송신측의 DASH 서버(11), 스위칭 서버(12) 및 방송 서버(13)에 의하여 각각 실행된다. 한편, 스텝 S201 내지 S207 및 221 내지 S225의 처리는 수신측의 프록시 서버(21) 및 DASH 클라이언트(22)에 의하여 각각 실행된다.
도 28의 스텝 S141에 있어서, ESG·메타데이터 처리부(151)는, 방송 오프로딩 서비스를 이용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주지 정보를 생성하여 ESG 정보 또는 SLT 메타데이터에 포함시킨다.
스텝 S142에 있어서, 송신부(142)는, 스텝 S141의 처리에서 얻어지는, 주지 정보를 포함하는 ESG 정보 또는 SLT 메타데이터를 송신한다. 이 ESG 정보 또는 SLT 메타데이터는 방송 네트워크를 통하여, 대상의 방송 에어리어 내에 설치되는 프록시 서버(21)에 의하여 수신되며, 거기에 포함되는 주지 정보에 의하여, 방송 오프로딩 서비스를 이용 가능한 것이 주지되게 된다.
스텝 S221에 있어서, 리퀘스트 처리부(231)는 원하는 콘텐츠의 MPD 리퀘스트를 생성한다. 여기서, 원하는 콘텐츠는, 예를 들어 엔드 유저의 조작에 따라 선택된다.
스텝 S222에 있어서, 통신 I/F(221)는 스텝 S221의 처리에서 얻어지는 MPD 리퀘스트를 프록시 서버(21)에 송신한다. 프록시 서버(21)에서는 DASH 클라이언트(22)로부터의 MPD 리퀘스트가 수신되고, 통신 I/F(202)에 의하여 인터넷(41)을 통하여 스위칭 서버(12)에 송신된다.
또한 여기서는, 프록시 서버(21) 또는 DASH 클라이언트(22)가, 예를 들어 인터넷(41) 상에 공개된 스트리밍 사이트의 Web 페이지에 액세스하는 등, 어떠한 방법으로 MPD 메타데이터의 URL이 취득됨으로써 MPD 리퀘스트가 DASH 서버(11) 앞으로 송신된다.
이와 같이 DASH 클라이언트(22)로부터의 MPD 리퀘스트는 인터넷(41) 등을 경유하여 최종적으로 DASH 서버(11)에 의하여 수신된다.
스텝 S101에 있어서, MPD 처리부(111)는 MPD 리퀘스트에 기초하여 MPD 리스폰스(MPD 메타데이터)를 생성한다.
스텝 S102에 있어서, 통신 I/F(101)는 스텝 S101의 처리에서 얻어지는 MPD 리스폰스(MPD 메타데이터)를 스위칭 서버(12)에 송신한다. 스위칭 서버(12)에서는 DASH 서버(11)로부터의 MPD 리스폰스가 수신되고, 통신 I/F(124)에 의하여 인터넷(41)을 통하여 프록시 서버(21)를 경유하여 DASH 클라이언트(22)에 송신된다.
또한 스위칭 서버(12)에서는 DASH 서버(11)로부터의 MPD 리스폰스가 전송되는데, 그때, MPD 리스폰스에 포함되는 MPD 메타데이터가 기억부(122)에 기록되도록 한다(S121). 또한 DASH 서버(11)로부터의 MPD 리스폰스는 인터넷(41) 등을 경유하여 최종적으로 DASH 클라이언트(22)에 의하여 수신된다.
스텝 S223에 있어서, 리퀘스트 처리부(231)는, MPD 리스폰스에 포함되는 MPD 메타데이터의 파싱 결과에 기초하여, 원하는 콘텐츠의 세그먼트 리퀘스트를 생성한다.
스텝 S224에 있어서, 통신 I/F(221)는 스텝 S223의 처리에서 얻어지는 세그먼트 리퀘스트를 프록시 서버(21)에 송신한다. 프록시 서버(21)에서는 DASH 클라이언트(22)로부터의 세그먼트 리퀘스트가 수신된다.
도 29의 스텝 S201에 있어서, ESG·메타데이터 처리부(211)는 방송 서버(13)로부터 수신한 ESG 정보 또는 SLT 메타데이터를 처리하여, 거기에 포함되는 주지 정보를 참조하여, 방송 오프로딩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스텝 S202에 있어서, ESG·메타데이터 처리부(211)는 스텝 S201의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방송 오프로딩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202에 있어서, 방송 오프로딩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203으로 진행된다. 스텝 S203에 있어서, 리퀘스트 처리부(212)는 DASH 클라이언트(22)로부터의 세그먼트 리퀘스트(HTTP 리퀘스트의 헤더)에 대하여 방송 네트워크 식별 정보(브로드캐스트 스트림 ID)를 삽입한다.
그리고 스텝 S203의 처리가 종료되면 처리는 스텝 S204로 진행된다. 스텝 S204에 있어서, 리퀘스트 처리부(212)는 방송 네트워크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세그먼트 리퀘스트(HTTP 리퀘스트의 헤더)에 대하여 소스 식별 정보(콘텐츠 ID)를 추가로 삽입한다.
한편, 스텝 S202에 있어서, 방송 오프로딩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203의 처리는 건너뛰고 처리는 스텝 S204로 진행된다. 스텝 S204에 있어서, 리퀘스트 처리부(212)는 DASH 클라이언트(22)로부터의 세그먼트 리퀘스트(HTTP 리퀘스트의 헤더)에 대하여 소스 식별 정보(콘텐츠 ID)를 삽입한다.
이와 같이 방송 오프로딩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경우에는, 세그먼트 리퀘스트에 대하여 방송 네트워크 식별 정보와 소스 식별 정보가 삽입되는 한편, 방송 오프로딩 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세그먼트 리퀘스트에 대하여 소스 식별 정보만이 삽입된다.
스텝 S205에 있어서, 통신 I/F(202)는 스텝 S201 내지 S204의 처리에서 얻어지는 세그먼트 리퀘스트를 인터넷(41)을 통하여 스위칭 서버(12)에 송신한다. 이 세그먼트 리퀘스트는 스위칭 서버(12)에 의하여 DASH 서버(11)에 전송된다.
스텝 S122에 있어서, 리퀘스트 처리부(131)는 프록시 서버(21)로부터의 세그먼트 리퀘스트를 기억부(122)에 기록한다.
스텝 S123에 있어서, 리퀘스트 처리부(131)는 프록시 서버(21)로부터의 세그먼트 리퀘스트(HTTP 리퀘스트의 헤더)로부터 방송 네트워크 식별 정보(브로드캐스트 스트림 ID)와 소스 식별 정보(콘텐츠 ID)를 추출하여 처리한다.
여기서는, 처리 대상의 세그먼트 리퀘스트의 송신원의 프록시 서버(21)가 방송 오프로딩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경우에는, 당해 세그먼트 리퀘스트에는 방송 네트워크 식별 정보 및 소스 식별 정보가 포함된다. 한편, 처리 대상의 세그먼트 리퀘스트의 송신원의 프록시 서버(21)가 방송 오프로딩 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당해 세그먼트 리퀘스트에는 소스 식별 정보만이 포함된다.
그리고, 예를 들어 리퀘스트 처리부(131)는, 소스 식별 정보로 식별되는 콘텐츠(소스)마다 일정한 측정 기간을 마련하여 세그먼트 리퀘스트의 리퀘스트 수를 카운트하고, 그 카운트값이 미리 정해진 역치 이상으로 된 경우에는, 그 이후의 해당하는 소스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세그먼트 리퀘스트에 대한 리스폰스가 방송 회신 모드에서 회신되도록 한다.
스텝 S124에 있어서, 리퀘스트 처리부(131)는 세그먼트 리퀘스트의 처리 결과에 기초하여, 당해 세그먼트 리퀘스트에 대한 리스폰스에 대하여, 방송 회신 모드에서 대응할지의 여부에 대하여 판정한다.
스텝 S124에 있어서, 방송 회신 모드에서 대응한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도 30의 스텝 S125로 진행된다. 도 30에는, 도 29의 스텝 S124의 판정 처리 이후의 처리로서 방송 회신 모드 시의 처리 내용이 나타나 있다.
또한 상세는 후술하겠지만, 스텝 S124에 있어서, 통신 회신 모드에서 대응한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도 31의 스텝 S131로 진행된다. 도 31에는, 스텝 S124의 판정 처리 이후의 처리로서 통신 회신 모드 시의 처리 내용이 나타나 있다.
도 30의 설명으로 되돌아가, 스텝 S125에 있어서, 방송 처리부(132)는, 처리 대상의 세그먼트 리퀘스트에 대한 리스폰스를 방송 회신 모드에서 회신할 때의, 대상의 방송 에어리어를 특정한다.
스텝 S126에 있어서, 방송 처리부(132)는, 스텝 S125의 처리에서 특정되는 대상의 방송 에어리어에서의 방송을 행하는 방송 서버(13)에 대하여 소스 식별 정보와 함께 SLS 갱신 지시를 송신한다.
스텝 S127에 있어서, 방송 처리부(132)는, 스텝 S125의 처리에서 특정되는 대상의 방송 에어리어에서의 방송을 행하는 방송 서버(13)에 대하여, 방송 회신 모드에서의 개시 세그먼트 URL과 아울러, 스텝 S121의 처리에서 기억되어 있던 MPD 메타데이터를 송신한다.
방송 서버(13)에서는, 스위칭 서버(12)로부터의, 소스 식별 정보 및 SLS 갱신 지시, 그리고 방송 회신 모드에서의 개시 세그먼트 URL 및 MPD 메타데이터가 수신된다.
스텝 S143에 있어서, ESG·메타데이터 처리부(151)는 SLS(USBD 메타데이터)을 갱신하고, 소스 식별 정보로 식별되는 콘텐츠(소스)의 DASH 세그먼트가 방송 회신 모드에서 회신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시킨다.
또한 여기서는, USBD 메타데이터에 의한 플래그에 의존하지 않고, 예를 들어 스위칭 서버(12)로부터의 MPD 메타데이터를 갱신하고 당해 MPD 메타데이터 내에, 방송 경유로의 회신인지 통신 경유로의 회신인지를 명시적으로 기술하는 등의 방법을 이용해도 되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다.
스텝 S144에 있어서, 송신부(142)는, 스텝 S143의 처리에서 얻어지는, 갱신 후의 SLS(USBD 메타데이터) 및 MPD 메타데이터를 송신한다. 단, 스텝 S143의 처리에서 MPD 메타데이터의 갱신을 행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미갱신된 MPD 메타데이터는 송신하지 않고 SLS만이 송신되도록 해도 된다.
이 갱신 후의 SLS 및 MPD 메타데이터는 방송 네트워크를 통하여, 대상의 방송 에어리어 내에 설치되는 프록시 서버(21)에 의하여 수신된다. 스텝 S206에 있어서, ESG·메타데이터 처리부(211)는 갱신 후의 SLS(USBD 메타데이터) 및 MPD 메타데이터를 처리한다.
이 갱신 후의 SLS(USBD 메타데이터) 및 MPD 메타데이터에는, 소스 식별 정보로 식별되는 콘텐츠(소스)의 DASH 세그먼트가 방송 회신 모드에서 회신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프록시 서버(21)에서는 그 점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ESG·메타데이터 처리부(211)는 스텝 S206의 처리 결과에 기초하여, MPD 메타데이터가 갱신되어 있는 경우에는 갱신 후의 MPD 메타데이터를 통신 I/F(203)를 통하여 DASH 클라이언트(22)에 송신(통지)한다.
한편, 방송 서버(13)에 있어서는, DASH 세그먼트 처리부(152)가 방송 회신 모드에서의 개시 세그먼트 URL에 기초하여 세그먼트 리퀘스트를 DASH 서버(11)에 송신한다. 이 세그먼트 리퀘스트는 DASH 서버(11)에 의하여 수신된다. 또한 여기서는, 스위칭 서버(12)를 통하여 세그먼트 리퀘스트가 수수되도록 해도 된다.
스텝 S103에 있어서, DASH 세그먼트 처리부(112)는 방송 서버(13)로부터의 세그먼트 리퀘스트에 기초하여 대상의 콘텐츠(소스)의 DASH 세그먼트를 취득하여 스위칭 서버(12)에 송신한다. 이 DASH 세그먼트는 스위칭 서버(12)에 의하여 수신된다.
스텝 S128에 있어서, 방송 처리부(132)는, 스텝 S125의 처리에서 특정되는 대상의 방송 에어리어에서의 방송을 행하는 방송 서버(13)에 대하여, DASH 서버(11)로부터의 DASH 세그먼트를 전송한다. 이 DASH 세그먼트는 방송 서버(13)에 의하여 수신되어 처리된다.
스텝 S146에 있어서, 송신부(142)는 DASH 세그먼트를 송신한다. 이 DASH 세그먼트는 방송 네트워크를 통하여, 대상의 방송 에어리어 내에 설치되는 프록시 서버(21)에 의하여 수신되어, 통신 I/F(203)에 의하여 DASH 클라이언트(22)에 전송된다.
스텝 S225에 있어서, 재생부(232)는, 프록시 서버(21)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DASH 세그먼트를 재생한다. 이것에 의하여 DASH 클라이언트(22)에 있어서는, 세그먼트 리퀘스트에 따른 DASH 세그먼트가 처리되어 원하는 콘텐츠가 재생된다.
이상, 도 30을 참조하여, 도 29의 스텝 S124의 판정 처리에서 방송 회신 모드에서 대응한다고 판정된 경우(S124의 「예」)의 그 이후의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도 31을 참조하여, 도 29의 스텝 S124의 판정 처리에서 통신 회신 모드에서 대응한다고 판정된 경우(S124의 「아니오」)의 그 이후의 처리의 흐름을 설명한다.
또한 도 31에 있어서, 스텝 S111 및 S131의 처리는 송신측의 DASH 서버(11) 및 스위칭 서버(12)에 의하여 각각 실행된다. 한편, 스텝 S231의 처리는 수신측의 DASH 클라이언트(22)에 의하여 실행된다.
스텝 S111에 있어서, DASH 세그먼트 처리부(112)는 DASH 클라이언트(22) 또는 스위칭 서버(12)로부터의 세그먼트 리퀘스트에 기초하여 대상의 콘텐츠(소스)의 DASH 세그먼트를 취득하여 스위칭 서버(12)에 송신한다. 이 DASH 세그먼트는 스위칭 서버(12)에 의하여 수신된다.
스텝 S131에 있어서, 통신 처리부(133)는 DASH 서버(11)로부터의 DASH 세그먼트를 인터넷(41)을 통하여 프록시 서버(21)에 송신(전송)한다. 이 DASH 세그먼트는 인터넷(41)을 통하여 프록시 서버(21)에 의하여 수신되어, 통신 I/F(203)에 의하여 DASH 클라이언트(22)에 전송된다.
스텝 S231에 있어서, 재생부(232)는 프록시 서버(21)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DASH 세그먼트를 재생한다. 이것에 의하여 DASH 클라이언트(22)에 있어서는, 세그먼트 리퀘스트에 따른 DASH 세그먼트가 처리되어 원하는 콘텐츠가 재생된다.
이상, 도 31을 참조하여, 도 29의 스텝 S124의 판정 처리에서 통신 회신 모드에서 대응한다고 판정된 경우(S124의 「아니오」)의 그 이후의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였다.
<7. 변형예>
(다른 방송 규격에 대한 적용)
전술한 설명으로서는, 디지털 방송의 규격으로서 미국 등에서 채용되어 있는 방식인 ATSC(특히 ATSC3.0)를 설명하였지만, 본 기술은, 일본 등이 채용하는 방식인 ISDB(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ing)나 유럽의 각국 등이 채용하는 방식인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등에 적용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전술한 설명에서는, IP 전송 방식이 채용되는 ATSC3.0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IP 전송 방식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MPEG2-TS(Transport Stream) 방식 등의 다른 방식에 적용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디지털 방송의 규격으로서는 지상파 방송 외에, 방송 위성(BS: Broadcasting Satellite)이나 통신 위성(CS: Communications Satellite) 등을 이용한 위성 방송이나, 케이블 텔레비전(CATV: Common Antenna TeleVision) 등의 유선 방송 등의 규격에 적용할 수 있다.
(그 외의 변형예)
전술한 제어 정보(시그널링) 등의 명칭은 일례이며, 다른 명칭이 이용되는 경우가 있다. 단, 이들 명칭의 차이는 형식적인 차이이며, 대상의 제어 정보 등의 실질적인 내용이 상이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USBD(User Service Bundle Description)는 USD(User Service Description)라 칭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예를 들어 NRT(Non Real Time)는 LCC(Locally Cached Content)라 칭해지고, ESG(Electronic Service Guide)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라 칭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전술한 DASH 클라이언트(22)에 있어서, DASH 세그먼트를 재생하기 위한 DASH 플레이어는, 예를 들어 HTML5(HyperText Markup Language 5) 등의 마크업 언어나 JavaScript(등록 상표) 등의 스크립트 언어로 개발된 어플리케이션 외에, 예를 들어 Java(등록 상표) 등의 프로그래밍 언어로 개발된 어플리케이션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이 어플리케이션은, 브라우저에 의하여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한정되지 않으며, 소위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오퍼레이팅 시스템(OS:Operating System) 환경 등에서 실행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은, 어떠한 정보를 명시적으로 표시할 뿐 아니라 비표시로(백그라운드에서) 동작되도록 해도 된다(엔드 유저에게 인식되지 않고 기동하도록 해도 됨). 또한 콘텐츠는 동화상이나 음악 외에, 예를 들어 전자 서적이나 게임, 광고 등 모든 콘텐츠를 포함시킬 수 있다.
<8. 컴퓨터의 구성>
전술한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에 의하여 실행할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에 의하여 실행할 수도 있다. 일련의 처리를 소프트웨어에 의하여 실행하는 경우에는, 그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이 컴퓨터에 인스톨된다. 도 32는, 전술한 일련의 처리를 프로그램에 의하여 실행하는 컴퓨터의 하드웨어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컴퓨터(1000)에 있어서, CPU(Central Processing Unit)(1001), ROM(Read Only Memory)(1002), RAM(Random Access Memory)(1003)은 버스(1004)에 의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다. 버스(1004)에는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1005)가 접속되어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005)에는 입력부(1006), 출력부(1007), 기록부(1008), 통신부(1009) 및 드라이브(1010)가 접속되어 있다.
입력부(1006)는 키보드, 마우스, 마이크로폰 등을 포함한다. 출력부(1007)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등을 포함한다. 기록부(1008)는 하드 디스크나 불휘발성의 메모리 등을 포함한다. 통신부(1009)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한다. 드라이브(1010)는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광 자기 디스크, 또는 반도체 메모리 등의 리무버블 기록 매체(1011)를 구동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컴퓨터(1000)에서는, CPU(1001)가, ROM(1002)이나 기록부(1008)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입출력 인터페이스(1005) 및 버스(1004)를 통하여 RAM(1003)에 로드하여 실행함으로써, 전술한 일련의 처리가 행해진다.
컴퓨터(1000)(CPU(1001))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패키지 미디어 등으로서의 리무버블 기록 매체(1011)에 기록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로컬 에어리어 네트워크, 인터넷, 디지털 위성 방송과 같은 유선 또는 무선의 전송 매체를 통하여 제공할 수 있다.
컴퓨터(1000)에서는, 프로그램은, 리무버블 기록 매체(1011)를 드라이브(1010)에 장착함으로써 입출력 인터페이스(1005)를 통하여 기록부(1008)에 인스톨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의 전송 매체를 통하여 통신부(1009)에서 수신하여 기록부(1008)에 인스톨할 수 있다. 그 외에, 프로그램은 ROM(1002)이나 기록부(1008)에 미리 인스톨해 둘 수 있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컴퓨터가 프로그램에 따라 행하는 처리는 반드시 흐름도로서 기재된 순서를 따라 시계열로 행해질 필요는 없다. 즉, 컴퓨터가 프로그램에 따라 행하는 처리는 병렬적 또는 개별적으로 실행되는 처리(예를 들어 병렬 처리 또는 오브젝트에 의한 처리)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그램은 하나의 컴퓨터(프로세서)에 의하여 처리되는 것이어도 되고, 복수의 컴퓨터에 의하여 분산 처리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본 기술의 실시 형태는 전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기술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본 기술은 이하와 같은 구성을 취할 수 있다.
(1)
복수의 수신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콘텐츠의 리퀘스트를 처리하여, 상기 리퀘스트에 대한 리스폰스를 회신하는 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리퀘스트는, 상기 수신 장치에서 수신 가능한 방송 에어리어를 식별하기 위한 제1 식별 정보와, 상기 콘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제2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1 식별 정보 및 상기 제2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리스폰스의 회신 경로로서 통신 경유로의 회신과 방송 경유로의 회신을 동적으로 전환하는,
정보 처리 장치.
(2)
상기 처리부는,
통상 시의 경우, 상기 리스폰스의 회신 경로로서 통신 경유의 경로를 선택하고,
통신 경유의 경로에 부하가 걸려 있는 경우, 상기 리스폰스의 회신 경로로서 방송 경유의 경로를 선택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3)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2 식별 정보에 의하여 식별되는 상기 콘텐츠마다 일정한 기간으로 상기 리퀘스트의 수를 카운트하고,
그 카운트값이 미리 정해진 역치 이상으로 된 경우에, 해당하는 제2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리퀘스트에 대한 리스폰스가 상기 제1 식별 정보에 기초한 방송 경유로 회신되도록 하는,
상기 (2)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4)
상기 처리부는, 상기 리스폰스의 회신 경로가 통신 경유의 경로로부터 방송 경유의 경로로 전환되는 경우에, 상기 리스폰스를 방송 경유로 회신하는 제1 서버에 대하여, 방송 경유로의 회신이 행해지는 것을 상기 수신 장치에 통지시키기 위하여 제어 정보의 갱신을 요구하는,
상기 (2) 또는 (3)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5)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1 식별 정보에 의하여 식별되는 방송 에어리어 내의 상기 제1 서버에 대하여, 상기 리스폰스로서 제2 서버로부터 배신되는 콘텐츠의 스트림의 세그먼트를 전송하는,
상기 (4)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6)
상기 처리부는, 상기 수신 장치가 방송 경유로 회신되는 상기 리스폰스의 수신에 실패한 경우에, 방송 경유로 회신되는 상기 리스폰스와 동일한 리스폰스가 통신 경유로 회신되도록 하는,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7)
상기 제1 식별 정보는 RF(Radio Frequency) 채널에 대응한 정보이고,
상기 제2 식별 정보는 콘텐츠 ID인,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8)
상기 콘텐츠의 스트림은 상기 제2 서버로부터 라이브 스트림 또는 VOD(Video On Demand) 스트림으로서 배신되는,
상기 (5)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9)
상기 통신 경유의 경로는 인터넷을 포함하는 경로이고,
상기 방송 경유의 경로는, IP(Internet Protocol) 전송 방식에 대응한 지상파 방송에 의한 전송 경로인,
상기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10)
정보 처리 장치의 정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가,
복수의 수신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콘텐츠의 리퀘스트를 처리하여, 상기 리퀘스트에 포함되는 상기 수신 장치에서 수신 가능한 방송 에어리어를 식별하기 위한 제1 식별 정보, 및 상기 콘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제2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리퀘스트에 대한 리스폰스의 회신 경로로서 통신 경유로의 회신과 방송 경유로의 회신을 동적으로 전환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방법.
(11)
콘텐츠의 리퀘스트를 처리하여, 자신이 수신 가능한 방송 에어리어를 식별하기 위한 제1 식별 정보와, 상기 콘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제2 식별 정보를 삽입하는 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처리부는, 송신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상기 리퀘스트에 대한 리스폰스로서, 통신 경유로 회신되는 리스폰스 또는 방송 경유로 회신되는 리스폰스를 처리하는,
정보 처리 장치.
(12)
상기 리스폰스는 통상 시의 경우, 통신 경유로 회신되고, 통신 경유의 경로에 부하가 걸려 있는 경우, 방송 경유로 회신되는,
상기 (11)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13)
상기 처리부는, 상기 리스폰스를 방송 경유로 회신하는 제1 서버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주지 정보에 기초하여, 통신 경유의 경로에 부하가 걸려 있는 경우에, 방송 경유의 경로로 상기 리스폰스를 회신하는 서비스를 이용 가능한지의 여부를 인식하는,
상기 (12)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14)
상기 처리부는,
상기 서비스를 이용 가능한 경우, 상기 리퀘스트에 대하여 상기 제1 식별 정보 및 상기 제2 식별 정보를 삽입하고,
상기 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리퀘스트에 대하여 상기 제2 식별 정보만을 삽입하는,
상기 (13)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15)
상기 주지 정보는, 상기 콘텐츠와 함께 배신되는 제어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14)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16)
상기 주지 정보는, 상기 콘텐츠에 대하여 사전에 배신되는 프로그램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14)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17)
상기 제1 식별 정보는 RF 채널에 대응한 정보이고,
상기 제2 식별 정보는 콘텐츠 ID이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1 식별 정보와 상기 제2 식별 정보를 상기 리퀘스트의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헤더의 확장 부분에 삽입하는,
상기 (11) 내지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18)
상기 콘텐츠의 스트림은 제2 서버로부터 라이브 스트림 또는 VOD 스트림으로서 배신되는,
상기 (11) 내지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19)
상기 통신 경유의 경로는 인터넷을 포함하는 경로이고,
상기 방송 경유의 경로는, IP 전송 방식에 대응한 지상파 방송에 의한 전송 경로인,
상기 (11) 내지 (1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20)
정보 처리 장치의 정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가,
콘텐츠의 리퀘스트를 처리하여, 자신이 수신 가능한 방송 에어리어를 식별하기 위한 제1 식별 정보와, 상기 콘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제2 식별 정보를 삽입하고,
송신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상기 리퀘스트에 대한 리스폰스로서, 통신 경유로 회신되는 리스폰스 또는 방송 경유로 회신되는 리스폰스를 처리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방법.
11: DASH 서버
12: 스위칭 서버
13: 방송 서버
14: ESG·메타데이터 서버
21: 프록시 서버
22: DASH 클라이언트
31: 송신소
41: 인터넷
100: 처리부
101: 통신 I/F
111: MPD 처리부
112: DASH 세그먼트 처리부
120: 처리부
121: 통신 I/F
122: 기억부
123: 통신 I/F
124: 통신 I/F
131: 리퀘스트 처리부
132: 방송 처리부
133: 통신 처리부
140: 처리부
141: 통신 I/F
142: 송신부
151: ESG·메타데이터 처리부
152: DASH 세그먼트 처리부
200: 처리부
201: 튜너
202: 통신 I/F
203: 통신 I/F
211: ESG·메타데이터 처리부
212: 리퀘스트 처리부
220: 처리부
221: 통신 I/F
222: 표시부
223: 스피커
231: 리퀘스트 처리부
232: 재생부
1000: 컴퓨터
1001: CPU

Claims (20)

  1. 정보 처리 디바이스로서,
    처리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 회로는,
    수신 디바이스로부터 세그먼트 리퀘스트를 수신하고- 상기 세그먼트 리퀘스트는 콘텐츠의 부분의 세그먼트의 전달을 요청함 -;
    상기 세그먼트 리퀘스트에 응답하여 상기 수신 디바이스로의 상기 콘텐츠의 부분의 세그먼트의 전달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세그먼트 리퀘스트는,
    상기 콘텐츠의 부분의 세그먼트를 식별하는 세그먼트 식별자,
    상기 수신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가능한 방송 신호를 식별하는 방송 식별자, 및
    상기 콘텐츠의 부분을 식별하는 콘텐츠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 회로는, 상기 세그먼트 식별자, 상기 방송 식별자 및 상기 콘텐츠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 디바이스로의 상기 콘텐츠의 부분의 세그먼트의 전달을 위한 전달 경로로서 광대역 통신 및 방송 송신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방송 송신은 상기 방송 식별자에 기초하여 구성되는, 정보 처리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상기 광대역 통신의 트래픽의 오프로딩이 수행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에, 상기 광대역 통신을 상기 전달 경로로서 선택하고,
    상기 광대역 통신의 트래픽의 오프로딩이 수행되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에, 상기 방송 송신을 상기 전달 경로로서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처리 디바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지정된 기간 내에 상기 세그먼트 식별자 및 상기 콘텐츠 식별자에 의해 식별되는 상기 콘텐츠의 부분의 세그먼트에 대한, 상기 세그먼트 리퀘스트를 포함하는 리퀘스트들의 수를 나타내는 카운트 값을 결정하고;
    상기 카운트 값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방송 송신의 상기 전달 경로로서의 선택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처리 디바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상기 방송 송신이 상기 전달 경로로서 선택되는 경우, 상기 콘텐츠의 부분의 세그먼트의 전달이 상기 방송 송신을 통해 제1 서버에 의해 수행된다는 것을 상기 수신 디바이스에 통지하기 위하여 제어 정보의 업데이트를 위한 리퀘스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처리 디바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제2 서버로부터 상기 세그먼트 리퀘스트에 응답하여 전달될 상기 콘텐츠의 부분의 세그먼트를 상기 방송 식별자에 의해 식별되는 상기 방송 신호의 송신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처리 디바이스.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상기 수신 디바이스가 상기 방송 송신을 통해 전달된 상기 콘텐츠의 부분의 세그먼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콘텐츠의 부분의 세그먼트가 상기 광대역 통신을 통해 전달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처리 디바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식별자는 무선 주파수(RF) 채널에 대응하고,
    상기 콘텐츠 식별자는 프로그램에 대한 범용 고유 식별자 또는 광고 식별자인, 정보 처리 디바이스.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의 부분은 상기 제2 서버로부터 라이브 스트림 또는 주문형 비디오(VOD) 스트림으로서 전달되는, 정보 처리 디바이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대역 통신은 인터넷을 포함하고,
    상기 방송 송신은 인터넷 프로토콜(IP) 송신 시스템에 대응하는 지상파 방송에 따른 송신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디바이스.
  10. 정보 처리 디바이스의 정보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정보 처리 디바이스의 처리 회로에 의해, 수신 디바이스로부터 세그먼트 리퀘스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세그먼트 리퀘스트는 콘텐츠의 부분의 세그먼트의 전달을 요청하고,
    상기 콘텐츠의 부분의 세그먼트를 식별하는 세그먼트 식별자,
    상기 수신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가능한 방송 신호를 식별하는 방송 식별자, 및
    상기 콘텐츠의 부분을 식별하는 콘텐츠 식별자를 포함함 -; 및
    상기 세그먼트 식별자, 상기 방송 식별자 및 상기 콘텐츠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 디바이스로의 상기 콘텐츠의 부분의 세그먼트의 전달을 위한 전달 경로로서 광대역 통신 및 방송 송신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하여, 상기 세그먼트 리퀘스트에 응답하여, 상기 정보 처리 디바이스의 상기 처리 회로에 의해, 상기 수신 디바이스로의 상기 콘텐츠의 부분의 세그먼트의 전달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송 송신은 상기 방송 식별자에 기초하여 구성되는, 정보 처리 방법.
  11. 정보 처리 디바이스로서,
    처리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 회로는,
    콘텐츠의 부분의 세그먼트의 전달을 요청하는 세그먼트 리퀘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세그먼트 리퀘스트는 세그먼트 식별자, 방송 식별자 및 콘텐츠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세그먼트 식별자는 상기 콘텐츠의 부분의 세그먼트를 식별하고, 상기 방송 식별자는 상기 정보 처리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 가능한 방송 신호를 식별하고, 상기 콘텐츠 식별자는 상기 콘텐츠의 부분을 식별함 -;
    상기 세그먼트 리퀘스트를 서버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상기 세그먼트 리퀘스트에 응답하여 그리고 광대역 통신 또는 방송 송신으로부터 선택된 전달 경로를 통해 전달된 상기 콘텐츠의 부분의 세그먼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방송 송신은 상기 방송 식별자에 기초하여 구성되는, 정보 처리 디바이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광대역 통신의 트래픽의 오프로딩이 수행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에, 상기 광대역 통신이 상기 전달 경로로서 선택되고,
    상기 광대역 통신의 트래픽의 오프로딩이 수행되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에, 상기 방송 송신이 상기 전달 경로로서 선택되는, 정보 처리 디바이스.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제1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1 서버에 관한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방송 송신을 통해 상기 제1 서버에 의해 수행된 상기 콘텐츠의 부분의 세그먼트의 전달이 이용가능한지의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처리 디바이스.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상기 방송 송신을 통해 상기 제1 서버에 의해 수행된 상기 콘텐츠의 부분의 세그먼트의 전달이 이용가능하다고 결정되는 경우, 상기 방송 식별자 및 상기 콘텐츠 식별자를 상기 세그먼트 리퀘스트에 포함시키고;
    상기 방송 송신을 통해 상기 제1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상기 콘텐츠의 부분의 세그먼트의 전달이 이용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방송 식별자의 포함 없이, 상기 콘텐츠 식별자를 상기 세그먼트 리퀘스트에 포함시키도록 구성되는, 정보 처리 디바이스.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버에 관한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방송 송신을 통해 전달될 제어 정보에 포함되는, 정보 처리 디바이스.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버에 관한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콘텐츠의 부분의 세그먼트의 전달에 앞서 전달될 프로그램 정보에 포함되는, 정보 처리 디바이스.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식별자는 무선 주파수(RF) 채널에 대응하고,
    상기 콘텐츠 식별자는 프로그램에 대한 범용 고유 식별자 또는 광고 식별자이고,
    상기 처리 회로는 상기 리퀘스트의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HTTP) 헤더의 확장 부분 내에 상기 방송 식별자 및 상기 콘텐츠 식별자를 포함시키도록 구성되는, 정보 처리 디바이스.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의 부분은 라이브 스트림 또는 주문형 비디오(VOD) 스트림으로서 제2 서버로부터 전달되는, 정보 처리 디바이스.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광대역 통신은 인터넷을 포함하고,
    상기 방송 송신은 IP 송신 시스템에 대응하는 지상파 방송에 따른 송신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디바이스.
  20. 정보 처리 디바이스의 정보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정보 처리 디바이스의 처리 회로에 의해, 콘텐츠의 부분의 세그먼트의 전달을 요청하는 세그먼트 리퀘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세그먼트 리퀘스트는 세그먼트 식별자, 방송 식별자 및 콘텐츠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세그먼트 식별자는 상기 콘텐츠의 부분의 세그먼트를 식별하고, 상기 방송 식별자는 상기 정보 처리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 가능한 방송 신호를 식별하고, 상기 콘텐츠 식별자는 상기 콘텐츠의 부분을 식별함 -;
    상기 세그먼트 리퀘스트를 서버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 및
    콘텐츠의 상기 세그먼트 리퀘스트에 응답하여 그리고 광대역 통신 또는 방송 송신으로부터 선택된 전달 경로를 통해 전달된 상기 콘텐츠의 부분의 세그먼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송 송신은 상기 방송 식별자에 기초하여 구성되는, 정보 처리 방법.
KR1020197010968A 2016-10-27 2017-10-13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처리 방법 KR1024430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210144 2016-10-27
JPJP-P-2016-210144 2016-10-27
PCT/JP2017/037118 WO2018079295A1 (ja) 2016-10-27 2017-10-13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3373A KR20190073373A (ko) 2019-06-26
KR102443060B1 true KR102443060B1 (ko) 2022-09-14

Family

ID=62023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0968A KR102443060B1 (ko) 2016-10-27 2017-10-13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115335B2 (ko)
EP (1) EP3534613A1 (ko)
JP (1) JPWO2018079295A1 (ko)
KR (1) KR102443060B1 (ko)
CN (1) CN109845276A (ko)
CA (1) CA3040829A1 (ko)
MX (1) MX2019004532A (ko)
WO (1) WO20180792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926488T3 (es) * 2017-02-17 2022-10-26 Tdf Transmisión de datos de redundancia en un sistema de red híbrida
US11076194B2 (en) * 2018-11-23 2021-07-27 Sony Corporation Time-shifted playback
JP7146615B2 (ja) * 2018-12-20 2022-10-04 Tvs Regza株式会社 録画再生装置および録画再生方法
JP7146613B2 (ja) * 2018-12-20 2022-10-04 Tvs Regza株式会社 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JP7146614B2 (ja) * 2018-12-20 2022-10-04 Tvs Regza株式会社 送受信システム及び方法
US20220210487A1 (en) * 2020-12-30 2022-06-30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Data forwarding in a content delivery network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69437A1 (en) * 2013-03-15 2014-09-18 Cellco Partnership (D/B/A Verizon Wireless) Broadcast media content to subscriber group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25797B2 (en) 2006-07-07 2010-05-25 Scientific-Atlanta, Llc Buffer for storing data and forward error correction (FEC)
EP2053825B1 (en) 2007-10-25 2015-07-08 Alcatel Lucent Distribution of shared content streams in communications networks
EP2597825A4 (en) * 2010-07-20 2015-04-15 Sharp Kk DATA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DATA DISTRIBUTION SIDE RELAY DEVICE, AND RECEIVING SIDE DATA RELAY DEVICE
US9826502B2 (en) 2011-07-25 2017-11-21 Qualcomm Incorporated Managing handoff triggering between unicast and multicast services
US9473906B2 (en) * 2013-03-22 2016-10-18 Mediatek Inc. Idle mode reception for group communication over LTE eMBMS
US9807188B2 (en) 2013-04-09 2017-10-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ynamic content offloading
US9674251B2 (en) * 2013-06-17 2017-06-06 Qualcomm Incorporated Mediating content delivery via one or more services
WO2015000141A1 (zh) * 2013-07-02 2015-01-0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支持流媒体进行组播的方法和相关装置及系统
JP6625318B2 (ja) * 2013-08-29 2019-12-25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送信方法および受信方法
WO2015032032A1 (zh) * 2013-09-03 2015-03-12 华为技术有限公司 用于传输媒体流的方法、装置和用户设备
KR102033986B1 (ko) * 2013-09-13 2019-10-21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스트리밍 미디어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과 시스템, 사용자 장비, 및 서버
US11553018B2 (en) * 2014-04-08 2023-01-10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Dynamically switched multicast deliver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69437A1 (en) * 2013-03-15 2014-09-18 Cellco Partnership (D/B/A Verizon Wireless) Broadcast media content to subscriber grou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040829A1 (en) 2018-05-03
KR20190073373A (ko) 2019-06-26
CN109845276A (zh) 2019-06-04
JPWO2018079295A1 (ja) 2019-09-12
US20190238464A1 (en) 2019-08-01
WO2018079295A1 (ja) 2018-05-03
US11115335B2 (en) 2021-09-07
EP3534613A4 (en) 2019-09-04
MX2019004532A (es) 2019-06-12
EP3534613A1 (en) 2019-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3060B1 (ko)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처리 방법
AU2021202436B2 (en) Reception appartus, transmission apparatus, and data processing method
CN101159577B (zh) 接收自适应广播信号的装置及其方法
US1002773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treaming content
US11374670B2 (en) Receiving device, transmitting device, and data processing method
KR102499231B1 (ko) 수신 장치, 송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US10469919B2 (en) Broadcast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broadcast signal reception apparatus, broadcast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broadcast signal reception method
KR102496890B1 (ko) 정보 처리 장치, 클라이언트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101952700B1 (ko) 방송 통신 융합 서비스의 제공 방법 및 장치
US11336957B2 (en) Reception apparatus, transmission apparatus, and data processing method
CN101257612B (zh) Iptv接收器和在iptv接收器中处理分级信息的方法
WO2018021015A1 (ja) 受信装置、送信装置、及び、データ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