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9637A - 의복 - Google Patents

의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9637A
KR20110019637A KR1020090077260A KR20090077260A KR20110019637A KR 20110019637 A KR20110019637 A KR 20110019637A KR 1020090077260 A KR1020090077260 A KR 1020090077260A KR 20090077260 A KR20090077260 A KR 20090077260A KR 20110019637 A KR20110019637 A KR 201100196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eat
drying
quick
shoulder
side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7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9100B1 (ko
Inventor
김희은
이아람
정정림
윤상배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77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9100B1/ko
Publication of KR20110019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96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9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91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2Hygroscopic; Water retain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02Details of protective gar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1D13/0007 - A41D13/1281
    • A41D13/0005Joi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15Sports garments other than provided for in groups A41D13/0007 - A41D13/088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0Impermeable to liquids, e.g. waterproof; Liquid-repellent
    • A41D31/102Waterproof and breathabl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60Moisture handling or wicking fun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신체 부위별 발한량에 따라 구별되는 흡한속건 성능을 가지는 의복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복은, 척추부, 상기 척추부의 양측에 연결되는 어깨측 옷길부, 상기 어깨측 옷길부에 연결되고 아래에서 상기 척추부의 양측에 연결되는 등 옷자락측 옷길부, 상기 어깨측 옷길부에 연결되는 견부, 상기 견부와 상기 어깨측 옷길부에 연결되는 가슴측 옷길부, 상기 가슴측 옷길부와 상기 등 옷자락측 옷길부에 연결되는 앞 옷자락측 옷길부, 및 상기 견부, 상기 등 옷자락측 옷길부 및 상기 가슴측 옷길부에 연결되는 팔부를 포함하며, 상기 척추부, 상기 어깨측 옷길부, 상기 등 옷자락측 옷길부, 상기 견부, 상기 가슴측 옷길부, 상기 앞 옷자락측 옷길부, 및 상기 팔부는, 홑 겹으로 형성되고, 적어도 2가지 이상의 서로 다른 흡한속건 성능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된다.
흡한속건, 발한량, 신체 부위

Description

의복 {CLOTHES}
본 발명은 의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체 부위별 발한량에 대응하는 흡한속건(吸汗速乾) 성능을 가지는 의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복은 단일의 직물지 또는 편물지로 형성된다. 스포츠 의류의 경우, 땀이 많이 발생되는 겨드랑이 부분에 망사를 부분적으로 적용하여 겨드랑이 부분에서 발한의 증발을 증대시키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현재 사용되고 있는 흡한속건 의복은 신체 부위별로 발한량에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신체 부위별로 구분이 없는 동일한 흡한속건 성능을 가지는 한가지 소재로만 제작되므로 신체 부위별 발한량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신체 부위별 발한량에 따라 구별되는 흡한속건 성능을 가지는 의복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복은, 척추부, 상기 척추부의 양측에 연결되는 어깨측 옷길부, 상기 어깨측 옷길부에 연결되고 아래에서 상기 척추부의 양측에 연결되는 등 옷자락측 옷길부, 상기 어깨측 옷길부에 연결되는 견부, 상기 견부와 상기 어깨측 옷길부에 연결되는 가슴측 옷길부, 상기 가슴측 옷길부와 상기 등 옷자락측 옷길부에 연결되는 앞 옷자락측 옷길부, 및 상기 견부, 상기 등 옷자락측 옷길부 및 상기 가슴측 옷길부에 연결되는 팔부를 포함하며, 상기 척추부, 상기 어깨측 옷길부, 상기 등 옷자락측 옷길부, 상기 견부, 상기 가슴측 옷길부, 상기 앞 옷자락측 옷길부, 및 상기 팔부는, 홑 겹으로 형성되고, 적어도 2가지 이상의 서로 다른 흡한속건 성능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된다.
상기 척추부는 제1 흡한속건 성능을 가지고, 상기 어깨측 옷길부는 상기 제1 흡한속건 성능보다 작은 제2 흡한속건 성능을 가지며, 상기 등 옷자락측 옷길부는 상기 제2 흡한속건 성능보다 작은 제3 흡한속건 성능을 가지고, 상기 가슴측 옷길부는 상기 제3 흡한속건 성능보다 작은 제4 흡한속건 성능을 가지며, 상기 앞 옷자락측 옷길부와 상기 견부는 상기 제4 흡한속건 성능보다 작은 제5 흡한속건 성능을 가지고, 상기 팔부는 상기 제5 흡한속건 성능보다 작은 제6 흡한속건 성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척추부는, 상기 어깨측 옷길부 사이에 구비되는 제1 척추부와 상기 등 옷자락측 옷길부 사이에 구비되는 제2 척추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흡한속건 성능은, 상대적 발한량 0.50 내지 1.00로 흡한속건 하며, 상기 제2 흡한속건 성능은, 상대적 발한량 0.53 내지 0.75로 흡한속건 하고, 상기 제3 흡한속건 성능은, 상대적 발한량 0.50 내지 0.71로 흡한속건 하며, 상기 제4 흡한속건 성능은, 상대적 발한량 0.56 내지 0.68로 흡한속건 하고, 상기 제5 흡한속건 성능은, 상대적 발한량 0.20 내지 0.36로 흡한속건 하며, 상기 제6 흡한속건 성능은, 상대적 발한량 0.20 내지 0.31로 흡한속건 할 수 있다.
상기 척추부는 제1 흡한속건부를 형성하고, 상기 어깨측 옷길부는 제2 흡한속건부를 형성하며, 상기 등 옷자락측 옷길부는 제3 흡한속건부를 형성하고, 상기 가슴측 옷길부는 제4 흡한속건부를 형성하며, 상기 앞 옷자락측 옷길부와 상기 견부는 제5 흡한속건부를 형성하고, 상기 팔부는 제6 흡한속건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1 흡한속건부 내지 상기 제6 흡한속건부는, 흡한속건 성능이 최대에서 작아지는 순서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신체 부위별 발한량에 대응하여 다른 흡한속건 성능을 가지는 소재를 배치하므로 발한량에 대응하는 흡한속건 성능을 가지게 하는 효과가 있다. 즉 땀이 많이 발생하는 부위에 흡한속건 성능이 더 우수한 소재를 배치하고 상대적으로 땀이 적게 발생하는 부위에 흡한속건 성능이 다소 낮은 소재를 배치함으로써, 착용자에게 상쾌함을 제공 및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 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복의 정면도이고, 도2는 도1의 배면도이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의복은 신체의 발한량의 많고 적음에 대응하도록 구획되어 서로 다른 흡한속건 성능을 가지는 소재들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의 의복은 홑 겹으로 형성되며, 신체 부위에 따라 구획되는 척추부(10), 어깨측 옷길부(20), 등 옷자락측 옷길부(30), 견부(40), 가슴측 옷길부(50), 앞 옷자락측 옷길부(60) 및 팔부(70)를 포함한다.
척추부(10)는 척추를 따라 좁은 폭을 가지로 길게 형성되어 척추에 대응한다. 어깨측 옷길부(20)는 척추부(10)의 양측에 연결되어 등쪽의 어깨 부분에 대응한다. 등 옷자락측 옷길부(30)는 위로 어깨측 옷길부(20)에 연결되고 양측으로 척추부(10)의 양측에 연결되어 등쪽 어깨 아래 부분에 대응한다. 견부(40)는 어깨측 옷길부(20)에 연결되어 어깨의 상방에 대응한다.
가슴측 옷길부(50)는 위로 견부(40)에 연결되고, 양측으로 어깨측 옷길부(20)에 연결되어, 가슴 부분에 대응한다. 앞 옷자락측 옷길부(60)는 위로 가슴측 옷길부(50)에 연결되고, 양측으로 등 옷자락측 옷길부(30)에 연결되어 배 부분에 대응한다. 팔부(70)는 위로 견부(40)에 연결되고 뒤로 등 옷자락측 옷길부(30)에 연결되며 앞으로 가슴측 옷길부(50)에 연결되어 팔에 대응한다.
따라서 척추부(10), 어깨측 옷길부(20), 등 옷자락측 옷길부(30), 견부(40), 가슴측 옷길부(50), 앞 옷자락측 옷길부(60), 및 팔부(70)는 각각에 대응되는 신체 부분에서 발한량의 차이에 대응하도록 적어도 2가지 이상의 서로 다른 흡한속건 성능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된다.
도3은 여성으로부터 측정한 발한량 절대값의 분포도이다. 도3을 참조하면, 설정 시간 동안 달린 여성 상체의 앞, 뒤에서 측정된 앞, 뒤 발한량(mg)의 분포(a, b)를 나타낸다.
도3의 (b)를 참조하여 상체 뒤를 보면, 의복의 척추부(10)에 대응하는 척추 부분은 상방에서 하방으로 가면서, 840, 760, 및 420mg의 발한량을 가진다. 어깨측 옷길부(20)에 대응하는 등쪽 어깨 부분은 상방에서 하방으로 가면서 490 및 450mg의 발한량을 가진다. 등 옷자락측 옷길부(30)에 대응하는 등쪽 어깨 아래 부분은 상방에서 하방으로 가면서 600 및 420mg의 발한량을 가진다. 견부(40)에 대응하는 어깨 상방 부분은 350mg의 발한량을 가진다. 대체적으로, 척추 부분의 상방에서 발한량이 가장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발한량은 척추 부분, 등쪽 어깨 아래 부분, 및 등쪽 어깨 부분의 순서로 적어진다.
도3의 (a)를 참조하여 상체의 앞을 보면, 가슴측 옷길부(50)에 대응하는 가슴 부분은 570mg의 발한량을 가진다. 앞 옷자락측 옷길부(60)에 대응하는 배 부분은 상방에서 하방으로 가면서 400, 350 및 측방에서 300mg의 발한량을 가진다. 팔부(70)에 대응하는 팔 부분은 260mg의 발한량을 가진다. 대체적으로, 팔부에서 발한량이 가장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발한량은 가슴 부분, 배 부분 및 팔 부분의 순 서로 적어진다.
도4는 남성으로부터 측정한 발한량 절대값의 분포도이다. 도3을 참조하면, 설정 시간 동안 달린 남성 상체의 앞, 뒤에서 측정된 발한량(mg)의 분포(a, b)를 나타낸다
도4의 (b)를 참조하여 상체 뒤를 보면, 의복의 척추부(10)에 대응하는 척추 부분은 상방에서 하방으로 가면서, 800, 1050, 및 720mg의 발한량을 가진다. 어깨측 옷길부(20)에 대응하는 등쪽 어깨 부분은 상방에서 하방으로 가면서 740 및 800mg의 발한량을 가진다. 등 옷자락측 옷길부(30)에 대응하는 등쪽 어깨 아래 부분은 상방에서 하방으로 가면서 600 및 720mg의 발한량을 가진다. 견부(40)에 대응하는 어깨 상방 부분은 580mg의 발한량을 가진다. 대체적으로, 척추 부분의 상방에서 발한량이 가장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발한량은 척추 부분, 등쪽 어깨 아래 부분, 및 등쪽 어깨 부분의 순서로 적어진다.
도4의 (a)를 참조하여 상체의 앞을 보면, 가슴측 옷길부(50)에 대응하는 가슴 부분은 590mg의 발한량을 가진다. 앞 옷자락측 옷길부(60)에 대응하는 배 부분은 상방에서 하방으로 가면서 620, 470 및 측방에서 430mg의 발한량을 가진다. 팔부(70)에 대응하는 팔 부분은 210mg의 발한량을 가진다. 대체적으로, 팔부에서 발한량이 가장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발한량은 가슴 부분, 배 부분 및 팔 부분의 순서로 적어진다.
척추부(10)에 대응하는 척추 부분에서 여성은 척추 상방에서 가장 많은 발한량을 보이고, 남성은 척추의 하방에서 가장 많은 발한량을 보인다.
한편, 발한량은 설정 시간, 달리는 속도, 성별, 및 여성과 남성의 각각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나, 신체 부위별 발한량의 상대값, 즉 발한비율은 일정하다. 즉 남성이라면 누구라도 척추부(10)에 대응하는 척추 부분이 다른 신체 부위에 비하여 가장 많은 발한량을 가진다. 따라서 신체 부위별 발한량의 상대값, 즉 발한비율의 순서는 동일하게 나타난다.
여성은 발한량이 가장 많은 척추 부분 상방의 발한량 840mg을 1로 하고, 신체의 각 부위에서 발한량의 상대값을, 즉 발한비율을 산출한다. 남성은 발한량이 가장 많은 척추 부분 하방의 발한량 1050mg을 1로 하고, 신체의 각 부위에서 발한량의 상대값을, 즉 발한비율을 산출한다.
도5는 여성으로부터 산출되는 발한량 상대값의 분포도이다. 도5는 도3의 절대값을 상대값으로 산출하여 나타낸 분포도이다.
도5의 (b)를 참조하여 상체의 뒤를 보면, 의복의 척추부(10)에 대응하는 척추 부분은 상방에서 하방으로 가면서, 1.00, 0.90, 및 0.50의 발한량의 상대값을, 즉 발한비율을 가진다. 어깨측 옷길부(20)에 대응하는 등쪽 어깨 부분은 상방에서 하방으로 가면서 0.58 및 0.53의 발한비율을 가진다. 등 옷자락측 옷길부(30)에 대응하는 등쪽 어깨 아래 부분은 상방에서 하방으로 가면서 0.71 및 0.50의 발한비율을 가진다. 견부(40)에 대응하는 어깨 상방 부분은 0.41의 발한비율을 가진다.
도5의 (a)를 참조하여 상체의 앞을 보면, 가슴측 옷길부(50)에 대응하는 가슴 부분은 0.68의 발한비율을 가진다. 앞 옷자락측 옷길부(60)에 대응하는 배 부분은 상방에서 하방으로 가면서 0.47, 0.41 및 측방에서 0.36의 발한비율을 가진다. 팔부(70)에 대응하는 팔 부분은 0.31의 발한비율을 가진다.
도6은 남성으로부터 산출되는 발한량 상대값의 분포도이다. 도6은 도4의 절대값을 상대값으로 산출하여 나타낸 분포도이다.
도6의 (b)를 참조하여 상체의 뒤를 보면, 의복의 척추부(10)에 대응하는 척추 부분은 상방에서 하방으로 가면서, 0.75, 1.00, 및 0.69의 발한량의 상대값을, 즉 발한비율을 가진다. 어깨측 옷길부(20)에 대응하는 등쪽 어깨 부분은 상방에서 하방으로 가면서 0.70 및 0.75의 발한비율을 가진다. 등 옷자락측 옷길부(30)에 대응하는 등쪽 어깨 아래 부분은 상방에서 하방으로 가면서 0.57 및 0.69의 발한비율을 가진다. 견부(40)에 대응하는 어깨 상방 부분은 0.55의 발한비율을 가진다.
도6의 (a)를 참조하여 상체의 앞을 보면, 가슴측 옷길부(50)에 대응하는 가슴 부분은 0.56의 발한비율을 가진다. 앞 옷자락측 옷길부(60)에 대응하는 배 부분은 상방에서 하방으로 가면서 0.59, 0.45 및 측방에서 0.20의 발한비율을 가진다. 팔부(70)에 대응하는 팔 부분은 0.20의 발한비율을 가진다.
신체 부위의 발한량의 상대값, 즉 신체 부위별 발한 비율에 따라, 의복의 각 부들은 서로 다른 흡한속건 성능을 가지고, 신체 부위별 발한량에 효과적으로 대응한다.
즉 척추부(10)는 제1 흡한속건 성능을 가지는 제1 흡한속건부(A1)를 형성한다. 어깨측 옷길부(20)는 제1 흡한속건 성능보다 작은 제2 흡한속건 성능을 가지는 제2 흡한속건부(A2)를 형성한다. 등 옷자락측 옷길부(30)는 제2 흡한속건 성능보다 작은 제3 흡한속건 성능을 가지는 제3 흡한속건부(A3)를 형성한다. 가슴측 옷길 부(50)는 제3 흡한속건 성능보다 작은 제4 흡한속건 성능을 가지는 제4 흡한속건부(A4)를 형성한다. 앞 옷자락측 옷길부(60)와 견부(40)는 제4 흡한속건 성능보다 작은 제5 흡한속건 성능을 가지는 제5 흡한속건부(A5)를 형성한다. 팔부(70)는 제5 흡한속건 성능보다 작은 제6 흡한속건 성능을 가지는 제6 흡한속건부(A6)를 형성한다.
즉, 제1 내지 제6 흡한속건부(A1 내지 A6)는 각각 제1 내지 제6 흡한속건 성능을 가지며, 흡한속건 성능이 순차적으로 작아진다. 제1 내지 제6 흡한속건부(A1 내지 A6)는 각각 신체 부위에 따라 더욱 구체적으로 구획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흡한속건부(A1)는 여성과 남성의 척추부(10)를 참조하면 상대적 발한량, 즉 발한비율이 0.50 내지 1.00인 범위를 포함한다. 제2 흡한속건부(A2)는 여성과 남성의 어깨측 옷길부(20)를 참조하면, 상대적 발한량, 즉 발한비율은 0.53 내지 0.75인 범위를 포함한다. 제3 흡한속건부(A3)는 여성과 남성의 등 옷자락측 옷길부(30)를 참조하면 상대적 발한량, 즉 발한비율이 0.50 내지 0.71인 범위를 포함한다. 제4 흡한속건부(A4)는 여성과 남성의 가슴측 옷길부(50)를 참조하면 상대적 발한량, 즉 발한비율이 0.56 내지 0.68인 범위를 포함한다. 제5 흡한속건부(A5)는 여성과 남성의 앞 옷자락측 옷길부(60)와 견부(40)를 참조하고 측면의 0.20 내지 0.36을 무시하면, 상대적 발한량, 즉 발한비율은 0.41 내지 0.59인 범위를 포함한다. 제6 흡한속건부(A6)는 여성과 남성의 팔부(70)를 참조하면, 상대적 발한량, 즉 발한비율은 0.20 내지 0.31인 범위를 포함한다.
제1 내지 제6 흡한속건부(A1 내지 A6)는 신체의 발한량에 따라 더욱 상세히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흡한속건부를 형성하는 척추부(10)는 제1 척추부(11)와 제2 척추부(12)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척추부(11)는 어깨측 옷길부(20) 사이에 구비되며, 여성의 경우 발한량이 가장 많은 부분이다. 제2 척추부(12)는 등 옷자락측 옷길부(30) 사이에 구비되며, 남성의 경우 발한량이 가장 많은 부분이다.
또한, 제1 내지 제6 흡한속건부들(A1 내지 A6)은 대응하는 신체 부위를 더 구체적으로 구획하면 부분적으로 순서가 바뀔 수 있고, 여성과 남성을 구별하는 경우, 또한 순서가 바뀔 수 있다.
의복에서, 제1 흡한속건부 내지 제6 흡한속건부는 ICS(Intelligent Cooling System), 큐프(QUUP), AIR AHELL, 드라이존(DRY-ZONE), 메가드라이(MEGA DRY), 쿨멕스(COOLMAX), 엑티브센서(ACTIVE SENSOR) 중 하나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흡한속건 성능은 예시된 소재들 중에서, 상대적으로 앞으로 갈수로 크고 뒤로 갈수록 작아진다.
따라서 예시된 소재들 중에서, 제1 흡한속건부(A1)는 제2 흡한속건부(A2) 보다 앞의 소재로 형성하고, 제2 흡한속건부(A2)는 제3 흡한속건부(A3) 보다 앞의 소재로 형성하며, 제3 흡한속건부(A3)는 제4 흡한속건부(A4) 보다 앞의 소재로 형성하고, 제4 흡한속건부(A4)는 제5 흡한속건부(A5) 보다 앞의 소재로 형성하며, 제5 흡한속건부(A5)는 제6 흡한속건부(A6) 보다 앞의 소재로 형성한다.
즉, 흡한속건 성능은 "제1 흡한속건부(A1) > 제2 흡한속건부(A2) > 제3 흡한속건부(A3) > 제4 흡한속건부(A4) > 제5 흡한속건부(A5) > 제6 흡한속건부(A6)"와 같은 순서를 형성한다. 제1 흡한속건부(A1)는 발한량이 가장 많은 부분에서 많은 양의 땀을 흡한속건 하고, 상대적으로 제6 흡한속건부(A6)는 발한량이 가장 적은 부분에서 적은 양의 땀을 흡한속건 한다. 따라서 일 실시예의 의복은 전체적으로 균일한 상태로 흡한건조 상태로 유지되어 착용자를 쾌적하게 한다.
제1 내지 제6 흡한속건부(A1 내지 A6)를 형성하는 소재들에 대하여 예를 들어 설명한다. AQUA-F는 땀을 빠르게 흡수하고 건조시킨다. COCONA는 코코넛을 원료로 사용한 친환경 소재로 자외선을 차단하고 피부자극이 없으면서 우수한 흡습속건 기능을 가진다. BAMBOO는 흡습속건 기능을 가지며, 세탁과 건조가 쉽고, 옷감이 줄어들지 않으며 대나무 특유의 서늘한 느낌에 항균소취 및 자외선 차단 효과를 지닌다.
테크노화인(TECHNOFINE)은 기존의 소재들보다 흡습속건이 빠르며 격한 활동에 적합하다. AQUA ROAD는 폴리아미드(POLYAMIDE) 특유의 부드러운 촉감에 더해 독특한 단면 형상에 의한 흡합속건 기능성을 가진다. 엑티브센서(ACTIVE SENSOR)는 니트웨어의 구조에 모세관 수송원리를 적용하여 만들어진 소재로 신속한 흡습발산 기능으로 우수한 착용감을 가진다.
쿨멕스(COOLMAX)는 일반 섬유보다 20% 이상 넓어진 표면적을 이용하여 신속한 증발이 가능하고, 세탁이 간편하며, 세탁 후에도 모양이 변형되거나 탈색이 되지 않으며 곰팡이나 악취, 필링 발생에 대하여 우수한 저항력을 가진다. 메가드라이(MEGA DRY)는 흡습속건성이 우수한 기능성 소재로서, 탁월한 통풍성 및 부드러운 터치감 및 뛰어난 형태 안정성을 가지며 취급이 용이한 장점을 가진다.
드라이존(DRY-ZONE)은 외부유입 수분만 인식하여 차단하고 땀을 1초 만에 건 조시켜 흡습속건성이 탁월하여 세탁 후 바로 착용할 수 있게 한다. 큐프(QUUP)는 흡습속건성, 몸에서 기화된 수증기까지 흡수하여 몸을 더욱 쾌적하게 유지하는 장점을 가진다. AIR SHELL은 매우 가볍고 빨리 건조하며 컬러 변색이 없다.
ICS(Inteligent Cooling System)는 원단 자체 조직을 변형시켜 땀이 많은 신체 부위에 적용할 때, 신속하게 땀을 흡수, 발산시켜 활동시 신체조건을 최적 상태로 유지시키며, 봉제선을 최소화하여 외관이 독특하고 고급스럽게 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복의 정면도이다.
도2는 도1의 배면도이다.
도3은 여성으로부터 측정한 발한량 절대값의 분포도이다.
도4는 남성으로부터 측정한 발한량 절대값의 분포도이다.
도5는 여성으로부터 산출되는 발한량 상대값의 분포도이다.
도6은 남성으로부터 산출되는 발한량 상대값의 분포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척추부 11, 12 : 제1, 제2 척추부
20 : 어깨측 옷길부 30 : 등 옷자락측 옷길부
40 : 견부 50 : 가슴측 옷길부
60 : 앞 옷자락측 옷길부 70 : 팔부
A1 내지 A6 : 제1 내지 제6 흡한속건부

Claims (5)

  1. 척추부;
    상기 척추부의 양측에 연결되는 어깨측 옷길부;
    상기 어깨측 옷길부에 연결되고 아래에서 상기 척추부의 양측에 연결되는 등 옷자락측 옷길부;
    상기 어깨측 옷길부에 연결되는 견부;
    상기 견부와 상기 어깨측 옷길부에 연결되는 가슴측 옷길부;
    상기 가슴측 옷길부와 상기 등 옷자락측 옷길부에 연결되는 앞 옷자락측 옷길부; 및
    상기 견부, 상기 등 옷자락측 옷길부 및 상기 가슴측 옷길부에 연결되는 팔부를 포함하며,
    상기 척추부, 상기 어깨측 옷길부, 상기 등 옷자락측 옷길부, 상기 견부, 상기 가슴측 옷길부, 상기 앞 옷자락측 옷길부, 및 상기 팔부는,
    홑 겹으로 형성되고,
    적어도 2가지 이상의 서로 다른 흡한속건 성능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는 의복.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척추부는 제1 흡한속건 성능을 가지고,
    상기 어깨측 옷길부는 상기 제1 흡한속건 성능보다 작은 제2 흡한속건 성능을 가지며,
    상기 등 옷자락측 옷길부는 상기 제2 흡한속건 성능보다 작은 제3 흡한속건 성능을 가지고,
    상기 가슴측 옷길부는 상기 제3 흡한속건 성능보다 작은 제4 흡한속건 성능을 가지며,
    상기 앞 옷자락측 옷길부와 상기 견부는 상기 제4 흡한속건 성능보다 작은 제5 흡한속건 성능을 가지고,
    상기 팔부는 상기 제5 흡한속건 성능보다 작은 제6 흡한속건 성능을 가지는 의복.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척추부는,
    상기 어깨측 옷길부 사이에 구비되는 제1 척추부와
    상기 등 옷자락측 옷길부 사이에 구비되는 제2 척추부를 포함하는 의복.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흡한속건 성능은, 상대적 발한량 0.50 내지 1.00로 흡한속건 하며,
    상기 제2 흡한속건 성능은, 상대적 발한량 0.53 내지 0.75로 흡한속건 하고,
    상기 제3 흡한속건 성능은, 상대적 발한량 0.50 내지 0.71로 흡한속건 하며,
    상기 제4 흡한속건 성능은, 상대적 발한량 0.56 내지 0.68로 흡한속건 하고,
    상기 제5 흡한속건 성능은, 상대적 발한량 0.20 내지 0.36로 흡한속건 하며,
    상기 제6 흡한속건 성능은, 상대적 발한량 0.20 내지 0.31로 흡한속건 하는 의복.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척추부는 제1 흡한속건부를 형성하고,
    상기 어깨측 옷길부는 제2 흡한속건부를 형성하며,
    상기 등 옷자락측 옷길부는 제3 흡한속건부를 형성하고,
    상기 가슴측 옷길부는 제4 흡한속건부를 형성하며,
    상기 앞 옷자락측 옷길부와 상기 견부는 제5 흡한속건부를 형성하고,
    상기 팔부는 제6 흡한속건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1 흡한속건부 내지 상기 제6 흡한속건부는,
    흡한속건 성능이 최대에서 작아지는 순서로 배치되는 의복.
KR1020090077260A 2009-08-20 2009-08-20 의복 KR101109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7260A KR101109100B1 (ko) 2009-08-20 2009-08-20 의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7260A KR101109100B1 (ko) 2009-08-20 2009-08-20 의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9637A true KR20110019637A (ko) 2011-02-28
KR101109100B1 KR101109100B1 (ko) 2012-01-31

Family

ID=43776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7260A KR101109100B1 (ko) 2009-08-20 2009-08-20 의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91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25578A (zh) * 2017-09-27 2020-06-02 健乐士股份公司 用于衣物、鞋类或配件的衬里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33072A1 (de) * 1999-02-10 2000-08-17 Leander Schuesler Textilie
JP2001192901A (ja) 1999-10-25 2001-07-17 Wacoal Corp 保温部を有する衣類
KR100790219B1 (ko) * 2001-06-21 2007-12-31 포르스바레츠 매트리엘베르크 고온 배기가스의 시그니처(signiture) 감소장치
JP2003091736A (ja) * 2001-07-13 2003-03-28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描画処理装置、描画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描画処理プログラム、描画処理方法
KR200430698Y1 (ko) 2006-08-28 2006-11-13 이흥훈 덧버선
KR200441083Y1 (ko) 2007-08-07 2008-07-22 배승열 기능성 의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25578A (zh) * 2017-09-27 2020-06-02 健乐士股份公司 用于衣物、鞋类或配件的衬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9100B1 (ko) 2012-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9289814B2 (en) Protective element for cyclist pants
BRPI0709646A2 (pt) Tecido, particularmente para itens de vestuário e calçados
CN105054323A (zh) 加厚耐磨快干运动袜
KR20110019637A (ko) 의복
CN204169103U (zh) 一种新型面料拼接的运动服
CN204907963U (zh) 加厚耐磨快干运动袜
CN204377960U (zh) 一种高尔夫球运动裤
KR200467650Y1 (ko) 국부보호용 남성팬티
CN212306833U (zh) 一种珍珠纤维袜子
CN204661967U (zh) 凉感织物结构
CN214156242U (zh) 一种防滑运动袜
CN210124333U (zh) 一种运动袜
CN211186036U (zh) 一种透气鞋
CN217644668U (zh) 一种高透气性的飞织运动鞋
CN111918577A (zh) 温度调节服装和空气交换系统
CN211153833U (zh) 一种带脚背防护功能的袜子
CN218245711U (zh) 一种远红外保暖裤袜
CN205409703U (zh) 一种耐磨袜
JP3244623U (ja) 単方向導湿性織生地および衣服
CN215684908U (zh) 一种穿着舒适的丝袜
CN203327965U (zh) 一种露趾袜
CN207416222U (zh) 一种防水透湿透气蕾丝涤纶面料及运动服
CN209883120U (zh) 吸湿排汗面料及透气排汗的运动服
JP2017008468A (ja) 吸汗ストール
KR200439364Y1 (ko) 스포츠 양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