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9164A - Dct의 클러치 작동장치 - Google Patents

Dct의 클러치 작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9164A
KR20110019164A KR1020090076768A KR20090076768A KR20110019164A KR 20110019164 A KR20110019164 A KR 20110019164A KR 1020090076768 A KR1020090076768 A KR 1020090076768A KR 20090076768 A KR20090076768 A KR 20090076768A KR 20110019164 A KR20110019164 A KR 201100191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shaft
clutch
drive
dct
release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6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1172B1 (ko
Inventor
손충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90076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1172B1/ko
Publication of KR20110019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91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1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1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Details of mechanically-actuated clutches not specific for one distinct type
    • F16D23/12Mechanical clutch-actuating mechanisms arranged outside the clutch as suc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Details of mechanically-actuated clutches not specific for one distinct type
    • F16D23/12Mechanical clutch-actuating mechanisms arranged outside the clutch as such
    • F16D2023/126Actuation by rocker lever; Rocker lever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Details of mechanically-actuated clutches not specific for one distinct type
    • F16D23/12Mechanical clutch-actuating mechanisms arranged outside the clutch as such
    • F16D23/14Clutch-actuating sleeves or bearings; Actuating members directly connected to clutch-actuating sleeves or bearings
    • F16D2023/141Clutch-actuating sleeves or bearings; Actuating members directly connected to clutch-actuating sleeves or bearings characterised by using a fork; Details of f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보다 간단하고 컴팩트한 구성으로 DCT의 두 클러치의 결합 및 해제상태를 한꺼번에 전환시켜 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클러치하우징의 차량 탑재성을 향상시키고, 그 제조 원가를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DCT 클러치 작동장치를 제공한다.
DCT, 클러치, 릴리즈베어링

Description

DCT의 클러치 작동장치{Clutch Driving Apparatus}
본 발명은 DCT의 클러치 작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하고 컴팩트한 구성으로 DCT에 사용되는 두 클러치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블클러치변속기(DCT: Double Clutch Transmission)는 종래 단판클러치 변속기 시스템과 달리 2조의 클러치를 구비하여, 하나의 클러치는 홀수단 기어를, 나머지 다른 하나의 클러치는 짝수단 기어를 단속할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변속계통을 형성하도록 고안된 변속 시스템으로서 자동변속기처럼 운전이 편할 뿐만 아니라, 수동변속기 차량보다도 더 높은 연비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더블클러치변속기는 단판클러치를 탑재한 변속기에서 발생되는 가속 정지감 현상이 없기 때문에 변속감 또한 매우 우수한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더블클러치변속기에서는, 현재 주행하고 있는 변속단 이외에 다음 순간에 변속할 가능성이 높은 다른 변속계통의 변속단을 형성하는 변속기어를 미리 추가로 치합해 두는 프리셀렉트 기능을 갖추고, 상기 두 클러치의 작동상태 전환만으로 바로 변속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두 개의 서로 다른 변속계통의 변속단이 각각 치합된 상태에서, 두 클러치 중 어느 클러치가 결합되는가에 따라 변속기에서 출력되는 변속비가 변화되도록 된 것이다.
따라서, 두 클러치의 결합 및 해제상태를 한꺼번에 그 반대 상태로 전환하는 조작이 필요한데, 종래에는 이를 위해 각각의 클러치를 작동시키는 별도의 액츄에이터를 구비하여, 각 클러치의 결합 및 해제상태를 전환하도록 하는 구성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클러치하우징의 내부 및 외부의 많은 공간을 상기 두 액츄에이터를 장착하는 데에 배정해야 하여, 클러치하우징의 차량 탑재성이 떨어지고, 장치가 복잡해지며, 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종래보다 간단하고 컴팩트한 구성으로 DCT의 두 클러치의 결합 및 해제상태를 한꺼번에 전환시켜 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클러치하우징의 차량 탑재성을 향상시키고, 그 제조 원가를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DCT 클러치 작동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 DCT의 클러치 작동장치는
동일한 회전축 상의 서로 다른 구간에 서로 반대방향의 스크류가 형성된 구동샤프트와;
상기 구동샤프트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샤프트의 각 스크류에 각각 나사결합되어 상기 구동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서로 반대방향으로 직선운동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스크류너트와;
상기 각 스크류너트의 직선운동력을 각 클러치릴리즈베어링의 상반된 직선 운동으로 전달하는 구동레버;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보다 간단하고 컴팩트한 구성으로 DCT의 두 클러치의 결합 및 해제상태를 한꺼번에 전환시켜 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클러치하우징의 차량 탑재성을 향상시키고, 그 제조 원가를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DCT 클러치 작동장치를 제공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 실시예는 동일한 회전축 상의 서로 다 른 구간에 서로 반대방향의 스크류가 형성된 구동샤프트(1)와; 상기 구동샤프트(1)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샤프트(1)의 각 스크류에 각각 나사결합되어 상기 구동샤프트(1)의 회전에 따라 서로 반대방향으로 직선 운동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스크류너트(3)와; 상기 각 스크류너트(3)의 직선운동력을 각 클러치릴리즈베어링(5)의 상반된 직선 운동으로 전달하는 구동레버(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샤프트(1)에 결합된 스크류너트(3)들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동레버(7)가 각각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구동샤프트(1)에 회전 구속된 상태로 결합된 구동기어(9)와, 상기 구동기어(9)에 치합된 피니언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물론, 상기 구동수단으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모터를 사용하지 않고, 솔레노이드액츄에이터를 사용하여 발생되는 직선운동력으로 상기 구동기어(9)를 회전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구동기어(9)는 상기 구동샤프트(1)에 형성된 서로 반대방향의 스크류 사이에 스플라인으로 결합되고, 상기 구동레버(7)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단이 상기 스크류너트(3)의 외측을 감싸면서 끼워지는 포크 형상으로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클러치릴리즈베어링(5)의 외측을 감싸면서 끼워지는 포크 형상으로 형성된다.
물론, 상기 구동기어(9)는 상기 구동샤프트(1)에 용접으로 일체로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며, 상기 구동레버(7)는 다수의 힌지로 연결된 링크구조를 취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레버(7)는 상기 스크류너트(3)의 직선운동 방향을 반전하여 상기 클러치릴리즈베어링(5)에 전달하도록 힌지축(1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클러치릴리즈베어링(5)과 구동레버(7) 및 상기 스크류너트(3)가 이루는 직선이 상기 구동샤프트(1)에 수직한 상태에서 클러치는 차단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즉, 도 3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는 당해 DCT의 두 클러치는 모두 차단된 상태이고, 이 상태로부터 상가 구동샤프트(1)가 회전되어 두 스크류너트(3)가 서로 모이거나 멀어짐에 따라 두 클러치릴리즈베어링(5)이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면서 두 클러치를 교차하여 체결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도 3의 좌측과 같은 상태에서 상기 모터를 구동하여 상기 구동샤프트(1)가 예컨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두 스크류너트(3)는 도 3의 중앙에 도시된 바 와 같이 서로 모이게 되고, 이와 같은 스크류너트(3)들의 직선운동력은 상기 구동레버(7)들을 통해 각각의 클러치릴리즈베어링(5)으로 전달되어 두 클러치릴리즈베어링(5)이 서로 멀어지게 하는데, 이때 상측에 도시된 클러치릴리즈베어링(5)은 해당 클러치를 체결시키고, 하측에 도시된 클러치릴리즈베어링(5)은 해당 클러치를 해제상태로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반대로, 상기 모터를 역전시켜서 상기 구동샤프트(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도 3의 좌측과 같은 상태를 거쳐 도 3의 우측과 같은 상태로 상기 스크류너트(3)들이 서로 멀어지면, 상기 구동레버(7)들의 동력 전달에 의해 상기 두 클러치릴리즈베어링(5)은 서로 가까워지게 되면서, 상측의 클러치릴리즈베어링(5)은 해당 클러치를 해제시키고, 반대로 하측의 클러치릴리즈베어링(5)은 해당된 클러치를 체결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DCT의 클러치 작동장치는 상기 구동샤프트(1)의 회전방향의 변경에 따라 DCT를 구성하는 두 클러치의 교차된 단속상태 변경이 가능하여, 보다 간단한 구조와 구성으로 DCT의 두 클러치를 원활하게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1과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DCT의 클러치 작동장치를 설명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DCT의 클러치 작동장치의 작용을 비교하여 설명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구동샤프트 3; 스크류너트
5; 클러치릴리즈베어링 7; 구동레버
9; 구동기어 11; 힌지축

Claims (4)

  1. 동일한 회전축 상의 서로 다른 구간에 서로 반대방향의 스크류가 형성된 구동샤프트와;
    상기 구동샤프트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샤프트의 각 스크류에 각각 나사결합되어 상기 구동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서로 반대방향으로 직선운동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스크류너트와;
    상기 각 스크류너트의 직선운동력을 각 클러치릴리즈베어링의 상반된 직선 운동으로 전달하는 구동레버;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T의 클러치 작동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구동샤프트에 회전 구속된 상태로 결합된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에 치합된 피니언을 회전시키는 모터;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T의 클러치 작동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는 상기 구동샤프트에 형성된 서로 반대방향의 스크류 사이에 스플라인으로 결합되고;
    상기 구동레버는 일단이 상기 스크류너트의 외측을 감싸면서 끼워지는 포크 형상으로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클러치릴리즈베어링의 외측을 감싸면서 끼워지는 포크 형상으로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DCT의 클러치 작동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구동레버는 상기 스크류너트의 직선운동 방향을 반전하여 상기 클러치릴리즈베어링에 전달하도록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클러치릴리즈베어링과 구동레버 및 상기 스크류너트가 이루는 직선이 상기 구동샤프트에 수직한 상태에서 클러치는 차단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DCT의 클러치 작동장치.
KR20090076768A 2009-08-19 2009-08-19 Dct의 클러치 작동장치 KR101491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76768A KR101491172B1 (ko) 2009-08-19 2009-08-19 Dct의 클러치 작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76768A KR101491172B1 (ko) 2009-08-19 2009-08-19 Dct의 클러치 작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9164A true KR20110019164A (ko) 2011-02-25
KR101491172B1 KR101491172B1 (ko) 2015-02-06

Family

ID=43776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076768A KR101491172B1 (ko) 2009-08-19 2009-08-19 Dct의 클러치 작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1172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4119A (ko) * 1996-12-27 1998-09-25 박병재 클러치 조작장치
JP2005069430A (ja) * 2003-08-27 2005-03-17 Kokuei Kogyo:Kk 直線移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1172B1 (ko) 2015-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9141B1 (ko) 이중 클러치 변속기
KR100569136B1 (ko) 이중 클러치 변속기
US7661331B2 (en) Shifting device for dual clutch transmission
KR101371722B1 (ko) 자동화 수동 변속기
US8844390B2 (en) Dual clutch transmission and dual clutch accuators thereof
CN202182174U (zh) 汽车电动换挡机构
WO2007132209A3 (en)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a gearshift
KR101103969B1 (ko) Dct 클러치 작동기구
EP2738421A1 (en) Transmission and electric vehicle comprising same
KR101778811B1 (ko) 차량용 변속기 모듈
US20090320635A1 (en) Transmission
JP5352557B2 (ja) 車両用パワーユニット
KR101603795B1 (ko) 듀얼클러치 변속기의 변속장치
JP4932362B2 (ja) 自動車の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変速システム
US20090260480A1 (en) Dual clutch type automated transmission apparatus
KR20110019164A (ko) Dct의 클러치 작동장치
KR20030043801A (ko) 수동변속기 장착용 자동변속장치.
KR20030050732A (ko)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
KR101181135B1 (ko) Dct 클러치 작동기구
KR20130114815A (ko) 자동화 수동 변속기
KR20110022180A (ko) Dct의 클러치 작동장치
KR101470028B1 (ko) Dct의 클러치 작동장치
KR100746211B1 (ko) 수동변속기 장착용 자동변속장치
JP2019070434A (ja) シフト・バイ・ワイヤ装置
JP2003278808A (ja) 自動変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