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8591A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8591A
KR20110018591A KR1020090076127A KR20090076127A KR20110018591A KR 20110018591 A KR20110018591 A KR 20110018591A KR 1020090076127 A KR1020090076127 A KR 1020090076127A KR 20090076127 A KR20090076127 A KR 20090076127A KR 20110018591 A KR20110018591 A KR 201100185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image
identification information
mobile termin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6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6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8591A/ko
Publication of KR20110018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85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software upgrading or downloa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확장 현실(Augmented Reality) 기법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제품의 이미지를 카메라의 프리뷰 영상 내의 피사체에 오버랩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구매할 제품을 가상으로 체험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MOBI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사용자의 편의가 더욱 고려되어 단말기의 사용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등과 같은 단말기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다양한 기능들의 예로 데이터 및 음성 통신 기능, 카메라를 통해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는 기능, 음성 저장 기능,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 파일의 재생 기능, 이미지나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기능 등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게임을 실행할 수 있는 추가적 기능을 포함하고, 다른 일부 단말기는 멀티미디어 기기로서 구현되기도 한다. 더욱이 최근의 단말기는 방송이나 멀티캐스트(multicast) 신호를 수신하여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단말기는 이동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고,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가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또는 휴대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한 노력들이 계속되고 있다. 상술한 노력은 단말기를 형성하는 구조적인 구성요소의 변화 및 개량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의 개량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구비되고,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에 터치스크린이 탑재되어 출시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확장 현실(Augmented Reality) 기법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제품의 이미지를 카메라의 프리뷰 영상 내의 피사체에 오버랩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구매할 제품을 가상으로 체험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카메라와; 특정 제품의 식별 정보가 포함된 화면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이미지가 포함된 상기 제품의 상세 정보를 제공하는 사업자 서버와 통신 연결을 위한 무선 통신부와; 상기 제품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업자 서버로부터 상기 제품의 상세 정보를 다운로드하고, 상기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프리뷰 영상 내의 피사체에 상기 제품의 이미지를 오버랩하여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품의 식별 정보는 상기 제품의 명칭과, 상기 제품의 이미지 및 상세 정보를 제공하는 사업자 서버의 웹페이지 주소 정보가 포함된 1차원 또는 2차원의 바코드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품의 식별 정보가 포함된 화면은 상기 제품의 식별 정보가 표시된 웹페이지 화면 또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입력된 프리뷰 화면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품의 이미지는 3차원 형상의 이미지이고, 상기 제어부는, 확장 현실(Augmented Reality) 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프리뷰 영상 내의 피사체에 상기 3차원 형상의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특정 제품의 식별 정보가 포함된 화면이 표시되는 단계와; 상기 제품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품의 이미지가 포함된 상세 정보를 제공하는 사업자 서버와 통신을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사업자 서버로부터 상기 제품의 상세 정보를 다운로드하는 단계와; 카메라로부터 입력된 프리뷰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와; 확장 현실(Augmented Reality) 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프리뷰 영상 내의 피사체에 상기 다운로드된 제품의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은, 포장 등의 이유로 사용자가 실제 제품을 보기 힘든 경우, 확장 현실 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제품의 이미지를 카메라의 프리뷰 영상 내의 피사체에 가상으로 오버랩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구매할 제품을 가상으로 체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CBMS, OMA-BCAST,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모듈(112)은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외부의 사업자 서버와 통신 연결되고, 상기 사업자 서버로부터 특정 제품의 이미지가 포함된 상세 정보를 다운로드한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외부의 사업자 서버와 통신 연결되고, 상기 사업자 서버로부터 특정 제품의 이미지가 포함된 상세 정보를 다운로드한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외부의 사업자 서버와 통신 연결되고, 상기 사업자 서버로부터 특정 제품의 이미지가 포함된 상세 정보를 다운로드한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GPS모듈(115)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정보와 정확한 시간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현 위치 정보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현재,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GPS 모듈(115)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함으로써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 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나중에 터치스크린과 관련되어 후술된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햅틱 모 듈(154) 및 프로젝터 모듈(155)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미도시)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 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으므로,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및 음음성출력모듈(152)은 알람부(153)의 일종으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프로젝터 모듈(155)은, 이동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이미지 프로젝트(project)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제어부(18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과 동일하거나 적어도 일부가 다른 영 상을 외부 스크린 또는 벽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젝터 모듈(155)은, 영상을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빛(일 예로서, LED, 레이저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미도시), 광원에 의해 발생한 빛을 이용하여 외부로 출력할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영상 생성 수단 (미도시), 및 영상을 일정 초점 거리에서 외부로 확대 출력하기 위한 렌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터 모듈(155)은, 렌즈 또는 모듈 전체를 기계적으로 움직여 영상 투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젝터 모듈(155)은 디스플레이 수단의 소자 종류에 따라 CRT(Cathode Ray Tube) 모듈,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및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모듈 등으로 나뉠 수 있다. 특히, DLP 모듈은, 광원에서 발생한 빛이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칩에 반사됨으로써 생성된 영상을 확대 투사하는 방식으로 프로젝터 모듈(151)의 소형화에 유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프로젝터 모듈(155)은, 이동 단말기(100)의 측면, 정면 또는 배면에 길이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프로젝터 모듈(155)은, 필요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의 어느 위치에라도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메시지, 오디오, 정지영상, 전자도서,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데이터들 각각에 대한 사용 빈도(예를 들면, 각 전화번호, 각 메시지, 각 멀티미디어에 대한 사용빈도)도 함께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 부(160)에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160)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다운로드된 특정 제품의 이미지가 포함된 상세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제품의 이미지를 카메라(121)의 프리뷰 영상 내의 피사체에 확장 현실(Augmented Reality) 적용하는 확장 현실 소프트웨어가 구비된다.
상기 확장 현실이란, 카메라(121)의 프리뷰 영상에 3차원의 가상 물체를 오버랩 표시함으로써, 현실에 기반을 두고 실 세계 환경과 그래픽 형태의 가상 현실을 실시간으로 합성하여 실세계에 대한 이해를 높여 주는 기술을 뜻한다.
상기와 같은,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 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 주로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1)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조작 유닛들(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 활성화/비활성화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102)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카메라(121, 도 2a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121)와 같거나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 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121,1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플래쉬(123)는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부(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음향 출력부(152, 도 2a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16)가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116)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드(135)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를 위해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가 양면에서(즉, 이동단말기의 전면 및 후면 둘 다의 방향으로)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면, 터치 패드(135)를 통해 서도 상기 시각 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양면에 출력되는 정보는 상기 터치 패드(135)에 의해 모두 제어될 수도 있다.
한편, 터치 패드(135) 전용 디스플레이가 별도로 장착됨으로써, 리어 케이스(102)에도 터치 스크린이 배치될 수도 있다.
터치 패드(135)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관련되어 작동한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와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특정 제품의 식별 정보가 포함된 화면을 나타낸 화면 상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사업자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한 제품의 상세 정보 및 상기 제품의 이미지를 나타낸 화면 상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터치스크린(151) 화면 상에 특정 제품의 식별 정보(20)가 포함된 화면을 표시한다[S111].
이때, 상기 식별 정보(20)는 상기 제품의 명칭과, 상기 제품의 이미지 및 상기 제품의 상세 정보를 제공하는 사업자 서버의 웹페이지 주소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품의 식별 정보(20)가 포함된 화면은 상기 제품의 식별 정보가 표시된 웹페이지 화면(10A)이거나 또는 카메라(121)로부터 입사된 프리뷰 화면(10B)이 될 수 있다.
즉,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품의 식별 정보(20)가 포함된 화면은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를 조작하여 상기 제품의 쇼핑몰에 해당하는 웹페이지 접속 화면(10A)이 될 수 있다.
또한,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품의 식별 정보(20)가 포함된 화면은 사용자가 외부 전단지 등에 표시된 제품의 식별 정보를 카메라(121)로 촬영한 프리뷰 화면(10B)이 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제어부(180)는 상기 화면 내에서 상기 제품의 식별 정보(20)가 선택되면[S112], 상기 바코드 형태의 식별 정보(20)를 판독하고, 상기 판독된 식별 정보(20) 내에 포함된 사업자 서버의 웹페이지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사업자 서버와 통신을 연결한다[S113]. 이때, S113 단계의 상기 사업자 서버는, 도 4의 (a)의 쇼핑몰을 운영하는 사업자와 동일할 수도 있다.
이어서, 제어부(180)는 상기 사업자 서버로부터 상기 제품의 이미지(31)가 포함된 상세 정보(30)를 다운로드하여 메모리(160)에 저장한다[S114].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품의 상세 정보(30)는 상기 제품의 이미지(31)와, 판매 사이트 주소 정보(32) 및 상기 제품의 가격(33)이 포함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품의 상세 정보(30) 내에는 상기 제품의 상세 스펙과, 기능과, 크기와, 모양과, 특징과, 선호도 등의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품의 이미지(31)는 3차원의 상기 제품의 실제 형상을 나타내는 이미지로써 회전이 가능하고, 카메라(121)의 프리뷰 영상 내의 피사체에 확장 현실 적용될 이미지로 사용된다.
한편, 제어부(180)는 상기 사업자 서버로부터 상기 제품의 상세 정보가 다운로드되면, 상기 제품의 이미지(31)를 확장 현실 적용할 피사체 영상을 입력받기 위해 카메라(121)를 구동시킨다[S121].
제어부(180)는 카메라(121)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품의 확장 현실을 적용할 피사체의 프리뷰 영상이 입력되면, 상기 프리뷰 영상을 표시한다[S116].
이어서, 제어부(180)는 메모리(160)에 구비된 확장 현실 소프트웨어를 제어하여, 상기 프리뷰 영상 내의 피사체에 상기 제품의 이미지(31)를 오버랩 표시한다[S117]. 이때, 상기 제품의 이미지 표시 위치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위치가 될 수 있고, 또한 이동 단말기(100)에 기 설정된 위치에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제품의 이미지(31)가 확장 현실 적용된 프리뷰 영상 내에 상기 제품의 판매 사이트 주소(32)를 나타내는 표시할 수 있다[S118].
제어부(180)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품의 판매 사이트 주소(32)가 선택되면[SS119], 무선 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상기 제품 구매를 위한 판매 사이트에 접속한다[S120].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카메라(121)의 프리뷰 영상 내에 제품 이미지(31)의 확장 현실 적용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과정을 나타낸 화 면 상태도이다.
먼저, 도 7의 (a)는 사업자 서버로부터 제품의 이미지(31)를 포함한 상세 정보(30)를 다운로드한 상태에서, 카메라(121)의 프리뷰 영상에 사용자의 손(40)이 표시되고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사용자로부터 특정 제품의 이미지(31)를 사용자의 손(40)에 확장 현실 적용을 명령하는 신호(41)가 입력되면,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151) 화면 상에 메모리(160)에 저장된 제품들의 이미지 목록을 표시한다.
제어부(180)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목록 상에서 "손목시계"(42) 이미지가 선택되면,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160)에 구비된 확장 현실 소프트웨어를 제어하여, 상기 프리뷰 영상 내의 사용자 손(40)에 상기 제품의 이미지인 "손목시계"(31) 이미지를 오버랩 표시한다.
이때, 제어부(180)는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상기 "손목시계"(31)의 구매를 위한 신호(43)를 입력되면, 도 7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상기 "손목시계"(31) 구매를 위한 판매 사이트(50)에 접속한다.
이상, 도 7에서는 상기 제품이 "손목 시계"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의 종류를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상기 제품은 "가전 제품", "의상", "악세사리" 등의 다양한 제품이 될 수 있고, 사용자는 구매하고자 하는 제품을 배치할 장소 또는 착용할 인체의 일 부분을 카메라로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프리뷰 영상에 상기 구매하고자 하는 제품의 이미지를 확장 현실 적용함으로써, 상기 구매하고자 하는 제품을 가상 체험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다.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특정 제품의 식별 정보가 포함된 화면을 나타낸 화면 상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사업자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한 제품의 상세 정보 및 상기 제품의 이미지를 나타낸 화면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과정을 나타낸 화면 상태도이다.

Claims (5)

  1. 카메라;
    특정 제품의 식별 정보가 포함된 화면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
    이미지가 포함된 상기 제품의 상세 정보를 제공하는 사업자 서버와 통신 연결을 위한 무선 통신부; 및
    상기 제품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업자 서버로부터 상기 제품의 상세 정보를 다운로드하고, 상기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프리뷰 영상 내의 피사체에 상기 제품의 이미지를 오버랩하여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 단말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의 식별 정보는, 상기 제품의 명칭과, 상기 제품의 이미지 및 상세 정보를 제공하는 사업자 서버의 웹페이지 주소 정보가 포함된 1차원 또는 2차원의 바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의 식별 정보가 포함된 화면은, 상기 제품의 식별 정보가 표시된 웹페이지 화면 또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입력된 프리뷰 화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의 이미지는, 3차원 형상의 이미지이고,
    상기 제어부는, 확장 현실(Augmented Reality) 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프리뷰 영상 내의 피사체에 상기 3차원 형상의 이미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특정 제품의 식별 정보가 포함된 화면이 표시되는 단계;
    상기 제품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품의 이미지가 포함된 상세 정보를 제공하는 사업자 서버와 통신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사업자 서버로부터 상기 제품의 상세 정보를 다운로드하는 단계;
    카메라로부터 입력된 프리뷰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및
    확장 현실(Augmented Reality) 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프리뷰 영상 내의 피사체에 상기 다운로드된 제품의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20090076127A 2009-08-18 2009-08-18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0185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6127A KR20110018591A (ko) 2009-08-18 2009-08-18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6127A KR20110018591A (ko) 2009-08-18 2009-08-18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8591A true KR20110018591A (ko) 2011-02-24

Family

ID=43776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6127A KR20110018591A (ko) 2009-08-18 2009-08-18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859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51551A1 (ko) * 2017-02-16 2018-08-2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알킬렌 카보네이트 제조용 촉매, 그 제조 방법 및 상기 촉매를 이용한 알킬렌 카보네이트 제조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51551A1 (ko) * 2017-02-16 2018-08-2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알킬렌 카보네이트 제조용 촉매, 그 제조 방법 및 상기 촉매를 이용한 알킬렌 카보네이트 제조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8761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19982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1012297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01858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695812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6119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83607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687612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108858A (ko) Nfc 태그를 이용한 액세스 포인트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1002221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003705A (ko) 이동 단말기에서의 정보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KR101604698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1859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131910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91977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37837B1 (ko) 이동 단말기 및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방법
KR20110134660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13075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63332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13277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057019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송신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608775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90747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638902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984572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