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8179A -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 - Google Patents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8179A
KR20110018179A KR1020090075842A KR20090075842A KR20110018179A KR 20110018179 A KR20110018179 A KR 20110018179A KR 1020090075842 A KR1020090075842 A KR 1020090075842A KR 20090075842 A KR20090075842 A KR 20090075842A KR 20110018179 A KR20110018179 A KR 201100181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cycle
battery
renewable energy
electric
electric bicy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5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종선
최용성
황준원
Original Assignee
전남도립대학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도립대학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도립대학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75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8179A/ko
Publication of KR20110018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81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23/00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other elements; Other transmissions
    • B62M23/02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other elements; Other 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wo or more dissimilar sources of power, e.g. transmissions for hybrid motor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6/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on cycles;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
    • B62J6/06Arrangement of lighting dynamos or driv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7/00Luggage carriers
    • B62J7/02Luggage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thereof on cycles
    • B62J7/04Luggage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thereof on cycles arranged above or behind the rear whee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자전거 본체와, 자전거 본체의 일측에 장착되고 주행중에 발생하는 외부압력을 제공받아 전기 에너지를 발전시키는 압전소자와, 자전거 본체의 다른 일측에 장착되되 외부 충전 수단을 통해 전기 에너지를 축적시키거나 압전소자를 통해 발생하는 전기 에너지를 축적시키는 배터리, 및 자전거 본체의 또 다른 일측에 장착되되 배터리로부터 제공되는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아 동력을 전달하는 전동 모터를 포함하는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를 제공한다.
전동 자전거, 신재생 에너지, 압전 소자

Description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Electromotion bicycle using renewable energy}
본 발명은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동 자전거는 연료를 사용하므로 자원이 고갈되면서 환경오염을 악화시켰다.
따라서, 최근에는 지구상에 존재하는 연료의 자원고갈을 방지하면서 환경오염을 방지하여 지구 온난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개선된 전동 자전거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행해져 오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 어디에서든지 간에 전동 자전거의 활용성을 높힐 수 있는 개선된 전동 자전거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행해져 오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전거 주행중에도 지속적으로 배터리에 전기 에너지를 축적시킬 수가 있으므로, 전동 자전거의 주행시간을 연장시킬 수가 있는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료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자원이 고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환경오염의 악화를 방지할 수가 있는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전거 주행중에 발생하는 바람의 저항에 의해 지속적으로 배터리에 전기 에너지를 축적시키거나, 자전거 정지중에도 바람이 많이 부는 장소에서 지속적으로 배터리에 전기 에너지를 축적시킬 수가 있으므로, 전동 자전거의 주행시간을 연장시킬 수가 있는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전거 본체의 페달에 의해 발생하는 운동에너지를 이용하여 배터리에 전기 에너지를 축적시킬 수가 있으므로, 전동 자전거의 주행시간을 연장시킬 수가 있는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전거 주행중에 태양 광에 의해 지속적으로 배터리에 전기 에너지를 축적시키거나, 자전거 정지중에도 일사량이 많은 장소에서 지속적으로 배터리에 전기 에너지를 축적시킬 수가 있으므로, 전동 자전거의 주행시간을 연장시킬 수가 있는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전거 주행중에 외부압력(턱이 있는 바닥면, 충 격을 주는 바닥면등)에 의해 지속적으로 배터리에 전기 에너지를 축적시킬 수가 있으므로, 전동 자전거의 주행시간을 연장시킬 수가 있는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탑승자가 필요로 하는 물건을 보관시킬 수가 있으므로, 장거리 이동시에 필요한 물건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가 있는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전거 본체와, 자전거 본체의 일측에 장착되고 주행중에 발생하는 외부압력을 제공받아 전기 에너지를 발전시키는 압전소자와, 자전거 본체의 다른 일측에 장착되되 외부 충전 수단을 통해 전기 에너지를 축적시키거나 압전소자를 통해 발생하는 전기 에너지를 축적시키는 배터리, 및 자전거 본체의 또 다른 일측에 장착되되 배터리에 축적된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아 동력을 전달하는 전동 모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자전거 본체의 타측에 더 장착되되, 외부 바람을 공급받아 풍력 발전시켜 전기 에너지로 전환시키고, 전환된 전기 에너지를 배터리에 축적시키는 풍력 발전기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자전거 본체의 다른 타측에 더 장착되되, 자전거 본체의 페달에 의해 발생하는 운동에너지를 공급받아 자가 발전시켜 전기 에너지로 전환시키고, 전환된 전기 에너지를 배터리 에 축적시키는 자가 발전기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자전거 본체의 또 다른 타측에 더 장착되되, 태양 광을 공급받아 전기 에너지로 전환시키고, 전환된 전기 에너지를 배터리에 축적시키는 태양 전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외부 충전 수단은 배터리를 탈거하여 배터리에 전기 에너지를 축적시키는 비축용 태양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자전거 본체에 물건 보건함이 더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자전거 주행중에도 지속적으로 배터리에 전기 에너지를 축적시킬 수가 있으므로, 전동 자전거의 주행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연료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자원이 고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환경오염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는 다른 효과가 있다.
셋째, 자전거 주행중에 발생하는 바람의 저항에 의해 지속적으로 배터리에 전기 에너지를 축적시키거나, 자전거 정지중에도 바람이 많이 부는 장소에서 지속적으로 배터리에 전기 에너지를 축적시킬 수가 있으므로, 전동 자전거의 주행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넷째, 자전거 본체의 페달에 의해 발생하는 운동에너지를 이용하여 배터리에 전기 에너지를 축적시킬 수가 있으므로, 전동 자전거의 주행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다섯째, 자전거 주행중에 태양 광에 의해 지속적으로 배터리에 전기 에너지를 축적시키거나, 자전거 정지중에도 일사량이 많은 장소에서 지속적으로 배터리에 전기 에너지를 축적시킬 수가 있으므로, 전동 자전거의 주행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여섯째, 자전거 주행중에 외부압력(턱이 있는 바닥면, 충격을 주는 바닥면등)에 의해 지속적으로 배터리에 전기 에너지를 축적시킬 수가 있으므로, 전동 자전거의 주행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일곱째, 탑승자가 필요로 하는 물건을 보관시킬 수가 있으므로, 장거리 이동시에 필요한 물건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배터리가 외부 충전 수단에 전기적으 로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압전소자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100)는 자전거 본체(102), 압전소자(104), 배터리(106), 전동 모터(108)등을 포함한다.
자전거 본체(102)는 전동식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제작된다.
이때, 자전거 본체(102)는 설명의 편의상 두 바퀴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세 바퀴 또는 네바퀴 형상으로도 제작 가능하다.
압전소자(104)는 자전거 본체(102)의 일측에 장착되고, 주행중에 발생하는 외부압력을 제공받아 전기 에너지를 발전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전소자(104)는 자전거 본체(102)의 서스펜션 측(102a, 102b)에 장착될 수가 있다.
이러한, 압전소자(104)는 주행중에 발생하는 외부압력(턱이 있는 바닥면, 충격을 주는 바닥면등)을 제공받아 수직운동을 하고, 수직 운동된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전환시켜, 전환된 전기 에너지를 이후에 진술할 배터리(106)에 축적시키게 된다.
따라서, 압전소자(104)는 자전거 주행중에도 지속적으로 배터리(106)에 전기 에너지를 축적시킬 수가 있으므로, 전동 자전거(100)의 주행시간을 연장시킬 수가 있게 된다.
배터리(106)는 자전거 본체(102)의 다른 일측에 장착되되, 외부 충전 수단(210)을 통해 전기 에너지를 축적시키거나 압전소자(104)를 통해 발생하는 전기 에너지를 축적시키도록 제공된다.
더욱 자세하게 말하면, 배터리(106)는 자전거 본체(102)의 상단중 탑승자의 뒷쪽에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가 있다.
여기서, 배터리(106)가 방전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106)를 탈거하여 외부 충전 수단(210)과 전기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배터리(106)에 전기 에너지를 축적시킬 수도 있다.
이때, 외부 충전 수단(210)은 비축된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도록 비축용 태양전지로 제작될 수가 있다.
전동 모터(108)는 자전거 본체(102)의 또 다른 일측에 장착되되, 배터리(106)에 축적된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아 동력을 전달하도록 제공된다.
즉, 전동 모터(108)는 자전거 본체(102)의 뒷바퀴 측에 장착되어 배터리(106)에 축적된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아 체인과 풀리들을 통해 동력을 전달하도록 제공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100)는 압전소자(104)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100)는 자전거 주행중에도 지속적으로 배터리(106)에 전기 에너지를 축적시킬 수가 있으므로, 전동 자전거의 주행시간을 연장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100)는 비축된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도록 제작된 외부 충전 수단(2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 에너지를 축적시키는 배터리(106)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100)는 연료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자원이 고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환경오염의 악화를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제 2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400)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100)와 동일하게 자전거 본체(102), 압전소자(104), 배터리(106), 전동 모터(108)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4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관계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1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관계와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각각의 부연설명들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 거(400)는 배터리(10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자전거 본체(102)의 타측에 더 장착되는 풍력 발전기(412)를 포함한다.
여기서, 풍력 발전기(412)는 자전거 본체(102)의 핸들 측에 장착될 수가 있다.
이러한, 풍력 발전기(412)는 외부 바람을 공급받아 풍력 발전시켜 전기 에너지로 전환시키고, 전환된 전기 에너지를 배터리(106)에 축적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400)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100)와 동일하게 압전소자(104)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400)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100)와 동일하게 자전거 주행중에도 지속적으로 배터리(106)에 전기 에너지를 축적시킬 수가 있으므로, 전동 자전거의 주행시간을 연장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400)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100)와 동일하게 비축된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도록 제작된 외부 충전 수단(2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 에너지를 축적시키는 배터리(106)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400)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100)와 동일하게 연료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자원이 고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환경오염 의 악화를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400)는 풍력 발전기(412)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400)는 자전거 주행중에 발생하는 바람의 저항에 의해 지속적으로 배터리(106)에 전기 에너지를 축적시키거나, 자전거 정지중에도 바람이 많이 부는 장소에서 지속적으로 배터리(106)에 전기 에너지를 축적시킬 수가 있으므로, 전동 자전거의 주행시간을 더욱 연장시킬 수가 있게 된다.
<제 3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500)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400)와 동일하게 자전거 본체(102), 압전소자(104), 배터리(106), 전동 모터(108), 풍력 발전기(412)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5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관계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4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관계와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각각의 부연설명들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500)는 배터리(10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자전거 본체(102)의 다른 타측에 더 장착되는 자가 발전기(514)를 포함한다.
여기서, 자가 발전기(514)는 자전거 본체(102)의 앞바퀴 측에 장착될 수가 있다.
이러한, 자가 발전기(514)는 자전거 본체(102)의 페달에 의해 발생하는 운동에너지를 공급받아 자가 발전시켜 전기 에너지로 전환시키고, 전환된 전기 에너지를 배터리에 축적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500)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400)와 동일하게 압전소자(104)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500)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400)와 동일하게 자전거 주행중에도 지속적으로 배터리(106)에 전기 에너지를 축적시킬 수가 있으므로, 전동 자전거의 주행시간을 연장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500)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400)와 동일하게 비축된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도록 제작된 외부 충전 수단(2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 에너지를 축적시키는 배터리(106)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500)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400)와 동일하게 연료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자원이 고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환경오염의 악화를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500)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400)와 동일하게 풍력 발전기(412)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500)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400)와 동일하게 자전거 주행중에 발생하는 바람의 저항에 의해 지속적으로 배터리(106)에 전기 에너지를 축적시키거나, 자전거 정지중에도 바람이 많이 부는 장소에서 지속적으로 배터리(106)에 전기 에너지를 축적시킬 수가 있으므로, 전동 자전거의 주행시간을 연장시킬 수가 있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500)는 자가 발전기(514)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500)는 선택적으로 자전거 본체(102)의 페달에 의해 발생하는 운동에너지를 이용하여 배터리(106)에 전기 에너지를 축적시킬 수가 있으므로, 전동 자전거의 주행시간을 더욱 연장시킬 수가 있게 된다.
<제 4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600)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500)와 동일하게 자전거 본체(102), 압전소자(104), 배터리(106), 전동 모터(108), 풍력 발전기(412), 자가 발전기(514)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6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관계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5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관계와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각각의 부연설명들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600)는 배터리(10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자전거 본체(102)의 또 다른 타측에 더 장착되는 태양 전지(616)를 포함한다.
여기서, 태양 전지(616)는 자전거 본체(102)의 상단중 탑승자의 뒷쪽에 장착된 배터리(106)를 감싸는 형태로 장착되되 태양 광을 효율적으로 공급받도록 태양전지 지지대(618: 618a, 618b)에 의해 장착된다.
이러한, 태양 전지(616)는 태양 광을 공급받아 전기 에너지로 전환시키고, 전환된 전기 에너지를 배터리(106)에 축적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600)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500)와 동일하게 압전소자(104)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600)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500)와 동일하게 자전거 주행중에도 지속적으로 배터리(106)에 전기 에너지를 축적시킬 수가 있으므로, 전동 자전거의 주행시간을 연장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600)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500)와 동일하게 비축된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도록 제작된 외부 충전 수단(2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 에너지를 축적시키는 배터리(106)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600)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500)와 동일하게 연료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자원이 고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환경오염의 악화를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600)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500)와 동일하게 풍력 발전기(412)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600)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500)와 동일 하게 자전거 주행중에 발생하는 바람의 저항에 의해 지속적으로 배터리(106)에 전기 에너지를 축적시키거나, 자전거 정지중에도 바람이 많이 부는 장소에서 지속적으로 배터리(106)에 전기 에너지를 축적시킬 수가 있으므로, 전동 자전거의 주행시간을 연장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600)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500)와 동일하게 자가 발전기(514)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600)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500)와 동일하게 선택적으로 자전거 본체(102)의 페달에 의해 발생하는 운동에너지를 이용하여 배터리(106)에 전기 에너지를 축적시킬 수가 있으므로, 전동 자전거의 주행시간을 연장시킬 수가 있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600)는 태양 전지(616)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600)는 자전거 주행중에 태양 광에 의해 지속적으로 배터리(106)에 전기 에너지를 축적시키거나, 자전거 정지중에도 일사량이 많은 장소에서 지속적으로 배터리(106)에 전기 에너지를 축적시킬 수가 있으므로, 전동 자전거의 주행시간을 더욱 연장시킬 수가 있게 된다.
<제 5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700)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600)와 동일하게 자전거 본체(102), 압전소자(104), 배터리(106), 전동 모터(108), 풍력 발전기(412), 자가 발전기(514), 태양 전지(616)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7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관계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6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관계와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각각의 부연설명들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700)는 자전거 본체(102)에 물건 보건함(720)이 더 장착된다.
이때, 물건 보건함(720)은 자전거 본체(102)의 상단중 탑승자의 뒷쪽에 장착되되, 배터리(106)의 앞쪽에 장착되고 태양 전지(616)와 태양전지 지지대(718: 618a, 718b, 718c)에 의해 감싸는 형태로 장착된다.
이러한, 물건 보건함(720)은 탑승자가 필요로 하는 물건을 보관시킬 수가 있으므로, 장거리 이동시에 필요한 물건(물통, 비상용 배터리, 생필품등)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가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700)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600)와 동일하게 압전소자(104)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700)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600)와 동일하게 자전거 주행중에도 지속적으로 배터리(106)에 전기 에너지를 축적시킬 수가 있으므로, 전동 자전거(100)의 주행시간을 연장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700)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600)와 동일하게 비축된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도록 제작된 외부 충전 수단(2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 에너지를 축적시키는 배터리(106)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700)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600)와 동일하게 연료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자원이 고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환경오염의 악화를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700)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600)와 동일하게 풍력 발전기(412)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700)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600)와 동일 하게 자전거 주행중에 발생하는 바람의 저항에 의해 지속적으로 배터리(106)에 전기 에너지를 축적시키거나, 자전거 정지중에도 바람이 많이 부는 장소에서 지속적으로 배터리(106)에 전기 에너지를 축적시킬 수가 있으므로, 전동 자전거의 주행시간을 연장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700)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600)와 동일하게 자가 발전기(514)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700)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600)와 동일하게 선택적으로 자전거 본체(102)의 페달에 의해 발생하는 운동에너지를 이용하여 배터리(106)에 전기 에너지를 축적시킬 수가 있으므로, 전동 자전거의 주행시간을 연장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700)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600)와 동일하게 태양 전지(616)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700)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600)와 동일하게 자전거 주행중에 태양 광에 의해 지속적으로 배터리(106)에 전기 에너지를 축적시키거나, 자전거 정지중에도 일사량이 많은 장소에서 지속적으로 배터리(106)에 전기 에너지를 축적시킬 수가 있으므로, 전동 자전거의 주행시간을 연장시킬 수가 있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700)는 물건 보건함(720)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700)는 탑승자가 필요로 하는 물건을 보관시킬 수가 있으므로, 장거리 이동시에 필요한 물건(물통, 비상용 배터리, 생필품등)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배터리가 외부 충전 수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압전소자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0, 400, 500, 600, 700 :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
102 : 자전거 본체 104 : 압전소자
106 : 배터리 108 : 전동 모터
210 : 외부 충전 수단 412 : 풍력 발전기
514 : 자가 발전기 616 : 태양 전지
618, 718 : 태양 전지 지지대 720 : 물건 보관함

Claims (6)

  1. 자전거 본체와;
    상기 자전거 본체의 일측에 장착되고, 주행중에 발생하는 외부압력을 제공받아 전기 에너지를 발전시키는 압전소자와;
    상기 자전거 본체의 다른 일측에 장착되되, 외부 충전 수단을 통해 전기 에너지를 축적시키거나 상기 압전소자를 통해 발생하는 전기 에너지를 축적시키는 배터리; 및
    상기 자전거 본체의 또 다른 일측에 장착되되, 상기 배터리에 축적된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아 동력을 전달하는 전동 모터;
    를 포함하는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자전거 본체의 타측에 더 장착되되,
    외부 바람을 공급받아 풍력 발전시켜 전기 에너지로 전환시키고, 전환된 전기 에너지를 상기 배터리에 축적시키는 풍력 발전기;
    를 더 포함하는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자전거 본체의 다른 타측에 더 장착되되,
    상기 자전거 본체의 페달에 의해 발생하는 운동에너지를 공급받아 자가 발전시켜 전기 에너지로 전환시키고, 전환된 전기 에너지를 상기 배터리에 축적시키는 자가 발전기;
    를 더 포함하는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
  4.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자전거 본체의 또 다른 타측에 더 장착되되,
    태양 광을 공급받아 전기 에너지로 전환시키고, 전환된 전기 에너지를 상기 배터리에 축적시키는 태양 전지;
    를 더 포함하는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충전 수단은 상기 배터리를 탈거하여 상기 배터리에 전기 에너지 를 축적시키는 비축용 태양전지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전거 본체에 물건 보건함이 더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
KR1020090075842A 2009-08-17 2009-08-17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 KR201100181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5842A KR20110018179A (ko) 2009-08-17 2009-08-17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5842A KR20110018179A (ko) 2009-08-17 2009-08-17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8179A true KR20110018179A (ko) 2011-02-23

Family

ID=43775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5842A KR20110018179A (ko) 2009-08-17 2009-08-17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817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6400A (ko) 2015-03-02 2016-09-12 한양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냉온용기 냉각/가열 장치가 구비된 자전거
KR20170028657A (ko) 2015-09-04 2017-03-14 한양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모터사이클용 냉온용기 냉각/가열장치
KR102152452B1 (ko) * 2020-02-11 2020-09-07 홍성용 전기 오토바이의 배터리 충전 시스템
KR20230076477A (ko) 2021-11-24 2023-05-31 (주)스페이스이브이 냉온장기가 장착된 전기자전거 및 냉온장기가 장착된 전기자전거를 이용하여 냉온장기 내의 물품을 배송지까지 배송하는 방법과 이를 위한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6400A (ko) 2015-03-02 2016-09-12 한양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냉온용기 냉각/가열 장치가 구비된 자전거
KR20170028657A (ko) 2015-09-04 2017-03-14 한양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모터사이클용 냉온용기 냉각/가열장치
KR102152452B1 (ko) * 2020-02-11 2020-09-07 홍성용 전기 오토바이의 배터리 충전 시스템
KR20230076477A (ko) 2021-11-24 2023-05-31 (주)스페이스이브이 냉온장기가 장착된 전기자전거 및 냉온장기가 장착된 전기자전거를 이용하여 냉온장기 내의 물품을 배송지까지 배송하는 방법과 이를 위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277699A1 (en) Power-generating plug-and-play vehicle
KR20110018179A (ko)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동 자전거
CN202669517U (zh) 多清洁能源互补型混合动力电动车驱动系统
NL2013273B1 (en) PV-wheel.
CN104149641A (zh) 一种风光互补发电电动自行车
CN202685948U (zh) 具有发电功能的电动车减震器
CN101670777A (zh) 太阳能混合动力汽车
Siddique et al. Performance evaluation of a microcontroller-based solar powered auto-rickshaw
KR101011450B1 (ko) 태양광 충전 전기 자전거
CN103625300A (zh) 一种混合动力拖拉机
CN101112870A (zh) 电动车免充电供电装置
CN204184206U (zh) 一种光伏、风能发电综合动力车
CN105946593A (zh) 一种太阳能和风能充电电动汽车
CN203186538U (zh) 一种具有发电功能的新型自行车
CN202499021U (zh) 一种替代石油能源的新能源汽车
CN112610431A (zh) 利用汽车自身重力转变为电能的方法和装置(重力能发电)
CN202389225U (zh) 新型太阳能电动车
CN205150103U (zh) 一种风能太阳能组合式电瓶车
CN201415738Y (zh) 太阳能电动车
CN205081737U (zh) 一种车载光伏系统
CN205150105U (zh) 新型电动车
KR101430109B1 (ko) 이동형 태양전지모듈 어셈블리
CN203611773U (zh) 一种混合动力拖拉机
CN201211907Y (zh) 太阳能行李箱
CN202011332U (zh) 纯电动机动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