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8086A - 유골함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유골함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8086A
KR20110018086A KR1020090075700A KR20090075700A KR20110018086A KR 20110018086 A KR20110018086 A KR 20110018086A KR 1020090075700 A KR1020090075700 A KR 1020090075700A KR 20090075700 A KR20090075700 A KR 20090075700A KR 20110018086 A KR20110018086 A KR 201100180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hes
groove
box
ossuary
b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5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3849B1 (ko
Inventor
문호경
Original Assignee
문호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호경 filed Critical 문호경
Priority to KR1020090075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3849B1/ko
Publication of KR20110018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8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3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3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8Ur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32Burning metho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65Aspects relating to heat treatments of ceramic bodies such as green ceramics or pre-sintered ceramics, e.g. burning, sintering or melting processes
    • C04B2235/656Aspects relating to heat treatments of ceramic bodies such as green ceramics or pre-sintered ceramics, e.g. burning, sintering or melting processes characterised by specific heating conditions during heat treat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09F2027/001Comprising a presence or proximity detect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유골함과 그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유골함은 골분을 보관하는 납골함을 보관하는 유골함본체와 유골함덮개, 그리고 고인의 정보 등이 기록된 기록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수백 년이 지난 후에도 변함없이 고인의 사진과 기록 사항을 보존하여 후손들이 용이하게 식별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생전의 고인의 영정을 변색 없이 영구적으로 보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자기, 유골함, 납골함, 골분, 기록부재, 영정비석

Description

유골함 및 그 제조 방법{A CINERARY URN AND THE PRODUCT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유골함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영정 비석 등과 같은 기록부재를 구비한 유골함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매장 위주의 장묘문화에서 최근에는 화장을 하여 납골함에 안치하도록 장려하고 있어 납골함의 이용이 활성화되고 있다.
이러한 납골함은 도자기 또는 석재로 된 용기와 그 용기를 밀폐시키는 뚜껑으로 이루어진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유골을 장기적으로 보관하는데 있어 습기와 기온변화로 인하여 유골이 쉽게 변질되는 문제를 안고 있다.
습기가 틈사이로 들어가 보관되고 있는 유골에 닿아 변색되거나, 온도차에 의해 자연 발생되는 결로현상에 의해 변색 및 부패 등 변질요인을 제공하고, 그로인해 곰팡이 등 유해균의 서식이 가능하게 될 뿐 아니라 그 틈사이로 벌레의 침입이 가능하여 부패 및 변질, 변색되어 온전한 상태로 장기간 보존하는 것은 불가능한 일로 여겨져 왔다.
또한, 유골함은 골분의 안치 후에 고인의 성명 및 기일 등을 유골함에 기록하여 보존하고 있다.
그러나, 오랜 시간 보존되어야 할 유골함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기록이 지어지거나 훼손되어 유골함 주인의 여부를 알 수 없는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
또한, 기록용지의 훼손과 부착물의 이탈 등으로 유골함의 미관이 훼손되어 보는 이의 마음을 손상시키는 문제가 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영정 비석과 같이 고인의 정보가 기록된 고형성분의 부재를 유골함의 요홈에 삽입접착시킬 수가 있으며, 또한 황토로 된 납골함에 골분을 유치하여 상기 유골함의 내부에 보관할 수 있는 유골함을 제공함과 동시에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골함은 뚜껑과 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에 골분을 보관하도록 황토로 성형된 납골함, 유골함덮개 및 상부가 개방된 상단 외주에는 상기 유골함덮개와 상기 납골함의 몸체의 상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단턱을 형성하고, 외부 일측에는 기록부재가 삽입되어 접착결합될 요홈을 구비하고 그 내부에는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납골함을 삽입하여 보관하도록 구성된 유골함몸체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유골함몸체는 상기 요홈이 형성될 영역은 그 두께가 그외 영역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하고, 그 폭과 길이는 상기 요홈이 형성될 폭과 길이보다도 더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골함 제조방법은 (a)재료를 반죽하는 단계, (b)상기 반죽된 재료로 일정한 형상의 유골함을 성형하되 상단부는 덮개를 지지하기 위한 단턱을 형성하고 외부 일측에는 기록부재가 삽입되어 접착결합될 요홈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는 소정 공간을 형성하도록 성형하는 단계, (c)상기 성형된 유골함을 800∼ 950℃로 15시간 이상 초벌구이하는 단계, (d)상기 초벌구이된 도자기에 유약을 도포한 후 1150∼1300℃로 8∼15시간 동안 재벌구이하는 단계, (e)상기 재벌구이된 유골함에 문양작업을 한 후 800℃로 삼차 구이하는 단계 및 (f)상기 삼차구이된 유골함의 상기 요홈에 영정비석을 부착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b)단계는 상기 요홈이 형성될 영역은 그 두께가 그외 영역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하고, 그 길이는 상기 요홈이 형성될 폭과 길이보다도 더 크게 형성한 다음 요홈을 형성하도록 하고, 상기 (b)단계에서 황토를 사용하여 상기 유골함의 단턱에 몸체상단부가 지지되고 그 내부 공간에는 골분을 보관할 수 있는 납골함을 성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면 납골함도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기록부재를 갖는 도자기 유골함은 수백 년이 지난 후에도 변함없이 고인의 사진과 기록 사항을 보존하여 후손들이 용이하게 식별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생전의 고인의 영정을 변색 없이 영구적으로 보존할 수 있는 사진을 갖는 도자기 유골함이 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유골함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유골함의 분해 사시도, 그리고 도 3은 본 유골함의 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골함(100)은 골분을 보관하는 납골함(120)과 유골함본체(110)와 유골함덮개(130), 그리고 고인의 정보 등이 기록된 기록부재(15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납골함(120)은 뚜껑(124)과 몸체(122)로 이루어지고 몸체(122)는 골분을 보관하도록 황토로 성형된다.
몸체(122)의 상단 외주연에는 유골함본체(110)의 단턱(114)에 몸체(122)의 상단부가 지지되도록 걸림턱(128)이 형성되고 그 내부 공간에는 골분을 보관할 수 있도록 성형된다.
이러한 성형은 일반적인 도자기 굽는 과정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골분을 쉽게 보관할 수 있도록 뚜껑(124)에는 손잡이(126)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납골함(120)은 황토로 성형하기 때문에 유골함(110) 내부의 습기를 흡수하거나 배출할 수 있어 골분을 항상 쾌적한 상태에서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유골함본체(110)는 내부의 공간에 납골함(120)을 삽입하여 유골함덮개(130)를 덮어 보관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유골함본체(110)는 상부가 개방된 상단 외주에는 유골함덮 개(130)를 지지하기 위한 단턱(113)과 납골함(120)의 몸체의 상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단턱(114)을 형성하고, 외부 일측에는 기록부재(150)가 삽입되어 접착결합될 요홈(112)을 구비하고 그 내부에는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여 납골함(120)을 삽입하여 보관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유골함몸체(110)에 요홈(112)이 형성될 영역은 그 두께가 그외 영역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하고, 그 폭은 요홈(112)이 형성될 폭과 길이보다도 더 크게 형성하도록 한다.
이때 요홈(112)의 깊이는 삽입되어 접착고정될 기록부재(150)의 두께만큼 형성하여 기록부재(150)를 고정하였을 경우, 유골함본체(110)의 표면과 기록부재(150)가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하여 외관상 돌출 부분이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도 2 도면에서 유골함본체(110)를 A-A'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횡단면도로서, 도면을 참조하면 요홈(112)은 폭이 ℓ1이며 두께가 t1이라고 할 때 요홈(112)이 형성될 영역의 길이는 ℓ, 그 폭이 t라고 하면, 요홈(112)이 형성될 영역의 길이 ℓ이 요홈(112)의 폭 ℓ1보다 크게 하고 요홈(112)이 형성될 영역의 폭 t가 요홈(112)의 폭 t1보다 두껍게 형성하여야 성형을 할 때 요홈(112)을 형성하여도 그 외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요홈(112)의 형성으로 인하여 유골함본체(110)의 두께가 달라지기 때문에 도자기를 구울 때 불량률이 많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유 골함본체(110)는 초벌구이 과정이나 재벌구이 과정 등에서 세심한 온도관리와 가열시간 그리고 냉각 시간을 관리하여야 한다.
특히 통상의 도자기 형성과정의 초벌구이 때의 가열 시간인 8~9시간 보다 더욱 길게 가열하여 소성하여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15시간 이상 소성하도록 한다.
그리고, 고인의 정보 등이 기록된 기록부재(150)는 훼손되지 않는 재질로 구성하여 요홈(112)에 삽입되어 석재용 에폭시 접착제로 접착되도록 구성한다.
즉, 영정 사진과 고인의 성명 등이 새겨진 영정 비석이나 영정사진 등이 새겨진 도자기 또는 생전의 모습이 담겨진 디스플레이매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6의 고인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재의 일례를 예시한 도면을 참고하면, (a)도는 사용한 영정사진과 가족사진 및 고인의 양력과 계보 등이 새겨진 영정 비석으로 그 재료는 석재 등을 사용한 것이고, (b)도는 고인의 생전 사진과 이미지 등이 기록된 메모리를 내장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예시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디스플레이장치는 LCD창(152)과 움직임감지센서(154)를 구비하고 일정 거리 내에서 문상객의 움직임을 움직임감지센서(154)가 감지하면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사진 등의 LCD창(152)에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될 내용에는 고인의 기일 즉, 출생과 사망일 및 중요 사항, 고인의 업적이나 표창장 등과 같이 생전에 걸어온 자취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여 후손들이 고인을 다시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유골함본체(110)와 유골함덮개(130)의 구성을 보다 손쉽게 구성할 수 있다. 즉, 제1 실시예는 유골함덮개(130)가 유골함본 체(110)의 단턱(113)에 지지되도록 구성하였으나, 도 5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유골함의 분해 사시도를 참고하면, 납골함(120)은 유골함몸체(110)의 상단 턱(114)에 지지시키고 유골함덮개(130)는 유골함몸체(110)의 상단 외주연에 구비된 별도의 단턱(140)에 지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옹기 모양의 유골함형상을 탈피하여 보다 넉넉한 공간의 유골함을 형성하도록 하여 자연스러운 미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이러한 구성의 유골함을 제조하기 위한 그 과정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유골함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 고령토에 점포, 황토, 소지토, 또는 사토 중에 하나 이상의 재료를 섞은 반죽물이 준비되면 일정한 형상의 유골함본체(110)를 성형한다(S210).
이때의 성형은 물레로 성형하거나 또는 형틀을 이용할 수 있다.
S210 단계에서는 상부가 개방된 상단 외주에는 유골함덮개(130)와 납골함의 몸체(122)의 걸림턱(128)을 지지하기 위한 단턱(113,114)을 형성하고, 외부 일측에는 영정비석 등의 기록부재(150)가 삽입되어 접착결합될 요홈(112)을 구비하고 그 내부에는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여 납골함(120)을 삽입하여 보관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유골함몸체(110)에 요홈(112)이 형성될 영역은 그 두께가 그외 영역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하고, 그 폭은 요홈(112)이 형성될 폭과 길이보다도 더 크게 형성하도록 한다.
이때 요홈(112)의 깊이는 삽입되어 접착고정될 기록부재(150)의 두께만큼 형 성하여 기록부재(150)를 고정하였을 경우, 유골함본체(110)의 표면과 기록부재(150)가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하여 외관상 돌출 부분이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유골함본체(110)를 성형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와 동시에 납골함(120)과 유골함덮개(130)도 성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황토를 사용하여 유골함본체(110)의 단턱(114)에 몸체상단부가 지지되도록 걸림턱(128)을 성형하고 그 내부 공간에는 골분을 보관할 수 있는 납골함(120)을 성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성형된 유골함본체(110)는 도자기 굽는 가마에 삽입되어 초벌구이를 한다(S 220).
이때의 가마의 가열시간은 보통 초벌구이 때의 가열시간보다 길게 하여 요홈(112)의 형성으로 인하여 뚜께가 일정하지 않은 유골함본체(110)에 금이 가지 않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성형된 유골함본체(110)는 800∼ 950℃로 15시간 이상 초벌구이하도록 한다.
물론 식히는 과정도 동일하게 15시간 이상 소요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S230에서는 초벌구이된 도자기에 유약을 도포한 후 1150∼1300℃로 8∼15시간 동안 재벌구이를 하도록 한다.
재벌구이된 유골함본체(110)에 문양작업을 한 후(S240) 800℃로 삼차 구이하 는 단계를 거친다(S250).
그리고, 삼차구이된 유골함본체(110)의 요홈(112)에 영정비석과 같은 기록부재(150)를 석재용 에폭시 등과 같은 접착제를 사용하여 삽입하여 부착하도록 한다(S260).
본 발명에서의 기록부재(150)는 영정 비석이나 디스플레이장치를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기 때문에 별도로 기록부재(150)에 대한 제조 공정은 설명하지 않는다.
그러나, 영정사진 등이 문양된 도자기로 기록부재(150)를 제조할 때는 단계 S210의 성형단계에서 별도로 영정 도자기를 성형하고 단계 S240의 문양단계에서 필요한 문양작업만 추가하면 기록부재(150)도 유골함 제조 공정과 동일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기록부재를 갖는 도자기 유골함은 수백 년이 지난 후에도 변함없이 고인의 사진과 기록 사항을 보존하여 후손들이 용이하게 식별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생전의 고인의 영정을 변색 없이 영구적으로 보존할 수 있는 사진을 갖는 도자기 유골함이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유골함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유골함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유골함의 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유골함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유골함의 분해 사시도,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고인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재의 일례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유골함본체 120 : 납골함
130 : 유골함덮개 150 : 기록부재

Claims (5)

  1. 뚜껑과 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에 골분을 보관하도록 황토로 성형된 납골함;
    유골함덮개; 및
    상부가 개방된 상단 외주에는 상기 유골함덮개와 상기 납골함의 몸체의 상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단턱을 형성하고, 외부 일측에는 기록부재가 삽입되어 접착결합될 요홈을 구비하고 그 내부에는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납골함을 삽입하여 보관하도록 구성된 유골함몸체;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유골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골함몸체는
    상기 요홈이 형성될 영역은 그 두께가 그외 영역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하고, 그 폭과 길이는 상기 요홈이 형성될 폭과 길이보다도 더 크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함.
  3. (a)재료를 반죽하는 단계;
    (b)상기 반죽된 재료로 일정한 형상의 유골함을 성형하되 상단부는 덮개를 지지하기 위한 단턱을 형성하고 외부 일측에는 기록부재가 삽입되어 접착결합될 요홈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는 소정 공간을 형성하도록 성형하는 단계;
    (c)상기 성형된 유골함을 800∼ 950℃로 15시간 이상 초벌구이하는 단계;
    (d)상기 초벌구이된 도자기에 유약을 도포한 후 1150∼1300℃로 8∼15시간 동안 재벌구이하는 단계;
    (e)상기 재벌구이된 유골함에 문양작업을 한 후 800℃로 삼차 구이하는 단계; 및
    (f)상기 삼차구이된 유골함의 상기 요홈에 영정비석을 부착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유골함 제조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상기 요홈이 형성될 영역은 그 두께가 그외 영역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하고, 그 길이는 상기 요홈이 형성될 폭과 길이보다도 더 크게 형성한 다음 요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함 제조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황토를 사용하여 상기 유골함의 단턱에 몸체상단부가 지지되고 그 내부 공간에는 골분을 보관할 수 있는 납골함을 성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함 제조 방법.
KR1020090075700A 2009-08-17 2009-08-17 유골함 및 그 제조 방법 KR101083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5700A KR101083849B1 (ko) 2009-08-17 2009-08-17 유골함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5700A KR101083849B1 (ko) 2009-08-17 2009-08-17 유골함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8086A true KR20110018086A (ko) 2011-02-23
KR101083849B1 KR101083849B1 (ko) 2011-11-15

Family

ID=43775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5700A KR101083849B1 (ko) 2009-08-17 2009-08-17 유골함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38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5971B1 (ko) * 2021-10-06 2022-02-08 (주)에스에이치산업 유골함
KR102660532B1 (ko) 2022-04-04 2024-04-23 노강열 조형물이 구비된 도자기(陶瓷器) 유골함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8050Y1 (ko) * 2003-06-28 2003-09-26 (주)아이에스디지털 탄소성형체 구조의 납골함
KR200335720Y1 (ko) * 2003-09-09 2003-12-11 이명배 공기 순환 구조를 갖는 유골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3849B1 (ko) 2011-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3849B1 (ko) 유골함 및 그 제조 방법
KR20110003530U (ko) 기록부재를 구비한 유골함
KR101417625B1 (ko) 원적외선 김치항아리
KR20100119411A (ko) 밀폐형 납골 보관함이 일체로 된 납골단
KR20070058331A (ko) 인골 도자기의 제조 방법
JP6952756B2 (ja) 骨粉入り仏像状の陶磁器及びその製造方法
CA3233338A1 (en) Method of coloring dental block and dental block
KR200394053Y1 (ko) 사진을 갖는 도자기 유골함
WO2013172798A1 (en) Cremain memorial and processes for making same
KR20060022220A (ko) 영구보존형 크리스탈 납골함 및 그 제조방법
KR101189188B1 (ko) 봉안함
KR102660532B1 (ko) 조형물이 구비된 도자기(陶瓷器) 유골함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87203A (ko) 인골 도자기의 제조 방법
CN202426823U (zh) 一种骨灰托盘
KR100649083B1 (ko) 기능성 납골단지
KR200223768Y1 (ko) 유골안치함
KR101380622B1 (ko) 내함의 이탈을 방지하는 3중구조 납골함
EP2380544A1 (en) Customized container for transport and burial of a corpse
KR100812598B1 (ko) 점자 도자기 및 그 제조방법
KR20240000801U (ko) 반려동물 동반 납골당
JP2000203930A (ja) 焼骨・遺灰を用いたセラミックスの製造方法
JP3142646U (ja) ペット用骨壷
JP3065080U (ja) ミニチュア墓石
KR200256677Y1 (ko) 납골함 패킹구조
CN102525779B (zh) 一种骨灰托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