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7203A - 인골 도자기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인골 도자기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7203A
KR20080087203A KR1020070029023A KR20070029023A KR20080087203A KR 20080087203 A KR20080087203 A KR 20080087203A KR 1020070029023 A KR1020070029023 A KR 1020070029023A KR 20070029023 A KR20070029023 A KR 20070029023A KR 20080087203 A KR20080087203 A KR 200800872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e
ceramics
powdered
glaze
potter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9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연휴
이사현
Original Assignee
이연휴
이사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연휴, 이사현 filed Critical 이연휴
Priority to KR1020070029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87203A/ko
Publication of KR20080087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7203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24Manufacture of porcelain or white ware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8/00Enamels; Glazes; Fusion seal compositions being frit compositions having non-frit add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13Compounding ingredients
    • C04B33/132Waste materials; Refuse; Residues
    • C04B33/135Combustion residues, e.g. fly ash, incineration waste
    • C04B33/1355Incineration residu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32Burning methods
    • C04B33/34Burning methods combined with glaz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60Production of ceramic materials or ceramic elements, e.g. substitution of clay or shale by alternative raw materials, e.g. ash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골 도자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인골을 첨가하여 제조한 유약을 칠하여 도자기를 완성하는 도자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자기, 인골,유약

Description

인골 도자기의 제조 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human bone pottery}
본 발명은 인골 도자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인골을 첨가하여 제조한 유약을 칠하여 도자기를 완성하는 도자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화장문화는 시체를 화장하여 인골을 일정용기에 넣고 납골당에 보관하는 것인데, 이는 인골을 수습하여 보관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으며, 인골이 시각적으로 흉하기 때문에 납골당이 활성화되지 못하게 되고, 골분 상태로 장기간 보존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 인골을 다이아몬드나 보석으로 가공하여 몸에 지니고 다니거나 보관할 수 있도록 제조한 경우가 있고, 인골함을 도자기 등으로 제조하여 인골을 보관하는 경우도 있으며, 유리로 인골을 밀폐시켜 사진이나 경력 등을 기록한 후 위패 등을 제조하는 경우가 있다.
인골을 유리의 내부에 보관시키는 방법은 투명 유리의 경우 인골이 보이는 단점이 있어 혐오감이 드는 문제점이 있으며, 불투명 유리의 내부에 보관시키는 방법은 사진이나 경력 등을 도안하기 어려운 단점과 아울러 영구 보존을 위한 가치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어 주로 위폐로 제작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인골함은 아무리 밀봉을 잘하더라도 일부의 공기가 있으며 외부로부터 습기도 유입되므로 부패하게 되어 냄새가 심하게 나는 문제점이 있으며, 보석으로 가공하는 경우에는 비용이 올라가게 되고 인골의 원형이 보석 제조과정에 변질되는 문제점과 직계 자손이 아니면 기호도가 틀려 몸에 지니지 않거나 장기간 보관시 어느 선조의 인골인지를 구분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이 도자기는 영구불변의 모습으로 보존 가능한 장점이 있어, 이를 이용하여 인골함을 제조하면 사진이나 경력을 도안하여 기록할 수 있어 어느 선조의 인골인지를 분간하기 용이하며, 예술적인 작품으로 제조함으로써 장기간 보존하더라도 지루함이 없고, 인골이 변형되지 않은 상태로 도자기 내에 존치됨으로써 선조의 인골이 항시 곁에 있다고 인식되어 위폐나 지방을 대신할 수 있다.
그러나 공지된 기술인 바 실시 예를 든다면 유골분말의 극히 일부인 소지성분 대비 10%와 유약성분 대비 5%에 국한된 비율로는 잔여 유골을 산골해야 하는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과제인 자유로운 도자 재료의 폭넓은 선택으로 제작에 용이한 방법이 제공된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도자기 제조 공정 중에 유약을 조제한 후 분말 인골을 선택적 비율로 첨가하여 위생적이며 예술적인 작품으로 영구적으로 보존이 가능한 인골 도자기를 제조함으로써, 선조에 대한 경의를 표현함은 물론 위패나 지방으로 활용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원료의 수비단계, 분말 인골과 도자기 원료의 혼합 성형 단계, 문양을 조각하는 단계, 및 초벌구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골 도자기의 제조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실시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적 초,도자,토기 및 세라믹 전반에 걸친 원료인 점토 35-90%와 분말인골 5-45%,알루미나 및 고령토 5-20%를 선택적으로 혼합하고 수요자의 사양에 적합한 모양으로 성형한 후 각종 문양을 조각한다
이후, 건조과정을 거쳐 초벌구이를 하고 기본유약 40-99%와 분말인골 1-60%의 비율로 선택적으로 조합된 유약을 칠한 후 두벌구이하여 도자기를 만든다.
본차이나(Bone China) 혼합 경질자기의 원료혼합비가 골회 6, 차이나스톤(화강암) 4, 고령토 3.5인 점을 고려하면 도자기 원료에 분말인골을 상기한 선택적 비율로 조합하여도 도자기 제조에 문제점은 없을 뿐만 아니라, 최대온도로 가열과정에 기포의 발생으로 균열이 생기는 도자기 제조공정에 일상적으로 있을 수 있는 문제 이외에는 문제점이 없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간단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인골 도자기의 제조 방법은 영구불변한 도자기의 제조 공정을 이용하여 인골을 보관할 수 있는 인골 도자기를 제조함으로써, 선조에 대한 경의를 표시하고, 위패나 지방으로 활용이 가능하며, 영구적인 보관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분말 처리된 인골과 초,도자 토기 및 세라믹 전반에 걸친 원료를 선택적으로 혼합하여 성형하는 단계;
    문양을 조각하고 건조하는 단계
    초벌구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골 도자기의 제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초벌구이 단계 이후 유약칠을 하고 두벌구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골 도자기의 제조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초벌구이 단계 이후,
    유약을 조제하여 분말인골을 첨가하여 교반하는 단계; 및
    유약칠을 하고 두벌구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인골 도자기의 제조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유약과 분말인골의 교반은 기본 유약 40-99%, 분말인골 1-60%의 비율로 선택적으로 혼합하는 인골 도자기의 제조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인골과 초,도자,토기 및 세라믹 전반에 걸친 원료는 분말인골 5-45%, 점토 35-90%, 알루미나 및 고령토5-20%를 선택적으로 혼합하는 인골 도자기의 제조 방법.
KR1020070029023A 2007-03-26 2007-03-26 인골 도자기의 제조 방법 Withdrawn KR200800872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9023A KR20080087203A (ko) 2007-03-26 2007-03-26 인골 도자기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9023A KR20080087203A (ko) 2007-03-26 2007-03-26 인골 도자기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7203A true KR20080087203A (ko) 2008-10-01

Family

ID=40149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9023A Withdrawn KR20080087203A (ko) 2007-03-26 2007-03-26 인골 도자기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8720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82967A (zh) * 2013-08-13 2014-01-01 应县盛福瓷业有限公司 一种新骨瓷坯料及釉料的加工工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82967A (zh) * 2013-08-13 2014-01-01 应县盛福瓷业有限公司 一种新骨瓷坯料及釉料的加工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58476B (zh) 汝瓷包装容器防渗漏釉料、釉浆及其制备方法
Valenstein A handbook of Chinese ceramics
KR20070058331A (ko) 인골 도자기의 제조 방법
US20160120765A1 (en) Zirconia Dental Articles and Methods Thereof
CN104860652B (zh) 一种烧制建水紫陶的方法
ATE427923T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metallischen und keramischen produkten
KR101801172B1 (ko) 흑점을 형성하는 청자용 유약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09133857A (zh) 一种高强度耐摔陶瓷制品及其制作方法
KR20080087203A (ko) 인골 도자기의 제조 방법
CN105294069A (zh) 一种酱色土陶的制备方法
JP2006255367A (ja) メモリアル装身具
KR101525023B1 (ko) 고령토를 주재로 하는 자기의 제조방법
WO2013172798A1 (en) Cremain memorial and processes for making same
JPH0823731B2 (ja) 歯科教習用模型歯
WO1992014433A1 (en) Conserving cremains
Carney Lithophanes... Not a dead art form
Triplett Handbuilt ceramics: pinching, coiling, extruding, molding, slip casting, slab work
CN102657467A (zh) 骨灰俑
Derin Potters' marks of Ayanıs citadel, Van
CN111004037A (zh) 3d打印陶瓷个人塑像纪念品及塑像骨灰盒的成型方法
KR200363028Y1 (ko) 메시지를 직접 쓸 수 있는 도자기화분
QUANG et al. The Ceramic Plate" Purple Set No. 1-4" from Silpakorn Art Centre Conservation of the Ceramic Plate and Testing of Various Adhesives for Ceramic Bonding in Southeast Asia
Foley Porcelain
KR102700247B1 (ko) 가리비 껍질 재를 포함하는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80089875A (ko) 동물뼈 도자기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32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