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6333A -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6333A
KR20110016333A KR1020090073987A KR20090073987A KR20110016333A KR 20110016333 A KR20110016333 A KR 20110016333A KR 1020090073987 A KR1020090073987 A KR 1020090073987A KR 20090073987 A KR20090073987 A KR 20090073987A KR 20110016333 A KR20110016333 A KR 201100163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nd
slide body
interference member
slide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3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7827B1 (ko
Inventor
장기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3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7827B1/ko
Publication of KR20110016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63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7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78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2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16M11/125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for tilting and rol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18Heads with mechanism for moving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실시 예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장치를 제안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장치는, 디스플레이 기기를 틸팅 시키기 위한 힌지 어셈블리; 상기 힌지 어셈블리가 결합되는 슬라이드 바디; 상기 슬라이드 바디와 상하 방향으로 상대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탠드 바디; 및 상기 슬라이드 바디와 상기 스탠드 바디 사이에 구비되는 간섭 부재; 및 상기 간섭 부재가 수용되고, 공기 홀이 형성되는 수용부가 포함되며, 상기 스탠드 바디의 상하 이동에 따라서 상기 간섭 부재는 상기 공기 홀을 개방시키거나 차폐한다.
디스플레이 기기, 스탠드

Description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장치{Stand of display device}
본 실시 예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기기를 책상 등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 기기를 지지해 주는 스탠드 장치가 필요하다.
이러한 스탠드 장치들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기기의 화면을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상하 또는 좌우로 회전시키거나 또는 디스플레이 기기 자체를 상하로 움직이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조절 구조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종래의 디스플레이 기기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구조는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롤 회동 가능하게 하는 힌지 어셈블리와 상기 힌지 어셈블리에 연결된 슬라이드 어셈블리 및 상기 슬라이드 어셈블리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슬라이드 높이 조절부로 이루어져 있다.
다만, 이와 같은 높낮이 조절 구조를 메탈(metal) 재료로만 구성하면, 재료비가 증가하여 제품의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높낮이 조절 구조를 기존의 메탈 부품을 몰드(mold) 부품으로 대체하면 부품 수가 많아지고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실시 예의 목적은,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장치 구조를 개선하여, 구조가 단순하고 간단한 스탠드 장치를 제안하는 것에 있다.
본 실시 예의 목적은, 비교적 적은 수의 몰드 부품이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장치를 제안하는 것에 있다.
일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장치에는, 디스플레이 기기를 틸팅 시키기 위한 힌지 어셈블리; 상기 힌지 어셈블리가 결합되는 슬라이드 바디; 상기 슬라이드 바디와 상하 방향으로 상대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탠드 바디; 및 상기 슬라이드 바디와 상기 스탠드 바디 사이에 구비되는 간섭 부재; 및 상기 간섭 부재가 수용되고, 공기 홀이 형성되는 수용부가 포함된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기기를 지지하는 스탠드 장치의 구조가 단순해져서 조립 공정이 간단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스탠드 장치를 제작하는데 필요한 부품의 개수가 감소하여 재료비가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이 그와 같은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사 상은 실시 예를 이루는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및 삭제 등에 의해서 다르게 제안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스탠드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를 절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스탠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실시 예의 힌지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스탠드 장치(1)에는 디스플레이 기기(미도시)에 결합되는 힌지 어셈블리(10)와, 설치면에 놓이는 베이스(30a)와, 상기 베이스(30a)의 상측에 구비되는 스탠드 바디(30)와, 상기 스탠드 바디(3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바디(20)와, 상기 스탠드 바디(20)의 저면에 설치되는 탄성 부재(60)가 포함된다.
상기 힌지 어셈블리(10)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에 고정되는 전면 브래킷(111)과, 상기 전면 브래킷(111)에 고정되는 후면 브래킷(112, 113)과,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틸팅 중심을 제공하는 힌지 축(150)과, 상기 전면 브래킷(111) 및 상기 힌지 축(150)을 연결하는 힌지 바디부(120)와, 상기 슬라이드 바디(20)에 결합되고, 상기 힌지 축(150)이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 브래킷(130)이 포함된다.
상기 후면 브래킷(112, 113)에는, 제 1 바디(112)와 상기 제 1 바디(112)의 하측에 구비되는 제 2 바디(113)이 포함된다.
상기 전면 브래킷(111)은 상기 힌지 어셈블리(10)의 무게를 줄이기 위해 넓고 얇은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 브래킷(111)과 상기 제 1 바디(112) 및 제 2 바디(113)는 체결 부 재(미도시)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도 4에는 상기 전면 브래킷(111)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상기 체결 부재(미도시)가 통과될 수 있는 제 1 체결홀(111a)이 형성되는 것이 도시된다.
또한, 상기 전면 브래킷(111)에는 상기 전면 브래킷(111)을 상기 힌지 바디부(120)에 고정하기 위해 체결 부재(C)가 관통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제 2 체결홀(111b)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도 4에는 상기 제 2 체결홀(111b)이 상기 전면 브래킷(111)의 중앙부에 5개 형성된 것이 도시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 브래킷(111)에는 상기 힌지 바디부(120)에 형성된 가체결 돌기(121a : 후술함)가 관통되는 가체결 돌기 홀(111c)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바디(112)는 상기 전면 브래킷(111)의 배면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 2 바디(113)은 상기 전면 브래킷(111)의 배면 하부에 결합된다.
상기 제 1 바디(112) 및 상기 제 2 바디(113)에는 상기 힌지 바디부(12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112a, 113b)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각 지지부(112a, 113b)는 대략 반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힌지 바디부(120)의 둘레를 감싼다.
상기 제 1 바디(112) 및 제 2 바디(113)의 전단부에는 상기 제 1 체결홀(111a)을 관통한 체결 부재(미도시)가 삽입될 수 있는 체결 보스(112a)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 보스(112a)는 상기 제 1 체결홀(111a)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 1 체결홀(111a)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 브래킷(111)의 후측면에는 연결 브래킷(115)이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 브래킷(115)은 상기 힌지 바디부(120)의 전단면과 상기 전면 브래킷(111)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힌지 바디부(120)의 전단면 또는 상기 전면 브래킷(111)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상기 힌지 바디부(120) 및 상기 전면 브래킷(111)의 결합이 느슨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브래킷(115)에는 상기 가체결 돌기(121a)가 삽입될 수 있는 가체결 돌기 홀(115b)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체결 부재(C)가 관통할 수 있는 체결홀(115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브래킷(115)과 상기 전면 브래킷(111) 사이에는 와셔(114)가 삽입되어 상기 연결 브래킷(115) 또는 전면 브래킷(111)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연결 브래킷(115) 및 전면 브래킷(111)의 결합이 느슨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힌지 바디부(15)의 전방에는 상기 연결 브래킷(115)과 결합하는 전단면(121)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 브래킷(115)은 평평한 형상이고, 상기 전단면(121)은 상기 연결 브래킷(115)에 밀착되어야 하므로, 상기 전단면(121)은 평평한 형상이 될 수 있다. 상기 전단면(121)에는 상기 가체결 돌기(121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체결 돌기(121a)는 상기 연결 브래킷(115) 및 상기 전면 브래킷(111)에 형성된 가체결 돌기 홀(115b, 111c)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 브래킷(115) 및 상기 전면 브래킷(111)이 상기 힌지 바디부(120)의 전단면(121)에 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또한, 상기 전단면(121)에는 상기 체결 부재(C)가 관통할 수 있는 체결 홀(121b)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 부재(C)는 상기 전면 브래킷(111), 상기 연결 브래킷(115) 및 상기 힌지 바디부(120)의 전단면(121)에 형성된 체결홀(111b, 115a, 121b)를 관통하여 상기 힌지 바디부(120)와, 상기 연결 브래킷(115) 및, 상기 전면 브래킷(111)을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힌지 바디부(120)의 전단면(121)과 상기 힌지 축(150) 사이에는 상기 전단면(121)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바디부(122)가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바디부(122)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었지만, 상기 바디부(122)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바디부(122)의 후측에는 축 관통부(123)가 형성된다. 상기 축 관통부(123)는 상기 복수의 결합 브래킷(130)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힌지 축(150)이 관통하는 관통홀(123a)이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축 관통부(123)는 상기 바디부(122)보다 폭이 작게 형성되었으나, 상기 축 관통부(123)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결합 브래킷(130)에는 상기 슬라이드 바디(20)에 고정되는 고정면(133)과, 상기 축 관통부(123)에 밀착되고, 상기 힌지 축(150)이 관통되는 축 관통면(131)이 포함된다. 상기 축 관통면(131)은 상기 고정면(133)에서 수직하게 연장된다.
상기 고정면(133)에는 체결 부재(미도시)가 관통할 수 있는 체결홀(13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축 관통면(131)에는 상기 힌지 축(150) 이 관통되는 관통홀(132)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면(133)은 후술할 안착면(26)에 체결 부재(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바디(2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바디(20)는 상기 스탠드 바디(30)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되므로, 상기 슬라이드 바디(20)의 외주면의 직경은 상기 스탠드 바디(30)의 내주면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바디(20)의 외주면에는 상기 스탠드 바디(30)의 내주면과 간섭을 일으키는 제 1 간섭 부재(21) 및 제 2 간섭 부재(23)와, 상기 제 1 간섭 부재(21) 및 제 2 간섭 부재(23)가 수용되는 제 1 수용부(22) 및 제 2 수용부(24)와, 상기 슬라이드 바디(20)의 상하 이동의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25)가 포함된다.
상기 슬라이드 바디(20)의 상부의 측면에는 개구부(27)가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27)를 통하여 상기 힌지 어셈블리(10)가 상기 슬라이드 바디(20)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바디(20)의 내측에는 상기 결합 브래킷(130) 의 고정면(133)이 안착될 수 있는 안착면(26)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면(26)은 상기 슬라이드 바디(20)의 내주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슬라이드 바디(20)의 상단부는 개방되어 있고, 슬라이드 바디 커버(40)가 상기 슬라이드 바디(20)의 상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슬라이드 바디(20)의 외주면에는 간섭 부재(21, 23)가 배치된다. 일례로, 도 3에는 상기 슬라이드 바디(20)의 하측부에 제 2 간섭 부재(23)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2 간섭 부재(23)와 상방에 상기 제 1 간섭 부재(21)가 위치되는 것이 도시된다.
상기 간섭 부재(21, 24)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 바디(20)의 외주면을 둘러싼다. 상기 간섭 부재(21, 23)는 상기 슬라이드 바디(20)에 밀착되어야 하고, 상기 스탠드 바디(30)와 접촉되는 경우에 변형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탄성을 갖는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 본 실시 예에서는 내마모성과 내화학성이 좋은 NBR(nitrile butadiene rubber : 아크릴로니트릴과 부타디엔과의 공중합으로 만들어지는 합성 고무) 재질의 O-Ring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간섭 부재(21)는 상기 제 1 수용부(22)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간섭 부재(23)는 상기 제 2 수용부(24)에 위치된다. 상기 제 1 수용부(22) 및 제 2 수용부(24)에는 상측 돌출부(221, 241) 및 하측 돌출부(222, 242)가 포함된다. 즉, 상기 하측 돌출부(222, 242)는 상기 슬라이드 바디(20)의 외주를 따라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상측 돌출부(221, 241)는 상기 하측 돌출부(222, 242)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돌출 형성된다.
상기 상측 돌출부(221, 241)에는 공기가 유입 및 유출될 수 있는 공기홀(241a)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간섭 부재(21) 및 제 2 간섭 부재(23)는, 상기 상측 돌출부(221, 241) 및 하측 돌출부(222, 242) 사이의 공간에 위치된다. 다만, 상기 제 1 간섭 부재(21) 및 제 2 간섭 부재(23)의 상하폭은 상기 상측 돌출부(221, 241) 및 하측 돌출부(222, 242) 사이의 간격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것은, 상기 슬라이드 바디(20) 가 상기 스탠드 바디(30)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하는 경우에, 상기 제 1 간섭 부재(21) 및 제 2 간섭 부재(23)가 상측 돌출부(221, 241) 및 하측 돌출부(222, 242)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슬라이드 바디(20)의 저면에는 가이드 홀(28)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홀(28)에는 후술할 스탠드 바디(30)의 가이드 부(32)가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 부(32)에 의해서 상기 슬라이드 바디(20)의 상하 운동이 가이드된다. 상기 가이드 홀(28)의 직경은 상기 가이드 부(32)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바디(20)의 측면에는 스토퍼(25)가 구비된다. 상기 스토퍼(25)는 바디부(251)와, 상기 바디부(251)에서 돌출되는 돌출부(252)와, 상기 돌출부(252)에 형성되는 걸림부(253)가 포함된다. 상기 스토퍼(25)의 둘레는 절개되어 상기 바디부(251)가 상기 슬라이드 바디(20)에 대해서 탄성 운동 가능하게 된다.
상기 스토퍼(25)의 걸림부(253)는 상기 스탠드 바디(30)의 측면에 형성된 걸림 홀(33, 34)에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드 바디(20)의 상하 운동 범위를 제한한다. 즉, 상기 걸림 홀(33, 34)에는 상부 홀(33) 및 하부 홀(34)이 포함된다.
상기 슬라이드 바디(20)는 상기 스탠드 바디(30)의 내부에서 상하 운동할 때는 상기 스토퍼(25)의 걸림부(253)가 상기 스탠드 바디(30)의 내주면에 의해서 가압되어 상기 바디부(251)가 탄성 변형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253)가 상기 걸림홀(33, 34)과 정렬되면, 상기 바디부(251)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여 상기 걸림 부(253)가 상기 걸림홀(33, 34)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드 바디(20)가 상방으로 이동하다가 상기 상부 홀(33)에 상기 스토퍼(25)의 걸림부(253)가 삽입되면, 상기 슬라이드 바디(20)는 더 이상 상방으로 이동하지 못한다. 상기 걸림부(253)가 상기 상부 홀(33)에 삽입되었을 때가 상기 슬라이드 바디(20)가 상방으로 최대한 올라간 경우에 해당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슬라이드 바디(20)가 하방으로 이동하다가 상기 하부 홀(34)에 상기 스토퍼(25)의 걸림부(253)가 삽입되면, 상기 슬라이드 바디(20)는 더 이상 하방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상기 걸림부(253)가 상기 하부 홀(34)에 삽입되었을 때가 상기 슬라이드 바디(20)가 하방으로 최대한 내려간 경우에 해당한다.
상기 스탠드 바디(30)는 상기 베이스(30a)의 상면에 놓이고, 상기 슬라이드 바디(20)가 상기 스탠드 바디(30)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을 한다. 상기 스탠드 바디(30)의 내부 바닥면에는 상기 슬라이드 바디(20)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부(32)가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부(32)는 상기 슬라이드 바디(20)의 저면에 형성된 가이드 홀(28)에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드 바디(20)의 상하 운동을 가이드 한다.
또한, 상기 스탠드 바디(30)의 내주면에는 상기 스토퍼(25)의 돌출부(252)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35)이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드 바디(20)가 상하 운동을 하므로, 상기 가이드 홈(35)도 상기 스탠드 바디(30)의 내주면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 부재(60)는 상기 스탠드 바디(30)의 바닥면에 설치될 수 있 다. 상기 탄성 부재(60)는 상기 스탠드 바디(30)의 바닥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부(32)를 감싼다. 일례로, 상기 탄성 부재(60)는 압축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60)는 상기 슬라이드 바디(20)가 하방으로 이동되었을 때, 다시 상방으로 움직일 수 있는 힘을 상기 슬라이드 바디(20)에 가하는 역할을 한다. 다만, 상기 탄성 부재(60)는 상기 슬라이드 바디(20)가 하방으로 이동되었을 때 완전히 접힐 수 있도록, 상기 탄성 부재(60)의 형상은 도 2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상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탠드 바디(30)의 상부는 상기 슬라이드 바디(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고, 상기 스탠드 바디(30)의 상단부에는 스탠드 바디 커버(5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스탠드 바디 커버(50)는 상기 슬라이드 바디(20)와 상기 스탠드 바디(30) 사이의 틈을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스탠드 바디 커버(50)는 상기 스탠드 바디(30)와 래치(미도시)를 이용하여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스탠드 장치(1)의 조립 순서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힌지 어셈블리(10)를 체결 부재(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상기 슬라이드 바디(20)에 결합한다. 이때, 상기 결합 브래킷(130) 의 고정면(133)을 상기 슬라이드 바디(20)의 안착면(26)에 고정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슬라이드 바디 커버(40)를 상기 슬라이드 바디(20)에 결합한다. 이때, 래치(latch : 미도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신축성 있는 상기 복수의 간섭 부재(21, 23)를 상기 슬라이드 바디(20)에 벌려서 결합시킨다. 다음에, 상기 탄성 부재(60)를 상기 스탠드 바디(30) 내부의 가이드 부(32)에 맞추어 설치한다. 다음으로 상기 슬라이드 바디(20)의 가이드 홀(28)을 상기 가이드 부(32)에 맞추어 삽입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스탠드 바디 커버(50)를 상기 스탠드 바디(30)에 결합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슬라이드 바디(20)가 하방 또는 상방으로 운동하는 원리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슬라이드 바디의 정지 상태의 모습을 보여주는 스탠드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6은 슬라이드 바디의 정지 상태의 모습을 보여주는 스탠드 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며, 도 7은 슬라이드 바디가 하강할 때의 모습을 보여주는 스탠드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8은 슬라이드 바디가 하강할 때의 모습을 보여주는 스탠드 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6, 도 8 및 도 10에서 제 2 간섭 부재에 대해서만 도시하였으나, 제 1 간섭 부재의 경우에도 상기 슬라이드 바디가 하방으로 운동할 때, 동일한 작용을 한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슬라이드 바디(20)가 상기 스탠드 바디(30)에 대해서 하방으로 이동될 때, 상기 제 2 간섭 부재(23)는 상기 스탠드 바디(30)의 내주면과 간섭을 일으켜서 상기 스탠드 바디(30)와 함께 움직이지 않고, 상기 슬라이드 바디(20)가 하방으로 움직이는 속도보다 느린 속도로 하방으로 움직인다.
상기 제 2 간섭 부재(23) 상기 슬라이드 바디(20)가 하강하는 속도보다 느린 속도로 하강하므로, 상기 슬라이드 바디(20)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방으로 이동된다 고 할 수 있다. 도 6에 표시된 상방으로의 화살표는 상기 제 2 간섭 부재(23)가 상기 슬라이드 바디(20)에 대해 상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제 2 간섭 부재(23)는 상기 슬라이드 바디(20)에 대해 상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 2 수용부(24)의 상측 돌출부(241)에 형성된 공기홀(241a)을 막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드 바디(20)가 하방으로 이동될 때, 상기 힌지 어셈블리(10)에 결합된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미도시)의 자중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바디(20)가 자동으로 하방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상기 자중에 상응하는 힘이 필요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슬라이드 바디(20)가 하방으로 이동될 때, 상기 복수의 간섭 부재(21, 23)가 상기 공기홀(221a, 241a)를 차단함으로써, 상기 스탠드 바디(30) 내부는 공기가 거의 통하지 않는 기밀 상태가 되어 상방으로 반력이 생기고, 이는 상기 슬라이드 바디(20)가 하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미도시)의 자중에 대응하는 힘으로 작용된다. 상기 기밀 상태는 상기 복수의 간섭 부재(21, 23)가 상기 슬라이드 바디(20) 및 스탠드 바디(30)의 틈을 막아서 공기가 거의 통하지 않는 상태이고, 공기가 완전히 통하지 않는 상태는 아니며, 상기 슬라이드 바디(20)에 외력을 가하면 공기가 샐 수 있는 상태이다.
상기 슬라이드 바디(20)가 하방으로 이동하다가, 상기 스토퍼(25)의 걸림부(253)가 상기 하부 홀(34)에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드 바디(20)가 상기 스탠드 바디(30)에 대해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드 바디(20)를 다시 상방으로 이동시 킬 때에는 상기 걸림부(253)를 눌러서 상기 걸림부(253)가 상기 하부 홀(34)에 걸려있는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드 바디(30)를 움직일 수 있다.
도 9는 슬라이드 바디가 상승할 때의 모습을 보여주는 스탠드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10은 슬라이드 바디가 상승할 때의 모습을 보여주는 스탠드 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5, 도 6, 도 9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복수의 간섭 부재(21, 23)가 공기홀(221a, 241a)을 막아서 상기 스탠드 바디(30) 내부를 기밀 상태로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드 바디(20)를 상방으로 움직이면, 상기 복수의 간섭 부재(21, 23)는 상기 스탠드 바디(30)의 내벽과 간섭을 일으켜서 상기 슬라이드 바디(20)에 비해서 느린 속도로 상방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복수의 간섭 부재(21, 23)는 상기 슬라이드 바디(20)에 대해 상대적으로 하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공기홀(221a, 241a)을 열게 된다. 상기 공기홀(221a, 241a)이 열려서 상기 스탠드 바디(30) 내부는 기밀 상태에서 벗어나서 상방으로 이동할 때 필요한 힘이 줄어들게 된다.
또한, 상기 화면부(미도시)의 자중을 상방으로 올리는 힘을 보완하기 위해서 스탠드 바디(30) 내부의 탄성 부재(60)의 복원력이 이용될 수 있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 의하면, 탄성 및 신축성을 가지는 간섭 부재를 사용하여 기존의 몰드(mold) 부품으로만 이루어진 스탠드 장치에 비해 부품 수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부품의 수가 줄어들어서 품질 개선 효과 역시 기대된다. 그리고, 전반 적으로 단순하고 심플(simple)한 스탠드 장치의 구조를 얻을 수 있고, 상기 간섭 부재의 재료로 내 마모성 및 내 화학성이 강한 재료를 사용하여 상기 스탠드 장치의 동작 수명을 증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스탠드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를 절개한 단면도.
도 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스탠드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실시 예의 힌지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슬라이드 바디의 정지 상태의 모습을 보여주는 스탠드 장치의 측면도.
도 6은 슬라이드 바디의 정지 상태의 모습을 보여주는 스탠드 장치의 부분 단면도.
도 7은 슬라이드 바디가 하강할 때의 모습을 보여주는 스탠드 장치의 측면도.
도 8은 슬라이드 바디가 하강할 때의 모습을 보여주는 스탠드 장치의 부분 단면도.
도 9는 슬라이드 바디가 상승할 때의 모습을 보여주는 스탠드 장치의 측면도.
도 10은 슬라이드 바디가 상승할 때의 모습을 보여주는 스탠드 장치의 부분 단면도.

Claims (8)

  1. 디스플레이 기기를 틸팅 시키기 위한 힌지 어셈블리;
    상기 힌지 어셈블리가 결합되는 슬라이드 바디;
    상기 슬라이드 바디와 상하 방향으로 상대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탠드 바디; 및
    상기 슬라이드 바디와 상기 스탠드 바디 사이에 구비되는 간섭 부재; 및
    상기 간섭 부재가 수용되고, 공기 홀이 형성되는 수용부가 포함되며,
    상기 스탠드 바디의 상하 이동에 따라서 상기 간섭 부재는 상기 공기 홀을 개방시키거나 차폐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부재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 바디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부재는 NBR 재질의 O-Ring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슬라이드 바디에서 상기 스탠드 바디를 향하여 돌출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는 상측 돌출부 및 하측 돌출부가 포함되고, 상기 상측 돌출부에 상기 공기 홀이 형성되며, 상기 간섭 부재는 상기 상측 돌출부 및 하측 돌출부의 사이에 위치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 바디의 내부 바닥면에는 상기 슬라이드 바디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부가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 장치의 내부 바닥면에는 상기 슬라이드 바디에 복원력을 가하는 탄성 부재가 더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바디가 하방으로 운동하면 상기 간섭 부재는 상기 공기 홀을 막고, 상기 슬라이드 바디가 상방으로 운동하면, 상기 간섭 부재는 상기 공기 홀을 개방시키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장치.
KR1020090073987A 2009-08-11 2009-08-11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장치 KR1015978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3987A KR101597827B1 (ko) 2009-08-11 2009-08-11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3987A KR101597827B1 (ko) 2009-08-11 2009-08-11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6333A true KR20110016333A (ko) 2011-02-17
KR101597827B1 KR101597827B1 (ko) 2016-02-25

Family

ID=43774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3987A KR101597827B1 (ko) 2009-08-11 2009-08-11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78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4933B1 (ko) * 2019-08-03 2020-09-10 주식회사 탑시스템 디스플레이 승강기의 이물질 차단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4694B1 (ko) * 2018-07-18 2020-06-18 최봉규 높이 조절 및 이동이 용이한 키오스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4340Y1 (ko) * 2002-11-21 2003-02-15 태우정밀 주식회사 모니터 스탠드
KR100531313B1 (ko) * 2004-03-15 2005-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용 스탠드
KR100834581B1 (ko) * 2007-08-24 2008-06-02 주식회사 한독하이테크 평편형 모니터 높낮이 조절장치
KR20090030849A (ko) * 2007-09-21 2009-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4340Y1 (ko) * 2002-11-21 2003-02-15 태우정밀 주식회사 모니터 스탠드
KR100531313B1 (ko) * 2004-03-15 2005-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용 스탠드
KR100834581B1 (ko) * 2007-08-24 2008-06-02 주식회사 한독하이테크 평편형 모니터 높낮이 조절장치
KR20090030849A (ko) * 2007-09-21 2009-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4933B1 (ko) * 2019-08-03 2020-09-10 주식회사 탑시스템 디스플레이 승강기의 이물질 차단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7827B1 (ko) 2016-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54288B1 (en) Washing machine
KR100531313B1 (ko) 영상표시장치용 스탠드
US7717380B2 (en) Automatic height adjustment leg of laundry handling apparatus and laundry handling apparatus
JP6893688B2 (ja) 開閉体開閉装置並びにこの開閉体開閉装置を備えた各種被開閉体
US7953465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160111206A (ko) 힌지 장치 및 힌지 장치가 구비된 오븐
KR20050028518A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월 마운트
EP3292801B1 (en) Structure of non-interference front-surface opening/closing-type frame
CN102431479A (zh) 具有一对盖和单个释放按钮的杯支架组件
KR20110016333A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장치
KR20120010592A (ko) 디스플레이패널유닛 장착장치
JP7134470B2 (ja) ヒンジ並びにこのヒンジを用いた各種機器
KR101573077B1 (ko) 디스플레이 기기
KR20100009708U (ko)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101353482B1 (ko) 스탠드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KR100424583B1 (ko) 냉장고용 힌지조립체
CN216040286U (zh) 一种衣物处理设备
CN220203682U (zh) 铰链及烹饪器具
EP4345206A1 (en) Base device and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KR100587350B1 (ko) 평판형 영상표시기기의 높이조절 받침대 구조
KR101263866B1 (ko) 컨트롤러의 노브 장치
KR20100044683A (ko) 자판 내장형 휴대폰용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101597828B1 (ko) 디스플레이 기기
US20200359749A1 (en) Hand fixation band
KR20070040610A (ko) 컨트롤러의 노브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