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5265A - 어로장비 이탈방지보조수단 - Google Patents

어로장비 이탈방지보조수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5265A
KR20110015265A KR1020090072901A KR20090072901A KR20110015265A KR 20110015265 A KR20110015265 A KR 20110015265A KR 1020090072901 A KR1020090072901 A KR 1020090072901A KR 20090072901 A KR20090072901 A KR 20090072901A KR 20110015265 A KR20110015265 A KR 201100152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fishing equipment
fishing
equipment
auxiliary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2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1092B1 (ko
Inventor
박명오
Original Assignee
박명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명오 filed Critical 박명오
Priority to KR1020090072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1092B1/ko
Publication of KR20110015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5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1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1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3/00Drawn nets
    • A01K73/02Trawling nets
    • A01K73/06Hauling devices for the headl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 A01K69/06Tra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로장비 이탈방지보조수단에 관한 것으로, 표면에 수중으로부터 인양된 어로장비가 통과하는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의 내주연을 따라 상기 통공의 내측 방향으로 다수의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각 돌출부의 하부를 지지하는 설치대를 구비하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의 상부에 기본 뼈대를 형성하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각 방향을 연결하는 다수의 보조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케이지를 포함하는 구성이며, 상기 통공 안으로 어로장비가 연결된 로프를 끼워넣을 수 있도록 상기 통공의 일측에 끼움공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복원성이 있는 연질의 소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어로장비 이탈방지보조수단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어로장비 이탈방지보조수단은 로프로부터 분리된 어로장비들을 안전하게 받을 수 있어 어로장비들이 선박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막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어로작업의 비용 상승을 방지함은 물론 바다에 빠진 어로장비로 인해 해양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어로장비, 이탈방지, 인양, 통공, 케이지, 로프

Description

어로장비 이탈방지보조수단{AUXILIARY MEANS FOR PREVENTING FISHING TOOL FROM DEPARTURING}
본 발명은 어로장비 분리장치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어로장비 이탈방지보조수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중에서 인양된 어로장비들이 로프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에서 선박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어로장비 이탈방지보조수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로장비란, 장어, 꽃게, 낙지, 문어, 그리고 기타 바다 생물들을 잡을 때 사용되는 통발, 단지, 어망 등을 말한다. 특히 통발의 경우, 어획하고자 하는 대상에 따라 여러 형상과 구조를 갖는데,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통발은 메인로프(모릿줄)에 일정간격으로 매달아서 해저에 침강시키고 일정시간이 지난 다음 인양기로 인양하여 메인로프로부터 분리하게 된다.
도 1은 어로장비 분리장치의 한 예를 도시한 것으로, 선박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어로장비 분리장치(4)의 구성은 본체인 프레임(41)과, 인양기에 의해 끌어올려지는 메인로프(1)를 안내하기 위해 프레임(41) 내부에 설치되는 안내롤러(42), 및 상기 안내롤러(42)로 진입하는 메인로프(1)로부터 어로장비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대(43)로 이루어진다. 분리대(43)는 나란하게 배열되는 한 쌍의 회전롤러(44)를 가지며, 메인로프(1)가 이들 회전롤러(44)의 사이를 통과하는 동안 상기 메인로프(1)에 연결된 어로장비 연결구(6)가 탈락되면서 어로장비(8)(8′)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도 1에서 일 예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어로장비 분리장치(4)는 선박(3)의 바닥이나 벽면에 ㄱ자로 꺽인 기둥(2)을 설치하고, 기둥(2)의 상단으로부터 늘어뜨려진 고정줄(5)의 연결고리(5a)에 어로장비 분리장치(4)의 상단을 연결시켜 설치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어로장비 분리장치(4)는 기둥(2)에 매달려서 선박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이 설치된 어로장비 분리장치에서는 메인로프(1)로부터 어로장비 연결구(6)가 탈락되는 과정에서 약간의 튐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파도에 의해 선박의 흔들림이 심한 상황에서 약간의 튐에 의해서도 분리된 어로장비를 놓쳐 바다에 빠뜨리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이러한 어로장비의 이탈은 어로작업의 비용 상승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바다에 빠진 어로장비가 수중에 가라앉아 해양을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수중에서 인양된 어로장비들이 로프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에서 선박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막기 위해 로프에서 분리된 어로장비를 안전하게 받을 수 있는 구성의 어로장비 이탈방지보조수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표면에 수중으로부터 인양된 어로장비가 통과하는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의 내주연을 따라 상기 통공의 내측 방향으로 다수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수중으로부터 로프를 따라 인양된 어로장비가 상기 돌출부를 밀어 젖히며 상기 통공을 통과하고, 인양 후의 어로장비가 상기 돌출부에 의해 차단되어 이탈 또는 추락이 방지되도록 구성한 어로장비 이탈방지보조수단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어로장비 이탈방지보조수단은 각 돌출부의 하부를 지지하는 설치대에 결합되고, 상기 돌출부는 소정 각도로 상향 경사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은 표면에 수중으로부터 인양된 어로장비가 통과하는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의 내주연을 따라 상기 통공의 내측 방향으로 다수의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각 돌출부의 하부를 지지하는 설치대를 구비하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의 상부에 기본 뼈대를 형성하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각 방향을 연결하는 다수의 보조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케이지를 포함하는 어로장비 이탈 방지보조수단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어로장비 이탈방지보조수단은 상기 통공 안으로 어로장비가 연결된 로프를 끼워넣을 수 있도록 상기 통공의 일측에 끼움공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복원성이 있는 연질의 소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어로장비 이탈방지보조수단의 사용을 통해 로프로부터 분리된 어로장비들을 안전하게 받을 수 있게 되므로 어로장비들이 선박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아울러 이를 통해 어로작업의 비용 상승을 방지함은 물론 바다에 빠진 어로장비로 인해 해양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어로장비 이탈방지보조수단의 각기 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으로, 먼저 도 2a에 도시된 어로장비 이탈방지보조수단(10)은 표면에 수중으로부터 인양된 어로장비가 통과하도록 통공(11)이 구비되고, 통공(11)의 내주연을 따라서 상기 통공의 내측 방향으로 다수의 돌출부(12)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에서 어로장비가 연결된 로프는 상기 통공(11)을 통과하게 되고, 로프에서 분리된 어로장비는 본 발명의 어로장비 이탈방지보조수단(10)에 떨어져 선박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2a의 변형예인 도 2b에 따르면 어로장비 이탈방지보조수단(10′)은 통공(11) 안으로 상기 어로장비가 연결된 로프를 끼워넣을 수 있도록 상기 통공(11) 의 일측에 끼움공(13)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어로장비 이탈방지보조수단(10)(10′)은 고무나 실리콘, 라텍스 등과 같이 복원성이 있는 연질의 소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와 같이 연질의 소재를 구성할 경우 로프를 따라 인양되는 어로장비가 돌출부(12)를 가볍게 밀어젖힐 수 있어 통공(11)을 쉽게 통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어로장비 이탈방지보조수단은 어로장비가 통공(11)을 보다 쉽게 통과할 수 있도록 소정의 설치대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도 3에서 본 발명의 어로장비 이탈방지보조수단(10′)과 이를 위한 설치대(20)의 구성을 볼 수 있다.
도 3에 따르면, 본 발명의 어로장비 이탈방지보조수단(10′)은 각 돌출부(12)의 대응 하부에 소정의 경사부(24)를 가지는 설치대(20)와 결합하여 제공된다.
설치대(20)는 어로장비 이탈방지보조수단(10′)의 하부를 지지하는 것으로, 그 표면에 상기 어로장비 이탈방지보조수단(10′)의 통공(11)에 대응하여 어로장비가 통과할 수 있도록 구멍(21)이 구비되고, 구멍(21)의 둘레에는 상기 각 돌출부(12)를 지지하기 위해 소정 높이의 지지턱(22)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경사부(24)가 지지턱(22)의 외측 선단에서 상기 설치대(20)의 상부 표면에 하향 경사진 상태로 연결된다. 구멍(21)의 일측에는 어로장비가 연결된 로프를 끼워넣을 수 있도록 끼움공(23)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어로장비 이탈방지보조수단(10′)은 설치대(20)의 상부에 올려진 상태로 나사 또는 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고정되며, 이 상태에서 어로장비 이탈방지보조수단(10′)의 각 돌출부(12)는 설치대(20)에 형성된 경사부(24)에 의해 통공(11)의 중앙을 향해 상방향으로 들림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를 위해 어로장비 이탈방지보조수단(10′)의 표면과 각각의 경사부(24)에는 체결수단을 끼우기 위한 체결공(14)(25)이 각각 형성된다. 어로장비 이탈방지보조수단(10′)의 체결공(14)은 바람직하게는 각 돌출부(12)의 후방에 상기 체결공(25)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상기 로프에 연결된 어로장비는 통공(11)을 통과할 때 돌출부(12)의 저항을 휠씬 적게 받으면서 돌출부(12)를 쉽게 밀어젖히고 통공(11)을 통과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도 3의 설치대의 다른 예들을 도시한 것으로, 도 4a와 같이 중앙에 구멍(21)을 가지는 링(ring) 형상의 설치대(20′)와 도 4b와 같이 상부가 오픈되어 중앙에 구멍(21)이 형성된 원추 모양의 설치대(20〃)를 구성할 수도 있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각각의 설치대는 상단 둘레에 본 발명의 어로장비 이탈방지보조수단(10′)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공(22)(25)을 가지며, 각 구멍(21)의 일측에는 어로장비가 연결된 로프를 끼워넣을 수 있도록 끼움공(23)을 형성될 수 있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어로장비 이탈방지보조수단의 또다른 예와 이 를 통한 어로장비의 인양 및 분리과정을 도시한 것으로, 도 3의 어로장비 이탈방지보조수단(10′)과 설치대(20)의 결합 구조를 바닥부로 구성한 케이지(cage)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어로장비 이탈방지보조수단(30)은 케이지의 기본 뼈대를 형성하는 메인 프레임(31)과, 각각의 메인 프레임(31)을 연결하는 다수의 보조 프레임(32)들로 구성할 수 있으며, 케이지의 측면 일측에는 인양되는 로프를 끼우기 위해 상기 이탈방지보조수단(10′) 및 설치대(20)의 끼움공(13)(23)들과 연통하는 끼움부(35)가 형성된다. 메인 프레임(31)을 연결하는 다수의 보조 프레임(32)들은 바닥부의 통공(11)을 통해 케이지 내부로 들어온 어로장비의 외부 이탈을 차단하기에 충분하도록 적당한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또한 케이지의 일측 하단 또는 측면에는 인양되는 로프의 원활한 유동을 위해 회전롤러(33)(33′)를 부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어로장비 이탈방지보조수단(30)는 케이지의 다른 일측, 바람직하게는 선박(3)의 내측으로 향하는 케이지의 면에 로프(1)를 따라 인양된 어로장비를 꺼내기 위한 개방공(36)이 형성되며, 이를 통해 케이지 내부의 어로장비들을 즉시 제거할 수 있다.
도 5에서 본 발명의 어로장비 이탈방지보조수단(30)는 도 1에 도시하는 어로장비 분리장치(4)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케이지의 상부는 개방된 구조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어로장비 이탈방지보조수단(30)은 상부의 개방부(34)를 통해 어로장비 분리장치(4)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메인 프레임(31)의 최상단부(31a)가 어로장비 분리장치(4)의 측면 에 결합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어로장비 이탈방지보조수단(30)은 바닥부를 구성하는 이탈방지보조수단(10′) 및 설치대(20)의 통공(11)(21)을 통해 어로장비가 케이지 안으로 끌어올려질 수 있으며, 각각의 어로장비들은 로프(1)를 따라 계속 상승되는 과정에서 어로장비 분리장치(4)의 하단에 구비된 분리대(43;도 1 참조)의 회전롤러(44)의 사이를 어로장비 연결구(6)가 통과하지 못하고 로프(1)에서 탈락된다. 이때, 로프(1)에서 분리된 어로장비는 케이지의 벽면을 형성하는 프레임들(31)(32)과 바닥부에 위치된 이탈방지보조수단(10′)의 돌출부(12;도 6c 참조)에 의해 선박 외부로 이탈되거나 바다에 빠지는 것이 방지되고, 측면의 개방공(36)을 통해 안전하게 수거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어로장비 이탈방지보조수단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설치대의 변형된 형태에 돌출부를 직접 결합하는 구조를 설명하고 있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대(20′)는 도 3과 달리 통공(21)의 둘레에 체결공(20a)의 쌍이 다수 천공되고, 이들 체결공(20a)의 쌍에 변형된 형태의 돌출부(26)를 직접 체결하여 고정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돌출부(26)는 경첩 형태로 구성할 수 있는데, 각각의 체결공(20a)의 쌍과 볼트공(27a)을 통해 설치대(20′)의 통공(21) 둘레에 볼트(B) 고정되는 고정판(27)에 의해 설치대(20′) 상에 결합된다. 또한, 돌출부(26)는 고정판(27)과의 사이에 체결핀(28)으로 끼움부(26b)(27b)를 연결함으로써 상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26)는 어로장비가 설치대(20′)의 통공(21)을 통과할 때 잠시 들어올려졌다가 원위치로 자동 복귀할 수 있도록 리턴 스프링(29)을 설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리턴 스프링(29)은 돌출부(26)와 고정판(27)의 각 표면에 형성되는 걸림공(26c)(27c)에 끼워 도 7b에서와 같이 고정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어로장비 이탈방지보조수단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설치대(20)의 통공 선단에 일정간격 이격된 끼움부(27′)의 쌍을 형성하고, 이들 끼움부(27′)의 사이에 돌출부(26′)가 결합된 작동간(29′)의 끼움부(29b)를 삽입하여 체결핀(28')으로 끼움부(27′)(29b)를 연결함으로써 돌출부(26′)를 상하 회전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작동간(29′)은 돌출부(26′)의 상면에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돌출부(26′)의 하방으로 상기 설치대(20)의 통공 선단에는 상기 돌출부(26′)가 약간의 들림 상태를 유지하도록 버팀대(20b)가 구비되어 상기 돌출부(26′)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치된 돌출부(26′)는 어로장비가 설치대(20)의 통공(21)을 통과할 때 들어올려졌다가 다시 하강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되며(도 8b, 도 8c 참조), 이때 돌출부(26′)는 상기 버팀대(20b)에 의해 통공 아래로는 내려가지 않고 통공의 상방향으로 최초의 들림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어로장비 이탈방지보조수단은 로프에서 분리된 어로장비를 안전하게 받을 수 있어 어로장비들이 선박의 외부로 이탈되거나 바다에 떨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이를 통해 어로작업의 비용 상승을 방지함은 물론 바다에 빠진 어로장비로 인해 해양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어로장비 분리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도 2a는 본 발명의 어로장비 이탈방지보조수단의 실시예 1의 평면도,
도 2b는 본 발명의 어로장비 이탈방지보조수단의 실시예 2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보조수단과 그의 설치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a는 도 3에 따른 설치대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b는 도 3에 따른 설치대의 또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보조수단이 설치된 어로장비 분리장치의 실시예 3을 도시한 사시도,
도 6a는 도 5의 어로장비 분리장치를 통한 어로장비의 양승 1과정을 도시한 상태도,
도 6b는 도 5의 어로장비 분리장치를 통한 어로장비의 양승 2과정을 도시한 상태도,
도 6c는 도 5의 어로장비 분리장치를 통한 어로장비의 양승 3과정을 도시한 상태도,
도 7a는 본 발명의 어로장비 이탈방지보조수단의 실시예 4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7b는 도 7a에 따른 어로장비 이탈방지보조수단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8a는 본 발명의 어로장비 이탈방지보조수단의 실시예 5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8b는 도 8a에 따른 어로장비 이탈방지보조수단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8c는 도 8a에 따른 어로장비 이탈방지보조수단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30 : 어로장비 이탈방지보조수단
20, 20′,20〃: 설치대 11 : 통공
12 : 돌출부 13, 23 : 끼움공
24 : 경사부 31: 메인 프레임
32 : 보조 프레임 34 : 개방부
35 : 끼움부 36 : 개방공
4 : 어로장비 분리장치

Claims (13)

  1. 표면에 수중으로부터 인양된 어로장비가 통과하는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의 내주연을 따라 상기 통공의 내측 방향으로 다수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수중으로부터 로프를 따라 인양된 어로장비가 상기 돌출부를 밀어 젖히며 상기 통공을 통과하고, 인양 후의 어로장비가 상기 돌출부에 의해 차단되어 이탈 또는 추락이 방지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로장비 이탈방지보조수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돌출부의 하부를 지지하는 설치대에 결합되고, 상기 돌출부는 소정 각도로 상향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로장비 이탈방지보조수단.
  3. 표면에 수중으로부터 인양된 어로장비가 통과하는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의 내주연을 따라 상기 통공의 내측 방향으로 다수의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각 돌출부의 하부를 지지하는 설치대를 구비하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의 상부에 기본 뼈대를 형성하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각 방향을 연결하는 다수의 보조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케이지를 포함하는 어로장비 이탈방지보조수단.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통공 안으로 어로장비가 연결된 로프를 끼워넣을 수 있도록 상기 통공의 일측에 끼움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로장비 이탈방지보조수단.
  5.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복원성이 있는 연질의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로장비 이탈방지보조수단.
  6.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대는, 상기 통공에 대응하여 어로장비가 통과하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의 둘레에 상기 각 돌출부를 지지하는 다수의 경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경사부는 상기 구멍의 둘레로부터 상기 설치대의 상면으로 하향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로장비 이탈방지보조수단.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대는 상기 구멍 안으로 어로장비가 연결된 로프를 끼워넣을 수 있도록 상기 구멍의 일측에 끼움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로장비 이탈방지보조수단.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대는 중앙에 구멍을 가지는 링 형상 또는 상부가 오픈된 원추 형상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로장비 이탈방지보조수단.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의 측면 일측에 어로장비가 연결된 상기 로프를 끼워넣을 수 있도록 끼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로장비 이탈방지보조수단.
  10.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의 측면에 상기 로프를 따라 인양된 어로장비를 수거하기 위한 개방공과, 상기 케이지의 상부에 어로장비 분리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개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로장비 이탈방지보조수단.
  11.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대는, 상기 통공에 대응하여 어로장비가 통과하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대의 구멍 둘레에는 각각의 돌출부를 개별 설치하여 경첩 구조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로장비 이탈방지보조수단.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어로장비의 통과 후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상기 설치대와 리턴 스프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로장비 이탈방지보조수단.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들림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돌출부의 하방으로 상기 설치대의 구멍 선단에 버팀대가 구비되어 상기 돌출부의 하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로장비 이탈방지보조수단.
KR1020090072901A 2009-08-07 2009-08-07 어로장비 이탈방지보조수단 KR101111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2901A KR101111092B1 (ko) 2009-08-07 2009-08-07 어로장비 이탈방지보조수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2901A KR101111092B1 (ko) 2009-08-07 2009-08-07 어로장비 이탈방지보조수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5265A true KR20110015265A (ko) 2011-02-15
KR101111092B1 KR101111092B1 (ko) 2012-02-16

Family

ID=43774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2901A KR101111092B1 (ko) 2009-08-07 2009-08-07 어로장비 이탈방지보조수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109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74668A1 (ko) * 2016-10-20 2018-04-26 박명오 통발 탈락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통발 인양기
KR20180078382A (ko) * 2016-12-29 2018-07-10 박명오 통발 탈락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통발 인양기
KR20200139578A (ko) * 2019-06-04 2020-12-14 박명오 통발 탈락장치의 개선구조와 이를 이용한 로프 인양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8989Y1 (ko) * 1999-03-16 2001-07-03 조영주 통발 자동 분리장치
KR200207808Y1 (ko) * 2000-07-06 2000-12-15 정용길 통발분리장치
KR100401810B1 (ko) * 2001-01-12 2003-10-17 유금범 통발양승안내장치
KR200278607Y1 (ko) * 2002-03-07 2002-06-20 조영주 통발 자동 탈락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74668A1 (ko) * 2016-10-20 2018-04-26 박명오 통발 탈락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통발 인양기
CN108349579A (zh) * 2016-10-20 2018-07-31 朴明珸 鱼笼脱落装置及包括其的鱼笼打捞机
CN108349579B (zh) * 2016-10-20 2021-02-09 朴明珸 鱼笼脱落装置及包括其的鱼笼打捞机
KR20180078382A (ko) * 2016-12-29 2018-07-10 박명오 통발 탈락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통발 인양기
KR20200139578A (ko) * 2019-06-04 2020-12-14 박명오 통발 탈락장치의 개선구조와 이를 이용한 로프 인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1092B1 (ko) 2012-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1092B1 (ko) 어로장비 이탈방지보조수단
EP1700963A1 (en) Refuse and oil removing device and refuse and oil collection bag for the device
US11946279B2 (en) Multi-function pool skimmer water treatment method
WO2015152472A1 (ko) 배수트랩
JP5500479B2 (ja) 浮遊物除去装置及び濾過循環システム
US11085179B1 (en) Sediment collection drain basket apparatus
US20180222770A1 (en) Leaf and debris filter for swimming pool
KR100899572B1 (ko) 하천 제방의 이동식 부유물 수거장치
JP2007002443A (ja) 雨水桝内の落葉ゴミ等収束取出装置
KR101314771B1 (ko) 통발 인양기
EP2060682A3 (en) Floor drain with removable odour seal
US4587758A (en) Crab trap
JP2010275717A (ja) 排水目皿
JP4557943B2 (ja) 排水構造
JP5319900B2 (ja) ヘアキャッチャー
JP6185852B2 (ja) 汚濁防止浚渫装置
KR200472225Y1 (ko) 배수구의 이물질 거름도구
JP5106897B2 (ja) 排水トラップにおける目皿
KR102382396B1 (ko) 통발 탈락장치의 개선구조와 이를 이용한 로프 인양방법
CN109316807B (zh) 一种具有自动除渣功能的污水处理设备
CN211185360U (zh) 一种猴类用笼舍
CN114673226A (zh) 马桶防溅器
KR19990034667A (ko) 통발 자동 탈락장치
CN216194590U (zh) 一种过滤式抓斗
CN211051024U (zh) 一种污水处理用除污垢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