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4705A - 에이에스티용 절단 기구 - Google Patents

에이에스티용 절단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4705A
KR20110014705A KR1020110009088A KR20110009088A KR20110014705A KR 20110014705 A KR20110014705 A KR 20110014705A KR 1020110009088 A KR1020110009088 A KR 1020110009088A KR 20110009088 A KR20110009088 A KR 20110009088A KR 20110014705 A KR20110014705 A KR 201100147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suction
present
apocline
cut o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9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종호
Original Assignee
유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종호 filed Critical 유종호
Priority to KR1020110009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4705A/ko
Publication of KR20110014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47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84Drainage tubes; Aspiration tips
    • A61M1/87Details of the aspiration tip,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9Incision instruments
    • A61B17/32093Incision instruments for skin inci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71Suction drainage systems
    • A61M1/76Handpie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9Body tissue
    • A61M2202/092Sweat gla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취증 제거 수술시 피부에 상처를 입히지 않으면서 효율적으로 아포크라인한선을 제거할 수 있는 절단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절단 기구는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와 연결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로부터 절곡된 절단부를 가지는 절단 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절단부의 종단은 곡면 형상을 가진다.

Description

에이에스티용 절단 기구{CUTTING INSTRUMENT FOR AST(APROCRINE SCRAPE TECHNIQUE)}
본 발명은 액취증 제거 수술에 사용되는 절단 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액취증 제거 수술시 편리하면서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절단 기구에 관한 것이다.
액취증(다한증)은 땀샘, 특히 아포크라인한선에서 분비되는 땀이 암모니아와 지방산으로 분해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냄새로서, 심한 경우에는 타인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액취증을 제거하기 위한 수술이 성행하고 있다.
이러한 액취증을 제거하기 위한 기존 수술 방법으로는 초음파 제거술이 많이 사용되었다. 상기 초음파 제거술은 땀샘의 아포크라인한선이 존재하는 피하지방을 초음파를 이용하여 분쇄한 후, 지방 흡입기에 연결된 케뉼라를 피부 밑으로 투입하여 분쇄된 아포크라인한선을 흡입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러한 초음파 제거술은 상기 아포크라인한선 흡입 효율이 낮고, 그 결과 시술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액취증 제거 수술을 위해서는 환자의 겨드랑이 피부를 절개하고 상기 케뉼라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 과정에 사용되는 절단 기구의 종단은 절단이 용이하도록 날카롭게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절단 기구의 종단이 날카로운 경우 절단 과정에서 날카로운 종단 부분이 피부를 관통하여 외피에 상처를 입힐 수 있다. 결과적으로, 겨드랑이에 흉터가 생길 수 있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액취증 제거 수술시 피부에 상처를 입히지 않으면서 효율적으로 아포크라인한선을 제거할 수 있는 절단 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취증 제거 수술에 사용되는 절단 기구는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와 연결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로부터 절곡된 절단부를 가지는 절단 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절단부의 종단은 곡면 형상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액취증 제거 수술에 사용되는 절개 기구의 상단부에 홀 또는 요부가 형성되므로, 상기 홀 또는 요부의 흡입력으로 인하여 흡입 기구와 삽입될 수 있는 통로가 지방층의 상단부에 일정하게 형성되어 아포크라인한선이 분포되어 있는 하부 진피층 및 상부 지방층의 시술을 용이하게 하여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취증 제거 수술에 사용되는 절단 기구의 절단부가 바디부로부터 45도 이상의 각도로 절곡되어 있으므로, 절단 수술시 적은 힘을 가지고도 상기 절단 후 존재하는 섬유 조직 등을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절단 기구의 종단이 날카롭지 않고 곡면 형상을 가지므로, 절단 과정에서 외피에 상처가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취증 제거 수술에 사용되는 흡입 기구의 흡입 부재에 날카롭게 돌출된 돌출부들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아포크라인한선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돌출부들이 상기 흡입 기구를 상기 겨드랑이 피부로 밀어 넣을 때와 당길 때 모두 상기 아포크라인한선을 제거하므로, 제거 수술 시간이 상당히 단축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피부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취증 제거 수술에 사용되는 절개 기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취증 제거 수술에 사용되는 절단 기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취증 제거 수술에 사용되는 흡입 기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Ⅰ-Ⅰ' 라인을 따라 절취한 흡입 기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취증 제거 수술에 사용되는 흡입 기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6의 Ⅱ-Ⅱ' 라인을 따라 절취한 흡입 기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6의 Ⅱ-Ⅱ' 라인을 따라 절취한 흡입 기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피부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피부(100)는 일반적으로 근육(102), 지방층(104), 진피(106) 및 표피(108)가 순차적으로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피부(100)에서, 땀샘(110)은 진피(106) 및 지방층(104) 내에 존재하며, 액취증의 원인이 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액취증은 땀샘(110) 내의 아포크라인한선(Apocrine Gland)으로부터 표피(108) 외부로 배출되는 땀이 피부에 서식하는 세균에 의해 지방산과 암모니아로 분해되는 과정에서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액취증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진피(106) 내에 있는 땀샘(110)의 아포크라인한선을 제거하여야 한다.
상기 액취증을 제거하는 수술 과정을 살펴보면, 우선은 절개 기구 및 절단 기구로 사람의 겨드랑이 부분을 일정 부분 절개한 후 흡입 기구, 특히 케뉼라를 절개된 부분을 통하여 지방층(104) 내로 삽입시킨다. 이어서, 상기 흡입 기구를 이용하여 진피(106) 및 지방층(104) 내에 존재하는 땀샘(110)의 아포크라인한선을 제거 및 흡입한다.
이하, 이러한 액취증 제거 수술에 사용되는 본 발명의 절개 기구, 절단 기구 및 흡입 기구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술하겠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취증 제거 수술에 사용되는 절개 기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절개 기구(200)는 겨드랑이의 일 부분을 절개하여 아포크라인한선을 제거하는 후술하는 흡입 기구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형성시키며, 손잡이(202) 및 케뉼라(20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케뉼라(204)는 손잡이(202)와 결합하며, 그의 종단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가 용이하도록 날카롭게 형성된다. 또한, 케뉼라(204)의 중앙은 관(208)으로 이루어지며, 케뉼라(204)의 종단 부분에는 적어도 하나의 홀(206, 또는 요부)이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겨드랑이 절개시 케뉼라(204)가 상기 겨드랑이의 일부분을 절개하면서 진입한다. 이 경우, 상기 아포크라인한선이 진피(106)의 하단부 및 지방층(104)의 상단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케뉼라(204)는 지방층(104)의 상단부를 절개하여야 한다. 여기서, 홀(206)이 없으면 겨드랑이 절개시 케뉼라(204)가 지방층(104)의 상단부를 일정하게 절개하지 못하고 지방층(104)의 하단부 또는 진피(106)의 상단부를 절개할 수 있는 등 절개 경로가 불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절개 경로를 지방층(104)의 상단부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의 절개 기구(200)에 홀(206)을 형성하며, 결과적으로 케뉼라(204)가 절개 수술 동안 홀(206)의 흡입력으로 인하여 지방층(104)의 상단부로 유지된다. 따라서, 홀(206)이 형성된 절개 기구(200)로 겨드랑이를 절개하면, 상기 흡입 기구가 삽입될 수 있는 통로가 지방층(104)의 상단부에 일정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홀(206)의 수, 모양 및 사이즈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요컨대, 본 실시예의 절개 기구(200)에는 홀(206)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흡입 기구가 삽입되는 통로가 지방층(104)의 상단부에 일정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절개 수술이 종료하면, 상기 겨드랑이에 일정 통로가 형성된다. 다만, 상기 절개 수술 후에도 상기 통로 내에 섬유 조직 등이 잔존하므로, 상기 섬유 조직 등을 제거하기 위한 절단 기구가 필요하다. 이하, 이러한 절단 기구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하겠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취증 제거 수술에 사용되는 절단 기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절단 기구(300)는 손잡이(302) 및 절단 부재(304)를 포함한다.
절단 부재(304)는 손잡이(302)에 연결되는 바디부(310)와 절단부(312)로 이루어진다.
절단부(312)는 위의 절개 후 잔존하는 섬유 조직 등을 절단하는 부분으로서, 바디부(310)로부터 특정 각도만큼 절곡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절단부(312)와 바디부(310) 사이의 각도(α)는 약 45도 내지 약 90도이다. 즉, 절단부(312)가 바디부(310)로부터 45도 이상 절곡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절단부(312)가 바디부(310)로부터 45도 이상 절곡되면, 절단부(312)의 절곡 각도로 인하여 의사가 상기 섬유 조직 등을 절단할 때 힘이 덜 들어간다. 즉, 상기 의사는 적은 손목 힘을 가지고도 상기 섬유 조직을 충분하게 절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절단부(312)의 폭(b)은 바디부(310)의 폭(a)보다 얇게 형성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절단부(312)의 종단면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면 형상을 가진다. 종래의 절단 기구는 일반적으로 절단이 용이하도록 절단부의 종단이 날카롭게(뾰족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액취증 제거 수술시 상기 절단 기구의 종단이 표피(108)를 뚫고 나와 외피에 상처를 입힐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절단 기구(300)는 곡면으로 이루어진 절단부(312)를 사용하여 절단 기구(300)가 표피(108)를 뚫고 나오는 것을 방지하여 외피의 상처를 방지한다. 다만, 이 경우 절단 기구(300)의 날카로움이 감소할 수도 있으므로, 본 실시예의 절단 기구(300)는 절단부(312)의 폭을 종래의 절개 기구보다 얇게 형성하여 절단이 용이하도록 보조한다.
요컨대, 본 발명의 절단 기구(300)는 바디부(310)로부터 45도 이상 절곡된 절단부(312)를 포함하므로, 절개 수술시 의사의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절단부(312)의 종단이 곡면 형상을 가지므로, 절개 수술시 피부(100)의 상처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절개 기구(200) 및 절단 기구(300)로 겨드랑이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특정 통로를 형성한 후 시행되는 아포크라인한선을 제거하기 위는 과정에 사용되는 흡입 기구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하겠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취증 제거 수술에 사용되는 흡입 기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Ⅰ-Ⅰ' 라인을 따라 절취한 흡입 기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흡입 기구(400)는 손잡이(402) 및 흡입 부재(404) 및 연결부(406)를 포함한다.
흡입 부재(404)는 손잡이(402)와 결합하며, 그의 내부는 관으로 이루어져 있다.
흡입 부재(404)의 종단 부분에는 제거된 아포크라인한선이 흡입되는 하나 이상의 흡입구(408)가 형성되어 있다.
흡입 부재(404) 중 흡입구(408)를 형성하는 돌출부들(500a, 500b, 502a 및 502b)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방향으로 날카롭게 돌출되어 있다. 여기서, 의사가 흡입 기구(400)를 절개 기구(200) 및 절단 기구(300)에 의해 형성된 통로를 통하여 상기 겨드랑이 내부로 밀어 넣는 경우 돌출부들(502a 및 502b)에 의해 상기 아포크라인한선이 제거되고, 상기 의사가 흡입 기구(400)를 당기는 경우에는 돌출부들(500a 및 500b)에 의해 상기 아포크라인한선이 제거된다. 이렇게 제거된 아프로크라인한선은 흡입구들(408), 상기 관 및 연결부(406)에 연결된 상기 흡입 튜브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다만, 상기 배출 방법으로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돌출부들(500a, 500b, 502a 및 502b)이 상부 방향으로 날카롭게 돌출되어 있으므로, 진피(106)의 하부 및 지방층(104)의 상부층에 존재하는 아포크라인한선이 용이하게 제거된다.
또한, 돌출부들(500a, 500b, 502a 및 502b)이 흡입 기구(400)를 밀어 넣는 경우뿐만 아니라 외부로 당기는 경우에도 상기 아포크라인한선을 제거하므로, 상기 아포크라인한선이 빨리 제거되며, 즉 액취증 제거 수술 시간이 감소될 수 있다.
요컨대, 본 실시예의 흡입 기구(400)에는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 날카로운 돌출부들(500a, 500b, 502a 및 502b)이 형성되므로, 상기 아포크라인한선이 용이하게 제거될뿐만 아니라 상기 액취증 제거 수술 시간이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흡입구(408)는 흡입이 용이하도록 흡입 부재(404) 둘레의 거의 절반에 해당하는 크기, 즉 상당한 크기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흡입 부재(404)의 길이 및 폭을 약 260㎜ 및 약 4㎜로 설정할 때, 흡입구(408)의 높이(c)와 폭(d)은 약 8㎜ 및 약. 3.5㎜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흡입구들(408) 사이의 브릿지(404b)의 길이(f)를 약 3㎜로 설정하고, 각 돌출부(500a, 500b, 502a 및 502b)의 높이를 약 1㎜ 이하, 예를 들어 0.5㎜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돌출부들(500a, 500b, 502a 및 502b)은 모두 동일한 높이를 가질 수도 있고, 일부 돌출부는 다른 돌출부들과 다른 높이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흡입구들(408) 중 일부의 면적은 다른 흡입구와 다른 면적을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흡입 부재(404)의 종단과 흡입구(408) 사이의 길이(e)는 약 5 ㎜ 이하로 한다. 일반적으로, 흡입 부재(404)가 움직일 수 있는 영역은 어느 정도 한정되어 있으므로, 길이(e)가 증가할수록 돌출부들(500a, 500b, 502a 및 502b)의 이동 거리가 작아지게 된다. 즉, 한번의 왕복 동안 제거되는 아포크라인한선의 양이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길이(e)를 최소화하여 돌출부들(500a, 500b, 502a 및 502b)의 왕복 거리를 증가시켜 단위 왕복 동안 상기 아포크라인한선을 많이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동일한 시간 동안 상기 아포크라인한선의 제거 양이 증가하므로, 상기 액취증 제거 수술 시간이 감소할 수 있다. 이 경우, 흡입구들(408)은 흡입 부재(404)가 움직일 수 있는 영역 및 그의 면적 등을 고려할 때 2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에서는, 돌출부들(500a, 500b, 502a 및 502b)이 흡입구들(408a 및 408b)에 대응하는 부분에 모두 형성되었지만, 도 5(B) 및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즉, 돌출부들이 흡입 부재(404)에 형성되어 왕복 과정 모두에서 상기 아포크라인한선을 제거할 수 있는 한 상기 돌출부들의 수 및 형상에 특별한 제한이 없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취증 제거 수술에 사용되는 흡입 기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6의 Ⅱ-Ⅱ' 라인을 따라 절취한 흡입 기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흡입 기구(600)는 손잡이(602), 흡입 부재(604)를 포함한다.
흡입 부재(604)는 손잡이(602)와 결합하며, 그의 내부는 관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흡입 부재(604)는 의사가 손잡이(602)를 잡고 움직이면 손잡이(602)의 움직임에 응답하여 지방층(104)의 상단부에 형성된 통로 내에서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하며, 그 결과 진피(106) 및 지방층(104) 내에 위치하는 아포크라인한선이 제거된다.
이러한 아포크라인한선의 제거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흡입 부재(604)의 종단 부분의 일면 위에 형성된 흡입구들(608)에 의해 수행된다.
흡입 부재(604) 중 흡입구들(608)을 위한 부분들, 즉 B, B'부분 및 브릿지들(604a)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끝이 날카롭게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날카롭게 형성하는 것은 상기 아포크라인한선을 진피(106) 및 지방층(104)으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하기 위해서이다.
브릿지들(604a)은 흡입구들(608)을 연결하며, 그 끝이 날카롭게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흡입구들(608)은 모두 동일한 구조를 가지되, 작은 사이즈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입구(608)의 면적은 약 8㎟ 이하일 수 있다.
위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흡입구(408)의 면적이 약 28㎟이어서 상기 아포크라인한선 제거 및 흡입 능력이 뛰어났으나, 상기 아포크라인한선 제거 과정에서 지방도 함께 흡입될 수 있는 단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흡입 기구(600)의 흡입구(608)는 작은 면적을 가지면서 다수개 형성되기 때문에 지방을 덜 흡수하면서도 상기 아포크라인한선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거된 아포크라인한선의 흡수 또한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필요 목적에 따라 도 4의 흡입 기구(400) 또는 도 6의 흡입 기구(600)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물론, 도 6의 흡입 기구(600)에서도 흡입구(608)에 대응하는 부분은 날카롭게 돌출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6의 Ⅱ-Ⅱ' 라인을 따라 절취한 흡입 기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 기구(600)의 흡입구들(608a, 608b, 608c 및 608d)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흡입구들과 다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흡입구들(608a, 608b, 608c 및 608d) 중 적어도 하나의 면적은 다른 흡입구들의 면적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입구들(608a 및 608d)의 면적은 흡입구들(608b 및 608c)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 다른 예로, 흡입구들(608a 및 608d)은 원형 형상을 가지고, 흡입구들(608b 및 608c)은 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의 흡입 기구가 약 8㎟ 이하의 면적을 가지는 흡입구들을 사용하므로, 상기 아포크라인한선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면서도 지방의 흡입을 방지할 수 있다.
위 도면들에서는, 4개의 흡입구들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복수의 흡입구들이 형성되는 한 그의 개수에 제한이 없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3)

  1. 액취증 제거 수술에 사용되는 절단 기구에 있어서,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와 연결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로부터 절곡된 절단부를 가지는 절단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절단부의 종단은 곡면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취증 제거 수술에 사용되는 절단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상기 바디부로부터 45도 내지 90도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취증 제거 수술에 사용되는 절단 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폭은 상기 절단부의 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취증 제거 수술에 사용되는 절단 기구.
KR1020110009088A 2011-01-28 2011-01-28 에이에스티용 절단 기구 KR201100147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9088A KR20110014705A (ko) 2011-01-28 2011-01-28 에이에스티용 절단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9088A KR20110014705A (ko) 2011-01-28 2011-01-28 에이에스티용 절단 기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8358A Division KR101039111B1 (ko) 2008-10-07 2008-10-07 에이에스티용 절개 기구 및 흡입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4705A true KR20110014705A (ko) 2011-02-11

Family

ID=43773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9088A KR20110014705A (ko) 2011-01-28 2011-01-28 에이에스티용 절단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470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42526B2 (en) Laparoscopic scalpel and method for use
US11877766B2 (en) Soft tissue cutting device and methods of use
KR100939134B1 (ko) 모낭 추출 방법 및 장치
US6238355B1 (en) Tumortherapy device and method
US5957944A (en) Method for treatment of trigger finger
US20170252521A1 (en) System For Positioning A Distal End Of A Surgical Device Within A Patient For Surgery And To Administer A Fluid To The Surgery Site
WO2004110260A3 (en) Device and methods useable for treatment of glaucoma and other surgical procedures
WO2016103366A1 (ja) 切開用手術器械
EP2658457B1 (en) Tenotome for high precision incision of the transverse carpal ligament without damage to the adjoining tissue
US20150216549A1 (en) Ultrasonic debrider probe
KR101794273B1 (ko) 액취증 치료용 ist 수술기구
KR101039111B1 (ko) 에이에스티용 절개 기구 및 흡입 기구
KR20110014705A (ko) 에이에스티용 절단 기구
KR20110014706A (ko) 에이에스티용 흡입 기구
WO2016027491A1 (ja) 血管剥離方法および血管剥離デバイス
US20140155869A1 (en) Spatulated cannula tip for use with rotational power assisted liposuction equipment
JP5804428B2 (ja) 切開用手術器械
CN209018813U (zh) 一种通针
US20230076813A1 (en) Method for using a surgical device to transect a transverse carpal ligament
CN210056786U (zh) 一种微创针刀
RU2277873C2 (ru) Сухожильный распатор
CN209301242U (zh) 一种微创水刀
KR20180001202U (ko) 흉터 치료용 수술도구
RU2187263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алоинвазивной венэктомии варикозно расширенных вен
KR20150098023A (ko) 주름, 흉터 치료를 위한 수술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