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4092A - Probe unit and tes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Probe unit and tes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4092A
KR20110014092A KR1020100071271A KR20100071271A KR20110014092A KR 20110014092 A KR20110014092 A KR 20110014092A KR 1020100071271 A KR1020100071271 A KR 1020100071271A KR 20100071271 A KR20100071271 A KR 20100071271A KR 20110014092 A KR20110014092 A KR 201100140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be
support
base
wiring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12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168953B1 (en
Inventor
토모아키 쿠가
히데키 히로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혼 마이크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0136041A external-priority patent/JP5406790B2/en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혼 마이크로닉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혼 마이크로닉스
Publication of KR20110014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409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8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89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73Multiple prob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maintenance of measuring instruments, e.g. of probe tip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6Electronic inspection or testing of displays and display drivers, e.g. of LED or LCD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ing Leads Or Probes (AREA)

Abstract

PURPOSE: A probe unit and a testing device using the same are provided to prevent the abrasion and damage to a probe electrode by being separated from an electrode. CONSTITUTION: A support stand(18) is arranged on the probe base(16). A probe unit supported by the support stand includes a plurality of probes having a front probe and a rear probe. A electrical connector(120) has a plurality of wires. The front end of the wiring includes the electrical connector. The support stand comprises a space which is opened forward, rearward, and downward. The rear part of the electrical connector is guided to the upper part of the probe base.

Description

프로브 유닛 및 이것을 이용한 시험장치 {Probe unit and testing apparatus using the same}Probe unit and tes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액정표시패널과 같은 평판형상 피검사체의 통전 시험에 이용되는 프로브 유닛 및 이것을 이용하는 시험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be unit used for conduction test of a plate-like object under test,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a test apparatus using the same.

액정표시패널과 같은 평판형상의 피검사체는 일반적으로 프로브 유닛을 이용하는 검사장치 즉 시험장치에 의해 검사 즉 시험을 받는다. 그와 같은 프로브 유닛의 하나로서 특허문헌1 및 2에 기재된 것이 있다. A flat object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is generally inspected or tested by an inspection apparatus or a test apparatus using a probe unit. There is one described in Patent Documents 1 and 2 as one such probe unit.

특허문헌1에 기재된 프로브 유닛은 시험장치의 본체 프레임에 부착되는 판모양의 프로브 베이스와, 그 프로브 베이스에 전후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프로브 장치를 포함한다. The probe unit described in Patent Literature 1 includes a plate-shaped probe base attached to a main frame of a test apparatus, and a plurality of probe devices arranged at intervals in the front-back direction on the probe base.

각 프로브 장치는 프로브 베이스에 부착된 연결블록(슬라이드 베이스)과, 높이 위치를 조정가능하게 연결블록에 매달린 지지블록과, 복수의 프로브를 프로브 폴더 하측에 배치한 프로브 조립체(프로브 블록)로서, 지지블록에 조립된 프로브 조립체와, 프로브 조립체의 후단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시트형상의 전기적 접속구를 포함한다. Each probe device includes a connection block (slide base) attached to the probe base, a support block suspended from the connection block to adjust the height position, and a probe assembly (probe block) having a plurality of probes disposed below the probe folder. A probe assembly assembled to the block, and a sheet-shaped electrical connector extending rear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probe assembly.

상기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전기적 접속구로서, TAB(테이프 자동화 실장), TPC(테이프·캐리어·본딩), FPC(후렉시블 프린트 배선기판)등의 시트형상의 배선 접속구를 이용하였다. In the prior art, sheet-shaped wiring connectors such as TAB (tape automation mounting), TPC (tape carrier bonding), and FPC (flexible printed wiring board) were used as the electrical connection ports.

연결블록 및 지지블록은 프로브 조립체를 지지하는 지지장치를 형성한다. 또한 전기적 접속구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배선을 갖는다. 그리고 각 배선은 그 선단부에서 상기 프로브의 후단 침선에 접속되어 있다. The connecting block and the support block form a support device for supporting the probe assembly. In addition, the electrical connector has a plurality of wirings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Each wire is connected to the trailing needle of the probe at its distal end.

전기적 접속구는 프로브 베이스의 하측에 연장하고 있으며, 또한 후단부에서 중계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중계기판은 피검사체를 위하여 시험신호를 발생하는 전기회로에 중계 배선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The electrical connector extends below the probe base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relay substrate at the rear end. The relay boar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ic circuit which generates the test signal for the object under test through the relay wiring.

그러나 전기적 접속구가 프로브 베이스의 하측을 연장하여 존재하면, 특허문헌2와 같이 중계기판을 프로브 베이스의 하측에 설치해야만 하고, 이 중계기판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중계배선을 프로브 베이스의 하측에 위치시켜서 프로브 베이스의 후방으로 연장 존재시켜야만 한다. However, if the electrical connection port extends from the lower side of the probe base, the relay board must be provided below the probe base as in Patent Literature 2, and the relay wiring extending backward from this relay board is located under the probe base to It must be present extending to the rear of the base.

상기와 같은 프로브유닛은 전기적 접속구, 중계기판, 중계배선 등 고장부품 또는 점검부품의 교환 또는 점검을 할 때에 프로브 베이스를 본체 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하여서 교환작업 또는 보수관리작업을 수행해야 하며, 고장부품 또는 점검부품의 교환작업 또는 점검작업이 귀찮아질 뿐만 아니라 중계 배선의 취급이 불편해진다. When replacing or inspecting faulty parts or inspection parts such as electrical connectors, relay boards, relay wiring, etc., the probe unit should be separated from the main frame to perform replacement or maintenance work. Not only does the replacement or inspection work of the parts become cumbersome, but the handling of the relay wiring becomes inconvenient.

또한 프로브 조립체를 피검사체에 대하여 상하 이동 또는 진퇴시키는 기구와 같은 구동기구를 프로브 베이스의 하측에 배치하는 시험장치에 있어서는 전기적 접속구, 중계기판 및 중계배선을 그들이 그와 같은 구동기구의 방해가 되지않도록 구동기구의 하측으로 통과되어야 하고 구동기구, 전기적 접속구, 중계기판, 중계배선 등의 취급이 불편하고, 게다가 그들의 보수 관리작업이 번잡해진다. Also, in a test apparatus that arranges a driving mechanism such as a mechanism for moving the probe assembly up or down with respect to an inspected object under the probe base, the electrical connection, the relay board, and the relay wiring do not interfere with such a driving mechanism. Passed below the drive mechanism, handling of the drive mechanism, electrical connection port, relay board, relay wiring, etc. is inconvenient, and their maintenance management work is complicated.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는 방법의 하나로서, 프로브 베이스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배선 통과홀을 좌우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프로브 베이스에 설치하고, 각 프로브 장치의 전기적 접속구 또는 중계배선을 그 통과홀로 프로브 베이스의 하방에서 상방으로 통하도록 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As one of the method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 plurality of wiring passage holes penetrating the probe base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provided in the probe base at interval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the electrical connection ports or the relay wiring of each probe device are connected to the passage holes. It may be contemplated to allow passage from below the probe base to above.

그러나, 그와 같이 하면 프로브 베이스의 배선 통과홀을 설치한 위치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그와 같은 기계적 강도의 저하를 보상하는 복수의 보강부재를 프로브 베이스에 설치해야만 하기 때문에 프로브 베이스의 구조가 복잡해져 프로브 유닛이 고가가 된다.
However, since the mechanical strength at the position where the wiring passage hole of the probe base is installed is reduced in this way, the structure of the probe base must be provided because a plurality of reinforcing members must be provided in the probe base to compensate for such a decrease in mechanical strength. It becomes complicated and the probe unit becomes expensive.

일본특허공개공보 제2004-191064호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4-191064 일본특허공개공보 제2009-115585호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09-115585

본 발명의 목적은 배선 통과홀을 프로브 베이스에 설치하지 않고 전기적 접속구를 프로브 베이스의 상측으로 통하게 하는 구조로 구성하는 것에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ructure that allows the electrical connection port to pass to the upper side of the probe base without providing the wiring passage hole in the probe base.

본 발명에 관련된 프로브 유닛은 판형상의 프로브 베이스와, 그 프로브 베이스 상에 배치된 지지대와, 그 지지대에 지지된 프로브 장치로서, 선단침선 및 후단침선을 갖는 복수의 프로브를 구비하는 프로브 장치와, 그 프로브 장치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전기적 접속구로서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배선을 갖으며 또한 각 배선의 선단부가 상기 후단침선에 접속된 전기적 접속구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대는 전방, 후방 및 하방으로 개방되는 공간을 구비한다. 상기 전기적 접속구의 후부측 영역은 상기 프로브 베이스의 상측으로 인도되어 있으면서, 상기 지지대의 상기 공간을 거쳐 연장되어 있다. The prob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obe device having a plate-shaped probe base, a support disposed on the probe base, and a probe device supported by the support, the probe device including a plurality of probes having a leading needle and a trailing needle, An electrical connector extending rearward from the probe device, which has a plurality of wires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includes an electrical connector whose front end portion is connected to the trailing needle. The support has a space which is opened forward, rearward and downward. The rear region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port extends through the space of the support while leading to the upper side of the probe base.

상기 지지대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판형상의 몸체부로서, 상기 프로브 장치가 부착된 몸체부와, 몸체부의 좌우방향에서의 각 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다리부에 의해 문모양(문처럼 생긴 모양, 門型)의 정면형상으로 형성되는 있어도 좋다. The support is a plate-shaped body portion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e door portion (shaped like a door, 의해) by the body portion to which the probe device is attached, and the leg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each en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It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the front face.

상기 다리부 중 한쪽은 상기 몸체부의 전단에서 좌우방향의 일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다리부 중 다른 쪽은 상기 몸체부 후단에서 좌우방향의 타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지지대는 크랭크(crank) 모양의 평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One of the legs protrudes in one direction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from the front end of the body portion, the other of the legs protrudes in the other direction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from the rear end of the body portion, accordingly the support is crank ( crank) may be formed in a planar shape.

상기 지지대는 상기 프로브 베이스 및 상기 다리부 중 한쪽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서 상기 프로브 베이스 및 상기 다리부의 다른 쪽에 나사결합된 나사부재에 의해 상기 프로브 베이스에 부착되어 있어도 좋다.The support may be attached to the probe base by a screw member which penetrates one of the probe base and the le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s screwed to the other side of the probe base and the leg.

본 발명에 관련된 프로브 유닛은, 복수의 상기 지지대와, 그 지지대에 각각 지지된 복수의 상기 프로브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것 대신에 상기 지지대에 공통으로 지지된 복수의 상기 프로브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rob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the supports and a plurality of the probe devices supported by the supports, respectively. Instead of this,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the probe devices commonly supported by the support.

본 발명에 관련된 프로브 유닛은, 상기 프로브 베이스의 상측에 배치된 중계기판으로 상기 전기적 접속구의 배선의 후단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된 중계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기적 접속구의 후단부는 커넥터(connector)에 의해 상기 중계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The prob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relay board on which a rear end of the wiring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por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relay board disposed above the probe base. The rear end of the electrical connector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relay board by a connector.

상기 중계기판은 후방 및 상방으로 비스듬히 연장되는 상태로 상기 프로브 베이스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고, 또한 상기 전기적 접속구의 후단부는 커넥터 및 그 커넥터에 접속된 케이블에 의해 상기 중계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The relay board may be disposed above the probe base in an obliquely extending rearward and upward direction, and the rear end of the electrical connector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relay board by a connector and a cable connected to the connector. good.

상기 프로브 장치는 상기 복수의 프로브를 프로브 홀더의 하측에 배치한 프로브 조립체와, 그 프로브 조립체를 지지하는 제1지지장치와, 그 제1지지장치를 지지하는 제2지지장치로 상기 지지대에 부착된 제2지지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적 접속구는 상기 프로브 조립체의 후단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The probe device is attached to the support with a probe assembly having the plurality of probes disposed below the probe holder, a first support device for supporting the probe assembly, and a second support device for supporting the first support device. A second support device can be provided. In addition, the electrical connector may extend rear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probe assembly.

상기 전기적 접속구는 상기 제1지지장치의 하부를 거쳐 후방으로 연장되어서, 상기 프로브 베이스의 전단부에서 상기 프로브 베이스의 상측으로 인도되어 있어도 좋다. The electrical connector may extend rearward through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device, and may be led from the front end of the probe base to the upper side of the probe base.

상기 전기적 접속구는 전후방향으로 복수의 제1배선을 갖는 제1의 배선영역으로, 각 제1배선의 선단부가 상기 프로브의 후단침선에 접속된 제1의 배선영역과,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2배선을 갖는 제2의 배선영역으로 각 제2배선의 선단부가 상기 제1배선의 후단부에 접속된 제2의 배선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제2배선영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 베이스의 상측으로 인도되어 있으면서 상기 지지대의 상기 공간을 경유하고 있어도 좋다.The electrical connector is a first wiring region having a plurality of first wirings in a front-rear direction, a first wiring region in which a tip end of each first wiring is connected to a trailing needle of the probe, and a plurality of first wiring regions extending in a front-rear direction. A second wiring area having a second wiring may include a second wiring region in which a distal end of each second wiring is connected to a rear end of the first wiring, and further includes a second wiring region of the probe base in the second wiring region. It may be guided to the upper side and may pass through the said space of the said support stand.

상기 제1지지장치는, 상기 제2지지장치에 지지된 지지블록과, 그 지지블록에 조합된 결합블록으로, 상기 프로브 조립체가 전부 하측에 조합되며, 상기 제1의 배선영역이 하측에 배치된 결합블록과, 상기 지지블록의 후부 하측과 상기 결합블록의 후부 상측 사이에 배치되어서 상기 지지블록에 부착된 접속블록으로, 상기 제2의 배선영역의 선단부가 하측에 배치된 접속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의 배선영역의 후단부는 상기 결합블록의 후단에서 그 결합블록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되접어 꺾여서 그 각 배선이 상기 제2의 배선영역의 배선에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The first support device is a support block supported by the second support device and a coupling block combined with the support block, and the probe assembly is entirely combined at the lower side, and the first wiring area is disposed at the lower side. And a connection block disposed between the rear side of the rear side of the support block and the rear side of the rear side of the coupling block and attached to the support block, wherein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second wiring region is disposed below. have. The rear end portion of the first wiring region may be folded back from the lower side of the coupling block to the upper side at the rear end of the coupling block so that each wiring may be connected to the wiring of the second wiring region.

상기 전기적 접속구는 시트형상의 배선 접속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electrical connector may include a sheet-shaped wiring connector.

본 발명에 관련된 시험장치는, 베이스와, 그 베이스에 지지된 워크테이블(work table)로서 평판형상 피검사체를 공급받는 리시브부를 갖는 워크테이블과, 상기와 같은 프로브 유닛으로서 상기 베이스에 배치된 프로브 유닛과, 그 프로브 유닛을 상기 베이스에 지지시키는 유닛 지지기구를 포함한다. 그 유닛 지지기구는 상기 피검사체와 평행한 XY면 내부를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베이스에 받아들여진 제1이동체로서, 상기 XY면 내부를 좌우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이동체와, 비스듬히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제1이동체에 결합된 제2이동체로서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이동체와, 상기 제2이동체의 최전진위치를 규정하는 스토퍼와, 상기 제1이동체를 피검사체에 대하여 진퇴(進退)시키고 그에 의해 상기 제2이동체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상하방향으로 변위시키는 프로브 변위기구를 구비한다. 상기 프로브 유닛은 상기 제2이동체에 지지되어 있다.
The tes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a worktable having a receiving portion supplied with a plate-shaped test object as a worktable supported by the base, and a probe unit disposed on the base as the probe unit as described above. And a unit support mechanism for supporting the probe unit to the base. The unit support mechanism is a first movable member received in the base so as to be mova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in the XY plane parallel to the inspected object, and includes a first movable body extending in the XY plane in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in an oblique vertical direction. A second movable body coupled to the first movable body so as to be movable, the second movable body exten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a stopper defining the most advanced position of the second movable body, and the first movable body moving forward and backward with respect to the test subject; And a probe displacement mechanism for displacing the second movable body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le moving the second movable body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probe unit is supported by the second moving body.

본 발명에 따르면, 배선 통과홀을 프로브 베이스에 설치하지 않고도 전기적 접속구를 프로브 베이스의 상측으로 통하게 하는 구조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have a structure that allows the electrical connection port to pass through the upper side of the probe base without providing the wiring passage hole in the probe base.

도1은 본 발명에 관련된 프로브 유닛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2는 도1에서 나타내는 프로브 유닛에서의 하나의 프로브 장치 및 그 근방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3은 도1에서 나타내는 프로브 유닛에서의 하나의 프로브 장치 및 그 근방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4는 프로브 조립체 및 결합블록을 제거한 프로브장치의 정면도이고,
도5는 도1 및 도2에서 나타내는 프로브 유닛의 우측면도로서, 지지대를 단면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6은 도5의 6-6선을 따라서 얻어진 단면도이고,
도7은 지지대의 일실시예를 확대하여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8은 도3의 8-8선을 따라서 얻어진 단면도로서 프로브 유닛을 분해해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9는 프로브 장치의 주요부의 단면도이고,
도10은 결합블록을 지지블록에 조합하는 조합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11은 전기적 접속구의 접속부를 확대하여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12는 본 발명에 관련된 프로브 유닛을 이용한 시험장치의 일실시예를 프로브가 피검사체에 가압되어 있는 상태에서 나타내는 우측면도로서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13은 도12에 나타내는 시험장치를 프로브가 피검사체로부터 상방으로 변위되어 있는 상태에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14는 도12에 나타내는 시험장치를 프로브가 피검사체로부터 물러난 위치로 후퇴되어 있는 상태에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15는 도12에 나타내는 검사장치의 평면도이고,
도16은 도12의 16-16선을 따라 얻어진 단면도이고,
도17은 도12의 17-17선을 따라 얻어진 단면도이고,
도18은 도12에서의 부호A로 나타내는 부분의 확대도이다.
1 is a plan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prob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one probe device and its vicinity in the probe unit shown in FIG. 1;
3 is a plan view showing one probe device and its vicinity in the probe unit shown in FIG. 1;
4 is a front view of the probe apparatus with the probe assembly and the coupling block removed;
Fig. 5 is a right side view of the probe unit shown in Figs. 1 and 2, showing the support in cross sectio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6-6 of FIG. 5;
7 is an enlarged plan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support;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8-8 of FIG. 3 to show an exploded view of the probe unit;
9 is a sectional view of an essential part of the probe device,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combination device for combining a coupling block to a support block;
11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ing portion of an electrical connector;
FIG. 12 is a right sid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test apparatus using the prob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where the probe is pressed against the test object, and a part of which is shown in cross section, FIG.
FIG. 13 is a diagram showing the test apparatus shown in FIG. 12 in a state where the probe is displaced upward from the inspected object. FIG.
FIG. 14 is a view showing the test apparatus shown in FIG. 12 in a state in which the probe is withdrawn from the position under test;
FIG. 15 is a plan view of the inspection apparatus shown in FIG. 12;
1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16-16 of FIG. 12,
FIG. 17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17-17 of FIG. 12,
FIG. 18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indicated by symbol A in FIG. 12.

[용어에 관하여][About terms]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2에 있어서 상하방향을 상하방향 또는 Z방향이라 하고, 좌우방향을 좌우방향 또는 X방향이라 하며, 종이 배면 방향을 프로브의 선단침선측을 전방으로 하는 전후방향 또는 Y방향이라 한다. 그러나 그들 방향은 워크테이블과 같은 패널리시버에 받아들여진 피검사체의 자세에 따라서 달라진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2, the up-down direction is referred to as the up-down direction or the Z-direction, the left-right direction is referred to as the left-right direction or the X-direction, and the paper back direction is referred to as the front-rear direction or the Y-direction with the tip needle tip side forward. . However, their direction depends on the position of the subject under the acceptance of a panel receiver such as a worktable.

따라서, 본 발명에 관련된 프로브 유닛은 본 발명에서 말하는 상하방향(Z방향)이 실제로 상하방향이 되는 상태, 상하 반대가 되는 상태, 비스듬한 방향이 되는 상태 등, 어떤 방향도 가능한 상태로 시험장치에 부착되어서 사용된다.
Therefore, the prob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the test apparatus in a state in which any direction is possible, such as a state in which the up and down direction (Z direc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ctually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nd in an oblique direction. Is used.

[프로브 유닛의 실시예][Example of probe unit]

도1에서 도10을 참조하면, 프로브 유닛(10)은 일부를 도8 및9에서 나타내는 액정표시패널을 평판형상의 피검사체(12)로 하여, 피검사체(12)의 점등검사에 이용된다. 피검사체(12)는 직사각형의 형상을 하고 있으며, 또한 복수의 전극(14)(도9참조)를 적어도 직사각형의 서로 이웃하는 두 변에 대응하는 가장자리부에 소정의 피치(pitch)로 형성한다. 각 전극(14)은 이것이 배치된 가장자리부와 직교하는 방향(X방향 또는 Y방향)으로 연장되는 띠모양의 형상을 갖는다. 1 to 10, the probe unit 10 is used for the lighting inspection of the inspected object 12, with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shown in part in FIGS. 8 and 9 as the flat inspected object 12. FIG. The inspected object 12 has a rectangular shape, and a plurality of electrodes 14 (see Fig. 9) are formed at predetermined pitches at edge portions corresponding to at least two adjacent sides of the rectangle. Each electrode 14 has a band-like shape extending in the direction (X direction or Y direction) orthogonal to the edge portion on which it is disposed.

프로브 유닛(10)은 본체 프레임(미도시)에 고정되는 판형상의 프로브 베이스(16)와, 프로브베이스(16)의 전단부 상측에 좌우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병렬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지지대(18)와, 지지대(18)에 일대일의 관계로 놓여진 복수의 프로브 장치(20)와, 프로브 베이스(16) 상에 배치된 판모양의 중계 베이스(22)(도5참조)와, 중계 베이스(22)에 올려진 중계기판(24)(도5참조)을 포함한다. The probe unit 10 includes a plate-shaped probe base 16 fixed to a main body frame (not shown), and a plurality of supports 18 arranged in parallel at interval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bove the front end of the probe base 16. ), A plurality of probe devices 20 placed in a one-to-one relationship to the support 18, a plate-shaped relay base 22 (see FIG. 5) disposed on the probe base 16, and a relay base 22. ), The relay board 24 (see Fig. 5) is mounted.

프로브 베이스(16)는 피검사체(12)의 전극(14)이 배치된 하나의 가장자리부의 길이방향(도시의 예에서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및 두께방향을 상하방향으로 한 상태로 시험장치의 상기한 본체 프레임에 직접 또는 판형상 베이스를 통하여 부착된다. The probe base 16 is a test apparatus in the stat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eft-right direction in the example of illustration) of the one edge part in which the electrode 14 of the to-be-tested object 12 is arrange | positioned, and the thickness direction to the up-down direction. It is attached to the body frame of the direct or through the plate-shaped base.

도1에서 도3 및 도5에서 도8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지지대(18)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판형상의 몸체부(18a)와, 몸체부(18a)의 좌우방향에서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다리부(18b,18b)에 의해, 문형(門型)의 정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각 지지대(18)는 전방, 후방 및 하방으로 개방하는 공간(26)(도2,6참조)을 갖는다. As shown in Fig. 1 to Fig. 3 and Fig. 5 to Fig. 8, each support 18 is a plate-shaped body portion 18a exten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downward from the end portion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18a. The pair of extending legs 18b and 18b is formed into a frontal shape of a door shape. Thereby, each support 18 has the space 26 (refer FIG. 2, 6) which opens to the front, back, and downward.

도7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적으로 보아 한쪽 다리부(18b)는 몸체부(18a)의 전단에서 좌우방향에서의 일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다른 쪽 다리부(18b)는 몸체부(18a)의 후단에서 좌우방향에서의 타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에 의해 지지대(18)는 평면적으로 보아 대략 Z자 모양 즉 크랭크 모양의 평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7, in plan view, one leg portion 18b protrudes in one side directio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t the front end of the body portion 18a, and the other leg portion 18b is the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8a. Protrudes from the rear end to the other sid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reby, the support stand 18 is formed in planar view of substantially Z-shape, ie, crank-shape in plan view.

지지대(18)는 프로브베이스(16)의 좌우방향으로 이간된 위치를 하방측에서 관통하여 다리부(18b)의 암나사홀(18c)에 나사 결합된 한 쌍의 나사부재(28)에 의해 프로브 베이스(16) 상에 부착되어 있다. 프로브장치(20)는 몸체부(18a) 상에 부착되어 있다. The support base 18 penetrates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probe base 16 from the lower side and is probed by a pair of screw members 28 screwed into the female screw hole 18c of the leg portion 18b. (16) is attached. The probe device 20 is attached on the body portion 18a.

도2,3 및 도8,9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프로브 장치(20)는 프로브 조립체(30)와, 프로브 조립체(30)를 지지하는 지지블록(32)과, 지지블록(32)을 지지하는 연결블록(34)과, 지지블록(32)의 하측(Z방향에서의 어느 일측 방향)에 지지되어서 프로브 조립체(30)를 지지블록(32)에 지지시키는 결합블록(36)과, 결합블록(36)을 지지블록(32)의 하측에 조합하는 조립장치(38)와, 지지블록(32)의 하측에 부착된 접속블록(40)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s. 2, 3 and 8 and 9, each probe device 20 supports the probe assembly 30, the support block 32 supporting the probe assembly 30, and the support block 32. And a coupling block 36 to support the probe assembly 30 to the support block 32 by being supported at a lower side (any one direction in the Z direction) of the connection block 34 and the support block 32, and a coupling block. An assembly device 38 for combining 36 to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block 32 and a connection block 40 attached to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block 32.

프로브 조립체(30)는, 도2에서 도6 및 도8에서 도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전성 재료에 의해 제작된 복수의 프로브(42)를 블록편(44)의 하면에 전후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조합된 한 쌍의 슬릿바(46)에 좌우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배치하고, 원형의 횡단면 형상을 갖는 바아(bar)부재(48)를 프로브(42)로 관통시켜서 바아부재(48)의 양단부를 한 쌍의 커버(50)에 의해 블록편(44)에 조합한다. As shown in Fig. 2 to Fig. 6 and Fig. 8 to Fig. 9, the probe assembly 30 has a plurality of probes 42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spac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lock piece 44. Arranged in a state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t interval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n the pair of slit bar 46 combined, the bar member 48 having a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through the probe 42 through the bar Both ends of the member 48 are combined with the block piece 44 by a pair of covers 50.

각 프로브(42)는 도9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을 한 판형상의 침 몸체부(42a)와, 침 몸체부(42a)의 앞단에서 전방으로 일체적으로 연장되는 선단영역(42b)과, 침 몸체부(42a)의 후단에서 후방으로 일체적으로 연장되는 후단영역(42c)과, 선단영역(42b)의 선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선단침선(42d)과, 후단영역(42c)의 후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후단침선(42e)을 구비하는 블레이드타입의 침으로 이루어져 있다. 선단침선(42d) 및 후단침선(42e)은 삼각형으로 형성되어서 끝이 날카롭게 이루어져 있다. As shown in Fig. 9, each probe 42 has a rectangular plate-shaped needle body portion 42a, a tip region 42b extending integrally from the front end of the needle body portion 42a to the front, and the needle body. The rear end region 42c extending integrally from the rear end of the section 42a to the rear, the tip needle line 42d extending downward from the front end of the front end region 42b, and the rear end region 42c upward. It consists of a blade-type needle having an extended trailing needle 42e. The leading needle 42d and the trailing needle 42e are formed in a triangle, and the ends are made sharp.

블록편(44) 및 각 슬릿바(slit bar)(46)는 모두 전기 절연성을 갖는 세라믹, 합성수지 등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긴 각기둥 모양의 형상을 갖는다. The block pieces 44 and each slit bar 46 each have a long columnar shap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by ceramics, synthetic resin, and the like having electrical insulation properties.

각 슬릿바(46)는 전기 절연성의 재료에 의해 각기둥 모양의 형상으로 제작되어 있으며 또한 블록편(44)의 전부하면 또는 후부하면에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각 슬릿바(46)는 도9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것의 길이방향(좌우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서 하방으로 개방되는 복수의 슬릿(52)을 하면에 갖는다. Each slit bar 46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olumn by an electrically insulating material, and is mounted in the state exten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on the entire lower surface or the rear lower surface of the block piece 44. As shown in Fig. 9, each slit bar 46 has a plurality of slits 52 which extend in the front-rear direction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reof and open downward.

바아(bar)부재(48)는 도시의 예에서는 원형의 단면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세라믹과 같은 경질의 전기절연성의 재료에 의해 형성된다. 바아부재(48)는 프로브(42)의 침 몸체부(42a)를 관통한다. 그러나 바아부재(48)는 도전성의 재료를 전기절연성의 재료로 피복한 것이라도 좋으며, 또한 직사각형, 육각형 등의 다각형과 같은 다른 횡단면 형상을 갖는 것이라도 좋다. The bar member 48 has a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in the example of the figure, and is formed of a hard electrically insulating material such as ceramic. The bar member 48 penetrates through the needle body 42a of the probe 42. However, the bar member 48 may be formed by coating a conductive material with an electrically insulating material, or may have another cross-sectional shape such as a polygon such as a rectangle or a hexagon.

각 프로브(42)는 침몸체부(42a)의 두께방향을 좌우방향으로 하며 또한 선단침선(42d) 및 후단침선(42e)를 각각 블록편(44)에서 전방 및 후방으로 돌출시킨 상태로 슬릿바(46)에 병렬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그리고 또한 선단영역(42b) 및 후단영역(42c)를 슬릿바(46)의 슬릿(52)에 결합시킨다. Each probe 42 has a thickness direction of the needle body portion 42a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the slit bar with the tip needle 42d and the trailing needle 42e protruding forward and backward from the block piece 44, respectively. It is arrange | positioned in parallel with 46, and also combines the front end area | region 42b and the rear end area | region 42c with the slit 52 of the slit bar 46. As shown in FIG.

각 커버(50)는 도2에서와 같이 내측에 위치된 판형상의 커버부재(50a)와, 그 외측에 위치된 판형상의 커버부재(50b)에 의해 형성된다. Each cover 50 is formed by a plate-shaped cover member 50a located on the inner side and a plate-shaped cover member 50b located on the outer side as shown in FIG.

각 커버(50)는 커버부재(50a,50b)의 전후방향으로 간격을 둔 곳을 관통하여서 블록편(44)의 좌우방향에서의 단부에 나사 결합된 복수의 나사부재(54)(도5참조)에 의해 블록편(44)의 좌우방향에서의 측면에 이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Each cover 50 penetrates the space | interval in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cover member 50a, 50b, and the several screw member 54 screwed to the edge part in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block piece 44 (refer FIG. 5). )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block piece 44 in the left-right direction.

각 커버(50)는 또한 복수의 위치결정핀(56)(도5참조)에 의해 블록편(44)에 대하여 위치결정되어 있다. 각 위치결정핀(56)은 블록편(44)의 좌우방향에서의 단부에 그 단부에서 좌우방햐으로 돌출하는 상태로 부착되어 있으며, 또한 양 커버부재(50a,50b)에 끼워져 통과되어 있다.Each cover 50 is also positioned relative to the block piece 44 by a plurality of positioning pins 56 (see Fig. 5). Each of the positioning pins 56 is attached to the end portion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block pieces 44 so as to protrude from the en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is inserted into both cover members 50a and 50b.

바아부재(48)는 그 단부를 내측의 각 커버부재(50a)에 설치된 관통홀(미도시)에 삽입되어 있다. 이에 의해 바아부재(48)는 커버부재(50a 및 50b)와 함께 나사부재(54) 및 위치결정핀(56)에 의해 블록편(44)에 부착되어서 위치결정된다. The bar member 48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not shown) provided at the end of each cover member 50a. As a result, the bar member 48 is attached to the block piece 44 by the screw member 54 and the positioning pin 56 together with the cover members 50a and 50b for positioning.

도9에서와 같이 앞쪽의 슬릿바(46) 및 각 프로브(42)는 각각 후방으로 돌출하는 볼록부(60) 및 전방으로 개방된 오목부(62)를 후단부 및 전반부에 구비한다. 볼록부(60) 및 오목부(62)는 'コ'모양의 단면형상을 갖으면서 서로 결합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9, the front slit bar 46 and each of the probes 42 have convex portions 60 protruding rearward and concave portions 62 opening forward, respectively, at the rear and front ends. The convex portion 60 and the concave portion 62 are joined to each other while having a cross-sectional shape of a 'co' shape.

또한 볼록부(60) 및 오목부(62)는 각각 하방(Z방향에서의 어느 일측 방향)에 위치하는 하연부 및 상연부(60a 및 62a)와, 상방(Z방향에서의 타측 방향)에 위치하는 상연부 및 하연부(60b 및 62b)를 갖는다. Moreover, the convex part 60 and the recessed part 62 are located in the lower edge part and the upper edge parts 60a and 62a which are located below (in one direction of Z direction), respectively, and the upper part (the other direction in Z direction). It has an upper edge and a lower edge 60b and 62b.

볼록부(60)의 하연부(60a)와 오목부의 상연부(62b)는 하방을 향하고 있으며, 볼록부(60)의 상연부(60b)와 오목부(62)의 하연부(62a)는 상방을 향하고 있다. 오목부(62)의 상연부(62a)는 후방측으로 갈수록 낮아진다. 이에 의해 오목부(62)의 안쪽 바닥부 하측에 부가적인 오목부(62c)가 형성되어 있다. The lower edge 60a of the convex portion 60 and the upper edge 62b of the concave portion face downward, and the upper edge 60b of the convex portion 60 and the lower edge 62a of the concave portion 62 are upward. Heading up. The upper edge 62a of the recess 62 is lowered toward the rear side. As a result, an additional recess 62c is formed below the inner bottom of the recess 62.

프로브 조립체(30)는, 또한 도8 및 도9에서와 같이 좌우방향으로 간격은 둔 복수의 위치결정핀(64)(도면에는 그중 하나를 나타낸다)을 포함한다. 각 위치결정핀(64)은 블록편(44)에 부착되어 있으며, 또한 블록편(44)에서 상방으로 연장된다. The probe assembly 30 also includes a plurality of positioning pins 64 (one of which is shown in the figure) spaced in the lateral direction as shown in FIGS. 8 and 9. Each positioning pin 64 is attached to the block piece 44 and extends upward from the block piece 44.

각 위치결정핀(64)은 그리고 또한 결합블록(36)에 설치된 위치결정홀(미도시)에 결합되어서 그 위치결정홀과 함께 프로브조립체(30)를 결합블록(36)에 대하여 위치결정한다. Each positioning pin 64 is also coupled to a positioning hole (not shown) provided in the coupling block 36 to position the probe assembly 30 with respect to the coupling block 36 together with the positioning hole.

상기와 반대로 위치결정핀(64)를 결합블록(36)에 설치하고, 위치결정홀을 블록편(44)에 설치하여도 좋다. Contrary to the above, the positioning pin 64 may be provided in the coupling block 36 and the positioning hole may be provided in the block piece 44.

각 프로브(42)는 볼록부(60) 및 오목부(62)가 상호 결합되고 또한 바아부재(48)가 프로브(42)를 관통하며 그리고 또한 선단영역(42b) 및 후단영역(42c)이 슬릿(52)에 결합된 상태로 슬릿바(46)에 배치된다. Each probe 42 has a convex portion 60 and a concave portion 62 coupled to each other, a bar member 48 penetrates the probe 42, and also a front end region 42b and a rear end region 42c slit. It is disposed in the slit bar 46 in a state coupled to 52.

각 프로브(42)는 그와 같은 슬릿바(46)가 나사부재, 접착제 등에 의해 블록편(44)에 상기와 같이 조합되면서 또한 커버(50)가 블록편(44)에 상기와 같이 조합됨에 따라 블록편(44)에 조합되어 유지된다. Each probe 42 has such a slit bar 46 combined as described above with the block piece 44 by a screw member, an adhesive, or the like, and as the cover 50 is combined with the block piece 44 as described above. It is held in combination with the block piece 44.

결합블록(36)은 도8에서와 같이 프로브 조립체(30)가 배치된 하향단부(66)를 갖는다. 하향단부(66)는 결합블록(36)의 하부의 전단부를 좌우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The coupling block 36 has a lower end 66 on which the probe assembly 30 is disposed as shown in FIG. The lower end 66 extends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coupling block 36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프로브 조립체(30)는 도8 및 도 10에서와 같이 결합블록(36)의 관통홀(67)을 상방에서 하방으로 관통하고 블록편(44)에 설치된 암나사홀(68)에 나사 결합된 머리부가 구비된 나사부재(70)에 의해 위치결정핀(64)이 상기한 위치결정홀로 삽입된 상태로 하향단부(66)에 유지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8 and 10, the probe assembly 30 includes a head screwed into the female screw hole 68 installed in the block piece 44 through the through hole 67 of the coupling block 36 from above to below. The positioning pin 64 is held in the lower end portion 66 with the positioning member 64 inserted into the positioning hole by the provided screw member 70.

도면에 있어서는 서로 이웃하는 프로브(42)가 좌우방향으로 크게 간격을 두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프로브(42)의 배열 피치는 작다. 프로브(42)의 수, 두께치수 및 배열 피치, 그리고 슬릿바(46)의 슬릿 수, 배치 피치 및 폭 치수는 피검사체(12)의 종류, 특히 전극(14)의 배치 피치와 폭 치수에 의해 다르다. In the figure, the neighboring probes 42 appear to be largely spac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but in reality, the arrangement pitch of the probes 42 is small. The number of probes 42, the thickness dimension and the arrangement pitch, and the slit number, placement pitch and width dimension of the slit bar 46 are determined by the type of the inspected object 12, in particular, the placement pitch and width dimension of the electrode 14. different.

프로브 조립체(30)는 양 슬릿바(46)를 상기한 상태로 블록편(44)에 부착한 상태에서 각 프로브(42)의 선단영역(42b) 및 후단영역(42c)을 슬릿바(46)의 슬릿(52)에 끼워넣으면서 볼록부(60) 및 오목부(62)를 결합시켜, 바아부재(48)를 프로브(42)와 커버부재(50a)로 삽통하고 그리고나서 커버부재(50a,50b)를 나사부재(54) 및 위치결정핀(56)으로 블록편(44)에 부착함으로써 조립할 수 있다. The probe assembly 30 has the slit bar 46 for the front end region 42b and the rear end region 42c of each probe 42 with both slit bars 46 attached to the block pieces 44 in the above-described state. The convex portion 60 and the concave portion 62 are engag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slit 52, the bar member 48 is inserted into the probe 42 and the cover member 50a and then the cover members 50a and 50b. ) Can be assembled by attaching to the block piece 44 with the screw member 54 and the positioning pin 56.

한쪽 커버(50)는 양 슬릿바(46)를 블록편(44)에 부착한 후에 블록편(44)에 부착하여도 좋다. One cover 50 may be attached to the block piece 44 after attaching both slit bars 46 to the block piece 44.

프로브 조립체(30)의 분해는 상기와 반대 작업을 실행함에 따라 수행할 수 있다. 프로브(42)의 교환은 상기와 반대의 작업을 실행하여서 원래의 프로브를 새로운 프로브로 변경한 후, 상기와 같은 작업을 실행함에 따라 수행할 수 있다.Disassembly of the probe assembly 30 can be performed by performing the opposite operation. The replacement of the probe 42 may be performed by changing the original probe to a new probe by performing the opposite operation to the above, and then performing the above operation.

결합블록(36)으로의 프로브 조립체(30)의 조합은 위치결정핀(64)(도8참조)을 결합블록(36)의 상기한 위치결정홀에 찔러 넣은 상태에서 나사부재(70)를 결합블록(36)의 관통홀(67)에 상방에서 하방으로 통과시켜 블록편(44)의 상기한 암나사홀에 나사 결합시킴에 따라 수행할 수 있다.The combination of the probe assembly 30 to the coupling block 36 engages the screw member 70 with the positioning pin 64 (see FIG. 8) inserted into the above-mentioned positioning hole of the coupling block 36. It can be carried out by passing through the through-hole 67 of the block 36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to screw the female threaded hole of the block piece 44.

결합블록(36)으로부터의 프로브 조립체(30)의 제거는 상기와 반대 작업을 실행함에 따라 수행할 수 있다.Removal of the probe assembly 30 from the coupling block 36 may be performed by performing the reverse operation.

이 실시예에서는 블록편(44)과 슬릿바(46)는 복수의 프로브(42)를 좌우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전후방향으로 연장하도록 병렬적으로 배치한 프로브 홀더를 구성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block piece 44 and the slit bar 46 constitute a probe holder arranged in parallel so as to extend the plurality of probes 42 in the front-rear direction at intervals in the left-right direction.

도5 및 도8에서와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블록(32)은 판형상의 두 개의 지지부(32a 및 32b)에 의해 L자형의 단면형상으로 제작된다. 연결블록(34)은 지지대(18)에 부착되는 몸체부(34a)와, 몸체부(34a)의 상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34b)에 의해 역 L자모양의 형상을 갖는다. As shown in Figs. 5 and 8, the support block 32 is made into an L-shaped cross section by two plate-shaped supports 32a and 32b. The connecting block 34 has an inverted L shape by a body portion 34a attached to the support 18 and an extension portion 34b extending forwar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34a.

도시의 예에서는 지지블록(32)은 결합블록(36)과 함께 지지체를 형성하고 있으며, 나사부재(70)는 프로브 조립체(30)를 결합블록(36)에 조합하는 조립구로서 작용한다.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support block 32 forms a support together with the coupling block 36, and the screw member 70 serves as an assembly unit for combining the probe assembly 30 to the coupling block 36.

지지블록(32)은 좌우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72)과 양 가이드레일(72)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74)에 의해 연결블록(34)의 몸체부(34a)의 전면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면서 볼트(76)에 의해 연결블록(34)의 연장부(34b)에 상하방향의 위치를 조정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The support block 32 is a connecting block 34 by a guide 74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between the guide rail 72 and the two guide rails 72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interval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ile being movably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body portion 34a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the position of the up and down direction is adjustable to the extension portion 34b of the connection block 34 by the bolt 76.

양 가이드레일(72) 및 가이드(74)는, 각각 리니어레일(linear rail) 및 리니어가이드(linear guide)이다. 양 가이드레일(72)은 지지블록(32)의 지지부(32a)의 후단면에 부착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가이드(74)는 양 가이드레일(72)이 가이드(74)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좌우방향에서의 양 가이드레일(72)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또한 연결블록(34)의 몸체부(34a)의 전단면에 부착되어 있다. Both guide rails 72 and guides 74 are linear rails and a linear guide, respectively. Both guide rails 72 are attached to the rear end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32a of the support block 32. On the other hand, the guide 74 is disposed between the guide rails 72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so that both guide rails 72 ar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guide 74, and the body of the connecting block 34 is also provided. It is attached to the front end surface of the part 34a.

볼트(76)는 연결블록(34)의 연장부(34b)를 상방에서 하방으로 관통하고 있으며, 또한 지지블록(32)에 형성된 나사홀(78)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지지블록(32)은 도2에서와 같이 좌우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압축 코일 스프링(80)에 의해 하방으로 힘이 가세 된다. The bolt 76 penetrates the extension 34b of the connecting block 34 from above to below and is screwed into the screw hole 78 formed in the support block 32. The support block 32 is forced downward by a pair of compression coil springs 80 arranged at intervals in the lateral direction as shown in FIG.

각 압축코일스프링(80)은 연결블록(34)의 연장부(34b) 상에 복수의 나사부재(71)(도3참조)에 의해 부착된 판형상의 스프링프레서(82)와, 지지블록(32)의 지지부(32a)의 사이에 연결블록(34)의 연장부(34b)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나사홀(78)로의 볼트(76)의 나사 삽입량을 조정함에 따라 지지블록(32) 나아가서는 프로브 조립체(30)의 높이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Each compression coil spring 80 includes a plate-shaped spring presser 82 attached to an extension portion 34b of the connecting block 34 by a plurality of screw members 71 (see FIG. 3), and a support block ( It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state which penetrates the extension part 34b of the connection block 34 in the up-down direction between the support part 32a of 32. As shown in FIG. As a result, the height of the support block 32 and the probe assembly 30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screw insertion amount of the bolt 76 into the screw hole 78.

스프링프레서(82)는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의 선단부를 윗쪽에서 찔러 넣고 볼트(76)의 회전량을 조정하는 관통홀(82a)를 갖는다. 이에 의해 스프링 프레서(82)를 연결블록(34)으로부터 제거하지 않고 지지블록(32) 나아가서는 프로브 조립체(30)의 높이 위치의 조정을 할 수 있기 때문에 그와 같은 높이 위치의 조정 작업이 쉬워진다. The spring presser 82 has a through-hole 82a that sticks the tip of a tool such as a driver from above and adjusts the amount of rotation of the bolt 76. As a result, the height position of the support block 32 and the probe assembly 30 can be adjusted without removing the spring presser 82 from the connecting block 34, so that the adjustment of the height position is easy. Lose.

연결블록(34)은 도2,3,5,6 및 8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볼트(86)에 의해 지지대(18)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각 볼트(86)는 연결블록(34)의 몸체부(34a)를 상방에서 하방으로 관통하고 있으며, 또한 지지대(18)의 몸체부(18a)에 형성된 나사홀(88)에 나사결합되어 있다. The connecting block 34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support 18 by a plurality of bolts 86, as shown in Figs. 2, 3, 5, 6 and 8. Each bolt 86 penetrates through the body portion 34a of the connecting block 34 from above and is screwed into a screw hole 88 formed in the body portion 18a of the support 18.

도4,8 및 10을 참조하면, 조립장치(38)는 결합블록(36)에 형성된 오목부위(90)과, 오목부위(90)에 결합된 연결부재(92)와, 연결부재(92)를 지지블록(32)의 하측에 조합하여서 지지블록(32)에 지지시키는 복수의 나사부재(94)(도4참조)와, 연결부재(92)의 관통홀(95)을 상방에서 하방으로 관통하여서 결합블록(36)의 나사홀(98)에 나사 결합된 나사부재(96)를 포함한다. 4, 8 and 10, the assembly device 38 is a concave portion 90 formed in the coupling block 36, a connecting member 92 coupled to the concave portion 90, and the connecting member 92 To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block 32, the plurality of screw member 94 (see Fig. 4) for supporting the support block 32 and the through hole 95 of the connecting member 92 penetrates from above to below It includes a screw member 96 screwed to the screw hole 98 of the coupling block 36.

오목부위(90) 및 연결부재(92)는 원형의 횡단면 형상을 갖는다. 각 나사부재(94)는 도4에서와 같이 지지블록(32)의 지지부(32b)를 상방에서 하방으로 관통하여서 연결부재(92)의 암나사홀(93)(도4 및 10 참조)에 나사 결합된다. The recess 90 and the connection member 92 have a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Each screw member 94 penetrates the support portion 32b of the support block 32 from the top to the bottom, as shown in FIG. 4, to screw the female thread hole 93 (see FIGS. 4 and 10) of the connecting member 92. do.

도시의 예에서는 암나사홀(98)은 도8에서와 같이 결합블록(36)의 몸체부(36a)에 변위 불가능하게 조합된 너트(36b)지만, 몸체부(36a)에 직접 형성하여도 좋다.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female screw hole 98 is a nut 36b which is not displaceably combined with the body portion 36a of the coupling block 36 as shown in FIG. 8, but may be formed directly on the body portion 36a.

조립장치(38)는 나사부재(96)가 연결부재(92)의 관통홀(95)을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관통하고 암나사홀(98)에 나사결합되어, 연결부재(92)가 나사부재(94)에 의해 지지블록(32)에 부착됨에 따라 결합블록(36)을 지지블록(32)의 지지부(32b)의 하측에 조합한다. In the assembly device 38, the screw member 96 penetrates the through hole 95 of the connecting member 92 from the top to the lower direction and is screwed into the female screw hole 98 so that the connecting member 92 is the screw member 94. By attaching to the support block 32 by the coupling block 36 is combined to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portion 32b of the support block 32.

조립장치(38)는 또한 오목부위(90)와 연결부재(92)가 결합되어 있음에 따라 결합블록(36)을 지지블록(32)에 대하여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에 의해 형성된 XY평면으로 시험해야 할 피검사체와 평행한 XY면 안에서의 소정 위치로 유지한다.The assembly device 38 must also test the coupling block 36 in the XY plane formed by the left and right and front and rear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support block 32 as the recess 90 and the connection member 92 are engaged. It is maintain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XY plane parallel to the object to be inspected.

도시의 예에서는, 조립장치(38)는 결합블록(36)에 형성되고, XY면 내부를 연장하여서 오목부위(90)로 연통된 오목부위(100)와, 연결부재(92)에서 XY면 내부를 연장하며 또한 오목부위(100)로 받아들여진 핀부재(102)와, 지지블록(32)의 지지부(32b)의 하면에 형성되며 또한 연결부재(92) 측으로 개방하는 한 쌍의 오목부위(104)와, 연결부재(92)에서 상방으로 연장하여서 오목부위(104)로 받아들여진 한 쌍의 핀부재(106)를 더 구비한다. In the example of illustration, the assembly apparatus 38 is formed in the coupling block 36, the recessed part 100 extended in the XY plane, and communicated with the recessed part 90, and the inside of the XY surface in the connection member 92. And a pair of concave portions 104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32b of the support block 32 and extending to the connecting member 92 and extending toward the concave portion 100 and receiving the concave portion 100. And a pair of pin members 106 extending upward from the connecting member 92 and received as the recesses 104.

오목부위(100) 및 핀부재(102)는 XY면 안에서 나사부재(96)보다 전방의 위치를 일방향(도시의 예에서는 X방향)으로 연장한다. 이에 대하여 양 오목부위(104) 및 양 핀부재(106) 각각은 오목부위(100) 및 핀부재(102)가 연장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 바람직하게는 직행하는 방향(도시의 예에서는 Y방향)으로 이간되어 있다.The concave portion 100 and the pin member 102 extend in one direction (the X direction in the example in the illustration) in front of the screw member 96 in the XY plane. On the other hand, both the concave portions 104 and the two pin members 106 each have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a direction in which the concave portions 100 and the pin members 102 extend, preferably in a straight direction (Y direction in the example shown). Separated by).

조립장치(38)는 상기 오목부위(100,104) 및 핀부재(102,106)에 의해 결합블록(36)을 지지블록(32)에 대하여 좌우방향 및 전우방향에서의 소정 위치에서 유지하고 있으면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θ축선 주위에서의 소정의 각도 위치로 유지하고 있다.The assembly device 38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le maintaining the coupling block 36 at the predetermined position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the front and right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support block 32 by the concave portions 100 and 104 and the pin members 102 and 106. It is mainta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position around the θ-axis line.

오목부위(90)를 지지블록(32)에 설치하고 연결부재(92)를 결합블록(36)에 나사 고정하여도 좋다. 또한 오목부위(100,104)와, 핀부재(102,106)을 상기와 반대 부재에 설치하여도 좋다. The concave portion 90 may be installed on the support block 32 and the connecting member 92 may be screwed to the coupling block 36. Further, the concave portions 100 and 104 and the pin members 102 and 106 may be provided on the opposite members.

지지블록(32)으로의 결합블록(36)의 조합은, 핀부재(106)를 대응하는 오목부위(104)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연결부(92)를 나사부재(94)에 의해 지지블록(32)의 하측에 고정하고, 이어서 연결부재(92)를 오목부위(90)에 결합시키면서 핀부재(102)를 대응하는 오목부위(100)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나사부재(96)를 결합블록(36)의 암나사홀(98)에 나사 결합함에 따라 수행할 수 있다. The combination of the coupling block 36 to the support block 32 is connected to the support block 32 by the screw member 94 while the connecting member 92 is positioned with the pin member 106 at the corresponding recessed portion 104. ), And then the screw member 96 is coupled to the coupling block 36 in a state where the pin member 102 is positioned at the corresponding recessed portion 100 while the connecting member 92 is coupled to the recessed portion 90. It can be carried out by screwing in the female threaded hole (98).

지지블록(32)에서의 결합블록(36)의 제거는 상기와 반대의 작업을 실행함에 따라 수행할 수 있다. Removal of the coupling block 36 from the support block 32 may be performed by performing the operation opposite to the above.

중계 베이스(22)는 두께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한 상태로 미도시된 복수의 나사부재에 의해 프로브베이스(16) 상에 배치되어 있다. 중계기판(24)은 각각이 프로브 장치(20)의 프로브(42)에 대응된 복수의 배선(미도시)을 갖는 배선기판이다. The relay base 22 is arrange | positioned on the probe base 16 by the some screw member which is not shown in the state which made thickness direction the up-down direction. The relay board 24 is a wiring board each having a plurality of wirings (not shown) corresponding to the probes 42 of the probe device 20.

중계기판(24)의 배선은 프로브 장치(20)마다 구비된 전기적 접속구(120)(도1,3,5,6,9,10 및 11)에 의해 대응하는 프로브(4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The wiring of the relay board 24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probe 42 by electrical connectors 120 (Figs. 1, 3, 5, 6, 9, 10 and 11) provided for each probe device 20. .

도3,5 및 8을 참조하면, 접속블록(40)은 지지블록(32)의 하측을 좌우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또한 결합블록(36)의 후단부와 지지블록(3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접속블록(40)은, 좌우방향으로 간격을 둔 복수의 나사부재(140)와, 전후방향으로 간격을 둔 복수의 위치결정핀(142)에 의해 지지블록(32)의 하측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3, 5 and 8, the connection block 40 extends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block 32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is also disposed between the rear end of the coupling block 36 and the support block 32. have. The connection block 40 is detachably fixed to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block 32 by a plurality of screw members 140 spac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a plurality of positioning pins 142 spac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It is.

각 나사부재(140)는 접속블록(40)을 하방에서 상방으로 관통하여서 지지블록(32)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각 위치결정핀(142)은 접속블록(40) 및 지지블록(32) 중 어느 한 쪽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고정되어서 접속블록(40) 및 지지블록(32)의 다른 쪽에 설치된 위치결정 홀에 결합되어 있다. Each screw member 140 is screwed to the support block 32 through the connection block 40 from below to upward. Each of the positioning pins 142 is fixed to one of the connection block 40 and the support block 32 so as to exten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so that the positioning holes are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block 40 and the support block 32. Is coupled to

상기의 프로브 장치(20)에 있어서, 지지블록(32)과 결합블록(36)과 접속블록(40)은 제1의 지지장치로서 작용하고, 연결블록(34)은 제2의 지지장치로서 작용한다. In the above probe device 20, the support block 32, the coupling block 36 and the connection block 40 act as a first support device, and the connection block 34 acts as a second support device. do.

도1,3,5,6,9,10 및 11을 참조하면, 각 전기적 접속구(12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배선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프로브조립체(30)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시트형상의 제1의 배선영역(122)과, 제1의 배선영역(122)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시트형상의 제2의 배선영역(124)를 포함한다. 1, 3, 5, 6, 9, 10 and 11, each electrical connector 120 has a plurality of wires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also in the form of a sheet extending rearward from the probe assembly 30 A first wiring region 122 and a sheet-shaped second wiring region 124 extending rearward from the first wiring region 122.

제1 및 제2의 배선영역(122,124)은 각각 좌우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의 배선(126) 및 복수의 제2의 배선(128)(양쪽 모두 도11 참조)을 갖는다. The first and second wiring regions 122 and 124 respectively extend in the front-rear direction at interval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respectively, and the plurality of first wirings 126 and the plurality of second wirings 128 (both refer to Fig. 11). Has

제1의 배선영역(122)은, FPC,TAB 또는 그들을 조합시킨 복합회로 시트로 이루어져 있으며, 또한 제2의 배선영역(124)은 FPC로 이루어져 있다. The first wiring region 122 is made of FPC, TAB or a composite circuit sheet combining them, and the second wiring region 124 is made of FPC.

제1의 배선영역(122)은 도8에서와 같이 고정판(130)에 의해 결합블록(36)의 하측에 위치되어 있으며, 또한 피검사체(12)를 구동하는 직접회로(132)를 중간영역에 배치하고 있으며, 그리고 또한 제1의 지지장치의 일부로서 작용하는 결합블록(36)의 하측을 후방으로 연장한다. The first wiring region 122 is located below the coupling block 36 by the fixing plate 130 as shown in FIG. 8, and the integrated circuit 132 for driving the inspected object 12 is placed in the middle region. It is arranged and extends rearward of the lower side of the coupling block 36 which also serves as part of the first support device.

도5,8,10 및 11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의 배선영역(122)의 전단부는 제1의 배선(126)의 선단부가 하방으로 노출되는 상태로 결합블록(36)의 하면에 유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프로브장치(20)가 조립된 상태에 있어서, 각 프로브(42)의 후단침선(42e)는 도9에서와 같이 제1의 배선(126)의 선단부에 가압되어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5, 8, 10, and 11,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first wiring region 122 is hel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upling block 36 with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first wiring 126 exposed downward. have. As a result, in the state where the probe device 20 is assembled, the trailing needle 42e of each probe 42 is pressed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ip of the first wiring 126 as shown in FIG.

도5,8 및 11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의 배선영역(122)의 후단부는 제1의 배선영역(122)이 결합블록(36)의 후단부에서 상방 및 전방으로 가로 U자형상으로 되접혀 있음에 따라 제1의 배선(126)의 후단부가 상방으로 노출되는 상태로 결합블록(36)의 상면에 유지되어 있다.5, 8 and 11, the rear end of the first wiring region 122 has the first wiring region 122 transversely U-shaped upward and forward at the rear end of the coupling block 36. As shown in FIGS. As it is folded, the rear end of the first wiring 126 is hel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upling block 36 in a state where it is exposed upward.

도5,8 및 11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의 배선영역(124)의 선단부는, 제1의 배선영역(122)의 되접힘부의 상방에 위치하는 상태로, 및 제2의 배선(128)의 선단부가 하방이 되는 상태로 접속블록(40)의 하면에 유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프로브장치(20)가 조립된 상태에서 제1의 배선(126)의 후단부와 제2의 배선(128)의 전단부는 서로 가압되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5, 8 and 11,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second wiring region 124 is located above the retracted portion of the first wiring region 122 and the second wiring 128 is provided. It is hel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on block 40 in a state where the tip of the lower side becomes downward. As a result, in the state in which the probe device 20 is assembled, the rear end of the first wiring 126 and the front end of the second wiring 128 are pressed to each other and electrically connected.

제2의 배선영역(124)은 접속블록(40)의 후단과 프로브 베이스(16)의 전단 사이에서 프로브 베이스(16)의 상측으로 인도되며 또한 지지대(18)의 공간(26)으로 통하게 되고, 그리고 또한 프로브 베이스(16)의 위를 후방으로 연장한다.The second wiring area 124 is led to the upper side of the probe base 16 between the rear end of the connection block 40 and the front end of the probe base 16 and also leads to the space 26 of the support 18. And also extends rearward above the probe base 16.

제2의 배선영역(124)은, 그 후단에 설치된 커넥터(144)에 의해 중계기판(24)에 결합되어 있다. 커넥터(144)는 전기적 접속구(120)의 배선을 통하여 대응하는 프로브 장치(20)의 프로브(42)에 접속된 복수의 단자를 구비한다. 그들 단자는 중계기판(24)의 상기한 배선에 접속된다. The second wiring area 124 is coupled to the relay board 24 by a connector 144 provided at the rear end thereof. The connector 144 includes a plurality of terminals connected to the probes 42 of the corresponding probe device 20 through the wiring of the electrical connector 120. These terminals are connected to the above wiring of the relay substrate 24.

중계기판(24)의 배선은 시험신호를 발생하는 전기회로(미도시)에 접속된다. 시험신호는 그와 같은 전기회로에서 전기적 접속구(120)를 통하여 프로브(42)에 공급되어서 피검사체(12)를 구동(점등)시킨다. The wiring of the relay board 24 is connected to an electric circuit (not shown) that generates a test signal. The test signal is supplied to the probe 42 through the electrical connector 120 in such an electric circuit to drive (light up) the object under test 12.

도8 및 도11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엘라스토머(146)는 접속블록(40)의 하측에 있고, 제1 및 제2의 배선(126 및 128)의 접촉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엘라스토머(146), 제1의 배선영역(122) 및 제2의 배선영역(124)은 도11에서와 같이 결합블록(36) 및 접속블록(40)이 지지블록(32)에 조합된 상태에서 압축변형된다. 이에 의해 제1 및 제2의 배선(126 및 128)은 강하게 가압되어서 확실하게 접촉한다.As shown in Figs. 8 and 11, the elastomer 146 is located below the connection block 40 and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wirings 126 and 128. As shown in Figs. For this reason, as shown in FIG. 11, the elastomer 146, the first wiring region 122, and the second wiring region 124 are formed by combining the coupling block 36 and the connection block 40 with the support block 32. As shown in FIG. Compression deformation in the state. As a result, the first and second wirings 126 and 128 are strongly pressed and reliably contacted.

프로브조립체(30) 및 전기적 접속구(120)의 교환은 결합블록(36)을 지지블록(32)에서 분리한 상태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브(42)의 교환은 결합블록(36)을 지지블록(32)에서 분리하고, 프로브 조립체(30)를 결합블록(36)에서 분리한 상태로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전기적 접속구(120)의 교환은 결합블록(36)을 지지블록(32)에서 분리하고, 접속블록(40)을 지지블록(32)에서 분리한 상태로 수행할 수 있다.Exchange of the probe assembly 30 and the electrical connector 120 may be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coupling block 36 is separated from the support block 32. In addition, the exchange of the probe 42 may be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coupling block 36 is separated from the support block 32 and the probe assembly 30 is separated from the coupling block 36. In addition, the exchange of the electrical connector 120 may be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coupling block 36 is separated from the support block 32 and the connection block 40 is separated from the support block 32.

프로브 유닛(10)에 있어서는 프로브 장치(20)가 전방, 후방 및 하방으로 개방하는 공간을 구비하는 지지대(18)을 통하여 프로브 베이스(16)에 지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배선 통과홀을 프로브 베이스(16)에 설치하지 않고, 전기적 접속구(120)의 후부측 영역을 프로브베이스(16)의 상측에 인도할 수 있으면서, 지지대(18)의 공간(26)을 지나도록 연재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배선(128,128)의 전기적 유효 길이 치수가 짧아지고, 그 만큼 신호의 감쇠량이 저하하여 유효한 시험신호를 피검사체(12)에 공급할 수 있다. In the probe unit 10, the probe device 20 is supported by the probe base 16 via a support 18 having a space for opening forward, rearward and downward. For this reason, it is possible to guide the rear region of the electrical connector 120 to the upper side of the probe base 16 without providing the wiring passage hole in the probe base 16, and then to pass through the space 26 of the support 18. Can be serialized. As a result, the electrical effective length of the wirings 128 and 128 is shortened, and the amount of attenuation of the signal decreases by that amount, so that an effective test signal can be supplied to the inspected object 12.

피검사체(12)를 시험하는 시험장치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은 형상 구조를 갖는 복수의 프로브닛(10)이 이용될 수 있다.
In the test apparatus for testing the inspected object 12, a plurality of probenets 10 having the above-described shape structure can be used.

[시험장치의 실시예]EXAMPLE OF TEST APPARATUS

도12에서 도18을 참조하면, 시험장치(200)는 프로브 유닛(202)과, 프로브 유닛(202)을 지지하는 판형상의 지지베이스(204)와, 지지베이스(204)에 배치되어서 피검사체(12)를 받는 워크테이블(206)과, 프로브 유닛(202)을 지지베이스(204)에 지지시키는 유닛지지기구(208)를 포함한다. 12 to 18, the test apparatus 200 is disposed on the probe unit 202, the plate-shaped support base 204 for supporting the probe unit 202, and the support base 204, and thus the object to be inspected ( 12 and a unit support mechanism 208 for supporting the probe unit 202 to the support base 204.

프로브 유닛(202)은 복수의 프로브장치(20)를 공통의 지지대(210)에 배치하고, 중계기판(24)을 그 후방에 배치된 제2의 중계기판(212)에 FPC와 같이 가요성을 갖는 배선시트(214)(도18참조)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제2의 중계기판(212)을 시험장치의 전기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구조로서 이루어져 있는 것을 제외하고, 도1에서 도11에서 나타내는 프로브 유닛(20)과 같은 형상의 구조를 갖는다. The probe unit 202 arranges the plurality of probe devices 20 on a common support 210, and the flexible substrate 24 is flexible to the second relay substrate 212 disposed behind the same as the FPC. 1 to 11, except that the wiring sheet 214 (see FIG. 18) is electrically connected and the second relay board 212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ical circuit of the test apparatus. It has a structure of the same shape as the probe unit 20 shown.

지지대(210)는 도17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로브베이스(16)와 평행하게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판형상의 몸체부(210a)와, 몸체부(210a)의 양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다리부(210b)와, 양 다리부(210b) 사이를 몸체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보조부(210c)를 구비하고 있으며, 또한 지지대(210)을 상방에서 하방으로 관통하여서 프로브 베이스(16)에 나사 결합된 복수의 나사부재(216)(도17참조)에 의해 프로브 베이스(16)의 상면에 부착되어 있다. Support 210 is a plate-shaped body portion 210a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parallel with the probe base 16, as shown in Figure 17, and a pair of legs extending downward from both ends of the body portion (210a) 210b and a plurality of auxiliary portions 210c extending downwardly from the body portion between both leg portions 210b, and further screwed to the probe base 16 by penetrating the support 210 upwards and downwards. It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robe base 16 by a plurality of coupled screw members 216 (see Fig. 17).

몸체부(210a)와 다리부(210b)와 보조부(210c)는 전방, 후방 및 하방으로 개방하는 공간(26)을 프로브 장치(20)마다 형성한다. 각 프로브 장치(20)는 대응하는 공간(26)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지지대(210)에 배치되어 있다. 각 프로브 장치(20)의 전기적 접속구(120), 특히 제2의 배선영역(124)은 대응하는 공간(26)에 전후방향으로 통과되어 있다. 그러나 복수의 프로브 장치(20)에서 하나의 공간(26)을 공통으로 이용하도록 해도 좋다. The body portion 210a, the leg portion 210b, and the auxiliary portion 210c form a space 26 for each probe device 20 that opens forward, backward, and downward. Each probe device 20 is disposed on the support 210 so as to be located above the corresponding space 26. The electrical connector 120 of each probe device 20, in particular, the second wiring region 124, passes through the corresponding space 26 in the front-rear direction. However, the plurality of probe devices 20 may use one space 26 in common.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중계기판(24)은 복수의 프로브 장치(20)에서 공통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모든 제2의 배선영역(124)은 중계기판(21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중계기판(212)은 한 쌍의 고정구(218)에 의해 프로브 베이스(16)의 상측에 후방 비스듬히 상향으로 경사하여서 부착되어 있다. 프로브 장치(20)마다 중계기판(24)을 설치해도 좋고, 복수의 프로브장치(20)에서 하나의 중계기판(24)을 공통으로 이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In this embodiment, the relay substrate 24 is common to the plurality of probe devices 20. For this reason, all the second wiring areas 124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relay board 212. The relay board 212 is attached to the upper side of the probe base 16 by obliquely upwardly inclined upward by a pair of fasteners 218. The relay board 24 may be provided for each probe device 20, or one relay board 24 may be used in common among the plurality of probe devices 20.

지지베이스(204)는 시험장치(200)의 프레임에 수평으로 배치된다. 워크테이블(206)은 피검사체(12)를 공급받아서 해제가능하게 흡착하는 패널수용면(206a)을 갖는다. 지지베이스(204)는 워크테이블(206)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또한 패널수용면(206a)을 갖는 패널받이에 설치된 외향 플랜지형상 부재라도 좋다. The support base 204 is disposed horizontally in the frame of the test apparatus 200. The work table 206 has a panel receiving surface 206a that receives the inspected object 12 and is releasably adsorbed. The support base 204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work table 206, or may be an outwardly flanged member provided on the panel support having the panel receiving surface 206a.

유닛지지기구(208)는 피검사체(12)와 평행한 XY면 안에서 워크테이블(206)에 대하여 진퇴 가능하게 지지베이스(204)에 배치되어서 프로브 베이스(16)의 길이방향(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의 이동체(220)와, 패널수용면(206a)에 대하여 경사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제1의 이동체(220)에 결합되어서 프로브 베이스(16)의 길이방향(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의 이동체(222)와, 제1의 이동체(220)를 제2의 이동체(222)와 함께 워크테이블(206)에 대하여 진퇴시키는 프로브 이동기구(224)와, 제2의 이동체(222)의 최전진 위치(워크테이블(206)측의 위치)를 규정하는 복수의 제1의 스토퍼(226)와, 제2의 이동체(222)의 최상승 위치를 규제하기 위해 역 L자 모양의 형상을 갖는 복수의 제2스토퍼(228)을 포함하며, 프로브 유닛(202)을 제2의 이동체(222)에 지지한다. The unit support mechanism 208 is disposed on the support base 204 so as to be retractable with respect to the worktable 206 in an XY plane parallel to the inspected object 12 and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probe base 16. Coupled to the first movable body 220 so as to be movable in an incline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panel receiving surface 206a a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probe base 16. A probe moving mechanism 224 for advancing and retreating the second moving body 222 and the first moving body 220 with respect to the worktable 206 together with the second moving body 222, and the second moving body 222. A plurality of first stoppers 226 defining the most advanced position (position on the worktable 206 side) and an inverted L-shape in order to restrict the highest position of the second movable body 222. It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stoppers 228, and supports the probe unit 202 to the second moving body 222.

제1이동체(220)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며 L자 모양의 단면형상을 갖는 제1의 부재(220a)에,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며 쐐기모양의 단면형상을 갖는 제2의 부재(220b)를 상대적 이동 불가능하게 부착한다. 제1의 이동체(220)는 좌우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 또는 여러 쌍의 레일(230)과, 각 레일(230)에 그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된 가이드(232)에 의해 지지베이스(204) 상에 결합되어 있다. The first movable member 220 extends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is relative to the first member 220a having an L-shaped cross section, and the second member 220b exten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having a wedge-shaped cross section. Attach it unmovably. The first moving body 220 has a pair or several pairs of rails 230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t interval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guides 232 movably suppor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each rail 230. Is coupled on the support base 204 by means of.

도시의 예에서는, 레일(230)은 지지베이스(204)의 상면에 부착되어 있으며, 가이드(232)는 제1의 부재(220a)의 저판부의 하면에 부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의 이동체(220)는 워크테이블(206)에 대하여 서로 가깝거나 멀어지는 방향(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이루어져 있다. In the example of illustration, the rail 230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ase 204, and the guide 232 is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part of the 1st member 220a. Thereby, the 1st moving body 220 is comprised so that it may move in the direction (front-back direction) which is near or far from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worktable 206. FIG.

제2의 이동체(222)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며 T자 모양의 단면형상을 갖는 제1의 부재(222a)에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며 각기둥 모양의 제2의 부재(222b)를 상대적 이동 불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제1의 부재(222a)의 꼭대기면은 XY면과 평행하게 이루어져 있고, 제1의 부재(222a)의 꼭대기면에 프로브 베이스(16)를 지지하고 있다. 제2의 부재(222b)는 이것을 비스듬히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가이드홀(234)을 갖는다. The second moving body 222 extend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extend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o the first member 222a having a T-shaped cross-sectional shape, and attaches the second member 222b having a prismatic shape to be relatively movable. It is.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member 222a is formed parallel to the XY surface, and supports the probe base 16 on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member 222a. The second member 222b has a guide hole 234 penetrating it obliquely in the vertical direction.

제2의 이동체(222)는 비스듬히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제1의 이동체(220)에 지지된 로드(236)가 가이드홀(234)에 하방에서 받아들여져 있는 것과, 상대적 변위가능하게 결합된 가이드(238) 및 레일(240)에 의해 상방측 만큼 전방이 되는 비스듬히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제1의 이동체(220)에 결합되어 있다. The second movable body 222 is a rod 236 supported by the first movable body 220 in a state extending obliquely up and down, and is received in the guide hole 234 from below, and is coupled relatively displaceably The guide 238 and the rail 240 are coupled to the first moving body 220 so as to be able to move upward and downward in an upward direction by an upward side.

가이드홀(234) 및 로드(236)는 상방측 부위만큼 워크테이블(206) 측이 되도록 경사되어 있으며, 또한 가이드(238) 및 레일(240)은 그 상대적 이동방향이 상방측 부위만큼 워크테이블(206) 측이 되면서 가이드홀(234) 및 로드(236)의 연재방향이 되도록 제1 및 제2의 이동체(220 및 224)에 부착되어 있다. The guide hole 234 and the rod 236 are inclined to the worktable 206 side by the upper portion, and the guide 238 and the rail 240 have the worktable (the relative movement direction by the upper portion) 206 is attached to the first and second movable bodies 220 and 224 so as to be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guide hole 234 and the rod 236.

제2의 이동체(222)는 로드(236)의 주위를 연장하는 압축코일스프링(242)에 의해 항시 상방에 부세되어 있다. 그러나 제2의 이동체(222)의 최상승 위치는 제2의 이동체에 지지된 프로브 유닛(202)의 프로브 베이스(16)가 제1의 이동체(220)에 부착된 복수의 제2의 스토퍼(228)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단부에 맞닿게 함으로써 규제된다. 이 때문에 프로브 유닛(202)의 최상승위치도 제2의 스토퍼(228)에 의해 규제된다. The second moving body 222 is always pushed upward by the compression coil spring 242 extending around the rod 236. However, a plurality of second stoppers 228 in which the probe base 16 of the probe unit 202 supported by the second movable body is attached to the first movable body 220 may be positioned at the highest position of the second movable body 222. It is regulated by abutting the upper end portion extending in the front-back direction. For this reason, the highest lift position of the probe unit 202 is also regulated by the second stopper 228.

각 프로브 이동기구(224)는 제1의 이동체(22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제1의 이동체(220)를 제2의 이동체(222) 및 프로브 유닛(202)과 함께 워크테이블(206)에 대하여 진퇴시킨다. Each probe movement mechanism 224 moves the first movable body 220 forward and backward to move the first movable body 220 together with the second movable body 222 and the probe unit 202 to the work table 206. Retreat against.

그와 같은 프로브 이동기구(224)로서 브라켓(244)에 의해 지지베이스(204)의 상면에 배치된 모터(246)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모터(246)에 연결되어서 모터(246)에 의해 회전되는 볼나사(248)와, 제1의 부재(220a)에 설치되어서 볼나사(248)에 나사 결합된 너트(미도시)를 구비하는 기구를 예로 들 수 있다. 모터(246)는 펄스모터와 같이 회전 각도 위치를 해제가능하게 유지하도록 위치 제어 가능한 모터로 할 수 있다.As the probe movement mechanism 224, the motor 246 is connected to the motor 246 arrang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ase 204 by the bracket 244 and extended in the front-back direction. An example is a mechanism having a ball screw 248 rotated by a screw and a nut (not shown) provided on the first member 220a and screwed to the ball screw 248. The motor 246 may be a position controllable motor such as a pulse motor to maintain the rotation angle position releasably.

제1의 스토퍼(226)는 전후방향에서의 워크테이블(206)과 제2의 이동체(222)사이에 있고, 좌우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도16 참조). 각 제1의 스토퍼(226)는 상방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지지베이스(204)에 지지된 지주(250)와,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 주위에 회전가능하게 지주(250)의 상단부에 부착된 롤러(252)를 구비한다. 롤러(252)는 도시의 예에서는 베어링이며, 또한 제2의 이동체(222)의 전면이 접촉 가능한 높이 위치에 배치된다. The first stopper 226 is disposed between the work table 206 and the second movable body 222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is disposed at intervals in the left-right direction (see FIG. 16). Each first stopper 226 is a roller 250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250 so as to be rotatable about an axis exten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a support 250 supported by the support base 204 in an upwardly extending state. 252. The roller 252 is a bearing in the example of illustration, and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height position which the front surface of the 2nd moving body 222 can contact.

시험장치(200)는 프로브 유닛(202)과 유닛 지지기구(208)가 피검사체(12)의 전극(14)이 배치된 가장자리부의 각각에 구비된다.
The test apparatus 200 is provided with the probe unit 202 and the unit support mechanism 208 in each of the edge portions in which the electrode 14 of the test object 12 is disposed.

[시험장치의 동작][Operation of Test Equipment]

시험장치(200)는 각 프로브 유닛(202)과, 제1의 이동체(220)와, 제2의 이동체(222)가 도14에서 나타내는 대기위치로 후퇴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제2의 이동체(222)는 스토퍼(228)로 규제되는 최상승위치로 압축코일스프링(242)에 의해 상승되어 있으면서 유닛 이동기구(224)에 의해 스토퍼(226)의 롤러(252)에서 후방으로 이간되어 있다. In the test apparatus 200, each of the probe units 202, the first moving body 220, and the second moving body 222 is retracted to the standby position shown in FIG. In this state, the second moving body 222 is lifted up by the compression coil spring 242 to the highest lifted position regulated by the stopper 228, and the roller 252 of the stopper 226 by the unit moving mechanism 224. Spaced backwards.

상기의 대기위치에 있어서, 프로브 유닛(202)은 워크테이블(206)에서 상방 및 후방으로 이간되어 있으며, 따라서 프로브(42)는 그 침선이 워크테이블(206) 상의 피검사체에서 상방 및 후방으로 이간된 위치로 물러난다. 이 상태에서 워크테이블(206)에 대한 피검사체(12)의 전달이 상방측에서 이루어진다. In the above standby position, the probe unit 202 is spaced upward and backward from the worktable 206, so that the probe 42 is spaced upward and backward from the test subject on the worktable 206. Retreat to the location. In this state, the test object 12 is transferred to the work table 206 from the upper side.

피검사체(12)의 전달이 종료하면, 제2의 이동기구(222)의 전면이 스토퍼(226)의 롤러(252)에 접촉할 때까지, 제1의 이동체(220)가 유닛 이동기구(224)에 의해 전진된다. 이에 의해 프로브유닛(202)도 전진되어서 각 프로브(42)의 침선이 도13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검사체(12)의 전극(14)의 상방으로 이동된다. When the transfer of the inspected object 12 is finished, the first movable body 220 is unit moving mechanism 224 until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moving mechanism 222 contacts the roller 252 of the stopper 226. Advanced by). As a result, the probe unit 202 is also advanced so that the needle bar of each probe 42 is moved above the electrode 14 of the object 12 as shown in FIG.

제1의 이동체(220)가 유닛 이동기구(224)에 의해 한층 더 전진되면, 제2의 이동체(222)의 전진이 스토퍼(226)에 의해 저지된 상태에서, 제1의 이동체(220)가 전진된다. 이 때문에, 제2의 이동체(222)는 그 전면을 롤러(252)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가이드(238), 레일(240), 로드(236)에 의해 제1이동체(220)의 전진을 허락하면서 하강된다. 이에 의해 각 프로브 블록(202)이 하강되어서 각 프로브(42)의 침선이 도12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검사체(12)의 전극(14)에 가압된다. 이 상태에서 피검사체(12)에 통전되어서 피검사체(12)의 점등시험이 이루어진다. When the first moving body 220 is further advanced by the unit moving mechanism 224, the first moving body 220 is moved in a state where the advance of the second moving body 222 is blocked by the stopper 226. Is advanced. For this reason, the second movable body 222 allows the first movable body 220 to move forward by the guide 238, the rail 240, and the rod 236 while the front surface thereof is in contact with the roller 252. Descends. As a result, each probe block 202 is lowered, and the needle bar of each probe 42 is pressed against the electrode 14 of the object under test 12 as shown in FIG. In this state, the test object 12 is energized and the lighting test of the test object 12 is performed.

상기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가이드홀(234),로드(236),가이드(238),레일(240) 및 압축코일스프링(242)은 프로브유닛(202)을 비스듬히 상하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프로브 변위기구로서 작용한다. As is apparent from the above, the guide hole 234, the rod 236, the guide 238, the rail 240 and the compression coil spring 242 is a probe displacement mechanism for displacing the probe unit 202 in an oblique up and down direction. Works.

상기의 점등시험은 작업자가 피검사체(12)를 상방에서 내려다보는 목시(目視) 점등시험이라도 좋고, 비디오카메라와 같이 에리어센서(area sensor)를 이용하며 제어장치에서 화상처리를 하는 자동 점등 시험이라도 좋다. The above lighting test may be a visual lighting test in which an operator looks down on the subject 12 from above, or may be an automatic lighting test using an area sensor such as a video camera and performing image processing on a control device. good.

전기적 시험이 종료하면, 각 프로브유닛(202)과, 각 제1의 이동체(220)와 각 제2의 이동체(222)가 도14에서 나타내는 대기위치로 물러난다. 이때,각 제2의 이동체(222)는 제1의 이동체(220)가 스토퍼(226)에서 멀어질 때까지 동안 압축코일스프링(242)에 의해 상승되고, 그 후 제1이동체(220)과 함께 후퇴된다. 그 후 워크테이블(206)에 대한 피검사체(12)의 전달이 이루어진다. When the electrical test is completed, each probe unit 202, each first moving body 220 and each second moving body 222 retreats to the standby position shown in FIG. At this time, each second moving body 222 is lifted by the compression coil spring 242 until the first moving body 220 moves away from the stopper 226, and then together with the first moving body 220. Retreat. Thereafter, the test object 12 is transferred to the work table 206.

상기와 같이 시험장치(200)에 따르면 프로브 유닛(202)은 프로브(42)의 침선이 피검사체(12)의 전극(14)의 상방으로 전진된 뒤에 하강되어서 침선을 전극(14)에 가압 받아 프로브(42)의 침선이 피검사체(12)의 전극(14)의 상방으로 상승되어서 침선이 전극(12)에서 이간된 뒤에 후퇴된다. 이에 의해 각 프로브(42)의 침선은 프로브 유닛(202)의 상하 움직임시에 전극(14)에 대하여 접촉 및 이간하는 방향으로 변위되는데, 프로브 유닛(202)자체의 전진 후퇴시에는 전극(12)에서 이간된 상태로 유지된다. 그 결과, 침선 전극(12)의 마모 및 손상이 방지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test apparatus 200, the probe unit 202 is lowered after the needle 42 of the probe 42 is advanced above the electrode 14 of the test object 12 so that the needle needle is pressed by the electrode 14. The needle tip of the probe 42 is raised above the electrode 14 of the test subject 12 so that the needle needle is separated from the electrode 12 and retreats. As a result, the needle line of each probe 42 is displaced in the direction of contact and separation with respect to the electrode 14 when the probe unit 202 moves up and down, and when the probe unit 202 itself moves forward and backward, the electrode 12 It is kept separated from. As a result, abrasion and damage of the needle electrode 12 are prevented.

본 발명은 액정표시패널용의 프로브 유닛 뿐만 아니라,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된 유리 기판과 같은 다른 표시용 기판용의 프로브 유닛, 집적회로와 같은 다른 평판형상 피검사체용의 프로브 유닛에도 적용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not only to a probe unit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but also to a probe unit for another display substrate such as a glass substrate on which a thin film transistor is formed, and to a probe unit for another flat plate-like object such as an integrated circuit.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여러 가지로 변경할 수 있다.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aid Example, A various change can be made, as long as there is no deviation from the meaning of a claim.

10, 202; 프로브 유닛(probe unit)
12; 표시용 기판(피검사체)
14; 표시용 기판의 전극
16; 프로브 베이스(probe base)
18,210; 지지대
18a,210a; 몸체부
18b,210b; 다리부
20; 프로브 장치
22; 중계베이스
24; 중계기판
26; 공간
30; 프로브 조립체
32; 지지블록
34; 연결블록
36; 결합블록
38; 조립장치
40; 접속블록
42; 프로브
42a; 침 몸체부
42b; 선단영역
42c; 후단영역
42d; 선단침선
42e; 후단침선
44; 블록편
46; 슬릿바
82; 스프링프레서
120; 전기적 접속구
122,124; 제1 및 제2의 배선영역
126,128; 제1 및 제2의 배선
200; 시험장치
204; 지지베이스
206; 워크테이블
206a; 패널수용면
208; 유닛 지지기구
212; 제2의 중계기판
214; 배선시트
220,222; 제1 및 제2의 이동체
224; 유닛이동기구
226,228; 스토퍼
230; 레일
232; 가이드
234; 가이드홀(프로브 변위기구)
236; 로드(프로브 변위기구)
238; 가이드(프로브 변위기구)
240; 레일(프로브 변위기구)
242; 압축코일스프링(프로브 변위기구)
10, 202; Probe unit
12; Display board (inspection object)
14; Electrode of display board
16; Probe base
18,210; support fixture
18a, 210a; Body
18b, 210b; Leg
20; Probe device
22; Relay base
24; Relay board
26; space
30; Probe assembly
32; Support block
34; Connection block
36; Joining block
38; Assembly device
40; Connection block
42; Probe
42a; Needle body
42b; Tip area
42c; Trailing area
42d; Tip
42e; Trailing needle
44; Block edition
46; Slit bar
82; Spring press
120; Electrical connection
122,124; First and second wiring area
126,128; First and second wiring
200; Test equipment
204; Support base
206; Worktable
206a; Panel receiving surface
208; Unit support mechanism
212; 2nd relay board
214; Wiring sheet
220,222; First and second moving bodies
224; Unit moving mechanism
226,228; stopper
230; rail
232; guide
234; Guide Hole (Probe Displacement Mechanism)
236; Rod (Probe Displacement Mechanism)
238; Guide (Probe Displacement Mechanism)
240; Rail (Probe Displacement Mechanism)
242; Compression Coil Spring (Probe Displacement Mechanism)

Claims (15)

판상의 프로브 베이스와, 그 프로브 베이스 상에 배치된 지지대와, 그 지지대에 지지된 프로브 장치로, 선단침선 및 후단침선을 갖는 복수의 프로브를 구비하는 프로브 장치와, 그 프로브 장치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전기적 접속구로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배선을 갖으며, 또한 각 배선의 선단부가 상기 후단 침선에 접속된 전기적 접속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는 전방, 후방 및 하방으로 개방된 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전기적 접속구의 후부측 영역은, 상기 프로브 베이스의 상측으로 인도되면서 상기 지지대의 상기 공간을 거쳐 연장되는 프로브 유닛.
A probe device having a plate-shaped probe base, a support disposed on the probe base, and a probe device supported by the support, the probe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probes having a leading needle and a trailing needle, and extending rearward from the probe device. An electrical connection port having a plurality of wires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further comprising an electrical connection port in which a leading end of each wire is connected to the rear needle tip,
The support has an open space forward, rearward and downward,
And a rear region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port extends through the space of the support while being guided to the upper side of the probe base.
상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판형상의 몸체부로, 상기 프로브 장치가 부착된 몸체부와, 몸체부의 좌우방향에서의 각 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다리부에 의해 정면형상의 문형(門型)으로 형성되어 있는 프로브 유닛.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ort is a plate-shaped body portion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e body portion with the probe device is attached, and the front portion by the leg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each en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A probe unit formed in a door shape.
상기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 중 한쪽은 상기 몸체부의 앞단에서 좌우방향에서의 일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다리부의 다른 쪽은 상기 몸체부 후단에서 좌우방향에서의 타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그에 의해 상기 지지대는 크랭크 모양의 평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프로브 유닛.
According to claim 2, One of the leg portion is protruded in one directio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from the front end of the body portion, the other side of the leg portion protrudes in the other directio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from the rear end of the body portion The probe unit is thereby formed in a planar shape of the crank shape.
상기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프로브 베이스 및 상기 다리부 중 어느 한쪽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서 상기 프로브베이스 및 상기 다리부의 다른 쪽에 나사결합된 나사부재에 의해 상기 프로브 베이스에 부착되어 있는 프로브 유닛.
The said support base is attached to the said probe base by the screw member which penetrated one of the said probe base and the said leg part in the up-down direction, and was screwed to the other side of the said probe base and the said leg part. Probe unit.
상기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지지대와, 그 지지대 각각에 지지된 복수의 상기 프로브 장치를 포함하는 프로브 유닛.
The probe unit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said supports and a plurality of said probe devices supported on each of said supports.
상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에 공통으로 지지된 복수의 상기 프로브 장치를 포함하는 프로브 유닛.
The probe unit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the probe devices commonly supported by the support.
상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 베이스의 상측에 배치된 중계기판으로 상기 전기적 접속구의 배선의 후단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된 중계기판을 더 포함하는 프로브 유닛.
The probe unit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relay board on which a rear end portion of the wiring of the electrical connecto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relay board disposed above the probe base.
상기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접속구의 후단부는 커넥터에 의해 상기 중계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프로브 유닛.
The probe unit of claim 7, wherein a rear end of the electrical connecto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relay board by a connector.
상기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판은 후방 및 상방으로 비스듬히 연장되는 상태로 상기 프로브 베이스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기적 접속구의 후단부는 커넥터 및 그 커넥터에 접속된 케이블에 의해 상기 중계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프로브 유닛.
8. The relay board of claim 7, wherein the relay board is disposed above the probe base in an obliquely extending rearward and upward direction, and a rear end of the electrical connector is connected to the relay board by a connector and a cable connected to the connector. Probe units that are electrically connected.
상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 장치는 상기 복수의 프로브를 프로브 홀더의 하측에 배치한 프로브 조립체와, 그 프로브 조립체를 지지하는 제1지지장치와, 그 제1지지장치를 지지하는 제2지지장치로 상기 지지대에 부착된 제2지지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전기적 접속구는 상기 프로브 조립체의 후단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프로브 유닛.
The probe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probe device includes a probe assembly having the plurality of probes disposed below the probe holder, a first support device for supporting the probe assembly, and a second support for supporting the first support device. A device having a second support device attached to said support,
And the electrical connector extends rear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probe assembly.
상기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접속구는 상기 제1의 지지장치의 하부를 거쳐 후방으로 연장되어서 상기 프로브 베이스의 전단부에서 상기 프로브 베이스의 상측으로 인도되는 프로브 유닛.
The probe unit of claim 10, wherein the electrical connector extends rearward through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device and is led from the front end of the probe base to the upper side of the probe base.
상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접속구는 전후방향으로 복수의 제1배선을 갖는 제1배선영역으로, 각 제1배선의 선단부가 상기 프로브의 후단침선에 접속된 제1배선영역과,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2배선을 갖는 제2배선영역으로 각 제2배선의 선단부가 상기 제1배선의 후단부에 접속된 제2배선영역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제2배선영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 베이스의 상측으로 인도되면서 상기 지지대의 상기 공간을 경유하고 있는 프로브 유닛.
2. The electrical connection port of claim 1, wherein the electrical connector is a first wiring region having a plurality of first wirings in a front-rear direction, a first wiring region in which the front end portion of each first wiring is connected to the trailing needle of the probe, and the front-back direction. A second wiring region having a plurality of second wirings extending to the second wiring region including a second wiring region having a distal end portion of each second wiring connected to a rear end portion of the first wiring; The probe unit is guided to the upper side of the base via the space of the support.
상기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장치는, 상기 제2지지장치에 지지된 지지블록과, 그 지지블록에 조합된 결합블록으로 상기 프로브 조립체가 전부 하측에 조합되며 상기 제1배선영역이 하측에 배치된 결합블록과, 상기 지지블록의 후부 하측과 상기 결합블록의 후부 상측 사이에 배치되어서 상기 지지블록에 부착된 접속블록으로 상기 제2배선영역의 선단부가 하측에 배치된 접속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제1배선영역의 후단부는 상기 결합블록의 후단에 있어서 그 결합블록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되접어 꺾여서 그 각 배선이 상기 제2배선영역의 배선에 접속되어 있는 프로브 유닛.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first support device is a support block supported by the second support device, the coupling block is combined to the support block, the probe assembly is all combined on the lower side and the first wiring area is A coupling block disposed at a lower side, and a connecting block disposed between the rear lower side of the support block and the rear upper side of the coupling block and attached to the support block, the connecting block having a distal end portion of the second wiring area disposed below. ,
And a rear end portion of the first wiring region is bent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of the coupling block at the rear end of the coupling block, and the respective wirings are connected to the wiring of the second wiring region.
상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접속구는 시트형상의 배선접속구를 포함하는 프로브 유닛.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electrical connector comprises a sheet-shaped wiring connector.
베이스와, 그 베이스에 지지된 워크테이블로서, 평판형상 피검사체를 공급받는 리시브부를 갖는 워크테이블과, 상기 제1항에 기재된 프로브 유닛으로서 상기 베이스에 배치된 프로브 유닛과, 그 프로브 유닛을 상기 베이스에 지지시키는 유닛 지지기구를 포함하고,
그 유닛 지지기구는 상기 피검사체와 평행한 XY면 내부를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베이스에 받아들여진 제1이동체로서, 상기 XY면 안을 좌우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이동체와, 비스듬히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제1이동체에 결합된 제2이동체로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이동체와, 상기 제2이동체의 최전진위치를 규정하는 스토퍼와, 상기 제1이동체를 피검사체에 대하여 진퇴시키고 그에 의해 상기 제2이동체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상하방향으로 변위시키는 프로브변위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프로브 유닛은 상기 제2이동체에 지지되어 있는 시험장치.
A base, a worktable supported by the base, the worktable having a receiving portion supplied with a flat object, a probe unit disposed on the base as the probe unit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probe unit; A unit support mechanism for supporting the
The unit support mechanism is a first movable member which is received in the base so as to be mova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in the XY plane parallel to the inspected object, the first movable body which extends in the XY surface in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moves obliquely in the vertical direction. A second movable body extending laterally to a second movable body coupled to the first movable body, a stopper defining the most advanced position of the second movable body, and retreating the first movable body with respect to the test subject; Probe displacement mechanism for displac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le moving the second moving body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the probe unit is supported by the second moving body.
KR1020100071271A 2009-08-04 2010-07-23 Probe unit and tes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116895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81391 2009-08-04
JPJP-P-2009-181391 2009-08-04
JPJP-P-2010-136041 2010-06-15
JP2010136041A JP5406790B2 (en) 2009-08-04 2010-06-15 Probe unit and test apparatus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4092A true KR20110014092A (en) 2011-02-10
KR101168953B1 KR101168953B1 (en) 2012-07-30

Family

ID=43745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1271A KR101168953B1 (en) 2009-08-04 2010-07-23 Probe unit and tes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68953B1 (en)
CN (1) CN101988932B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9260B1 (en) * 2019-09-09 2020-12-18 주식회사 디앤에스시스템 Probe block for testing panel
CN112763892A (en) * 2020-12-24 2021-05-07 广德英菲特电子有限公司 Detection device for circuit board
CN112098692B (en) * 2019-06-18 2023-10-20 旺矽科技股份有限公司 Electronic component needle-testing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88770B (en) * 2011-07-07 2013-11-27 清华大学深圳研究生院 Immunofluorescence diethylstilbestrol detecting method based on quantum dots and special kit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6346A (en) * 1999-08-19 2001-02-27 Fujitsu Ltd Probe card and method for testing wafer on which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device are formed
JP2005189126A (en) * 2003-12-26 2005-07-14 Nec Kansai Ltd Current-carrying device and current-carrying method to semiconductor bar
CN2727784Y (en) * 2004-03-26 2005-09-21 广辉电子股份有限公司 Circuit fault detecting and laser repairing device for two-dimensional display
JP4758826B2 (en) * 2006-05-30 2011-08-31 株式会社日本マイクロニクス Probe unit and inspection device
JP2009115585A (en) * 2007-11-06 2009-05-28 Micronics Japan Co Ltd Probe assembly and test devi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98692B (en) * 2019-06-18 2023-10-20 旺矽科技股份有限公司 Electronic component needle-testing device
KR102189260B1 (en) * 2019-09-09 2020-12-18 주식회사 디앤에스시스템 Probe block for testing panel
CN112763892A (en) * 2020-12-24 2021-05-07 广德英菲特电子有限公司 Detection device for circuit board
CN112763892B (en) * 2020-12-24 2024-03-19 广德英菲特电子有限公司 Detection device for circuit boa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988932B (en) 2013-06-05
CN101988932A (en) 2011-03-23
KR101168953B1 (en) 2012-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7686B1 (en) Panel Inspecting Apparatus
JP5137336B2 (en) Movable probe unit mechanism and electrical inspection device
KR20060049154A (en) Apparatus for inspecting of display panel
KR101168953B1 (en) Probe unit and tes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4790997B2 (en) Probe device
TWI387755B (en) Probe assembly
JP5406790B2 (en) Probe unit and test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020036694A (en) Unit with inspection probe blocks mounted thereon in parallel
JP5417265B2 (en) Probe assembly
KR100571054B1 (en)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JP4634059B2 (en) Probe assembly
JP4369201B2 (en) Probe assembly
KR101074660B1 (en) Probe Unit for Electrial Inspection, Electrical Inspection Apparatus and Lighting Inspection Apparatus
JP2002082142A (en) Face-holding movement and guide mechanism, and continuity testing device for wiring board and the like using the same
KR102635451B1 (en) Display panel test apparatus
KR101055343B1 (en) Probe Unit and Inspection Device
JP5308958B2 (en) Work table and display device for display panel
CN210347851U (en) Common two-section FPC false pressure detection jig
CN113533937A (en) Circuit board test jig
KR20110011540A (en) Probe apparatus
KR101318159B1 (en) Probe System and Method of Cleaning Device under Test
JP4053790B2 (en) Display board inspection socket
JP2008304257A (en) Probe unit and inspection device
JP2002076570A (en) Surface-holding movement/guiding mechanism and continuity testing device for wiring board and the like by using the mechanism
JP2006138634A (en) Electrical connection apparatus used for inspection device of panel for displ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