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3754A - 공작기계의 공작물 회수장치 - Google Patents

공작기계의 공작물 회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3754A
KR20110013754A KR1020090071371A KR20090071371A KR20110013754A KR 20110013754 A KR20110013754 A KR 20110013754A KR 1020090071371 A KR1020090071371 A KR 1020090071371A KR 20090071371 A KR20090071371 A KR 20090071371A KR 20110013754 A KR20110013754 A KR 201100137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et
workpiece
machine tool
lower cover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1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석규
Original Assignee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위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1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3754A/ko
Publication of KR20110013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37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007Flying work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04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by means of grippers
    • B23Q7/043Construction of the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04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by means of grippers
    • B23Q7/046Handling workpieces or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14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co-ordinated in production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7/00Automatic supply or removal of metal workpie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버켓이 공작물을 이동시키는 경우에 버켓이 수직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버켓으로부터 공작물이 낙하하지 못하도록 하며, 버켓의 상부로부터 공작물을 받아서 버켓의 하부로부터 공작물을 회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작물의 입출구를 다르게 할 수 있는, 공작기계의 공작물 회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공작물을 받기 위한 버켓과, 상기한 버켓의 하부에 힌지를 이용하여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커버와, 상기한 하부커버가 버켓의 하부를 개방시키지 못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과, 일측에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버켓이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제1 회전축에 타측이 연결되어 있는 아암과, 상기한 하부커버를 밀어줌으로써 버켓의 하부를 개방시키기 위한 스톱퍼와, 버켓으로부터 공작물을 회수하기 위한 박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버켓, 하부커버, 아암, 스프링, 스톱퍼, 박스

Description

공작기계의 공작물 회수장치{Part catcher for machine tool}
이 발명은 공작기계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세부적으로 말하자면 버켓이 공작물을 이동시키는 경우에 버켓이 수직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버켓으로부터 공작물이 낙하하지 못하도록 하며, 버켓의 상부로부터 공작물을 받아서 버켓의 하부로부터 공작물을 회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작물의 입출구를 다르게 할 수 있는, 공작기계의 공작물 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NC와 같은 공작기계에 있어서는 무인 자동으로 일정한 공작물을 계속하여 가공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공작물을 받아내는 공작물 회수장치가 필요하다.
참고로, 공작물 수거박스의 설치 위치가 다소 다르더라도 지지바에 설치된 부품받이 케이스가 이 지지바에 대해 회전하면서 공작물 수거박스의 설치위치 변화에 따른 길이를 보상해줄 수 있도록 하는 공작기계의 공작물 회수장치에 관한 기술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실1996-010175(공개일자 1996년 4월 12일)에서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공작기계의 공작물 회수장치는, 버켓이 회전하는 경우에 버 켓으로부터 공작물이 낙하하게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버켓이 공작물을 이동시키는 경우에 버켓이 수직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버켓으로부터 공작물이 낙하하지 못하도록 하는, 공작기계의 공작물 회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버켓의 상부로부터 공작물을 받아서 버켓의 하부로부터 공작물을 회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작물의 입출구를 다르게 할 수 있는 공작기계의 공작물 회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 발명의 구성은, 공작물을 받기 위한 버켓과, 상기한 버켓의 하부에 힌지를 이용하여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커버와, 상기한 하부커버가 버켓의 하부를 개방시키지 못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과, 일측에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버켓이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제1 회전축에 타측이 연결되어 있는 아암과, 상기한 하부커버를 밀어줌으로써 버켓의 하부를 개방시키기 위한 스톱퍼와, 버켓으로부터 공작물을 회수하기 위한 박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스프링은 인장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박스는 버켓의 하부와 대응되는 부위에 개구부가 형성되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버켓이 공작물을 이동시키는 경우에 버켓이 수직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의 구성은, 버켓이 아암을 따라 회전되면서 스톱퍼가 설치되어 있는 곳까지 회전되면, 스톱퍼가 하부커버를 밀어 올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은, 버켓이 공작물을 이동시키는 경우에 버켓이 수직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버켓으로부터 공작물이 낙하하지 못하도록 하며, 버켓의 상부로부터 공작물을 받아서 버켓의 하부로부터 공작물을 회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작물의 입출구를 다르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발명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
도 1은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공작물 회수장치가 공작물을 받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공작물 회수장치가 공작물을 이동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공작물 회수장치가 공작물을 박스에 회수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공작물 회수장치의 구성은, 공작물(1)을 받기 위한 버켓(2)과, 상기한 버켓(2)의 하부에 힌지(3)를 이용하여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커버(4)와, 상기한 하부커버(4)가 버켓(2)의 하부를 개방시키지 못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5)과, 일측에 제2 회전축(6)을 중심으로 버켓(1)이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제1 회전축(7)에 타측이 연결되어 있는 아암(8)과, 상기한 하부커버(4)를 밀어줌으로써 버켓(2)의 하부를 개방시키기 위한 스톱퍼(9)와, 버켓(2)으로부터 공작물을 회수하기 위한 박스(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스프링(5)은 인장 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박스(10)는 버켓(2)의 하부와 대응되는 부위에 개구부가 형성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공작물 회수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평상시,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한 버켓(2)의 하부에 힌 지(3)를 이용하여 개폐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하부커버(4)의 일측단을 스프링(5)이 탄성력을 이용하여 잡아당겨 줌으로써 하부커버(4)가 버켓(2)의 하부를 개방시키지 못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공작물(1)이 버켓(2)에 낙하되면,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아암(8)이 제1 회전축(7)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경우에, 버켓(2)은 아암(8)을 따라 함께 이동하게 됨으로써 버켓(2)의 내부에 담겨진 공작물(1)을 이동시키게 된다. 이 때, 버켓(2)은 제2 회전축(6)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수직상태를 유지함으로써 공작물(1)이 버켓(2)의 외부로 낙하되지 않도록 한다.
버켓(2)이 아암(8)을 따라 회전되면서 스톱퍼(9)가 설치되어 있는 곳까지 회전되면,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스톱퍼(9)가 하부커버(4)를 밀어 올리게 되고, 이와 같이 스톱퍼(9)가 스프링(5)의 인장력보다 더 큰 압력으로 하부커버(4)를 밀어 올리게 되면 힌지(3)를 이용하여 버켓(2)의 하부에 장착되어 있던 하부커버(4)가 버켓(2)으로부터 떨어지게 됨으로써 버켓(2)의 하부가 개방된다.
버켓(2)의 하부가 개방되면 버켓(2)의 내부에 있던 공작물(1)이 개방된 버켓(2)의 하부를 통해 박스(10)의 안으로 낙하되어 회수된다.
공작물(1)이 박스(10)의 안으로 회수된 뒤에, 아암(8)이 제1 회전축(7)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하부커버(4)가 스톱퍼(9)로부터 벗어나게 됨으로써 스프링(5)의 인장력이 작용하게 됨에 따라 원래 위치로 복귀하여 버켓(2)의 하부를 닫게 된다.
도 1은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공작물 회수장치가 공작물을 받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공작물 회수장치가 공작물을 이동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공작물 회수장치가 공작물을 박스에 회수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공작물 2 : 버켓
3 : 힌지 4 : 하부 커버
5 : 스프링 6 : 제2 회전축
7 : 제1 회전축 8 : 아암
9 : 스톱퍼 10 : 박스

Claims (5)

  1. 공작물을 받기 위한 버켓과,
    상기한 버켓의 하부에 힌지를 이용하여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커버와,
    상기한 하부커버가 버켓의 하부를 개방시키지 못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과,
    일측에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버켓이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제1 회전축에 타측이 연결되어 있는 아암과,
    상기한 하부커버를 밀어줌으로써 버켓의 하부를 개방시키기 위한 스톱퍼와,
    버켓으로부터 공작물을 회수하기 위한 박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공작물 회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스프링은 인장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공작물 회수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박스는 버켓의 하부와 대응되는 부위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공작물 회수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버켓이 공작물을 이동시키는 경우에 버켓이 수직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공작물 회수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버켓이 아암을 따라 회전되면서 스톱퍼가 설치되어 있는 곳까지 회전되면, 스톱퍼가 하부커버를 밀어 올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공작물 회수장치.
KR1020090071371A 2009-08-03 2009-08-03 공작기계의 공작물 회수장치 KR201100137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1371A KR20110013754A (ko) 2009-08-03 2009-08-03 공작기계의 공작물 회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1371A KR20110013754A (ko) 2009-08-03 2009-08-03 공작기계의 공작물 회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3754A true KR20110013754A (ko) 2011-02-10

Family

ID=43773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1371A KR20110013754A (ko) 2009-08-03 2009-08-03 공작기계의 공작물 회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375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1302A (ko) 2022-02-11 2023-08-18 주식회사 디엔솔루션즈 공작기계의 공작물 배출 장치
KR20230139015A (ko) 2022-03-25 2023-10-05 주식회사 디엔솔루션즈 공작기계의 공작물 회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1302A (ko) 2022-02-11 2023-08-18 주식회사 디엔솔루션즈 공작기계의 공작물 배출 장치
KR20230139015A (ko) 2022-03-25 2023-10-05 주식회사 디엔솔루션즈 공작기계의 공작물 회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13754A (ko) 공작기계의 공작물 회수장치
CN103124915A (zh) 光纤切断装置的屑回收装置
KR101806034B1 (ko) 휴지통 뚜껑 회동장치
JP5921209B2 (ja) さく孔機用ロッド脱着装置
US20200089133A1 (en) Levellable mask repository device
CN106868807A (zh) 一种滚筒洗衣机
JP2006346806A (ja) 工作機械のシャッタ装置
JP4771474B2 (ja) 蝶番
KR20130072418A (ko) 공작기계용 도어의 자동 개폐장치
JP2008133675A (ja) 天井用目地カバー装置
CN210166231U (zh) 用于电池拉力机的防护装置
CN101575778A (zh) 缝纫机的盖开闭装置
JP2549531Y2 (ja) スイッチギヤ
FR2984787A1 (fr) Changeur d'outil
JP3119809U (ja) 自動材料試験機
JPH111940A (ja) カウンタウエイト着脱装置を備えた作業機械
CN209424584U (zh) 一种五金模具制造用的定位打孔装置
CN206140196U (zh) 钻机
JP3947331B2 (ja) 自立型装置の転倒防止機構
CN212386568U (zh) 一种石油勘探开采用碎石运输设备
CN214189146U (zh) 一种用于数理统计学的画图工具承装装置
CN210923858U (zh) 一种可移动的高频整流器线路故障检测装置
KR100794608B1 (ko) 필름연결장치의 펀치 자동 복귀장치
JP5140629B2 (ja) 人孔蓋枠への固定装置を有する人孔用安全作業柵体及びその固定装置
CN213634271U (zh) 一种施工工程监理数据手持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