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3642A -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3642A
KR20110013642A KR1020090071192A KR20090071192A KR20110013642A KR 20110013642 A KR20110013642 A KR 20110013642A KR 1020090071192 A KR1020090071192 A KR 1020090071192A KR 20090071192 A KR20090071192 A KR 20090071192A KR 20110013642 A KR20110013642 A KR 201100136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stirring
tank
water
de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1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근범
정승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티아이피
박근범
정승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티아이피, 박근범, 정승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티아이피
Priority to KR1020090071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3642A/ko
Publication of KR20110013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36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with means for influencing the odor, e.g. deodorizing sub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22Crushing mills with screw-shaped crushing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02F1/0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Abstract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여 처리하는 것으로서, 음식물 쓰레기가 유입되고, 상기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내부의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는 교반 분해조와, 상기 교반 분해조 내의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시키는 교반기를 포함하는 교반 분해 부재; 및 상기 교반 분해 부재에서 유출되는 오폐수를 정화시키는 수처리 부재;를 포함한다.
개시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에 의하면, 수처리 부재가 구비됨에 따라, 파쇄 부재와 교반 분해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서 유출되는 오폐수를 정화시킬 수 있으므로, 고가의 별도의 오폐수 처리 설비를 구비할 필요없이, 음식물 처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폐수를 음식물 처리 장치 자체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음식물 처리 장치를 설치할 수 있는 범위가 증대될 수 있고, 그 설치 비용이 감소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Food and drink waste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는 가정 및 산업 현장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장치로서, 여러 가지 방식으로 제작되고 있으며, 그러한 일 종으로 호기성 고온균을 이용한 발효 소멸 방식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호기성 고온균을 이용한 발효 소멸 방식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에 의하면, 음식물 쓰레기 처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폐수를 처리할 수단이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에 구비되지 아니하여, 그러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해서 별도의 오폐수 처리 시설이 필요하였다. 따라서, 그러한 오폐수 처리 시설이 설치되어 있는 장소 부근에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가 설치될 수 있어서, 그 설치 범위가 제한적일 수 있고, 별도로 오폐수 처리 시설을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그 설치 비용이 고가인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호기성 고온균을 이용한 발효 소멸 방식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에 의하면, 뼈, 조개 껍질 등 단단한 물질이 포함된 음식물 쓰레기는 호기성 고온균에 의해 처리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음식물 처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폐수를 자체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호기성 고온균을 이용하면서도, 단단한 물질도 처리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여 처리하는 것으로서,
음식물 쓰레기가 유입되고, 상기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내부의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는 교반 분해조와, 상기 교반 분해조 내의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시키는 교반기를 포함하는 교반 분해 부재; 및 상기 교반 분해 부재에서 유출되는 오폐수를 정화시키는 수처리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에 의하면, 수처리 부재가 구비됨에 따라, 파쇄 부재와 교반 분해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서 유출되는 오폐수를 정화시킬 수 있으므로, 고가의 별도의 오폐수 처리 설비를 구비할 필요없이, 음식물 처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폐수를 음식물 처리 장치 자체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음식물 처리 장치를 설치할 수 있는 범위가 증대될 수 있고, 그 설치 비용이 감소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에 의하면, 파쇄 부재가 구비됨에 따라, 뼈, 조개 껍질 등 단단한 물질이 포함된 음식물 쓰레기도 파쇄되어 처리될 수 있고,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될 때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파쇄되어 교반 분해 부재로 공급됨에 따라, 교반 분해 부재에서 더욱 효율적으로 분해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에 의하면, 악취 저감 부재가 구비됨에 따라, 교반 분해 부재에서 호기성 고온균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가 발효 처리되면서 발생되는 악취가 저감될 수 있으므로, 그러한 악취가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주변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100)는 파쇄 부재(110)와, 교반 분해 부재(120)와, 수처리 부재(130)를 포함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여 처리할 수 있는 장치이다.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100)는 악취 저감 부재(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면 번호 101은 상기 파쇄 부재(110)와 상기 교반 분해 부재(120)를 연통시키는 연통 홀이다.
상기 파쇄 부재(110)는 음식물 투입부(111)와, 파쇄조(112)와, 파쇄 블레이드 구동부(113)와, 파쇄 블레이드(114)를 포함하여,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파쇄시키는 것이다.
상기 음식물 투입부(111)는 외부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입구 부분으로, 상기 파쇄조(112)와 연통된다. 상기 음식물 투입부(111)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가 상기 파쇄조(112) 내부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음식물 투입부(111)는 상기 파쇄조(112) 쪽이 좁은 깔때기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파쇄조(112)는 상기 음식물 투입부(111)를 통해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수용되는 것으로, 내부에 상기 파쇄 블레이드(114)가 배치된다.
상기 파쇄 블레이드(114)는 적어도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서로 맞물리도록 설치되며, 상기 파쇄조(112)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파쇄 블레이드(114)의 외면에는 스크류 형상의 파쇄날이 형성되고, 서로 이웃하는 파쇄 블레이드(114)의 파쇄날들이 서로 맞물린 상태로 회전되면서 상기 파쇄조(112) 내로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처음 투입되는 크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파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파쇄 블레이드(114)의 파쇄날은 상기 연통 홀(101)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파쇄 블레이드(114)에 의해 잘게 파쇄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그러한 파쇄와 함께, 상기 파쇄 블레이드(114)에 의해 상기 연통 홀(101) 쪽으로 이송된다.
상기와 같은 음식물 쓰레기 파쇄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파쇄 블레이드(114)는 상기 음식물 투입부(111)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파쇄 블레이드 구동부(113)는 모터 등으로 구성되어, 상기 파쇄 블레이드(114)가 회전될 수 있는 구동력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파쇄 부재(110)가 구비됨에 따라, 뼈, 조개 껍질 등 단단한 물질이 포함된 음식물 쓰레기도 파쇄되어 처리될 수 있고,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될 때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파쇄되어 상기 교반 분해 부재(120)로 공급됨에 따라, 상기 교반 분해 부재(120)에서 더욱 효율적으로 분해될 수 있다.
상기 파쇄 부재(110)는 상기 교반 분해 부재(120)의 상단 또는 일 측면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파쇄 부재(110)를 경유하며 파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상기 연통 홀(101)을 통해 상기 교반 분해 부재(120) 내부로 낙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교반 분해 부재(120)는 교반 분해조(121)와, 교반 블레이드(122)와, 교반 블레이드 구동부(123)를 포함하여, 상기 파쇄 부재(110)를 경유하며 파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상기 연통 홀(101)을 통해 유입되고, 상기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교반되면서 내부의 미생물, 예를 들어 호기성 고온균에 의해 분해되는 것이다.
상기 교반 분해조(121)는 상기 연통 홀(101)을 통해 상기 파쇄조(112)와 연통되는 것으로, 상기 파쇄조(112) 내에서 파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유입되어 수용되고, 내부에 호기성 고온균이 수용된다. 상기 호기성 고온균에 의해, 상기 교반 분해조(121) 내부에 수용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발효되면서 분해 처리될 수 있다. 상기 교반 분해조(121)에는 상기 호기성 고온균의 최적 활동 환경을 위하여, 히터(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교반 블레이드(122)는 외면에 스크류 형상의 교반날이 형성되어, 회전 되면서 상기 교반 분해조(121) 내부의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시킨다. 상기 교반 블레이드(122)는 상기 교반 분해조(121) 내에 단수 개로 설치될 수도 있고, 복수 개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교반 블레이드 구동부(123)는 모터 등으로 구성되어, 상기 교반 블레이드(122)를 회전시킨다.
상기 교반 블레이드(122)와 상기 교반 블레이드 구동부(123)는 상기 교반 분해조(121) 내부의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측면에서 교반기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교반기가 상기 교반 분해조(121) 내에 설치됨에 따라, 상기 교반 분해조(121) 내에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상기 교반 분해조(121) 내의 호기성 고온균과 함께 상기 교반기에 의해 교반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호기성 고온균에 공기 공급이 원활해지는 등 호기성 고온균의 활동성이 향상될 수 있으므로, 상기 교반 분해조(121) 내부에서의 음식물 쓰레기 분해가 더욱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상기 파쇄 부재(110)가 상기 교반 분해 부재(120)와 별도로 구성되는 것으로 제시되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다. 즉, 상기 파쇄 부재(110)가 별도로 구성되지 아니하고, 상기 교반 분해 부재(120)가 상기 파쇄 부재(110)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교반 분해 부재(120)의 파쇄 기능 수행이 가능하도록, 상기 교반 블레이드(122)가 적어도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서로 맞물리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교반 블레이드(122)의 외면에는 스크류 형상의 교반날이 형 성되고, 서로 이웃하는 상기 교반 블레이드(122)의 교반날들이 서로 맞물린 상태로 회전되면서 상기 교반 분해조(121) 내로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처음 투입되는 크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파쇄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교반 분해 부재(120)도 파쇄 기능을 수행하면서, 상기 파쇄 부재(110)도 별도로 더 설치되어 작동될 수도 있다.
상기 수처리 부재(130)는 오폐수 유입관(131)과, 증발조(132)와, 가열부(133)와, 수분 유출관(134)를 포함하여, 상기 파쇄 부재(110)와 상기 교반 분해 부재(120) 중 적어도 하나에서 유출되는 오폐수를 정화시키는 것이다.
상기 오폐수 유입관(131)은 상기 파쇄조(112) 및 상기 증발조(132)와 각각 연통되는 것으로, 상기 파쇄조(112)에서 음식물 파쇄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폐수가 유입되어, 상기 증발조(132)로 유동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오폐수 유입관(131)은 상기 파쇄조(112)에 연결된 것으로 제시되나, 상기 교반 분해조(121)에 연결될 수도 있고, 상기 파쇄조(112) 및 상기 교반 분해조(121)에 함께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오폐수 유입관(131)이 상기 파쇄조(112) 및 상기 교반 분해조(121)에 함께 연결되면, 상기 파쇄조(112) 및 상기 교반 분해조(121)에서 발생되는 오폐수가 상기 오폐수 유입관(131)을 통해 상기 증발조(131)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증발조(132)는 상기 오폐수 유입관(131)을 통해 유동된 오폐수가 수용되는 것으로, 그 하부에 상기 가열부(133)가 설치된다.
상기 가열부(133)는 히터(미도시) 등으로 구성되어, 상기 증발조(132) 내에 수용된 오폐수 내의 수분이 증발되도록, 상기 증발조 내의 오폐수를 가열한다. 상기 가열부(133)에 의해 상기 증발조(132) 내의 오폐수가 가열되면, 수분이 증발하게 되고, 그 증발된 수분은 이물질이 제거된 정수이므로, 상기 수분 유출관(134)을 통해 유출된다.
상기 수분 유출관(134)은 상기 증발조(132)에서 상기 가열부(133)에 의해 가열되어 증발된 수분이 유출되는 것으로, 상기 증발조(132)와 상기 교반 분해조(121)를 연결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증발조(132)에서 증발되면서 정화된 수분이 상기 교반 분해조(121) 내로 유입되어, 상기 교반 분해조(121) 내의 호기성 고온균에 공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오폐수 유입관(131), 상기 증발조(132) 및 상기 수분 유출관(134) 중 적어도 하나에는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는 필터(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수처리 부재(130)가 설치됨에 따라, 상기 파쇄 부재(110)와 상기 교반 분해 부재(120) 중 적어도 하나에서 유출되는 오폐수를 정화시킬 수 있으므로, 고가의 별도의 오폐수 처리 설비를 구비할 필요없이, 음식물 처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폐수를 상기 음식물 처리 장치(100) 자체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음식물 처리 장치(100)를 설치할 수 있는 범위가 증대될 수 있고, 그 설치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악취 저감 부재(140)는 공기 유입관(143)과, 악취 제거 필터(142)와, 오존 발생부(145)와, 공기 유출관(141)을 포함하여, 상기 교반 분해조(121)에서 음 식물 쓰레기 처리 중 발생되는 악취를 저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공기 유입관(143)은 상기 교반 분해조(121)의 상부에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교반 분해조(121) 내의 공기가 유입된다. 상기 공기 유입관(143)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교반 분해조(121) 내에서 호기성 고온균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가 발효 처리되면서 발생되는 악취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악취 제거 필터(142)는 상기 공기 유입관(143)을 통해 유입된 공기 내의 악취를 제거한다.
상기 오존 발생부(145)는 오존을 발생시켜 상기 공기 유입관(143)을 통해 유입된 공기 중으로 그 오존을 공급함으로써, 그러한 유입 공기 내의 악취를 제거시킨다.
여기서, 상기 악취 제거 필터(142)와 상기 오존 발생부(145)의 적용은 선택적인 것으로, 둘 중 어느 하나가 적용될 수도 있고, 함께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공기 유출관(141)은 상기 악취 제거 필터(142) 및 상기 오존 발생부(145)를 경유하면서 악취가 제거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것으로, 그 말단의 공기 유출구(144)를 통해 외부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악취가 제거된 공기가 상기 공기 유출구(14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으로 제시되나, 상기 교반 분해조(121) 내부로 재유입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악취 저감 부재(140)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교반 분해 부재(120)에서 호기성 고온균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가 발효 처리되면서 발생되는 악 취가 저감될 수 있으므로, 그러한 악취가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100) 주변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10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음식물 투입부(111)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면,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는 상기 음식물 투입부(111)를 경유하여 상기 파쇄조(112)로 유입된다.
상기 파쇄조(112)로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는 상기 파쇄 블레이드 구동부(113)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파쇄 블레이드(114)에 의해 잘게 파쇄되면서, 상기 연통 홀(101) 방향으로 이송된다.
상기 파쇄조(112) 내에서 파쇄된 음식물 쓰레기는 상기 연통 홀(101)을 통해 상기 교반 분해조(121) 내로 유입된다.
상기 교반 분해조(121) 내로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는 상기 교반 블레이드 구동부(123)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교반 블레이드(122)에 의해 교반되면서, 상기 교반 분해조(121) 내의 호기성 고온균에 의해 발효 처리된다. 상기 교반 분해조(121) 내에서의 교반 및 발효 과정은 수시간 내지 수십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파쇄조(112) 내에서 형성되는 오폐수는 상기 오폐수 유입관(131)을 통해 상기 증발조(132)로 유입되고, 상기 증발조(132)로 유입된 오폐수는 상기 가열부(133)에 의해 가열된다. 그러면, 상기 오폐수 중의 수분이 증발되어, 상기 수분 유출관(134)을 통해 상기 교반 분해조(121)로 공급된다.
한편, 상기 교반 분해조(121) 내의 호기성 고온균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가 발효되면서 발생되는 악취를 포함한 상기 교반 분해조(121) 내부의 공기는 상기 공기 유입관(143)을 통해 상기 악취 제거 필터(142) 및 상기 오존 발생부(145)로 공급되고, 상기 악취 제거 필터(142) 및 상기 오존 발생부(145)를 거치면서 악취가 제거된다. 상기와 같이 악취가 제거된 공기는 상기 공기 유출관(141) 및 상기 공기 유출구(14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이미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200)는 파쇄 부재(210)와, 교반 분해 부재(220)와, 수처리 부재(2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처리 부재(230)의 수분 유출관(234)이 외부를 향한다. 따라서, 상기 파쇄 부재(210)의 파쇄조(212) 내에서 형성되는 오폐수가 오폐수 유입관(231)을 통해 증발조(232)로 유입되고, 상기 증발조(232)로 유입된 오폐수가 가열부(233)에 의해 가열되어 증발된 수분은 상기 수분 유출관(23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에 의하면, 음식물 처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폐수를 자체적으로 처리할 수 있고, 호기성 고온균을 이용하면서도, 단단한 물질도 처리할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단면도.

Claims (5)

  1.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여 처리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에 있어서,
    음식물 쓰레기가 유입되고, 상기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내부의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는 교반 분해조와, 상기 교반 분해조 내의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시키는 교반기를 포함하는 교반 분해 부재; 및
    상기 교반 분해 부재에서 유출되는 오폐수를 정화시키는 수처리 부재;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는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파쇄시켜 상기 교반 분해 부재로 유입시키는 파쇄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파쇄 부재는 적어도 한 쌍의 파쇄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한 쌍의 파쇄 블레이드가 서로 맞물리면서 회전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파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처리 부재는
    상기 파쇄 부재와 상기 교반 분해 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파쇄 부재와 상기 교반 분해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서 발생되는 오폐수가 유동되는 오폐수 유입관과,
    상기 오폐수 유입관을 통해 유동된 오폐수가 수용되는 증발조와,
    상기 증발조 내에 수용된 오폐수 내의 수분이 증발되도록, 상기 증발조 내의 오폐수를 가열하는 가열부와,
    상기 증발조에서 상기 가열부에 의해 가열되어 증발된 수분이 유출되는 수분 유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 유출관은 상기 교반 분해조와 연결되어, 상기 수처리 부재에서 정화된 수분이 상기 교반 분해조 내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분해조 내의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관과,
    상기 공기 유입관으로 유입된 공기 내의 악취를 제거하는 악취 제거 필터와,
    상기 공기 유입관으로 유입된 공기 중으로 오존을 공급하여 악취를 제거하는 오존 발생부와,
    상기 악취 제거 필터 및 상기 오존 공급부를 경유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 유출관을 포함하는 악취 저감 부재;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1020090071192A 2009-08-03 2009-08-03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201100136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1192A KR20110013642A (ko) 2009-08-03 2009-08-03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1192A KR20110013642A (ko) 2009-08-03 2009-08-03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3642A true KR20110013642A (ko) 2011-02-10

Family

ID=43773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1192A KR20110013642A (ko) 2009-08-03 2009-08-03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364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7470B1 (ko) * 2011-12-22 2013-12-10 서다현 슬러지 혼합용 컴포지션 믹서
CN108187851A (zh) * 2017-12-22 2018-06-22 杨同基 一种畜牧业用饲料加工处理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7470B1 (ko) * 2011-12-22 2013-12-10 서다현 슬러지 혼합용 컴포지션 믹서
CN108187851A (zh) * 2017-12-22 2018-06-22 杨同基 一种畜牧业用饲料加工处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6548B1 (ko) 가정용 음식물 처리기
JP4509373B2 (ja) オゾン処理による付加的な汚泥処理を備えた廃水の浄化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791452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2006272312A (ja) 有機性廃棄物の高速処理装置
CN101883644A (zh) 用于处理不同废物流的方法和系统
KR102045191B1 (ko) 에너지 독립형 유기성 폐기물 처리시스템
KR101472883B1 (ko) 고효율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KR20130107101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768887B1 (ko) 음식물 쓰레기 소멸 시스템
KR101898892B1 (ko) 유기성 폐기물 발효 소멸장치
KR20110013642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100229597B1 (ko)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방법 및 그 장치
JP4537282B2 (ja) 汚泥処理設備および汚泥処理方法
KR101824609B1 (ko) 유기성폐기물 반응장치 및 이를 구비한 유기성폐기물 소멸화 처리시스템
KR200420707Y1 (ko)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
KR20220069889A (ko) 폐열회수형 탈취기가 부착된 폐사축처리장치
KR20090122579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20050025202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20014426A (ko)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사료 및 퇴비의 제조방법
KR102373192B1 (ko) 음식물쓰레기 분해처리시스템
KR0175775B1 (ko) 미생물을 이용한 유기성 슬러지 정화장치
KR100813342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60060365A (ko) 음식물 쓰레기, 가축분뇨 및 하수 슬러지 처리 장치
CN212652385U (zh) 一种微生物法处理含氰废渣系统
KR10140754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