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3166A - 메이크업 화장료와 액상 화장료를 함께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도포 방법 - Google Patents

메이크업 화장료와 액상 화장료를 함께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도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3166A
KR20110013166A KR1020100003244A KR20100003244A KR20110013166A KR 20110013166 A KR20110013166 A KR 20110013166A KR 1020100003244 A KR1020100003244 A KR 1020100003244A KR 20100003244 A KR20100003244 A KR 20100003244A KR 20110013166 A KR20110013166 A KR 201100131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cosmetic composition
coating
skin
cosmetic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3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2356B1 (ko
Inventor
최영진
이윤하
김수진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ublication of KR20110013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31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2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2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Powders; Compacted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7Polyureth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12Face or body powders for grooming, adorning or absorb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8Two- or multipart kits
    • A61K2800/884Sequential applic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팅된 파우더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및 보습제를 함유하는 액상 화장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도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및 그 도포방법은 피부에 밀착력이 있고, 균일하게 도포되며, 화사함과 보습 효과를 동시에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메이크업 화장료와 액상 화장료를 함께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도포 방법 {Cosmetics composition containing make-up cosmetics with liquid phase cosmetics and method for applying the same}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도포 방법에 관한 것이다.
파우더는 압축 파우더와 분말 파우더로 나뉘며, 압축 파우더는 다시 파우더 팩트, 파우더 파운데이션, 트윈 케이크(투웨이 케이크) 등으로 분류되고, 스킨 커버는 오일에 파우더를 분산시킨 유분산 제형, 물에 파우더를 분산시킨 수분산 제형으로 분류되며, 에멀젼 케이크는 물이 외상인 수중유(O/W) 타입과 오일이 외상인 유중수(W/O) 타입으로 분류되어 퍼프(puff)를 이용하여 얼굴에 도포하게 된다.
파우더, 스킨 커버 또는 에멀젼 케이크를 이용하여 메이크업을 한 후 피부의 마무리감은 유분과 수분이 흡수되는 느낌 또는 약간 건조한 느낌이다. 파우더, 스킨 커버 또는 에멀젼 케이크내 파우더의 종류에 따라서 건조한 정도의 차이가 있으나, 기본적으로 모든 파우더 원료들이 화학적, 물리적인 이유로 흡수, 흡유성을 갖기 때문에 피부 수분과 유분을 흡수하는 능력을 가진다. 이를 이용하여 피부 피지 흡수 기능을 갖는 파우더, 스킨 커버 또는 에멀젼 케이크가 있으며 땀 흡수 기능을 갖는 파우더, 스킨 커버 또는 에멀젼 케이크 등으로 소분류되고, 또한 기능성 파우더, 스킨 커버 또는 에멀젼 케이크로 분류되기도 한다.
피부의 수분은 일상 생활 중 외부 습도, 태양광, 전자기파 등으로 인해 감소된다. 피부에 직접 수분을 공급해주는 것이 감소된 수분을 보충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지만, 메이크업 후, 특히 파우더, 스킨 커버 또는 에멀젼 케이크를 이용하여 메이크업 마무리 후 수분 공급은 용이하지 않다. 종래의 메이크업에서는 보습은 스킨 케어 단계에서 제공하거나 리퀴드 파운데이션에서 제공하고 화사한 블루밍 효과는 파우더류에서 제공하도록 되어 있고, 이러한 두 가지 효과를 동시에 제공할 수는 없었다. 특히 메이크업 수정시에는 파우더로 화사한 블루밍 효과는 보충할 수 있지만, 보습을 제공할 수는 없어서 미스트를 뿌리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미스트의 성분은 물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효과의 지속성이 떨어진다. 또한, 미스트는 수분을 제공하나, 증발량이 많아 피부까지 전달되지 않고, 오히려 화장이 지워지게 된다. 그 결과, 메이크업 후 피부는 외부 환경 및 외부 자극에 의해 지속적으로 수분을 빼앗기게 되었다.
종래의 메이크업 화장료의 도포는 퍼프 등의 도포 도구를 이용하여 피부에 물리적인 방법의 강제 도포를 하였다. 이 경우 메이크업 화장료의 형상에 관계없이 피부에 도포되었기 때문에 피부로부터 들뜨는 현상이 흔히 나타났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에 화사함과 보습 효과를 동시에 제공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부에 밀착력이 있고, 균일하게 도포되는 화장료 조성물의 도포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코팅된 파우더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및 보습제를 함유하는 액상 화장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방법으로서, 발수 코팅된 도포 도구를 이용하여 피부에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도포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방법으로서, 발수 코팅된 도포 도구상에 액상 화장료를 점적(dropping) 또는 분무(spraying) 한 후 액상 화장료가 점적 또는 분무된 도포 도구를 이용하여 메이크업 화장료를 피부에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도포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방법으로서, 액상 화장료를 메이크업 화장료상에 점적 또는 분무한 후 발수 코팅된 도포 도구를 이용하여 액상 화장료가 점적 또는 분무된 메이크업 화장료를 피부에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도포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보습을 제공하면서도 화장이 지워지지 않게 하고, 화사함과 보습효과를 동시에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액상 화장료가 메이크업 화장료 제형에 유동성을 부여하여, 피부 위에서 피부결을 따라 메이크업 화장료 고유의 판상 형상이 배치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의 화장막이 얇아지고 촘촘해지게 하며, 피부에 보습이 제공되므로 화장이 들뜨지 않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도포방법은 피부에 밀착력이 있고, 균일하게 도포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액상 화장료와 파우더 제형을 함께 도포한 경우와 파우더 제형만을 도포한 경우의 피부 도포 상태를 피부 진단기를 통하여 확인한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코팅된 파우더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및 보습제를 함유하는 액상 화장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메이크업 화장료는 피부에 사용하는 화장료이면 무방하며, 비제한적인 예로 파우더, 스킨커버 또는 에멀젼 케이크가 있다. 상기 파우더는 고상(solid) 제형 또는 가루 제형이 있다. 또, 상기 스킨커버는 수분산 제형 또는 유분산 제형이 있다. 또, 상기 에멀젼 케이크는 수중유(O/W) 제형 또는 유중수(W/O) 제형이 있다.
상기 메이크업 화장료와 액상 화장료가 함께 혼합 또는 함께 도포될 때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속성은 메이크업 화장료가 액상 화장료에 의해 젖지(wetting) 않아야 하고, 그로 인해 케이킹(caking, 뭉침)이 생기지 않아야 한다. 또한, 피부에 도포할 때에 뭉치지 않고 균일하게 도포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메이크업 화장료가 액상 화장료에 의해 젖지 않도록 메이크업 화장료에 포함된 파우더는 발수성을 띄게 코팅하고 액상 화장료는 친수성을 띄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액상 화장료가 친수성을 띄게 하기 위해 물을 포함하는 친수성의 제형으로 준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메이크업 화장료가 액상 화장료에 의해 젖지 않도록 메이크업 화장료에 포함된 파우더는 발유성을 띄게 코팅하고 액상 화장료는 친유성의 제형으로 준비할 수 있다.
상기 액상 화장료는 바람직하게는 소수성 또는 양친매성 원료를 적게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친유성 제형보다 친수성 제형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코팅된 파우더는 알킬실란 코팅, 디메치콘 코팅, 메치콘 코팅 및 불소 코팅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하는 코팅에 의한 파우더일 수 있다. 상기 코팅 방법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디메치콘 코팅 또는 메치콘 코팅 방법을 사용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불소 코팅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불소 코팅이 발수성, 발유성 면에서 가장 우수하기 때문이다.
상기 코팅 방식은 습식 또는 건식 코팅일 수 있다. 발수코팅을 하고, 액상 화장료가 친수성인 경우, 액상 화장료가 물만 포함하는 경우라면 보통의 2% 알킬실란, 디메치콘 또는 메치콘 코팅으로는 완벽한 발수성을 구현하지 못하지만, 불소 코팅으로는 완벽한 발수성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불소 바인더는 비상용성으로 인하여 파우더와 혼합하는 과정에서 코팅만큼 균일하게 섞이지 않기 때문에 불소 바인더가 없는 파우더 부분으로 액상이 더 잘 침투해 들어가는 경향을 보일 수 있으므로, 불소 바인더보다는 불소 코팅이 젖음 및 케이킹(뭉침) 방지에 적절하다.
발수 코팅한 경우, 발수성은 접촉각(파우더 위에 물을 떨어뜨렸을 때의 각도)으로 측정할 수 있다. 접촉각이 클수록 발수성이 높으며, 불소 코팅의 접촉각은 평균적으로 158~160도이며, 디메치콘 코팅의 접촉각은 평균 135도 정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파우더는 구상(球狀) 파우더를 포함한다. 구상(球狀) 파우더를 포함하기 때문에 피부에 균일하게 도포할 수 있다. 파우더 표면에는 무수한 하이드록시 그룹이 있고, 코팅할 때에 반응하지 않은 하이드록시 그룹은 액상 화장료의 물과 접촉하여 수소 결합 등에 의해 끌어당기는 작용을 한다. 또한 파우더는 소수성 오일 등과도 약간의 상용성을 가지고 있다. 결과적으로 파우더는 액상 화장료와 만나면, 도포할 때에 균일도가 떨어질 수 있다. 파우더의 형상이 판상, 고구마상 등일 경우에 비하여 구상 파우더가 포함되는 경우가 피부에 균일하게 도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상 파우더는 메이크업 화장료 제형의 중량을 기준으로 30 중량% 이상으로 포함된다. 상기 구상 파우더는 메이크업 화장료 제형의 중량을 기준으로 30 중량% 이상으로 포함될 수 있다. 구상 파우더의 함량은 보통의 파우더 함량에 비해 높은 것이 적절하다. 구상 파우더의 함량이 30중량% 미만인 경우 피부에 도포할 때에 뭉침 현상이 발생하고 균일도가 좋지 않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상 파우더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우레탄(PU),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PMSQ), 나일론, 실리카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 밖에 디메치콘/비닐 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dimethicone/vinyl dimethicone crosspolymer)등과 같은 탄성 특성을 가지는 다양한 크로스폴리머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액상 화장료는 보습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보습제의 함량이 높을수록 파우더가 젖을(wetting)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액상 화장료의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5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0.1 중량% 미만이면, 물의 증발 이후 피부에 남아있는 보습제가 적어 건조하게 되고, 50 중량% 초과이면, 메이크업 화장료의 파우더가 젖어(wetting) 뭉침 현상이 발생하므로 사용감이 저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액상 화장료는 무기점증제를 포함할 수 있다. 무기점증제이면 무방하며, 비제한적인 예로 소듐 마그네슘 실리케이트/테트라소듐 포스페이트(Sodium magnesium silicate/tetrasodium phosphate)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점증제는 틱소트로피 효과를 점증시키는 반면 케이킹은 적다. 유기 점증제를 사용하는 경우 케이킹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도포 도구에 의해 전단력(shear force)을 받을 때 틱소트로피 효과가 높은 점증제를 사용할 수 있다. 틱소트로피 효과는 흔들리면 겔(gel)에서 유동성의 졸(sol)로 변화하지만, 정지하면 다시 겔로 돌아가는 효과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액상 화장료는 피부미백제 또는 주름개선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부미백제는 피부의 멜라닌 색소를 감소시키는 데에 효과가 있는 성분이라면 제한되지 않으며, 비제한적인 예로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 알부틴(Arbutin), 아젤라익산(Azelaic acid), 코직산(Kojic acid), 세라마이드(Ceramide), 리놀릭산(Linoleic Acid), 렉틴(Lecthin), 네오글리코프로틴(Neoglycoprotein), 젖산(Lactic Acid), 글라이콜릭산(Glycolic Acid), 비타민A 유도체(Retinoids) 또는 비타민 C(Ascorbic Acid)유도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주름개선제는 피부의 주름 생성 속도를 완화시키거나, 이미 생성된 주름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 성분이라면 제한되지 않으며, 비제한적인 예로 아데노신(Adenosine), 레티놀(Retinol), 토코페롤(tocopherol), 폴리페놀(Polyphenol), 카모신(Camosine), 유비퀴논(Ubiquinone), 글루코펩타이드(Gluco-Peptide)또는 세라마이드(Ceramide)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메이크업 화장료 및 액상 화장료가 혼합되어 있을 수 있고, 메이크업 화장료 및 액상 화장료가 분리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메이크업 화장료와 액상 화장료가 혼합되어 있는 화장료 조성물일 경우 발수 코팅된 도포 도구를 이용하여 메이크업 화장료와 액상 화장료를 함께 피부에 도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메이크업 화장료와 액상 화장료가 분리되어 있는 화장료 조성물일 경우 발수 코팅된 도포 도구상에 액상 화장료를 점적(dropping) 또는 분무(spraying) 한 후 액상 화장료가 점적 또는 분무된 도포 도구를 이용하여 메이크업 화장료를 피부에 도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메이크업 화장료와 액상 화장료가 분리되어 있는 화장료 조성물일 경우 액상 화장료를 메이크업 화장료상에 점적 또는 분무한 후 발수 코팅된 도포 도구를 이용하여 액상 화장료가 점적 또는 분무된 메이크업 화장료를 피부에 도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화장료 조성물이 피부에 균일하게 도포되는 특성은 액상 화장료의 점도에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점도가 낮을수록 균일도는 향상되나, 점도가 높을 경우 액상 화장료를 퍼프 등의 도포 도구나 파우더에 점적(dropping) 또는 분무(spraying)함으로써 균일도를 조절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분무하는 방법이 균일도 향상에 더 좋다.
액상 화장료를 메이크업 화장료 상에 점적하는 경우, 액상 화장료와 메이크업 화장료의 성질이 반대이기 때문에 액상 화장료의 접촉각이 매우 커서 액상 화장료가 메이크업 화장료 위에서 접촉하지 않고 굴러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메이크업 화장료 제형에 마찰력을 부여할 수 있는 성형을 하거나, 액상 제형의 점도를 높일 수 있다. 분무하는 경우에는 액상 화장료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으므로 위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포 도구는 발수 코팅되어 케이킹(뭉침)을 감소할 수 있다. 발수 코팅되지 않으면, 퍼프 등의 도포 도구가 쉽게 젖어 젖은(wetting) 메이크업 화장료의 제형부가 퍼프 등의 도포 도구에 묻고 퍼프 등의 도포 도구의 셀(cell)을 막아, 퍼프 등의 도포 도구의 경도를 높인다. 이렇게 젖은 상태로 경도가 높아진 도포 도구는 메이크업 화장료를 누르는 압력을 증가시켜서 메이크업 화장료가 더 잘 젖게(wetting)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도포방법에서 이용하는 도포 도구는 니트릴부타디엔고무를 함유하는 퍼프(puff)일 수 있다.
퍼프 등의 도포 도구는 피부에 균일하게 도포되는 특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퍼프(puff)의 경우, 미세한 섬유가 심어져 있는 형상의 플로킹 퍼프 또는 니트릴부타디엔고무(NBR)를 함유하는 퍼프를 사용할 수 있고, NBR 퍼프를 사용할 때에 균일하게 도포되는 효과가 더 좋다. NBR 퍼프의 경우 발포도가 높고 경도가 낮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포도가 높을수록 균일도는 증가한다. 반대로 발포가 되어 있지 않으면(cell이 막힘) 피부에 도포할 때 액상 제형이 불규칙하게 분포되어 균일도가 감소할 수 있다. 또한, 경도가 높으면 뭉침을 유발할 수 있다. 하기 표 1에는 발포도와 경도에 따른 균일도 상태를 나타내었다.
NBR 재질 특성 경도
낮음 높음
발포도 저발포 O -
고발포
무 발포 X
(◎: 매우 균일도 높음. O: 균일도 높음. △: 보통. X: 균일도 낮음)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 파우더 제조방법 : 실시예 1-2 및 비교예 1-3
1. 오일을 제외한 하기 실시예 1(표2), 실시예 2(표3), 비교예1(표4), 비교예2 및 비교예 3(표5)에 따른 내용물을 헨슬 믹서에서 고속으로 4분 동안 혼합하였다. 오일 함량은 성형성이 확보되는 함량으로 결정하였다.
2. 오일을 가열(80℃)하여 바인더를 혼합한 후 상기 1에서 혼합한 내용물에 분무하면서 저속으로 혼합하였다.
3. 바인더 분무가 끝나면 고속으로 4분 동안 다시 혼합하였다.
<실시예 1>
원료 함량 (wt%)
1 불소 코팅 탈크 28
2 디메치콘 코팅 마이카 15
3 디메치콘 코팅 티타늄디옥사이드 15
4 알킬 실란 코팅 징크 옥사이드 3
5 디메치콘 코팅 구상 파우더 30
6 실리콘 오일 9
합계 100
<실시예 2>
원료 함량 (wt%)
1 불소 코팅 탈크 31
2 알킬 실란 코팅 마이카 10
3 디메치콘 코팅 티타늄디옥사이드 15
4 알킬 실란 코팅 구상 파우더 35
5 실리콘 오일 9
합계 100
<비교예 1>
원료 함량 (wt%)
1 코팅하지 않은 탈크 28
2 코팅하지 않은 마이카 15
3 코팅하지 않은 티타늄디옥사이드 15
4 코팅하지 않은 징크 옥사이드 3
5 코팅하지 않은 구상 파우더 30
6 에스터계 오일 9
합계 100
<비교예 2 및 비교예 3>
원료 비교예 2 비교예 3
1 불소 코팅 탈크 38 48
2 디메치콘 코팅 마이카 15 15
3 디메치콘 코팅 티타늄디옥사이드 15 15
4 알킬 실란 코팅 징크 옥사이드 3 3
5 디메치콘 코팅 구상 파우더 20 10
6 실리콘 오일 9 9
합계 100 100
B. 스킨 커버 (유분산 제형) 제조방법 : 실시예 3-4 및 비교예 4-6
1. 하기 실시예 3(표5) 실시예 4(표6) 및 비교예 4(표7), 비교예 5 및 비교예 6(표8)에서 유상 성분을 실온에서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2. 균일하게 혼합한 유상 성분에 유기 점증제를 오일에 분산시킨 후, 가온(85℃)하였다.
3. 고상 분체 안료를 오일에 투입한 다음, 균일하게 교반하여 분산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를 얻었다.
<실시예 3>
원료 함량 (wt%)
1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19
2 폴리에칠렌 2
3 오조케라이트 3
4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2
5 페닐트리메치콘 5
6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4
7 부틸렌글라이콜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12
8 폴리부텐 2
9 라우릴피이지-9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디메치콘 1
10 불소 코팅 탈크 5
11 디메치콘 코팅 마이카 5
12 디메치콘 코팅 구상 파우더 30
13 색소 10
<실시예 4>
원료 함량 (wt%)
1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19
2 폴리에칠렌 2
3 오조케라이트 3
4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2
5 페닐트리메치콘 5
6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4
7 부틸렌글라이콜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12
8 폴리부텐 2
9 라우릴피이지-9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디메치콘 1
10 불소 코팅 탈크 5
11 알킬 실란 코팅 마이카 5
12 알킬 실란 코팅 구상 파우더 30
13 색소 10
<비교예 4>
원료 비교예 4
1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19
2 폴리에칠렌 2
3 오조케라이트 3
4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2
5 페닐트리메치콘 5
6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4
7 부틸렌글라이콜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12
8 폴리부텐 2
9 라우릴피이지-9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디메치콘 1
10 코팅하지 않은 탈크 5
11 코팅하지 않은 마이카 5
12 코팅하지 않은 구상 파우더 30
13 색소 10
<비교예 5 및 비교예 6>
원료 비교예 5 비교예 6
1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29 39
2 폴리에칠렌 2 2
3 오조케라이트 3 3
4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2 2
5 페닐트리메치콘 5 5
6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4 4
7 부틸렌글라이콜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12 12
8 폴리부텐 2 2
9 라우릴피이지-9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디메치콘 1 1
10 불소 코팅 탈크 5 5
11 디메치콘 코팅 마이카 5 5
12 디메치콘 코팅 구상 파우더 20 10
13 색소 10 10
C. 에멀젼 케이크 (유중수(W/O) 제형) 제조방법 : 실시예 5-6 및 비교예 7-9
1. 실시예 5(표 10), 실시예 6(표 11) 및 비교예 7(표 12), 비교예 8 및 비교예 9(표 13)에서 자외선차단제를 제외한 유상성분을 혼합하여 75~80℃로 가온한 후 완전 용해하고, 자외선 차단성분을 투입하여 분산 용해하였다.
2. 상기 1의 오일성분을 호모게나이저(Homogenizer)를 사용하여 7000rpm으로 교반하면서 파우더를 5분간 분산시켰다.
3. 수상성분을 혼합하여 용해한 다음 70℃로 가온하였다.
4. 상기 2의 유상성분을 호모게나이저(Homogenizer)를 이용하여 7000rpm으로 교반하면서 3의 수상성분을 서서히 첨가하여 유화하였으며, 이때 온도는 70℃로 유지하였다.
5. 수상성분의 첨가가 완료된 후 3-5분 가량 계속 교반한 후 탈기하고 용기에 부어 30℃까지 냉각하여 에멀젼 케이크를 완성하였다.
<실시예 5>
구분 원료 함량 (wt%)
유상
성분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 20
오조케라이트 3
카나우바왁스 3
디메치콘 3
헥실라우레이트 2
소르비탄이소스테아레이트 2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4
디메치콘/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5
파우더 불소 코팅 탈크 5
디메치콘 코팅 마이카 5
디메치콘 코팅 구상 파우더 30
색소 5
수상
성분
정제수 6
글리세린 2
부틸렌글리콜 5
<실시예 6>
구분 원료 함량 (wt%)
유상
성분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 20
오조케라이트 3
카나우바왁스 3
디메치콘 3
헥실라우레이트 2
소르비탄이소스테아레이트 2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4
디메치콘/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5
파우더 불소 코팅 탈크 5
알킬 실란 코팅 마이카 5
알킬 실란 코팅 구상 파우더 30
색소 5
수상
성분
정제수 6
글리세린 2
부틸렌글리콜 5
<비교예 7>
구분 원료 비교예 7
유상
성분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 20
오조케라이트 3
카나우바왁스 3
디메치콘 3
헥실라우레이트 2
소르비탄이소스테아레이트 2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4
디메치콘/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5
파우더 코팅하지 않은 탈크 5
코팅하지 않은 마이카 5
코팅하지 않은 구상 파우더 30
색소 5
수상
성분
정제수 6
글리세린 2
부틸렌글리콜 5
<비교예 8 및 비교예 9>
구분 원료 비교예 8 비교예 9
유상
성분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 20 20
오조케라이트 3 3
카나우바왁스 3 3
디메치콘 3 3
헥실라우레이트 2 2
소르비탄이소스테아레이트 2 2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4 4
디메치콘/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5 5
파우더 불소 코팅 탈크 5 5
디메치콘 코팅 마이카 5 5
디메치콘 코팅 구상 파우더 20 10
색소 5 5
수상
성분
정제수 16 26
글리세린 2 2
부틸렌글리콜 5 5
D. 액상 화장료 제조방법 : 실시예 7 및 비교예 10
1. 에탄올에 방부제를 저온으로 가열(40~50℃)하여 녹였다.
2. 실온에서 물에 보습제(실시예 7-1, 7-4), 보습제와 피부미백제(실시예 7-2), 보습제와 주름개선제(실시예 7-3)를 아지 믹서(2000rpm)에 혼합하였다(표 14). 비교예 10(표 15)은 물만 준비하였다.
3. 1을 2에 혼합한 후 아지 믹서로 다시 혼합(2000rpm)하여 방부제가 녹았는지 확인하였다.
<실시예 7>
원료 7-1
함량(wt%)
7-2
함량(wt%)
7-3
함량(wt%)
7-4
함량(wt%)
76.8 73.8 73.8 56.8
수용성 보습제 20 20 20 40
수용성 피부미백제 - 3 - -
수용성 주름개선제 - - 3 -
방부제 0.2 0.2 0.2 0.2
에탄올 3 3 3 3
합계 100 100 100 100
<비교예 10>
원료 함량 (wt%)
1 76.8
2 수용성 보습제 -
3 방부제 0.2
4 에탄올 3
합계 100
E. 시험예
1. 파우더, 스킨 커버 또는 에멀젼 케이크의 젖음(wetting) 여부 확인
파우더는 실시예 1과 비교예 1을, 스킨 커버는 실시예 3과 비교예 4를 에멀젼 케이크는 실시예 5와 비교예 7을 통하여 파우더 원료 코팅의 파우더 젖음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였다. 액상 화장료를 파우더 제형부, 스킨 커버 제형부 또는 에멀젼 케이크 제형부에 분무하였을 때 파우더, 스킨 커버 또는 에멀젼 케이크 표면에 젖음으로 인한 케이킹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조사한 결과를 표 16에 나타내었다.
도포 횟수(회) 파우더 젖음 여부 스킨 커버 젖음 여부 에멀젼 케이크 젖음 여부
실시예 1 비교예 1 실시예 3 비교예 4 실시예 5 비교예 7
5 X X X
50 X X X
150 X X X
(X: 케이킹 발생하지 않음. △: 케이킹 발생 초기 ○ : 케이킹 심함. ◎: 케이킹 매우 심함)
상기 결과를 통하여, 발수 코팅 처리하지 않은 파우더, 스킨 커버 또는 에멀젼 케이크 표면이 액상 화장료에 닿았을 때 케이킹이 발생하여 표면에 얼룩이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피부 도포시 균일도 확인
파우더가 피부에 균일하게 도포되는 효과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2-3에서, 스킨 커버가 피부에 균일하게 도포되는 효과는 실시예 3 및 비교예 5-6에서, 에멀젼 케이크가 피부에 균일하게 도포되는 효과는 실시예 5 및 비교예 8-9에서 평가하였다. 도포 전 피부 상태가 오일 함량이 높을수록 뭉침이 심해지는 경향성이 있으므로, 기타 메이크업을 하지 않은 피부에 도포 시험을 행하였다. 도포 결과를 표 17에 나타내었다.
파우더류 스킨커버 에멀젼 케이크
실시예1 비교예2 비교예3 실시예3 비교예5 비교예6 실시예5 비교예8 비교예9
균일도
(피부 도포 시 뭉침 현상 유무)
X X X
(X: 뭉침 발생하지 않음. ○: 뭉침 발생. ◎: 뭉침 심함)
또한, 액상 화장료와 파우더 제형, 스킨 커버 제형 또는 에멀젼 케이크 제형을 함께 사용한 경우와 액상 화장료 없이 파우더 제형, 스킨 커버 제형 또는 에멀젼 케이크 제형만을 사용한 경우를 통하여, 인공 피부에 도포하였을 때 화장막의 얇고 촘촘한 정도 및 균일하게 도포된 정도를 알 수 있었다. 그 정도를 피부 진단기(제품명: AP 크래들, 제조원: Moritex Co.)로 확인하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으며 액상 화장료 없이 파우더 제형, 스킨 커버 제형 또는 에멀젼 케이크 제형만을 피부에 도포했을 때보다 액상 화장료와 함께 도포했을 때 균일하게 도포된 것을 사진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3. 보습 효과 확인
액상 화장료로서 실시예 7 및 비교예 10를 사용한 경우, 또한 파우더 제형만 사용한 경우를 통하여, 피부 수분량의 증감을 수분 측정기를 통하여 측정하여 표 18에 나타내었다.
피부 수분 함량(%) 실시예 7-1 실시예 7-4 비교예 10 액상 화장료 사용 안함
바르기 전 38 38 37 40
바른 직후 44 45 43 36
바른 후 20분 경과 41 42 36 34
표 18을 통하여 보습제의 함량이 높을수록 보습 효과 및 지속성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보습제 없이 물만 액상 화장료로 사용하였을 때는 물이 증발하면서 수분량이 감소하여 바르기 전과 비슷한 수분량을 보이거나, 파우더 또는 스킨 커버에 의해 오히려 조금 수분량이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액상 화장료를 사용하지 않고 파우더 또는 스킨 커버만 도포했을 때는 피부 수분이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9)

  1. 코팅된 파우더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및 보습제를 함유하는 액상 화장료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이크업 화장료는 파우더; 스킨커버; 및 에멀젼 케이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된 파우더는 발수성 코팅에 의한 파우더이고, 상기 액상 화장료는 친수성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된 파우더는 발유성 코팅에 의한 파우더이고, 상기 액상 화장료는 친유성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된 파우더는 알킬실란 코팅, 디메치콘 코팅, 메치콘 코팅 및 불소 코팅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코팅에 의한 파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더는 구상(球狀) 파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상 파우더는 메이크업 화장료의 중량을 기준으로 30 중량% 이상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상 파우더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우레탄(PU),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PMSQ), 나일론, 실리카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습제는 액상 화장료의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5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 화장료는 무기점증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 화장료는 피부미백제 또는 주름개선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메이크업 화장료 및 액상 화장료는 혼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3.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메이크업 화장료 및 액상 화장료는 분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4. 제12항의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방법으로서,
    발수 코팅된 도포 도구를 이용하여 피부에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도포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방법에서 이용하는 도포 도구는 니트릴부타디엔고무를 함유하는 퍼프(puff)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도포방법.
  16. 제13항의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방법으로서,
    발수 코팅된 도포 도구상에 액상 화장료를 점적(dropping) 또는 분무(spraying) 한 후 액상 화장료가 점적 또는 분무된 도포 도구를 이용하여 메이크업 화장료를 피부에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도포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방법에서 이용하는 도포 도구는 니트릴부타디엔고무를 함유하는 퍼프(puff)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도포방법.
  18. 제13항의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방법으로서,
    액상 화장료를 메이크업 화장료상에 점적 또는 분무한 후 발수 코팅된 도포 도구를 이용하여 액상 화장료가 점적 또는 분무된 메이크업 화장료를 피부에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도포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방법에서 이용하는 도포 도구는 니트릴부타디엔고무를 함유하는 퍼프(puff)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도포방법.
KR1020100003244A 2009-07-31 2010-01-13 메이크업 화장료와 액상 화장료를 함께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도포 방법 KR1012423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0591 2009-07-31
KR20090070591 2009-07-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3166A true KR20110013166A (ko) 2011-02-09
KR101242356B1 KR101242356B1 (ko) 2013-03-14

Family

ID=43772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3244A KR101242356B1 (ko) 2009-07-31 2010-01-13 메이크업 화장료와 액상 화장료를 함께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도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235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6375A (ko) * 2013-06-17 2014-12-2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 지속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5163565A1 (ko) * 2014-04-25 2015-10-29 주식회사 뉴앤뉴 비누에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70048A (ko) * 2016-06-08 2016-06-1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 지속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77146B1 (ko) * 2019-01-23 2019-05-13 주식회사 루벨리 미스트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CN115835921A (zh) * 2020-08-07 2023-03-21 株式会社资生堂 涂抹型身体修补皮膜用的打底剂及其使用方法
FR3130589A1 (fr) * 2021-12-17 2023-06-23 L V M H Recherche Poudre compacte de soin et/ou de maquillag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9202A (ko) 2022-04-19 2023-10-26 (주)아모레퍼시픽 피지 흡유용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822Y2 (ja) * 1987-06-14 1994-03-09 憲司 中村 化粧用塗布具素材
US20070154426A1 (en) * 2006-01-05 2007-07-05 Hansen Angela M Powdered water cosmetic compositions and related methods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6375A (ko) * 2013-06-17 2014-12-2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 지속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5163565A1 (ko) * 2014-04-25 2015-10-29 주식회사 뉴앤뉴 비누에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70048A (ko) * 2016-06-08 2016-06-1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 지속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77146B1 (ko) * 2019-01-23 2019-05-13 주식회사 루벨리 미스트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CN115835921A (zh) * 2020-08-07 2023-03-21 株式会社资生堂 涂抹型身体修补皮膜用的打底剂及其使用方法
FR3130589A1 (fr) * 2021-12-17 2023-06-23 L V M H Recherche Poudre compacte de soin et/ou de maquill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2356B1 (ko) 2013-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2356B1 (ko) 메이크업 화장료와 액상 화장료를 함께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도포 방법
EP2589373B1 (en) Nanofiber laminate sheet
JP6305762B2 (ja) 固形粉末化粧料
WO2011121540A1 (en) Method for caring for and/or making up wrinkles
WO2006081351A2 (en) Variable tint cosmetics
KR20180017811A (ko) 도포성 및 성형성이 향상된 압축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UA56991C2 (uk) Практично безводна косметична композиція для місцевого застосування (варіанти), спосіб її виготовлення, олівець для очей та косметична плівкоутворювальна система
TW201540314A (zh) 皮膚用水中油型乳化化妝料
JP6068138B2 (ja) 固形粉末化粧料
CN111084732A (zh) 一种保湿护色唇釉及其制备方法
JP2014141482A (ja) 固形粉末化粧料
CN109431839A (zh) 一种保湿滋润金属色唇彩配方
CN101111223B (zh) 皮肤化妆品
CN110227040B (zh) 一款可以出水的蜡基棒状化妆品及制备方法
KR20160040070A (ko) 기능성 성분을 내포하는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고형 화장료 조성물
JP2660555B2 (ja) フイルム状メーキヤツプ化粧料
WO2022030284A1 (ja) 塗布型身体補正皮膜用の下地剤、及びその使用方法
JP4409143B2 (ja) 固形化粧料
KR20190023153A (ko) 고함량 오일성분이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트 마스크
KR101094544B1 (ko) 캡슐화된 색소를 함유하는 파운데이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6663715B2 (ja) 固形粉末化粧料の製造方法
JPS5976009A (ja) メ−クアツプ化粧料
JP6356479B2 (ja) 立体的形状に成型されてなる固形粉末化粧料
KR20060023244A (ko) 소수성 다공성 파우더 및 수용성 보습성분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보습용 분말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7252038B2 (ja) 粉末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