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2541A - 디지털 스토리보드 생성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지털 스토리보드 생성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2541A
KR20110012541A KR1020090070291A KR20090070291A KR20110012541A KR 20110012541 A KR20110012541 A KR 20110012541A KR 1020090070291 A KR1020090070291 A KR 1020090070291A KR 20090070291 A KR20090070291 A KR 20090070291A KR 20110012541 A KR20110012541 A KR 201100125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yboard
data
script
scen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0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정운
김성진
조영준
최현우
Original Assignee
함정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함정운 filed Critical 함정운
Priority to KR1020090070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2541A/ko
Publication of KR20110012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25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스토리보드 생성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전에 사용자가 선택한 이미지와 입력한 단어 또는 문장을 컨텐츠 제작에 활용할 수 있도록 기 생성된 레이아웃을 사용하여 자신만의 스토리보드를 구축하는 디지털 스토리보드 생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디지털 스토리보드 생성 시스템은,
스토리보드 작성부, 스토리보드 해석부, 스크립트 작성부, 이미지 파일 출력부를 연계한 스토리보드 편집기와;
사용자가 템플릿에서 선택한 장면(Scene)과 그에 대하여 입력한 스크립트로 스토리보드 데이터를 생성하는 스토리보드 생성부; 및 상기 장면 데이터와 스크립트를 연계하여 저장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맞춤식 컨텐츠 제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통해 스토리보드 시스템을 이용하여 자신만의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포토앨범 및 영상 제작에 있어서 사용자가 자신의 의도를 최대한 반영한 이야기가 있는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스토리 보드, 영화, 애니메이션, 생성.

Description

디지털 스토리보드 생성 시스템{digital story board creation system.}
본 발명은 디지털 스토리보드 생성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전에 사용자가 선택한 이미지와 입력한 단어 또는 문장을 컨텐츠 제작에 활용할 수 있도록 기 생성된 레이아웃을 사용하여 자신만의 스토리보드를 구축하는 디지털 스토리보드 생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스토리보드란, 영화나 텔레비전 광고 또는 애니메이션이나 게임 동영상 등을 제작하기 위해 작품의 전체적 구성이나 주제의 흐름을 주요 장면별로 TV, 스크린 화면과 같은 4:3, 12:9 비율의 여러 개의 화면에 그림을 그려 놓은 것을 말한다.
스토리보드는 각 시퀀스를 장면(SCENE)마다 분류해서 작성하며 주로 화면구성과 색채 설계나 캐릭터의 정밀한 액션 포인트의 결정 등을 목적으로 한다.
한마디로 스토리보드는 각 장면에 대한 카메라와 피사체의 움직임을 설명하고, 어떤 내용을 어떻게 찍을 것인가를 그림으로 표현하여, 촬영에 필요한 모든 것을 미리 파악하게 해주는 설계도와 같은 것이다.
스토리보드는 글로 쓰인 내용(시나리오)과 그 구조를 시각화한다.
또한 감독과 카메라 감독, 프로듀서 그리고 특수효과 팀의 시각적인 요구를 채워줌으로써 아이디어를 테스트하고, 승인 여부를 결정하게 하며 아이디어가 제작에 이르도록 도와준다.
그리고 스토리보드는 실제 작업시에 발생될 문제점을 미리 발견하여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도록 도와주며 다음과 같은 지침서 역할을 하기도 한다.
촬영자나 등장인물들로 하여금 이 영상을 왜, 어떻게 촬영하는가에 대한 이해를 도와주며 영상의 자연스러운 전개와 흐름을 도와서 연결되는 장면들을 미리 예상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각 장면을 그림으로 표현하여 시각화함으로써 각 장면의 구성에 대해 생각할 수 있게 해주며 마지막으로 편집시 각 장면의 편집 순서를 정해주는 기본이 된다.
최근의 스토리보드 제작은 영화나 TV 제작물에서 이용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애니메이션이나 게임 동영상 제작 등 모든 영상매체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작업이 되었다
특히, 스토리보드는 애니메이션이나 게임 등의 컨텐츠 개발의 설계도이며 구체적인 작업 지침서이다.
즉, 컨텐츠 설계 단계의 최종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내용을 컴퓨터 화면상에 맞도록 종이 위에 구성화한 형태로서, 애니메이션과 게임의 컨텐츠가 구성 요소 간에 어떻게 진행되는지를 명확하게 보여주기 위해 사용된다.
컨텐츠 개발 기획서가 개발의 청사진이라면 플로우차트는 컨텐츠의 인터랙션 을 나타내는 것이고, 스토리보드는 컨텐츠 개발의 설계도이며, 구체적인 작업 지침서이다.
스토리보드가 완성되면, 디자이너는 스토리보드에 명시된 내용을 가지고, 화면 디자인부터 시작하여 각각의 일러스트 데이터를 그린다.
프로그래머는 스토리보드를 보고 프로그램 설계를 하고 각 세부 로직에 대한 프로그램을 코딩하게 된다.
그러므로 스토리보드가 완성되면 컨텐츠 개발의 기획이 완성되었다고 말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데이터 제작만이 남게 된다.
그러나, 기획자 또는 시나리오 작가와 같은 해당 분야의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의 경우에는 이와 같은 절차를 거쳐 사용자의 생각을 투영한 높은 질의 컨텐츠를 제작하기에 많은 어려움이 따르게 되어 쉽게 접근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이러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고가의 비용을 지불하면서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작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토리보드 시스템을 이용하여 자신만의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단기간에 영상을 구성할 수 있는 디지털 스토리보드 생성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토리가 있는 자신만의 이미지 및 앨범을 제작할 수 있는 시스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작한 스토리보드를 스냅샷(Snapshot)하여 정지화상 파일(JPG포맷)로 저장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여 인터넷 소셜 서비스(싸이월드, 블로그 등)에서의 커뮤니케이션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시스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디지털 스토리보드 생성 시스템은,
스토리보드 작성부, 스토리보드 해석부, 스크립트 작성부, 이미지 파일 출력부를 연계한 스토리보드 편집기와;
사용자가 템플릿에서 선택한 장면(Scene)과 그에 대하여 입력한 스크립트로 스토리보드 데이터를 생성하는 스토리보드 생성부; 및 상기 장면 데이터와 스크립 트를 연계하여 저장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맞춤식 컨텐츠 제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스토리보드 생성 시스템은 상술한 바와 같이 스토리보드 시스템을 이용하여 자신만의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포토앨범 및 영상 제작에 있어서 사용자가 자신의 의도를 최대한 반영한 이야기가 있는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신이 제작한 스토리보드를 스냅샷(Snapshot) 하여 이미지 파일(JPG포맷)로 저장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손쉽고 간편하게 자신의 이야기를 타인에게 전달할 수단을 얻게 되어 새로운 커뮤니케이션의 수단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스토리보드 생성 시스템은,
스토리보드 작성부, 스토리보드 해석부, 스크립트 작성부, 이미지 파일 출력부를 연계한 스토리보드 편집기와;
사용자가 템플릿에서 선택한 장면(Scene)과 그에 대하여 입력한 스크립트로 스토리보드 데이터를 생성하는 스토리보드 생성부; 및 상기 장면 데이터와 스크립 트를 연계하여 저장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맞춤식 컨텐츠 제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이미지 파일 출력부는,
이미지와 스크립트, 스토리보드 레이아웃을 포함한 72dpi의 JPG 포맷의 이미지 파일로 출력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스토리보드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스토리보드 정보를 개인 데이터베이스에 XML 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 입출력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스토리보드 생성부는,
신규 스토리보드 모듈을 추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스토리보드 내부의 데이터 모듈을 추가할 수 있는 데이터 모듈 생성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스토리보드 내부의 레이아웃을 판독하여 자동으로 설정하는 스토리보드 레이아웃 설정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인 디지털 스토리보드 생성 시스템은 사용자가 스스로 제작할 컨텐츠를 결정하여 그에 따라 기 설정된 레이아웃 데이터를 기반으로 자신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 및 삽입한 이미지와 소정의 부가 스크립트를 작성한 것을 상호 연계하여 저장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스토리보드 생성부는 사용자로부터 제작할 컨텐츠의 종류에 해당하는 설정값을 입력받아 해당 컨텐츠 작성에 필요한 항목을 포함한 스토리보드 레이아웃을 생성하고, 사용자 개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데이터를 검색하여 이미지 클립에 적용시킬 수 있다.
그에 따른 부가 스크립트를 입력함으로 인해 장면(Scene) 구성에 필요한 요소들을 포함하여 하나의 완성된 스토리보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스토리보드 생성부는 스토리보드를 제작할 컨텐츠를 선택하면 그에 맞는 스토리보드 레이아웃 구조로 변환을 하게 된다.
이렇게 변환되어진 구조로 저장되어진 것을 불러오게 될 때 그것을 판독하여 그것에 따른 구조로 불러와서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또한, 상술한 스토리보드 생성부는 사용자는 스토리보드 생성부를 추가하여 원하는 스토리를 계속적으로 새스토리보드 생성부에서 작성할 수 있으며 작성한 스토리보드 생성부의 원하는 제목을 포함할 수 있고 추가한 스토리보드 생성부는 언제든 다시 바꿔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스토리보드 생성부는 사용자의 개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져 있는 이미지 데이터를 검색하여 불러와 스토리보드에 추가할 수 있으며 이미지 추가 할 때마다 스크립트도 작성할 수 있는 부분도 같이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스토리보드 생성부는 스크립트 부분은 사용자가 선택할 컨텐츠에 따라 변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사용자가 시나리오를 쓸 수 있는 스크립트부분이 오디오 부분과 비디오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다.
또한, 상술한 스토리보드 생성부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이미지 데이터로 저장을 하거나 개인 데이터 공간에 저장을 할 수 있다. 이미지 데이터로 저장 할 경우 가지고 있는 스토리보드 레이아웃 데이터에 들어있는 데이터를 선택하여 원하는 레이아웃으로 저장하게 되며 개인 데이터 공간으로 저장되면 그 데이터는 언제든 불러오거나 수정을 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스토리보드 생성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먼저, 사용자는 제작할 컨텐츠의 종류를 선택(110) 하게 된다.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컨텐츠의 종류는 포토앨범과 영상의 두 종류가 있는데, 이는 각각의 독립된 모듈로 분리되어 있으며 완성 후 저장시에도 컨텐츠에 따라 개별적인 식별번호(ID)를 부여받아 카테고리로 나누어 구분이 가능하다.
스토리보드 레이아웃이 생성(120)는 컨텐츠를 선택한 후에는 해당 컨텐츠에 맞게 디자인된 되는데, 이는 기본적으로 이미지 클립의 삽입을 전제로 하여 포함할 스크립트의 종류로 구분을 하도록 한다.
포토앨범 제작시에는 총체적인 설정을 적을 수 있는 통합된 스크립트 공간을, 영상 제작 시에는 비디오, 오디오에 관한 스크립트를 분리 작성하게 된다.
장면 이미지 검색/삽입(130)는생성된 레이아웃에 위치한 이미지 클립에는 해당 장면에 들어갈 이미지를 개인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삽입한다.
개인 데이터베이스에는 사용자가 기존에 제공되는 소스/템플릿에서 선택한 데이터와 사용자가 작성한 데이터의 두 가지가 있는데, 사용자는 이 중 무엇이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것이라면 자유롭게 삽입이 가능하다.
장면 스크립트 작성(140)는 이미지를 삽입하여 장면을 구성한 이후엔 그에 대한 스크립트를 작성한다.
이는 이미지 클립에 대한 부가 설명이며, 장면 전체를 구성하는 사용자의 의도를 최대한 반영하기 위한 장치이다.
스토리보드 데이터로 저장(150)는 상기된 요소들을 연결하여 저장하게 되는데, 이는 개인 데이터베이스에 스토리보드 데이터를 저장(160)하거나 이미지 파일로 출력(170)이 가능하다.
저장한 데이터는 도 2의 스토리보드 저장부(21)에 저장되며 후에 제작할 컨텐츠 선택(110)에서 불러오기를 할 수 있다.
이미지 파일로 출력(170)는 도 2의 스토리보드 레이아웃 저장부(22)에 저장된 레이아웃으로 상술한 통합 스토리보드 데이터를 포함되어져 JPG 포맷의 이미지 파일(해상도 72dpi)으로 출력(175)하여 싸이월드, 블로그 등의 소셜 서비스에 업로드하여 사용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스토리보드 생성부에서 데이터를 통합 및 저장하는 장치의 예를 설명한다.
개인 데이터베이스(20)는 사용자의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할수 있고 이미지 데이터로 만든 스토리보드를 저장하거나 이미지 파일로 출력(170)을 할때의 레이아웃 파일이 저장할 수 있다.
또한, 개인 데이터베이스(20)는 개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160)하게 되면 자동적으로 이미지 데이터 저장부(23)와 스크립트 저장부(24)로 저장되어지고 스토리 보드 저장부(21)는 그것의 데이터 정보만을 가지고 있게 되고 도표 4 (412)로 제작한 스토리보드를 불러올 경우 그 데이터를 직접 불러올 수 있다.
스토리보드 저장부(21)에서는 스토리보드 레이아웃 생성(120), 장면 이미지 검색/삽입(130), 장면 스크립트 작성(140)를 작성한 후 사용자가 스토리보드 저장(150)하게 되면 그 데이터가 저장된다.
이는 이미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가져와서 작성한 것이고 스크립트도 스크립트 저장부에 나누어져 저장되기 때문에 상술한 요소를 연계하여 작성된 스토리보드는 개인 데이터베이스의 최상위인 스토리보드 저장부(21)에 보존한다.
또한, 스토리보드 저장부(21)는 스스로 데이터가 아닌 이미지 데이터와 스크립트 데이터의 정보를 통합하여 가지고 있고 그 통합된 데이터의 사용자가 정한 이름으로 저장되어져 있게 되고 그 데이터는 개인 데이터베이스 검색(310)을 통해 볼 수가 있다.
스토리보드 레이아웃 저장부(22)는 저장되어진 스토리보드의 디자인된 레이아웃 데이터를 이미지 파일로 출력(170)시에 사용자가 선택하여 이미지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스토리보드 레이아웃 저장부(22)는 사용자가 다른 디자인의 레이아웃 데이터를 추가적으로 업데이트를 할 수 있다.
이미지 데이터 저장부(23)는 사용자가 스토리보드를 작성을 위해 필요한 이미지 자료를 업데이트를 할 수 있으며 이것을 도표 3의 스토리보드 레이아웃 로드(3210)를 통해 스토리보드 생성부로 로드를 하여 작성을 할 수 있다.
스크립트(텍스트) 저장부는 이미지 데이터와 텍스트로 이루어지는 스토리보드 시스템에서 이미지 데이터와는 별도로 그에 대한 부가설명으로 작성된 텍스트 데이터를 저장하는 곳이다.
다음으로 도 3에는 상술한 스토리보드 시스템의 구조에 따른 내부의 데이터 흐름을 나타낸 예가 도시되어 있다.
개인 데이터베이스 검색(3100)는 스토리보드 시스템의 기동 후 개인 데이터베이스(20)의 스토리보드 저장부(21)를 검색하여 저장된 스토리보드 중 수정/편집할 것이 있는 지를 확인할 수 있다.
앨범(3200)과 동영상(3300)의 종류에 따라 스토리보드의 레이아웃 로드(3210) 생성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앨범은 스크립트 부분의 정보를 입력하는 부분만 주어지는 반면 동영상 같은 경우 오디오 부분과 비디오 부분을 나누워 세분화하여 작성할 수 있게 된다.
생성된 스토리보드를 기준으로 나누어진 각 이미지 클립 모듈에 개인 데이터베이스(3001)에서 사진을 입력(3221)받아 그에 따른 부가 설명(스크립트)를 입력(3221)한 것을 결합(3220)할 수 있다.
개인 데이터베이스 저장(3400)는 스토리보드 결합(3220)하여 작성한 스토리보드를 저장하는 것을 정할 수 있고 동시에 스냅샷 생성 여부를 확인하는 파일로 출력(3510)을 선택할 수 있으며 생성시에는 스토리보드 레이아웃 저장부(22)에 대한 저장된 레이아웃 데이터와 스크립트 등이 입력되어 포함한 JPG 포맷으로 스냅샷 생성(3511) 저장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도 4에는 상술한 스토리보드 시스템의 프로세스를 실물에 가까운 형태로 구현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서 부호 410, 420는 컨텐츠의 종류를 나타낸다.
상단부터 포토앨범, 영상의 순서로 배치되어있다.
사용자는 이 중에서 제작할 컨텐츠를 선택하여 스토리보드 기본 레이아웃을 생성하게 된다.
본 화면 예는 포토앨범을 작성하는 예를 진행한다.
부호 411에서는 활성화 되어 있는 스토리보드의 제목을 작성할 수 있다.
스토리보드의 작성을 마친 후 저장하게 되면 추후 부호 412로 스토리보드 저장부(21)에 보존되어 있는 스토리보드를 로드하여 수정/편집이 가능하다.
해당 스토리보드 이외의 새 스토리보드를 작성하려면 부호 413을 클릭하여 포토앨범 카테고리 내에서 새 스토리보드를 작성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작성된 스토리보드의 수가 2개 이상이라면 부호 414와 같이 번호로 표기되는 페이징(Paging)이 가능하다.
스토리보드는 이미지 클립과 스크립트의 연계인 모듈의 모음으로 구성된다. 부호 416은 각 모듈, 즉 장면의 제목을 정할 수 있고, 부호 417a는 해당 장면에 삽입될 이미지를 500x500픽셀 크기의 캔버스를 생성하여 직접 그리게 되고, 부호 417b은 해당 장면에 삽입될 이미지를 사용자가 선택한, 즉 이미지 데이터 저장부의
리스트에서 검색하여 선정한 이미지를 모듈 내 이미지 클립에 삽입한다. 삽입한 이미지는 부호 418a에 표시되며, 그에 대한 색상보정, 앨범 디자인 등 부연설 명에 대한 스크립트는 418b에 작성한다.
영상 컨텐츠 작성시에는 화면 전환, 오브젝트 이동효과 등의 영상효과를 기술한 비디오 스크립트, 폭발음, 배경음악 등의 음향효과를 기술한 오디오 스크립트로 세분화하여 작성한다.
기본적으로 데이터 입력 모듈은 5개가 주어지는데, 이에 대하여 좌하단의 부호 419a로 모듈의 추가, 부호 419b로 모듈의 삭제를 실행할 수 있다. 삭제할 모듈은 부호 415로 일괄 선택할 수 있으며, 개별로도 선택이 가능하다.
스토리보드 작성을 마친 후에는 부호 490으로 JPG 포맷의 이미지 파일로 출력이 가능하며, 부호 491로 개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이 가능하다. 개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을 마친 이후에는 자동으로 카테고리에 따른 정렬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부호 412를 이용하여 로딩한 후에 손쉽게 수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동작을 통해 자신만의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포토앨범 및 영상 제작에 있어서 사용자가 자신의 의도를 최대한 반영한 이야기가 있는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 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인 디지털 스토리보드 생성 시스템은 상술한 바와 같이 스토리보드 시스템을 이용하여 자신만의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포토앨범 및 영상 제작에 있어서 사용자가 자신의 의도를 최대한 반영한 이야기가 있는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어 컨텐츠 활용 분야에 널리 활용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스토리보드 생성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스토리보드 생성 시스템의 스토리보드 데이터베이스 세부 구성을 도시하는 상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스토리보드 생성 시스템의 개인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한 디지털 스토리보드의 생성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스토리보드 생성 시스템의 디지털 스토리보드 생성 화면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6)

  1. 스토리보드 작성부, 스토리보드 해석부, 스크립트 작성부, 이미지 파일 출력부를 연계한 스토리보드 편집기와;
    사용자가 템플릿에서 선택한 장면(Scene)과 그에 대하여 입력한 스크립트로 스토리보드 데이터를 생성하는 스토리보드 생성부; 및 상기 장면 데이터와 스크립트를 연계하여 저장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맞춤식 컨텐츠 제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스토리보드 생성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파일 출력부는,
    이미지와 스크립트, 스토리보드 레이아웃을 포함한 72dpi의 JPG 포맷의 이미지 파일로 출력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스토리보드 생성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리보드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스토리보드 정보를 개인 데이터베이스에 XML 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 는 데이터 입출력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스토리보드 생성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리보드 생성부는,
    신규 스토리보드 모듈을 추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스토리보드 생성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스토리보드 내부의 데이터 모듈을 추가할 수 있는 데이터 모듈 생성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스토리보드 생성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스토리보드 내부의 레이아웃을 판독하여 자동으로 설정하는 스토리보드 레이아웃 설정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스토리보드 생성 시스템.
KR1020090070291A 2009-07-30 2009-07-30 디지털 스토리보드 생성 시스템 KR201100125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0291A KR20110012541A (ko) 2009-07-30 2009-07-30 디지털 스토리보드 생성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0291A KR20110012541A (ko) 2009-07-30 2009-07-30 디지털 스토리보드 생성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2541A true KR20110012541A (ko) 2011-02-09

Family

ID=43772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0291A KR20110012541A (ko) 2009-07-30 2009-07-30 디지털 스토리보드 생성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2541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36251A1 (en) * 2011-09-10 2013-03-14 Microsoft Corporation Scenario based animation library
KR101445971B1 (ko) * 2013-04-09 2014-09-30 이희주 동화 컨텐츠 제작방법
WO2015130141A1 (ko) * 2014-02-28 2015-09-03 염광윤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컨텐츠패키지 생성방법
KR20180055750A (ko) * 2016-11-17 2018-05-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미디어 객체 기반의 저작 방법 및 장치
CN114610893A (zh) * 2021-03-19 2022-06-10 山东大学 基于深度学习的剧本到故事板序列自动生成方法及系统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36251A1 (en) * 2011-09-10 2013-03-14 Microsoft Corporation Scenario based animation library
KR101445971B1 (ko) * 2013-04-09 2014-09-30 이희주 동화 컨텐츠 제작방법
WO2015130141A1 (ko) * 2014-02-28 2015-09-03 염광윤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컨텐츠패키지 생성방법
KR20180055750A (ko) * 2016-11-17 2018-05-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미디어 객체 기반의 저작 방법 및 장치
CN114610893A (zh) * 2021-03-19 2022-06-10 山东大学 基于深度学习的剧本到故事板序列自动生成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19368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ssembling and/or displaying multimedia objects, modules or presentations
US7694213B2 (en) Video content creating apparatus
Reich et al. Best ideas for teaching with technology: A practical guide for teachers, by teachers
CN101639943B (zh) 制作动画的方法和设备
US20050071736A1 (en) Comprehensive and intuitive media collection and management tool
US20050069225A1 (en) Binding interactive multichannel digital document system and authoring tool
US20120177345A1 (en) Automated Video Creation Techniques
JP2013506921A (ja) 対話型電子ドキュメント
WO2007111707A9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lating text to images
Cohen Database Documentary: From Authorship to Authoring in Remediated/Remixed Documentary
KR20070120706A (ko) 텍스트-모션 변환을 이용한 디지털 스토리 보드 생성 방법및 시스템
KR20110012541A (ko) 디지털 스토리보드 생성 시스템
CN108292411A (zh) 使用对象资产生成视频内容项目
Ohlei et al. InfoGrid: an approach for curators to digitally enrich their exhibitions
Chi et al. Synthesis-Assisted Video Prototyping From a Document
WO201214556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ssembling and/or displaying multimedia objects, modules or presentations
KR20030066180A (ko) 온라인을 통해 멀티미디어 디지털 콘텐츠를 자동으로제작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CN113705177A (zh) 基于集成写稿环境的稿件录入方法、装置和计算机设备
KR101089357B1 (ko) 객체단위 기반 학습 콘텐츠 개발 시스템
KR101302583B1 (ko) 객체단위 기반 학습 콘텐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3190509A (zh) 动画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Schmitt Professional CSS: cascading style sheets for web design
Borisov et al. Challenges of Publishing Online Scholarly Journals with Multimedia Content.
Hamasaki et al. Storage and Playback Device for Creative Dance with Kinect
Baecker et al. Modularity and Hierarchical Structure in the Digital Video Lifecy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