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20706A - 텍스트-모션 변환을 이용한 디지털 스토리 보드 생성 방법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텍스트-모션 변환을 이용한 디지털 스토리 보드 생성 방법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20706A
KR20070120706A KR1020060055301A KR20060055301A KR20070120706A KR 20070120706 A KR20070120706 A KR 20070120706A KR 1020060055301 A KR1020060055301 A KR 1020060055301A KR 20060055301 A KR20060055301 A KR 20060055301A KR 20070120706 A KR20070120706 A KR 200701207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yboard
data
motion
user
wo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5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01666B1 (ko
Inventor
한성호
Original Assignee
뷰모션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뷰모션 (주) filed Critical 뷰모션 (주)
Priority to KR1020060055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1666B1/ko
Publication of KR20070120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207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1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16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2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 G06T13/4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of characters, e.g. humans, animals or virtual be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텍스트-모션 변환을 이용한 디지털 스토리보드 생성 방법 및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디지털 스토리보드 생성 방법은 사전에 다양한 모션을 애니메이션으로 구현하는 모션 데이터들을 해당 모션을 나타내는 단어와 상호 연계시켜 저장하고, 사용자가 디지털 스토리보드를 작성하기 위해서 동작을 나타내는 단어를 포함하는 명령어를 입력하면 해당 단어가 나타내는 모션을 애니메이션으로 재현하고, 재현되는 애니메이션에서 스토리보드에 적합한 이미지를 스??샷(Snapshot)하여 모션 이미지를 추출함으로써, 그림에 대한 소질이 없고, 연출에 대한 사전 지식이 많지 않은 사용자라도 직접 용이하게 스토리보드를 작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텍스트-모션 변환을 이용한 디지털 스토리 보드 생성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the digital storyboard by converting text to motion}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스토리보드 생성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토리보드 생성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하는 상세 블록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베이스의 세부 구성을 도시하는 상세 블록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텍스트-모션 변환을 이용한 디지털 스토리 보드 생성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 내지 도 1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디지털 스토리보드를 생성하는 과정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디지털 스토리보드 생성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 발명은 사전에 저장되거나 사용자가 입력한 단어 또는 문장을 모션 이미지로 자동으로 변환하여 디지털 스토리보드를 생성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스토리보드란, 영화나 텔레비전 광고 또는 애니메이션이나 게임 동영상 등을 제작하기 위해 작품의 전체적 구성이나 주제의 흐름을 주요 장면별로 TV, 스크린 화면과 같은 4:3, 12:9 비율의 여러 개의 화면에 그림을 그려 놓은 것을 말한다. 스토리보드는 각 시퀀스를 액션마다 분류해서 그리며 주로 화면구성과 색채 설계나 캐릭터의 정밀한 액션 포인트의 결정 등을 목적으로 한다. 한마디로 스토리보드는 각 장면에 대한 카메라와 피사체의 움직임을 설명하고, 어떤 내용을 어떻게 찍을 것인가를 그림으로 표현하여, 촬영에 필요한 모든 것을 미리 파악하게 해주는 설계도와 같은 것이다.
스토리보드는 글로 쓰인 내용(시나리오)과 그 구조를 시각화한다. 또한 감독과 카메라 감독, 프로듀서 그리고 특수효과 팀의 시각적인 요구를 채워줌으로써 아이디어를 테스트하고, 승인 여부를 결정하게 하며 아이디어가 제작에 이르도록 도와준다. 그리고 스토리보드는 실제 작업시에 발생될 문제점을 미리 발견하여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도록 도와주며 다음과 같은 지침서 역할을 하기도 한다.
촬영자나 등장인물들로 하여금 이 영상을 왜, 어떻게 촬영하는가에 대한 이해를 도와주며 영상의 자연스러운 전개와 흐름을 도와서 연결되는 장면들을 미리 예상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각 장면을 그림으로 표현하여 시각화함으로써 각 장면의 구성에 대해 생각할 수 있게 해주며 마지막으로 편집시 각 장면의 편집 순서를 정해주는 기본이 된다.
최근의 스토리보드 제작은 영화나 TV 제작물에서 이용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애니메이션이나 게임 동영상 제작 등 모든 영상매체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작업이 되었다
특히, 스토리보드는 애니메이션이나 게임 등의 컨텐츠 개발의 설계도이며 구체적인 작업 지침서이다. 즉, 컨텐츠 설계 단계의 최종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내용을 컴퓨터 화면상에 맞도록 종이위에 구성화한 형태로서, 애니메이션과 게임의 컨텐츠가 구성 요소 간에 어떻게 진행되는지를 명확하게 보여주기 위해 사용된다.
컨텐츠 개발 기획서가 개발의 청사진이라면 플로우차트는 컨텐츠의 인터랙션을 나타내는 것이고, 스토리보드는 컨텐츠 개발의 설계도이며, 구체적인 작업 지침서이다. 스토리보드가 완성되면, 디자이너는 스토리보드에 명시된 내용을 가지고, 화면 디자인부터 시작하여 각각의 일러스트 데이터를 그린다.
프로그래머는 스토리보드를 보고 프로그램 설계를 하고 각 세부 로직에 대한 프로그램을 코딩하게 된다. 그러므로 스토리보드가 완성되면 컨텐츠 개발의 기획이 완성되었다고 말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데이터 제작만이 남게 된다.
그러나, 기획자 또는 시나리오 작가 스스로 시나리오에 맞는 스토리보드를 설계하기엔 캐릭터의 동선 및 카메라 웍의 공간 연출 등의 어려움이 존재하여 쉽게 접근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이러한 스토리보드는 시나리오 작가 또는 감독등의 의뢰를 받은 전문 스토리보드 작가에 의해 작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가 컴퓨터를 이용하여 간단하 고 용이하게 스토리보드를 작성할 수 있는 디지털 스토리보드 생성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디지털 스토리보드 생성 시스템은,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어 또는 소정의 문서로부터 동작을 나타내는 단어를 추출하고, 단어에 대응되는 모션 데이터를 소정의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판독하며, 모션 데이터로부터 모션 이미지를 추출하여 스토리보드 데이터를 생성하는 스토리보드 생성부; 및 모션 데이터를 단어와 상호 연계하여 저장한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스토리보드 생성부는, 사용자로부터 설정값을 입력받아 스토리보드의 구조를 나타내는 스토리보드 레이아웃 데이터를 생성하고, 명령어 또는 문서로부터 동작을 나타내는 단어를 추출하여 단어에 대응되는 모션 데이터를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판독하여 애니메이션으로 재현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하며, 재현되는 모션 애니메이션 중 사용자가 선택한 모션 이미지를 추출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대사 데이터와 함께 스트로보드 레아아웃에 각각 삽입하여 스토리보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데이터 베이스는, 단어와 단어가 나타내는 모션을 애니메이션으로 표현하는 모션 데이터를 서로 연계하여 저장하고, 스토리보드 레이아웃 데이터 및 카메라 설정 데이터를 저장하며, 스토리보드 생성부에서 생성된 스토리보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스토리보드 생성부는, 명령어 또는 문서로부터 동사의 기본형 및 활용형에 대응되는 단어를 추출하고, 단어와 연계되어 저장된 모션 데이터를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판독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스토리보드 생성부는, 스토리보드 데이터를 HTML 파일 형식으로 변환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스토리보드 생성부는, 모션 애니메이션을 재현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하면서, 모션 애니메이션에서 스토리보드에 적합한 모션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는 타겟 카메라의 개수, 위치, 및 앵글에 대한 설정값을 입력받아 카메라 설정 데이터를 생성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카메라 설정 데이터에 따라서 애니메이션을 재현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스토리보드 생성부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레이아웃 설정 정보에 따라서 스토리보드의 레이아웃 데이터를 생성하는 레이아웃 설정부; 명령어 또는 문서로부터 동작을 나타내는 단어를 추출하는 언어처리부; 단어를 데이터 베이스에 조회하여 단어와 연계되어 저장된 모션 데이터를 판독하고, 모션 데이터를 3차원 애니메이션으로 재현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모션 생성부; 애니메이션 재현중에 사용자가 선택한 순간의 이미지를 모션 이미지로 추출하여 레아아웃 데이터에 따른 스토리보드의 레이아웃에 삽입하는 모션 이미지 추출부; 모션 생성부에서 재현되는 애니메이션을 모션 이미지 추출부에서 이미지로서 추출할 때 이용되는 타겟 카메라의 개수, 타겟 카메라의 위치, 및 타겟 카메라 앵글에 대한 설정값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카메라 설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카메라 설정부; 스토리보드에 삽입될 대사 및 코멘트를 포함하는 대사 데이터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스토리보드 레이아웃에 삽입하는 대사 삽입부; 및 모션 이미지 및 대사 데이터가 삽입된 스토리보드 데이터를 소정의 파일 형식으로 변환는 파일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데이터 베이스는, 단어와 단어가 나타내는 모션을 애니메이션으로 표현하는 모션 데이터를 서로 연계하여 저장하는 모션 데이터 저장부; 스토리보드 레이아웃 데이터 및 카메라 설정 데이터를 저장하는 설정 데이터 저장부; 및 스토리보드 생성부에서 생성된 스토리보드 데이터를 저장하는 스토리보드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디지털 스토리보드 생성 방법은, (a) 동작을 나타내는 단어와 동작을 나타내는 모션 데이터를 상호 연계하여 소정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c)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명령어 또는 소정의 문서로부터 동작을 나타내는 단어를 추출하고, 단어를 데이터 베이스에 조회하여 단어와 연계된 모션 데이터를 판독하는 단계; 및 (d) 모션 데이터로부터 모션 이미지를 추출하여 스토리보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디지털 스토리보드 생성 방법은, 상술한 (a) 단계와 (c) 단계 사이에, (b) 사용자로부터 스토리보드의 레이아웃 설정값을 입력받아 스토리보드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레아아웃 설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d) 단계는, 모션 이미지를 스토리보드 레이아웃에 삽입하여 스토리보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d)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스토리보드에 입력될 대사 또는 코 멘트를 입력받아 모션 이미지와 함께 스토리보드 레이아웃에 삽입하여 스토리보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d) 단계는, 모션 데이터를 애니메이션으로 사용자에게 재현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순간에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애니메이션 이미지를 모션 이미지로서 애니메이션으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d) 단계는, 애니메이션으로부터 모션 이미지를 추출할 때 이용되는 타겟 카메라에 대한 설정값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카메라 설정 데이터를 생성하고, 카메라 설정 데이터에 따라서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애니메이션으로부터 모션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스토리보드 생성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디지털 스토리보드 생성 시스템은 입력부(10), 스토리보드 생성부(20), 표시부(40), 송수신부(50), 및 데이터 베이스(DB: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입력부(10)는 키보드로 입력되는 글이나 시나리오 등의 문서가 입력수단으로 이용되고, 모션으로 생성할 명령어, 사용자의 설정값 등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스토리보드 생성부(20)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스토리보드 생성부(20)는 입력부(1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스토리보드 레아아웃의 설정값을 입력받아 스토리보드의 구조를 나타내는 스토리보드 레이아웃 데이터를 생성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어 또는 데이터 베이스(30)에 저장된 문서 로부터 추출된, 동작을 나타내는 단어에 대응되는 모션 데이터를 데이터 베이스(30)로부터 판독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하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선택 값에 따라서 모션들 중 씬을 표현하기에 가장 적합한 모션 이미지를 추출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대사 데이터와 함께 스트로보드 레아아웃에 각각 삽입하여 스토리보드 데이터를 생성하여 데이터 베이스(30)로 출력한다.
데이터 베이스(30)는 각 단어와 해당 단어가 나타내는 모션을 3차원 애니메이션으로 표현하는 모션 데이터를 서로 연계하여 저장하고, 사용자가 설정한 스토리보드 레이아웃 데이터 및 각 레이아웃에서의 카메라의 설정값과 같은 설정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데이터 베이스(30)는 스토리보드 생성부(20)에서 생성된 스토리보드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데이터 베이스(30)는 스토리보드 생성에 이용되는 텍스트 문서 및 대사 데이터를 추가적으로 저장할 수도 있다.
표시부(40)는 LCD, CRT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되며, 스토리보드 생성부(20)로부터 입력된 모션 영상 및 선택 메뉴 등을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송수신부(50)는 데이터 베이스(30)에 저장된 디지털 스토리보드를 인터넷망을 통해서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미도시 됨)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송수신부(50)는 인터넷망을 통해서 모션 데이터를 소정의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하거나 새로운 모션 데이터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 베이스(30)를 온라인 상에서 업데이트 시킨다.
도 2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토리보드 생성부(20)의 세부 구성을 도시하는 상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스토리보드 생성부(20)는 레이아웃 설정부(21), 언어처리부(25), 모션 생성부(26), 모션 이미지 추출부(27), 카메라 설정부(22), 대사 삽입부(28), 및 파일 생성부(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레이아웃 설정부(21)는 스토리보드가 이용되는 프로젝트 제목, 씬 제목, 해당 씬에 포함되는 샷의 개수 등의 레이아웃 설정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스토리보드의 구조를 나타내는 스토리보드 레아아웃 데이터를 생성한다.
언어처리부(25)는 모션 데이터를 데이터 베이스(30)에 저장하는 경우 및 텍스트 문서를 모션으로 변환하는 경우에, 입력부(10)를 통해서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어(문장 또는 단어로 구성됨), 및 소정의 텍스트 문서로부터 동작을 나타내는 단어(예컨대, 동사의 기본형 또는 동사의 활용형 등)를 추출한다.
그 후, 언어처리부(25)는 모션 데이터 저장 과정의 경우 추출된 단어를 해당 단어의 동작을 나타내는 모션 데이터와 상호 연계하여 데이터 베이스(30)에 저장한다. 또한, 언어처리부(25)는 텍스트 모션 변환 과정의 경우 추출된 단어를 모션 생성부(26)로 출력한다.
모션 생성부(26)는 언어처리부(25)로부터 입력된 단어와 연계되어 저장된 모션 데이터를 데이터 베이스(30)로부터 판독하고, 모션 데이터를 애니메이션으로 재현하여 후술하는 카메라 설정 데이터에 따라서 표시부(40)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모션 이미지 추출부(27)는 모션 생성부(26)가 재현하는 모션 애니메이션 중 사용자가 입력부(10)를 통해서 선택한 순간의 애니메이션 화면을 스??샷(Snapshot)하여 이미지 데이터로 추출하고 스토리보드에 삽입한다. 이 때, 모션 이미지 추출부(27)는 후술하는 카메라 설정부(22)에서 설정한 타겟 카메라에서 촬영된 애니메이션을 모션 이미지로 추출한다. 예컨대, 타겟 카메라가 애니메이션이 재현되는 공간상에서 물체의 우측 하단에 위치하여 상향으로 물체를 촬영하도록 설정되었다고 가정하면, 해당 카메라를 이용하여 추출된 모션 이미지는 물체의 동작을 우측 하단에서 상향으로 촬영한 이미지가 된다.
카메라 설정부(22)는 모션 생성부(26)에서 재현되는 애니메이션을 모션 이미지 추출부(27)에서 이미지로서 추출할 때 이용되는 타겟 카메라의 개수, 위치, 크기 및 앵글에 대하여 설정하고 입력부(10)를 통해서 사용자로부터 받는 내용에 대해 최적의 씬을 연출할 수 있는 카메라를 지정한다.
대사 삽입부(28)는 스토리보드에 삽입될 대사 및 코멘트들(이하,"대사 데이터"라 칭함)을 입력부(10)를 통해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스토리보드에 삽입한다.
파일 생성부(24)는 이미지 데이터 및 대사 등이 삽입되어 생성된 스토리보드 데이터를 소정의 파일 형식으로 변환하여 데이터 베이스(30)에 저장한다. 이 때, 스토리보드 데이터가 변환되는 파일 형식은 디폴트(Default)로 인터넷에서 볼 수 있는 웹문서 형식의 HTML 파일이고 그 밖의 다양한 형식으로도 출력이 가능하다.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베이스(30)의 세부 구성을 도시하는 상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데이터 베이스(30)는 모션 데이터 저장부(31), 설정 데이터 저장부(33), 스토리보드 저장부(35)를 기본적으로 포함한다. 또한, 데이터 베이스(30)는 대사 저장부(39), 및 텍스트 저장부(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모션 데이터 저장부(31)는 각각의 동작을 애니메이션으로 표현하는 모션 데이터를 각 동작을 나타내는 단어와 서로 연계시켜 저장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모션 데이터로서 3DS Max version 8 에서 지원하는 biped 기능을 이용하여 생성된 모션 데이터를 저장하였다. 또한, 각 모션 데이터는 각 모션을 나타내는 단어(동사와 이들 동사의 활용형)을 함께 연계하여 저장한다.
설정 데이터 저장부(33)는 상술한 레이아웃 설정부(21)에서 입력된 스토리보드 레아아웃 데이터를 저장하고, 카메라 설정부(22)에서 입력된 각 카메라 설정 데이터를 저장한다.
스토리보드 저장부(35)는 최종 생성된 디지털 스토리보드 데이터를 저장한다.
한편, 선택적으로 포함되는 대사 저장부(39)는 사용자가 사전에 입력한 스토리보드의 각 샷에 입력될 대사 및 코멘트를 포함하는 대사 데이터를 저장하고, 텍스트 저장부(37)는 모션을 표현하는 문장 또는 단어를 사전에 텍스트 문서 또는 소정의 워드프로세서 파일 형태로 문서로 저장한다.
다만,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하나의 데이터 베이스(30)에 상술한 모션 데이터 저장부(31), 설정 데이터 저장부(33), 스토리보드 저장부(35), 텍스트 저장부(37), 및 대사 저장부(39)가 모두 포함되는 것으로 기재 하였으나, 상술한 각각의 저장부는 별개의 데이터 베이스들에 존재할 수 있다. 예컨대, 문서를 저장하는 텍스트 저장부(37)는 인터넷을 통해서 연결된 별개의 서버상에 존재할 수도 있고, 상술한 모든 저장부가 인터넷망을 통해 연결된 별개의 데이터 베이스 서버에 존재할 수도 있다.
도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텍스트-모션 변환을 이용한 디지털 스토리 보드 생성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를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텍스트-모션 변환을 이용한 디지털 스토리 보드 생성 방법을 설명한다.
텍스트를 모션으로 변환하여 스토리보드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먼저 다양한 동작을 3차원 애니메이션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각 동작에 대한 모션 데이터를 생성하여 모션 데이터 저장부(31)에 저장한다(S40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션 데이터는 주지된 3차원 애니메이션 제작 소프트웨어인 3DS Max를 이용하여 생성한 후, "파일명.BIP" 형식으로 모션 데이터 저장부(31)에 저장된다.
그 후, 언어처리부(25)는 각 모션을 나타내는 단어(동사와 해당 동사의 활용형)을 모션 데이터와 연계하여 모션 데이터 저장부(31)에 저장한다(S405). 도 5 는 제 S405 단계에서 상호 연계되어 저장된 동사와 모션 데이터의 일예를 도시한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동사의 기본형 및 그 활용형은, 해당 단어의 동작을 나타내는 모션 데이터와 상호 연계되어 저장된다.
데이터 베이스(30)에 모션 데이터가 저장된 후, 사용자가 디지털 스토리보드를 작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시스템을 구동하면, 표시부(40)를 통해서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 UI 화면이 출력되고, 사용자는 표시된 메뉴 중 스토리보 드의 레이아웃을 설정하는 메뉴(도 6 의 "setup")를 선택한 후, 레이아웃 설정값을 입력하며, 레이아웃 설정부(21)는 입력된 설정값에 따라서 디지털 스토리보드의 레아아웃 데이터를 생성하여 설정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한다(S410).
제 S410 단계에서, 레이아웃 설정부(21)는 사용자로부터 디지털 스토리보드가 이용되는 프로젝트의 제목, 해당 프로젝트를 구성하는 씬(scene)의 제목, 해당 씬의 시작 페이지, 해당 씬의 샷의 개수(시작 샷 및 종료 샷)를 입력받아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은 디지털 스토리보드의 레아아웃 데이터, 즉, 디지털 스토리보드의 레이아웃을 생성한다.
디지털 스토리보드 레이아웃의 일예를 도시한 도 7을 참조하면, 참조부호 701 이 가리키는 영역에는 프로젝트 제목이 삽입되고, 참조부호 702 가 가리키는 영역에는 씬 제목이 삽입되며, 참조부호 703 이 가리키는 영역에는 씬의 페이지 번호가 삽입되고, 참조부호 704 가 가리키는 영역에는 706 영역에 삽입될 이미지를 추출한 카메라 번호가 삽입되며, 참조부호 705 가 가리키는 영역에는 샷 번호가 삽입된다. 이 후, 참조부호 706 에 해당하는 영역에는 모션 이미지 추출부(27)에서 추출된 샷의 이미지가 삽입되고, 참조부호 707 에 해당하는 영역에는 대사 삽입부(28)에서 생성된 대사 데이터가 삽입된다.
레이아웃이 설정된 후, 사용자가 모션 이미지를 디지털 스토리보드에 삽입하기 위한 메뉴(도 8 의 "Engine of Digital storyboard")를 선택하면, 언어처리부(25)는 사용자가 모션을 재현할 명령어를 직접 입력하였는지 또는 사전에 저장된 텍스트를 호출하였는지를 조사하여(S420), 사용자가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 작을 나타내는 단어(예컨대, 도 8 의 "담배피다")를 포함하는 문장 등을 명령어로서 직접 입력한 경우에, 후술하는 제 S430 단계로 진행한다(S425). 이 때, 사용자가 입력하는 명령어는 동작을 나타내는 단어만을 직접 입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작을 나타내는 단어를 포함하는 완성된 문장을 입력할 수도 있다.
만약 제 S420 단계의 조사결과 사용자가 사전에 텍스트 저장부(37)에 저장된 문서를 불러오기 위한 메뉴(도 8 의 "문서 불러오기")를 선택한 경우에, 언어처리부(25)는 텍스트 저장부(37)에 저장된 텍스트 목록 중 사용자가 선택한 텍스트 문서를 텍스트 저장부(37)로부터 판독한다(S428).
언어처리부(25)는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어 또는 텍스트 문서에서 동작을 나타내는 단어를 검색하여 검색된 단어를 모션 생성부(26)로 출력한다(S430).
모션 생성부(26)는 언어처리부(25)로부터 입력된 단어에 대응되는 모션 데이터를 모션 데이터 저장부(31)에서 검색하고(S440), 해당 단어에 대응되는 모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 해당 모션 데이터를 판독하고, 이를 이용하여 모션 애니메이션을 재현하여 도 8 의 우측창에 표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게 표시한다(S445).
도 8 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모션 애니메이션은, 사용자가 "담배피다"라는 명령어를 직접 입력한 경우에, 모션 생성부(26)가 "담배피다"라는 동사형과 연계되어 모션 데이터 저장부(31)에 C:\TTM\담배피다.BIP 파일로 저장된 모션 데이터를 판독하여, 바이펫이 담배를 꺼내서 피우기까지의 전과정을 애니메이션으로 재현한다.
한편, 사용자의 명령어 또는 문서에 대응되는 모션 애니메이션이 재현되는 동안에, 사용자는 모션 애니메이션으로부터 스토리보드에 삽입될 모션 이미지를 추출하기 위한 카메라 설정값을 입력부(10)를 통해서 카메라 설정부(22)로 입력하고, 카메라 설정부(22)는 입력된 설정값들을 이용하여 카메라 설정 데이터를 생성하여 설정 데이터 저장부(33)에 저장한다(S450).
구체적으로, 제 S450 단계는 모션 애니메이션이 재현되는 3차원 가상공간에서 스토리보드에 삽입될 모션 이미지를 추출하기 위한 카메라의 개수, 각 카메라의 위치 및 앵글, 각 카메라가 표시할 3차원 모션 애니메이션의 프레임등을 설정한다.
도 9 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카메라 설정 메뉴("Shot")를 선택하고, 이용할 카메라의 개수 및 각 카메라가 표시할 시작 프레임 및 종료 프레임등을 선택할 수 있다. 도 9 에서는 메인 카메라 외에 4개의 카메라가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되었고, 카메라 01 은 제 1 프레임부터 제 10 프레임까지의 동작을 표시하고, 카메라 03 이 제 21 프레임부터 제 30 프레임까지의 동작으로 표시하며, 카메라 02가 제 35 프레임부터 제 40 프레임까지의 동작을 표시하고, 카메라 04 가 제 90 프레임부터 제 100 프레임까지의 동작을 표시하며, 디폴트로 설정된 메인 카메라가 제 101 프레임부터 제 5000 프레임까지 표시하도록 설정되었다. 카메라 설정 데이터가 생성되면, 모션 생성부(26)는 카메라 설정 데이터에 따라서 모션 애니메이션을 재현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그 후, 사용자는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로보드에 표시될 대사 데이터를 입력하는 메뉴(도 10 의 "Storyboard Description" 메뉴)를 선택하고, 대사 입력란에 대사 또는 코멘트를 입력하거나 대사 저장부(39)에 저장된 대사 등을 판 독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대사 등은 대사 삽입부(28)로 출력되며, 대사 삽입부(28)는 대사 데이터를 사전에 설정된 스토리보드 레이아웃에 삽입한다(S460).
한편, 모션 생성부(26)가 모션 애니메이션을 재현하는 중에 사용자는 모션 애니메이션 중 스토리보드에 삽입하고자 하는 장면이 애니메이션으로 재현되는 순간에, 도 8 내지 도 10 에 도시된 소정의 버튼("P버튼")을 클릭하면, 모션 이미지 추출부(27)는 버튼이 클릭된 순간에 카메라 설정 데이터에 따라서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애니메이션을 스??샷(Snapshot)하여 모션 이미지를 추출하고 스토리보드 레이아웃에 삽입한다(S470).
모션 이미지 및 대사 데이터가 삽입된 스토리보드 데이터는 파일 생성부(24)로 출력되고, 파일 생성부(24)는 입력된 스토리보드 데이터를 소정의 파일 형식으로 변환하여 스토리보드 저장부(35)에 저장한다(S480). 도 11 은 HTML 형식의 파일로 저장된 디지털 스토리보드를 인터넷상에서 출력한 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라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전에 다양한 모션을 애니메이션으로 구현하는 모션 데이터들을 해당 모션을 나타내는 단어와 상호 연계시켜 저장하고, 사용자가 디지털 스토리보드를 작성하기 위해서 동작을 나타내는 단어를 포함하는 명령어를 입력하면 해당 단어가 나타내는 모션을 애니메이션으로 재현하고, 재현되는 애니메이션에서 스토리보드에 적합한 이미지를 스??샷(Snapshot)하여 모션 이미지를 추출함으로써, 그림에 대한 소질이 없고, 연출에 대한 사전 지식이 많지 않은 사용자라도 직접 용이하게 스토리보드를 작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4)

  1.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어 또는 소정의 문서로부터 동작을 나타내는 단어를 추출하고, 상기 단어에 대응되는 모션 데이터를 소정의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판독하며, 상기 모션 데이터로부터 모션 이미지를 추출하여 스토리보드 데이터를 생성하는 스토리보드 생성부; 및
    상기 모션 데이터를 상기 단어와 상호 연계하여 저장한 상기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스토리보드 생성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리보드 생성부는
    사용자로부터 설정값을 입력받아 스토리보드의 구조를 나타내는 스토리보드 레이아웃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명령어 또는 상기 문서로부터 동작을 나타내는 상기 단어를 추출하여 상기 단어에 대응되는 모션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판독하여 애니메이션으로 재현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하며, 상기 재현되는 모션 애니메이션 중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모션 이미지를 추출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대사 데이터와 함께 상기 스트로보드 레아아웃에 각각 삽입하여 상기 스토리보드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스토리보드 생성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는
    상기 단어와 상기 단어가 나타내는 모션을 애니메이션으로 표현하는 상기 모 션 데이터를 서로 연계하여 저장하고, 상기 스토리보드 레이아웃 데이터 및 카메라 설정 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스토리보드 생성부에서 생성된 스토리보드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스토리보드 생성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리보드 생성부는
    상기 명령어 또는 상기 문서로부터 동사의 기본형 및 활용형에 대응되는 단어를 추출하고, 상기 단어와 연계되어 저장된 모션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스토리보드 생성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리보드 생성부는
    상기 스토리보드 데이터를 HTML 파일 형식으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스토리보드 생성 시스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리보드 생성부는
    상기 모션 애니메이션을 재현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하면서, 상기 모션 애니메이션에서 스토리보드에 적합한 모션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는 타겟 카메라의 개수, 위치, 및 앵글에 대한 설정값을 입력받아 상기 카메라 설정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카메라 설정 데이터에 따라서 상기 애니메이션을 재현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스토리보드 생성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리보드 생성부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레이아웃 설정 정보에 따라서 스토리보드의 레이아웃 데이터를 생성하는 레이아웃 설정부;
    상기 명령어 또는 상기 문서로부터 동작을 나타내는 상기 단어를 추출하는 언어처리부;
    상기 단어를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조회하여 상기 단어와 연계되어 저장된 상기 모션 데이터를 판독하고, 상기 모션 데이터를 3차원 애니메이션으로 재현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모션 생성부;
    상기 애니메이션 재현중에 사용자가 선택한 순간의 이미지를 상기 모션 이미지로 추출하여 상기 레아아웃 데이터에 따른 스토리보드의 레이아웃에 삽입하는 모션 이미지 추출부;
    상기 모션 생성부에서 재현되는 애니메이션을 상기 모션 이미지 추출부에서 이미지로서 추출할 때 이용되는 타겟 카메라의 개수, 타겟 카메라의 위치, 및 타겟 카메라 앵글에 대한 설정값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카메라 설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카메라 설정부;
    스토리보드에 삽입될 대사 및 코멘트를 포함하는 대사 데이터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스토리보드 레이아웃에 삽입하는 대사 삽입부; 및
    상기 모션 이미지 및 상기 대사 데이터가 삽입된 스토리보드 데이터를 소정의 파일 형식으로 변환는 파일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스토 리보드 생성 시스템.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는
    상기 단어와 상기 단어가 나타내는 모션을 애니메이션으로 표현하는 상기 모션 데이터를 서로 연계하여 저장하는 모션 데이터 저장부;
    상기 스토리보드 레이아웃 데이터 및 카메라 설정 데이터를 저장하는 설정 데이터 저장부; 및
    상기 스토리보드 생성부에서 생성된 스토리보드 데이터를 저장하는 스토리보드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스토리보드 생성 시스템.
  9. (a) 동작을 나타내는 단어와 상기 동작을 나타내는 모션 데이터를 상호 연계하여 소정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c)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명령어 또는 소정의 문서로부터 동작을 나타내는 단어를 추출하고, 상기 단어를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조회하여 상기 단어와 연계된 모션 데이터를 판독하는 단계; 및
    (d) 상기 모션 데이터로부터 모션 이미지를 추출하여 스토리보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스토리보드 생성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와 상기 (c) 단계 사이에, (b) 사용자로부터 스토리보드의 레 이아웃 설정값을 입력받아 스토리보드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레아아웃 설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d) 단계는, 상기 모션 이미지를 상기 스토리보드 레이아웃에 삽입하여 스토리보드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스토리보드 생성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스토리보드에 입력될 대사 또는 코멘트를 입력받아 상기 모션 이미지와 함께 상기 스토리보드 레이아웃에 삽입하여 스토리보드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스토리보드 생성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모션 데이터를 애니메이션으로 사용자에게 재현하고,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순간에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애니메이션 이미지를 상기 모션 이미지로서 상기 애니메이션으로부터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스토리보드 생성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애니메이션으로부터 상기 모션 이미지를 추출할 때 이용되는 타겟 카메라에 대한 설정값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카메라 설정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카메라 설정 데이터에 따라서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애니메이션으로부터 상기 모션 이미지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스토리보드 생성 방법.
  14. 제 9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의 디지털 스토리보드 생성 방법을 컴퓨터에서 판독할 수 있고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로 기록한 기록 매체.
KR1020060055301A 2006-06-20 2006-06-20 텍스트-모션 변환을 이용한 디지털 스토리 보드 생성 방법및 시스템 KR1008016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5301A KR100801666B1 (ko) 2006-06-20 2006-06-20 텍스트-모션 변환을 이용한 디지털 스토리 보드 생성 방법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5301A KR100801666B1 (ko) 2006-06-20 2006-06-20 텍스트-모션 변환을 이용한 디지털 스토리 보드 생성 방법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20706A true KR20070120706A (ko) 2007-12-26
KR100801666B1 KR100801666B1 (ko) 2008-02-11

Family

ID=39138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5301A KR100801666B1 (ko) 2006-06-20 2006-06-20 텍스트-모션 변환을 이용한 디지털 스토리 보드 생성 방법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1666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93784A1 (en) * 2008-01-25 2009-07-30 Chung-Ang University Industry-Academy Cooperation Foundation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emotion based digital storyboard
KR20100054078A (ko) * 2008-11-13 2010-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토리보드를 통한 애니메이션 저작 장치 및 그 방법
WO2011126498A1 (en) * 2010-04-09 2011-10-13 Microsoft Corporation Automated story generation
KR101116538B1 (ko) * 2010-01-14 2012-02-28 이승주 공연안무제작시스템 및 공연안무제작방법
KR101118536B1 (ko) * 2009-10-23 2012-03-12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상호 작용이 가능한 콘텐츠 저작 수단을 제공하는 방법
WO2013036251A1 (en) * 2011-09-10 2013-03-14 Microsoft Corporation Scenario based animation library
KR20160012010A (ko) * 2014-07-23 2016-02-02 (주)모션블루 학습 완구, 학습 정보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N112685582A (zh) * 2019-10-18 2021-04-20 微软技术许可有限责任公司 自动生成故事板
GB2596414A (en) * 2020-06-01 2021-12-29 Nvidia Corp Content animation using one or more neural networks
KR102643498B1 (ko) * 2023-05-24 2024-03-05 주식회사 비브스튜디오스 음원에 기반한 스토리보드 생성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5161A (ko) * 2000-06-02 2001-04-06 조양일 감정 처리가 가능한 아바타 메이커 구현 방법
KR100383019B1 (ko) * 2001-01-03 2003-05-09 (주)아이뮤직소프트 뮤직비디오 제작장치
KR20040000534A (ko) * 2002-06-21 2004-01-07 김현동 디지털 프레임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애니메이션 제작시스템
KR20050012101A (ko) * 2003-07-24 2005-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시나리오를 기록한 정보저장매체, 기록장치 및 기록방법,그 정보저장매체의 재생장치 및 시나리오의 검색방법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93784A1 (en) * 2008-01-25 2009-07-30 Chung-Ang University Industry-Academy Cooperation Foundation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emotion based digital storyboard
US8830243B2 (en) 2008-01-25 2014-09-09 Chung-Ang University Industry-Academy Cooperation Fdn.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emotion based digital storyboard
KR20100054078A (ko) * 2008-11-13 2010-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토리보드를 통한 애니메이션 저작 장치 및 그 방법
KR101118536B1 (ko) * 2009-10-23 2012-03-12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상호 작용이 가능한 콘텐츠 저작 수단을 제공하는 방법
KR101116538B1 (ko) * 2010-01-14 2012-02-28 이승주 공연안무제작시스템 및 공연안무제작방법
US8422852B2 (en) 2010-04-09 2013-04-16 Microsoft Corporation Automated story generation
WO2011126498A1 (en) * 2010-04-09 2011-10-13 Microsoft Corporation Automated story generation
US9161007B2 (en) 2010-04-09 2015-10-1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utomated story generation
WO2013036251A1 (en) * 2011-09-10 2013-03-14 Microsoft Corporation Scenario based animation library
KR20160012010A (ko) * 2014-07-23 2016-02-02 (주)모션블루 학습 완구, 학습 정보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N112685582A (zh) * 2019-10-18 2021-04-20 微软技术许可有限责任公司 自动生成故事板
GB2596414A (en) * 2020-06-01 2021-12-29 Nvidia Corp Content animation using one or more neural networks
GB2596414B (en) * 2020-06-01 2024-01-03 Nvidia Corp Content animation using one or more neural networks
KR102643498B1 (ko) * 2023-05-24 2024-03-05 주식회사 비브스튜디오스 음원에 기반한 스토리보드 생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1666B1 (ko) 2008-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1666B1 (ko) 텍스트-모션 변환을 이용한 디지털 스토리 보드 생성 방법및 시스템
US8161452B2 (en) Software cinema
US8223152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authoring animation through storyboard
US20070147654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lating text to images
US20130083036A1 (en) Method of rendering a set of correlated events and computerized system thereof
CN109348145B (zh) 基于字幕生成关联弹幕的方法及设备、计算机可读介质
CN111930289B (zh) 一种处理图片和文本的方法和系统
US8223153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authoring animation through storyboard
Adams et al. IMCE: Integrated media creation environment
KR102013947B1 (ko) 오픈 시나리오 생성 방법
JP2006528864A (ja) シナリオを記録した情報記録媒体、記録装置及び記録方法、その情報記録媒体の再生装置及びシナリオの検索方法
US20150340068A1 (en) Automatic shooting and editing of a video
Chi et al. Synthesis-Assisted Video Prototyping From a Document
KR20110012541A (ko) 디지털 스토리보드 생성 시스템
JP6603929B1 (ja) 動画編集サーバおよびプログラム
CN112040322A (zh) 一种视频说明书制作方法
KR20050012101A (ko) 시나리오를 기록한 정보저장매체, 기록장치 및 기록방법,그 정보저장매체의 재생장치 및 시나리오의 검색방법
US11423941B2 (en) Write-a-movie: unifying writing and shooting
JP2005285076A (ja) 映像情報制作方法
JP4969234B2 (ja) 画像取扱方法、画像取扱装置、および画像取扱システム
JP2020129357A (ja) 動画編集サーバ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636708B1 (ko) 프레젠테이션 문서에 대한 수어 발표 영상을 제작할 수 있는 전자 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2008299493A (ja) コンテンツ作成支援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Not et al. Cinematographic techniques for automatic documentary-like presentations
CN116348838A (zh) 文本向动态视频的转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10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