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6538B1 - 공연안무제작시스템 및 공연안무제작방법 - Google Patents

공연안무제작시스템 및 공연안무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6538B1
KR101116538B1 KR1020100003500A KR20100003500A KR101116538B1 KR 101116538 B1 KR101116538 B1 KR 101116538B1 KR 1020100003500 A KR1020100003500 A KR 1020100003500A KR 20100003500 A KR20100003500 A KR 20100003500A KR 101116538 B1 KR101116538 B1 KR 101116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formance
scene
displayed
choreography production
choreograph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3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3329A (ko
Inventor
이승주
Original Assignee
이승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주 filed Critical 이승주
Priority to KR1020100003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6538B1/ko
Publication of KR20110083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33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6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6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02Feature extraction for speech recognition; Selection of recognition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conom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연안무제작시스템 및 공연안무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연안무제작시스템은 장면의 구성에 필요한 객체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객체와, 상기 객체가 표시되는 장면과, 상기 객체가 표시되는 위치와, 상기 객체의 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객체표시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객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객체가 상기 입력된 객체표시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상기 저장부 및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공연의 내용을 정확히 표현할 수 있고, 콘티 또는 무용대본의 작성 및 수정이 용이하며, 교육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연안무제작시스템 및 공연안무제작방법 { CHOREOGRAPHY PRODUCTION SYSTEM AND CHOREOGRAPHY PRODUCTION METHOD }
본 발명은 공연안무제작시스템 및 공연안무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장면의 구성에 필요한 객체를 미리 저장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공연안무를 제작할 수 있는 공연안무제작시스템 및 공연안무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콘티는 콘티뉴이티(Continuity)의 약어로서 각본을 바탕으로 하여 공연의 진행에 필요한 사항을 기록한 것이다. 영화나 연극, 무용 등과 같은 공연예술작품을 상영하거나 진행하기 위해 사용자는 사전에 콘티 또는 무용대본을 작성하여 각 장면들을 미리 구상하고 수정하여 완성한다. 콘티 또는 무용대본이 완성되면 제작자는 실제 공연물을 제작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콘티 또는 무용대본은 작성에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며, 인물의 동작이나 배경 또는 효과의 움직임을 정확히 표현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콘티 또는 무용대본은 노트에 수기로 기록되기 때문에 그 내용을 수정하거나 필요한 장면 등을 추가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예술가의 감각적인 상상이미지를 예측하여 노트에 기록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공연의 내용을 정확히 표현할 수 있는 공연안무제작시스템 및 공연안무제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콘티 또는 무용대본의 작성 및 수정이 용이한 공연안무제작시스템 및 공연안무제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콘티 또는 무용대본의 제작과정을 손쉽게 전달함으로써 교육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공연안무제작시스템 및 공연안무제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장면의 구성에 필요한 객체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객체와, 상기 객체가 표시되는 장면과, 상기 객체가 표시되는 위치와, 상기 객체의 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객체표시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객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객체가 상기 입력된 객체표시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상기 저장부 및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연안무제작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입력부는 음성인식 및 인체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객체표시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객체표시정보는 웹페이지를 통해 입력되어 웹서버에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장면의 구성에 필요한 객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객체와, 상기 객체가 표시되는 장면과, 상기 객체가 표시되는 위치와, 상기 객체의 동작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객체표시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객체를 상기 입력된 객체표시정보에 대응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연안무제작방법에 의해서도 상기 목적은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공연안무제작시스템 및 공연안무제작방법에 의하면 콘티 또는 무용대본의 작성에 필요한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연안무제작시스템 및 공연안무제작방법에 의하면 콘티 또는 무용대본의 수정이 용이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공연안무제작시스템 및 공연안무제작방법에 의하면 콘티 또는 무용대본의 제작과정을 손쉽게 전달함으로써 교육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연안무제작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연안무제작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연안무제작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연안무제작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연안무제작시스템 및 공연안무제작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연안무제작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연안무제작시스템은 저장부(10)와, 입력부(20)와, 표시부(30)와, 제어부(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연안무제작시스템(100)은 데스크탑 컴퓨터 뿐만 아니라, 노트북 및 PDA 등과 같이 공연에 필요한 장면(Scene)을 표시하는 그래픽 처리가 가능한 모든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10)는 장면의 구성에 필요한 객체(O)의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객체(O)는 배경과, 배우 또는 무용수와, 무대장치 및 소품과, 배경음악과, 의상과, 특수효과와, 카메라 등과 같이 공연의 제작에 필요한 요소를 포함한다.
입력부(20)는 사용자로부터 객체표시정보를 입력받는다. 여기서, 객체표시정보는 객체(O)와, 객체(O)가 표시되는 장면과, 객체(O)가 표시되는 위치와, 객체(O)의 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부(20)는 음성인식 및 인체의 움직임에 의해서도 객체표시정보를 입력받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마이크를 이용하여 객체(O)의 이름을 입력하면 해당하는 객체(O)가 표시부(30)에 표시되며, 모션캡쳐장치 등을 이용하여 객체(O)의 동작을 입력하면 표시부(30)에 표시된 객체(O)에 모션이 부여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연안무제작시스템의 입력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연안무제작시스템(100)의 표시부(30)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장면을 표시하는 화면과, 장면의 구성을 위해 객체(O)의 입력 및 수정을 위한 화면으로 나눌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30)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영역에는 장면(S)이 표시되며, 다른 일영역에는 편집이 필요한 장면과, 객체의 종류와, 무대배경과, 카메라의 위치와, 소품과, 배경음악과, 의상 등의 객체(O)를 선택받기 위한 콤보박스 및 버튼 등이 마련된다. 이를 통해 각각의 객체(O)를 추가하거나 삭제 또는 수정할 수 있고, 각각의 장면을 추가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장면은 기본적으로 이미지로 설정되지만 장면의 이해를 위해 일정한 시간동안 동영상으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장면을 동영상으로 설정하는 경우, 사용자는 입력부(20)를 통해 객체(O)를 선택하고 드래그하는 방법으로 움직임을 입력받을 수 있으며, 각 장면의 시간도 입력부(20)를 통해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연안무제작시스템(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마련된 장면표시 또는 전체표시의 선택버튼을 이용하여 각 장면뿐만 아니라 공연의 시작부터 종료까지 일련의 장면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장면을 표시하는 화면에 카메라를 표시함으로써, 입력부(20)에 의해 객체(O)를 촬영하는 카메라의 위치와 각도 등을 변경할 수 있으며, 카메라의 줌인과 줌아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공연안무제작시스템(100)은 다양한 카테고리의 객체(O)를 카테고리별로 저장부(10)에 저장함으로써, 사용자는 원하는 종류의 공연물을 손쉽게 제작할 수 있다.
표시부(30)는 공연을 구성하는 각각의 장면에 객체(O)를 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부(30)는 모니터와, 휴대용 기기에 구비된 액정화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부(20)는 표시부(30)에 마련되는 터치스크린의 형태로 구현되어, 사용자는 표시부(30)를 통해 각각의 객체(O)를 추가하거나 이미 객체에 설정되어 있는 객체표시정보를 수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40)는 객체(O)가 입력부(20)에 의해 입력된 객체표시정보에 대응하여 표시부(30)에 표시되도록 저장부(10) 및 표시부(30)를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40)는 그래픽의 처리가 가능한 하드웨어와 응용프로그램으로 구현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공연안무제작시스템(100)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객체(O)와 객체표시정보를 응용프로그램이 아닌 웹페이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웹서버에 저장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연안무제작시스템(100)은 웹서버(S)와 유무선통신이 가능한 통신부(50)를 별도로 구비한다. 이를 통해, 웹서버(S)에 접근권한을 가진 사용자라면 누구든지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웹서버(S)에 접속하여 기저장된 안무구성을 확인하고 필요에 따라 수정할 수 있다.
또한, 웹서버(S)를 통해 안무제작의 교육이 이루어지는 경우, 원격수업이 가능하며 교육을 받는 사용자는 온라인 레포트의 형태로 자신이 제작한 장면을 손쉽게 제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접근권한을 가진 사용자가 여러 명 존재하는 경우에는 웹서버에 저장된 객체(O)와 객체표시정보를 사용자가 동시에 확인할 수 있으므로, 웹페이지를 이용하여 해당 안무에 대한 토론이 가능하다. 이 때, 여러 명의 사용자 중 어떤 사용자가 객체(O) 또는 객체표시정보를 수정할 때, 수정된 정보가 웹서버로 전송되어 저장됨과 동시에 다른 사용자에게 표시되기 때문에 원거리에 존재하는 여러 사용자들 사이에서도 현장감 있는 토론이 가능하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연안무제작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장면의 구성에 필요한 객체(O)에 대한 정보를 저장부(10)에 저장한다(S310).
다음으로, 객체(O)와, 객체(O)가 표시되는 장면과, 객체(O)가 표시되는 위치와, 객체(O)의 동작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객체표시정보를 입력부(20)를 통해 입력받는다(S320).
여기서, 객체표시정보는 음성인식이나 모션캡쳐를 통한 인체의 움직임을 이용하여 입력받는 것도 가능하며, 표시부(30)에 마련되는 터치스크린 기능을 이용하여 객체(O)와 객체표시정보를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객체(O)를 단계S320에 의해 입력된 객체표시정보에 대응하여 표시부(30)에 표시한다(S330).
여기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연안무제작방법에 의하면, 객체(O)와 객체표시정보를 웹페이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웹서버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접근권한을 가진 사용자가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저장된 공연안무의 구성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웹서버로의 접근권한을 가진 사용자가 여러 명 존재하는 경우에는 웹서버에 저장된 객체(O)와 객체표시정보를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여러 명의 사용자 중 어떤 사용자가 객체(O) 또는 객체표시정보를 수정할 때, 수정된 정보를 웹서버로 전송하여 저장함과 동시에 다른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저장부 20 : 입력부
30 : 표시부 40 : 제어부
50 : 통신부 100 : 공연안무제작시스템
S : 웹서버

Claims (4)

  1. 장면의 구성에 필요한 객체(O)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10)와;
    상기 객체(O)와, 상기 객체(O)가 표시되는 장면과, 상기 객체(O)가 표시되는 위치와, 상기 객체(O)의 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객체표시정보를 입력받으며, 음성인식 및 인체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객체표시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20)와;
    상기 객체(O)를 표시하는 표시부(30)와;
    상기 객체(O)가 상기 입력된 객체표시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표시부(30)에 표시되도록 상기 저장부(10) 및 상기 표시부(30)를 제어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하고;
    상기 객체표시정보는 웹페이지를 통해 입력되어 웹서버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연안무제작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00003500A 2010-01-14 2010-01-14 공연안무제작시스템 및 공연안무제작방법 KR101116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3500A KR101116538B1 (ko) 2010-01-14 2010-01-14 공연안무제작시스템 및 공연안무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3500A KR101116538B1 (ko) 2010-01-14 2010-01-14 공연안무제작시스템 및 공연안무제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3329A KR20110083329A (ko) 2011-07-20
KR101116538B1 true KR101116538B1 (ko) 2012-02-28

Family

ID=44921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3500A KR101116538B1 (ko) 2010-01-14 2010-01-14 공연안무제작시스템 및 공연안무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65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5955A (ko) 2016-12-07 2018-06-18 (주)스코트 안무 저작권 시스템에서 동작동기화 및 상호간섭작용 구현장치 및 그 방법
KR20220030887A (ko) 2020-09-03 2022-03-11 장은주 좌표, 좌표이동평균선을 이용한 좌표안무동영상 제작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안무, 안무표절, 안무저작권 검색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2885A (ko) * 2000-09-21 2002-03-28 이성웅 가상 캐릭터 생성 시스템 및 방법과 가상 캐릭터 서비스방법
KR20050022597A (ko) * 2003-08-27 2005-03-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콘티 기반의 지능적 디지털 액터 및 엑스트라 자동생성방법
KR20070120706A (ko) * 2006-06-20 2007-12-26 뷰모션 (주) 텍스트-모션 변환을 이용한 디지털 스토리 보드 생성 방법및 시스템
KR20090028123A (ko) * 2007-09-14 2009-03-18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인터랙티브 콘텐츠 자동 저작 기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2885A (ko) * 2000-09-21 2002-03-28 이성웅 가상 캐릭터 생성 시스템 및 방법과 가상 캐릭터 서비스방법
KR20050022597A (ko) * 2003-08-27 2005-03-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콘티 기반의 지능적 디지털 액터 및 엑스트라 자동생성방법
KR20070120706A (ko) * 2006-06-20 2007-12-26 뷰모션 (주) 텍스트-모션 변환을 이용한 디지털 스토리 보드 생성 방법및 시스템
KR20090028123A (ko) * 2007-09-14 2009-03-18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인터랙티브 콘텐츠 자동 저작 기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5955A (ko) 2016-12-07 2018-06-18 (주)스코트 안무 저작권 시스템에서 동작동기화 및 상호간섭작용 구현장치 및 그 방법
KR20220030887A (ko) 2020-09-03 2022-03-11 장은주 좌표, 좌표이동평균선을 이용한 좌표안무동영상 제작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안무, 안무표절, 안무저작권 검색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3329A (ko) 2011-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18118194A (ru) Способ записи, редактирования и воссоздания компьютерного сеанса
US20120249575A1 (en)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related digital images
CN110636354A (zh) 一种显示设备
US11783534B2 (en) 3D simulation of a 3D drawing in virtual reality
US20140057243A1 (en) Educational system, teacher information terminal, student information terminal, integrated circuit, and content display method
CN112437353A (zh) 视频处理方法、视频处理装置、电子设备和可读存储介质
WO2021157595A1 (ja) コンテンツ作成支援システム
CN113191184A (zh) 实时视频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6765558B1 (ja) コンテンツ配信装置、コンテンツ配信方法、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および、コンテンツ配信プログラム
US20140229823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08018506A1 (en) Image display device, image data providing device, image display system, image display system control method, control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WO2018233537A1 (zh) 界面内容的动态显示方法、装置及其设备
WO2008018503A1 (fr) Dispositif d'affichage d'images, dispositif fournisseur de données d'image, système d'affichage d'images, procédé de commande du système d'affichage d'images, programme de commande et support d'enregistrement
KR101116538B1 (ko) 공연안무제작시스템 및 공연안무제작방법
WO2008018502A1 (fr) Dispositif d'affichage d'images, dispositif fournisseur de données d'image, système d'affichage d'images, procédé de commande du système d'affichage d'images, programme de commande et support d'enregistrement
WO2008018511A1 (fr) Dispositif d'affichage d'images, dispositif fournisseur de données d'image, système d'affichage d'images, procédé de commande du système d'affichage d'images, programme de commande et support d'enregistrement
CN114245193A (zh) 显示控制方法、装置和电子设备
KR100688387B1 (ko)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동영상 강의 제공 방법
CN114302009A (zh) 视频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WO2020093865A1 (zh) 媒体文件及其生成方法和播放方法
JP2013146511A (ja) 人体の動作の変移を記録、解析し、表示する電子機器
KR101553272B1 (ko) 복수의 타이머를 사용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저작하는 방법 및 복수의 타이머를 사용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저작하는 저작 장치
WO2018180406A1 (ja) シーケンス生成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20200137594A (ko) 모바일 장치 및 모바일 장치의 제어 방법
JP2008112425A (ja) 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処理方法、データ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データ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