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1364U -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키패드 모듈 및 이를 응용한 휴대형 전자장치 - Google Patents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키패드 모듈 및 이를 응용한 휴대형 전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1364U
KR20110011364U KR2020100007806U KR20100007806U KR20110011364U KR 20110011364 U KR20110011364 U KR 20110011364U KR 2020100007806 U KR2020100007806 U KR 2020100007806U KR 20100007806 U KR20100007806 U KR 20100007806U KR 20110011364 U KR20110011364 U KR 2011001136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disposed
light emitting
organic light
inpu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78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1301Y1 (ko
Inventor
창-리 리우
Original Assignee
이치아 테크놀로지즈,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치아 테크놀로지즈,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이치아 테크놀로지즈,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1100113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136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13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130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a pointing device, e.g. roller key, track ball, rocker switch or joysti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키패드 모듈은 입력장치 및 키보드를 포함한다. 입력장치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터치패드 및 피드백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은 디스플레이 면 및 배면을 구비하고, 터치패드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의 디스플레이 면 상에 배치된다. 피드백 제어모듈은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배치되고 터치패드 에 대응하며 터치신호 생성시 피드백 동작을 실행한다. 키보드는 입력장치의 일측에 배치되고 복수개의 키영역을 구비하여 복수의 서로다른 정보를 나타내는 전자신호를 생성한다.

Description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키패드 모듈 및 이를 응용한 휴대형 전자장치{Keypad module with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본 고안은 키패드 모듈 및 이를 응용한 휴대형 전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키패드 모듈 및 이를 응용한 휴대형 전자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의 교류가 빈번한 현대의 정보화 사회에서 광범위하게 보급되어 있고 사용이 편리한 휴대형 전자장치는 이미 사람들이 제일 많이 사용하는 통신수단 중 하나가 되었다. 과학기술의 진보에 따라 휴대형 전자장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음성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것 외에도, 휴대형 전자장치의 디스플레이는 정보표시 기능을 구비하여, 휴대형 전자장치는 개인화된 정보처리기로 점차 진보하여, 사용자는 주소록, 스케줄, 일정 등등의 정보와 같은 여러 개인자료를 수시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휴대형 전자장치가 다양한 여러 기능을 구비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신호를 나타낼 수 있는 입력장치를 결합시켜 사용자가 편리하게 문자메세지나 명령어 등의 각종 자료를 입력하거나 커서이동 등의 각종 기능을 실행하게 할 수 있다.
현재 휴대형 전자장치를 터치스크린 및 디스플레이와 결합하여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도록 하는 기술이 존재하고 있지만, 정보의 입력 또는 다른 기능을 실행할 때, 디스플레이를 끊임없이 열어서 사용자가 식별하게 하므로 휴대형 전자장치의 전력이 빨리 소비되고 나아가 전원이 꺼질 수 있다.
미국 공개특허 2008/0303582호는 표시부재를 구비하는 입력장치를 포함하는 슬라이드형 전자장치를 게시한다. 도 1을 참고하면 , 도 1은 공지의 슬라이드형 전자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지의 슬라이드형 전자장치(10)는 제1 케이스(12), 제1 케이스(12) 상에 배치되는 제2 케이스(14), 제2 케이스(14)의 상부면에 배치되는 제1 입력 장치(16), 제1 케이스(12)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2 입력장치(18) 및 디스플레이 패널(20)을 포함한다. 제1 케이스(12) 및 제2 케이스(14) 서로 상응하게 슬라이딩 되어, 제1 케이스(12) 및 제2 케이스(14)의 상응하는 위치변화에 따라 제2 케이스(14)가 제2 입력장치(18)를 덮거나 덮지 않게 된다. 도 2를 참고하면 , 도 2는 공지의 슬라이드형 전자장치의 제1 입력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케이스(14)는 오목홈(22)을 구비하고, 제1 입력장치(16)는 오목홈(22)에 배치된다. 또한, 제1 입력장치(16)는 표시부재(24), 복수개의 조각 스위치(26) 및 인쇄회로기판(28)을 포함한다. 제1 케이스(12) 및 제2 케이스(14)의 상대적인 위치변화에 따라 제1 입력장치(16)를 덮지 않으므로, 슬라이드형 전자장치(10)는 제1 입력장치(16)를 통해 일부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그러나, 공지의 제1 입력장치의 표시부재는 일부 기호만을 디스플레이 하고, 조각 스위치의 수가 원래부터 제작되어 나온 수량에 제한을 받아 전자장치의 기능 향상에 대처할 수 없고, 입력신호의 종류를 상응하게 조정해야 한다. 따라서, 휴대형 전자장치의 입력기능을 확충하고 전력소비를 절감하는 것이 실제적으로 업계에서 연구하려는 목표이다.
본 고안에 따른 일 목적은 입력기능을 확충시키고 전력소비를 절감할 수 있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키패드 모듈 및 이를 응용한 휴대형 전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키패드 모듈을 제공한다. 키패드 모듈은 입력장치 및 키보드를 포함한다. 입력장치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터치패드 및 피드백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은 디스플레이 면 및 배면을 구비하고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비한다. 터치패드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의 디스플레이 면 상에 배치되고 터치 시 터치신호를 생성하며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영역을 구비한다. 피드백 제어모듈은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배치되고 터치패드에 대응하며 터치신호 생성 시 피드백 동작을 실행한다. 키보드는 입력장치의 일측에 배치되고 복수개의 키영역을 구비한다. 키보드는 제1 회로판, 제1 조각 박막, 복수개의 제1 금속 조각, 복수개의 제1 플런저 및 복수개의 키캡을 포함한다. 제1 조각 박막은 제1 회로판 상에 배치되고, 제1 금속 조각은 제1 조각 박막과 제1 회로판의 사이에 각각 배치된다. 각 제1 금속 조각은 각 키영역에 대응한다. 제1 플런저는 제1 조각 박막 상에 배치되고 키영역에 각각 대응한다. 키캡은 제1 플런저 상에 각각 배치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입력장치, 키보드 및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휴대형 전자장치를 제공한다. 입력장치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터치패드 및 피드백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은 디스플레이 면 및 배면을 구비하고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비한다. 터치패드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의 디스플레이 면 상에 배치되고 터치 시 터치신호를 생성하며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영역을 구비한다. 피드백 제어모듈은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배치되고 터치패드에 대응하며 터치신호 생성 시 피드백 동작을 실행한다. 키보드는 입력장치의 일측에 배치되고 복수개의 키영역을 구비한다. 키보드는 제1 회로판, 제1 조각 박막, 복수개의 제1 금속 조각, 복수개의 제1 플런저 및 복수개의 키캡을 포함한다. 제1 조각 박막은 제1 회로판 상에 배치되고, 제1 금속 조각은 제1 조각 박막과 제1 회로판의 사이에 각각 배치된다. 각 제1 금속 조각은 각 키영역에 대응한다. 제1 플런저는 제1 조각 박막 상에 배치되고 키영역에 각각 대응한다. 키캡은 제1 플런저 상에 각각 배치되고, 디스플레이 패널은 입력장치의 일측에 배치된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형 전자장치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및 터치패드를 구비하는 입력장치 및 키보드를 동시에 설치하여,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패널을 열지 않고서도 디스플레이 패널보다 작은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간단한 신호를 획득할 수 있게 되고, 입력장치의 터치패드 또는 키보드를 통해 일부 기능을 실행할 수 있게 되므로, 휴대형 전자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여는데 소비되는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공지의 슬라이드형 전자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공지의 슬라이드형 전자장치의 제1 입력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전자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전자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과 도 4를 참고하면,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전자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전자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형 전자장치(1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2) 및 키패드 모듈(104)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패널(102)은 키패드 모듈(104)의 일측에 배치되고,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등의 디스플레이 패널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키패드 모듈(104)은 입력장치(106) 및 키보드(108)를 포함하고, 키보드(108)는 입력장치(106)의 일측에 배치된다. 또한 복수개의 키영역(110)을 구비한다. 다양한 조작모드에서, 각 키영역(110) 내의 키보드(108)는 서로 다른 입력신호를 각각 나타내고, 서로 다른 기능을 실행한다. 또한, 입력장치(106)는 디스플레이 패널(102)과 키보드(108)의 사이에 배치되고, 입력과 디스플레이의 기능을 동시에 구비한다. 또한, 입력장치(106)는 디스플레이 패널(102)보다 작아, 입력장치(106)의 소비전력량은 디스플레이 패널(102)의 소비전력량보다 적다. 휴대형 전자장치(100)는 제1 케이스(112) 및 제2 케이스(114)를 더 포함한다. 키보드는 제1 케이스(112)와 제2 케이스(114)의 사이에 배치되고, 디스플레이 패널(102)과 입력장치(106)는 제1 케이스(112) 상에 배치된다.
도 5를 참고하면, 도 5는 도 3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보드(108)는 제1 회로판(116), 제1 조각 박막(第一彈片薄膜; 118), 복수개의 제1 금속 조각(第一金屬彈片; 120), 복수개의 제1 플런저(plunger)(122) 및 복수개의 키캡(124)을 포함한다. 제1 조각 박막(118)은 제1 회로판(116) 상에 배치되고, 각 제1 금속 조각(120)은 제1 조각 박막(118)과 제1 회로판(116)의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제1 조각 박막(118)의 일측은 접착력을 구비하여, 각 제1 금속 조각(120)이 제1 회로판(116) 상에 부착되어, 제1 금속 조각(120)이 제1 회로판(116) 상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회로판(116)은 연성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과 같은 인쇄회로기판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가압시 특정 전자신호를 생성한다.
각 제1 금속 조각(120)은 각 키영역(110)에 각각 대응하고, 각 제1 금속 조각(120)과 이에 대응하는 제1 조각 박막(118)의 영역은 다소 돌출될 수 있다. 사용자가 각 제1 금속 조각(120)을 가압하면, 각 금속 조각(120)의 돌출구조는 사용자에게 기계적인 회복력을 제공하여, 사용자는 가압시 기계적인 회복력의 크기를 감지하여 성공적으로 가압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되는데, 이는 일반 사용자의 습관에 부합한다. 또한, 각 제1 플런저(122)는 제1 조각 박막(118) 상에 배치되고, 각 제1 플런저(122)는 각 키영역(110)에 대응하여, 각 제1 플런저(122)가 각 제1 금속 조각(120)의 정상방에 위치하게 된다. 각 제1 플런저(122)의 면적은 각 제1 금속 조각(120)의 면적보다 적어, 가압력의 저감에 도움이 되고, 사용자의 사용을 편리하게 한다. 각 키캡(124)은 각 제1 플런저(122) 상에 각각 배치되고, 키캡(124)은 통상 플라스틱 또는 실리콘(silicone)과 같은 고분자 재료로 구성된다. 각 키캡(124)은 문자와 기호와 같은 특정 인쇄 패턴을 포함하여, 각 키영역(110)의 기능을 각각 대응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키보드는 복수의 서로 다른 정보를 나타내는 전자신호를 생성하여, 다양한 서로 다른의 기능을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키보드(108)는 제1 플런저(122)와 키캡(124)의 사이에 배치된 백라이트층(126)을 더 포함하여 광선이 부족할 경우에 사용자가 본 고안에 따른 키보드(108)를 조작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백라이트층(126)은 도광판(128) 및 적어도 하나의 광원(130)을 포함한다. 도광판(128)은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Polyurethane Elastomer),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실리콘(silicone),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크(polymethylmethacrylate, PMMA)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광원(130)은 발광다이오드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다른 발광부재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광원(130)의 수량과 위치는 상황과 필요에 따라 결정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코너 또는 중앙 부근에 위치할 수 있다.
도 6과 도 7을 참고하면, 도 6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장치(106)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132), 터치패드(134), 피드백 제어모듈(136) 및 렌즈층(138)을 포함한다.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132)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 모듈(140) 및 가요성 인쇄회로기판(142)을 포함하고, 가요성 인쇄회로기판(142)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 모듈(134)의 일측변에 배치되어, 유기 발광 다이오드 모듈(1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132)은 디스플레이 면(132a) 및 배면(132b)을 구비하고, 터치패드(134)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132)의 디스플레이 면(132a) 상에 배치된다. 또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132)은 자음, 모음, 숫자, 문장 기호, 문자 또는 특수기호와 같은 다양한 패턴을 디스플레이하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영역(144)을 구비하고, 터치패드(134)는 각 디스플레이 영역(144)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개의 터치영역(146)을 구비하여, 입력장치(106)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하는 패턴의 기능을 실행하고자 할 때, 디스플레이 영역(144)에 대응하는 터치영역(146)에서 터치패드(134)를 터치하기만 하면 된다. 터치패드(134)는 터치 시 터치신호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패턴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 외에도, 피드백 제어모듈(136)은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132)의 배면(132b)에 배치되고, 터치패드(134)에 대응한다. 또한, 사용자가 터치패드(134)를 터치 또는 가압하면, 즉, 터치패드(134)가 터치신호를 생성하면, 피드백 제어모듈(136)은 피드백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렌즈층(138)은 터치패드(134) 상에 배치되어, 터치패드(134) 및 그 하방의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132)를 보호하고, 렌즈층(138)은 투명하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132)의 디스플레이 효과가 저감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피드백 제어모듈(136)은 키 구조(136)로서, 제2 회로판(148), 제2 조각 박막(150) 및 복수개의 제2 금속 조각(152)을 포함한다. 제2 조각 박막(150)은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132)과 제2 회로판(148)의 사이에 배치된다. 각 제2 금속 조각(152)은 제2 조각 박막(150)과 제2 회로판(148)의 사이에 각각 배치되고, 각 터치영역(146)에 각각 대응한다. 이 외에도, 키 구조(136)는 제2 조각 박막(150)과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132)의 사이에 배치되고 각 제2 금속 조각(152)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개의 제2 플런저(154)를 더 포함한다. 사용자가 입력장치(106)를 가압하면, 사용자는 제2 금속 조각(152)의 기계적인 회복력을 감지하여, 원하는 기능이 실행되었음을 명확하게 알 수 있다. 즉, 키 구조(136)가 실행하는 피드백 동작은 제2 금속 조각(152)이 받은 압력으로 실행하는 기계적인 회복동작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는 복수개의 금속 조각, 복수개의 플런저,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영역 및 복수개의 터치영역을 구비하는 것에만 한정되지 않고, 단일 금속 조각, 단일 플런저, 단일 디스플레이 영역 및 단일 터치영역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키 구조(136)는 피드백 동작을 실행하는 것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키 구조(136)가 제2 회로판(148)도 포함하므로, 키 구조(136)는 제2 회로판(148)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메세지 응답 신호 또는 통화 회신 신호 등과 같은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내용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전자장치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과 터치패드를 구비하는 입력장치 및 키보드를 동시에 설치하여,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패널을 열지 않고서도 디스플레이 패널보다 작은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만을 보고, 통화 수신 디스플레이, 문자메세지 내용, 노래 곡목 또는 일부 가사 등과 같은 간단한 신호를 획득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입력장치의 터치패드를 통해 일부 기능을 실행하고, 키보드를 이용하여 원하는 정보를 입력하며, 나아가 일부 원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일부 기능을 실행하는데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보다 큰 디스플레이 패널을 열 필요가 없으므로, 휴대형 전자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여는데 소비되는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피드백 제어부재는 키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진동기 또는 롤러 등의 전자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장치와 같은 피드백 동작을 실행할 수 있는 부재일 수도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도 8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의 단면도이다. 설명을 간소화 하고 본 고안의 각 실시예에 따른 같은 점과 다른 점을 명확하게 비교하기 위해, 이하에 서술되는 제2 실시예 및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내고,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200)의 피드백 제어모듈은 진동기(202)이며,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입력장치(200)가 디스플레이 영역 및 터치영역 만을 구비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진동기(202)는 제1 전극판(204), 제2 전극판(206) 및 적어도 하나의 진동 플레이트(208)를 포함한다. 제2 전극판(206)은 제1 전극판(204)에 대해 상대적으로 설치되고, 진동 플레이트(208)는 제1 전극판(204)과 제2 전극판(206)의 사이에 배치되고 터치패드(120)의 터치영역(122)에 대응한다. 진동 플레이트(208)의 일단은 제1 전극판(204)과 서로 접촉하고, 진동 플레이트(208)의 타단은 제2 전극판(206)에 근접하나 접촉하지는 않는다. 제1 전극판(204)과 제2 전극판(206)은 전압원의 양단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전극판(204)과 제2 전극판(158) 간에는 전압차의 변화가 발생한다. 사용자가 입력장치(200)를 터치하지 않으면, 제1 전극판(204)과 제2 전극판(206) 간의 전압차는 영이다. 즉, 진동 플레이트(208)는 정지되어 움직이지 않는다. 사용자가 입력장치(200)를 가압하면, 터치패드(134)가 생성하는 터치신호가 진동기(202)로 전달되어, 제1 전극판(204)과 제2 전극판(206) 간에 전압차가 발생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제1 전극판(204)은 양전압을 구비하고 제2 전극판(206)은 음전압을 구비하거나, 또는 그 반대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진동 플레이트(208)가 제2 전극판(206)의 일단에 접근하여 제2 전극판(206)의 인력을 받아 제2 전극판(206) 쪽으로 이동할 수 있고, 또한 진동 플레이트(208)와 제2 전극판(206)이 서로 접촉한 후에는, 제1 전극판(204)과 제2 전극판(206) 간의 전압차가 순간적으로 영으로 바뀌어, 진동 플레이트(208)는 즉시 원상태로 회복된다. 이어서, 제1 전극판(204)과 제2 전극판(206) 간에는 다시 전압차가 발생되므로, 진동 플레이트(208)는 제1 전극판(204)과 제2 전극판(206)의 사이에서 반복적으로 진동될 수 있다. 즉, 진동 플레이트(208)가 제2 전극판(206)의 일단에 접근하여 계속해서 제1 전극판(204)과 제2 전극판(206) 간 전압차의 인력을 받아 진동될 수 있어, 사용자는 진동을 감지하여, 원하는 기능이 실행되었음을 명확하게 알 수 있다. 진동기(202)가 실행하는 피드백 동작은 진동 플레이트(208)가 제1 전극판(204)과 제2 전극판(206) 간 전압차의 인력을 받아 실행하는 진동동작이다.
본 고안에 따른 입력장치는 키 구조 및 진동기를 동시에 구비할 수도 있는데, 도 9을 참고하면, 도 9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250)는 진동기(252)를 더 포함한다. 진동기(252)는 키 구조(136)의 하방에 배치되고, 제1 전극판(254), 제2 전극판(256) 및 적어도 하나의 진동 플레이트(258)를 포함한다. 제2 전극판(256)은 제1 전극판(254)에 대해 상대적으로 설치되고, 진동 플레이트(258)는 제1 전극판(254)과 제2 전극판(256)의 사이에 배치되고 터치패드(134)의 터치영역(146)에 대응한다. 진동 플레이트(258)의 일단은 제 1 전극판(256)과 서로 접촉하고, 진동 플레이트(258)의 타단은 제2 전극판(256)에 근접하나 접촉하지는 않는다. 제1 전극판(254)과 제2 전극판(256)은 전압원의 양단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전극판(254)과 제2 전극판(256) 간에는 전압차의 변화가 발생한다. 따라서, 진동 플레이트(258)가 제2 전극판(256)의 일단에 접근하여 제1 전극판(254)과 제2 전극판(256) 간 전압차의 인력을 받아 진동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휴대형 전자장치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및 터치패드를 동시에 구비하는 입력장치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패널을 열지 않고서도 디스플레이 패널보다 작은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간단한 신호를 획득할 수 있게 되고, 입력장치의 터치패드 또는 키보드를 통해 일부 기능을 실행할 수 있게 되므로, 휴대형 전자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여는데 소비되는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 출원범위의 균등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슬라이드형 전자장치 12 제1 케이스
14 제2 케이스 16 제1 입력장치
18 제2 입력장치 20 디스플레이 패널
22 홈 24 표시부재
26 조각 스위치 28 인쇄회로기판
100 휴대형 전자장치 102 디스플레이 패널
104 키패드 모듈 106 입력장치
108 키보드 110 키영역
112 제1 케이스 114 제2 케이스
116 제1 회로판 118 제1 조각 박막
120 제1 금속 조각 122 제1 플런저
124 키캡 126 백라이트층
128 도광판 130 광원
132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132a 디스플레이 면
132b 배면 134 터치패드
136 피드백 제어모듈 138 렌즈층
140 유기 발광 다이오드 모듈 142 가요성 인쇄회로기판
144 디스플레이 영역 146 터치영역
148 제2 회로판 150 제2 조각 박막
152 제2 금속 조각 154 제2 플런저
200 입력장치 202 진동기
204 제1 전극판 206 제2 전극판
208 진동 플레이트 250 입력장치
252 진동기 254 제1 전극판
256 제2 전극판 258 진동 플레이트

Claims (11)

  1.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키패드 모듈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 모듈은:
    입력장치; 및
    상기 입력장치의 일측에 배치되고, 복수개의 키영역을 구비하는, 키보드;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장치는:
    디스플레이 면 및 배면을 구비하고,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비하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디스플레이 면 상에 배치되고, 터치 시 터치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영역을 구비하는 터치패드; 및
    상기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배면에 배치되고, 상기 터치패드에 대응하며, 상기 터치신호 생성 시 피드백 동작을 실행하는 피드백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키보드는:
    제1 회로판;
    상기 제1 회로판 상에 배치되는 제1 조각 박막;
    상기 제1 조각 박막과 상기 제1 회로판의 사이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키영역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개의 제1 금속 조각;
    상기 제1 조각 박막 상에 배치되고, 상기 키영역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개의 제1 플런저(plunger); 및
    상기 제1 플런저 상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개의 키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제어모듈은 키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키 구조는:
    제2 회로판;
    상기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제2 회로판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조각 박막; 및
    상기 제2 조각 박막과 상기 제2 회로판의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금속 조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키 구조는, 상기 제2 조각 박막과 상기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금속 조각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플런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동작은 상기 제2 금속 조각이 받은 압력으로 실행되는 기계적인 회복동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제어모듈은 진동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기는:
    제1 전극판;
    상기 제1 전극판에 대해 상대적으로 설치되는 제2 전극판; 및
    상기 제1 전극판 및 상기 제2 전극판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터치패드의 상기 터치영역에 대응되고, 그 일단이 상기 제1 전극판과 서로 접촉하며 그 타단은 상기 제2 전극판에 근접하나 접촉하지는 않는 적어도 하나의 진동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동작은 상기 진동 플레이트가 상기 제1 전극판 및 상기 제2 전극판 간 전압차의 인력을 받아 실행되는 진동동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드 상에 배치되는 렌즈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10. 휴대형 전자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전자장치는:
    입력장치;
    상기 입력장치의 일측에 배치되고 복수개의 키영역을 구비하는 키보드; 및
    상기 입력장치의 일측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장치는:
    디스플레이 면 및 배면을 구비하고,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비하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디스플레이 면 상에 배치되고, 터치 시 터치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영역을 구비하는 터치패드; 및
    상기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배면에 배치되고, 상기 터치패드에 대응하며, 상기 터치신호 생성 시 피드백 동작을 실행하는 피드백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키보드는:
    회로판;
    상기 회로판 상에 배치되는 조각 박막;
    상기 조각 박막과 상기 회로판의 사이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키영역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개의 금속 조각;
    상기 조각 박막 상에 배치되고, 상기 키영역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개의 플런저(plunger); 및
    상기 플런저 상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개의 키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장치.
KR2020100007806U 2010-06-02 2010-07-26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키패드 모듈 및 이를 응용한 휴대형 전자장치 KR200461301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099210496U TWM392985U (en) 2010-06-02 2010-06-02 Keypad module with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TW099210496 2010-06-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364U true KR20110011364U (ko) 2011-12-08
KR200461301Y1 KR200461301Y1 (ko) 2012-07-04

Family

ID=50605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7806U KR200461301Y1 (ko) 2010-06-02 2010-07-26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키패드 모듈 및 이를 응용한 휴대형 전자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61301Y1 (ko)
TW (1) TWM392985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017383A1 (de) * 2011-04-18 2012-10-18 Ident Technology Ag OLED-Interface
CN103345316A (zh) * 2013-06-14 2013-10-09 业成光电(深圳)有限公司 具有触控功能的电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1301Y1 (ko) 2012-07-04
TWM392985U (en) 2010-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58013B1 (en)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having a touch input unit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9087663B2 (en) Keypad apparatus for use with electronic devices and related methods
US20200004337A1 (en) Laptop computing device with discrete haptic regions
US9793073B2 (en) Backlighting a fabric enclosure of a flexible cover
EP2035910B1 (en) Touch sensitive keypad with tactile feedback
EP1761002B1 (en) Touch key assembly for a mobile terminal
US8477100B2 (en) Keyboard module and electronic apparatus
JP2002196856A (ja)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装置
JP2006504154A (ja) 電子デバイスで使用する両面キーボード
US9159509B2 (en) Hybrid keypad apparatus
KR200461301Y1 (ko)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키패드 모듈 및 이를 응용한 휴대형 전자장치
JP2006065611A (ja) 入力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入力システム
US20110043476A1 (en) Scrollbar and Touchpad with Tactile and/or Audible Feedback
KR20150068883A (ko) 휴대단말기용 키패드
KR20110010821U (ko)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 입력장치 및 이를 응용한 휴대형 전자장치
EP2071601B1 (en) Key in a Keypad of an Electronic Device Providing Feedback
US8717201B2 (en) Electronic device
TWI321286B (en) Keyboard
KR20020019843A (ko) 마우스 패드형 입력장치
CA2822179C (en) Hybrid keypad apparatus
EP2711953A1 (en) Keypad apparatus for use with electronic devices and related methods
KR20080112687A (ko) 키버튼 어셈블리
KR20060065532A (ko) 필름형 스위치
KR20110095061A (ko) 키패드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