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0821U -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 입력장치 및 이를 응용한 휴대형 전자장치 - Google Patents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 입력장치 및 이를 응용한 휴대형 전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0821U
KR20110010821U KR2020100006678U KR20100006678U KR20110010821U KR 20110010821 U KR20110010821 U KR 20110010821U KR 2020100006678 U KR2020100006678 U KR 2020100006678U KR 20100006678 U KR20100006678 U KR 20100006678U KR 20110010821 U KR20110010821 U KR 2011001082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input device
organic light
case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66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창-리 리우
Original Assignee
이치아 테크놀로지즈,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치아 테크놀로지즈,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이치아 테크놀로지즈,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1100108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082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02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linear motion, e.g. actuators; Linear positioners ; Linear motors

Abstract

입력장치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터치패드 및 피드백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은 디스플레이 면 및 배면을 구비하고,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비한다. 터치패드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의 디스플레이 면에 배치되고, 터치 시 터치신호를 생성하며,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영역을 구비한다. 피드백 제어모듈은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배치되고, 터치패드에 대응하며, 터치신호 생성 시 피드백 동작을 실행한다.

Description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 입력장치 및 이를 응용한 휴대형 전자장치{Input device having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panel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본 고안은 입력장치 및 이를 응용한 휴대형 전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 입력장치 및 이를 응용한 휴대형 전자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의 교류가 빈번한 현대의 정보화 사회에서, 광범위하게 보급되어 있고, 사용이 편리한 휴대형 전자장치는, 이미 사람들이 제일 많이 사용하는 통신수단 중 하나가 되었다. 과학기술의 진보에 따라, 휴대형 전자장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음성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것 외에도, 휴대형 전자장치의 디스플레이는 정보표시 기능을 구비하여, 휴대형 전자장치는 개인화된 정보처리기로 점차 진보하여, 사용자는 주소록, 스케줄, 일정 등등의 정보와 같은 여러 개인자료를 수시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휴대형 전자장치가 다양한 여러 기능을 구비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신호를 나타낼 수 있는 입력장치를 결합시켜, 사용자가 편리하게 문자메세지나 명령어 등의 각종 자료를 입력하거나 커서이동 등의 각종 기능을 실행하게 할 수 있다.
현재 휴대형 전자장치를 터치스크린 및 디스플레이와 결합하여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도록 하는 기술이 존재하고 있지만, 정보의 입력 또는 다른 기능을 실행할 때, 디스플레이를 끊임없이 열어서, 사용자가 식별하게 하므로, 휴대형 전자장치의 전력이 빨리 소비되고, 나아가 전원이 나갈 수 있다.
미국 공개특허 2008/0303582호는 표시 부재를 구비하는 입력장치를 포함하는 슬라이드형 전자장치를 게시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도 1은 공지의 슬라이드형 전자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지의 슬라이드형 전자장치(10)는 제1 케이스(12), 제1 케이스(12) 상에 배치되는 제2 케이스(14), 제2 케이스(14)의 상부면에 배치되는 제1 입력 장치(16), 제1 케이스(12)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2 입력장치(18) 및 디스플레이 패널(20)을 포함한다. 제1 케이스(12) 및 제2 케이스(14)는 서로 상응하게 슬라이딩 되어, 제1 케이스(12) 및 제2 케이스(14)의 상응하는 위치변화에 따라 제2 케이스(14)가 제2 입력장치(18)를 덮거나 덮지 않게 된다.
도 2를 참고하면, 도 2는 공지의 슬라이드형 전자장치의 제1 입력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케이스(14)는 오목홈(22)을 구비하고, 제1 입력장치(16)는 오목홈(22)에 배치된다. 또한, 제1 입력장치(16)는 표시 부재(24), 복수 개의 파편 스위치(26) 및 인쇄회로기판(28)을 포함한다. 제1 케이스(12) 및 제2 케이스(14)의 상대적인 위치변화에 따라 제1 입력장치(16)를 덮지 않으므로, 슬라이드형 전자장치(10)는 제1 입력장치(16)를 통해 일부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그러나, 공지의 제1 입력장치의 표시 부재는 일부 부호만을 디스플레이 하고, 파편 스위치의 수가 원래부터 제작되어 나온 수량에 제한을 받아, 전자장치의 기능 향상에 대처할 수 없고, 입력신호의 종류를 상응하게 조정해야 한다. 따라서, 휴대형 전자장치의 입력기능을 확충하고, 전력소비를 절감하는 것이 실제적으로 업계에서 연구하려는 목표이다.
본 고안에 따른 일 목적은 입력기능을 향상시키고 전력소비를 절감할 수 있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 입력장치 및 이를 응용한 휴대형 전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 입력장치를 제공한다. 입력장치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터치패드 및 적어도 하나의 피드백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은 디스플레이 면 및 배면을 구비하고,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비한다. 터치패드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의 디스플레이 면 상에 배치되고, 터치 시 터치신호를 생성하며, 적어도 하나의 터치영역을 구비하고,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한다. 피드백 제어모듈은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배치되고, 터치패드에 대응하며, 터치신호 생성 시 피드백 동작을 실행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휴대형 전자장치를 제공한다. 휴대형 전자장치는 제1 케이스, 제2 케이스, 힌지, 디스플레이 패널, 키 모듈 및 입력장치를 포함한다. 제1 케이스는 내표면 및 외표면을 구비하고, 제2 케이스는 내표면을 구비한다. 힌지는 제1 케이스의 일측변 및 제2 케이스의 일측변에 회전가능한 방식으로 연결된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제1 케이스의 내표면에 배치되고, 키 모듈은 제2 케이스의 내표면에 배치된다. 입력장치는 제1 케이스의 외표면에 배치되고,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터치패드 및 피드백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은 디스플레이 면 및 배면을 구비하고, 디스플레이 면은 제2 케이스의 외표면에 디스플레이 된다. 터치패드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의 디스플레이 면에 배치되고, 가압신호를 생성한다. 피드백 제어모듈은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배치되고, 피드백 동작을 실행한다.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닫힘상태가 될 때,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는 공동으로 디스플레이 패널 및 키 모듈을 덮고, 입력장치를 노출시킨다.
본 고안에 따른 입력장치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및 터치패드를 동시에 구비하여,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패널을 열지 않고서도,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간단한 신호를 획득하게 하고, 입력장치의 터치패드를 통해 일부 기능을 실행하게 하므로, 입력장치의 기능이 키의 수에 제한을 받지 않고, 그에 대응하는 휴대형 전자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여는데 소비되는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공지의 슬라이드형 전자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공지의 슬라이드형 전자장치의 제1 입력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전자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전자장치가 열림 상태 일 때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전자장치가 닫힘 상태일 때의 사시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전자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형 전자장치(1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2), 입력장치(104) 및 키패드 장치(106)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입력장치(104)는 디스플레이 패널(102) 및 키패드 장치의 사이에 배치되고, 입력장치는 입력 및 디스플레이의 기능을 동시에 구비한다. 이 외에도, 입력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보다 작아서, 입력장치의 소비전력량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소비전력량 보다 적다.
본 고안에 따른 입력장치를 더욱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장치(104)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108), 터치패드(110), 피드백 제어모듈(112) 및 렌즈층(114)을 포함한다.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108)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 모듈(116) 및 가요성 인쇄회로기판(118)을 포함하고, 가요성 인쇄회로기판(118)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 모듈(116)의 일측변에 배치되어, 유기 발광 다이오드 모듈(116)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108)은 디스플레이 면(108a) 및 배면(108b)을 구비하고, 터치패드(110)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108)의 디스플레이 면(108a) 상에 배치된다. 또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108)은 예를 들어, 자모, 숫자, 주음, 문장부호, 문자 또는 특수기호 등의 다양한 패턴을 디스플레이 하는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영역(120)을 구비하고, 터치패드(110)는 각각의 디스플레이 영역(120)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 개의 터치영역(122)을 구비하여, 입력장치(104)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하는 패턴의 기능을 실행하고자 할 때, 디스플레이 영역(120)에 대응하는 터치영역(122)에서 터치패드(110)를 터치하기만 하면 된다. 터치패드(110)는 터치 시 터치신호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패턴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 외에도, 피드백 제어모듈(112)은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108)의 배면(108b)에 배치되고, 터치패드(110)에 대응한다. 또한, 사용자가 터치패드(110)를 터치 또는 가압할 때, 즉, 터치패드(110)가 터치신호를 생성할 때, 피드백 제어모듈(112)은 피드백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렌즈층(114)은 터치패드(110) 상에 배치되어, 터치패드(110) 및 그 하방의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108)를 보호하고, 렌즈층(114)은 투명하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108)의 디스플레이 효과가 저감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피드백 제어모듈(112)은 키 구조(112)로서, 인쇄회로기판(124), 파편 박막(126) 및 복수 개의 금속 파편(128)을 포함한다. 파편 박막(126)은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108) 및 인쇄회로기판(124)의 사이에 배치된다. 각각의 금속 파편(128) 파편 박막(126) 및 인쇄회로기판(124)의 사이에 각각 배치되고, 각각의 터치영역(122)에 각각 대응한다. 이 외에도, 키 구조(112)는 파편 박막(126) 및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108)의 사이에 배치되고, 각각의 금속 파편(128)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 개의 플런저(plunger)(130)를 더 포함한다.
사용자가 입력장치(104)를 가압하면, 사용자는 금속 파편(128)의 기계적인 회복력을 감지하여, 원하는 기능이 실행되었음을 명확하게 알 수 있다. 즉, 키 구조(112)가 실행하는 피드백 동작은 금속파편(128)이 받은 압력으로 실행하는 기계적인 회복동작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는 복수 개의 금속 파편, 복수 개의 플런저,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영역 및 복수 개의 터치영역을 구비하는 것에만 한정되지 않고, 단일 금속 파편, 단일 플런저, 단일 디스플레이 영역 및 단일 터치영역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키 구조(112)는 피드백 동작을 실행하는 것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키 구조(112)가 인쇄회로기판(124)도 포함하므로, 키 구조는 인쇄회로기판(124)을 통해 사용자 입력하고자 하는 신호, 예를 들어, 문자메세지 응답 신호 또는 통화 회신 신호 등을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내용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전자장치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및 터치패드를 동시에 구비하는 입력장치를 설치하므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패널을 열지 않고서도, 디스플레이 패널보다 작은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만을 보고, 예를 들어, 통화 수신 디스플레이, 문자메세지 내용, 노래 곡목 또는 일부 가사 등의 간단한 신호를 획득할 수 있게 하고, 입력장치의 터치패드를 통해 일부 기능을 실행할 수 있게 한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의 기능이 키의 수에 제한을 받지 않고, 휴대형 전자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여는데 소비되는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피드백 제어 부재는 키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바이브레이터와 같은 피드백 동작을 실행할 수 있는 부재일 수도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의 단면도이다. 설명을 간소화 하고 본 고안의 각 실시예에 따른 같은 점과 다른 점을 명확하게 비교하기 위해, 이하에 서술되는 제2 실시예 및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내고,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150)의 피드백 제어모듈(152)은 바이브레이터(152)이며,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입력장치(150)가 디스플레이 영역 및 터치영역 만을 구비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바이브레이터(152)는 제1 전극판(154), 제2 전극판(156) 및 적어도 하나의 진동 플레이트(158)를 포함한다. 제2 전극판(156)은 제1 전극판(154)에 대해 상대적으로 설치되고, 진동 플레이트(158)는 제1 전극판(154) 및 제2 전극판(156)의 사이 및 터치패드(120)에 대응하는 터치영역(122)에 배치된다. 진동 플레이트(158)의 일단은 제1 전극판(154)과 서로 접촉하고, 진동 플레이트(158)의 타단은 제2 전극판(156)과 근접하나 접촉하지는 않는다. 제1 전극판(154) 및 제2 전극판(156)은 전압원의 양단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전극판(154) 및 제2 전극판(158) 간에는 전압차의 변화가 발생한다.
사용자가 입력장치(150)를 터치하지 않을 때, 제1 전극판(154) 및 제2 전극판(156) 간의 전압차는 영이다. 즉, 진동 플레이트(158)는 정지되어 움직이지 않는다. 사용자가 입력장치(150)를 가압할 때, 터치패드(110)가 생성하는 터치신호는 바이브레이터(152)로 전달되어, 제1 전극판(154) 및 제2 전극판(156) 간에 전압차가 발생되도록 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제1 전극판(154)은 양전압을 구비하고, 제2 전극판(156)은 음전압을 구비하거나, 또는 그 반대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진동 플레이트(158)가 제2 전극판(156)의 일단에 접근하여 제2 전극판(156)의 인력을 받아 제2 전극판(156) 쪽으로 이동하고, 또한 진동 플레이트(158) 및 제2 전극판(156)이 서로 접촉한 후에는, 제1 전극판(154) 및 제2 전극판(156) 간의 전압차가 순간적으로 영으로 바뀌어, 진동 플레이트(158)는 즉시 원상태로 회복된다. 이어서, 제1 전극판(154) 및 제2 전극판(156) 간에는 다시 전압차가 발생되므로, 진동 플레이트(158)는 제1 전극판(154) 및 제2 전극판(156)의 사이에서 반복적으로 진동될 수 있다. 즉, 진동 플레이트(158)가 제2 전극판(156)의 일단에 접근하여 제1 전극판(154) 및 제2 전극판(156) 간 전압차의 인력을 받아 진동되어, 사용자는 진동을 감지하여, 원하는 기능이 실행되었음을 명확하게 알 수 있다. 바이브레이터(152)가 실행하는 피드백 동작은 진동 플레이트(158)가 제1 전극판(154) 및 제2 전극판(156) 간 전압차의 인력을 받아 실행하는 진동동작이다.
본 고안에 따른 입력장치는 키 구조 및 바이브레이터를 동시에 구비할 수도 있는데, 도 7을 참고하면, 도 7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200)는 바이브레이터(202)를 더 포함한다. 바이브레이터(202)는 키 구조(112)의 하방에 배치되고, 제1 전극판(204), 제2 전극판(206) 및 적어도 하나의 진동 플레이트(208)를 포함한다.
제2 전극판(206)은 제1 전극판(204)에 대해 상대적으로 설치되고, 진동 플레이트(208)는 제1 전극판(204) 및 제2 전극판(206)의 사이 및 터치패드(110)에 대응하는 터치영역(122)에 배치된다. 진동 플레이트(208)의 일단은 제 1 전극판(206)과 서로 접촉하고, 진동 플레이트(208)의 타단은 제2 전극판(206)과 근접하나 접촉하지는 않는다. 제1 전극판(204) 및 제2 전극판(206)은 전압원의 양단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전극판(204) 및 제2 전극판(206) 간에는 전압차의 변화가 발생한다. 따라서, 진동 플레이트(208)가 제2 전극판(206)의 일단에 접근하여 제1 전극판(204) 및 제2 전극판(206) 간 전압차의 인력을 받아 진동동작을 실행한다.
이 외에도, 본 고안에 따른 입력장치는 다른 휴대형 전자장치에 응용할 수도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고하면, 도 8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전자장치가 열림상태 일 때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전자장치가 닫힘상태일 때의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전자장치(250)는 제1 케이스(252), 제 2 케이스(254), 힌지(256), 디스플레이 패널(258), 키 모듈(260) 및 입력장치(262)를 포함한다. 힌지(256)는 제1 케이스(252)의 일측변 및 제2 케이스(254)의 일측변에 회전가능한 방식으로 연결된다. 제 1 케이스(252)는 내표면 및 외표면을 구비하고, 제2 케이스(254)도 내표면 및 외표면을 구비한다. 디스플레이 패널(258)은 제1 케이스(252)의 내표면에 배치되고, 키 모듈(260)은 제2 케이스(254)의 내표면에 배치된다. 입력장치(262)는 제1 케이스(252)의 외표면에 배치되고, 또한 입력장치(262)는 디스플레이 패널(258)보다 작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262)는 상술한 본 고안의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 일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케이스(252) 및 제2 케이스(254)가 힌지(256)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열림 상태가 될 때, 디스플레이 패널(258) 및 키 모듈(260)이 노출되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패널(258)을 보고, 키 모듈(260)을 사용하여 조작할 수 있게 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케이스(252) 및 제2 케이스(254)가 힌지(256)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닫힘 상태가 될 때, 제1 케이스(252) 및 제2 케이스(254)는 공동으로 디스플레이 패널(258) 및 키 모듈(260)을 덮고, 입력장치(262)를 노출시킨다. 주의해야 할 것은,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전자장치(250)는 제1 케이스(252)의 외표면에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및 터치패드를 구비하는 입력장치(262)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휴대형 전자장치(250)가 닫힘 상태 일 때 입력장치(262)를 통해, 예를 들어, 통화 수신 디스플레이, 문자메세지 내용, 노래 곡목 또는 일부 가사 등의 간단한 신호를 볼 수 있게 하고, 입력장치(262)를 통해 일부 기능을 조작할 수 있게 하며, 나아가 디스플레이 패널(258)을 여는데 많은 전력이 소비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휴대형 전자장치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및 터치패드를 동시에 구비하는 입력장치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패널을 열지 않고서도, 디스플레이 패널보다 작은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간단한 신호를 획득할 수 있게 하고, 입력장치의 터치패드를 통해 일부 기능을 실행할 수 있게 하므로, 입력장치의 기능이 키의 수에 제한을 받지 않고, 휴대형 전자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여는데 소비되는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 출원범위의 균등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휴대형 전자장치 12 제1 케이스
14 제2 케이스 16 제1 입력장치
18 제2 입력장치 20 디스플레이 패널
22 오목홈 24 표시 부재
26 파편 스위치 28 인쇄회로기판
100 휴대형 전자장치 102 디스플레이 패널
104 입력장치 106 키 모듈
108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108a 디스플레이 면
108b 배면 110 터치패드
112 피드백 제어모듈 114 렌즈층
116 유기 발광 다이오드 모듈 118 가요성 인쇄회로기판
120 디스플레이 영역 122 터치영역
124 인쇄회로기판 126 파편 박막
128 금속 파편 130 플런저
150 입력장치 152 바이브레이터
154 제1 전극판 1 56 제2 전극판
158 진동 플레이트 200 입력장치
202 바이브레이터 204 제1 전극판
206 제2 전극판 208 진동 플레이트
250 휴대형 전자장치 252 제1 케이스
254 제2 케이스 256 힌지
258 디스플레이 패널 260 키 모듈
262 입력장치

Claims (11)

  1.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 입력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면 및 배면을 구비하고,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비하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디스플레이 면 상에 배치되고, 터치 시 터치신호를 생성하며, 적어도 하나의 터치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하는 터치패드; 및
    상기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배면에 배치되고, 상기 터치패드에 대응하며, 상기 터치신호 생성 시 피드백 동작을 실행하는 피드백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제어모듈은 키 구조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키 구조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사이에 배치되는 파편 박막; 및
    상기 파편 박막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 파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키 구조는 상기 파편 박막 및 상기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금속 파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플런저(plunger)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동작은 상기 금속 파편이 받은 압력으로 실행하는 기계적인 회복동작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제어모듈은 바이브레이터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브레이터는,
    제1 전극판;
    상기 제1 전극판에 대해 상대적으로 설치되는 제2 전극판; 및
    상기 제1 전극판 및 상기 제2 전극판의 사이 및 상기 터치패드에 대응하는 상기 터치영역에 배치되고, 일단이 상기 제1 전극판과 서로 접촉하며, 타단은 상기 제2 전극판과 근접하나 접촉하지는 않는 적어도 하나의 진동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동작은 상기 진동 플레이트가 상기 제1 전극판 및 상기 제2 전극판 간 전압차의 인력을 받아 실행하는 진동 동작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드 상에 배치되는 렌즈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10. 휴대형 전자장치에 있어서,
    내표면 및 외표면을 구비하는 제1 케이스;
    내표면을 구비하는 제2 케이스;
    상기 제1 케이스의 일측변 및 상기 제2 케이스의 일측변에 회전가능한 방식으로 연결되는 힌지;
    상기 제1 케이스의 상기 내표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제2 케이스의 상기 내표면에 배치되는 키 모듈; 및
    상기 제1 케이스의 상기 외표면에 배치되는 입력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장치는,
    디스플레이 면 및 배면을 구비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면은 상기 제2 케이스의 상기 외표면에 디스플레이 되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디스플레이 면에 배치되고, 가압신호를 생성하는 터치패드; 및
    상기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배면에 배치되고, 피드백 동작을 실행하는 피드백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케이스 및 상기 제2 케이스가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닫힘 상태가 될 때, 상기 제1 케이스 및 상기 제2 케이스는 공동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키 모듈을 덮고, 상기 입력장치를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장치.
KR2020100006678U 2010-05-13 2010-06-24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 입력장치 및 이를 응용한 휴대형 전자장치 KR20110010821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099208915U TWM393116U (en) 2010-05-13 2010-05-13 Input device having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panel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TW099208915 2010-05-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821U true KR20110010821U (ko) 2011-11-21

Family

ID=50605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6678U KR20110010821U (ko) 2010-05-13 2010-06-24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 입력장치 및 이를 응용한 휴대형 전자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10010821U (ko)
TW (1) TWM393116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96720A (zh) * 2020-07-14 2020-10-20 北海翰博士科技有限公司 一种触感反馈清晰的触控显示屏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96720A (zh) * 2020-07-14 2020-10-20 北海翰博士科技有限公司 一种触感反馈清晰的触控显示屏
CN111796720B (zh) * 2020-07-14 2023-11-17 北海翰博士科技有限公司 一种触感反馈清晰的触控显示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M393116U (en) 2010-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49930B2 (ja) 電子デバイスで使用する両面キーボード
EP1758013B1 (en)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having a touch input unit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2367094B1 (en) Touch sensitive keypad with tactile feedback
JP4975765B2 (ja) プログラマブルキーパッド
US8477100B2 (en) Keyboard module and electronic apparatus
KR20120047982A (ko) 입력 장치 및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
WO2008020538A1 (fr) Dispositif électronique portable et son procédé de commande
CN204406366U (zh) 具有触控按键的便携式电子装置
JP2009239906A (ja) 移動キーパッドを備える携帯端末機{Mobileterminalhavingamovingkeypad}
CA2776135C (en) Battery retention system
US20100206643A1 (en) Input Device
US20110205154A1 (en) Illuminated optical navigation module
US20120133583A1 (en) Illuminated navigation module
CA2732946C (en) An illuminated optical navigation module
JP2006065611A (ja) 入力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入力システム
KR200461301Y1 (ko)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키패드 모듈 및 이를 응용한 휴대형 전자장치
KR20110010821U (ko)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 입력장치 및 이를 응용한 휴대형 전자장치
JP2012128774A (ja) 電子機器、文字入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544902B1 (ko) 압전 센서 장치를 이용한 키 입력 장치
JP7355087B2 (ja) 操作シート、操作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1119474B1 (ko) 키패드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JP2006107091A (ja) 入力装置及びこれらを備えた携帯端末
CA2787595C (en) Illuminated navigation module
KR20080112687A (ko) 키버튼 어셈블리
JP2008158758A (ja) 携帯型情報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