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0857A - 빵판 적재용 카트 - Google Patents

빵판 적재용 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0857A
KR20110010857A KR1020090068173A KR20090068173A KR20110010857A KR 20110010857 A KR20110010857 A KR 20110010857A KR 1020090068173 A KR1020090068173 A KR 1020090068173A KR 20090068173 A KR20090068173 A KR 20090068173A KR 20110010857 A KR20110010857 A KR 201100108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s
rotating
cart
loading
bread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8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삼채
이종선
Original Assignee
(주)두리공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두리공업 filed Critical (주)두리공업
Priority to KR1020090068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0857A/ko
Publication of KR20110010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08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1/00Service or tea tables, trolleys, or wag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1/00Service or tea tables, trolleys, or wagons
    • A47B31/04Service or tea tables, trolleys, or wagons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1/00Service or tea tables, trolleys, or wagons
    • A47B2031/003Service or tea tables, trolleys, or wagons with drawers, trays or shelves

Landscapes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빵판 적재용 카트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다수개의 빵판을 적재가능하도록 구성함과 아울러 빵판의 폭에 대응되게 카트의 폭을 가변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빵판의 크기에 상관 없이 범용으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카트 보관에 따른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도록 하는 것에 있으며, 이러한 목적은 저면에는 이동을 위해 바퀴가 설치되는 사각 틀 형상의 제1,2적재대와, 상기 제1,2적재대의 제1,2수직바 양단에 각 일단이 각각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제1,2상부용 회동바 및 제1,2하부용 회동바와, 상기 제1,2상부용 회동바 및 제1,2하부용 회동바의 각 타단에 각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에 의해 빵판을 적재가능하도록 결합됨과 아울러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제1,2적재대의 폭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상,하부용 폭조절수단 또는 상기 제1,2상부용 회동바 및 제1,2하부용 회동바 중 어느 하나의 제1,2하부용 회동바에는 다른 어느 하나의 상부용 조절수단의 회전에 대응되게 제1,2적재대의 폭 조절시 제1,2하부용 회동바를 가이드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가이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의해 달성된다.
빵판, 적재대, 카트, 폭 가변, 범용

Description

빵판 적재용 카트{cart for bread plates the load}
본 발명은 빵판 적재용 카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빵판의 크기에 대응되게 폭을 조절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범용으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협소한 공간에서의 보관이 가능하도록 한 빵판 적재용 카트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카트는, 판(제품을 안착시키기 위한 평판 형상의 판)을 다수개 적재시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여러 산업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카트로는, 위생적인 식사 관리를 위하여 반납되는 배식판을 다수개를 적층하여 한번에 다량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배식판 적재용 카트가 있고, 또한 빵을 굽기기 위해 오븐측으로 한 번에 다수개의 빵판을 이동시키기 위한 빵판 적재용 카트가 있으며, 이외에도 많은 종류의 카트가 있다.
상기한 카트중 특히, 빵판을 적재시켜 이동시키기 위한 빵판 적재용 카트(이하, 카트라 칭함)는 일반적으로 빵판를 다수개 적재시킬 수 있도록 빵판의 폭과 길이에 대응되게 각각 구비된다.
즉, 종래의 일반적인 카트는, 바를 서로 용접에 의해 고정시키는 것에 의해 사각형상의 틀을 갖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면 모서리에 일단이 용접에 의해 고정 구비되는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의 타단을 서로 용접에 의해 고정 연결시켜 구비되는 상부고정부재와, 상기 지지바의 내측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양단이 각각 용접에 의해 고정됨에 따른 빵판을 적재시킬 수 있도록 "ㄴ"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는 적재용브라켓과, 상기 베이스부재의 저면 각 모서리에 카트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바퀴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카트에 빵판을 적재시켜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빵판의 양단을 적재용브라켓에 각각 안착시킨 후 소정의 힘을 가하면서 밀어 넣는 것에 의해 빵판을 적재시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일반적인 빵판 적재용 카트는, 상기한 바와 같이 빵판의 크기, 특히 빵판의 폭에 대응되게 다수개의 적재용브라켓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크기가 다른 빵판을 적재시킬 수 없어 결국, 빵판의 크기에 대응되게 각각의 카트가 필요하게 되므로, 카트 제작에 따른 비용이 많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종래의 일반적인 빵판 적재용 카트는, 용접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므로 카트를 보관하기가 용이하지 않고 부피 또한 크기 때문에 많은 공간이 소요되어 공간의 효율적인 활용이 저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수개의 빵판을 적재가능하도록 구성함과 아울러 빵판의 폭에 대응되게 카트의 폭을 가변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빵판의 크기에 상관 없이 범용으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빵판 적재용 카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카트의 폭을 가변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카트 보관에 따른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빵판 적재용 카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빵판을 다수개 적재시키기 위한 카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저면에는 이동을 위해 한 쌍의 바퀴가 설치되는 제1,2수평바의 양단에 일단이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한 쌍의 제1,2수직바의 타단에 양단이 각각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제2,3수평바에 의해 사각 형상의 틀로 형성되되, 상기 제1,2수직바의 내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양단이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제1,2안착용판으로 구성된 제1,2적재대와, 상기 제1,2적재대의 제1,2수직바 양단에 각 일단이 각각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제1,2상부용 회동바 및 제1,2하부용 회동바와, 상기 제1,2상부용 회동바 및 제1,2하부용 회동바의 각 타단에 각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에 의해 빵판을 적재가능하도록 결합됨과 아울러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제1,2적재대의 폭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상,하부용 폭조절수단 또는 상기 제1,2상부용 회동바 및 제1,2하부용 회동바 중 어느 하나의 제1,2하부용 회동바에는 다른 어느 하나의 상부용 조절수단의 회전에 대응되게 제1,2적재대의 폭 조절시 제1,2하부용 회동바를 가이드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가이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한 상,하부용 폭조절수단은, 제1,2상부용 회동바 및 제1,2하부용 회동바의 각 타단에 양단 상하면이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됨과 아울러 중앙부에는 서로 다른 방향의 나사홀이 각각 형성되어 구비되는 상부용 좌,우측연결부재 및 하부용 좌,우측 연결부재와, 상기 상부용 좌,우측연결부재 및 하부용 좌,우측 연결부재에 형성된 나사홀에 각 일단이 각각 나사 결합되어 중앙부에 형성된 손잡이부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하부용 연결부재가 외주면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손잡이부를 기준으로 양측 외주면에는 상부용 좌측나사부 및 상부용 우측나사부와 하부용 좌측나사부 및 하부용 우측나사부가 각각 형성되어 구비되는 상,하부용 폭조절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가이드수단은 제1,2하부용 회동바는, E-링을 개재시킬 수 있도록 외주면에 홈이 형성된 연결핀을 매개로 상기 제1,2하부용 회동바가 회동가능하도록 양단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후술할 가이드바를 관통시킬 수 있도록 가이드홀이 형성된 제1,2연결부재와, 상기 제1,2연결부재의 상면 중앙부에 형성된 요홈에 회동용연결핀을 일단에 관통시켜 상기 회동용연결핀이 요홈 내측면에 용접 고정시키는 것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되, 타단에는 걸편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제1,2걸림용부재와, 상기 제1,2연결부재의 가이드홀에 각 일단이 각각 관통되도록 대응되는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되, 외주면에는 상부용 폭조절수단을 회전시키는 것에 대응되게 이동하는 것에 의해 제1,2걸림용부재의 걸편을 걸림 및 해제시키도록 중간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서로 다른 방향의 걸림편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가이드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빵판 적재용 카트에 따르면, 다수개의 빵판을 적재가능하도록 구성함과 아울러 빵판의 폭에 대응되게 카트의 폭을 가변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빵판의 크기에 상관 없이 범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 카트의 제작을 감소시키는 것에 대응되게 제작비용을 절감실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빵판 적재용 카트에 따르면, 카트의 폭을 가변시킬 수 있으므로 인하여, 카트 보관에 따른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빵판 적재용 카트의 일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 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첨부된 도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빵판 적재용 카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빵판 적재용 카트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빵판 적재용 카트(100)는, 저면에는 이동을 위해 한 쌍의 바퀴(101,102)가 설치되는 제1,2수평바(111,121)의 양단에 일단이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한 쌍의 제1,2수직바(112,122)의 타단에 양단이 각각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제2,3수평바(113,123)에 의해 사각 형상의 틀로 형성되되, 상기 제1,2수직바(112,122)의 내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양단이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제1,2안착용판(114,124)으로 구성된 제1,2적재대(110,120)와, 상기 제1,2적재대(110,120)의 제1,2수직바(112,122) 양단에 각 일단이 각각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제1,2상부용 회동바(130,140) 및 제1,2하부용 회동바(150,160)와, 상기 제1,2상부용 회동바(130,140) 및 제1,2하부용 회동바(150,160)의 각 타단에 각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에 의해 빵판을 적재가능하도록 결합됨과 아울러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제1,2적재대(110,120)의 폭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상,하부용 폭조절수단(170,180) 또는 제1,2상부용 회동바(130,140) 및 제1,2하부용 회동바(150,160)중 어느 하나의 제1,2하부용 회동바(150,160)에는 다른 어느 하나의 상부용 조절수단(170)의 회전에 대응되게 제1,2적재대(110,120)의 폭 조절시 제1,2하부용 회동바(150,160)를 가이드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가이드수단(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빵판 적재용 카트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빵판 적재용 카트(100)의 제1,2적재대(110,120)의 제1,2수평바(111,121)와 제1,2수직바(112,122)는 무게를 감소시키도록 중공의 사각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되, 상기 제1,2수직바(112,122)의 양단에는 제1,2상부용 회동바(130,140) 및 제1,2하부용 회동바(150,160)의 일단을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시키도록 회동용축(112a,112b,122a,122b)이 용접에 의해 고정되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한 회동용축(112a,112b,122a,122b)의 외주면에는 제1,2상부용 회동바(130,140) 및 제1,2하부용 회동바(150,160)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E-링(도면부호 생략)을 개재시키기 위한 홈(도면부호 생략)이 형성된다.
상기한 제1,2상부용 회동바(130,140) 및 제1,2하부용 회동바(150,160)는 무게 감소를 위해 중공의 사각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고, 각 일단에는 상기 제1,2수직바(112,122)의 양단에 형성된 회동용축(112a,112b,122a,122b)을 각각 관통시키는 것에 의해 회동가능하도록 회동용홀(131,141,151,161)이 각각 형성되며, 타단에는 상기 상,하부용 폭조절수단(170,180)의 각 일단에 걸림됨 없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회동홀(132,142,152,162)이 상,하면 연통되게 형성되어 구비된다.
상기한 상,하부용 폭조절수단(170,18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를 파지하여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제1,2적재대(110,120)의 간격 즉, 빵판의 폭에 대응되게 폭을 조절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한 상,하부용 폭조절수단(170,180)은, 제1,2상부용 회동바(130,140) 및 제1,2하부용 회동바(150,160)의 각 타단에 양단 상하면이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됨과 아울러 중앙부에는 서로 다른 방향 즉, 오른방향 및 왼방향의 나사홀(도면부호 생략)이 각각 형성되어 구비되는 상부용 좌,우측연결부재(171,172) 및 하부용 좌,우측 연결부재(181,182)와, 상기 상부용 좌,우측연결부재(171,172) 및 하부용 좌,우측 연결부재(181,182)에 형성된 오른나사홀과 왼나사홀에 각 일단이 각각 나사 결합되어 중앙부에 형성된 손잡이부(173,183)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하부용 연결부재가 외주면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손잡이부(173,183)를 기준으로 양측 외주면에는 상부용 좌측나사부(174a) 및 상부용 우측나사부(174b)와 하부용 좌측나사부(184a) 및 하부용 우측나사부(184b)가 각각 형성되어 구비되는 상,하부용 폭조절바(174,184)로 구성된다.
즉, 상기 상,하부용 폭조절바(174,184)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부용 좌,우측연결부재(171,172) 및 하부용 좌,우측 연결부재(173,174)가 상,하부용 폭조절바(174,184)의 외주면에 형성된 상부용 좌측나사부(174a) 및 상부용 우측나사부(174b)와 하부용 좌측나사부(184a) 및 하부용 우측나사부(184b)를 따라 나사 결합되면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제1,2적재대(110,120)의 폭이 조절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상,하부용 폭조절바(174,184)의 양단에는 상부용 좌우측연결부재(171,172) 및 하부용 좌우측 연결부재(181,182)가 이동하는 중에 상,하부용 폭조절바(174,184)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도록 일면 중앙부에는 상부용 좌측나사 부(174a) 및 상부용 우측나사부(174b)와 하부용 좌측나사부(184a) 및 하부용 우측나사부(184b)에 대응되는 나사홈이 형성된 고정편(도면부호 생략)이 더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한 상부용 좌,우측연결부재(171,172) 및 하부용 좌,우측 연결부재(181,182)는 양단에 제1,2상부용 회동바(130,140) 및 제1,2하부용 회동바(150,160)의 타단과 각각 연결핀(도면부호 생략)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연결홀(도면부호 생략)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연결핀의 양단 외주면에는 E-링(도면부호 생략)을 개재시키기 위한 홈(도면부호 생략)이 각각 형성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같이 제1,2적재대의 폭을 조절하도록 폭조절수단이 상하로 구비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하부용 폭조절수단(170,180) 중 어느 한 쪽에는 첨부된 도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용 폭 조절수단(170)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 제1,2적재대(110,120)의 폭 조절시 흔들림이 발생되어 빵판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가이드수단(200)을 구비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한 가이드수단(200)은, 제1,2하부용 회동바(150,160)의 타단에 E-링(도면부호 생략)을 개재시킬 수 있도록 외주면에 홈(도면부호 생략)이 형성된 연결핀(도면부호 생략)을 매개로 상기 제1,2하부용 회동바(150,160)가 회동가능하도록 양단에는 관통홀(211,221)이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후술할 가이드바를 관통시킬 수 있도록 가이드홀(212,222)이 형성된 제1,2연결부재(210,220)와, 상기 제1,2연결부재(210,220)의 상면 중앙부에 형성된 요홈(213,223)에 회동용연결핀(도면부호 생략)을 일단에 관통시켜 상기 회동용연결핀이 요홈(213,223) 내측면에 용접 고정시 키는 것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되, 타단에는 걸편(231,241)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제1,2걸림용부재(230,240)와, 상기 제1,2연결부재(210,220)의 가이드홀(212,222)에 각 일단이 각각 관통되도록 대응되는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되, 외주면에는 상부용 폭조절수단(170)을 회전시키는 것에 대응되게 이동하는 것에 의해 제1,2걸림용부재(230,240)의 걸편(231,241)을 걸림 및 해제시키도록 중간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서로 다른 방향의 걸림편(251,152)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가이드바(250)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가이드바(250)의 양단 외주면에는 가이드바(250)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제1,2연결부재(210,2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일면에 나사홈(도면부호 생략)이 형성된 고정편(도면부호 생략)을 나사 결합시켜 고정시키도록 나사부(도면부호 생략)가 형성되어 구비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빵판 적재용 카트를 이용하여 빵판을 적재시켜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시키고자 하는 빵판의 양단을 제1,2적재대(110,120)의 제1,2안착용판(114,124)에 안착시킨 후 소정의 힘을 가하여 밀어 넣는 것에 의해 빵판이 적재된다.
상기와 같이 빵판이 적재되면, 카트(100)를 밀어 이동시키고자 하는 곳으로 이동시키면 된다.
한편, 폭이 좁은 빵판을 카트(100)에 적재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제1,2상부 용 회동바(130,140)의 타단을 회동가능하게 연결시켜 구비되는 상부용 폭조절수단(170)과 제1,2하부용 회동바(150,160)의 타단을 회동가능하게 연결시켜 구비되는 하부용 폭조절수단(180)을 빵판의 폭에 대응되게 각각 작업자가 회전시킨다.
즉, 상,하부용 폭조절수단(170,180)의 손잡이부(173,183)를 작업자가 파지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제1,2상부용 회동바(130,140)와 제1,2하부용 회동바(150,160)의 각 타단에 양단이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상부용 좌,우측연결부재(171,172)와 하부용 좌,우측 연결부재(181,182)가 상,하부용 폭조절바(174,184)의 상부용 좌,우측나사부(174a,174b)와 하부용 좌,우측나사부(184a,184b)를 따라 이동하는 것에 의해 제1,2적재대(110,120)의 폭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빵판의 폭에 대응되게 좁아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1,2적재대(110,120)의 폭이 좁아지면, 적재시키고자 하는 빵판의 양단을 제1,2적재대(110,120)의 제1,2안착용판(114,124)에 안착시켜 밀어 넣는 것에 의해 적재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첨부된 도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카트를 이용하여 빵판을 적재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상부용 폭조절수단(170)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제1,2상부용 회동바(130,140)는 이동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제1,2하부용 회동바(150,160)의 타단에 양단이 연결핀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제1,2연결부재(210,220)가 가이드바(250)를 따라 각각 중앙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2연결부재(210,220)의 요홈(213,223)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제1,2걸림용부재(230,240)는 가이드바(250)의 걸림편(251,252)에 걸림됨 없 이 이동하게 되고 반대 방향에 대해서는 걸편(231,241)이 걸림편(251,252)에 걸림되므로 안정되게 빵판을 적재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중에 다시 폭이 넓은 빵판을 적재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제1,2걸림용부재(230,240)를 회동시킨 후 상부용 폭조절수단(170)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걸림됨 없이 제1,2적재대(100,120)의 폭을 넓힐 수 있게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카트는 빵판의 폭에 대응되게 제1,2적재대의 폭을 조절가능하게 되므로 빵판의 폭 크기에 관계없이 범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큭히 카트 보관시 제1,2적재대의 폭을 좁힌 상태에서 보관시킬 수 있으므로 좁은 공간에서도 보관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빵판 적재용 카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빵판 적재용 카트를 도시한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빵판 적재용 카트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결합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빵판 적재용 카트를 도시한 결합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빵판 적재용 카트의 가이드수단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빵판 적재용 카트 110 ; 제1적재대
120 ; 제2적재대 130 ; 제1상부용 회동바
140 ; 제2상부용 회동바 150 ; 제1하부용 회동바
160 ; 제2하부용 회동바 170 ; 상부용 폭조절수단
180 ; 하부용 폭조절수단 200 ; 가이드수단

Claims (6)

  1. 빵판을 다수개 적재시키기 위한 카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저면에는 이동을 위해 한 쌍의 바퀴(101,102)가 설치되는 제1,2수평바(111,121)의 양단에 일단이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한 쌍의 제1,2수직바(112,122)의 타단에 양단이 각각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제2,3수평바(113,123)에 의해 사각 형상의 틀로 형성되되, 상기 제1,2수직바(112,122)의 내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양단이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제1,2안착용판(114,124)으로 구성된 제1,2적재대(110,120)와;
    상기 제1,2적재대(110,120)의 제1,2수직바(112,122) 양단에 각 일단이 각각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제1,2상부용 회동바(130,140) 및 제1,2하부용 회동바(150,160)와;
    상기 제1,2상부용 회동바(130,140) 및 제1,2하부용 회동바(150,160)의 각 타단에 각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에 의해 빵판을 적재가능하도록 결합됨과 아울러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제1,2적재대(110,120)의 폭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상,하부용 폭조절수단(170,180) 또는 제1,2상부용 회동바(130,140) 및 제1,2하부용 회동바(150,160)중 어느 하나의 제1,2하부용 회동바(150,160)에는 다른 어느 하나의 상부용 조절수단(170)의 회전에 대응되게 제1,2적재대(110,120)의 폭 조절시 제1,2하부용 회동바(150,160)를 가이드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가이드수단(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빵판 적재용 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수직바(112,122)의 양단에는 제1,2상부용 회동바(130,140) 및 제1,2하부용 회동바(150,160)의 일단을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시키도록 외주면에는 E-링을 개재시키기 위한 홈이 형성된 회동용축(112a,112b,122a,122b)이 용접에 의해 고정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빵판 적재용 카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상부용 회동바(130,140) 및 제1,2하부용 회동바(150,160)는 각 일단에 제1,2수직바(112,122)의 양단에 형성된 회동용축(112a,112b,122a,122b)을 각각 관통시키는 것에 의해 회동가능하도록 회동용홀(131,141,151,161)이 각각 형성되며, 타단에는 상,하부용 폭조절수단(170,180)의 각 일단에 걸림됨 없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회동홀(132,142,152,162)이 상,하면 연통되게 형성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빵판 적재용 카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용 폭조절수단(170,180)은, 제1,2상부용 회동바(130,140) 및 제 1,2하부용 회동바(150,160)의 각 타단에 양단 상하면이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됨과 아울러 중앙부에는 서로 다른 방향의 나사홀이 각각 형성되어 구비되는 상부용 좌,우측연결부재(171,172) 및 하부용 좌,우측 연결부재(181,182)와, 상기 상부용 좌,우측연결부재(171,172) 및 하부용 좌,우측 연결부재(181,182)에 형성된 나사홀에 각 일단이 각각 나사 결합되어 중앙부에 형성된 손잡이부(173,183)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하부용 연결부재가 외주면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손잡이부(173,183)를 기준으로 양측 외주면에는 상부용 좌측나사부(174a) 및 상부용 우측나사부(174b)와 하부용 좌측나사부(184a) 및 하부용 우측나사부(184b)가 각각 형성되어 구비되는 상,하부용 폭조절바(174,18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빵판 적재용 카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용 좌,우측연결부재(171,172) 및 하부용 좌,우측 연결부재(181,182)는 양단에 제1,2상부용 회동바(130,140) 및 제1,2하부용 회동바(150,160)의 타단과 각각 연결핀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연결홀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연결핀의 양단 외주면에는 E-링을 개재시키기 위한 홈이 각각 형성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빵판 적재용 카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수단(200)은, 제1,2하부용 회동바(150,160)는, E-링을 개재시킬 수 있도록 외주면에 홈이 형성된 연결핀을 매개로 상기 제1,2하부용 회동바(150,160)가 회동가능하도록 양단에는 관통홀(211,221)이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후술할 가이드바를 관통시킬 수 있도록 가이드홀(212,222)이 형성된 제1,2연결부재(210,220)와, 상기 제1,2연결부재(210,220)의 상면 중앙부에 형성된 요홈(213,223)에 회동용연결핀을 일단에 관통시켜 상기 회동용연결핀이 요홈(213,223) 내측면에 용접 고정시키는 것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되, 타단에는 걸편(231,241)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제1,2걸림용부재(230,240)와, 상기 제1,2연결부재(210,220)의 가이드홀(212,222)에 각 일단이 각각 관통되도록 대응되는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되, 외주면에는 상부용 폭조절수단(170)을 회전시키는 것에 대응되게 이동하는 것에 의해 제1,2걸림용부재(230,240)의 걸편(231,241)을 걸림 및 해제시키도록 중간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서로 다른 방향의 걸림편(251,152)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가이드바(25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빵판 적재용 카트.
KR1020090068173A 2009-07-27 2009-07-27 빵판 적재용 카트 KR201100108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8173A KR20110010857A (ko) 2009-07-27 2009-07-27 빵판 적재용 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8173A KR20110010857A (ko) 2009-07-27 2009-07-27 빵판 적재용 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857A true KR20110010857A (ko) 2011-02-08

Family

ID=43771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8173A KR20110010857A (ko) 2009-07-27 2009-07-27 빵판 적재용 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085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5009B1 (ko) * 2018-03-20 2019-09-24 김용준 사각 트레이용 폴딩형 무빙랙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5009B1 (ko) * 2018-03-20 2019-09-24 김용준 사각 트레이용 폴딩형 무빙랙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079381C (en) Modular utility cart with removably positionable bins and drawer
EP3294501B1 (de) Aufbewahrungseinrichtung
US6371496B1 (en) Adjustable mobile machine base systems
CA2830771C (en) Three tiered tray
BRPI0802420A2 (pt) mecanismo para movimentação de prateleiras de equipamentos de refrigeração e equipamento de refrigeração
DE2701049A1 (de) Zusammenklappbarer stuhl mit mehreren gebrauchsfunktionen
EP3291949B1 (en) Workbench support system
JP5539405B2 (ja) 伸長可能な脚部を有するはしごのような装置
KR20110010857A (ko) 빵판 적재용 카트
WO2018065041A1 (de) Transportable bearbeitungseinheit, aufbau und stapelanordnung
DE102011005396A1 (de) Tablar mit klappbarer Stütze
US20130099638A1 (en) Printer cabinet latch assembly
KR101663801B1 (ko) 길이 가변이 가능한 선반용 브래킷
US6702064B2 (en) Lifter having tiltable support rack assembly
JP3182700U (ja) キャリーカートのハンドルの高さ調整可能なフックブラケット
JP2016179826A (ja) 輸送用パレット
US20220402114A1 (en) Storage Unit for Tools
EP2216286B1 (en) Adjustable guide roller suspension device
KR200409173Y1 (ko) 헬리컬기어를 이용한 경사조절이 가능한 상판을 갖는 책상
JP2017086633A (ja) テーブル
EP2476354B1 (en) Chopping board
CA2867677C (en) Thread storage assemblies and systems
JP5984901B2 (ja) スキー・スノーボード用スタンド
KR100839479B1 (ko) 운송 장치의 연결용 장치
KR200466632Y1 (ko) 테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