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0373U - 수납칠판 - Google Patents

수납칠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0373U
KR20110010373U KR2020100004463U KR20100004463U KR20110010373U KR 20110010373 U KR20110010373 U KR 20110010373U KR 2020100004463 U KR2020100004463 U KR 2020100004463U KR 20100004463 U KR20100004463 U KR 20100004463U KR 20110010373 U KR20110010373 U KR 2011001037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lackboard
storage space
base
fix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44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승진
Original Assignee
임승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승진 filed Critical 임승진
Priority to KR20201000044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0373U/ko
Publication of KR201100103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037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0Repeatedly-usable boards or table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4Blackboar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 A47B63/04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with a writing surface

Landscapes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납칠판에 관한 것으로서, 교실 벽에 수납공간을 형성하여, 수납공간으로 하여금 책장의 역할을 대체시킴으로써 교실의 사용 공간을 넓힐 수 있도록 하는 수납칠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수납공간이 형성된 베이스; 및 베이스의 수납공간을 덮도록 베이스에 연결된 이동형 칠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납칠판{A BOARD HAVING STORAGE SPACE}
본 고안은 수납칠판에 관한 것으로서, 교실 벽에 수납공간을 형성하여, 수납공간으로 하여금 책장의 역할을 대체시킴으로써 교실의 사용 공간을 넓힐 수 있도록 하는 수납칠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칠판은 교실 또는 회의실과 같이 한정된 공간에 설치된다. 종래의 칠판은 단지 문자 또는 그림 등이 쓰여져 내용이 표시되는 수단으로만 사용되고 있다.
한편, 교실 또는 회의실이라는 한정된 공간에는 다양한 물건들이 존재하고, 이러한 한정된 공간에 위치된 책상, 의자, 사물함, 또는 회의 테이블 등으로 인해 사람들이 활동할 수 있는 활동 공간이 좁아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한정된 공간이 교실인 경우에는 책상, 의자 또는 사물함과 더불어 책장 및/또는 청소 캐비닛이 교실 한쪽을 차지하고 있다. 책장은 학생들의 수업교재, 수업에 필요한 참고도서, 또는 교양서적 등 다양한 책을 정리감있게 수납할 수 있게 함으로써 교실의 면학 분위기를 유도할 수 있고, 청소 캐비닛은 빗자루, 걸레, 쓰레받이 또는 먼지 떨이 등의 다양한 청소 용품을 수납하여 교실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시키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 이에 따라, 교실 대부분에는 책장 및/또는 청소캐비닛이 위치되어 있으나, 사물함 또는 교탁 등과 더불어 교실이라는 한정된 공간을 더욱 좁게 사용하게끔 하는 요소 중 하나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책장 및/또는 청소 캐비닛으로 인해 학생들은 책상과 의자 사이의 간격을 좁은 상태로 하여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이러한 장소의 협소함으로 인해 혈기 왕성한 학생들이 활동하는데 있어 제약이 따른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교실 벽에 책, 청소 용품 또는 교구들을 수납할 수 있도록 수납공간을 형성하여 수납공간으로 하여금 책장 및/또는 청소 캐비닛의 역할을 대신하게 함으로써 교실의 사용 공간을 넓힐 수 있는 수납 칠판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수납공간이 형성된 베이스; 및 베이스의 수납공간을 덮도록 베이스에 연결된 이동형 칠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칠판부는 수납공간를 덮는 칠판; 및 베이스에 고정되되, 칠판이 베이스의 수납공간을 개폐가능하도록 칠판에 연결된 이동 지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칠판은 좌우로 슬라이딩 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칠판은 수납공간의 일부를 덮는 제 1 판; 및 제 1 판과 접촉되어, 수납공간의 나머지 일부를 덮는 제 2 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칠판은 제 1 판의 일측면에서 고정된 제 1 고정부; 및 제 1 판과 접촉되는 제 2 판의 일측면에 고정된 제 2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제 1 및 제 2 고정부는 상호 간에 자석결합되어 제 1 판과 제 2 판이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판 또는 제 2 판 중 어느 하나, 또는 제 1 판과 제 2 판에는 결합 상태의 제 1 판과 제 2 판을 분리시키기 위한 손잡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동 지지수단은 칠판의 움직임을 제한시키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책장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교실 벽에 수납공간을 형성하여 수납공간에 책 또는 교구들을 수납하여 교실의 사용 공간을 넓힐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칠판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칠판에 의해 폐쇄된 수납공간을 개방하여 도서관 분위기로 교실 분위기를 형성함으로써 학생들에게 독서분위기를 유도하게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은 제 1 판과 제 2 판으로 이루어진 칠판의 일측면에 자석을 부착시킴으로써, 제 1 판과 제 2 판의 접촉시에 용이하게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수납공간을 개방한 상태의 수납칠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수납공간을 개방한 상태의 수납칠판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수납칠판(100)은 베이스(110) 및 칠판부(120)를 포함한다. 베이스(110)에는 책, 교구 또는 다양한 물건이 수납될 수 있는 수납공간(111)이 형성된다. 한편, 베이스(110)로는 벽, 나무판자 또는 철판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수납공간(111)의 크기는 칠판부(120)의 크기에 따라 가변가능하다. 또한, 수납공간(111)의 형상 및 수납공간(111)의 분할 형태에 대해서는 본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수납공간(111)은 사용자에 따라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납공간(111)은 책 또는 교구 등을 수납할 수 있어 책장 대신에 사용될 수 있고, 또는 빗자루, 걸레, 쓰레받이 또는 먼지 떨이 등의 청소 용품을 수납할 수 있어 청소 캐비닛 대신에 사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수납공간(111)이 기존에 교실을 차지하고 있는 책장 및/또는 청소 캐비닛의 역할을 함으로써, 교실은 책장 및/또는 청소 캐비닛이 차지한 공간만큼 사용공간이 넓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교실의 사용공간이 넓어진만큼 학생들의 활동 영역 또는 책상과 의자 사이의 간력을 넓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는 칠판부(120)의 칠판을 제 1 판(121)과 제 2 판(122)으로 나누어 설명한다. 다만, 칠판은 수납공간(111)을 덮을 수 있는 부재로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같이 두개의 판(板)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하나의 판(板) 또는 여러 개의 판(板)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본 실시예에 기재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제 1 판(121)과 제 2 판(122)은 모두 칠판의 일종이며, 흑판, 화이트보드 또는 전자칠판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흑판은 분필로 쓸 수 있도록 검은색 등을 칠한 넓다란 판이고, 화이트보드는 마커펜과 같은 특수 펜으로 글씨가 쓰여질 수 있는 흰색 칠판이다. 전자칠판은 전자펜으로 쓸 수 있는 전도체성 칠판 표면이 전도성을 띤 평판으로 전기 펜으로 필기가 가능한 칠판이다.
본 실시예에서, 칠판부(120)는 제 1 판(121), 제 2 판(122), 이동 지지수단(123), 분필받침대(124), 제 1 고정부(125), 제 2 고정부(126) 및 손잡이(127, 128)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판(121)은 베이스(110)의 일면 상에서 수납공간(111)의 일부를 덮도록 위치된다. 제 2 판(122)은 베이스(110)의 일면 상에서, 제 1 판(121)과 접촉하여 수납공간(111)의 나머지 일부를 덮도록 위치된다. 제 1 및 제 2 판(121, 122)은 수납공간(111)의 커버 역할을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판(121, 122)은 이동 지지수단(123)를 따라 도 2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을 따라 좌우로 슬라이딩 운동가능하여 수납공간(111)을 개폐한다. 다만, 본 고안의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 1 및 제 2 판(121, 122)은 이동 지지수단에 의해 베이스(110)와 힌지 결합되어, 수납공간(111)을 폐쇄하고 있던 제 1 및/또는 제 2 판(121, 122)을 상부로 들어올리는 방식으로 수납공간(111)을 개방시킬 수도 있고, 문을 열듯이 제 1 및/또는 제 2 판(121, 122)을 열어 수납공간(111)을 개방시킬 수도 있다.
한편, 이동 지지수단(123)은 베이스(110)에 고정된다. 이동 지지수단(123)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판(121, 122)의 후면에 위치될 수 있으나, 수납공간(111)을 덮고 있던 칠판을 열림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면, 그 설치 위치나 형상이 본 고안에 기재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동 지지수단(123)은 수납공간(111)을 개폐할 수 있도록 제 1 및 제 2 판(121, 122)과 베이스(110)를 연결한 부재이다. 본 실시예에 도시된 이동 지지수단(123)은 제 1 및 제 2 판(121, 122)이 좌우로 슬라이딩 운동가능하여 수납공간(111)을 개폐할 수 있도록 제 1 및 제 2 판(121, 122)을 가이드할 수 있는 부재로 도시되었다. 그러나, 제 1 및 제 2 판(121, 122)의 수납공간(111)을 개폐하는 방식이 슬라이딩 방식이 아닌 다른 방식으로 전환된다면, 이동 지지수단 또한 본 고안의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가변가능하다.
이동 지지수단(123)에는 스토퍼(123a)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스토퍼(123a)는 이동 지지수단(123)의 내부 공간(미도시)에 고정된 탄성 부재(미도시)에 연결되어, 제 1 및 제 2 판(121, 122)이 닫힘 상태일 때는 제 1 및 제 2 판(121, 122)에 의해 이동 지지수단(123)의 내부 공간(미도시)으로 밀려 들어가 삽입된 상태이나, 제 1 및 제 2 판(121, 122)이 열림 상태일 때에는 이동 지지수단(123)의 내부 공간(미도시)으로부터 이동 지지수단(123)의 외면으로 돌출되어 나와 제 1 및 제 2 판(121, 122)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스토퍼(123a)의 기능을 한정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납공간(111)의 개방시 칠판을 고정하는 방식에 따라 스토퍼(123a)의 형상, 구조, 설치 위치 및 설치 개수가 가변가능하다.
분필받침대(124)는 제 1 및 제 2 판(121, 122)의 하부에서, 베이스(110) 상에 고정된다. 또는, 분필받침대(124)은 제 1 및 제 2 판(121, 122)의 하부에서 돌출되어 제 1 및 제 2 판(121, 122)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분필받침대(124)에는 분필 또는 마커펜 등이 놓여질 수 있다.
한편, 제 1 고정부(125)는 제 1 판(121)의 일측면에 부착되어 고정된다. 또한, 제 2 고정부(126)는 제 1 판(121)과 접촉하는 제 2 판(122)의 일측면에 부착되어 고정된다.
제 1 고정부(125)와 제 2 고정부(126)는 상호 간에 자석결합된다. 따라서, 제 1 고정부(125)가 철판이라면 제 2 고정부(126)는 자석이고, 제 1 고정부(125)가 자석이라면 제 2 고정부(126)는 철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제 1 고정부(125)와 제 2 고정부(126) 모두가 자석인 것도 바람직하다.
제 1 고정부(125) 및 제 2 고정부(126)는 제 1 판(121)과 제 2 판(122)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상호 간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제 1 및 제 2 판(121, 122)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부착 길이 및 부착 개수에 대해서는 본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 1 고정부(125)가 제 1 판(121)의 일측면 상에 길게 부착된 경우에, 제 2 고정부(126)는 제 2 판(122)의 일측면 상에서 제 1 고정부(125)와 동일한 형상 또는 상이한 형상으로 길게 부착될 수 있거나, 짧은 길이를 가진 여러 개의 조각으로 분리되어 상호 간에 이격된 상태로 부착될 수 있다.
제 1 고정부(125)가 제 1 판(121)의 일측면 상에서 여러 개의 조각으로 분리되어 상호 간에 규칙적으로 또는 불규칙적으로 이격된 상태로 부착된 경우에, 제 2 고정부(126)는 제 2 판(122)의 일측면 상에서 하나의 형태로 길게 부착될 수도 있고, 제 1 고정부(125)와 같이 여러 개의 조각으로 나뉘어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부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 1 고정부(125) 및 제 2 고정부(126)의 부착 개수 및 부착 길이에 대해서는 본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나, 제 1 판(121)과 제 2 판(122)의 접촉 시에 용이하게 분리되지 않도록 제 1 고정부(125)와 제 2 고정부(126)는 상호 간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손잡이(127, 128)는 제 1 판(121) 및/또는 제 2 판(122)에 위치된다. 손잡이(127, 128)는 자석 결합되어 상호 간에 밀접하게 결합된 제 1 판(121)과 제 2 판(122)를 용이하게 분리하기 위한 부재이다.
손잡이(127, 128)는 제 1 판(121) 및 제 2 판(122)이 접촉되는 부분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손잡이는 제 1 판(121) 및/또는 제 2 판(122)의 양측면에 위치될 수도 있고, 칠판과 일체로 형성된 분필받침대(124)가 손잡이 역할을 할 수도 있는바, 손잡이(127, 128)의 형상 및 설치 위치는 본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가변가능하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는 제한적이기보다는 본 고안의 모든 관점들 내에서 설명적인 것이 되도록 의도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본 고안의 기술 분야의 숙련된 자들에 의하여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된 설명들로부터 얻어질 수 있는 많은 변형 및 상세한 실행이 가능하다.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된 바와 같이 이러한 모든 변형 및 변경은 본 고안의 범위 및 사상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수납칠판...........100 베이스............110
수납공간...........111 칠판부............120
제 1 판............121 제 2 판...........122
이동 지지수단......123 스토퍼...........123a
분필받침대.........124 제 1 고정부......125 제 2 고정부........126

Claims (8)

  1. 수납공간이 형성된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수납공간을 덮도록 상기 베이스에 연결된 이동형 칠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칠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칠판부는
    상기 수납공간를 덮는 칠판; 및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되, 상기 칠판이 상기 베이스의 수납공간을 개폐가능하도록 상기 칠판에 연결된 이동 지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칠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칠판은 좌우로 슬라이딩 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칠판.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칠판은
    상기 수납공간의 일부를 덮는 제 1 판; 및
    상기 제 1 판과 접촉되어, 상기 수납공간의 나머지 일부를 덮는 제 2 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칠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칠판은
    상기 제 1 판의 일측면에서 고정된 제 1 고정부; 및
    상기 제 1 판과 접촉되는 상기 제 2 판의 일측면에 고정된 제 2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칠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부는 상호 간에 자석결합되어 상기 제 1 판과 상기 제 2 판이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칠판.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판 또는 상기 제 2 판 중 어느 하나, 또는 상기 제 1 판과 상기 제 2 판에는
    결합 상태의 상기 제 1 판과 상기 제 2 판을 분리시키기 위한 손잡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칠판.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지지수단은 상기 칠판의 움직임을 제한시키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칠판.
KR2020100004463U 2010-04-28 2010-04-28 수납칠판 KR2011001037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463U KR20110010373U (ko) 2010-04-28 2010-04-28 수납칠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463U KR20110010373U (ko) 2010-04-28 2010-04-28 수납칠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373U true KR20110010373U (ko) 2011-11-03

Family

ID=72886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4463U KR20110010373U (ko) 2010-04-28 2010-04-28 수납칠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0373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19569A (zh) * 2018-05-03 2018-11-16 张清清 一种新型的多功能组合推拉式教学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19569A (zh) * 2018-05-03 2018-11-16 张清清 一种新型的多功能组合推拉式教学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01453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emovable Eraseable Writing Surface
US20120048151A1 (en) Teacher Demonstration Desk
KR20110010373U (ko) 수납칠판
KR200468177Y1 (ko) 다목적 필기구 보관 케이스
KR20190054597A (ko) 다용도 수납부 칠판
KR200451562Y1 (ko) 연필꽂이 겸용 필통
KR200334168Y1 (ko) 측면책꽂이를 갖는 학습용 책상
US4040692A (en) Convertible multipurpose table
KR200418569Y1 (ko) 물품보관함
KR200409317Y1 (ko) 독서대 및 필기구 보관함이 구비된 책상
KR200391677Y1 (ko) 물품보관함
KR200482454Y1 (ko) 전면 책꽂이 선반
CN209769540U (zh) 一种抽拉对开课桌
CN204970071U (zh) 一种多功能讲台
KR100453292B1 (ko) 측면책꽂이를 갖는 학습용 책상
KR102414229B1 (ko) 스프레이 지우개 홀더
CN221012361U (zh) 一种多媒体课堂讲台
KR20230045957A (ko) 세로형 서랍을 장착한 다용도 책상
CN209846668U (zh) 多功能学习桌
CN209995598U (zh) 一种多功能讲桌
KR200231556Y1 (ko) 다용도 이동 게시대
CN209360030U (zh) 一种可移动组合的儿童教具柜
KR200465309Y1 (ko) 필통이 구비된 책 지지대
KR200357119Y1 (ko) 지우개 가루의 처리가 용이한 책상
CN208524126U (zh) 一种便于整理的书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