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0121A - 멀티-캐리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파일럿 신호 세트 관리 - Google Patents

멀티-캐리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파일럿 신호 세트 관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0121A
KR20110010121A KR1020107028544A KR20107028544A KR20110010121A KR 20110010121 A KR20110010121 A KR 20110010121A KR 1020107028544 A KR1020107028544 A KR 1020107028544A KR 20107028544 A KR20107028544 A KR 20107028544A KR 20110010121 A KR20110010121 A KR 201100101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ot signal
coverage area
additional coverage
pilot
signal 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8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3378B1 (ko
Inventor
라민 레자이파
크리스토퍼 지 로트
돈나 고시
피터 제이 블랙
라시드 아메드 에이 아타르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10010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01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3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33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18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allowing seamless reselection, e.g. soft re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02Resource partitioning among network components, e.g. reuse partiti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4Reselecting a cell layer in multi-layered ce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04W36/30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due to low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상이한 주파수 대역들 (f1, f2)이 다양한 통신 구역들 (22, 24) 을 생성하도록 배치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파일럿을 위한 파일럿 신호 세트 관리. 부가적 커버리지 구역 (24) 으로부터 생성된 신호들은 복수의 파일럿 신호들로부터의 미리 선택된 신호 세트를 식별하는 것과 미리 결정된 기준이 만족되는지를 결정하는 것에 기초한다.

Description

멀티-캐리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파일럿 신호 세트 관리{PILOT SIGNAL SET MANAGEMENT IN A MULTI-CARRIER COMMUNICATION SYSTEM}
본 출원은 본 출원의 양수인에게 양도되었으며, 명시적으로 본 명세서에 통합되고 2008년 5월 20일에 출원된 "Hand-in and Hand-out Procedures in a Multi-Carrier Communication system", 미국 가출원 제 61/054,762호의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통신들에 관한 것이고, 더 구체적으로, 비-균등한, 다중-캐리어 통신 시스템들을 위한 파일럿 신호 세트 관리에 관한 것이다.
무선 네트워크들에 있어서, 무선 셀룰러 네트워크, 네트워크 오퍼레이터들은 보통 지정된 지리적 지역에 걸쳐 최종 유저들에게 서비스 커버리지를 제공하도록 최소량의 대역폭을 비치한다. 전술한 최소량의 대역폭은 때때로 커버리지 캐리어로 지칭된다. 유저 수요가 늘어날수록, 네트워크 오퍼레이터들은 수요를 만족시키기 위해 용량을 늘리도록 부가적 대역폭을 부가한다. 부가적 대역폭은 때때로 용량 캐리어로 지칭된다. 더 많은 유저 수요를 만족시키도록, 하나 이상의 용량 캐리어들이 부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용량 캐리어들은 지리적 지역 전체 또는 다른 방법으로, 사이트-바이-사이트를 기반으로 커버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후자에 있어서, 때때로 핫 스팟들로 지칭되는 부가적 커버리지 구역들은 커버리지 확장 및 용량을 제공하도록 생성된다. 핫 스팟들의 포함은 비-균등한, 다중-캐리어 배치 통신 네트워크를 발생시킨다.
핫 스팟들은 전술된 것과 같이 수요에 따라서 생성될 수 있다. 그럼에도, 이러한 핫 스팟들은 종종 하나 이상의 캐리어 주파수들과 함께 제공된다. 이와 같이, 유저 디바이스들은 다른 주파수들 간 트랜지션이 가능할 필요가 있다. 지금까지, 임의의 원활한 트랜지션을 제공하는 임의의 만족할만한 방식이 없었다. 예를 들어, 단일-캐리어 디바이스에 의한 통상적인 인터-주파수 핸드오프 (handoff) 에 있어서, 통신 디바이스가 다른 주파수에 의해 전달된 통신 세션을 재시작하기 전에, 이는 하나의 주파수에 의해 전달된 존재하는 통신 세션의 중단을 요구한다. 이러한 트랜지션들은 데이터의 손실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중단된 트랜지션들은 유저 경험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줄 수도 있다.
따라서, 다중-캐리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하나의 주파수에서 다른 주파수로 원활한 트랜지션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공간적으로 비-균등한 주파수 채널들이 다양한 통신 구역들을 생성하도록 배치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부가적 커버리지 구역으로부터 생성된 복수의 파일럿 신호들을 위한 파일럿 신호 세트 관리는 복수의 파일럿 신호들로부터 미리 선택된 신호 세트를 식별하는 것과 미리 결정된 기준이 만족되는지를 결정하는 것에 기초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다양한 구성들을 갖는 셀룰러 무선 시스템의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하나는 비-균등한 숫자의 캐리어들을 갖는 매크로-셀들, 동일한 숫자의 캐리어들 또는 매크로-셀들, 피코-셀들, 원격 라디오-헤드들, 중계기들, 등의 조합을 갖는 이종의 배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이한 통신 엔티티들에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동일한 도면 부호가 동일한 부분을 지칭하는 수반된 도면들과 함께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이러한 및 다른 특징들과 이점들이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라 정렬된 이종의 배치를 갖는 네트워크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는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에 가용한 주파수 대역의 스펙트럼의 그래픽 표현이다.
도 3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다양한 통신 구역들의 파일럿 신호 강도를 도시하는 그래픽 표현이다.
도 4는 이종의 배치에 커플링된 비-균등한 매크로-셀룰러 배치를 갖는 네트워크인 예시적인 배열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5는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인프라스트럭처 엔티티에 의해 동작되는 파일럿 신호 세트 관리 프로세스들에 포함된 단계들을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6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저 엔티티에 의해 동작되는 파일럿 신호 세트 관리 프로세스들에 포함된 단계들을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7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파일럿 세트 관리 프로세스들을 실행하기위한 장치의 하드웨어 구현의 일부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다음 설명은 임의의 당업자로 하여금 본 발명을 제작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다음의 기술에서 설명의 목적을 위해 상세한 설명이 제공된다. 당업자는 발명이 이런 특정한 상세한 설명의 사용 없이 실시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인지해야 한다. 다른 예시들에 있어서, 공지된 구조들 및 프로세스들은 불필요한 설명으로 발명의 기술을 불명료하게 하지 않도록 상세히 기술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시된 실시형태들에 의해 제한되도록 의도되지 않으나, 명세서에서 개시된 원리들과 특징들에 일관되게 가장 넓은 범위로 일치되도록 의도되었다.
또한, 다음의 기술에 있어서, 간결성과 명확성의 이유로, 국제 통신 연합 (ITU) 에 의해 3 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 2 (3GPP2) 하에서 공포된 것과 같은 1xEV-DO (Evolved Data Optimized) 표준들과 연관된 용어가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이 다른 기술들 예컨대,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 (WCDMA), 시분할 다중 액세스 (TDMA),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OFDMA), 등과 관련된 기술들 및 연관된 표준들에 응용가능하다는 것이 강조되어야 한다. 다른 기술들과 연관된 용어들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려된 기술에 의존하면, 1xEV-DO 표준들에서 사용된 액세스 단말기 (AT) 는 몇 이름을 대자면 때때로 이동국, 유저 단말기 가입자 유닛, 유저 장비,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1xEV-DO 표준들에서 사용된 액세스 노드 (AN) 는 액세스 포인트, 기지국, 노드 B (Node B) 등으로 때때로 지칭될 수 있다. 상이한 용어들이 응용가능한 경우 상이한 기술들에 적용된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네트워크 배치들은 보통 유저 수요에 맞추어진다. 예를 들어, 수요가 증가할수록, 네트워크 오퍼레이터들은 존재하는 네트워크들에 부가적 하드웨어 또는 대역폭을 부가할 수 있다. 하드웨어 부가는 부가적 커버리지 구역들을 부가하는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구역들은 핫-스팟들, 피코-셀들, 펨토-셀들, 중계기등과 같은 다양한 이름들을 가정하는 셀 분할 또는 부가적 네트워크 노드들의 배치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전술된 부가적 대역폭 또는 하드웨어 노드들의 네트워크 정렬은 통상적으로 이종의 배치로 지칭된다. 도 1은 단순화된 도면으로 스케일을 위한 것이 아닌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라 정렬된 다중-캐리어, 이종의 배치를 갖는 네트워크를 도시하는 개략적 표현이다.
도 1에 있어서, 전반적인 다중-캐리어 통신 시스템이 도면 번호 (10) 에 의해 표시된다. 시스템 (10) 에는, 다중 AT들, 그들 중 하나는 도 1에서 AT (14) 로 도시되며, 이 다중 AT들과 무선 통신이 가능한 송수신기를 갖는 기본적으로 지상국인 기지국 (12) 으로 지칭되는 인프라스트럭처 엔티티 (infrastructure entity) 가 있다. 기지국 (12) 은 그러나 기지국 제어기 (BSC; 13) 로 지칭되는 다른 인프라스트럭처 통신 엔티티에 의해 제어된다. BSC (13) 는 도 1에서 도시된 기지국 (12) 과 같은 하나 이상의 통신 엔티티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 기지국 (12) 과 같은 다른 통신 엔티티들과 커플링된 BSC (13) 는 집합적으로 액세스 네트워크 (AN; 15) 로 통칭된다.
이 예시에서의 기지국 (12) 은 무선 통신 커버리지를 3개의 섹터들, 섹터 (16, 18, 및 20) 에 제공한다. 섹터 16, 18, 20 각각은 1xEV-DO 표준들 하에서 동작되는 것처럼 가입자들과 통신을 위한 고유 PN (Pseudo-random Noise) 시퀀스를 배분받는다.
상술된 것과 같이, 데이터 처리량을 증가시키고 신호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기지국 (12) 은 다중-캐리어 기지국일 수 있다. 이것은 네트워크 (100) 에 있는 기지국 (12) 및 다른 인프라스트럭처 엔티티들이 AT (14) 와 같은 AT들과 하나 이상의 주파수 대역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청구항들에 있어서, 용어 "다중"은 하나 이상을 의미한다.
도 2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캐리어 주파수들이 가입자들과 교환하는 경우 시스템 (10) 에서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에 가용한 주파수 대역들의 스펙트럼을 그래픽으로 도시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네트워크 (10) 의 오퍼레이터는 f1 내지 f4로 표시된 중심 주파수들을 갖는 4개의 캐리어-주파수 대역들로 배분된다.
네트워크 (10) 에 있어서, 기지국 (12) 에 부가적으로, 또한 오퍼레이터는 상술된 것과 같이 배치된 부가적 커버리지 구역들을 가질 수도 있다. 부가적 커버리지 구역들은 핫 스팟들, 피코 셀들, 펨토 셀들, 등과 같은 다양한 이름들로 지칭될 수 있다. 이 예시에 있어서, 네트워크 동작은 다양한 부가적 구역들을 생성하도록 전술된 임의의 4개의 주파수 대역들 또는 이들의 조합들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부가적 커버리지 구역들에서, 오퍼레이터는 주파수 대역들의 부분적 재사용을 통하여 다른 섹터들과의 감소된 간섭을 갖는 하나 이상의 캐리어들을 배치한다. 이것은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인접한 지역에 다른 섹터들, 셀들, 또는 부가적 커버리지 구역들이 없는 경우, 하나의 지점에서 사용된 주파수 대역이 다른 지점에서 재사용된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가적 커버리지 구역은, 부가적 캐리어가 부가적 커버리지 구역의 생성 전에 사용된 적어도 하나의 존재하는 캐리어 상에서 부가되는 지정된 지역이다. 하나 이상의 부가적 캐리어들은 부가적 커버리지 구역에 추가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하나 이상의 존재하는 캐리어는 부가적 커버리지 구역에 미리 존재할 수 있다. 또한, 각 캐리어는, 부가적 또는 미리 존재하는 것들은, 또한 상이한 PN 시퀀스들로 분리되고 구별될 수 있다. 부가적 커버리지의 몇몇 예시들은 예시적인 실시형태로 아래에 기술된다. 이러한 예시들은 예시적인 역할일 뿐이며 제한으로서 해석되면 안 된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도 1과 연결된 도 2를 참조한다. 기지국 (12) 이 f1 중심 주파수를 갖는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세 개의 섹터들 (16, 18 및 20) 모두를 커버하는 AT들에 의해 액세스가능한 커버리지 지역을 생성한다고 가정한다. 또한, 섹터 (10) 는 가입자들이 밀집되어 거주하는 도심 지역 내에 있다고 가정한다. 섹터 (10) 에의 가입자들에 더 나은 제공을 하도록, 오퍼레이터는 송수신기 (17) 를 통해 섹터 (18) 로 f4 중심 주파수를 갖는 주파수 대역을 배분하고, 도 1에 도시된 부가적 커버리지 구역 (21) 을 생성한다. 지정학적 사이즈 또는 가입자들의 숫자에 의존하여, 다양한 용어들이 구역 (21) 에 지정될 수 있다. 이 예시에서, 구역 (21) 은 핫 스팟으로 지칭된다.
동일한 주파수 대역, 즉, f4에 중심을 둔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인접하는 셀들 또는 섹터들이 없기 때문에, 핫 스팟 (21) 은 섹터 (18) 에서 f1에 중심을 둔 주파수 대역의 송신 전력과 같은 동일한 고정된 송신 전력에 대한 증가된 커버리지를 가진다. 다르게 표현하자면, 핫 스팟 (21) 은 임의의 인접하는 셀들 또는 섹터들에 의해 사용되지 않는 f4에 중심을 둔 캐리어 주파수를 사용한다. 그 결과, 핫 스팟 (21) 과 데이터를 교환하는 f4에 중심을 둔 주파수를 갖는 캐리어를 사용하는 AT들은 낮은 간섭 및 비교적 고 신호 대 간섭 비율 (SINR) 및 데이터 레이트들을 경험한다.
다른 예시로써, 다른 섹터 (20) 내에, 예컨대 쇼핑몰에 가입자들로 가득찬 국소적인 지역이 있다고 가정한다. 이 가입자들에게 제공하기위해, 오퍼레이터는 섹터 (20) 내 다른 통신 커버리지 구역 (24) 을 생성할 수도 있다. 이 예시에 있어서 구역 (24) 은 피코 셀 (24) 로 지칭된다. 피코 셀 (24) 은 다른 인프라스트럭처 통신 엔티티로 송수신기 (26) 에 의해 제공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알려지며, 기지국 (12) 의 송수신기에 의해 제공된 섹터 (20) 의 송신 전력보다 낮은 송신 전력을 갖는다.
f1에 중심을 둔 캐리어 주파수 대역에 부가적으로, 피코 셀 (24) 은 f2에 중심을 둔 다른 캐리어 주파수 대역과 동작한다. 그것은 송수신기 (26) 가 다중-주파수 송수신기라는 의미이다. 이 경우에 있어서, f1 및 f2에 중심을 둔 2개의 캐리어 주파수들은 송수신기 (26) 로부터 생성되고 프로세싱될 수 있다. 송수신기 (26) 는 통신 시스템 (10) 에서 다른 통신 엔티티로 역할을 한다. 이 예시에 있어서, 송수신기 (26) 는 또한 BSC (13) 에 의해 제어된다.
피코 셀 (24) 에 있어서, 상술된 것과 같은 동일한 이유로, 동일한 주파수 대역, 즉 f2에 중심을 둔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인접하는 구역들 또는 셀들 없이, 피코 셀 (24) 은 모든 가입하는 유저들에게 접근성에 도움이 되도록 f2에 중심을 둔 주파수 대역에서 더 나은 커버리지를 가질 수 있다. 이 예시에서, 피코 셀 (24) 은 f2에서의 커버리지와 비교하여 f1에 중심을 둔 주파수 대역에서 감소된 커버리지를 갖도록 구현된다. 이유는 예컨대 f2가 아닌 f1 주파수 상의 섹터 (16, 18 및 20) 로부터의 이웃하는 섹터 간섭들의 존재 때문이다.
구역들 (21 및 24) 과 같은, 존재하는 커버리지 지역 (22) 상에 배치된 부가적 커버리지 구역들 때문에, 시스템 (10) 은 이종의 배치를 갖는다고 알려진다. 그러나 후에 기술될 매크로-셀룰러 배치로 지칭되는 다른 유형의 배치가 있다.
시스템 (10) 에 있어서, 통신 리소스들을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AT (14)와 같은 최종 유저 통신 엔티티는 임의의 셀과 최고의 신호 강도로 통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고의 신호 강도를 제공하는 셀은 대체로 최종 유저 엔티티와 지정학적 근접도가 가장 가까운 셀이다.
참조는 이제 도 2와 연결되는 도 1로 돌아간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또한, AT (14) 는 도 2에 도시된 f1 내지 f4에 중심을 둔 주파수 대역들을 포함하는 다중-주파수 캐리어들에 의해 전송된 신호들을 동시에 프로세싱할 수 있다. 또한, AT (14) 에 대한 하드웨어 아키텍처는 아래에 기술될 것이다.
AT (14) 가 다양한 셀들 및 섹터들 간에서 로밍할 수 있으며, 처음부터 도 1에 도시된 참조 번호 (28) 에 의해 식별된 위치에 있다고 가정한다. 위치 (28) 에서 AT (14) 는 f1에 중심을 둔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섹터 (20) 의 서비스 커버리지 지역 하에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AT (14) 는 고정되도록 설계되지 않았다. AT (14) 가 다른 커버리지 지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AT (14) 는 다른 셀 또는 섹터와 통신해야만 할 수도 있다. 서비스의 질을 유지하기 위해, 제공하는 노드 엔티티 간에 원활한 트랜지션이 AT (14) 와 같은 유저 엔티티에 더욱 바람직하다. 즉, 이는 셀들 및 섹터들을 크로싱하는 경우 가입자들에게 원활한 동작들을 제공하도록 하는 시스템 (10) 의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의 목적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AT (14) 는 1xEV-DO 표준들 하에서 동작되는 것과 같이 메모리에 있는 액티브 세트 (ASET) 를 유지한다. 도 1에 도시된 f1에 중심을 둔 캐리어 주파수를 갖는 섹터 (20) 와 같은, ASET 에서 AT (14) 에 의해 재충전 가능한 연관된 캐리어를 갖는 각 섹터 또는 셀을 위하여, 주파수 대역에서 셀의 파일럿 신호 강도 및 셀 식별이 보유된다. AT (14) 에 의해 재충전 가능한 임의의 파일럿 신호의 정보는 파일럿 신호 세트로 지칭된다. 이하에서, 용어 "파일럿 신호 세트", "파일럿 세트" 및 때때로 단순히 "세트" 는 호환성있게 사용된다. AT (14) 의 ASET에 저장된 파일럿 신호 세트의 정보는 후보 세트로 지칭된다.
파일럿 신호 세트는 미리 결정된 기준이 만족된 경우 ASET에 부가된다. 마찬가지로 파일럿 신호 세트는 다른 미리 결정된 기준이 만족된 경우 ASET으로부터 삭제된다. 예를 들어, AT (14) 와 통신하는 캐리어에 있어서 현재 셀 또는 섹터의 파일럿 신호 강도가 약해진 경우, 및 동일한 또는 상이한 주파수의 캐리어에 있어서 인접하는 셀 또는 섹터의 파일럿 신호 강도가 미리 결정된 임계치에 도달한 경우, AT (14) 는 제공하는 셀 또는 섹터의 변화가 유효한지와 그 후에 그러한 변화를 용이하게 하는 행동을 취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시스템과 같은 다중-캐리어 시스템에 있어서, 셀 또는 섹터 및 파일럿 신호 강도 정보에 부가적으로, 또한 3GPP2 1xEV-DO 무선-인터페이스 표준들, 섹션 8 하에서 동작되는 것과 같이 각 셀 또는 섹터의 캐리어 주파수 정보는 ASET의 파일럿 세트에 포함될 필요가 있다.
특정한 예시를 위해 도 1로 되돌아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위치 (28) 에서, AT (14) 는 f1에 중심을 둔 주파수 대역하에서 동작하는 섹터 (20) 와 통신한다. AT (14) 의 ASET 에서, AT는 파일럿 세트 {20, f1}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각 파일럿 세트에 대해, 괄호 내의 제 1 파라미터는 섹터 또는 셀 식별을 나타내며 제 2 파라미터는 중심 캐리어 주파수 값을 나타낸다. 다음 기술에서, 기술의 간결성과 용이성을 위해, 섹터 또는 셀 식별 수단은 도면들에서 섹터 또는 셀을 명시하도록 사용된 도면 부호이다.
AT (14) 는 ASET 에서의 모든 파일럿 세트, 즉, 후보 세트의 파일럿 신호 강도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한다. 후보 세트는 이동 목적을 위해 AT (14) 에 의존된 ASET에서의 주파수 대역 쌍들 및 섹터 (또는 셀) 의 리스트이다. 1xEV-DO 표준들 하에서, AT (14) 는 모든 파일럿 세트들의 파일럿 신호 강도 값들을 보고하며, 파일럿 신호 강도 값들이 특정한 임계치를 초과한 경우, AT (14) 는 루트 업데이트 프로토콜 (RUP) 을 사용하여 AN (15) 에 수신하는게 가능하다. 임계값은 AN (15) 에 의해 구성된다. RUP 메시지를 수신할 시, AN (15)은 AT (14) 로 트래픽 채널 할당 (TCA) 메시지를 송신함을 통해 ASET에서 세트들을 추가하거나 삭제하도록 결정할 수도 있다. 이 프로시저들의 상세한 설명은 1xEV-DO 표준들 섹터 8에 설명된다.
AT (14) 는 도 1에 도시된 참조 부호 (32) 에 의해 예시된 방향에 의해 지시된 것과 같이 피코 셀 (24) 에 도달한다. 특정 시점에, AT (14) 는 피코 셀 (24) 로부터 파일럿 신호들, 즉, f1 및 f2에 중심을 둔 주파수 대역들 하에서 동작하는 피코 셀 (24) 의 송수신기 (26) 로부터의 파일럿 신호들을 수신한다. 1xEV-DO 표준들 하에서, AT (14) 에 의해 보고된 셀의 임의의 파일럿 신호가 충분하게 강하고, 임계치를 초과한다면, AN (15) 은 TCA 메시지를 사용하여 AT의 ASET에서의 후보와 같이 셀을 추가하도록 AT (14) 를 지시한다. 특히, 이 예시에 있어서, AN (15) 에 의해 지시된 AT (14) 는 ASET에서의 후보 세트들로서 파일럿 세트들 {24, f1} 및 {24, f2}를 포함해야한다.
전술된 것과 같이, 소정의 유저 위치에서, f2에 중심을 둔 주파수 대역에서의 셀 (24) 로부터 AT (14) 에 의해 수신된 파일럿 강도는 f1에 중심을 둔 주파수 대역에서의 강도보다 훨씬 더 높다. 이는 f2에 중심을 둔 주파수 대역 상에 인접하는 셀들과의 가능한 간섭의 부재에 기인한다. 그 결과, AN (15) 이 그렇게 선택한다면, 파일럿 세트 {24, f2}는 다른 파일럿 세트 {24, f1}와 비교하여 AT (14) 의 ASET에 훨씬 먼저 있을 수 있다. 이는 AT (14) 가 방향 (32) 으로 이동할수록, 파일럿 세트 {24, f2}로부터의 파일럿 신호 강도가 파일럿 세트 {24, f1}로부터의 대응하는 파일럿 신호 강도 보다 AN의 특정한 임계치를 훨씬 더 먼저 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술한 정보와 함께 RUP 메시지를 수신시, 세트 {24, f2}로부터의 파일럿 신호 강도가 임계치를 넘는 경우, AN (15) 은 AT (14) 의 ASET에 파일럿 세트 {24, f2}를 부가하도록 AT (14) 를 지시해서는 안 된다. 그렇지 않으면, AT (14) 의 동작은 문제가 될 수 있다. 이 후에 기술되나, 특정 조건 또는 조건들이 만족되는 경우, 이 접합에서 세트 {24, f2}를 받아들이는 것이 가능한 경우들도 있다는 점을 주목해야한다.
먼저, 다른 것들 중에서, AT (14) 가 피코 셀 (24) 로부터 지정학적으로 비교적 멀리 떨어져 있으므로, AT (14) 가 ASET에서 파일럿 세트 {24, f2}를 부가하는 경우, AT (14) 는 피코 셀 (24) 에 의한 역방향 링크 (RL) 전력 제어에 의존한다. 멀리 떨어진 거리에서, 피코 셀 (24) 에 의해 지시된 AT (14) 는 상당한 고 레벨로 RL, 즉, AT (14) 로부터 피코 셀 (24) 로의 통신 링크의 전송 전력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을 수도 있다. AT (14) 가 전송하는 f2 에 중심을 둔 주파수 대역 상의 전력이 f2에 중심을 둔 주파수 대역 상의 전력보다 충분히 높다면, 이는 f1에 중심을 둔 주파수에서 동작하는 다른 노드들 (예컨대, 기지국 (12)) 에 인접 채널 간섭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인접 캐리어들에 걸쳐 AT (14) 의 전송 전력 차분 상에 위치한 제약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허용가능한 전송 전력 차분은 다른 것들 중에서도, 네트워크 배치 및 캐리어들의 중심-주파수 분리에 의존한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AT의 ASET에 파일럿 세트 {24, f2} 및 {24, f1}를 부가할지를 결정하는 데 있어, AN (15) 은 임계값을 넘는 더 강한 파일럿 신호 세트 {24, f2} 대신에 임계값을 넘는 더 약한 파일럿 신호 세트 {24, f1}에 의존한다. 즉, AT (14) 와 같은 유저 엔티티가 부가적 커버리지 구역에 있는지를 결정하는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미리 결정된 기준은 더 약한 파일럿 세트가 미리 결정된 임계값을 만족하는지에 기초된다.
이제 보다 특정한 예시들을 위해 도 3을 참조한다. 도 3은 셀 (24) 의 송수신기 (26) 로부터의 거리의 함수로서, 다양한 파일럿 세트들 {20, f1}, {24, f1} 및 {24, f2}의 파일럿 신호 강도를 그래픽으로 도시한다. 도 3에서, x-축은 피코 셀 (24) 의 AT (14) 및 송수신기 (26) 간의 거리를 미터 단위로 나타낸다. y-축은 dB 단위로 파일럿 C/I (캐리어/간섭) 로서 파일럿 신호 강도를 나타낸다.
상술된 것과 같이, AT (14) 는 최초에 위치 (28) 에 있었다고 가정한다. 이 접합에서, 파일럿 신호 세트 {20, f1}는 후보 포함을 위해 미리 결정된 임계값 이상에 있다. 이처럼, 파일럿 신호 세트 {20, f1}는 AT (14) 의 ASET에 있다. 사실상, 이 예시에 있어서, 이 시점에서, AT (14) 는 섹터 (20) 와 액티브 통신 중이다. 반면, 파일럿 포함, PilotAdd에 대한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이하인, AT 에 의해 수신된 세트 {24, f2} 및 AT (14) 에 의해 수신되지 않은 세트 {24, f1}와 같은 다른 파일럿 신호 세트들은 후보 세트들로서 AT (14) 의 ASET으로부터 제외된다.
AT (14) 가 방향 (32) 에서 피코 셀 (24) 로 접근하고 도 3에 도시된 위치 (36) 에 도달할수록, AT (14) 는 파일럿 세트 {24, f2}를 포착하기 시작한다. AT (14) 가 방향 (32) 으로 계속 이동한다면, 특정한 시점에서, 파일럿 세트 {24, f2}로부터의 파일럿 신호 강도는 PilotAdd 임계값을 넘는 값에 도달한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파일럿 세트 {24, f2}의 파일럿 신호 강도가 PilotAdd 임계값을 명시된 이유들로 인해 넘는 경우 AN (15) 은 AT (14) 의 ASET에 파일럿 세트 {24, f2}를 부가하지 않는다.
AT (14) 가 방향 (32) 로 계속 진행하고 도 3에 도시된 위치 (38) 에 도달한다고 가정한다. 이 시점에서, AT (14) 는 파일럿 세트 {24, f1}로부터 파일럿 신호를 수신하며 파일럿 신호 강도는 포함 임계값 PilotAdd를 초과한다. AN (15) 은 그 결과 AT (14) 의 ASET에 세트 {24, f1} 및 {24, f2} 모두를 부가한다. 이 예시에 있어서, 파일럿 세트 {24, f1}는 세트 {24, f1} 및 {24, f2} 중 더 약한 것이다. 이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더 약한 세트 {24, f1}가 PilotAdd 임계값을 초과한 경우, 세트 {24, f1} 및 {24, f2}는 AT의 ASET에 부가된다. 그 후, AT (14) 는 f2에 중심을 둔 주파수 대역 상의 액티브 통신들을 위해 파일럿 세트 {24, f2}를 갖는 통신 채널을 사용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AT (14) 는 피코 셀 (24) 및 섹터 (20) 각각에 핸드-인 프로세스의 일부로서, 주파수 대역 f1 상의 파일럿 세트 {24, f1} 및 파일럿 세트 {20, f1} 중 하나를 갖는 통신 채널을 사용할 수도 있다. AT (14) 가 피코 셀 (24) 로 더 근접할 수록, 그것은 액티브 통신을 위해 세트 {24, f1}, 또는 {24, f2} 또는 모두를 갖는 통신 채널에 인게이지할 수도 있다.
AT (14) 가 방향 (32) 으로 계속 이동하여 위치 (30) 에 도달한다고 가정한다. 파일럿 세트 {20, f1}는 파일럿 제외 임계값 PilotDrop 이하로 하강한다. 그 결과로서, AN (15) 에 의해 명령받은 AT (14) 는 핸드-아웃 프로세스의 일부로서 ASET으로부터 파일럿 세트 {20, f1}를 탈락시킨다.
AT (14) 가 피코 셀 (24) 에 들어갈 경우, 세트 관리 프로세스들이 상술된다. AT (14) 가 피코 셀을 나갈 경우에는 상술된 프로세스 단계들이 역방향인 것을 제외하면 동일하다. 예를 들어, 위치 (30) 에서, AT 는 액티브 통신을 위해 파일럿 세트 {24, f1} 및 {24, f2}를 갖는 채널들을 사용하며, 파일럿 세트 {20, f1}는 그것의 ASET 에 있지 않는다. 그러나 AT (14) 가 위치 (40) 에 도달하는 경우, 파일럿 세트 {20, f1}로부터의 파일럿 신호 강도는 PilotAdd 임계값을 초과하며, AN (15) 은 후보 세트로서 AT (14) 의 ASET에 파일럿 세트 {20, f1}를 부가한다. 파일럿 세트 {20, f1}가 ASET에 부가된다 하더라도, AT (14) 는 f2에 중심을 둔 주파수 대역 상의 파일럿 세트 {24, f2}, 및 f1에 중심을 둔 주파수 대역 상의 파일럿 세트 {20, f1}를 갖는 통신 채널들로 액티브 통신 중일 수 있다. 그러나 다른 방법으로서, AT (14) 는 f2에 중심을 둔 주파수 대역상의 파일럿 네트 {24, f2}와 f1에 중심을 둔 주파수 대역 상의 파일럿 세트 {20, f1}를 갖는 통신 채널과 액티브 통신 중일 수 있다.
AT (14) 가 피코 셀 (24) 로부터 나와 위치 (30) 에서 위치 (38) 로 방향 (32) 의 반대 방향으로 떠날 시, 더 약한 세트 {24, f1}의 신호 강도가 핸드-아웃 프로세스, 즉 도 3에 도시된 위치 (38) 근방에서, 파일럿 제외 임계값 PilotDrop 이하로 떨어진 경우, AN (15) 은 AT (14) 의 후보 세트들로서 ASET으로부터의 파일럿 세트 {24, f1} 및 {24, f2} 모두를 탈락시킨다. 동시에, 파일럿 세트 {20, f1}가 파일럿 포함 임계값 PilotAdd 이상에 도달한 경우, AN (15) 은 파일럿 세트 {20, f1}를 AT (14) 의 ASET 에 부가한다. 그 후, AT (14) 는 핸드-인 프로세스의 일부로서 파일럿 세트 {20, f1}을 사용하여 액티브 통신을 위해 섹터 (20) 에 인게이지 (engage) 한다.
상술된 실시형태에 있어서, AT (14) 의 ASET으로 피코 셀 (24) 의 파일럿 세트 {24, f1} 및 세트 {24, f2}를 부가하기 위한 기준은 더 약한 세트 {24, f1}가 도 3에서 크로스 마크 (50) 에 의해 식별된 PilotAdd 임계값을 넘는 경우이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AT (14) 의 ASET으로 피코 셀 (24) 의 파일럿 세트 {24, f1} 및 세트 {24, f2}를 부가하기 위한 기준은 이 경우에 현재 제공하는 섹터 또는 셀, {20, f1}의 파일럿 강도가 도 3에 도시된 크로스 마크 (52) 에 의해 식별된 PilotDrop 임계값 이하로 내려가는 경우이다. 마찬가지로, AT (14) 의 ASET 으로부터 피코 셀 (24) 의 파일럿 세트 {24, f1} 및 세트 {24, f2}를 삭제하기 위한 기준은 이 경우에 다음 가용한 섹터 또는 셀, {20, f1}이 PilotDrop 임계값, 즉 도 3에 도시된 크로스 마크 (52) 이상인 경우이다. 더 일반적으로 설명하자면, 이 실시형태에서 AT의 ASET에 부가적 커버리지 구역의 파일럿 신호 세트들을 부가하기 위한 기준은 구역의 모든 세트들이 PilotAdd 임계값을 초과하며, 동시에, 현재 섹터 또는 셀 의 파일럿 강도가 PilotDrop 임계값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이다. AT의 ASET으로부터 부가적 커버리지 구역의 신호 세트들을 삭제하는 경우에도 기준에 대한 대응하는 조건들이 반대라는 점을 제외하면 동일하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AT (14) 의 ASET으로 피코 셀 (24) 의 파일럿 세트 {24, f1} 및 세트 {24, f2}를 부가하기 위한 기준은 더 약한 세트 {24, f1}가 현재 인게이지된 섹터 또는 셀 {20, f1}의 파일럿 신호의 신호 강도 이상인 미리 결정된 전력 레벨, 예컨대 2dB에 있는 경우이다. 이 경우에 있어서, 임계 레벨은 도 3에 도시된 크로스 마크 (54) 에 의해 식별된다. 도시된 것과 같이, 전력 레벨의 차이, △ 파일럿 C/I 는 이 예시에서는 2dB에서의 세트이다. 마찬가지로, AT (14) 의 ASET으로부터 피코 셀 (24) 의 파일럿 세트 {24, f1} 및 세트 {24, f2}를 탈락시키기 위한 기준은 더 약한 세트 {24, f1}의 전력 레벨이 예시에서는 2dB인 미리 결정된 전력 레벨, 이 경우에는 세트 {20, f1}인, AT (14) 에 의해 수신된 다음으로, 강한 파일럿 신호의 대응하는 전력 레벨보다 낮은 경우이다. 이 실시형태를 실시하기 위해, AN (15) 은 피코 셀 (24) 로부터의 하나의 지정된 파일럿 세트의 전력 레벨과 현재 제공하는 섹터 또는 셀에 대한 파일럿 신호 세트의 대응하는 전력 레벨을 비교할 필요가 있다.
이전의 기술에 있어서, 더 강한 파일럿 세트 {24, f2}가 AT (14) 의 ASET에 너무 이르게 부가된 경우, 다양한 잠재적 문제들이 이 시나리오에 대해 식별되었다. 그러나 인접한 채널 간섭이 허용될 수 있는 정도라면, 또는 다른 방법으로, 인접한 채널 간섭이 관심이 아니라면,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AT (14) 의 ASET으로 피코 셀 (24) 의 파일럿 세트 {24, f1} 및 세트 {24, f2} 모두를 부가하기 위한 기준은 더 강한 파일럿 세트 {24, f2}가 도 3에서 크로스 마크 (56) 에 의해 도시된 것과 같은 PilotAdd 임계값 이상인 경우이다. 바람직하게는, 세트 {24, f1}, 및 {24, f2}는 2개의 단계에서 부가된다. 즉, 세트 {24, f2}의 신호 강도가 PilotAdd 임계값을 초과한 경우 세트 {24, f2}가 먼저 부가된다. 그 후, 세트 {24, f2}의 신호 강도 또한 PilotAdd 임계값을 초과한 경우 세트 {24, f1}가 부가된다. 마찬가지로, AT (14) 의 ASET으로부터 피코 셀 (24) 의 파일럿 세트 {24, f1} 및 세트 {24, f2}를 탈락시키기 위한 기준은 더 강한 파일럿 세트 {24, f2}가 마찬가지로 도 3에서 크로스 마크 (56) 에 의해 도시된 것과 같이, PilotAdd 임계값 이하인 경우이다. 다시, 세트 {24, f1} 및 {24, f2}는 2개의 단계에서 탈락된다. 즉, 세트 {24, f1}의 신호 강도가 PilotDrop 임계값 이하인 경우 세트 {24, f1}는 먼저 탈락된다. 그 후, 세트 {24, f2}의 신호 강도가 마찬가지로 PilotDrop 임계값 이하인 경우 세트 {24, f2}는 탈락된다. 인접한 채널 간섭들이 허용할 수 있거나 또는 큰 관심이 아닌 상황들이 발생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f1 및 f2 주파수들의 주파수 분리가 충분히 떨어져 있는 경우일 수 있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AT (14) 는 다중-주파수 디바이스, 즉, 동시에 하나 이상의 주파수를 프로세싱할 수 있는 디바이스로 나타내진다. AT (14) 와 같은 유저 엔티티가 단일-주파수 디바이스일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해야만 한다. 그 경우에 있어서, 상기의 실시형태들을 실시하기 위해, AT (14) 는 현재 제공하는 주파수에서 상이한 주파수로 주파수 트랜지션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이제 돌아가 예시적인 도시에 대한 도 1 내지 3을 참조한다. AT (14) 가 동일한 방향 (32) 에 있는 피코 셀 (24) 에 도달한다고 가정하나, 이 예시에서 AT (14) 는 단일-주파수 디바이스이다. 위치 (28) 에서 또는 근방에서, 제공하는 셀 또는 섹터의 파일럿 세트는 {20, f1}이다. AT (14) 가 방향 (32) 에 있는 피코 셀 (24) 에 도달할수록, 특정한 시점에서, 단일-주파수 AT (14) 는 파일럿 세트 신호 {24, f1}를 검출할 수 있다. 이전에 기술된 것과 같이, AT (14) 는 AN (15) 에 RUP 메시지들을 지속적으로 보내며, AN (15) 에 파일럿 신호들 및 그들의 강도들을 보고한다. 파일럿 세트 {24, f1}의 신호 강도가 이전에 기술된 첫 3개의 실시형태들 각각을 따르는 미리 결정된 기준들을 만족하는 경우, AN (15) 은 AT의 ASET에 세트 {24, f1} 및 {24, f2}를 부가하도록 AT (14) 에 TCA 메시지를 전송한다. AT (14) 는 그 후 f1으로부터 f2로 주파수 트랜지션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f2에 중심을 둔 주파수를 통해 액티브 통신을 위해 피코 셀 (24) 에 인게이지할 수도 있다.
단일-주파수 AT (14) 가 피코 셀 (24) 에서 위치 (28) 로 나가는 경우, 전술된 프로세스는 실질적으로 반대로 될 수 있으며, 더 설명되지 않는다.
전술된 마지막 실시형태에 있어서, 즉 미리 결정된 기준에 대해 검사하도록 사용된 지정된 신호 세트가 부가적 커버리지 구역에서 2개의 세트들 중 더 강한 세트인 실시형태는 단일-주파수 AT (14) 에 또한 응용가능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 AT (14) 가 방향 (32) 에서의 위치 (28) 로부터 피코 셀 (24) 로 도달하는 경우, 현재 제공하는 섹터 또는 셀의 파일럿 신호 {20, f1}가 충분히 약한 경우, AT (14) 는 오프-주파수 (off-frequency) 탐색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즉, AT (14) 는 f1에 중심을 둔 주파수를 현재 프로세싱하는 하드웨어의 일부를 종료할 필요가 있으며, f2에 중심을 둔 주파수를 프로세스하도록 하드웨어의 일부를 스위칭할 필요가 있다. 오프-주파수 탐색은 오래 걸릴 필요가 없으며, 예컨대 지속되는 통신 세션의 임의의 데이터 중단을 최소화하도록 약 몇 밀리 초일 수 있다. 탐색은 세트 {24, f2}와 같은 파일럿 세트가 발견될 때까지 간헐적으로 반복적일 수 있다. 그 후, AT (14) 는 이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주파수 트랜지션을 수행할 수 있다. 단일-주파수 AT (14) 가 피코 셀 (24) 로부터 위치 (28) 로 나오는 경우, 상술된 프로세스는 실질적으로 반대로 될 수 있으며, 또한 더 설명되지 않는다.
상술된 것과 같은 실시형태들은 도 1에 도시되고 설명된 이종의 배치에 응용가능하다. 전술된 것과 같이, 상술된 실시형태들은 매크로-셀룰러 배치에 또한 응용가능하다. 이제, 이전에 도시된 것과 같은 이종의 배치 시스템 (10) 과 커플링된 매크로-셀룰러 배치 시스템 (60) 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 4를 참조한다.
도 4에서 총 시스템은 도면 부호 (70) 에 의해 나타낸다. 매크로-셀룰러 시스템 (60) 에는, 다른 인프라스트럭처 통신 엔티티인, AT (14) 와 같은 유저 엔티티들과 2개의 주파수들을 송수신할 수 있는 송수신기를 갖는 기지국 (62) 이 있다. 이 예시에 있어서, 2개의 주파수들은 f1 및 f3에 중심을 둔다. 기지국 (62) 은 BSC (13) 에 의해, 또는 다른 BSC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이 예시에 있어서, 기지국 (62) 은 3개의 섹터, 즉, 섹터 (64, 66, 68) 에 무선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한다. 또한, 섹터 (64, 66 및 68) 각각은 유저 엔티티들과 통신하기 위해 고유 PN 시퀀스를 배분받는다. 그 결과, 시스템 (68) 에서 각 섹터는 2개의 파일럿 신호 세트를 제공한다. 특히, 섹터 (66) 는 세트 {66, f1} 및 {66, f2}를 제공한다. 마찬가지로, 섹터 (64) 는 세트 {64, f1} 및 {64, f2}를 제공한다. 섹터 (68) 는 세트 {68, f1} 및 {68, f2}를 제공한다. 또한, 매크로-셀룰러 배치 시스템 (60) 에서 섹터들 (64, 66, 및 68) 모두는 부가적 커버리지 구역들인 특징이 있다. 이 예시에서 미리 존재한 주파수는 f1에 중심을 둔다. f3에 중심을 둔 주파수는 부가적 커버리지를 제공하는 주파수이다. 커버리지의 지정된 지역은 도 4에 도시된 도면 부호 (65) 에 의해 표시된다.
매크로-셀룰러 배치 시스템 (60) 에 대한 파일럿 세트 관리는 이종의 배치 시스템 (10) 에 대한 파일럿 세트 관리와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예를 들어, 섹터들 (64, 66, 및 68) 각각의 파일럿 세트들은 상술된 실시형태들을 동작하는 동안의 피코 셀 (30) 의 대응하는 세트들에 대한 세트 관리로 유사하게 간주될 수 있다. 간결성과 명확성을 위해, 매크로-셀룰러 배치 시스템 (60) 에 대한 세트 관리는 다시 반복되지 않는다.
도 5 및 6 은 비-균등한 매크로-셀룰러 배치 시스템 또는 이종의 배치 시스템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 각각에서 인프라스트럭처 엔티티 및 유저 엔티티에 대한 세트 관리 프로세스들을 일반적으로 요약한 플로우 차트이다. 플로우 차트에 도시된 기준 또는 기준들은 위 상이한 실시형태들에서 도시된 것과 같다.
도 7은 상술된 것과 같이 세트 관리 프로세스들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의 하드웨어 구현의 일부를 도시한다. 회로 장치는 도면 부호 (290) 로 나타내며 AT (14) 와 같은 유저 엔티티 및 BSC (13), 송수신기 (26) 및 기지국 (12 및 62) 와 같은 다른 인프라스트럭처 엔티티들에서 구현될 수 있다.
장치 (290) 는 몇몇의 회로들을 공동으로 링크하는 중앙 데이터 버스 (292) 를 구비한다. 회로들은 CPU (중앙 프로세싱 유닛) 또는 제어기 (294), 송수신기 (295), 및 메모리 유닛 (300) 을 포함한다.
송수신기 (295) 는 안테나 (297) 에 링크된다. 장치 (290) 가 데이터 교환들을 위한 임의의 무선 링크들에 의존하지 않는다면, 예를 들어, 다른 엔티티들과 통신하는 데이터 링크로서 케이블들만을 사용하는 BSC (13) 에서 안테나 (297) 는 생략할 수 있다.
송수신기 (295) 는 송신기 (296) 및 수신기 (298) 을 포함한다. 기본적으로 송수신기 (297) 는 송신기 (296) 및 수신기 (298) 를 통해 고-주파수 (HF) 신호들을 베이스-대역 신호들로 및 반대로 프로세싱하며 컨버팅한다. 수신기 (298) 는 데이터 버스 (292) 로 전송하기 전에 수신된 신호들을 차례로 프로세싱 하고 버퍼링한다. 반면, 송신기 (296) 는 디바이스 (290) 밖으로 전송하기 전에 데이터 버스 (292) 로부터의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며 버퍼링한다.
단일-주파수 디바이스 (290) 에 있어서, 하나의 송신기 (296) 및 하나의 수신기 (298) 는 송수신기 (295) 에 포함될 수도 있다. CPU/제어기 (294) 는 송수신기 (295) 를 위해 상이한 주파수 대역들에 대한 데이터 센싱 (sensing) 및 프로세싱을 위한 타임 슬롯들을 할당함으로써 적합한 타이밍을 제어한다.
다중-주파수 디바이스 (290) 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송신기 (296) 및 하나 이상의 수신기 (298) 는 송수신기 (295) 에 포함될 수도 있다 (도 7에 미포함). CPU/제어기 (294) 는 상이한 주파수 대역들로부터 신호들의 검출 및/또는 프로세싱을 위해 다중의 송신기들 (296) 및 수신기들 (298) 에 지시한다.
송수신기 (295) 의 일부는 장치 (290) 에 플러그 가능한 외부 모뎀과 같은 외부 회로로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해야한다.
부가적으로, CPU/제어기 (294) 는 메모리 유닛 (300) 의 명령적인 컨텐츠들을 실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데이터 프로세싱 함수 및 데이터 버스 (292) 의 데이터 관리 함수를 수행한다.
메모리 유닛 (300) 은 도면 부호 (302) 로 일반적으로 나타낸 명령들 및/또는 모듈들의 세트를 포함한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모듈들/명령들은 다른 것들 중에서, 세트 관리 함수 (310) 를 포함한다. 함수 (310) 는 도 1 내지 6 에서 도시되고 설명된 프로세스 단계들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명령들 또는 코드를 포함한다. 엔티티에 특정한 명령들은 함수들 (310) 에서 선택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 (290) 가 AT의 일부라면, 다른 것들 중에서, 도 1 내지 4 및 6에서 도시되고 설명된 것과 같이 AT의 프로세스 단계에 특정한 명령들은 함수들 (310) 에서 코딩될 수 있다. 유사하게, 장치 (290) 가 예컨대 BSC (13) 또는 기지국 (12 또는 62) 와 같은 인프라스트럭처 엔티티인 통신 엔티티의 일부라면, 그 통신 엔티티에 특정한 프로세스 단계들은 함수들 (310) 에 코딩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장치 (290) 가 AT의 일부라면, 도면 부호 (398) 에 의해 지정된 ASET 은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메모리 (300) 에 포함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 ASET (398) 은 유닛 (300) 과는 다른 하나 이상의 다른 메모리 유닛들에 저장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메모리 유닛 (300) 은 RAM (Random Access Memory) 회로이다. 핸드오프 함수들 (308 및 310) 과 같은 예시적인 함수들은 소프트웨어 루틴들, 모듈들 및/또는 데이터 세트들이다. 메모리 유닛 (300) 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유형일 수 있는 다른 메모리 회로 (미도시) 에 결합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 메모리 유닛 (300) 은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PROM (Electrical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ROM (Read Only Memory), 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및 당업에 공지된 다른 것들과 같은 다른 회로 유형들로 만들어질 수 있다.
부가적으로, 메모리 유닛 (300) 은 ASIC 및 휘발성 유형 및/또는 비-휘발성 유형의 메모리 회로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기술된 발명적 프로세스들은 당업에 공지된 임의의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상에 저장된 컴퓨터-판독가능 명령들과 같이 코딩될 수 있다는 점을 주목해야한다. 본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청구항들에서, 용어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는 실행을 위해, 도 6의 도면에서 도시되고 기술된 CPU/제어기 (294) 와 같은 임의의 프로세서에 명령들을 제공하는데 관여하는 임의의 매체를 지칭한다. 이러한 매체는 저장 유형일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이전에 기술된, 도 7에서 메모리 유닛 (300) 의 기술에서 기술된,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매체는 전송 유형일 수 있으며 동축 케이블, 구리 와이어, 광케이블, 및 머신들 또는 컴퓨터들에 의해 판독가능한 신호들을 전송 가능한 음파, 전자기적 또는 광 파장들로 전송하는 무선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장치 (290) 와는 별개인 컴퓨터 제품의 일부일 수 있다.
결국, 다른 변경들이 발명의 범위 내에서 가능하다. 기술된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BSC (13) 또는 엔티티들 (12, 62, 17 또는 26) 과 같은, AN (15) 내의 엔티티는 어떤 파일럿 세트들이 AT (14) 의 ASET에 포함될지를 결정하는 엔티티로서 도시된다. AT (14) 가 이러한 결정을 할 수 있다는 점은 명백히 가능하다. 그 경우에 있어서, 예컨대, 소프트웨어 루틴들을 통한, 결정 함수 구현은 AN (15) 대신 AT (14) 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부가적 커버리지 구역 각각은 예시적인 목적을 위해 2개의 파일럿 신호 세트들을 갖는 것으로 설명된다. 2개 이상의 파일럿 신호 세트들은 명백히 가능하다. 또한, AN (15) 은 AT (14) 의 ASET으로부터 삭제하거나 그것에 부가하기 위해 2개 이상의 파일럿 신호 세트들 중 임의의 하나, 세트들의 임의의 조합, 또는 세트들 모두를 선택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AN (15) 은 채널 로딩, 채널 조건들, 등과 같은 요인들에 기초하여 이러한 결정을 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다양한 실시형태들의 동작들은 이종의 배치 시스템 (10) 및 매크로-셀룰러 배치 시스템 (60) 에 관하여 개별적으로 도시된다. 2개의 시스템 (10 및 60) 은 명백하게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크로-셀룰러 배치 시스템 (60) 은 피코 셀 (24) 및 핫 스팟 (21) 과 같은 부가적 커버리지 구역들을 명백하게 포함한다. 상술된 것들 이외에,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기술된 임의의 다른 논리 블록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들로 구현될 수 있다. 형태와 세부적인 것들에 대한 이러한 및 다른 변화들이 본 명세서에서 발명의 범위와 의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도 있다는 것은 당업자들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Claims (26)

  1. 인프라스트럭처 엔티티 (entity) 에 의해 동작가능한 통신 방법으로서,
    복수의 파일럿 신호 세트들에 대한 정보를 유저 엔티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부가적 커버리지 구역으로부터의 파일럿 신호 세트로서 상기 파일럿 신호 세트들 중 하나를 식별하는 단계;
    미리 결정된 기준이 만족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부가적 커버리지 구역으로부터의 상기 파일럿 신호 세트, 및 상기 부가적 커버리지 구역으로부터 또한 기인하는 다른 파일럿 신호 세트를 상기 유저 엔티티의 액티브 세트에 부가하는 명령을 상기 유저 엔티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프라스트럭처 엔티티에 의해 동작가능한 통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적 커버리지 구역으로부터 가장 약한 신호 강도를 갖는 세트로서 상기 부가적 커버리지 구역으로부터의 상기 파일럿 신호 세트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미리 결정된 기준을 만족할 경우 미리 결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신호 강도를 갖는 상기 식별된 파일럿 신호 세트를 요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프라스트럭처 엔티티에 의해 동작가능한 통신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적 커버리지 구역으로부터 가장 약한 신호 강도를 갖는 세트로서 상기 부가적 커버리지 구역으로부터의 상기 파일럿 신호 세트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미리 결정된 기준을 만족할 경우 현재 인게이지된 커버리지 구역의 파일럿 신호 세트의 대응하는 신호 강도를 넘어 미리 결정된 전력 레벨 차분을 초과하는 신호 강도를 갖는 상기 식별된 파일럿 신호 세트를 요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프라스트럭처 엔티티에 의해 동작가능한 통신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적 커버리지 구역으로부터 가장 강한 신호 강도를 갖는 세트로서 상기 부가적 커버리지 구역으로부터의 상기 파일럿 신호 세트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미리 결정된 기준을 만족할 경우 미리 결정된 임계값 이하로 떨어지는 현재 인게이지된 커버리지 구역의 파일럿 신호 세트의 대응하는 신호 강도를 요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프라스트럭처 엔티티에 의해 동작가능한 통신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적 커버리지 구역으로부터 가장 강한 신호 강도를 갖는 세트로서 상기 부가적 커버리지 구역으로부터의 상기 파일럿 신호 세트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미리 결정된 기준을 만족할 경우 상기 식별된 파일럿 신호 세트의 신호 강도가 미리 결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도록 요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저 엔티티로의 상기 명령은 상기 미리 결정된 기준이 만족된 경우 상기 액티브 세트에 상기 식별된 파일럿 신호 세트를 먼저 부가하고, 그 후에 상기 다른 파일럿 신호 세트의 신호 강도가 또 다른 미리 결정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액티브 세트에 상기 다른 파일럿 신호 세트를 부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인프라스트럭처 엔티티에 의해 동작가능한 통신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기준을 만족하지 못한 경우 상기 유저 엔티티의 상기 액티브 세트로부터 상기 부가적 커버리지 구역으로부터의 상기 파일럿 신호 세트들 모두를 삭제하는 또 다른 명령을 상기 유저 엔티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프라스트럭처 엔티티에 의해 동작가능한 통신 방법.
  7. 유저 엔티티에 의해 동작 가능한 통신 방법으로서,
    인프라스트럭처 엔티티에 복수의 파일럿 신호 세트들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로서, 상기 파일럿 신호 세트들 중 하나는 부가적 커버리지 구역으로부터의 신호 세트인, 상기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미리 결정된 기준이 만족된 경우 상기 유저 엔티티의 액티브 세트에 상기 부가적 커버리지 구역으로부터의 파일럿 신호 세트를 부가하고, 상기 액티브 세트에 상기 부가적 커버리지 구역으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파일럿 신호 세트를 부가하는 명령을 상기 인프라스트럭처 엔티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저 엔티티에 의해 동작가능한 통신 방법.
  8.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가능한 인프라스트럭처 엔티티로서,
    유저 엔티티로부터 복수의 파일럿 신호 세트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수단;
    부가적 커버리지 구역으로부터의 파일럿 신호 세트로서 상기 파일럿 신호 세트들 중 하나를 식별하는 수단;
    미리 결정된 기준이 만족되는지를 결정하는 수단; 및
    상기 부가적 커버리지 구역으로부터의 상기 파일럿 신호 세트, 및 상기 부가적 커버리지 구역으로부터 또한 기인하는 다른 파일럿 신호 세트를 상기 유저 엔티티의 액티브 세트에 부가하는 명령을 상기 유저 엔티티로 전송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인프라스트럭처 엔티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적 커버리지 구역으로부터 가장 약한 신호 강도를 갖는 세트로서 상기 부가적 커버리지 구역으로부터의 상기 파일럿 신호 세트를 식별하는 수단, 및
    상기 미리 결정된 기준을 만족할 경우 미리 결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신호 강도를 갖는 상기 식별된 파일럿 신호 세트를 요구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인프라스트럭처 엔티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적 커버리지 구역으로부터 가장 약한 신호 강도를 갖는 세트로서 상기 부가적 커버리지 구역으로부터의 상기 파일럿 신호 세트를 식별하는 수단, 및
    상기 미리 결정된 기준을 만족할 경우 현재 인게이지된 커버리지 구역의 파일럿 신호 세트의 대응하는 신호 강도를 넘어 미리 결정된 전력 레벨 차분을 초과하는 신호 강도를 갖는 상기 식별된 파일럿 신호 세트를 요구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인프라스트럭처 엔티티.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적 커버리지 구역으로부터 가장 강한 신호 강도를 갖는 세트로서 상기 부가적 커버리지 구역으로부터의 상기 파일럿 신호 세트를 식별하는 수단, 및
    상기 미리 결정된 기준을 만족할 경우 미리 결정된 임계값 이하로 떨어지는 현재 인게이지된 커버리지 구역의 파일럿 신호 세트의 대응하는 신호 강도를 요구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인프라스트럭처 엔티티.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적 커버리지 구역으로부터 가장 강한 신호 강도를 갖는 세트로서 상기 부가적 커버리지 구역으로부터의 상기 파일럿 신호 세트를 식별하는 수단, 및
    상기 미리 결정된 기준을 만족할 경우 상기 식별된 파일럿 신호 세트의 신호강도가 미리 결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도록 요구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유저 엔티티로의 상기 명령을 전송하는 수단은 상기 미리 결정된 기준이 만족된 경우 상기 액티브 세트에 상기 식별된 파일럿 신호 세트를 먼저 부가하는 수단, 및 그 후에 상기 다른 파일럿 신호 세트의 신호 강도가 또 다른 미리 결정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액티브 세트에 상기 다른 파일럿 신호 세트를 부가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인프라스트럭처 엔티티.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기준을 만족하지 못한 경우 상기 유저 엔티티의 상기 액티브 세트로부터 상기 부가적 커버리지 구역으로부터의 상기 파일럿 신호 세트들 모두를 삭제하는 또 다른 명령을 상기 유저 엔티티로 전송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인프라스트럭처 엔티티.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시스템은 이종의 배치를 포함하는, 인프라스트럭처 엔티티.
  15.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시스템은 매크로-셀룰러 (macro-cellular) 배치를 포함하는, 인프라스트럭처 엔티티.
  16.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가능한 유저 엔티티로서,
    인프라스트럭처 엔티티에 복수의 파일럿 신호 세트들의 정보를 전송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파일럿 신호 세트들 중 하나는 부가적 커버리지 구역으로부터의 신호 세트인, 상기 정보를 전송하는 수단; 및
    미리 결정된 기준이 만족된 경우 상기 유저 엔티티의 액티브 세트에 상기 부가적 커버리지 구역으로부터의 파일럿 신호 세트를 부가하고, 상기 액티브 세트에 상기 부가적 커버리지 구역으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파일럿 신호 세트를 부가하는 명령을 상기 인프라스트럭처 엔티티로부터 수신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유저 엔티티.
  17. 유저 엔티티로부터 복수의 파일럿 신호 세트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며;
    부가적 커버리지 구역으로부터의 파일럿 신호 세트로서 상기 파일럿 신호 세트들 중 하나를 식별하며;
    미리 결정된 기준이 만족되는지를 결정하고;
    상기 부가적 커버리지 구역으로부터의 상기 파일럿 신호 세트, 및 상기 부가적 커버리지 구역으로부터 또한 기인하는 다른 파일럿 신호 세트를 상기 유저 엔티티의 액티브 세트에 부가하는 명령을 상기 유저 엔티티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회로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가능한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상기 부가적 커버리지 구역으로부터 가장 약한 신호 강도를 갖는 세트로서 상기 부가적 커버리지 구역으로부터의 상기 파일럿 신호 세트를 식별하고,
    상기 미리 결정된 기준을 만족할 경우 미리 결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신호 강도를 갖는 상기 식별된 파일럿 신호 세트를 요구하도록 더 구성된,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가능한 장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상기 부가적 커버리지 구역으로부터 가장 약한 신호 강도를 갖는 세트로서 상기 부가적 커버리지 구역으로부터의 상기 파일럿 신호 세트를 식별하고,
    상기 미리 결정된 기준을 만족할 경우 현재 인게이지된 커버리지 구역의 파일럿 신호 세트의 대응하는 신호 강도를 넘어 미리 결정된 전력 레벨 차분을 초과하는 신호 강도를 갖는 상기 식별된 파일럿 신호 세트를 요구하도록 더 구성된,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가능한 장치.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상기 부가적 커버리지 구역으로부터 가장 강한 신호 강도를 갖는 세트로서 상기 부가적 커버리지 구역으로부터의 상기 파일럿 신호 세트를 식별하고,
    상기 미리 결정된 기준을 만족할 경우 미리 결정된 임계값 이하로 떨어지는 현재 인게이지된 커버리지 구역의 파일럿 신호 세트의 대응하는 신호 강도를 요구하도록 더 구성된,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가능한 장치.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상기 부가적 커버리지 구역으로부터 가장 강한 신호 강도를 갖는 세트로서 상기 부가적 커버리지 구역으로부터의 상기 파일럿 신호 세트를 식별하고,
    상기 미리 결정된 기준을 만족할 경우 상기 식별된 파일럿 신호 세트의 신호 강도가 미리 결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도록 요구하고,
    상기 미리 결정된 기준이 만족된 경우 상기 액티브 세트에 상기 식별된 파일럿 신호 세트를 먼저 부가하고, 그 후에 상기 다른 파일럿 신호 세트의 신호 강도가 또 다른 미리 결정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액티브 세트에 상기 다른 파일럿 신호 세트를 부가함으로써, 상기 명령을 상기 유저 엔티티로 전송하도록 더 구성된,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가능한 장치.
  22.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상기 미리 결정된 기준을 만족하지 못한 경우 상기 유저 엔티티의 상기 액티브 세트로부터 상기 부가적 커버리지 구역으로부터의 상기 파일럿 신호 세트들 모두를 삭제하는 또 다른 명령을 상기 유저 엔티티로 전송하도록 더 구성된,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가능한 장치.
  23. 인프라스트럭처 엔티티에 복수의 파일럿 신호 세트들의 정보를 전송하되, 상기 파일럿 신호 세트들 중 하나는 부가적 커버리지 구역으로부터의 신호 세트이고,
    미리 결정된 기준이 만족된 경우 상기 유저 엔티티의 액티브 세트에 상기 부가적 커버리지 구역으로부터의 상기 파일럿 신호 세트를 부가하고, 상기 액티브 세트에 상기 부가적 커버리지 구역으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파일럿 신호 세트를 부가하는 명령을 상기 인프라스트럭처 엔티티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 회로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가능한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가능한 장치는 단일-주파수 장치인,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가능한 장치.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가능한 장치는 다중-주파수 장치인,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가능한 장치.
  26.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는 컴퓨터-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가 물리적으로 포함되고,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는,
    유저 엔티티로부터 복수의 파일럿 신호 세트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며;
    부가적 커버리지 구역으로부터의 파일럿 신호 세트로서 상기 파일럿 신호 세트들 중 하나를 식별하며;
    미리 결정된 기준이 만족되는지를 결정하고;
    상기 부가적 커버리지 구역으로부터의 상기 파일럿 신호 세트, 및 상기 부가적 커버리지 구역으로부터 또한 기인하는 다른 파일럿 신호 세트를 상기 유저 엔티티의 액티브 세트에 부가하는 명령을 상기 유저 엔티티로 전송하기 위한 것인,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KR1020107028544A 2008-05-20 2009-05-20 멀티-캐리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파일럿 신호 세트 관리 KR1012233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476208P 2008-05-20 2008-05-20
US61/054,762 2008-05-20
US12/466,698 2009-05-15
US12/466,698 US8605801B2 (en) 2008-05-20 2009-05-15 Pilot signal set management in a multi-carrier communication system
PCT/US2009/044745 WO2009143296A1 (en) 2008-05-20 2009-05-20 Pilot signal set management in a multi-carrier communicati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121A true KR20110010121A (ko) 2011-01-31
KR101223378B1 KR101223378B1 (ko) 2013-01-16

Family

ID=41050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8544A KR101223378B1 (ko) 2008-05-20 2009-05-20 멀티-캐리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파일럿 신호 세트 관리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2) US8605801B2 (ko)
EP (1) EP2283675B1 (ko)
JP (1) JP5356508B2 (ko)
KR (1) KR101223378B1 (ko)
CN (1) CN102027773B (ko)
AU (1) AU2009249068B2 (ko)
BR (1) BRPI0913034A2 (ko)
CA (1) CA2722636A1 (ko)
IL (1) IL209024A0 (ko)
MX (1) MX2010012672A (ko)
RU (1) RU2486701C2 (ko)
SG (1) SG190666A1 (ko)
TW (1) TWI413391B (ko)
WO (1) WO2009143296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11907A1 (ko) * 2011-02-17 2012-08-23 주식회사 케이티 펨토셀 간섭을 고려한 핸드오버 제어 방법 및 장치
US8787260B2 (en) 2011-04-15 2014-07-22 Kt Corporation Adaptively controlling prefix length
US9055498B2 (en) 2011-07-19 2015-06-09 Kt Corporation Handover in long term evolution network
US9648660B2 (en) 2012-06-18 2017-05-09 Kt Corporation Tracking area managem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05801B2 (en) 2008-05-20 2013-12-10 Qualcomm Incorporated Pilot signal set management in a multi-carrier communication system
US8787186B2 (en) * 2008-12-12 2014-07-22 Blackberry Limited Mobility in a distributed antenna system
CN102783061B (zh) * 2010-03-05 2016-09-21 富士通株式会社 无线通信系统、终端装置以及无线通信系统中的无线通信方法
CN102918894B (zh) * 2010-04-09 2016-08-03 瑞典爱立信有限公司 无线网络中用于确定上行链路接收功率目标值的方法和装置
US9204354B2 (en) * 2011-08-11 2015-12-01 Mediatek Inc. Method for small cell discovery in heterogeneous network
US9264962B2 (en) 2013-10-29 2016-02-16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for detecting and handling spurious dedicated physical control channel in soft handover
SG11202007201TA (en) * 2018-01-31 2020-08-28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Cell type indi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10756860B2 (en) 2018-11-05 2020-08-25 XCOM Labs, Inc. Distributed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downlink configuration
US10432272B1 (en) 2018-11-05 2019-10-01 XCOM Labs, Inc. Variable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downlink user equipment
US10812216B2 (en) 2018-11-05 2020-10-20 XCOM Labs, Inc. Cooperative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downlink scheduling
US10659112B1 (en) 2018-11-05 2020-05-19 XCOM Labs, Inc. User equipment assisted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downlink configuration
WO2020112840A1 (en) 2018-11-27 2020-06-04 XCOM Labs, Inc. Non-coherent cooperative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communications
US10756795B2 (en) 2018-12-18 2020-08-25 XCOM Labs, Inc. User equipment with cellular link and peer-to-peer link
US11063645B2 (en) 2018-12-18 2021-07-13 XCOM Labs, Inc. Methods of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a group of devices
US11330649B2 (en) 2019-01-25 2022-05-10 XCOM Labs, Inc. Methods and systems of multi-link peer-to-peer communications
US10756767B1 (en) 2019-02-05 2020-08-25 XCOM Labs, Inc. User equipment for wirelessly communicating cellular signal with another user equipment
US10686502B1 (en) 2019-04-29 2020-06-16 XCOM Labs, Inc. Downlink user equipment selection
US10735057B1 (en) 2019-04-29 2020-08-04 XCOM Labs, Inc. Uplink user equipment selection
US11411778B2 (en) 2019-07-12 2022-08-09 XCOM Labs, Inc. Time-division duplex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calibration
US11411779B2 (en) 2020-03-31 2022-08-09 XCOM Labs, Inc. Reference signal channel estimation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85655B1 (en) * 1997-09-08 2001-09-04 Qualcom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orthogonal spot beams, sectors, and picocells
US6289221B1 (en) * 1998-01-20 2001-09-11 Siemens Aktiengesellschaft Mobile radio telephone system
US6081719A (en) 1998-08-19 2000-06-27 Motorola, Inc. Layer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EP0994582B1 (en) * 1998-10-15 2005-08-17 Lucent Technologies Inc. Reconfigurable fiber network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6539227B1 (en) 1998-12-18 2003-03-2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ling hard and soft handoffs in radio communications systems
KR100291340B1 (ko) * 1999-03-16 2001-05-15 윤종용 피코 기지국을 이용한 코드분할 다중접속간의 핸드오프 지원장치
US6792276B1 (en) 1999-07-13 2004-09-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Hot spot with tailored range for extra frequency to minimize interference
US6430168B1 (en) * 1999-10-18 2002-08-06 Nortel Networks Limited CDMA base station lantern application
US6535738B1 (en) 2000-08-04 2003-03-18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for optimizing a number of communication links
GB0114965D0 (en) 2001-06-19 2001-08-08 Nokia Corp Radio resource management
CN1468499A (zh) * 2000-10-09 2004-01-14 ��˹��ŵ�� 通信系统的信道分配
US8107885B2 (en) * 2002-10-30 2012-01-31 Motorola Mobilit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distributed architecture digital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251490B2 (en) * 2003-06-18 2007-07-3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GSM hard handoff
US7558575B2 (en) * 2003-07-24 2009-07-07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 in a high velocity environment
US7239875B2 (en) 2004-07-07 2007-07-03 Lucent Technologies Inc. Establishing or releasing a radio connection between a mobile and a cell for wireless telecommunications
US20070066232A1 (en) 2005-09-22 2007-03-22 Black Peter J Pilot grouping and route protocols in multi-carrier communication systems
US8150408B2 (en) 2005-03-08 2012-04-03 Qualcomm Incorporated Pilot grouping and set management in multi-carrier communication systems
US8064398B2 (en) 2005-04-08 2011-11-22 Qualcomm Incorporated Seamless interfrequency handoff in a high data rate wireless system
US8145221B2 (en) * 2005-12-16 2012-03-27 Airvana Network Solutions, Inc. Radio network communication
JP4697172B2 (ja) 2007-04-04 2011-06-08 ソニー株式会社 通信方法
GB2449231B (en) * 2007-04-25 2012-01-04 Motorola Mobility Inc A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8700094B2 (en) * 2007-11-15 2014-04-15 Ubeeairwalk, Inc. System,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call termination processing by a femtocell system
US7929970B1 (en) * 2007-12-21 2011-04-19 Sprint Spectrum L.P. Methods and systems for temporarily modifying a macro-network neighbor list to enable a mobile station to hand off from a macro network to a femto cell
US20090215400A1 (en) * 2008-02-26 2009-08-27 Henry Chang Pilot signal transmission management
US8605801B2 (en) 2008-05-20 2013-12-10 Qualcomm Incorporated Pilot signal set management in a multi-carrier communication system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11907A1 (ko) * 2011-02-17 2012-08-23 주식회사 케이티 펨토셀 간섭을 고려한 핸드오버 제어 방법 및 장치
US9241290B2 (en) 2011-02-17 2016-01-19 Kt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handover to prevent femtocell interference
US8787260B2 (en) 2011-04-15 2014-07-22 Kt Corporation Adaptively controlling prefix length
US9055498B2 (en) 2011-07-19 2015-06-09 Kt Corporation Handover in long term evolution network
US9648660B2 (en) 2012-06-18 2017-05-09 Kt Corporation Tracking area mana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83675B1 (en) 2017-02-22
KR101223378B1 (ko) 2013-01-16
US20090290652A1 (en) 2009-11-26
BRPI0913034A2 (pt) 2018-01-16
AU2009249068A1 (en) 2009-11-26
WO2009143296A1 (en) 2009-11-26
MX2010012672A (es) 2011-03-01
US8605801B2 (en) 2013-12-10
RU2010151995A (ru) 2012-06-27
SG190666A1 (en) 2013-06-28
AU2009249068B2 (en) 2014-02-13
JP2011521598A (ja) 2011-07-21
US20140036875A1 (en) 2014-02-06
IL209024A0 (en) 2011-01-31
TW201008204A (en) 2010-02-16
US9131420B2 (en) 2015-09-08
TWI413391B (zh) 2013-10-21
JP5356508B2 (ja) 2013-12-04
CA2722636A1 (en) 2009-11-26
RU2486701C2 (ru) 2013-06-27
CN102027773A (zh) 2011-04-20
EP2283675A1 (en) 2011-02-16
CN102027773B (zh) 2014-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3378B1 (ko) 멀티-캐리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파일럿 신호 세트 관리
CN101904199B (zh) 上行链路载波切换和基于路径损耗的上行链路载波切换的触发方法
EP1691568B1 (en) A radio network controller,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 neighbor-cell-list filtering method
JP5689883B2 (ja) 基地局からの送信についてダウンリンク電力を設定する方法
KR101750824B1 (ko) 계층적 셀 구조를 가지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제어 장치 및 방법
JP5189677B2 (ja) マルチキャリアシステムにおいてアップリンクカバレッジを改善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EP3217721B1 (en) Network-side device for managing blind areas
EP2028897A1 (en) Mobile terminal for optimal spectrum utilization in cellular systems
WO2008054641A1 (en) Selecting a target cell for a blind handover
KR20120094748A (ko) 펨토셀 간섭을 고려한 핸드오버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638485B1 (ko) 이웃하는 기지국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기지국 및 처리 네트워크 엘리먼트
EP2748945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figuring a repeater
CA2355646C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ling hard and soft handoffs in radio communication systems
US1018191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hreshold for interference coordination
Omri et al. Performance analysis of D2D-enabled 5G NR networks
US20240056924A1 (en) Method and apparauts for handling transmission-reception points in communication system
KR20150141791A (ko) 적응적인 셀 모드 관리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