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9771U - 낚시대 걸이장치 - Google Patents

낚시대 걸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9771U
KR20110009771U KR2020100003677U KR20100003677U KR20110009771U KR 20110009771 U KR20110009771 U KR 20110009771U KR 2020100003677 U KR2020100003677 U KR 2020100003677U KR 20100003677 U KR20100003677 U KR 20100003677U KR 20110009771 U KR20110009771 U KR 2011000977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rod
insertion tube
fishing
coupled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36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현우
Original Assignee
신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현우 filed Critical 신현우
Priority to KR20201000036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9771U/ko
Publication of KR201100097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977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08Fishing rods with attached auxiliary devices, e.g. for keeping the rod afloat or for line cut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0Supports for ro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11/00Supports: rac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48/00Suppo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81/00Tools
    • Y10S81/01Tool-support adjun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낚시대 걸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한쪽팔에 착용한 다음 낚시대를 걸어 둔 상태에서 낚시를 즐기거나 고기가 잡혔을때, 보다 적은 힘으로도 고기를 제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사용자의 팔에 대어 지지되면서 고정되도록 하는 지지부재(10)와;
상기 지지부재(10)의 하부에 결합되어 낚시대(F)를 삽입하여 지지가능하도록 하는 삽입관(20)과; 상기 지지부재(10)와 삽입관(20)의 사이에 삽입관(20)이 위치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면서 지지부재(10)의 저면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부재(31)와, 이 고정부재(31)의 양쪽면에 결합되면서 고정부재(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한 이동부재(32)와, 이 이동부재(32)와 상기 삽입관(20)이 연결되면서 삽입관(20)이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편(33)으로 아루어진 위치이동수단(30);으로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낚시대 걸이장치{Fishing Rod Hanger}
본 고안은 낚시대 걸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한쪽팔에 착용한 다음 낚시대를 걸어 둔 상태에서 낚시를 즐기거나 고기가 잡혔을때, 보다 적은 힘으로도 고기를 제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는 바다낚시와 민물낚시로 나뉘고, 이중에서 특히 바다낚시는 갯바위 낚시/선상 낚시 등 다양한 형태의 낚시방법이 있다.
예를 들어 바다낚시를 할때, 낚시인이 서서 낚시를 하는 경우, 낚시대를 한손 또는 양손으로 잡고 하게 되는데, 낚시를 하는중에는 낚시대를 오랫동안 잡고 있어야 하므로, 팔에 많은 힘이 들어가서 피로감을 느끼게 되며, 더욱이 바다고기가 걸리는 경우, 대체로 걸린 고기가 민물고기에 비해 크고 힘이 좋기 때문에, 챔질후 고기를 제압하여 끌어올리는 과정에 많은 힘과 시간을 요구한다.
그런데, 한손 또는 양손으로 낚시대를 잡고 있다가 걸린 고기를 끌어올리는 과정에서, 오로지 팔 및 손의 파지력에 의해서만 고기를 끌어내기 때문에 상당한 힘이 들어가서 쉽게 피로해지고, 힘이 약한 낚시인인 경우에는 걸린 고기를 효과적으로 낚아낼 수 없으며, 이러한 동작을 반복하다보면 낚시인이 힘이 빠지므로, 계속해서 장시간 동안 낚시를 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미끼를 다시 끼우는 작업을 하는 경우, 낚시대를 들어올려서 본인쪽으로 낚시바늘을 유도하는 과정에서 팔에 힘이 들어가므로 반복된 동작으로 더욱 피로감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서 해결하려는 과제는 고기가 걸리지 않은 상태에서는 낚시대를 낚시인이 손으로 직접 잡고 지탱하지 않아도 되고, 고기가 걸린 경우에는 일시에 많은 힘을 줄 수 있도록 하여 쉽게 피로감을 느끼지 않으면서 효과적으로 고기를 잡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은, 사용자의 팔에 대어 지지되면서 고정되도록 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10)의 하부에 결합되어 낚시대를 삽입하여 지지가능하도록 하는 삽입관과; 상기 지지부재와 삽입관의 사이에 삽입관이 위치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면서 지지부재의 저면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이 고정부재의 양쪽면에 결합되면서 고정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한 이동부재와, 이 이동부재와 상기 삽입관이 연결되면서 삽입관이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편으로 이루어진 위치이동수단;으로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의 어느 한쪽면에는 삽입관안에 삽입되는 낚시대가 이탈되지 않도록 잡아주는 걸고리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의 한쪽면에는 상기 걸고리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밀착된 상태로 있도록 걸림턱이 형성된 구조이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의 어느 한쪽면에는 고정부재의 어느 한쪽면에 복수로 형성되는 걸림돌기에 걸림 및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록킹부재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삽입관은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힌지축이 형성되어 연결편과 결합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낚시를 할때 낚시대를 직접 손으로 잡고 있지 않고 팔에 구비된 삽입관안에 삽입하여 지지하므로, 오랜시간동안 낚시를 하더라도 쉽게 피로감을 느끼지 않고, 더욱이 고기가 걸린 경우에는 보다 강한 힘으로 지탱하면서 고기를 제압하여 끌어올릴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체격에 따라 낚시대를 삽입하여 지지하는 삽입관의 적정간격을 조절할 수 있고, 한쪽팔에 착용하기때문에, 다른 한 손으로 다른 작업을 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로서, 낚시대를 삽입한 상태에서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사용자의 팔에 대어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부재(10)와, 이 지지부재(10)의 하부에 결합되어 낚시대(F)를 삽입하여 지지가능하도록 하는 삽입관(2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부재(10)와 삽입관(20)의 사이에는 삽입관(20)이 위치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위치이동수단(30)이 갖추어진 구조이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10)는 사용자의 팔을 감쌀 수 있도록 대략 반원형을 이루면서 팔에 두른 다음 결합가능하도록 결합밴드(11)가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결합밴드(11)는 지지부재(10)의 한쪽면에서 착탈되도록 단부에 벨크로 테이프가 형성되고, 지지부재(10)의 한쪽면에도 벨크로테이프가 형성된 구조이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결합수단을 강구해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벨트식으로 지지부재(10)의 한쪽면에 구멍을 형성하고, 결합밴드를 삽입하여 통과되게 한 다음 결합해도 된다.
또한, 지지부재(10)의 한쪽면에는 걸고리(12)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삽입관(20)안에 삽입되는 낚시대(F)가 이탈되지 않도록 잡아준다.
또한, 지지부재(10)의 한쪽면에는 상기 걸고리(12)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밀착된 상태로 있도록 걸림편(13)이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걸림편(13)은 걸고리(12)가 끼움홈이 형성되어 확실하게 끼워지도록 된 구조이다.
또한, 상기 위치이동수단(30)은 지지부재(10)의 저면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부재(31)와, 이 고정부재(31)의 양쪽면에 결합되면서 고정부재(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한 이동부재(32)와, 이 이동부재(32)와 상기 삽입관(20)이 연결되면서 삽입관(20)이 회전될 수 있도록 결합되는 연결편(33)으로 구성된 구조이다.
상기 이동부재(32)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31)를 감싸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면서 고정부재(31)의 양쪽면에 형성된 가이드홈(31a)에 끼워져서 이탈을 방지하면서 가이드되도록 끼움편(32a)이 형성되고, 그 아래의 양쪽 내면에는 고정부재(31)의 가이드홈(31a)의 아래에 양쪽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 가이드돌기(31b)에 끼워지는 끼움홈(32b)이 형성된 구조이다.
또한, 이동부재(32)의 어느 한쪽면에는 고정부재(31)의 어느 한쪽면에 복수로 형성되는 걸림돌기(31c)에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록킹부재(32c)가 갖추어진 구조이다.
상기 걸림돌기(31c)는 한쪽방향으로는 걸림이 이루어지고, 반대방향으로는 걸림이 이루어지지 않고 부드럽게 넘어갈 수 있도록 래칫돌기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도면에서는 이동부재(32)가 고정부재(31)의 우측으로 갈때에는 보다 원활하게 이동하고, 반대방향으로 이동할때에는 걸림돌기(31c)에 의해 록킹부재(32c)가 걸리도록 된 것이다.
또한, 상기 록킹부재(32c)는 이동부재(32)의 어느 한쪽면을 절개하여 절개부(32d)가 형성되고, 이 절개부(32d)의 안쪽에 구비하면서 탄성력을 가지고 약간 회전이 가능하도록 지지축(32e)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록킹부재(32c)의 한쪽면에는 미끄럼방지돌기(32f)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삽입관(20)의 양쪽 측면에는 연결편(33)이 확실하게 밀착되도록 평평한 면(21)으로 형성되고, 이 평평한 면(21)에 연결편(33)을 기준으로 삽입관(20)이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힌지축(22)이 형성된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본 고안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팔에 착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지지부재(10)는 대략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의 팔에 착용하기 편리하고, 결합밴드(11)를 통해 팔에 고정한 다음, 낚시대(F)를 삽입관(20)에 끼워서 통상의 낚시 행위를 하면 되며, 사용자가 낚시대(F)를 직접 손으로 잡고 있지 않으므로 손에 힘을 줄 필요가 없고, 그에따라 오랜시간 동안 낚시를 하더라도 피로감을 줄일 수 있다.
만일, 고기가 걸린 경우에는 낚시대(F)를 잡고 힘을 주면, 낚시대(F)는 삽입관(20)안에 끼워져서 충분히 지지되고 있으므로, 사용자는 보다 적은 힘을 주어도 충분히 고기를 제압할 수 있는 힘으로 작용하여 끌어낼 수 있다.
따라서, 큰 고기가 걸려서 낚시대(F)에 강한 힘이 요구되는 경우에도 종래에 비해 동일한 힘을 주는 경우, 더욱 강한 힘으로 작용하여 고기를 쉽게 제압하여 끌어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사용자의 체격에 따라 삽입관(2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데, 위치이동수단(30)을 구성하는 이동부재(32)를 고정부재(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이동시키면서 사용자의 팔길이에 맞게 설정하면 된다.
이동부재(32)에는 록킹부재(32c)가 형성되어 있어 이동부재(32)의 위치를 이동시키고자 할때에는, 록킹부재(32c)의 한쪽면을 누르면 지지축(32e)을 중심으로 절개부(32d)내에서 약간 회전되면서 록킹부재(32c)의 선단부가 약간 들리게 되고, 그러면 고정부재(31)의 걸림돌기(31c)로부터 걸림상태가 해제된다. 그에따라 이동부재(32)를 움직이면, 이동부재(32)는 고정부재(31)의 가이드홈(31a) 및 가이드돌기(31b)를 따라 안정되게 위치이동이 가능하다. 이동부재(32)의 위치를 변경한 다음에는 회전시키려고 눌렀던 록킹부재(32c)의 한쪽 단부를 놓으면, 원위치가 되면서 고정부재(31)의 걸림돌기(31c)에 록킹부재(32c)가 걸려서 그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삽입관(20)은 이동부재(32)의 하부에 형성된 연결편(3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 삽입관(20)을 약간 위아래로 움직이면 삽입관(20)안에 삽입된 낚시대(F)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낚시상황에 따라 적절히 낚시대(F)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편리하게 낚시를 즐길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지지부재(10)의 한쪽면에 걸고리(12)가 형성되어 있어, 삽입관(20)안에 삽입된 낚시대(F)를 걸어서 지탱할 수 있으므로 미끼를 갈아끼우거나 다른 작업을 할때 더욱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본 고안은 편의상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내에서 여러가지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내에 포함됨은 자명한 사실이다.
F : 낚시대
10 : 지지부재
11 : 결합밴드
12 : 걸고리
13 : 걸림편
20 : 삽입관
21 : 평평한 면
22 : 힌지축
30 : 위치이동수단
31 ; 고정부재
31a : 가이드홈
31b : 가이드돌기
31c : 걸림돌기
32 : 이동부재
32a : 끼움편
32b : 끼움홈
32c : 록킹부재
32d : 절개부
32e : 지지축
32f : 미끄럼방지돌기
33 : 연결편

Claims (5)

  1. 사용자의 팔에 대어 지지되면서 고정되도록 하는 지지부재(10)와;
    상기 지지부재(10)의 하부에 결합되어 낚시대(F)를 삽입하여 지지가능하도록 하는 삽입관(20)과;
    상기 지지부재(10)와 삽입관(20)의 사이에 삽입관(20)이 위치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면서 지지부재(10)의 저면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부재(31)와, 이 고정부재(31)의 양쪽면에 결합되면서 고정부재(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한 이동부재(32)와, 이 이동부재(32)와 상기 삽입관(20)이 연결되면서 삽입관(20)이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편(33)으로 아루어진 위치이동수단(3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 걸이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지지부재(10)의 어느 한쪽면에는 삽입관(20)안에 삽입되는 낚시대(F)가 이탈되지 않도록 잡아주는 걸고리(12)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 걸이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10)의 한쪽면에는 상기 걸고리(12)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밀착된 상태로 있도록 걸림편(1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 걸이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32)의 어느 한쪽면에는 고정부재(31)의 어느 한쪽면에 복수로 형성되는 걸림편(31c)에 걸림 및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록킹부재(32c)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 걸이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삽입관(20)은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힌지축(22)이 형성되어 연결편(33)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 걸이장치.
KR2020100003677U 2010-04-08 2010-04-08 낚시대 걸이장치 KR2011000977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677U KR20110009771U (ko) 2010-04-08 2010-04-08 낚시대 걸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677U KR20110009771U (ko) 2010-04-08 2010-04-08 낚시대 걸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771U true KR20110009771U (ko) 2011-10-14

Family

ID=45596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3677U KR20110009771U (ko) 2010-04-08 2010-04-08 낚시대 걸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9771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5078A (ko) * 2016-12-06 2018-06-18 박형진 라이트 지깅 파이팅 벨트
KR102133459B1 (ko) * 2020-02-04 2020-07-14 김태준 낚시용 아대
KR20220028393A (ko) * 2020-08-28 2022-03-08 이석종 낚시용 손목 보호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5078A (ko) * 2016-12-06 2018-06-18 박형진 라이트 지깅 파이팅 벨트
KR102133459B1 (ko) * 2020-02-04 2020-07-14 김태준 낚시용 아대
WO2021157812A1 (ko) * 2020-02-04 2021-08-12 김태준 낚시용 아대
KR20220028393A (ko) * 2020-08-28 2022-03-08 이석종 낚시용 손목 보호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11721B1 (en) Knot tying implement
US7322146B1 (en) Fishing net retraction system
KR20110009771U (ko) 낚시대 걸이장치
EP3167711B1 (en) A handgrip for a leash
JP5337131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用リールシート
KR102359461B1 (ko) 릴낚시대용 가변형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를 포함하는 릴낚시대
US9433198B2 (en) Fishing line knotter
US7909004B2 (en) Cam-lock leash
JP6168278B2 (ja) 柱状体倒し誘導用ロープ取付け具
JP5285646B2 (ja) 玉網の柄
JP4917676B1 (ja) グリップ補助具
US10076107B2 (en) Belt engageable fishing pole holder
KR200483789Y1 (ko) 어류 포획용 작살
KR101024753B1 (ko) 골프클럽의 그립 파지 지지구
KR200483992Y1 (ko) 루어 낚싯대용 손잡이
JP6035604B2 (ja) 柱状体倒し誘導用ロープ取付け具
KR100776841B1 (ko) 스팀청소기
CN106212402B (zh) 一种绑钩器及操作方法
KR200430650Y1 (ko) 뽑기식 및 꽂기식 겸용 낚싯대 조립체
KR101369798B1 (ko) 손잡이부가 절곡되어 있는 집게
JP2012115151A (ja) 釣竿
KR200345883Y1 (ko) 애견용 견인줄
KR101900885B1 (ko) 릴 낚싯대
CN205431685U (zh) 一种垂钓用摘钩装置
KR20070097186A (ko) 스팀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