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9798B1 - 손잡이부가 절곡되어 있는 집게 - Google Patents

손잡이부가 절곡되어 있는 집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9798B1
KR101369798B1 KR1020120098217A KR20120098217A KR101369798B1 KR 101369798 B1 KR101369798 B1 KR 101369798B1 KR 1020120098217 A KR1020120098217 A KR 1020120098217A KR 20120098217 A KR20120098217 A KR 20120098217A KR 101369798 B1 KR101369798 B1 KR 101369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gs
bent
extension
handle
gri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8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택
Original Assignee
김은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은택 filed Critical 김은택
Priority to KR1020120098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97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9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9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8Other culinary hand implements, e.g. spatulas, pincers, forks or like food holders, ladles, skimming ladles, cooking spoons; Spoon-holders attached to cooking pots
    • A47J43/283Tongs; Devices for picking, holding or rotating foo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잡기 편한 집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손잡이 부분이 절곡되어 있어 손으로 집게를 잡을 때 편하며, 집게 끝 부분으로 힘을 집중할 수 있어 적은 힘으로도 손쉽게 음식을 파지할 수 있는 잡기 편한 집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잡기 편한 집게는 링 형태로 일측이 개구되어있는 링헤드부; 상기 링헤드부의 개구된 방향에 쌍으로 위치하는 손잡이부; 음식물을 파지할 수 있도록 내측면에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파지부; 및 상기 손잡이부와 파지부를 연결해주는 연장부로 구성되는 집게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외측방향으로 서로 대칭되게 절곡되어 구성되며, 상기 손잡이부와 연장부가 연결되는 부분이 내측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연장부절곡부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손잡이부가 절곡되어 있는 집게 {tongs}
본 발명은 손잡이부가 절곡되어 있는 집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손잡이 부분이 절곡되어 있어 손으로 집게를 잡을 때 편하며, 집게 끝 부분으로 힘을 집중할 수 있어 적은 힘으로도 손쉽게 음식을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가 절곡되어 있는 집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조리할 때 사용하는 통상적인 집게들은 탄성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부가 절개된 환형의 링 형상을 가지는 탄성부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의 양측 하부에서 서로 대칭되는 방향으로 벌어지게 연장되는 협지부로 구성된다. 종래에는 음식의 종류와 상관없이 동일한 협지부를 사용하였다. 하지만, 음식에 맞지 않는 협지부가 구비된 집게를 사용함으로써 음식을 제대로 파지할 수 없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12801호에서는 조리용 집게,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96526호에서는 요리용 집게,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43580호에서는 치킨용 집게 등 음식에 맞는 다양한 형상으로 협지부를 제작하였다.
하지만, 불편한 점이 모두 해소된 것은 아니다. 종래에 음식을 조리하거나 옮길 때 사용하는 집게의 경우 손잡이가 일자 형태여서 오랫동안 사용하면 손이 불편하고, 음식물이 잘 파지 되지 않아서 손아귀에 힘이 많이 들어가는 불편한 점이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는 집게의 길이를 늘이고 싶지만 그럴 수 없으며, 상기 선행기술들처럼 상황에 맞는 다양한 형상의 협지부를 구성하고 있는 집게를 여러 개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손잡이 부분에 절곡부를 형성하여 집게를 잡기 편할 뿐만 아니라, 파지부의 힘이 집중되어 작은 힘으로도 음식을 파지하는데 용이한 손잡이부가 절곡되어 있는 집게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파지부의 길이를 조절해주는 길이조절부가 있어서 필요에 따라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손잡이부가 절곡되어 있는 집게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파지부와 연장부 또는 파지부와 길이조절부가 착탈형식으로 결합되어 필요에 따라서 파지부의 종류를 바꾸어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손잡이부가 절곡되어 있는 집게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손잡이부가 절곡되어 있는 집게는 링헤드부, 손잡이부, 파지부 및 상기 손잡이부와 파지부를 연결해주는 연장부로 구성되는 집게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외측방향으로 서로 대칭되게 절곡되어 구성되며, 상기 손잡이부와 연장부가 연결되는 부분이 내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부절곡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
또는, 상기 연장부절곡부는 서로 대칭적으로 절곡되어 있으며, 상기 연장부 일측의 가운데 부분에는 교차용 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장부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교차용 통공에 끼워져 관통하는 교차용 돌출부가 형성되어 대상물을 파지할 때 상기 교차용 통공과 교차용 돌출부가 서로 끼워져 교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 외측면을 따라 시트지 형태로 고무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되어 무늬를 이루는 돌기 또는 요철로 형성되어 있는 미끄럼 방지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연장부 내측면에는 상기 파지부의 길이를 조절해주는 길이조절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길이조절부는 상기 연장부 내측면에 일측면이 트인 안내로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안내로의 상면 또는 하면에 다수의 멈춤 홈이 형성되어 있는 길이조절부하우징; 및 상기 안내로를 따라 상하 이동 및 상기 멈춤 홈에 의해 고정되며 일측은 상기 파지부와 연결되어 있는 슬라이더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장부와 상기 파지부는 서로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연장부의 하부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파지부의 일측에는 상기 걸림돌기와 대응되어 끼움 결합되는 걸림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길이조절부의 슬라이더와 상기 파지부는 서로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더의 일측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파지부의 일측에는 상기 걸림돌기와 대응되어 끼움 결합하는 걸림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손잡이부분에 절곡부를 형성하여 손으로 집게를 잡기 편할 뿐만 아니라, 파지부의 힘이 집중되어 작은 힘으로도 음식을 파지하는데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지부의 길이를 조절해주는 길이조절부가 있어서 필요에 따라서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파지부와 연장부 또는 파지부와 길이조절부가 착탈형식으로 결합하여 필요에 따라서 파지부를 야채 집게, 생선 집게, 고기 집게, 호떡 집게등 여러 종류로 바꾸어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따른 일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따른 일실시 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따른 일실시 예를 파지한 상태의 측면도.
도 4는 도 3의 A-A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따른 일실시 예의 길이조절부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파지부의 집게별 종류.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따른 일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잡기 편한 집게는 링 형태로 일측이 개구되어있는 링헤드부(100); 상기 링헤드부(100)의 개구된 방향에 쌍으로 위치하는 손잡이부(200); 음식물을 파지할 수 있도록 내측면에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파지부(400); 및 상기 손잡이부(200)와 파지부(400)를 연결해주는 연장부(300)로 구성되는 집게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200)는 외측방향으로 서로 대칭되게 절곡되어 구성되며, 상기 손잡이부(200)와 연장부(300)가 연결되는 부분이 내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부절곡부(31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 기본적인 구성은 종래의 집게와 동일하나 특징점은 상기 손잡이부(200)가 서로 외측방향으로 절곡되어 구성된다는 점이다. 종래의 집게들을 사용하다가 보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파지가 잘되지 않거나 음식물을 좀 더 강하게 파지하기 위해 손아귀에 힘을 많이 주게 되어 파자시 손이 불편하다는 점이다. 이런 문제점은 상기 손잡이부(200)를 절곡되게 형성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손잡이부가 절곡되어 있는 집게는 상기 손잡이부(200)를 절곡되게 형성하여 손으로 집게를 잡았을 때뿐만 아니라 집게를 이용하여 음식을 파지했을 때에도 사용자는 전혀 불편한 점을 느낄 수 없다는 점이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200)가 절곡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파지부(400)의 끝 부분으로 힘이 집중되어 음식을 상기 집게를 이용하여 파지할 때 용이하다는 점이다. 이렇게 상기 파지부(400)의 끝 부분으로 힘이 집중되면 작은 힘을 들이더라도 음식물을 파지하기가 보다 수월할 뿐만 아니라 파지 후에도 손의 불편함을 해소해 준다는 점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따른 일실시 예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따른 일실시 예를 파지한 상태의 측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A-A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연장부절곡부(310)는 서로 대칭적으로 절곡되어 있어, 상기 연장부(300) 일측의 가운데 부분에는 교차용 통공(3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장부(300)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교차용 통공(311)에 끼워져 관통하는 교차용 돌출부(312)가 형성되어 대상물을 파지할 때 상기 교차용 통공(311)과 교차용 돌출부(312)가 서로 끼워져 교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 만약 상기 교차용 통공(311)과 교차용 돌출부(312)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면, 상기 연장부절곡부(310)가 쌍으로 존재하므로 서로 부딪히게 되어 더 이상 오므릴 수가 없게 되어, 더 이상 작은 음식은 파지할 수가 없다. 따라서 이런 불편한 점이 발생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 상기 교차용 통공(311)과 교차용 돌출부(312)를 형성하여 상기 집게를 손으로 움켜쥐어 음식을 파지할 때, 상기 교차용 돌출부(312)가 상기 교차용 통공(311)으로 끼워져 관통하여 작은 음식도 정교하게 파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200) 외측면을 따라 시트지 형태로 고무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되어 무늬를 이루는 돌기 또는 요철로 형성되어 있는 미끄럼 방지부(2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손으로 상기 집게를 파지할 때, 미끄러지지 않고 잘 파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따른 일실시 예의 길이조절부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6은 파지부의 집게별 종류이다.
도 5 또는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연장부(300) 내측면에는 상기 파지부(400)의 길이를 조절해주는 길이조절부(32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길이조절부(320)는 상기 연장부(300) 내측면에 일측면이 트인 안내로(322)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안내로(322)의 상면 또는 하면에 다수의 멈춤 홈(323)이 형성되어 있는 길이조절부하우징(321); 및 상기 안내로(322)를 따라 상하 이동 및 상기 멈춤 홈(323)에 의해 고정되며 일측은 상기 파지부(400)와 연결되어 있는 슬라이더(324)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길이조절부(320)의 슬라이더(324)와 상기 파지부(400)는 서로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하며, 그 형태는 상기 슬라이더(324)의 일측에는 걸림돌기(33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파지부(400)의 일측에는 상기 걸림돌기(330)와 대응되어 끼움 결합하는 걸림 통공(410)이 형성되어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파지부(400)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서 다양한 종류의 파지부를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그 종류로는 종래에 출시되고 있는 집게모양들로 맛나 집게, 얼음 집게, 뷔페 집게, 셀프집게, 초밥 집게, 치킨 집게(도 6의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뿐만 아니라 도면에는 표현하지 않았지만 야채 집게, 고기 집게, 생선 집게, 호떡 집게등 모든 종류의 집게들이 상기 파지부(400)로 교체될 수 있으며, 상기 파지부로 사용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길이조절부(320)의 작동방식은 종래기술인 커트 칼의 작동방식과 동일하다 하겠다. 또한, 도면에는 표현하지 않았지만, 상기 길이조절부(320)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상기 연장부(300)의 경우에도 상기 연장부(300)의 하부에 상기 걸림돌기(33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파지부(400)의 일측에는 상기 걸림돌기(330)와 대응되어 끼움 결합하는 걸림 통공(410)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부(320)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도 상기 파지부(400)를 교체할 수 있는 손잡이부가 절곡되어 있는 집게이다. 여기에서도 동일하게 상기 파지부(400)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서 다양한 종류의 파지부를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그 종류로는 종래에 출시되고 있는 집게모양들로 맛나 집게, 얼음 집게, 뷔페 집게, 셀프 집게, 초밥 집게, 치킨 집게(도 6의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뿐만 아니라 도면에는 표현하지 않았지만 야채 집게, 고기 집게, 생선 집게, 호떡 집게등 모든 종류의 집게들이 상기 파지부(400)로 교체될 수 있으며, 상기 파지부로 사용가능하다.
100 - 링헤드부
200 - 손잡이부
210 - 미끄럼 방지부
300 - 연장부
310 - 연장부절곡부
311 - 교차용 통공
312 - 교차용 돌출부
320 - 길이조절부
321 - 길이조절부하우징
322 - 안내로
323 - 멈춤 홈
324 - 슬라이더
330 - 걸림돌기
400 - 파지부
410 - 걸림통공

Claims (10)

  1. 링헤드부, 손잡이부, 파지부 및 상기 손잡이부와 파지부를 연결해주는 연장부로 구성되는 집게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외측방향으로 서로 대칭되게 절곡되어 구성되며,
    상기 손잡이부와 연장부가 연결되는 부분이 내측방향으로 서로 대칭적으로 절곡되어 있으며, 상기 연장부 일측의 가운데 부분에는 교차용 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장부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교차용 통공에 끼워져 관통하는 교차용 돌출부가 형성되어 대상물을 파지할 때 상기 교차용 통공과 교차용 돌출부가 서로 끼워져 교차하도록 구성되는 연장부절곡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부가 절곡되어 있는 집게.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 외측면을 따라 시트지 형태로 부착되며 고무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되어 무늬를 이루는 돌기 또는 요철로 형성되어 있는 미끄럼 방지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손잡이부가 절곡되어 있는 집게.
  5. 제 1항 및 제 4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 내측면에는 상기 파지부의 길이를 조절해주는 길이조절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손잡이부가 절곡되어 있는 집게.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부는
    상기 연장부 내측면에 일측면이 트인 안내로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안내로의 상면 또는 하면에 다수의 멈춤 홈이 형성되어 있는 길이조절부하우징; 및
    상기 안내로를 따라 상하 이동 및 상기 멈춤 홈에 의해 고정되며 일측은 상기 파지부와 연결되어 있는 슬라이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부가 절곡되어 있는 집게.
  7. 제 1항 및 제 4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와 상기 파지부는 서로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부가 절곡되어 있는 집게.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하부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파지부의 일측에는 상기 걸림돌기와 대응되어 끼움 결합하는 걸림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부가 절곡되어 있는 집게.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부의 슬라이더와 상기 파지부는 서로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부가 절곡되어 있는 집게.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의 일측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파지부의 일측에는 상기 걸림돌기와 대응되어 끼움 결합하는 걸림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부가 절곡되어 있는 집게.
KR1020120098217A 2012-09-05 2012-09-05 손잡이부가 절곡되어 있는 집게 KR101369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8217A KR101369798B1 (ko) 2012-09-05 2012-09-05 손잡이부가 절곡되어 있는 집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8217A KR101369798B1 (ko) 2012-09-05 2012-09-05 손잡이부가 절곡되어 있는 집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9798B1 true KR101369798B1 (ko) 2014-03-26

Family

ID=50647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8217A KR101369798B1 (ko) 2012-09-05 2012-09-05 손잡이부가 절곡되어 있는 집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97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3967B1 (ko) * 2019-07-09 2020-11-05 노병문 과채 절단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4546Y1 (ko) * 1999-10-01 2000-03-15 최문화 주방용 집게.
JP2006333948A (ja) * 2005-05-31 2006-12-14 Kunihiko Sakiyama 把持、切り分け具
KR20090037530A (ko) * 2007-10-12 2009-04-16 유희종 기능성 집게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4546Y1 (ko) * 1999-10-01 2000-03-15 최문화 주방용 집게.
JP2006333948A (ja) * 2005-05-31 2006-12-14 Kunihiko Sakiyama 把持、切り分け具
KR20090037530A (ko) * 2007-10-12 2009-04-16 유희종 기능성 집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3967B1 (ko) * 2019-07-09 2020-11-05 노병문 과채 절단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87112B2 (en) Utensil with grip feature
WO2011024076A1 (en) Utensil handle
JP3200452U (ja) 弾性部を備えた動物用ブラシ
KR101369798B1 (ko) 손잡이부가 절곡되어 있는 집게
US20210213599A1 (en) Medical Instrument
JP5952478B1 (ja) 指掛け部を備えた動物用毛梳き具
KR101085572B1 (ko) 손잡이 코바늘
KR101672694B1 (ko) 주방용 집게
KR20110009771U (ko) 낚시대 걸이장치
KR200477198Y1 (ko) 가변형 듀얼 브러쉬
JP3192349U (ja) 握り鋏
KR20180047019A (ko) 집게가 달린 뒤집개
US2600013A (en) Culinary fork and gripper
ES2914036T3 (es) Pinzas para parrilla bloqueables
KR101723596B1 (ko) 가위
KR200399708Y1 (ko) 집게형 젓가락
CN204379066U (zh) 一种伸缩勺子
CN211704361U (zh) 一种省力多用核桃干果夹
KR200450867Y1 (ko) 학습용 젓가락
KR20100006242A (ko) 개량형 젓가락
JP3190609U (ja) トング
KR200424900Y1 (ko) 프라이팬의 손잡이
JP3195170U (ja)
KR20160119946A (ko) 두 몸체로 구성되는 식품취급도구
KR20160000684U (ko) 집게핀 안전 손잡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