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9623U - 싸이클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싸이클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9623U
KR20110009623U KR2020100003482U KR20100003482U KR20110009623U KR 20110009623 U KR20110009623 U KR 20110009623U KR 2020100003482 U KR2020100003482 U KR 2020100003482U KR 20100003482 U KR20100003482 U KR 20100003482U KR 20110009623 U KR20110009623 U KR 2011000962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ddle
horizontal frame
load
fram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34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승
Original Assignee
(주)콜리벤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콜리벤이엔지 filed Critical (주)콜리벤이엔지
Priority to KR20201000034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9623U/ko
Publication of KR201100096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962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 A63B22/06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performing a circular movement, e.g. ergo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싸이클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페달(12)이 구비된 부하회전부(10)와, 상기 부하회전부(10) 상부 일측에 포스트로 연결되는 입식안장부(20)와, 상기 부하회전부(10) 전방측에 사용자가 페달(12)의 발구름에 따라 속도 및 운동량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30)와, 상기 디스플레이(30) 좌우 양측으로 구비되고, 입식안장부(20)에 사용자가 착석하여 페달(12)을 발구름시 상체를 의지하기 위한 손잡이(40)가 형성되어 하체 및 허리를 단련하도록 하는 싸이클 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부하회전부(10) 하부로부터 후방측으로 수평프레임(102)이 연장형성되고, 상기 수평프레임(102)에 직교되고 상측으로 수직받침프레임(104)이 기립형성되어 " ┛" 형상으로 형성된 베이스프레임(100)과; 중앙에 가이드통공(202)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받침프레임(104)과 직교되도록 수평하게 상기 수직받침프레임(104)에 일체로 결합되는 가이드부재(200)와; 하부에 상기 가이드부재(200)의 가이드통공(202)에 슬라이딩 끼움결합되어 상기 부하회전부(10)측으로 슬라이딩되어 전후진되면서 상기 부하회전부(10)와의 사이 간격을 조절하도록 부하조절 수평프레임(302)이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부하조절 수평프레임(302)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안장조절 수평프레임(304)이 형성되며, 상기 부하조절 수평프레임(302)과 상기 안장조절 수평프레임(304)이 "⊃" 형상으로 연결형성된 간격조절프레임(300)과: 상부에 좌식안장(410)이 결합되고, 좌식안장(410) 하부에 상기 안장조절 수평프레임(304)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입식안장부(20)측으로 슬라이딩되어 전후진되면서 사용자의 신체조건 및 선택에 따라 전후조절되도록 중앙에 조절통공(422)이 형성된 안장조절가이드(420)가 형성된 조절좌식안장부(400)와; 상기 부하조절 수평프레임(302)이 상기 가이드부재(200)의 가이드통공(202)상에서 이동된 상태를 고정하고, 상기 조절좌식안장부(400)가 상기 안장조절 수평프레임(304)상에서 이동된 상태를 고정하도록 마련된 고정수단(5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싸이클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싸이클 운동기구{Cycle sporting goods}
본 고안은 싸이클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전거의 형태로 형성되어 실내외에서 하체운동과 허리운동을 주목적으로 하는 싸이클 운동기구로 사용자가 싸이클 운동기구에 착석하여 운동시, 사용자의 신체조건 및 운동능력에 따라 페달로부터 안장의 거리가 2단계로 조정이 가능한 싸이클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싸이클 운동기구는 가정이나 헬스장과 같은 시설에서 자전거페달의 회전작동을 통해 하체의 근력과 지구력을 강화시키고 허리의 유연성을 향상시키는 장치로서, 사용자는 안장에 착석한 상태에서 손잡이를 잡고 페달에 발을 대어 회전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실제로 자전거를 타는 것처럼 운동의 효과를 내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싸이클 운동기구는 페달과 연결되는 기어를 조작하는 조작부를 구비하여 오르막길을 오르는 듯한 효과를 내도록 운동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여 달린 거리를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운동의 양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싸이클 운동기구는 운동이 부족한 현대인에게 날씨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실내의 좁은 공간에서도 다양한 운동효과를 제공하게 되어 그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고, 이러한 종래의 싸이클 운동기구를 간략히 살펴보면 페달이 회전되도록 연결되어 지면에 안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전방측에는 상부에 손잡이가 결합된 포스트바를 체결하고, 몸체의 후방측에는 상부에 안장이 체결된 리어바가 고정되어 구성된 것으로서, 사용자는 상기 안장에 착석한 상태로 손잡이를 잡고 페달을 발로 회전시켜 하체를 집중적으로 운동하는 입식 싸이클 운동기구가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입식의 싸이클 운동기구는 젊은층의 성인들이 사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없으나 노약자 및 아이들이 사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 자식 싸이클 운동기구가 개시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좌식 싸이클 운동기구는 입식보다는 안장의 높이가 비교적 낮아 노약자 및 아이들이 사용하기 용이하다. 그러나, 좌식만을 별도로 재구매하여야 함으로써 경제적 부담감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 개시되고 있는 것이 입식과 좌식이 결합된 싸이클 운동기구가 개시되고 있다. 이러한, 입식과 좌식이 결합된 종래의 싸이클 운동기구는 입식과 좌식을 동시에 구매하는 것과 같은 효과와 장소의 제약이 비교적 적으며, 입식과 좌식이 결합된 싸이클 운동기구를 가정에 비치할 시 가족구성원 모두가 사용하기에 적합하였다.
그러나, 싸이클 운동기구의 특성상 안장은 항상 고정되어 있어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안장의 조정이 불가능하다. 다만, 입식의 안장만이 사용자의 키에 대한 신체조건에 따라 높이조정이 가능한 정도에 불과하고, 이 역시도 성인의 기준에 맞추어져 있다. 또한, 좌식의 안장은 최초 제품의 생산시, 이미 고정된 상태이거나, 일정거리정도의 조정만이 가능하여 다양한 사용자의 신체조건과 운동능력에 따른 안장의 조정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싸이클 운동기구의 좌식안장이 페달과의 거리가 사용자의 신체조건과 운동능력에 따라 조정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운동이 가능하고, 운동을 즐겁게 하여 국민건강에 이바지할 수 있는 싸이클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싸이클 운동기구는 페달(12)이 구비된 부하회전부(10)와, 상기 부하회전부(10) 상부 일측에 포스트로 연결되는 입식안장부(20)와, 상기 부하회전부(10) 전방측에 사용자가 페달(12)의 발구름에 따라 속도 및 운동량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30)와, 상기 디스플레이(30) 좌우 양측으로 구비되고, 입식안장부(20)에 사용자가 착석하여 페달(12)을 발구름시 상체를 의지하기 위한 손잡이(40)가 형성되어 하체 및 허리를 단련하도록 하는 싸이클 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부하회전부(10) 하부로부터 후방측으로 수평프레임(102)이 연장형성되고, 상기 수평프레임(102)에 직교되고 상측으로 수직받침프레임(104)이 기립형성되어 " ┛" 형상으로 형성된 베이스프레임(100)과; 중앙에 가이드통공(202)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받침프레임(104)과 직교되도록 수평하게 상기 수직받침프레임(104)에 일체로 결합되는 가이드부재(200)와; 하부에 상기 가이드부재(200)의 가이드통공(202)에 슬라이딩 끼움결합되어 상기 부하회전부(10)측으로 슬라이딩되어 전후진되면서 상기 부하회전부(10)와의 사이 간격을 조절하도록 부하조절 수평프레임(302)이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부하조절 수평프레임(302)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안장조절 수평프레임(304)이 형성되며, 상기 부하조절 수평프레임(302)과 상기 안장조절 수평프레임(304)이 "⊃" 형상으로 연결형성된 간격조절프레임(300)과: 상부에 좌식안장(410)이 결합되고, 좌식안장(410) 하부에 상기 안장조절 수평프레임(304)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입식안장부(20)측으로 슬라이딩되어 전후진되면서 사용자의 신체조건 및 선택에 따라 전후조절되도록 중앙에 조절통공(422)이 형성된 안장조절가이드(420)가 형성된 조절좌식안장부(400)와; 상기 부하조절 수평프레임(302)이 상기 가이드부재(200)의 가이드통공(202)상에서 이동된 상태를 고정하고, 상기 조절좌식안장부(400)가 상기 안장조절 수평프레임(304)상에서 이동된 상태를 고정하도록 마련된 고정수단(5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수평프레임(102)과 수직받침프레임(104)이 직교되어 접하는 후방측으로 인출식 하중지지부재(600)가 더 구비되어도 좋다.이와 같은 상기 인출식 하중지지부재(60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후방 일측으로 상기 수평프레임(102)과 동일선상에 형성되되, 상기 수평프레임(102)과 상기 수직받침프레임(104)이 직교되어 접하는 후방에 슬라이딩 통공(602)이 상기 수평프레임(102) 내측으로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통공(602)에 슬라이딩결합되어 인출되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하중지지프레임(604)이 형성되며, 상기 하중지지프레임(604)의 외측 일단 하부에 넌슬립받침(606)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가이드부재(200) 및 상기 안장조절가이드(420)는 원형, 사각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싸이클 운동기구의 좌식안장이 페달과의 거리가 사용자의 신체조건과 운동능력에 따라 안장간격 및 거리조정이 자유롭게 구비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운동이 가능하고, 운동을 즐겁게 하여 국민건강에 이바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싸이클 운동기구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싸이클 운동기구의 전체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싸이클 운동기구의 안장 조절부재의 요부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싸이클 운동기구의 안장 조절부재의 요부확대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싸이클 운동기구의 안장 조절부재의 작동상태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싸이클 운동기구의 실시예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에 따른 싸이클 운동기구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싸이클 운동기구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싸이클 운동기구의 전체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싸이클 운동기구의 요부확대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싸이클 운동기구의 요부확대 분해 사시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싸이클 운동기구의 요부확대 작동상태 측단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싸이클 운동기구의 실시예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싸이클 운동기구는 입식안장부가 구비된 싸이클 운동기구에 후방으로 좌식안장이 마련되어 운동부하량에 따른 좌식안장의 전후조절 및 사용자 체형에 따른 좌식안장의 전후조절이 가능하여 운동량과 사용자에 따라 임의선택적으로 좌식안장의 조절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운동능력에 따른 운동으로 보다 효과적인 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통상의 싸이클 운동기구의 후방으로 조절가능한 좌식안장이 형성된다.
여기서, 통상의 싸이클 운동기구를 간략히 살펴보면 페달(12)이 구비된 부하회전부(10)가 전방측에 형성되고, 상기 부하회전부(10) 상부 일측에 포스트로 연결되는 사용자가 허리를 똑바로 편상태에서 운동이 가능한 입식안장부(20)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부하회전부(10) 전방측으로 사용자가 페달(12)의 발구름에 따라 속도 및 운동량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30)가 입식안장부와 나란히 대응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30) 좌우 양측으로 구비되고, 입식안장부(20)에 사용자가 착석하여 페달(12)을 발구름시 상체를 의지하기 위한 손잡이(40)가 형성되어 하체 및 허리를 안전하게 단련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통상의 싸이클 운동기구 후방측으로 조절가능한 좌식안장이 마련되는 것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100), 가이드부재(200), 간격조절프레임(300), 조절좌식안장부(400), 고정수단(500)으로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은 상기 부하회전부(10) 하부로부터 후방측으로 수평프레임(102)이 연장형성되고, 상기 수평프레임(102)에 직교되고 상측으로 수직받침프레임(104)이 기립형성되어 " ┛"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은 사용자의 체중과 사용자가 운동시 유동이 방지되도록 견고히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부재(200)는 전술한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수직받침프레임(104) 상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중앙에 가이드통공(202)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받침프레임(104)과 직교되도록 수평하게 상기 수직받침프레임(104)에 일체로 결합되어 후술되는 간격조절프레임(300)이 슬라이딩 결합된다.
상기 간격조절프레임(300)은 사용자의 운동능력에 따라 상기 부하회전부(10)와의 거리가 조절되고, 사용자의 체형 및 취향에 따라 후술되는 좌식안장이 상기 입식안장부(20)와 간격조절이 되는 것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하조절 수평프레임(302), 안장조절 수평프레임(304)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간격조절프레임(300)은 상기 부하조절 수평프레임(302)과 상기 안장조절 수평프레임(304)이 "⊃" 형상으로 연결형성된다.
상기 부하조절 수평프레임(302)는 상기 간격조절프레임(300)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전술한 상기 가이드부재(200)의 가이드통공(202)에 슬라이딩 끼움결합되어 상기 부하회전부(10)측으로 슬라이딩되어 전후진되면서 상기 부하회전부(10)와의 사이 간격을 조절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부하조절 수평프레임(302)은 후술되는 안장조절 수평프레임(304)보다 길게 형성되어 사용자의 운동능력에 따라 전후조절 폭이 크게 형성하여도 바람직하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하조절 수평프레임(302)을 상기 부하회전부(10)측으로 가까이 슬라이딩하게 되면 후술되는 좌식안장(410)과 페달과의 거리가 가까워 사용자가 운동시, 무릅을 구부렸다 폈다 하는 반복동작이 용이하여 쉽게 페달을 구르게 됨에 따라 운동량이 비교적 적은 사용자에게 유리하다. 반면, 상기 부하조절 수평프레임(302)을 상기 부하회전부(10)측으로부터 멀리 위치되도록 슬라이딩 이동한 후, 운동시에는 후술되는 좌식안장(410)과 페달(12)과의 거리가 멀리 떨어져있어 사용자가 발을 페달에 얻혀놓은 후 구름동작시 발끝에 최대한 힘을 주어 돌려야 함에 따라 발목 및 종아리 측으로 힘이 쏠림과 함께 상체와 하체 전체가 긴장되어 운동량이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높은 운동량을 요구하는 사용자에게 유리한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기 부하조절 수평프레임(302)을 상기 가이드부재(200)의 가이드통공(202)상에서 상기 부하회전부(10) 측으로 조절함에 따라 운동량에 따른 사용자의 선택이 가능하다.
상기 안장조절 수평프레임(304)은 후술되는 조절좌식안장부(400)가 결합되어 상기 안장조절 수평프레임(304) 상에서 후술되는 조절좌식안장부(400)가 전후조절되는 것으로, 상부에 상기 부하조절 수평프레임(302)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의 편안한 착석을 위해 조절되는 것이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장조절 수평프레임(304)은 싸이클 운동기구의 특성상 허리를 곧추 펴서 운동을 하여야만 올바른 운동이 가능함에 따라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이 편안한 착석이 가능하여야만 올바른 운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안장조절 수평프레임(304) 상에서 후술되는 조절좌식안장부(400)의 전후조절에 따라 사용자가 자신의 체형에 적합한 착석위치를 선택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조절좌식안장부(400)는 사용자가 착석하여 싸이클 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것으로, 상부에 좌식안장(410)이 결합되고, 좌식안장(410) 하부에 상기 안장조절 수평프레임(304)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입식안장부(20)측으로 슬라이딩되어 전후진되면서 사용자의 신체조건 및 선택에 따라 전후조절되도록 중앙에 조절통공(422)이 형성된 안장조절가이드(420)가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재(200) 및 상기 안장조절가이드(420)는 원형, 사각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원형과 사각의 경우 사용자의 체중과 운동에 따른 진동 및 부하에 대해 가장 일반적으로 대응이 가능한 형태이다.
상기 고정수단(500)은 상기 부하조절 수평프레임(302)이 상기 가이드부재(200)의 가이드통공(202)상에서 이동된 상태를 고정하고, 상기 조절좌식안장부(400)가 상기 안장조절 수평프레임(304)상에서 이동된 상태를 고정하도록 마련되는 것으로, 나사방식, 볼체결방식 등 다양한 형태의 제작이 가능하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수평프레임(102)과 수직받침프레임(104)이 직교되어 접하는 후방측으로 인출식 하중지지부재(600)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인출식 하중지지부재(600)는 조절좌식안장부(400)를 과도하게 후방으로 위치시켰을 경우 싸이클 운동기구의 중심이 후방으로 쏠려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운동시 흔들림을 보다 효과적으로 저감시키도록 형성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인출식 하중지지부재(60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후방 일측으로 상기 수평프레임(102)과 동일선상에 형성되되, 상기 수평프레임(102)과 상기 수직받침프레임(104)이 직교되어 접하는 후방에 슬라이딩 통공(602)이 상기 수평프레임(102) 내측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통공(602)에 슬라이딩결합되어 인출되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하중지지프레임(604)이 형성되며, 상기 하중지지프레임(604)의 외측 일단 하부에 유동이나 싸이클 운동기구의 중심이동에 따른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넌슬립받침(606)이 구비된다.
한편,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그와 같은 변형은 청구 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다.
10 : 부하회전부 12 : 페달
20 : 입식안장부 30 : 디스플레이
40 : 손잡이 100 : 베이스프레임
102 : 수평프레임 104 : 수직받침프레임
200 : 가이드부재 202 : 가이드통공
300 : 간격조절프레임 302 : 부하조절 수평프레임
304 : 안장조절 수평프레임 400 : 조절좌식안장부
410 : 좌식안장 420 : 안장조절가이드
422 : 조절통공 500 : 고정수단
600 : 인출식 하중지지부재 602 : 슬라이딩통공
604 : 하중지지프레임 606 : 넌슬립받침

Claims (4)

  1. 페달(12)이 구비된 부하회전부(10)와, 상기 부하회전부(10) 상부 일측에 포스트로 연결되는 입식안장부(20)와, 상기 부하회전부(10) 전방측에 사용자가 페달(12)의 발구름에 따라 속도 및 운동량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30)와, 상기 디스플레이(30) 좌우 양측으로 구비되고, 입식안장부(20)에 사용자가 착석하여 페달(12)을 발구름시 상체를 의지하기 위한 손잡이(40)가 형성되어 하체 및 허리를 단련하도록 하는 싸이클 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부하회전부(10) 하부로부터 후방측으로 수평프레임(102)이 연장형성되고, 상기 수평프레임(102)에 직교되고 상측으로 수직받침프레임(104)이 기립형성되어 " ┛" 형상으로 형성된 베이스프레임(100)과;
    중앙에 가이드통공(202)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받침프레임(104)과 직교되도록 수평하게 상기 수직받침프레임(104)에 일체로 결합되는 가이드부재(200)와;
    하부에 상기 가이드부재(200)의 가이드통공(202)에 슬라이딩 끼움결합되어 상기 부하회전부(10)측으로 슬라이딩되어 전후진되면서 상기 부하회전부(10)와의 사이 간격을 조절하도록 부하조절 수평프레임(302)이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부하조절 수평프레임(302)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안장조절 수평프레임(304)이 형성되며, 상기 부하조절 수평프레임(302)과 상기 안장조절 수평프레임(304)이 "⊃" 형상으로 연결형성된 간격조절프레임(300)과:
    상부에 좌식안장(410)이 결합되고, 좌식안장(410) 하부에 상기 안장조절 수평프레임(304)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입식안장부(20)측으로 슬라이딩되어 전후진되면서 사용자의 신체조건 및 선택에 따라 전후조절되도록 중앙에 조절통공(422)이 형성된 안장조절가이드(420)가 형성된 조절좌식안장부(400)와;
    상기 부하조절 수평프레임(302)이 상기 가이드부재(200)의 가이드통공(202)상에서 이동된 상태를 고정하고, 상기 조절좌식안장부(400)가 상기 안장조절 수평프레임(304)상에서 이동된 상태를 고정하도록 마련된 고정수단(5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싸이클 운동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수평프레임(102)과 수직받침프레임(104)이 직교되어 접하는 후방측으로 인출식 하중지지부재(60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싸이클 운동기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식 하중지지부재(60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후방 일측으로 상기 수평프레임(102)과 동일선상에 형성되되,
    상기 수평프레임(102)과 상기 수직받침프레임(104)이 직교되어 접하는 후방에 슬라이딩 통공(602)이 상기 수평프레임(102) 내측으로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통공(602)에 슬라이딩결합되어 인출되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하중지지프레임(604)이 형성되며, 상기 하중지지프레임(604)의 외측 일단 하부에 넌슬립받침(606)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싸이클 운동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200) 및 상기 안장조절가이드(420)는 원형, 사각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싸이클 운동기구.
KR2020100003482U 2010-04-05 2010-04-05 싸이클 운동기구 KR2011000962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482U KR20110009623U (ko) 2010-04-05 2010-04-05 싸이클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482U KR20110009623U (ko) 2010-04-05 2010-04-05 싸이클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623U true KR20110009623U (ko) 2011-10-12

Family

ID=45596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3482U KR20110009623U (ko) 2010-04-05 2010-04-05 싸이클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9623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411B1 (ko) * 2013-10-16 2014-12-10 주식회사은성헬스빌 좌식 싸이클용 안장 조절기구
KR101505946B1 (ko) * 2013-04-10 2015-03-26 와이티엔티 주식회사 복합형 실내자전거
KR101701061B1 (ko) 2015-11-13 2017-01-31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회상 기억 촉진 기능을 구비한 하지 운동치료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5946B1 (ko) * 2013-04-10 2015-03-26 와이티엔티 주식회사 복합형 실내자전거
KR101471411B1 (ko) * 2013-10-16 2014-12-10 주식회사은성헬스빌 좌식 싸이클용 안장 조절기구
KR101701061B1 (ko) 2015-11-13 2017-01-31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회상 기억 촉진 기능을 구비한 하지 운동치료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30312B (zh) 結合直立腳踏車和具有躺式腳踏車的橢圓訓練器之三合一腳踏車
US10265574B2 (en) Abdominal twist exercise device
US8814763B2 (en) Abdomen exercise machine
CN206809641U (zh) 一种带拉伸的多功能健身架
US20070213180A1 (en) Verticle exercise bicycle conversion kit
US20120040812A1 (en) Twist exerciser
KR100968016B1 (ko) 헬스 자전거
TWM473847U (zh) 腰部健身器材
CN207101741U (zh) 一种兼具划船和骑马锻炼效果的健身器
KR20110009623U (ko) 싸이클 운동기구
CN207221195U (zh) 一种骑马健身车
KR20130134802A (ko) 다리운동 겸용 복부 운동기구
KR101160587B1 (ko) 좌식운동 기능을 갖는 바이크용 안장
KR101827253B1 (ko) 다기능 복합운동기구
US9295875B2 (en) Recumbent stepper
KR101099244B1 (ko) 전신 운동기구
KR101142731B1 (ko) 멀티 운동용 헬스자전거
CN107224704A (zh) 一种带有肘部扶手的小腿及背部锻炼器械
KR200442075Y1 (ko) 실내 운동용 자전거
KR200442561Y1 (ko) 실내 운동용 자전거
CN103083863A (zh) 一种改进的健身车
KR20100110240A (ko) 운동기구용 기둥부를 가진 파고라
KR101297811B1 (ko) 다기능 러닝머신
US10486046B2 (en) Hockey training apparatus
TWI622387B (zh) Lacing massage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