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1411B1 - 좌식 싸이클용 안장 조절기구 - Google Patents

좌식 싸이클용 안장 조절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1411B1
KR101471411B1 KR1020130123161A KR20130123161A KR101471411B1 KR 101471411 B1 KR101471411 B1 KR 101471411B1 KR 1020130123161 A KR1020130123161 A KR 1020130123161A KR 20130123161 A KR20130123161 A KR 20130123161A KR 101471411 B1 KR101471411 B1 KR 101471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ressing
cycle
fixed frame
sad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3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문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은성헬스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은성헬스빌 filed Critical 주식회사은성헬스빌
Priority to KR1020130123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14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1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1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 A63B22/06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performing a circular movement, e.g. ergo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식 싸이클(1) 상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착석하여 신장에 맞게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좌식 싸이클용 안장에 있어서: 상기 좌식 싸이클(1)의 하부 프레임(2)으로부터 연장 설치되는 수직지지대(3)(4) 상에 일체 고정되는 고정프레임(10);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외부에 고정프레임(10)으로부터 전, 후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고, 내부로 관통되게 통공(21)을 구비하며, 안장(5)이 안착되게 체결부(22)(23)를 구비하는 이동프레임(20); 및 상기 이동프레임(20) 상에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면서 통공(21)에 삽설되고, 회전력에 의해 고정프레임(10)을 가압하여 이동프레임(20)의 이동을 제한하여 고정하는 고정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이동프레임(20)의 내부에 삽설되면서 고정수단(30)의 가압력으로부터 고정프레임(10)을 보호하도록 보호재(25)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수단(30)은 고정프레임(10)을 가압하여 이동프레임(20)의 이동을 제한하게 통공(21) 상에 회전력에 의해 고정프레임(10)을 가압하게 절단부(31a) 및 접촉부(32b)를 구비하는 가압부(31)와, 상기 가압부(31)를 회전시키도록 구비하는 핸들(32)과, 회전된 가압부(31)를 통해 고정프레임(10)을 직접 가압하는 가압판(33)과, 상기 핸들(32)에 근접하여 가압부(31)의 회전반경을 설정하는 스토퍼(3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좌식 싸이클 상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고, 신장으로 인한 조절 설정이 용이하면서 고정력이 뛰어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좌식 싸이클용 안장 조절기구{Sit-Down Type Cycle Exercise Apparatus Of Saddle Adjustment Mechanism}
본 발명은 좌식 싸이클용 안장 조절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좌식 싸이클 상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고, 신장으로 인한 조절 설정이 용이하면서 고정력이 뛰어난 좌식 싸이클용 안장 조절기구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실내용 싸이클은 추운 겨울이나 기상이 좋지 않아 싸이클 선수들의 훈련이 어려울 때, 선수의 실내훈련을 위하여 개발되었으나 운동효과에 있어 세월이 흐를수록 그 효과가 검증됨에 따라 최근에는 헬스장 및 일반 가정 등에서도 널리 많이 사용되는 운동 기구중 하나이다. 이러한 실내용 싸이클기구는 입식 싸이클과 좌식 싸이클으로 구분하게 되는 바, 좌식 싸이클의 경우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로 페달을 밟아야 함으로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따라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해왔다.
일예로,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1999-0033402호에 따르면, ‘프레임(11)의 상측에는 안장(12)이 구비되고, 하측에는 페달(13)이 구비된 실내 싸이클 운동기구(10)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1)의 하측에 위치하며 양측 선단에 페달(12)이 설치된 축(14)상에 캠(15)을 구비하고, 프레임(11)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단에는 안장(12)을 체결하고 하단에는 캠(15)의 외주면을 따라회전하는 롤러(18)를 설치한 푸시로드(17)를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싸이클 운동기구.’를 제시한다.
하지만, 이러한 싸이클 운동기구는 신체에 따라 길이를 조절하지 못해 다양한 사용자를 수용할 수 없고, 장시간 운동 시 착석을 통한 안장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없었다.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1999-0033402호 “실내 싸이클 운동기구”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좌식 싸이클 상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고, 신장으로 인한 조절 설정이 용이하면서 고정력이 뛰어난 좌식 싸이클용 안장 조절기구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좌식 싸이클 상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착석하여 신장에 맞게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좌식 싸이클용 안장에 있어서: 상기 좌식 싸이클의 하부 프레임으로부터 연장 설치되는 수직지지대 상에 일체 고정되고, 안장이 안착되게 고정부를 구비하는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의 외부에 고정프레임으로부터 전, 후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고, 내부로 관통되게 통공을 구비하는 이동프레임; 및 상기 이동프레임 상에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면서 통공에 삽설되고, 회전력에 의해 고정프레임을 가압하여 이동프레임의 이동을 제한하여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이동프레임의 내부에 삽설되면서 고정수단의 가압력으로부터 고정프레임을 보호하도록 보호재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수단은 고정프레임을 가압하여 이동프레임의 이동을 제한하게 통공 상에 회전력에 의해 고정프레임을 가압하게 절단부 및 접촉부를 구비하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를 회전시키도록 구비하는 핸들과, 회전된 가압부를 통해 고정프레임을 직접 가압하는 가압판과, 상기 핸들에 근접하여 가압부의 회전반경을 설정하는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좌식 싸이클 상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고, 신장으로 인한 조절 설정이 용이하면서 고정력이 뛰어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좌식 싸이클용 안장 조절기구가 장착된 상태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좌식 싸이클용 안장 조절기구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좌식 싸이클용 안장 조절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좌식 싸이클용 안장 조절기구를 나타내는 배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좌식 싸이클용 안장 조절기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좌식 싸이클용 안장 조절기구의 고정수단을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좌식 싸이클용 안장 조절기구가 장착된 상태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좌식 싸이클용 안장 조절기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좌식 싸이클용 안장 조절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좌식 싸이클용 안장 조절기구를 나타내는 배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좌식 싸이클용 안장 조절기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좌식 싸이클용 안장 조절기구의 고정수단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좌식 싸이클(1) 상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착석하여 신장에 맞게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좌식 싸이클용 안장에 관련되며, 고정프레임(10), 이동프레임(20), 고정수단(30)을 주요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프레임(10)은 상기 좌식 싸이클(1)의 하부 프레임(2)으로부터 연장 설치되는 수직지지대(3)(4) 상에 일체 고정된다. 고정프레임(10)은 좌식 싸이클(1)의 하부에 지면으로부터 지지되도록 구비하는 하부 프레임(2)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수직지지대(3)(4)에 양끝단부가 일체로 고정한다. 이러한 고정프레임(10)은 후술하는 이동프레임(20)이 전, 후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구성이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이동프레임(20)은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외부에 고정프레임(10)으로부터 전, 후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고, 내부로 관통되게 통공(21)을 구비하며, 안장(5)이 안착되게 체결부(22)(23)를 구비한다. 이동프레임(20)은 상술한 고정프레임(10)의 외부에 상기 고정프레임(10)이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이동프레임(20)의 상부에는 안장(5)이 고정될 수 있도록 체결부(22)(23)가 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이동프레임(20)에는 내부와 연통되도록 관통되는 통공(21)이 구비되는 바, 이러한 통공(21)은 후술하는 고정수단(30)과 연동되어 이동프레임(20)이 고정프레임(10)으로부터 고정되는 것으로 후술하여 설명토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수단(30)은 상기 이동프레임(20) 상에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면서 통공(21)에 삽설되는 가압부(31)를 구비하고, 회전력에 의해 고정프레임(10)을 가압하여 이동프레임(20)의 이동을 제한하여 고정한다. 이러한 고정수단(30)은 이동프레임(20)의 양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통공(21)으로 삽설되는 가압부(31)가 회전력을 통하여 고정프레임(10)을 가압하여 상기 이동프레임(20)이 고정프레임(10) 상에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수단(30)은 고정프레임(10)을 가압하여 이동프레임(20)의 이동을 제한하게 통공(21) 상에 회전력에 의해 고정프레임(10)을 가압하게 절단부(31a) 및 접촉부(32b)를 구비하는 가압부(31)와, 상기 가압부(31)를 회전시키도록 구비하는 핸들(32)과, 회전된 가압부(31)를 통해 고정프레임(10)을 직접 가압하는 가압판(33)과, 상기 핸들(32)에 근접하여 가압부(31)의 회전반경을 설정하는 스토퍼(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정수단(3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프레임(20)의 양측으로 연장되어 회전하는 가압부(31)는 원형으로 형성되는데 통공(21)에 삽설되어 회전력을 통하여 고정프레임(10)을 가압하면서 해제 시 고정프레임(10)으로부터 떨어지도록 가압부(31)에는 절단부(31a) 및 접촉부(32b)가 형성된다. 가압부(31)는 일체로 연장되는 핸들(32)을 통해 가압부(31)에 회전력을 전달하게 된다. 또한 고정수단(30)은 핸들(32)의 회전력을 제한하여 일정 각도만 회전하도록 스토퍼(34)를 구비하는 바, 스토퍼(34)는 돌부(34a)를 통하여 회전 반경을 제한한다. 이러한, 고정수단(30)은 사용자가 핸들(32)을 회전시켜 가압부(31)의 접촉부(32b)가 이동프레임(20)의 통공(21)을 통해 가압판(33)을 밀어 고정프레임(10)을 가압하게 됨으로 이동프레임(20)이 고정프레임(10) 상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동프레임(20)은 내부에 삽설되면서 고정수단(30)의 가압력으로부터 고정프레임(10)을 보호하도록 보호재(25)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보호재(25)는 연질로 형성되어 상술한 고정수단(30)의 가압부(31)의 접촉부(32b)로부터 고정프레임(10)을 보호하는 것으로 고무재 또는 플라스틱재를 통하여 형성할 수 있으나 다소 탄성이 작용될 수 있는 재질이라면 가능하다 할 것이고, 고정프레임(10)과 이동프레임(20) 사이에 개재가 용이하도록 플라스틱재를 통해 형성하는 것이 적합하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사용에 있어서, 먼저 사용자가 좌식 싸이클(1) 상에 설치된 안장(5)에 착석하여 자신의 신장에 맞게 길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이동프레임(20)을 고정프레임(10)으로부터 전진 또는 후진하여 위치를 설정한 다음, 고정수단(30)의 핸들(32)을 회전함에 따라 상기 핸들(32)과 일체로 형성되어 함께 회전하는 가압부(31)의 접촉부(32b)가 이동프레임(20)의 통공(21)을 통해 노출되는 가압판(33)을 밀어 고정프레임(10)을 가압하게 됨으로 상기 이동프레임(20)은 고정프레임(10) 상에 고정하여 사용자는 자신의 신장에 맞는 길이를 조절하여 좌식 싸이클(1)를 통해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고정프레임(10)과 이동프레임(20) 사이에 삽설되는 보호재(25)를 통하여 가압부(31)의 접촉부(32b)에서 발생되는 가압력으로부터 고정프레임(10)을 보호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좌식 싸이클 상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고, 신장으로 인한 조절 설정이 용이하면서 고정력이 뛰어난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 좌식 싸이클 2: 하부 프레임
3, 4: 수직지지대 5: 안장
10: 고정프레임 20: 이동프레임
21: 통공 25: 보호재
30: 고정수단 31: 가압부
31a: 절단부 32b: 접촉부
32: 핸들 33: 가압판
34: 스토퍼

Claims (3)

  1. 좌식 싸이클(1) 상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착석하여 신장에 맞게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좌식 싸이클용 안장에 있어서:
    상기 좌식 싸이클(1)의 하부 프레임(2)으로부터 연장 설치되는 수직지지대(3)(4) 상에 일체 고정되는 고정프레임(10);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외부에 고정프레임(10)으로부터 전, 후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고, 내부로 관통되게 통공(21)을 구비하며, 안장(5)이 안착되게 체결부(22)(23)를 구비하는 이동프레임(20); 및
    상기 이동프레임(20) 상에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면서 통공(21)에 삽설되고, 회전력에 의해 고정프레임(10)을 가압하여 이동프레임(20)의 이동을 제한하여 고정하는 고정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이동프레임(20)의 내부에 삽설되면서 고정수단(30)의 가압력으로부터 고정프레임(10)을 보호하도록 보호재(25)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수단(30)은 고정프레임(10)을 가압하여 이동프레임(20)의 이동을 제한하게 통공(21) 상에 회전력에 의해 고정프레임(10)을 가압하게 절단부(31a) 및 접촉부(32b)를 구비하는 가압부(31)와, 상기 가압부(31)를 회전시키도록 구비하는 핸들(32)과, 회전된 가압부(31)를 통해 고정프레임(10)을 직접 가압하는 가압판(33)과, 상기 핸들(32)에 근접하여 가압부(31)의 회전반경을 설정하는 스토퍼(3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식 싸이클용 안장 조절기구.
  2. 삭제
  3. 삭제
KR1020130123161A 2013-10-16 2013-10-16 좌식 싸이클용 안장 조절기구 KR101471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3161A KR101471411B1 (ko) 2013-10-16 2013-10-16 좌식 싸이클용 안장 조절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3161A KR101471411B1 (ko) 2013-10-16 2013-10-16 좌식 싸이클용 안장 조절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1411B1 true KR101471411B1 (ko) 2014-12-10

Family

ID=52678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3161A KR101471411B1 (ko) 2013-10-16 2013-10-16 좌식 싸이클용 안장 조절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141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2998B1 (ko) * 2006-05-24 2007-07-26 지마인터내셔날 주식회사 노인용 헬스자전거
KR20110001545U (ko) * 2009-08-06 2011-02-14 김재범 입식 및 좌식 겸용 헬스자전거
KR20110009623U (ko) * 2010-04-05 2011-10-12 (주)콜리벤이엔지 싸이클 운동기구
KR20110113244A (ko) * 2010-04-09 2011-10-17 최철규 사이클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2998B1 (ko) * 2006-05-24 2007-07-26 지마인터내셔날 주식회사 노인용 헬스자전거
KR20110001545U (ko) * 2009-08-06 2011-02-14 김재범 입식 및 좌식 겸용 헬스자전거
KR20110009623U (ko) * 2010-04-05 2011-10-12 (주)콜리벤이엔지 싸이클 운동기구
KR20110113244A (ko) * 2010-04-09 2011-10-17 최철규 사이클 운동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216660A1 (en) Portable sit-stand elliptical exercise machine
TW200716235A (en) Stationary exercise bicycle
US20080054689A1 (en) Bicycle seat
US10682546B2 (en) Proper rowing technique
KR101572153B1 (ko) 하늘자전거 페달 운동기구
US9744401B2 (en) Multifunctional exercise machine
WO2004041367A3 (en) Apparatus using multi-directional resistance in exercise equipment
WO2010027972A3 (en) Adjustable user support platform for an inclinable exercise device and method of use
US20160082314A1 (en) Multi-functional exercise shaft device
US11324991B2 (en) Footrest for rowing machine
KR100831415B1 (ko) 자전거용 안장
TW200615019A (en) Training apparatus
KR101471411B1 (ko) 좌식 싸이클용 안장 조절기구
KR101499823B1 (ko) 입식 및 좌식 겸용 헬스자전거
DE69825719D1 (de) Wasserfahrrad
WO2007139855A3 (en) Exercise machine
CN203001815U (zh) 一种户外用脚踝力量训练器
CN204502301U (zh) 一种新型组合式体育健身器材
KR101108926B1 (ko) 복부마찰운동용 헬스기구
KR101203236B1 (ko) 운동기구
CN204034160U (zh) 坐躺训练器
KR20140024581A (ko) 자전거 실내운동 보조장치
US9162099B2 (en) Adductor and abductor exercise device
US9671062B2 (en) Adjusting group
CN202802086U (zh) 一种脑瘫儿童康复训练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