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9456U - 카트리지 방식을 이용한 다목적 잉크펜 - Google Patents

카트리지 방식을 이용한 다목적 잉크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9456U
KR20110009456U KR2020100003271U KR20100003271U KR20110009456U KR 20110009456 U KR20110009456 U KR 20110009456U KR 2020100003271 U KR2020100003271 U KR 2020100003271U KR 20100003271 U KR20100003271 U KR 20100003271U KR 20110009456 U KR20110009456 U KR 2011000945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unit
flow
fastened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32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상일
김희진
Original Assignee
서상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상일 filed Critical 서상일
Priority to KR20201000032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9456U/ko
Publication of KR201100094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945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2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or similar porous or capillary material
    • B43K8/03Ink reservoirs; Ink cart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2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or similar porous or capillary material
    • B43K8/028Movable closure or g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2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or similar porous or capillary material
    • B43K8/04Arrangements for feeding ink to writing-points
    • B43K8/06Wick feed from within reservoir to writing-points

Landscapes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잉크의 교체가 용이한 잉크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필기부와, 상기 필기부의 일측에 체결되는 유동부와, 잉크를 저장하고 상기 유동부와 분리가능하도록 체결되며, 상기 유동부의 일측이 내측으로 인입되는 잉크저장부를 포함하는 잉크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잉크펜{Ink pen}
본 고안은 잉크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교체가 용이한 잉크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잉크펜은 화이트보드나 종이 등에 판서를 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이때, 잉크펜은 수성 및 유성 잉크를 사용한다. 또한, 잉크펜은 잉크를 흡수하여 필기를 할 수 있는 촉심에 의해 잉크가 증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볼펜과는 달리 뚜겅을 형성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잉크펜은 수성 및 유성 잉크를 사용하는 별도의 통에 삽입하여 사용하였다. 따라서 수성 및 유성 잉크를 전부 사용하는 경우 잉크펜을 더 이상 사용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수성 및 유성 잉크를 보충하여 사용하였다. 이때, 사용자가 수성 및 유성 잉크를 보충할 때, 수성 및 유성 잉크가 외부로 흐르거나 넘치는 경우 사용자의 옷이나 가방 등이 오염되었다. 또한, 사용자는 별도의 용기에 수성 및 유성 잉크를 저장하였다가 잉크펜에 옮겨 담아야 하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떨어졌다.
본 고안은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잉크의 교체가 용이한 잉크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필기부와, 상기 필기부의 일측에 체결되는 유동부와, 잉크를 저장하고 상기 유동부와 분리가능하도록 체결되며, 상기 유동부의 일측이 내측으로 인입되는 잉크저장부를 포함하는 잉크펜을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잉크펜은 사용자의 편의에 의하여 잉크저장부를 교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된다.
또한, 사용자가 잉크저장부를 교체할 때, 잉크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으므로 주변을 오염시키지 않는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잉크펜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잉크저장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잉크펜을 분해하여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잉크펜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유동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잉크펜을 분해하여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잉크펜(100)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잉크저장부(130)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잉크펜(100)은 필기부(110)를 포함한다. 필기부(110)는 외부의 벽면, 화이트보드 등에 필기가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필기부(110)는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112)를 포함한다. 케이스(112)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필기부(110)는 케이스(112)의 내측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필기심부재(111)을 포함한다.
케이스(112)는 필기심부재(111)이 삽입되도록 필기심삽입홀(미표기)이 형성된다. 케이스(112)는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필기심삽입홀이 형성된 부분은 원뿔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필기심부재(111)은 일단이 상기 필기심삽입홀에 체결된다. 또한, 필기심부재(111)은 다단지게 형성된다. 필기심부재(111)은 삼단으로 형성된다. 이때, 필기심부재(111)의 삼단은 서로 폭이 상이하게 형성된다. 또한, 필기심부재(111)의 삼단은 필기심부재(111)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오면서 폭이 커지도록 형성된다.
잉크펜(100)은 필기부(110)의 일측에 체결되는 유동부(120)를 포함한다. 유동부(120)는 케이스(112)의 내측에 배치되는 유동부케이스(미표기)를 포함한다. 상기 유동부케이스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제 1 유동부케이스(121)를 포함한다. 유동부케이스(112)는 상기 개구부에 체결되는 제 2 유동부케이스(122)를 포함한다.
제 1 유동부케이스(121)는 다단지도록 형성된다. 이때, 제 1 유동부케이스(121)는 제 2 유동부케이스(122)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높아진다.
한편, 제 1 유동부케이스(121)의 양단에는 잉크주입홀(미표기)이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제 1 유동부케이스(121)의 일측에는 제 2 유동부케이스(122)가 체결된다. 제 2 유동부케이스(122)의 일측은 제 1 유동부케이스(121)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형성된다.
유동부(120)는 유동부케이스(112)의 내측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부(미표기)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필터부는 복수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필터부들은 상기 유동부케이스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 1 필터부(123)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개의 필터부들은 제 1 필터부(123)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 2 필터부(124)를 포함한다.
제 1 필터부(123)와 제 2 필터부(124)는 서로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제 2 필터부(124)는 제 2 유동부케이스(122) 측에 배치된다. 반면, 제 1 필터부(123)는 제 2 필터부(124)와 서로 인접하고 제 2 유동부케이스(122) 측의 반대쪽에 배치된다.
이때, 제 1 필터부(123)의 폭은 제 2 필터부(124)의 폭과 상이하게 형성된다. 제 1 필터부(123)의 폭은 제 2 필터부(124)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 1 필터부(123)는 잉크가 흡수되어 상기 잉크를 필기심부재(111)로 유동시킨다. 또한, 제 1 필터부(123)는 상기 잉크를 흡수하여 잉크가 계속해서 필기심부재(111)로 유동하도록 상기 잉크를 저장한다.
한편, 제 2 필터부(124)는 제 1 필터부(123)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잉크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제 2 필터부(124)는 제 1 필터부(123)와 서로 분리되어 상기 잉크를 차단한다.
잉크펜(100)은 상기 잉크를 저장하는 잉크저장부(130)를 포함한다. 잉크저장부(130)는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잉크가 저장된다.
잉크저장부(130)는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잉크가 저장되는 카트리지바디부(134)를 포함한다. 카트리지바디부(134)는 외측에서 내측을 볼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분이 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카트리지바디부(134)는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잉크저장부(130)는 카트리지바디부(134)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가이드부재(132)를 포함한다. 가이드부재(132)는 카트리지바디부(134)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돌기(132a)가 형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돌기(132a)는 복수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돌기들(132a)는 카트리지바디부(134)의 외측면에 배치된다.
가이드부재(132)는 카트리지바디부(134) 내측의 상기 잉크를 외부로 안내한다.
가이드부재(132)는 일측이 카트리지바디부(134)의 내측으로 일부분이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가이드부재(132)의 타측은 카트리지바디부(134)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카트리지바디부(134) 내측의 상기 잉크를 정확하게 외부로 안내한다.
한편, 잉크저장부(130)는 가이드부재(132)의 내측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차단부재(131)를 포함한다. 차단부재(131)는 구슬(미표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슬은 유리재질의 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차단부재(131)는 가이드부재(132)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카트리지바디부(134)와 체결된다. 이때, 사용자가 차단부재(131)에 힘을 가하면, 가이드부재(132)로부터 카트리지바디부(134)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이하에서는 잉크펜(100)의 조립과정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잉크펜(100)을 분해하여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조립자는 우선 잉크저장부(130)를 조립한다. 조립자는 상기 잉크를 카트리지바디부(134)에 삽입한다.
이때, 조립자는 차단부재(131)를 가이드부재(132)에 삽입한다. 가이드부재(132)의 내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이 차단부재(131)의 넓이보다 다소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조립자가 차단부재(131)를 가이드부재(132)에 삽입하면, 차단부재(131)는 가이드부재(132)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체결된다.
한편, 조립자는 가이드부재(132)를 카트리지바디부(134)에 체결한다. 가이드부재(132)의 돌기(132a)는 카트리지바디부(134)의 외측면에 안착된다.
따라서 차단부재(131)는 가이드부재(132)에 형성된 개구부를 폐쇄하므로 카트리지바디부(134)의 상기 잉크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다.
조립자는 유동부(120)를 조립한다. 조립자는 제 1 유동부케이스(121)에 제 1 필터부(123)를 삽입한다. 조립자는 제 1 필터부(123) 일측으로 제 2 필터부(124)를 제 1 유동부케이스(121)에 삽입한다. 제 1 필터부(123)와 제 2 필터부(124)는 서로 접촉한다.
한편, 조립자는 제 1 유동부케이스(121)에 제 2 유동부케이스(122)를 체결한다. 제 2 유동부케이스(122)는 제 1 유동부케이스(121)의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형성되어 제 2 필터부(124)에 힘을 가한다.
따라서 제 2 필터부(124)는 제 1 필터부(123)와 접촉하여 고정된다. 또한, 제 2 유동부케이스(122)는 제 1 필터부(123) 및 제 2 필터부(124)가 제 1 유동부케이스(12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조립자는 필기부(110)를 조립한다. 조립자는 케이스(112)에 필기심부재(111)를 삽입한다. 필기심부재(111)는 상기 잉크를 용이하게 흡수하는 재질로 형성된다.
조립자가 필기심부재(111)를 케이스(112)에 삽입하면, 필기심부재(111)의 일측은 케이스(112)의 외측에 돌출된다. 또한, 필기심부재(111)의 타측은 케이스(112)의 내측에 삽입된다.
이때, 필기심부재(111)의 타측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단으로 형성된다. 필기심부재(111)의 타측은 제 2 유동부케이스(122)에 삽입된다.
제 2 유동부케이스(122)에 삽입된 필기심부재(111)의 타측은 제 2 필터부(124)의 일측과 접촉한다. 따라서 필기심부재(111)는 제 2 필터부(124)의 상기 잉크와 용이하게 접촉하여 흡수할 수 있다.
한편, 조립자는 유동부(120)와 필기부(110)를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조립한다. 조립자는 상기의 조립이 완료되면, 유동부(120)를 잉크저장부(130)와 체결한다.
조립자가 유동부(120)를 회전시키면 유동부(120)는 잉크저장부(130)에 체결된다. 이때, 제 1 유동부케이스(121)는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제 1 유동부케이스(121)의 돌출되는 부분은 가이드부재(132)에 삽입되도록 체결된다. 상기 돌출되는 부분이 가이드부재(132)에 삽입되면, 차단부재(131)는 카트리지바디부(134)의 내측으로 밀린다. 따라서 차단부재(131)는 가이드부재(132)를 개방한다.
이때, 카트리지바디부(134)에 저장되어 있는 잉크는 가이드부재(132)를 통하여 제 1 유동부케이스(121)로 유동한다. 상기 잉크는 제 1 필터부(123)에 흡수된다.
또한, 상기 잉크는 제 1 필터부(123)를 유동하여 제 2 필터부(124)로 흡수된다. 상기 잉크는 제 2 필터부(124)로부터 흡수되어 필기심부재(111)로 유동한다.
상기 잉크는 필기심부재(111)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의 과정을 거쳐 용이하게 칠판, 벽면, 종이 등에 판서한다.
한편, 잉크펜(100)을 사용하다가 상기 잉크가 응고되거나 덩어리가 형성되는 경우, 사용자는 잉크펜(100)을 흔들게 된다.
이때, 차단부재(131)는 카트리지바디부(134)의 내측을 유동하여 상기 잉크에 힘을 가하여 상기 응고된 상태를 물리적으로 해소시킨다. 또한, 상기 덩어리가 형성된 경우에도 차단부재(131)는 상기 덩어리를 분쇄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잉크펜(100)을 사용하다가 상기 잉크가 응고되거나 덩어리가 형성된 경우에도 신속하고 용이하게 상기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잉크펜(100)을 사용하다가 상기 잉크가 고갈되는 경우 사용자는 잉크저장부(130)를 유동부(120)로부터 분리한다. 이때, 사용자는 잉크저장부(130)를 분리하면, 차단부재(131)가 가이드부재(132)를 다시 폐쇄시킨다.
따라서 사용자가 잉크저장부(130)를 유동부(120)로부터 분리하더라 상기 잉크로 인한 외부 오염을 현저하게 저감시킨다.
한편, 사용자가 잉크저장부(130)를 교체하는 경우, 사용자는 다른 잉크저장부(130)를 유동부(120)에 체결한다. 이때, 잉크저장부(130)에는 잉크저장부캡(미도시)이 체결된다.
사용자는 상기 잉크저장부캡을 분리한 후 잉크저장부(130)를 유동부(120)에 체결한다. 잉크저장부(130)와 유동부(120)의 결합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한 방법으로 수행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잉크저장부(130)를 용이하게 교체함으로써 잉크펜(100)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잉크저장부(130)를 교체하여 사용하므로 잉크펜(100)을 다시 생산하지 않으므로 자원의 낭비를 막을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잉크펜(200)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유동부(220)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잉크펜(200)은 상기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형성되는 필기부(210)와 잉크저장부(23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필기부(210)와 잉크저장부(230)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잉크펜(200)은 필기부(210)의 일측에 체결되는 유동부(220)를 포함한다. 유동부(220)는 외관을 형성하는 유동부케이스(미표기)를 포함한다. 상기 유동부케이스는 상기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유동부케이스(221)와 제 2 유동부케이스(222)를 포함한다.
제 1 유동부케이스(221)와 제 2 유동부케이스(222)를 서로 체결된다. 이때, 제 2 유동부케이스(222)는 일측이 제 1 유동부케이스(221)의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형성된다.
유동부(220)는 제 1 유동부케이스(221)의 내측에 삽입되어 배치되는 잉크조절부(226)를 포함한다. 잉크조절부(226)는 타측이 제 1 유동부케이스(221)의 내측에 삽입되도록 배치되고, 일측은 제 2 유동부케이스(222)에 지지되도록 형성된다.
잉크조절부(226)는 선택에 따라 제 2 유동부케이스(222)로부터 유출되는 상기 잉크를 제어한다. 잉크조절부(226)의 일측에는 필기심부재(211)가 체결된다.
한편, 유동부(220)는 잉크조절부(226)의 일측에 체결되는 실리콘링(225)을 포함한다. 실리콘링(225)는 잉크조절부(226)의 타측에 체결되어 제 2 유동부케이스(222)를 밀폐시킨다.
유동부(220)는 잉크조절부(226)의 타측에 삽입되도록 체결되는 탄성부(227)를 포함한다. 탄성부(227)는 압축스프링(미표기)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편의에 따라 필기심부재(211)를 왕복운동시킬 수 있다.
잉크펜(200)은 잉크저장부(230)의 외측에 배치되어 필기부(210)와 체결되는 하우징(2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260)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잉크저장부(23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잉크펜(200)은 하우징(260)의 일측에 체결되는 캡(2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캡(250)은 하우징(260)의 개구된 일측을 폐쇄한다. 따라서 하우징(260)의 내측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카트리지바디부(234)가 파손되는 경우 상기 잉크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잉크펜(200)은 필기부(210)와 체결되는 커버(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240)는 안전을 위하여 일측에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잉크펜(200)의 조립과정과 사용방법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잉크펜(200)을 분해하여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조립자는 상기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잉크저장부(230) 및 필기부(210)를 조립한다.
이때, 조립자는 유동부(220)를 조립한다. 조립자는 잉크조절부(226)의 타측에 탄성부(227)를 삽입한다. 또한, 조립자는 잉크조절부(226)의 일측에 실리콘링(225)을 체결한다. 잉크조절부(226)의 일측에는 실리콘링(225)이 체결되도록 실리콘링체렬홈(226a)이 형성된다.
한편, 조립자는 잉크조절부(226)를 제 1 유동부케이스(221)에 삽입한다. 이때, 잉크조절부(226)의 적어도 일부분은 제 1 유동부케이스(221)의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조립자는 상기의 과정이 완료되면, 제 1 유동부케이스(221)와 제 2 유동부케이스(222)를 체결한다. 이때, 제 2 유동부케이스(222) 일측에는 잉크조절부(226)의 일측이 접촉한다.
또한, 제 2 유동부케이스(222)의 일측과 실리콘링(225)이 접촉한다. 따라서 제 2 유동부케이스(222)에 형성된 유동홀을 실리콘링(225) 및 잉크조절부(226)가 폐쇄한다.
한편, 조립자는 유동부(220)의 조립이 완료되면, 유동부(220)를 필기부(210)와 체결한다. 또한, 조립자는 유동부(220)를 잉크저장부(230)와 체결한다.
이때, 유동부(220)가 잉크저장부(230)에 삽입되도록 체결되어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단부재(231)에 힘을 가한다. 차단부재(231)가 카트리지바디부(234)의 내측으로 밀리면서 유동부(220)는 잉크저장부(230)에 체결된다.
조립자는 잉크저장부(230)를 체결한 후, 하우징(260)을 필기부(210)에 체결한다. 이때, 하우징(260)의 일측에는 캡(250)이 체결되어 하우징(260)을 밀폐한다.
또한, 조립자는 상기의 과정이 완료되면, 필기부(210)의 일측에 커버(240)를 체결한다. 커버(240)는 필기심부재(211)로부터 상기 잉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사용자가 잉크펜(200)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잉크펜(200)으로 칠판, 화이트보드, 벽면 또는 종이 등에 판서를 한다.
사용자가 잉크펜(200)을 사용하다가 상기 잉크가 잘 나오지 않는 경우, 사용자는 필기심부재(211)를 누른다.
이때, 필기심부재(211)는 유동부(220) 및 필기부(210)의 내측으로 인입된다. 필기심부재(211)는 인입되면서, 제 2 유동부케이스(222)에 형성되어 있는 홀을 개방한다.
상기 홀이 개방되면, 제 1 유동부케이스(221) 및 제 2 유동부케이스(222) 내측의 잉크가 필기심부재(211)와 접촉한다. 따라서 상기 잉크가 필기심부재(211)에 흡입된다.
사용자가 잉크펜(200)에 가한 힘을 제거하면, 탄성부(227)는 압축되어 잉크주입부(226)를 필기심부재(211) 측으로 힘을 가한다.
이때, 필기심부재(211)는 원위치로 되돌아 간다. 실리콘링(225) 및 잉크주입부(226)는 상기 홀을 폐쇄한다. 따라서 필기심부재(211)는 상기 잉크와 차단된다.
한편, 상기 잉크가 응고되거나 덩어리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잉크펜(200)을 흔든다.
잉크펜(200)이 흔들리면서, 차단부재(231)가 카트리지바디부(234)를 유동한다. 따라서 차단부재(231)는 응고되거나 덩어리가 형성된 상기 잉크를 사용가능한 상태로 유지한다.
사용자가 상기와 같이 잉크펜(200)을 사용하다가 상기 잉크가 고갈되면, 새로운 잉크저장부(230)로 교체한다. 이때, 사용자는 캡(250)을 하우징(260)으로부터 분리한다. 또한, 사용자는 하우징(260)을 필기부(210)로분터 분리한다. 사용자는 하우징(260)을 필기부(210)로부터 분리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새로운 잉크저장부(230)는 하우징(260)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잉크저장부(230)이 하우징(260)에 고정되는 경우, 하우징(260)의 일단에는 하우징캡(미도시)가 체결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새로운 잉크저장부(230)로 교체하는 경우 하우징(260)과 잉크저장부(230)를 유동부(22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하우징캡을 하우징(260)으로부터 분리한 후 유동부(220)와 체결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잉크저장부(230)를 캡(250)을 분리하여 교체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사용자가 잉크저장부(230)를 유동부(220)로부터 분리하면, 차단부재(231)가 실링부재(233)를 폐쇄한다.
이때, 새로운 잉크저장부(23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잉크저장부캡과 체결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잉크저장부캡을 분리한 후 새로운 잉크저장부(230)를 유동부(220)에 체결한다.
이때, 잉크저장부(230)의 차단부재(231)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바디부(234)의 내측을 이동한다.
사용자는 잉크저장부(230)를 교체한 후 캡(250)을 하우징(260)에 체결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잉크저장부(230)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한편, 잉크펜(200)은 잉크저장부(230)를 통하여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잉크펜(200)을 별도로 생산하기 위하여 낭비되는 자원 및 비용을 절감시킨다.
또한, 상기 잉크를 잉크저장부(230)에 저장하여 교체하므로, 상기 잉크의 교체 시 발생하는 외부 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다.
100,200 : 잉크펜 122,222 : 제 2 유동부케이스
110,210 : 필기부 130,230 : 잉크저장부
111,211 : 필기심부재 131,231 : 차단부재
112,212 : 케이스 132,232 : 가이드부재
120,220 : 유동부 134,234 : 카트리지바디부
121,221 : 제 1 유동부케이스 233 : 실링부재

Claims (11)

  1. 필기부와,
    상기 필기부의 일측에 체결되는 유동부와,
    잉크를 저장하고 상기 유동부와 분리가능하도록 체결되며, 상기 유동부의 일측이 내측으로 인입되는 잉크저장부를 포함하는 잉크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기부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측으로 삽입되어 체결되는 필기심을 포함하는 잉크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동부는,
    상기 유동부케이스와,
    상기 유동부케이스 내측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부를 포함하는 잉크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필터부는 복수개를 포함하고,
    복수개의 필터부는,
    제 1 필터부와,
    상기 제 1 필터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 2 필터부를 포함하는 잉크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1 필터부와 상기 제 2 필터부의 폭은 서로 상이한 잉크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1 필터부의 폭은 상기 제 2 필터부의 폭보다 작은 잉크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동부는,
    유동부케이스와,
    상기 유동부케이스의 내측에 배치되는 잉크조절부와,
    상기 잉크조절부의 일측에 체결되는 실리콘링과,
    상기 잉크조절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잉크조절부의 타측에 체결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잉크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잉크저장부는,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잉크가 주입되고 저장되는 카트리지바디부와,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어 체결되고, 상기 카트리지바디부 내측의 잉크를 외부로 안내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 내측에 체결되는 실링부재와,
    상기 실링부재의 내측에 체결되어 상기 카트리지바디부로부터 상기 잉크의 유출을 차단하는 차단부재를 포함하는 잉크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는 구형의 구슬을 포함하는 잉크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잉크저장부가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필기부와 체결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잉크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체결되는 하우징캡을 더 포함하는 잉크펜.
KR2020100003271U 2010-03-30 2010-03-30 카트리지 방식을 이용한 다목적 잉크펜 KR2011000945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271U KR20110009456U (ko) 2010-03-30 2010-03-30 카트리지 방식을 이용한 다목적 잉크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271U KR20110009456U (ko) 2010-03-30 2010-03-30 카트리지 방식을 이용한 다목적 잉크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456U true KR20110009456U (ko) 2011-10-06

Family

ID=45597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3271U KR20110009456U (ko) 2010-03-30 2010-03-30 카트리지 방식을 이용한 다목적 잉크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9456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4729B1 (ko) * 2012-04-30 2013-02-19 서상일 카트리지타입 잉크저장부가 구비되는 필기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4729B1 (ko) * 2012-04-30 2013-02-19 서상일 카트리지타입 잉크저장부가 구비되는 필기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132120A (ja) 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インク供給装置
KR100916381B1 (ko) 마커펜
KR20110009456U (ko) 카트리지 방식을 이용한 다목적 잉크펜
JPH09202091A (ja) インク補給具及びマーキングペン
KR101587997B1 (ko) 연속필기 가능한 마커펜
KR101206631B1 (ko) 펜 중간연결체 및 이를 이용한 잉크펜
KR200366065Y1 (ko) 액체성 s자형필기도구
KR200280149Y1 (ko) 보드 잉크 펜
KR102603811B1 (ko) 샤프식 페인트 마카펜
KR101057862B1 (ko) 잉크의 이중 수용구조를 구비한 마커 펜
KR200300746Y1 (ko) 잉크펜 구조
JP5771101B2 (ja) 筆記具用インキカートリッジ及びそれを収容した筆記具
KR100507047B1 (ko) 잉크펜 구조
KR102311770B1 (ko) 물칠판 지우개
US20190160852A1 (en) Knock type pen
KR20060013341A (ko) 액체성 에스자형필기도구
KR101961543B1 (ko) 칠판지우개
JP3173643U (ja) ホワイトボード用筆マーカー
EP0696966A1 (en) Method for filling a cartridge with fluid and cartridge for use therein
JP3184746U (ja) 毛筆用穂先揃え器
CN211251996U (zh) 一种白板擦
KR200178286Y1 (ko) 잉크유출구가 형성된 필기구
JP2552156Y2 (ja) 筆記具
JP2022106035A (ja) 詰め替え容器
JP5006160B2 (ja) 多芯筆記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