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9258U - 회전식 절첩 파라솔 - Google Patents

회전식 절첩 파라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9258U
KR20110009258U KR2020100003017U KR20100003017U KR20110009258U KR 20110009258 U KR20110009258 U KR 20110009258U KR 2020100003017 U KR2020100003017 U KR 2020100003017U KR 20100003017 U KR20100003017 U KR 20100003017U KR 20110009258 U KR20110009258 U KR 2011000925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hole
spring
guide
parasol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30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8166Y1 (ko
Inventor
김송수
Original Assignee
김송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송수 filed Critical 김송수
Priority to KR20201000030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8166Y1/ko
Publication of KR201100092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925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81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816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3/00Other umbrella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9/00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 A45B19/10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with collapsible rib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06Umbrella runners
    • A45B25/08Devices for fastening or lock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0Umbrella crow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3/00Other umbrellas
    • A45B2023/0031Cantilever umbrellas or sunshades with a support arm
    • A45B2023/0037Cantilever umbrellas or sunshades with a support arm the support arm being attached to the stick or to the crown, the canopy being suspended there below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3/00Other umbrellas
    • A45B2023/0031Cantilever umbrellas or sunshades with a support arm
    • A45B2023/0075Cantilever umbrellas or sunshades with a support arm the support arm being rotatable about a vertical axis for adjusting the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0Umbrella crowns
    • A45B2025/105Umbrella crowns movable with respect to the shaft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자가 회전체를 회전시켜 많은 힘을 들이지 않고 쉽게 파라솔을 펼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파라솔을 대형으로 제작할 수 있는 회전식 절첩 파라솔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회전식 절첩 파라솔은,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외주면에 가이드공이 구비된 지주대와; 상기 지주대의 상부에 고정 장착된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지주대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이동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힌지결합된 제1살대와; 상기 이동부재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1살대와 연결된 제2살대와; 상기 제1살대 및 상기 제2살대의 상부를 덮는 차양막과; 상기 지주대에 회전되게 장착된 회전부재와; 상기 지주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공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가이드핀과; 상기 지주대의 내부에 삽입 배치되며, 상기 회전부재에 고정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핀과 접하여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시 상기 가이드핀을 상하 이동시키는 코일 형상의 스프링;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회전식 절첩 파라솔 { Rotary Type Parasol }
본 고안은 회전식 절첩 파라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회전력을 상하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여 파라솔을 절첩할 수 있는 회전식 절첩 파라솔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파라솔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래사장 등의 바닥에 직접 꽂거나 또는 테이블 등에 끼워져 지지되는 지지봉(1)과, 상기 지지봉(1)의 상단에 고정되는 상부살통(2)과, 상기 지지봉(1)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는 하부살통(3)과, 상기 상부살통(2)에 회전가능하게 방사상으로 연결되어 차양천(4)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살대(5)와, 상기 살대(5)와 하부살통(3)에 그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다수개의 받침살대(6)와, 상기 지지봉(1)의 상부에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하부살통(3)의 이동을 단속하는 스토퍼(7)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파라솔은 사용자가 도 1에서와 같이 하부살통(3)이 스토퍼(7)에 걸릴 때까지 하부살통(3)을 손으로 잡고 상부로 밀어 올리면, 받침살대(6)가 동시에 상부로 이동하게 되므로 살대(5) 및 차양천(4)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파라솔이 펼쳐진 상태에서 스토퍼(7)를 손으로 눌러 하부살통(3)의 로킹을 해지시킨 상태에서 하부살통(3)을 손으로 잡고 하부로 내리면 받침살대(6)가 하부로 동시에 이동하게 되므로 펼쳐진 살대(5) 및 차양천(4)은 접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파라솔은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시 사용자가 하부살통(3)을 손으로 잡고 힘을 가하여 상부로 밀어 올리거나 밑으로 내리면서 파라솔을 수동으로 펴거나 접어야 하는 불편함과 어려움이 있었으며, 특히 크기가 큰 파라솔의 경우 사용자가 혼자서는 파라솔을 용이하게 펴고 접을 수 없는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파라솔은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시 사용자가 일일이 손으로 잡고 수작업으로 파라솔을 펴거나 접을 수 있는 소정의 크기로 한정되어 제작되기 때문에, 즉 파라솔 제작시 사용자가 수동으로 파라솔을 용이하게 펴거나 접을 수 있는 크기로 한정되어 제작되기 때문에 파라솔을 대형으로 제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회전체를 회전시켜 많은 힘을 들이지 않고 쉽게 파라솔을 펼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파라솔을 대형으로 제작할 수 있는 회전식 절첩 파라솔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회전식 절첩 파라솔은,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외주면에 가이드공이 구비된 지주대와; 상기 지주대의 상부에 고정 장착된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지주대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이동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힌지결합된 제1살대와; 상기 이동부재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1살대와 연결된 제2살대와; 상기 제1살대 및 상기 제2살대의 상부를 덮는 차양막과; 상기 지주대에 회전되게 장착된 회전부재와; 상기 지주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공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가이드핀과; 상기 지주대의 내부에 삽입 배치되며, 상기 회전부재에 고정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핀과 접하여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시 상기 가이드핀을 상하 이동시키는 코일 형상의 스프링;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가이드공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회전부재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스프링의 상하 길이는 상기 회전부재에서 상기 가이드공의 상단까지의 상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공은 상호 평행하게 형성된 제1가이드공 및 제2가이드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핀은 일단이 상기 제1가이드공을 관통하여 상기 이동부재와 연결되고, 중심부가 상기 스프링에 삽입 배치되며, 타단이 상기 제2가이드공을 관통하여 상기 이동부재와 연결된다.
상기 가이드공은 상호 평행하게 형성된 제1가이드공 및 제2가이드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핀은, 일단이 상기 이동부재에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제1가이드공을 관통하여 상기 스프링에 삽입되는 제1연결핀과; 일단이 상기 이동부재에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제2가이드공을 관통하여 상기 스프링에 삽입되는 제2연결핀;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회전식 절첩 파라솔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상기 스프링은 코일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핀과 접하여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시 상기 가이드핀을 상하 이동시킴으로써, 사용자가 회전력을 이용하여 큰 힘을 주지 않고도 상기 이동부재를 상하 이동시켜 파라솔을 쉽고 편리하게 절첩시킬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해 종래에 사용자가 절첩할 수 있는 파라솔의 크기 보다 좀 더 큰 파라솔을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스프링의 상하 길이는 상기 회전부재에서 상기 가이드공의 상단까지의 상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가이드핀이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부재를 계속 회전시켰을 때 상기 스프링이 압축되어 상기 가이드핀을 지탱하는 탄성력을 증가시키고, 이로 인해 별도의 고정 장치 없이 파라솔이 바람 등에 의해 임의로 절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구조를 간단하게 하고,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을 다양하게 조절하여 사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핀은 일단이 상기 제1가이드공을 관통하여 상기 이동부재와 연결되고, 중심부가 상기 스프링에 삽입 배치되며, 타단이 상기 제2가이드공을 관통하여 상기 이동부재와 연결됨으로써, 구성을 간단하게 하여 조립을 편리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가이드핀은 상기 제1가이드공을 관통하여 상기 스프링에 삽입되는 제1연결핀과, 상기 제2가이드공을 관통하여 상기 스프링에 삽입되는 제2연결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제1연결핀 및 상기 제2연결핀이 기울어 지지하고 서로 평행하게 각각 상하 이격 되어 상기 스프링과 접하여 구조를 안정적으로 하고, 이로 인해 상기 이동부재의 상하 이동을 매끄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절첩 파라솔의 구조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절첩 파라솔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절첩 파라솔의 분해 사시도,
도 4 내지 도 7 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절첩 파라솔의 동작 과정도,
도 8 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절첩 파라솔의 구조도,
도 9 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절첩 파라솔의 구조도,
도 10 및 도 11 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절첩 파라솔의 설치 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절첩 파라솔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절첩 파라솔의 분해 사시도, 도 4 내지 도 7 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절첩 파라솔의 동작 과정도, 도8 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절첩 파라솔의 구조도, 도 9 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절첩 파라솔의 구조도, 도 10 및 도 11 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절첩 파라솔의 설치 상태도이다.
도 2 내지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절첩 파라솔은 지주대(100), 고정부재(200), 이동부재(300), 제1살대(400), 제2살대(500), 차양막(600), 회전부재(700), 가이드핀(800) 및 스프링(9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지주대(100)는 상, 하단이 각각 개방된 중공의 원통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지주대(100)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200) 및 상기 이동부재(300)가 각각 장착된다.
또한 상기 지주대(100)의 외주면에는 가이드공(110)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공(110)은 상하 방향으로 긴 장공 형상으로 형성되며, 구체적으로 제1가이드홈(111)과 제2가이드홈(11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가이드홈(111)과 상기 제2가이드홈(112)은 서로 평행하게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지주대(100)의 내측과 외측을 관통되게 이루어지며, 서로 연통된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제1가이드홈(111)과 상기 제2가이드홈(112)은 각각 다수개로 이루어져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가이드공(110)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핀(800)이 삽입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핀(800)을 상기 이동부재(300)의 이동방향, 즉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 한다.
또한 상기 지주대(100)의 하단에는 걸림핀(120)이 장착된다.
상기 걸림핀(120)은 상기 지주대(100)의 하단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장착된다.
이러한 상기 걸림핀(12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재(700)의 걸림홈(710)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부재(70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한다.
상기 고정부재(200)는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단은 상방향으로 갈수록 지름이 점점 작아지는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주대(100)의 상단에 고정 장착되어 상기 지주대(100)의 상단을 밀폐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200)에는 외주면을 따라 상기 제1살대(400)가 힌지결합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200)에는 상기 차양막(600)의 내주연이 결합 고정된다.
상기 이동부재(300)는 중공의 원통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부재(20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지주대(100)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부재(300)는 몸체(310)와 커버(320)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310)는 중공의 원통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지주대(100)에 상하 이동되게 장착된다.
또한 상기 몸체(310)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2살대(500)의 일단이 삽입 배치되는 제1장착홈(311)이 다수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310)의 상단에는 상기 가이드핀(800)이 장착되는 제2장착홈(312)이 형성된다.
상기 제2장착홈(312)은 좌우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커버(320)는 중공의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310)의 상단에 나사결합된다.
또한 상기 커버(320)는 상기 제1장착홈(311)의 상단을 차단하여 상기 제2살대(500)의 일단이 상기 몸체(310)에서 이탈하는 것을 저지한다.
상기 제1살대(400)는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탄력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고, 일단이 상기 고정부재(200)에 힌지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1살대(400)의 타단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차양막(600)이 결합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1살대(400)의 길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2살대(500)의 길이보다 길다.
이러한 상기 제1살대(400)는 상기 이동부재(300)의 상하 이동시 상기 지주대(100)의 상하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제2살대(500)는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탄력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2살대(500)는 일단이 상기 이동부재(300)에 힌지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제1살대(400)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 힌지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2살대(500)는 상기 제1살대(400)의 하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제2살대(500)는 상기 이동부재(300)의 상하 이동시 상기 제1살대(400)와의 힌지결합점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차양막(600)은 상기 제1살대(400) 및 상기 제2살대(500)의 상부를 덮는 방수재질의 천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차양막(600)은 삼각형 형상의 다수개의 천을 원주 방향으로 이어 붙인 것이다.
이러한 차양막(600)은 내주연이 상기 고정부재(200)에 결합 고정되고, 외주연이 상기 제1살대(400)의 타단에 결합 고정된다.
상기 회전부재(700)는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주대(100)의 하단에 회전되게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부재(700)의 상단은 지름이 상기 지주대(100)의 내주면 지름과 같거나 작게 형성되어 상기 지주대(100)의 하단에 삽입 배치되며, 하단은 상기 지주대(100)의 내주면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지주대(100)의 하단에 돌출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재(700)의 상단에는 외주면을 따라 걸림홈(710)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홈(710)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주대(100)의 하단에 장착된 상기 걸림핀(120)이 삽입되어 상기 회전부재(70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게 한다.
한편 상기 가이드핀(800)은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지주대(100)의 내부에 삽입 배치되고, 상기 이동부재(300)와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공(110)을 따라 상하 이동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핀(800)은 1개로 이루어지고, 일단이 상기 제1가이드홈(111)을 관통하여 상기 이동부재(300)의 내측에 고정 장착되며, 중심부가 상기 지주대(100)의 내부에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제2가이드홈(112)을 관통하여 상기 이동부재(300)의 내측에 고정 장착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핀(800)의 중심부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900)에 좌우 방향으로 삽입 배치되어 상기 스프링(900)을 이루는 선재와 접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핀(800)은 상기 스프링(900)의 좌우 양단의 높이 차에 의해 비스듬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가이드핀(800)은 상기 스프링(900)의 회전시 상기 스프링(900)을 이루는 선재와 접하면서 상기 제1가이드홈(111) 및 상기 제2가이드홈(112)을 따라 상하 이동한다.
이와 같이 상기 가이드핀(800)은 일단이 상기 제1가이드홈(111)을 관통하여 상기 이동부재(300)와 연결되고, 중심부가 상기 스프링(900)에 삽입 배치되며, 타단이 상기 제2가이드홈(112)을 관통하여 상기 이동부재(300)와 연결됨으로써, 구성을 간단하게 하여 조립을 편리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가이드핀(800)은 2개로 이루어져 상하 방향으로 높이가 다르게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가이드핀(80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결핀(810)과 제2연결핀(8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연결핀(810)은 일단이 상기 이동부재(300)에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제1가이드홈(111)을 관통하여 상기 스프링(900)에 삽입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제1연결핀(810)은 하단이 상기 스프링(900)을 이루는 선재와 접하며, 상기 스프링(900)의 회전시 상기 스프링(900)을 이루는 선재와 접하면서 상기 제1가이드홈(111)을 따라 상하 이동한다.
상기 제2연결핀(820)은 일단이 상기 이동부재(300)에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제2가이드홈(112)을 관통하여 상기 스프링(900)에 삽입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연결핀(820)은 상기 제1연결핀(810)보다 하부에 배치된다.
즉 상기 제2연결핀(820)은 상기 제1연결핀(810)과 상하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제2연결핀(820)은 하단이 상기 스프링(900)을 이루는 선재와 접하며, 상기 스프링(900)의 회전시 상기 스프링(900)을 이루는 선재와 접하면서 상기 제2가이드홈(112)을 따라 상하 이동한다.
이와 같이 상기 가이드핀(800)은 상기 제1가이드홈(111)을 관통하여 상기 스프링(900)에 삽입되는 제1연결핀(810)과, 상기 제2가이드홈(112)을 관통하여 상기 스프링(900)에 삽입되는 제2연결핀(8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제1연결핀(810) 및 상기 제2연결핀(820)은 상기 지주대(100)의 길이 방향에 대해 기울어 지지않고 수직을 이루며, 각각 상하 이격 배치된 상태로 상기 스프링(900)과 접하여 상기 스프링(990)과 상기 가이드핀(800)의 연결구조를 안정적으로 하고, 이로 인해 상기 이동부재(300)의 상하 이동을 매끄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스프링(900)은 코일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900)은 상기 지주대(100)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회전부재(700)의 상부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900)은 하단이 상기 회전부재(700)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부재(700)의 회전시 함께 회전한다.
이러한 상기 스프링(900)은 상기 가이드핀(800)과 접하여 상기 회전부재(700)의 회전시 상기 가이드핀(800)을 상하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스프링(900)은 코일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핀(800)과 접하여 상기 회전부재(700)의 회전시 상기 가이드핀(800)을 상하 이동시킴으로써, 사용자가 회전력을 이용하여 큰 힘을 주지 않고도 상기 이동부재(300)를 상하 이동시켜 파라솔을 쉽고 편리하게 절첩시킬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해 종래에 사용자가 수동으로 절첩할 수 있는 파라솔의 크기보다 좀 더 큰 파라솔을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900)의 상하 길이는 상기 회전부재(700)에서 상기 가이드공(110)의 상단까지의 상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즉 상기 스프링(900)의 상단은 상기 가이드공(11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부재(200)와 접하고, 하단은 상기 회전부재(700)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부재(700)에서 상기 가이드공(100)의 상단까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스프링(900)은 상기 가이드핀(800)이 상기 가이드공(100)의 상단과 접하여 정지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부재(700)를 계속 회전시키면 상기 가이드핀(800)의 하방향으로 압축되면서 이동하여 상기 가이드핀(800)을 상방향으로 지탱하는 탄성력을 증가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스프링(900)의 상하 길이는 상기 회전부재(700)에서 상기 가이드공(110)의 상단까지의 상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가이드핀(800)이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부재(700)를 계속 회전시켰을 때 상기 스프링(900)이 압축되어 상기 가이드핀(800)을 지탱하는 탄성력을 증가시키고, 이로 인해 별도의 고정장치 없이 파라솔이 바람 등에 의해 임의로 절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구조를 간단하게 하며, 상기 스프링(900)의 탄성력을 다양하게 조절하여 사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위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절첩 파라솔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도 4(a) 및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절첩 파라솔이 접힌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4(b),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절첩 파라솔이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부재(300)가 하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살대(400)의 타단과 상기 제2살대(500)의 타단은 각각 상기 지주대(100)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차양막(600)은 접혀진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핀(800)은 상기 가이드공(110)의 하단면과 접하여 정지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재(700)를 오른쪽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스프링(900)은 상기 회전부재(700)와 함께 오른쪽으로 회전한다.
상기 스프링(900)은 오른쪽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가이드핀(800)을 상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이동부재(300)는 상기 가이드핀(800)과 함께 상기 가이드공(110)을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제1살대(400)의 타단과 상기 제2살대(500)의 타단은 상기 지주대(10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차양막(600)을 펼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핀(800)이 상기 가이드공(110)의 상단면과 접하면 상기 이동부재(300)는 정지하고, 상기 가이드핀(800)은 상기 스프링(900)의 의해 탄성 지지되어 임의로 하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게 지지 된다.
이 후 바람이 강하게 불 때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재(700)를 오른쪽 방향으로 좀더 회전시킨다.
그러면 상기 스프링(900)은 상기 가이드핀(800)의 하부로 압축되면서 이동하고, 상기 가이드핀(800)은 상기 스프링(900)이 복원하려는 탄성력에 의해 상방향으로 좀더 많은 탄성력을 받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스프링(900)의 상하 길이는 상기 회전부재(700)에서 상기 가이드공(110)의 상단까지의 상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가이드핀(800)이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부재(700)를 계속 회전시켰을 때 상기 스프링(900)이 압축되어 상기 가이드핀(800)을 지탱하는 탄성력을 증가시키고, 이로 인해 파라솔이 바람 등에 의해 임의로 절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스프링(900)의 탄성력을 다양하게 조절하여 사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900)은 코일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핀(800)과 접하여 상기 회전부재(700)의 회전시 상기 가이드핀(800)을 상하 이동시킴으로써, 사용자가 회전력을 이용하여 큰 힘을 주지 않고도 상기 이동부재(300)를 상하 이동시켜 파라솔을 쉽고 편리하게 절첩시킬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해 종래에 사용자가 수동으로 절첩할 수 있는 파라솔의 크기보다 좀 더 큰 파라솔을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경우에 따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살대(400)는 일단이 상기 고정부재(200)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살대(500)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제2살대(500)는 일단이 상기 이동부재(300)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차양막(600)은 내주연이 상기 고정부재(200)에 결합되고 외주연이 상기 제2살대(500)의 타단과 연결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도 8(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재(700)를 왼쪽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이동부재(300)가 하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1살대(400)의 타단과 상기 제2살대(500)의 타단이 상기 지주대(10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차양막(600)이 펼쳐진다.
이때 상기 차양막(600)은 상면이 오목하게 굴곡진 정자형으로 펼쳐져 디자인을 예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회전식 절첩 파라솔은 상기 차양막(600)이 접힌 상태의 가이드핀(800)의 위치를 하사점이라고 하고, 상기 차양막(600)이 펼쳐진 상태의 가이드핀(800)의 위치를 상사점이라고 했을 때, 비바람에 의해 상기 차양막(600)이 받는 힘을 상기 가이드핀(800)이 상기 스프링(900)의 힘으로 버티므로, 상기 가이드핀(800)의 위치가 최적의 상사점과 하사점 사이에서는 물론이고 최고의 상사점과 최적의 상사점 사이에서 유연하게 조절되는 이점이 있다.
즉 상기 가이드핀(800)이 최적의 상사점에 있을 때 상기 차양막(600) 위에 힘이 가해지면, 그 힘은 상기 제1살대(400), 상기 제2살대(500) 및 상기 이동부재(300)를 거쳐 상기 가이드핀(800)에 전달되어 상기 가이드핀(800)을 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데, 이때 상기 가이드핀(800)은 상기 스프링(900)의 반발력으로 서서히 이동되고, 상기 힘이 제거되었을 때 최적의 상사점으로 원상 복귀된다.
이는 상기 차양막(600)이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차양막(600)의 상부에 눈이 쌓이게되면, 눈의 무게에 의해 상기 가이드핀(800)이 상기 스프링(900)을 압축시키며 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차양막(600)이 접혀져 눈이 치워지고, 눈이 제거된 후에는 상기 스프링(90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핀(800)이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차양막(600)이 자연스럽게 다시 펼쳐져 자동으로 눈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다음은 위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절첩 파라솔의 설치 상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절첩 파라솔이 지면에 부상된 상태로 설치된 것이고, 도 1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절첩 파라솔이 지면에 직접 설치된 것이다.
파라솔을 지면에 부상된 상태로 설치하려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주대(100)의 상단에 고리(미도시)를 장착하고, 지면에는 스탠드(50)를 설치한다.
상기 스탠드(50)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며, 상단이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리(미도시)를 상기 스탠드(50)에 걸어 파라솔이 지면과 이격되어 떠 있는 상태로 고정한다.
이 경우 상기 차양막(600)을 절첩할 때에는 상기 지주대(100)의 하단에 있는 상기 회전부재(700)를 회전시켜 쉽게 절첩할 수 있다.
한편 파라솔을 지면에 직접 설치하려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중공의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보조대(60)를 설치하고, 상기 회전부재(700)의 하단을 상기 보조대(60)에 회전되게 장착한다.
이러한 상태로 설치된 파라솔은 상기 지주대(100)가 지면에 설치되더라도 상기 회전부재(700)를 쉽게 회전시킬 수 있어 사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본 고안인 회전식 절첩 파라솔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 지주대, 110 : 가이드공, 120 : 걸림핀, 200 : 고정부재, 300 : 이동부재, 310 : 몸체, 311 : 제1장착홈, 312 : 제2장착홈, 320 : 커버, 400 : 제1살대, 500 : 제2살대, 600 : 차양막, 700 : 회전부재, 710 : 걸림홈, 800 : 가이드핀, 900 : 스프링,

Claims (4)

  1.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외주면에 가이드공이 구비된 지주대와;
    상기 지주대의 상부에 고정 장착된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지주대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이동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힌지결합된 제1살대와;
    상기 이동부재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1살대와 연결된 제2살대와;
    상기 제1살대 및 상기 제2살대의 상부를 덮는 차양막과;
    상기 지주대에 회전되게 장착된 회전부재와;
    상기 지주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공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가이드핀과;
    상기 지주대의 내부에 삽입 배치되며, 상기 회전부재에 고정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핀과 접하여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시 상기 가이드핀을 상하 이동시키는 코일 형상의 스프링;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절첩 파라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가이드공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회전부재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스프링의 상하 길이는 상기 회전부재에서 상기 가이드공의 상단까지의 상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절첩 파라솔.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공은 상호 평행하게 형성된 제1가이드공 및 제2가이드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핀은 일단이 상기 제1가이드공을 관통하여 상기 이동부재와 연결되고, 중심부가 상기 스프링에 삽입 배치되며, 타단이 상기 제2가이드공을 관통하여 상기 이동부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절첩 파라솔.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공은 상호 평행하게 형성된 제1가이드공 및 제2가이드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핀은,
    일단이 상기 이동부재에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제1가이드공을 관통하여 상기 스프링에 삽입되는 제1연결핀과;
    일단이 상기 이동부재에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제2가이드공을 관통하여 상기 스프링에 삽입되는 제2연결핀;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절첩 파라솔.
KR2020100003017U 2010-03-24 2010-03-24 회전식 절첩 파라솔 KR2004581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017U KR200458166Y1 (ko) 2010-03-24 2010-03-24 회전식 절첩 파라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017U KR200458166Y1 (ko) 2010-03-24 2010-03-24 회전식 절첩 파라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258U true KR20110009258U (ko) 2011-09-30
KR200458166Y1 KR200458166Y1 (ko) 2012-01-25

Family

ID=45090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3017U KR200458166Y1 (ko) 2010-03-24 2010-03-24 회전식 절첩 파라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8166Y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019251D0 (en) * 2000-08-04 2000-09-27 Lintfield Limited Photoinitiated reactions
KR100498987B1 (ko) * 2002-10-11 2005-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Gps 위치 데이터 수신 불량 지역에서의 이동체 위치예측 방법
KR200340383Y1 (ko) 2003-10-24 2004-01-31 (주)에스아이테크놀로지 전동식 절첩구조를 갖는 대형 파라솔
KR100511007B1 (ko) 2003-10-24 2005-08-31 (주)에스아이테크놀로지 차양막 절첩구조를 갖는 고정형 대형 파라솔
KR200433181Y1 (ko) 2006-09-30 2006-12-11 부일 이 자동 우산
KR100844266B1 (ko) 2008-03-10 2008-07-07 구통완 파라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8166Y1 (ko) 2012-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6394B1 (ko) 접이식 대형 파라솔
AU2004290566B2 (en) Umbrella
JP5138817B2 (ja) キャノピーテント
US11096458B1 (en) Multi-use umbrella with water filtration and sail functions
KR102079204B1 (ko) 포켓부를 구비한 파라솔
KR101064884B1 (ko) 우산식 자동 텐트의 프레임 구조물
KR20090051409A (ko) 파라솔 지주의 각도 조절 장치
KR200458166Y1 (ko) 회전식 절첩 파라솔
KR100963663B1 (ko) 정자형 파라솔
KR101319573B1 (ko) 낚시용 파라솔
KR200361483Y1 (ko) 우산식 캐노피 텐트의 프레임 구조
EP2766534A1 (en) A collapsible frame
KR101089253B1 (ko) 파라솔장치
CN205615326U (zh) 一种小车便携式遮阳篷
CN213096548U (zh) 一种便于放置在地上的雨伞
KR101221047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차양막 지주
KR200474904Y1 (ko) 레저용 파라솔
CN210105462U (zh) 一种快速收折的户外遮阳蓬
CN216723476U (zh) 一种防风雨伞
KR200490283Y1 (ko) 안전장치가 마련된 접이식 텐트
US20230371664A1 (en) Portable shelter
AU2022215254A1 (en) A portable shelter
KR200272695Y1 (ko) 텐트 겸용 사각 파라솔
KR100938980B1 (ko) 자동 절첩식 텐트의 플라이 구조
KR200400436Y1 (ko) 절첩식 천막의 지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