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8884U - 톰슨금형장치 - Google Patents

톰슨금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8884U
KR20110008884U KR2020100002528U KR20100002528U KR20110008884U KR 20110008884 U KR20110008884 U KR 20110008884U KR 2020100002528 U KR2020100002528 U KR 2020100002528U KR 20100002528 U KR20100002528 U KR 20100002528U KR 20110008884 U KR20110008884 U KR 2011000888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mold
plate
bending section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25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6753Y1 (ko
Inventor
김범회
Original Assignee
김범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범회 filed Critical 김범회
Priority to KR20201000025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6753Y1/ko
Publication of KR201100088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88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67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675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B26F1/44Cutters therefor; D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B26F1/40Cutting-out; Stamping-out using a press, e.g. of the ram typ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톰슨금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금형판과 적어도 2회 절곡된 날절곡구간을 구비하도록 상기 금형판에 설치된 절단날을 가지고, 상기 절단날을 통해 박판소재를 절단가공하는 톰슨금형장치에 있어서, 꺽쇠형태로 형성되고 양 측면 종단에는 날안착홈이 하나씩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날절곡구간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되도록 상기 금형판에 설치되는 날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절단날은 상기 날안착홈에 진입하도록 상기 금형판에 설치되는 판고정날과, 상기 판고정날과 협조하여 상기 날절곡구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날고정부재에 고정된 부재고정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날절곡구간의 설치가 용이하고 날절곡구간의 초기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톰슨금형장치{Thomson Molding Device}
본 고안은 톰슨금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금형판에 설치된 절단날의 가압동작을 통해 박판소재로부터 소정의 형태를 갖는 박판제품을 제작하는 데 사용되는 금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박판형태의 합성수지, 종이 등과 같은 박판소재를 절단 가공하여 LCD용 편광판, 포장상자와 같은 박판제품을 제작하기 위해 톰슨금형장치가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9는 종래의 톰슨금형장치의 전체구성도이고, 도10은 종래의 톰슨금형장치의 요부분해사시도이고, 도11은 종래의 톰슨금형장치의 날절곡구간의 상세도이다.
종래의 톰슨금형장치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형부(110)와, 금형부(110)를 구동하는 구동부(130)를 갖고 있다.
금형부(110)는 금형판(111)과, 금형판(111)의 저면에 부착된 탄성판(112)과, 금형판(111)에 설치된 절단날(113)을 갖고 있다.
금형판(111)은 나무, 플라스틱 등으로 제작되고, 절단날(113)과 동일한 형태의 날홈이 두께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날홈에는 일정 길이구간마다 날지지턱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금형판(111)에는 종래 알려진 바와 같이 공기유로가 형성되어 있다.
탄성판(112)은 스폰지, 탄성이 큰 고무 등의 탄성재질로 제작된다.
절단날(113)은 2회 절곡된 날절곡구간(113c)을 갖도록 금형판(111)에 직접 설치된다.
구동부(130)는 금형홀더(131)와, 금형홀더(131)가 직선상으로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홀더구동부(132)를 갖고 있다.
홀더구동부(132)는 종래 알려진 바와 같이 크랭크기구나 실린더기구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톰슨금형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금형판(111)의 하측에 테이블(202)을 설치하고, 소정의 소재공급부(203)를 통해 테이블(202)의 상면으로 박판소재(201)를 공급한다.
소재공급부(203)는 종전에 알려진 바와 같이 박판소재가 감긴 풀기롤러와 테이블을 통과한 박판소재를 감기 위한 감기롤러와 풀기롤러와 감기롤러를 회전 구동하는 롤러제어부를 채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소재공급부(203)를 통한 박판소재(201)의 공급은 홀더구동부(132)의 구동동작과 연계하여 이루어진다. 즉, 금형홀더(131)와 함께 금형판(111)이 테이블(202)을 향해 접근했다가 복귀하는 싸이클에 맞추어 테이블(202) 위로 박판소재(201)가 1피치씩 이동하도록 풀기롤러와 감기롤러를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음에 홀더구동부(132)를 제어하여 금형홀더(131)와 금형판(111)이 테이블(202)에 접근하는 방향을 따라 이동시킨다. 여기서 금형홀더(121)와 금형판(111)의 이동은 절단날(113)에 의해 박판소재(201)가 절단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박판소재(201)로부터 박판제품이 분리된다.
절단날(113)의 날부가 박판소재(201)에 접촉하기 전에 탄성판(112)이 박판소재(201)에 접촉한다.
박판소재(201)에 접촉된 탄성판(112)은 절단날(113)에 의한 절단동작이 완료될 때까지 금형판(111)의 두께방향을 따라 압축된다.
한편 탄성판(112)이 압축될 때 절단날(113)의 내측영역에 생성되는 압축공기는 공기유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다음에 홀더구동부(132)를 제어하여 금형홀더(131)와 금형판(111)을 테이블(120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이동시킨다.
금형홀더(131)와 금형판(111)이 테이블(20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이동할 때 탄성판(112)은 팽창한다.
탄성판(112)의 팽창동작에 의해 박판제품이 절단날(113)에 끼이는 것이 저지된다.
탄성판(112)이 팽창할 때 절단날(113)의 내측영역에는 부압(負壓)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외부공기가 공기유로를 통해 절단날(113)의 내측영역으로 유입된다.
그런데 종래의 톰슨금형장치에 따르면, 절단날(113)을 직접 금형판(111)에 설치하여 날절곡구간(113c)을 형성하여야 하기 때문에 2회절곡된 날절곡구간(113c)의 설치가 어렵고 날절곡구간(113c)의 초기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날절곡구간의 설치가 용이하고 날절곡구간의 초기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톰슨금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금형판과 적어도 2회 절곡된 날절곡구간을 구비하도록 상기 금형판에 설치된 절단날을 가지고, 상기 절단날을 통해 박판소재를 절단가공하는 톰슨금형장치에 있어서, 꺽쇠형태로 형성되고 양 측면 종단에는 날안착홈이 하나씩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날절곡구간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되도록 상기 금형판에 설치되는 날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절단날은 상기 날안착홈에 진입하도록 상기 금형판에 설치되는 판고정날과, 상기 판고정날과 협조하여 상기 날절곡구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날고정부재에 고정된 부재고정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톰슨금형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날절곡구간을 더욱더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날절곡구간의 초기설치상태를 더욱더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부재고정날은 상기 날고정부재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날절곡구간의 설치가 용이하고 날절곡구간의 초기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톰슨금형장치의 전체구성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톰슨금형장치의 금형판 영역의 상세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톰슨금형장치의 요부분해사시도,
도4 및 도5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톰슨금형장치의 날고정부재와 판고정날의 결합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6 및 도7은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톰슨금형장치의 날고정부재와 부재고정날을 도시한 도면,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톰슨금형장치의 날고정부재와 부재고정날의 결합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9는 종래의 톰슨금형장치의 전체구성도,
도10은 종래의 톰슨금형장치의 요부분해사시도,
도11은 종래의 톰슨금형장치의 날절곡구간의 상세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톰슨금형장치의 전체구성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톰슨금형장치의 금형판 영역의 상세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톰슨금형장치의 요부분해사시도이고, 도4 및 도5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톰슨금형장치의 날고정부재와 판고정날의 결합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톰슨금형장치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형부(10)와, 금형부(10)를 구동하는 구동부(30)를 갖고 있다.
금형부(10)는 금형판(11)과, 금형판(11)의 저면에 부착된 탄성판(12)과, 금형판(11)에 설치된 절단날(13) 및 날고정부재(14)를 갖고 있다.
금형판(11)은 나무, 플라스틱 등으로 제작되고, 절단날(13)과 동일한 형태(후술하는 날고정부재가 설치되는 영역 제외)의 날홈이 두께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날홈에는 일정 길이구간마다 날지지턱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금형판(11)에는 부재안착홈(11a)이 2회 절곡된 날절곡구간(13c)에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되어 있고, 종래 알려진 바와 같이 공기유로가 형성되어 있다.다.
탄성판(12)은 스폰지, 탄성이 큰 고무 등의 탄성재질로 제작된다.
절단날(13)은 금형판(11)에 직접 설치되는 판고정날(13a)과, 판고정날(13a)과 협조하여 2회 절곡된 날절곡구간(13c)을 형성하도록 날고정부재(14)에 고정된 부재고정날(13b)을 갖고 있다.
판고정날(13a)은 후술하는 날안착홈(14a)에 진입하도록 금형판(11)에 설치된다.
부재고정날(13b)은 날고정부재(14)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날고정부재(14)는 꺽쇠형태로 형성되고, 양 측면 종단에는 날안착홈(14a)이 하나씩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날고정부재(14)는 부재안착홈(11a)을 통해 금형판(11)에 설치된다.
구동부(30)는 금형홀더(31)와, 금형홀더(31)가 직선상으로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홀더구동부(32)를 갖고 있다.
홀더구동부(32)는 종래 알려진 바와 같이 크랭크기구나 실린더기구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톰슨금형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금형판(11)의 하측에 테이블(202)을 설치하고, 소정의 소재공급부(203)를 통해 테이블(202)의 상면으로 박판소재(201)를 공급한다.
소재공급부(203)는 종전에 알려진 바와 같이 박판소재가 감긴 풀기롤러와 테이블을 통과한 박판소재를 감기 위한 감기롤러와 풀기롤러와 감기롤러를 회전 구동하는 롤러제어부를 채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소재공급부(203)를 통한 박판소재(201)의 공급은 홀더구동부(32)의 구동동작과 연계하여 이루어진다. 즉, 금형홀더(31)와 함께 금형판(11)이 테이블(202)을 향해 접근했다가 복귀하는 싸이클에 맞추어 테이블(202) 위로 박판소재(201)가 1피치씩 이동하도록 풀기롤러와 감기롤러를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음에 홀더구동부(32)를 제어하여 금형홀더(31)와 금형판(11)이 테이블(202)에 접근하는 방향을 따라 이동시킨다. 여기서 금형홀더(21)와 금형판(11)의 이동은 절단날(13)에 의해 박판소재(201)가 절단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박판소재(201)로부터 박판제품이 분리된다.
절단날(13)의 날부가 박판소재(201)에 접촉하기 전에 탄성판(12)이 박판소재(201)에 접촉한다.
박판소재(201)에 접촉된 탄성판(12)은 절단날(13)에 의한 절단동작이 완료될 때까지 금형판(11)의 두께방향을 따라 압축된다.
한편 탄성판(12)이 압축될 때 절단날(13)의 내측영역에 생성되는 압축공기는 공기유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다음에 홀더구동부(32)를 제어하여 금형홀더(31)와 금형판(11)을 테이블(20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이동시킨다.
금형홀더(31)와 금형판(11)이 테이블(20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이동할 때 탄성판(12)은 팽창한다.
탄성판(12)의 팽창동작에 의해 박판제품이 절단날(13)에 끼이는 것이 저지된다.
탄성판(12)이 팽창할 때 절단날(13)의 내측영역에는 부압(負壓)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외부공기가 공기유로를 통해 절단날(13)의 내측영역으로 유입된다.
한편 부재고정날(13b)의 형태와 판고정날(13a)의 배치는 도6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가지로 조합하여 본 고안을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부재고정날(13b)을 날고정부재(14)와 일체로 형성하고 있으나,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재고정날(13'b)을 날고정부재(14')와 별도로 제작하고 날고정부재(14')에는 끼움홈(14'b)을 형성하여 부재고정날(13'b)을 끼움홈(14'b)에 결합시켜 본 고안을 실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날고정부재(14)를 사용하여 적어도 2회 절곡된 날절곡구간(13c)을 형성함으로써, 날절곡구간(13c)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날절곡구간(13c)의 초기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부재고정날(13b)을 날고정부재(14)에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날절곡구간(13c)을 더욱더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날절곡구간(13c)의 초기설치상태를 더욱더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10, 110 : 금형부 11, 111 : 금형판
12, 112 : 탄성판 13, 113 : 절단날
14, 14' : 날고정부재 30, 130 : 구동부

Claims (2)

  1. 금형판과 적어도 2회 절곡된 날절곡구간을 구비하도록 상기 금형판에 설치된 절단날을 가지고, 상기 절단날을 통해 박판소재를 절단가공하는 톰슨금형장치에 있어서,
    꺽쇠형태로 형성되고 양 측면 종단에는 날안착홈이 하나씩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날절곡구간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되도록 상기 금형판에 설치되는 날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절단날은 상기 날안착홈에 진입하도록 상기 금형판에 설치되는 판고정날과, 상기 판고정날과 협조하여 상기 날절곡구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날고정부재에 고정된 부재고정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톰슨금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고정날은 상기 날고정부재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톰슨금형장치.
KR2020100002528U 2010-03-12 2010-03-12 톰슨금형장치 KR2004567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2528U KR200456753Y1 (ko) 2010-03-12 2010-03-12 톰슨금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2528U KR200456753Y1 (ko) 2010-03-12 2010-03-12 톰슨금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884U true KR20110008884U (ko) 2011-09-20
KR200456753Y1 KR200456753Y1 (ko) 2011-11-16

Family

ID=45090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2528U KR200456753Y1 (ko) 2010-03-12 2010-03-12 톰슨금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675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5676B1 (ko) 2023-05-24 2023-09-06 권상현 시트지 절취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5676B1 (ko) 2023-05-24 2023-09-06 권상현 시트지 절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6753Y1 (ko) 2011-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PI0515420A (pt) ferramenta de moldagem sob pressão e processo para a produção de uma peça por meio de moldagem sob pressão
CN105313300A (zh) 模唇驱动结构
WO2010018368A3 (en) A labelling machine
KR100979732B1 (ko) 톰슨금형장치
JP5893227B2 (ja) 突破および利用部分離の為の装置および方法
KR200456753Y1 (ko) 톰슨금형장치
KR101672798B1 (ko) 인몰드용 파스너 제조장치
CN105102191A (zh) 旋转切割设备的张紧装置
KR20130042696A (ko) 코일스프링 핀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200460129Y1 (ko) 톰슨금형장치
JP6861722B2 (ja) コンテナ製作に適した材料を加工するための機械および方法
KR101121081B1 (ko) 횡방향 포밍장치 및 포밍성형기
KR101343615B1 (ko) 단프라시트 직선 융착기
KR20110008854U (ko) 톰슨금형장치
KR101447908B1 (ko) 톰슨금형장치
KR101142841B1 (ko) 일회용 장갑 자동 제조장치
KR101156474B1 (ko) 톰슨금형장치
KR101141973B1 (ko) 톰슨금형장치
KR200456752Y1 (ko) 톰슨금형장치
JP2011231011A5 (ko)
JPH07329217A (ja) 融着切断加工装置
JP2004521745A (ja) 押出プレス装置の送出装置
KR20090081454A (ko) 톰슨금형장치
KR20090081186A (ko) 톰슨금형장치
CN204036530U (zh) 平压压痕切线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